KR20010098822A - 슬롯 덮개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슬롯 덮개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822A
KR20010098822A KR1020010021939A KR20010021939A KR20010098822A KR 20010098822 A KR20010098822 A KR 20010098822A KR 1020010021939 A KR1020010021939 A KR 1020010021939A KR 20010021939 A KR20010021939 A KR 20010021939A KR 20010098822 A KR20010098822 A KR 20010098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lind
slot
cover strip
fron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380B1 (ko
Inventor
제엘홀거
발터헤르베르트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98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9)는 자동차의 차체에 통합된다. 상기 블라인드(31)는 차량의 외피와 내부 라이닝(14) 사이의 중공 공간으로 수축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31)는 윈도우 임브레셔(24)내의 슬롯(26)을 통해 들어갈 수 있다.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가 사용되지 않을 때 이 슬롯(26)을 폐쇄하기 위해서, 블라인드(31)의 전방 에지(43)상의 보강 스트립(57)에는 가요성 덮개 스트립이 결합되고, 상기 가요성 덮개 스트립은 풀려나온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보강 스트립(57)의 외형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 스트립은 보강 스트립(57)으로부터 들어올려지며, 상기 슬롯 에지(27) 중 하나 이상의 위에 놓여셔 슬롯(26)을 폐쇄한다.

Description

슬롯 덮개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Side window roller blind with slot covering}
DE 100 005 970호로부터 자동차용 측면 윈도우가 공지되어 있다. 차체 외피와 내부 라이닝 사이에 권취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위에 롤러 블라인드 재료가 에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롤러 블라인드는 윈도우 부품내의 슬롯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블라인드 재료는 윈도우와 거의 합체된 상태가 된다.
롤러 블라인드의 작동은 블라인드 재료의 전방 에지상에 결합된 당김 또는 밈 부재의 도움으로 전기 모터에 의해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롤러 블라인드의 전방 에지는 윈도우 형태에 대응하는 곡률로부터 보아 권취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에지를 의미한다.
블라인드 재료의 인출시 윈도우 임브레셔내의 각 슬롯의 외측으로 나오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용 작동 부재의 배열 때문에, 슬롯은 비교적 넓어져야만 한다.
슬롯이 블라인드 재료의 전방 에지상의 보강 스트립에 대응하는 폭 만을 가지는 경우에도, 상기 슬롯은 롤러 블라인드가 당겨 넣어졌을 때 넓은 범위에 걸쳐 개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윈도우와 관련된 에지에 끼워지는 전방 에지의 곡률때문에, 전방 에지의 대부분은 슬롯 에지 아래로 감춰지게 되고, 전방 에지와 보강 스트립의 존재에 의해 단지 작은 범위만이 채워지게 된다.
개방된 슬롯은 보기 흉할 뿐만 아니라, 개방된 슬롯내에 손가락이 끼여서 아동이 부상을 입는 등의 특정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비교적 큰 물체가 외부 금속판과 내부 라이닝 사이의 본체 틀의 빈 공간내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가 통과해 풀려져나오는 슬롯이 적어도 대부분 폐쇄되어 있는 자동차를 생산하는 것이다.
도 1은 후방 우측 도어의 내측에서 본 자동차의 전방 영역의 절단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후방 우측 도어의 개략적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3은 덮게 스트립에 연결된 도 2에 따른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블라인드 재료의 전방 에지를 도시하는 Ⅲ-Ⅲ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도어의 상부를 블라인드가 부분적으로 인출된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따른 도어의 상부를 블라인드가 구동되어 들어간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2에 따른 측면 윈도우 블라인드의 전방 에지와, 당김 또는 인장 기구의 도움으로 전방 에지상으로 당겨진 상태의 연계된 덮게 스트립을 도시하는 부분 파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7 : 측면 도어 14 : 내부 라이닝
18 : 윈도우 개구 19 : 횡단편
24 : 윈도우 임브레셔 26 : 슬롯
27 : 슬롯 에지 29 :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34 : 권취축 35, 36 : 베어링 블록
이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차량에 의해 해결된다.
신규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에서는 윈도우 프레임내의 슬롯이 공지된 방식으로 제공되어 있고, 그 위에, 차체 틀내의 중공 공간에 대한 접속부가 존재한다. 사용되지 않을 때, 중공 공간내에 블라인드 재료가 저장되게 된다. 상기 블라인드 재료는 전방 에지를 구비하고, 그 경로는, 슬롯에 대향하여 배치된 영역내에서 윈도우 프레임이 가지는 경로에 대응한다.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슬롯을 실질적으로 폐쇄하기 위해서, 블라인드 재료의 전방 에지상에는 덮개 스트립이 배열되며, 이는 블라인드가 풀려나온 상태에서는 전방 에지의 경로를 따르고, 즉, 그 자체가 전방 에지에 부착되고, 블라인드가 감겨 들어간 상태에서는 상기 슬롯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도록 전방 에지로부터 단면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블라인드 재료가 중공 공간내로 이동할 때, 덮개 스트립은 슬롯을 폐쇄하기 위해서 전방 에지로부터 대응하여 들어올려지게 된다. 내부에 슬롯이 위치되는 윈도우 프레임은 측면 윈도우 유리창(pane)의 하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배열은 상기 윈도우가 측면 도어의 윈도우일 때 바람직하다. 예로서, B형 기둥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윈도우 프레임내에 슬롯을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배열은 B형 기둥이 윈도우 영역내에서 직선으로 연장할 때 도어가 두개인 차량내에 사용될 때 바람직하다.
그를 통해 블라인드 재료가 안팍으로 이동하게되는 슬롯은 내릴 수 있는 형식의 유리창인 경우에 유리창이 통과하여 이동하게되는 슬롯과 조합될 수 있다.
인출된 상태에서 전방 에지상에 덮개 스트립을 신뢰성있게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이 수단은 덮개 스트립 자체로서 형성되거나, 전방 에지 또는 덮개 스트립상에 존재하는 다른 수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단이 덮개 스트립 자체로서 형성되는 경우에, 그 자체의 곡률 때문에 블라인드 재료의 전방 에지의 경로를 따르는 경향을 가지는 강한 탄성이 부여된 덮개 스트립일 수 있다. 블라인드 재료가 말려들어갈 때, 덮개 스트립은 다소 신장된 형태로 전환되어야만할 필요가 있다.
덮개 스트립을 신속하게 전방 에지상에 유지하기 위한 다른 방법은 전방 에지상으로 덮개 스트립을 당기도록 당김 기구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단지 작은 반탄력만을 나타내는 비교적 연성 플라스틱 재료로 덮개 스트립이 구성되는경우에 사용되는 방식이다. 당김 기구는 덮개 스트립의 하나이상의 단부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당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당김 기구 자체는 탄성적으로 신장될 수 있거나, 탄성적으로 신장될 수 없는 경우에는 드로우 스프링(draw spring)으로 작동되게 된다.
필요한 당김 부재의 수는 전방 에지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블라인드 재료의 최고점이 일측면을 초과하여 상승하는 경우에는 덮개 스트립이 이 지점에서 전방 에지와 강성적으로 결합된다. 단지 그 다른 단부만이 이동가능하고, 당김 부재에 의해 전방 에지상으로 당겨져야만 한다. 상기 전방 에지의 최고점이 두 측면에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경우에는, 덮개 스트립에 대한 고정이 이 지점에서 발생된다. 이때는 각 경우에 그 자체의 당김 기구로 전방에지상에 덮개 스트립의 양 단부가 당겨져야만 한다.
블라인드 재료의 전방 에지상에 덮개 스트립을 고정하는 것은 예로서, 자석을 사용하여 탄성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수행될 수도 있다. 이 자석은 서로 분리된 독립적인 자석들일 수 있으며, 또는, 냉장고의 밀봉 스트립과 유사한 강자성 재료로 채워진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배열은 블라인드 재료의 전방 에지가 대응하는 강자성 재료로 제조되었을 때, 덮개 스트립이 상기 전방 에지에 자동으로 경고하게 유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블라인드가 내려졌을 때, 덮개 스트립은 윈도우 스트립상에 견고히 유되도록 하기 위해서, 윈도우 스트립도 강자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 스트립의 길이는 내려진 블라인드가 그 전방 에지의 곡률로 인하여 블라인드 재료의 전방 에지 상에서 보강 스트립에 의해 채워지지 않는 슬롯 길이가 얼마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슬롯의 일부도 블라인드 재료의 전방에지에 의해 채워지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은 차치하더라도, 시각적인 사유로 상기 덮개 스트립이 상기 슬롯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덮히도록 하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라인드 재료로부터 덮개 스트립을 자동적으로 들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덮개 스트립은 적어도 슬롯 보다 넓다. 이 배열은 덮개 스트립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슬롯 에지 중 하나 위에 걸려지게되는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 배열은 하나 및 동일한 슬롯이 하강가능한 측면 유리창 및 블라인드 재료에 사용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덮개 스트립이 슬롯 에지 양자를 덮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강성 측면 유리창의 경우, 또는, 하강가능한 측면 유리창 및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에 서로 인접하게 연장하는 두 개의 독립적인 슬롯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블라인드 재료가 작은 반경으로 권취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에, 블라인드 재료가 권취되는 권취축을 중공 공간내에 장착할 수 있다. 블라인드 재료 자체를 직접적으로 권취하는 대신, 좁은 밴드 또는 코드 디스크상에 그 일부가 권취된 밴드 또는 코드를 그 후방 에지상에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라인드 재료 자체는 신장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런 배열은 슬롯이 차량의 종방향에 대해 직선으로 연장하지 않을 때, 측면 유리창의 경우에 바람직하다.
블라인드 재료의 작동을 위해, 즉, 끌어내리기 위해, 스프링 배열이 제공되고, 그 도움으로 블라인드 재료가 중공 공간내로 수축될 수 있다. 이런 배열은 전방 에지상의 손잡이나 덮개 스트립을 잡고 끌어내리는 형식으로 수동으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를 작동할 수 있을 때 바람직하다.
원격 제어식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경우에, 전기 모터 구동부와 스프링 구동부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구동부의 도움에 의해서, 블라인드 재료는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고, 전기 모터 구동부는 블라인드 재료의 소정 위치를 정하게된다. 이 배열에서, 전기 모터 구동부가 그 전방 에지 상에 작용하거나, 운동역학적으로 역전되었다면, 전기 모터가 중공 공간내에 균일하게 유지되는 블라인드 재료의 후방 에지에 작용하여, 스프링 구동부가 후방 에지나 하부 에지와 협력하거나, 블라인드 재료와 협력하거나에 무관하게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블라인드 재료의 인출은 추진 부재에 의해 수행되거나, DE 100 005 970호에 게시된 바와 같은 교수대 모양 구조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또한, 부가적인 개선형이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하기의 설명에서, "전방", "후방", "위" 또는 "아래" 및, 유사한 의미적 내용을 가진 개념인 "우측" 및 "좌측"이라는 용어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블라인드에만 관련하여, 전방에지 또는 후방 에지라는 용어는 차량내의 설치 위치와는 무관하게 블라인드 자체를 기준으로하여 사용된다.
도 1은 승용차의 후방부를 파단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은 우측 내부 측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좌측 내부 측면도 거울면 대칭이다. 상기 도면은 단순화되어 있으며, 따라서, 예로서, 보강재 및 고정 수단 등의 차체 내부 구조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그 이유는 상기 구조물들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도시된 본체부(1)는 지붕(2)을 구비하며, 상기 지붕으로부터 B형 기둥(3)이 측방향으로 플로어 그룹(도시되지 않음)까지 연장되어 있다. 차량의 잘려져나간 측면상에도 대응하는 B형 기둥이 존재한다. 지붕(2)은 그 후방 에지가 B형 기둥(3)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C형 기둥(6)상의 후방 윈도우 개구(4)로 연장된다. 상기 B형 기둥(3)과 C형 기둥(6)의 사이에, 공지된 방식으로, 후방 우측 도어(7)가 B형 기둥(3)상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후방 우측 도어(7)의 높이에, 후방 좌석(8)이 위치되어 있으며, 후방 좌석(8)은 좌석 표면(9)과 후방 좌석 등판(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후방 좌석 표면(9)은 플로어 그룹에 소속된 지지면(12)상에 놓여져 있고, 후방 좌석 표면(9)의 전방에 발을 놓을 수 있는 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공간을 향한 측면 도어(7)의 내측은 내부 라이닝(14)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라이닝에 도어 핸들(15)이 고정되어 있고, 측면 도어(7)의 잠금장치를 개방하기 위하여 작동 랫치(17; latch)가 수용되어 있다.
측면 도어(7)는 그 내부 라이닝(14)위에, 횡단편(19)에 의해 두 개의 영역(21, 22)으로 분할된 윈도우 개구(18)를 포함한다. 상기 영역(22)은 대략 삼각형 형상이며, 영역(2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상기 영역 내부에는 공지된 방식으로 하강시킬 수 있는 측면 윈도우 유리창(23)이 존재한다. 두 개의 영역(21, 22)은 윈도우 유리창 안내부로서 기능하는 횡단편(19)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두 개의 영역(21, 22)은 연속적인 공통 윈도우 임브레셔(24; embrasure)에 의해 외측이 둘러싸여 있다. 상기 윈도우 임브레셔(24)는 그 나머지 부분 보다 다소 넓은 실질적으로 직선인 하부 영역을 형성한다.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에는 이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슬롯(26)이 존재한다. 상기 슬롯은 슬롯 에지(27)에 의해 차량 내부에 속박된다. 그 외부 경계는 윈도우 유리창(23) 및 윈도우 영역(22)내의 유리창이다.
측면 도어(7)는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9)를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의 블라인드 재료(31)는 윈도우 프레임 영역(21, 22) 아래와 옆에 존재하는 슬롯(26)을 통해 움직인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본체는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9)의 하우징 역할을 한다.
도 2에, 측면 도어(7)가 독립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도어 외피(33)의 영역인 주변 도어 라벳(32; rabbet)은 도어(7)의 내부면상에 존재하는 파단 상태로 도시된 내부 라이닝(14)과 마찬가지로 박판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9)에는 도어(7)상의 내부 라이닝(14) 뒤쪽에서,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 아래에 지지된 권취축(34)이 포함된다. 이를 위해서, 도어는 관형 권취축(3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베어링핀(37, 38)을 수용하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베어링 블록(35, 36)을 가지고 있다.
블라인드 재료(31)는 태양광을 충분히 차폐하는 플라스틱 포일로 제조된 컷아웃(cutout)으로 구성된다. 외부 윤곽선은 윈도우 개구(19)의 외부 윤곽선에 대응한다. 즉, 두 개의 윈도우 개구(21, 22)의 합에 대응한다.
블라인드 재료(31)는 권취축(34)에 고정된 전방 또는 상부 에지(43)에 의해서, 후방 컨튜어형 에지(42)에 의해서, 그리고, 운동 방향으로 배치된 측방향 직선 에지(41)에 의해서 한정된다.
블라인드 재료(31)를 내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구동 장치(45)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권취축(34)내에 존재하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스프링 모터(4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모터(46)는 그 단부중 하나가 권취축(34)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그 다른 단부는 베어링 핀(38)에 비틀림을 받는 형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 핀(38)은 순차적으로 베어링 블록(35)에 강성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 모터(46)는 블라인드 재료(31)의 권취 방향으로 권취축에 예비 인장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블라인드 재료(31)는 예로서, 웨더 스트립(weather strip)에 의해 권취축(34)에 공지된 방식으로 고정된다.
구동 장치(45)를 위한 부가적인 구성 요소는 기어 모터(47)이며, 이는 후술될 바와 같이, 전방 에지(43)와 기어결합되어 있다.
권취축(34) 아래에는 도어(7)에 고정되어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슬라이드 안내 블록(48, 49)이 있다. 각 슬라이드 안내 블록(48, 49)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압력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면서 상대 굴곡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는 원통형 작동 부재(51, 52)가 연장된다. 상기 작동 부재(51, 52)의 상부 자유 단부는 전방에지(43)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안내 블록(48, 49)으로부터 시작하여, 호스형 래핑(53, 54; wrapping)이 기어 모터(47)로 연장된다. 상기 래핑은 그 내부에서 활주되는 작동 부재(51, 52)를 압력에 대하여 내성을 가진 형태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각 작동 부재(51, 52)는 예로서 가요성 금속 또는 플라스틱 와이어, 보우든 케이블(Bowden cable) 또는 트러스트 저항 케이블드 와이어 스트랜드의 코어 등의 압력 저항성 선형 소자로 형성된다. 적어도 모터측 단부상에서 각 작동 부재(51, 52)는 그 외주면상에 기어링(gearing)을 형성하는 와이어 권선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작동 부재(51, 52)와 변위불가의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 형태의 작동 부재는 "SU-플렉스웰(SU-flexwelle)"이란 상표로 판매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윈도우 리프터에 사용된다.
구동 모터(47)는 그 출력측상에 감속 기어(55)가 배열된 영구적으로 여기된 직류 모터이다. 기어(55)의 출력축상에는 비틀리지 않도록 배치된 베이스 기어 휠(56)이 있으며, 그 단(段)은 작동 부재(51, 52)상의 웜 또는 스크류의 단과 일치한다. 작동 부재(51, 52)는 기어 휠(56)상의 대향 배치 측면을 지나 접선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외부 기어는 기어 휠(56)과 맞물려있다.
이 방식에서, 구동 모터(47)는 블라인드 재료(31)의 전방 에지(43)와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의 개략 단면도에는 측면 에지(42)와 측면 에지(41) 사이에서 거의 전방 에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보강 스트립(57)을 구비한 블라인드 재료(31)의전방 에지가 도시되어 잇다.
보강 스트립(57)은 수용 포켓(58)을 구비한 두 개의 작동 부재(51, 52)의 영역내에 제공되며, 상기 수용 포켓내로 작동 부재(51, 52)의 자유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보강 스트립(57)의 상부측상에는 그 길이가 슬롯(26)의 길이에 대응하는 덮개 스트립(59)이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따라서, 이는 지점 61에서 측면 에지(41)의 근방의 보강 스트립(57)과 견고하게,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덮개 스트립(59)은 예로서, 개선된 탄성 리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단면이 직사각형인 프로파일로 구성된다. 이는 이완된 상태에서,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보강 스트립(57) 또는 전방 에지(43)의 영역내의 최소 곡률 보다 다소 작은 곡률을 갖도록 굴곡된다.
덮개 스트립(59)의 폭은 한편으로는 안내 레일(19) 또는 윈도우 창유리(23)의 내측상에 지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후술될 바와 같이, 윈도우 창유리(23)로부터 이격되어 그 에지(62)가 배치된 상태로 슬롯 에지를 덮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 스트립(59)은 하부 임브레셔 영역(25)내에 형성된 슬릿(26)보다 넓다.
상기 덮개 스트립(59)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1에서 보강 스트립(57)과 견고히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보강 스트립(57)의 블라인드 재료로부터 먼 방향을 향한 상부측면상에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지지된다. 상기 덮개 스트립(59)의 하부측과, 상기 보강 스트립(57)의 상부측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고정점(61)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그 다른 단부는 보강스트립(57)의 상부측면으로부터 언제든 탄성적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덮개 스트립(59)과 보강 스트립(57) 사이의 접속 형태 때문에, 이는 서로에 대해 꼬이지 않는다.
하기에 광폭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9)의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도 2에 따른 연장된 위치에서 시작한다.
두 개의 작동 부재(51, 52)는 구동 모터(47)의 도움으로 작동되어 나오며, 보강 스트립(57)과 함께 윈도우 임브레셔(24)의 상부 영역 근방으로 이동된 전방 에지(43)를 갖는다. 이제 그곳에는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6)의 전방에지와, 윈도우 임브레셔(24)의 상부 영역 사이에 작은 간격이 남아 있게 된다. 상기 윈도우 개구(18)는 블라인드 재료 컷아웃(31)으로 거의 완전히 덮혀있다.
덮개 스트립(59)상에 어떠한 외력도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덮개 스트립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 스트립(57)의 상향 외측상에 밀접하게 지지되어 잇다.
상기 블라인드 재료(31)는 스프링 모터(46)의 도움으로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스프링 모터는 상기 블라인드 재료(31)를 권취축(34)상에 감으려는 경향을 갖고 있다. 여기서, 구동 모터(57)에 의해 그 하단부가 막혀진 작동 부재(51, 52)에 의해 저지당하게되고, 그래서, 이들은 스프링 모터(46)의 작용하에 후방으로 눌려지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9)를 감기를 원할 때, 사용자는 구동 모터(47)를 대응 선회 방향으로 작동상태로 설정하고, 이것이, 당김에 관한 하향으로 작동 부재(51, 52)를 당기게되며, 기어(55)를 달고있는 단부를 보호 또는 저장 튜브(65, 66)내로 후퇴시키게 된다.
작동 부재(51, 52)가 하향 방향으로 슬롯(26)을 통해 사라지게되는 범위에 따라서, 블라인드 재료(31)의 전방 에지(43)도 마찬가지로 하향 이동된다. 대응 경로가 팽팽해진 이후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스트립(59)의 하향 유주성(downward-wandering)의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 단부(63)가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상의 슬롯 에지(27)위에 닿게된다. 덮개 스트립(59)상에 외력이 작용하게되고, 이 외력이 덮개 스트립을 보강 스트립(57)으로부터 들어올리게된다. 덮개 스트립(59)의 반탄력이 접촉 경로를 보증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높지만, 스프링 모터(46)에 의해 작용되는 권취력보다는 작기 때문에, 상기 블라인드 재료(31)는 더 내려가게 된다. 상기 덮개 스트립(59)은 점진적으로 보강 스트립(57)으로부터 들어올려지게되고, 현저히 신장된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9)가 도 5에 따라서 최종적으로 완전히 수축되었을 때, 보강 스트립(57)은 도어의 내부 또는 중공 공간내에서 슬롯(26)아래에 위치되고, 덮개 스트립(59)은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상의 슬롯 에지(27)엎에 노여지며, 슬롯(26)을 덮개된다.
보강 스트립(57)과 강성적으로, 이동 불가 상태로 결합된 단부 영역(61)이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의 상부측상에 놓여 추가적인 하향 이동을 저지할 때 운동이 종료된다.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9)가 인출될 때, 반대 방향의 운동이 발생된다.보강 스트립(57)이 슬롯(26)을 통해 상향 이동하는 작동 부재(51, 52)에 의해 상승된다. 보강 스트립(57)이 상승되는 범위에 따라, 덮개 스트립(59)이 다시 보강 스트립(57)의 상부측면상에 지지되게된다. 상향 행정에서, 도 2에 따른 최종적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으로부터 점진적으로 들어올려지게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반탄력을 가진 덮개 스트립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대적으로 작은 반탄력을 가진 덮개 스트립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력의 도움으로, 강자성 입자들로 충진된 보강 측면(57)에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는 자화된 입자로 충진된 플라스틱 스트립이 사용된다.
덮개 스트립(59)내에 자화된 입자를 수용하는 대신에, 덮개 스티립(59)이 자화되지 않은 강자성 입자를 함유하고, 보강 스트립(57)내로 자화된 입자를 주입할 수도 있다.
권취 관계에 따라서, 또는 윈도우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서, 상기 덮개 스트립(59)은 중앙 영역에서 보강 스트립(57)과 견고히 결합될 수도 잇다. 그때, 덮개 스트립의 양 단부는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1)가 구동되어 들어갈 때, 상승되어야만 한다.
도 4 및 도 5에서, 권취축(34)상의 블라인드 재료(31)의 권선부가 절두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배열도 가능하다. 전향 측면 에지((41)는 후방 측면 에지(42)보다 다소 신속하게 권취되게된다. 감겨 들어가는 상태에서, 보강 스트립(57)의 최고점은 더 이상 그 좌측 단부에 있게되지 않으며, 다소 그 중앙부에 위치되게된다. 이 지점에서, 덮개 스트립(59)은 보강 스트립(57)과 강성적으로결합될 수 있다.
보강 스트립(57)의 상부측상에 그 자체의 인장력만으로 덮개 스트립(59)을 유지하는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부재(65)의 도움으로 강제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블라인드 재료(31)가 인출되어나온 상태에서, 덮개 스트립(59)의 각 단부(63)는 보강 스트립(57)상에 놓여지게되고, 보강 스트립(57)은 그 하부측으로 인도되는 개구(66)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66)는 보강 스트립(57)의 상부측으로부터 블라인드 재료(31)옆의 보강 스트립의 하부측상에 제공된 홈(67)으로 인도된다. 상기 홈(67)은 보강 스트립(57)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이는 탄성 인장 부재(65)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탄성 인장 부재(65)의 일 단부는 덮개 스트립(59)의 단부(63)와 연결되고, 그 다른 단부는 홈(67)내의 대응 후크에 현수되어 지점 68에서 루프내에서 종료된다.
예로서, 피복된 고무 코드 등의 탄성 인장 부재(65)의 도움으로, 상기 단부(63)는 보강 스트립(57)의 상부측면상으로 당겨져들어간다.
블라인드 재료가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의 상부측을 통해 말려 들어간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 스트립(59)은 인장 부재의 작용에 대항하여 당겨져서 보강 스트립(57)의 상부측으로부터 이격되게된다.
예시된 모든 변용의 말려 들어간 상태에서, 덮개 스트립(59)을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의 상부측상에 견고히 유지하는 힘이 발생되어 슬롯(26)이 폐쇄된다.
덮개 스트립(59)의 길이는 양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놓여진 슬롯(26)의 단부들에 걸쳐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좌측 에지(41)의 영역에서, 덮개 스트립(59)이 보강 스트립(57)과 함께 종료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양만큼 상기 보강 스트립을 초과하여 돌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29)는 자동차의 차체에 통합된다. 상기 블라인드 재료(31)는 차량의 외피와 내부 라이닝(14) 사이의 중공공간내로 수축도리 수 잇다. 상기 블라인드 재료(31)는 윈도우 임브래셔(24)내의 슬롯(26)을 통과할 수 잇다.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가 사용되지 않을 때 블라인드 재료(31)의 전방에지상의 보강 스트립(57)으로 이 슬롯(26)을 폐쇄하기 위해서, 구동되어나온 상태에서 보강 스트립(57)의 윤곽선에 대해 놓여지게되는 가요성 덮개 스트립이 연결된다. 구동되어 들어간 상태에서, 이는 보강 스트(57)으로부터 들어올려지게되며, 적어도 슬롯 에지(27)중 하나 상에서 슬롯(26)에 밀접하게 놓여지게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가 통과해 풀려져나오는 슬롯이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자동차가 제공되며, 따라서, 개방된 형태의 슬롯내로 작은 물체가 들어가게 되거나, 손가락 등이 끼여 부상을 입게될 잠재적 위험 요소가 없어진다.

Claims (26)

  1.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과, 대향 배치된 윈도우 임브레셔 에지에 의해 경계지워지고, 부가적인 윈도우 프레임 에지(25)에 의해 경계지워질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측면 윈도우(18)와,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에 관해 상기 윈도우(18)와는 다른 측면상에 존재하며, 상기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에 의해 일 측면이 경계지워지는 중공 공간과,
    상기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내에 존재하는 슬롯(26)과,
    블라인드(31)와,
    블라인드 재료(31)를 적어도 중공 공간내로 복귀시키기 위한 블라인드(31)용 작동 장치(45)와,
    블라인드(31)의 전방 에지(43)에 고정되어, 상기 블라인드(31)가 전적으로 중공 공간내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슬롯(2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도록 배열된 가요성 덮개 스트립(59)을 포함하고,
    상기 블라인드(31)는 그 컷아웃이 적어도 그 종방향 연장부의 일 영역에서 상기 측면 윈도우(18)의 형상에 적어도 유사하게 대응하고,
    그 연장부가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에 대향 배치된 윈도우 에지의 연장부에 적어도 유사하게 대응하는 전방 에지(42)를 구비하고,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중공 공간내에 위치되며,
    측면 윈도우(18)의 전방에서 슬롯(26)을 통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은 측면 윈도우(18) 하측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임브레셔 영역(25)은 실질적으로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윈도우(18)는 상기 슬롯(26)을 통해 이동될 수 있는 유리창(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윈도우(18)는 비가동성 유리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윈도우(18)는 도어(7)의 측면 윈도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31)가 적어도 상기 전방 에지(43)가 전적으로 상기 슬롯(26)위에 지지될 때까지 전진하였을 때, 덮개 스트립(59)이 그 전체길이에 걸쳐 전방 에지(43)상에 결합된 상태가 되게하는 수단(59, 6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탄성 적인 덮개 스트립(59) 자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9. 제 8 항에 있어서, 이완된 상태의 상기 덮개 스트립(59)은 상기 블라인드(31)의 전방에지(43)의 곡률 보다 작은 곡률을 가지고,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전방 에지(43)상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스트립(59)은 전방 에지(43)를 구비한 중앙 영역에서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덮개 스트립(59)의 하나 이상의 단부(63)상에 결합되고, 덮개 스트립(59)의 관련 단부(63)를 전방 에지(43)를 향해 당기는 경향을 가지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인장 부재(6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수단(65)은 그 자체가 스프링 탄성적으로 신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수단(65)에는 하나 이상의 인장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하나 이상의 자석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스트립(59)의 길이는 상기 전방 에지(43)의 길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스트립(59)의 길이는 슬롯(26)의 길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스트립(59)은 상기 슬롯(26)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26)은 상기 유리창(23)으로부터 이격된 하나 이상의 에지(27)에 의해 측방향으로 경계지워지고,
    상기 덮개 스트립(59)은 블라인드(31)가 수축된 상태에서, 적어도 이에지(27)에 걸쳐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31)는 작은 반경으로 감겨질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에는 중공 공간내에 배열된 권취 장치(3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장치(34)는 블라인드(31)의 일 에지가 고정되어 있는 권취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45)는 스프링 장치(46)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장치에 의해 블라인드(31)가 외부로 구동되는 방향 또는 내부로 구동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45)는 전기 모터(47)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모터에 의해 블라인드(31)가 외부로 구동되는 방향 또는 내부로 구동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4. 제 20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46)는 권취 장치(34)상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47)는 상기 권취축(34)상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장치(45)는 하나 이상의 추진 부재(51, 52)를 포함하고,
    상기 추진 부재는 상기 슬롯(27)을 통해 블라인드(31)를 끌어내기 위해 상기 블라인드 재료(31)의 전방 에지상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010021939A 2000-04-25 2001-04-24 슬롯 덮개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KR100797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20212A DE10020212B4 (de) 2000-04-25 2000-04-25 Seitenfensterrollo mit Schlitzabdeckung
DE10020212.8 2000-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822A true KR20010098822A (ko) 2001-11-08
KR100797380B1 KR100797380B1 (ko) 2008-01-24

Family

ID=763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939A KR100797380B1 (ko) 2000-04-25 2001-04-24 슬롯 덮개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47825B2 (ko)
EP (1) EP1149718B1 (ko)
JP (1) JP4707869B2 (ko)
KR (1) KR100797380B1 (ko)
DE (2) DE10020212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8303B2 (en) 2016-10-27 2019-09-10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opera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window glass and door curtai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22384D0 (en) * 1998-10-14 1998-12-09 Gray Nigel J Vehicle security
CN1460263A (zh) * 2001-03-30 2003-12-03 索尼株式会社 记录介质的记录和/或再现装置和数据输出控制方法
US6523880B1 (en) * 2001-06-27 2003-02-25 Maher C. Yako Car window and sunscreen assembly
DE10151872B4 (de) * 2001-10-24 2007-10-04 Bos Gmbh & Co. Kg Geteiltes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DE10203743A1 (de) * 2002-01-31 2003-08-21 Stehle & Soehne Ag J Anordnung einer Antriebseinheit zur Bewegung einer Abdeckung in einem Kraftfahrzeug
FR2839684B1 (fr) * 2002-05-15 2004-06-25 Faurecia Interieur Ind Ecran elastiquement etirable
DE10346190B3 (de) * 2003-10-02 2005-06-23 Bos Gmbh & Co. Kg Rollo mit zweiteiligem Auszugsprofil
DE10354233A1 (de) * 2003-11-19 2005-06-30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Konturteil
DE102004030262B3 (de) * 2004-06-23 2006-04-27 Bos Gmbh & Co. Kg Rollo mit konischer Wickelwelle
US20060082192A1 (en) * 2004-10-05 2006-04-20 Dubay Steven C Window and sun shade module for vehicle
DE202004019785U1 (de) 2004-12-22 2005-03-03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Seiten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JP4560442B2 (ja) * 2005-05-23 2010-10-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開閉装置
FR2888168B1 (fr) * 2005-07-08 2010-12-1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are-soleil motorise
DE102005052618A1 (de) * 2005-11-02 2007-05-03 Bos Gmbh & Co. Kg Heckfensterrollo ohne Restlichtspalt
DE102005057248B4 (de) * 2005-11-29 2010-09-16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Flächenbündig um die Brüstung einer Seitenverkleidung eines Kraftfahrzeuges integriertes Sonnenschutzrollo
DE102006037609A1 (de) * 2006-08-10 2008-02-14 Bos Gmbh & Co. Kg Manuelles Fensterrollo mit automatischem Rückzug
JP4247752B2 (ja) * 2006-08-10 2009-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4247751B2 (ja) 2006-08-10 2009-04-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5412285B2 (ja) * 2006-09-29 2014-02-12 ブローズ 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シーオー. カーゲー, コブルク 車両用ブラインド
FR2910846B1 (fr) * 2006-12-29 2012-05-18 Wagon Sas Dispositif d'occultation guide sur un unique element de structure central, portiere et vehicule correspondants
DE102007011270A1 (de) 2007-03-08 2008-07-03 Audi Ag Sonnenschutzsystem für Kraftfahrzeugseitenfenster
DE102007012281A1 (de) * 2007-03-09 2008-09-11 Bos Gmbh & Co. Kg Automatisch betätigbares Seitenfensterrollo
DE102007016154A1 (de) * 2007-03-21 2008-09-25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anscharniertem Zugstab und rechteckigem Tragstab
DE202007016325U1 (de) * 2007-09-18 2008-02-07 Bos Gmbh & Co. Kg Abdeckeinrichtung für eine verschiebbar gelagerte Fahrzeugscheibe
DE102007045414A1 (de) * 2007-09-21 2009-04-02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Einlaufhilfe
US20120186759A1 (en) * 2011-01-25 2012-07-26 Paul Lin Sunshade Assembly for a Side Window of a Vehicle
CN102381160A (zh) * 2011-08-26 2012-03-21 昆山皇田汽车配件工业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侧窗的遮阳帘
JP2014217722A (ja) * 2013-05-07 2014-11-20 有限会社サイキ 梳き鋏
DE102014211619B4 (de) * 2013-06-28 2019-07-25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n Glasflächenbereich eines Kraftfahrzeugs
DE102015210598A1 (de) 2015-06-10 2016-12-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ichtschut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Lichtschutzvorrichtung
JP6629049B2 (ja) * 2015-11-18 2020-01-1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ェード装置
US10272756B2 (en) * 2016-03-10 2019-04-30 Honda Motor Co., Ltd. Vehicle door assembl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DE102016206301B4 (de) * 2016-04-14 2017-11-30 Bos Gmbh & Co. Kg Beschatt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10661638B2 (en) * 2016-06-24 2020-05-26 Macauto Industrial Co., Ltd Shade arrangement for vehicle
DE102016111658B4 (de) * 2016-06-24 2022-07-21 Macauto Industrial Co., Ltd. Ver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S11472269B1 (en) * 2017-08-29 2022-10-18 Larhonda Quinn Vehicle window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7350B1 (fr) * 1990-09-27 1998-04-03 Farnier & Penin Store articule.
US5089912A (en) * 1990-09-28 1992-0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tractable antiglare shield for exterior rear view mirrors
US5605370A (en) * 1994-02-07 1997-02-25 Ruiz; Carmelo C. Window shade and vehicle window combination
FR2723140B1 (fr) * 1994-07-29 1996-12-06 Farnier Et Penin Snc Store a enrouleur
KR0169637B1 (ko) * 1995-12-28 1999-01-15 김태구 자동차의 차광장치
KR19980064487U (ko) 1997-04-29 1998-11-25 김영귀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
FR2774947B1 (fr) * 1998-02-17 2000-04-14 Wagon Automotive Portiere de vehicule a store integre, et store correspondant
DE19835257C2 (de) * 1998-08-04 2002-06-13 Baumeister & Ostler Gmbh Co Fensterrollo mit versenkbaren Führungselementen
DE29900548U1 (de) * 1999-01-15 1999-04-01 Lin Paul Sonnenschutzvorrichtung
DE10064513B4 (de) * 2000-01-28 2011-07-28 FKT technische Produkte GmbH, 85104 Rollo
DE10005970A1 (de) * 2000-02-09 2001-08-23 Bos Gmbh Seitenfensterrollo
DE10028883B4 (de) * 2000-06-10 2013-01-17 Volkswagen Ag Rolloanordnung für ein Fahrzeugfens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8303B2 (en) 2016-10-27 2019-09-10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operating apparatus and system for window glass and door curt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101488D1 (de) 2004-03-25
EP1149718B1 (de) 2004-02-18
KR100797380B1 (ko) 2008-01-24
EP1149718A2 (de) 2001-10-31
JP2001354033A (ja) 2001-12-25
DE10020212A1 (de) 2001-11-08
DE10020212B4 (de) 2004-02-19
US20010038224A1 (en) 2001-11-08
JP4707869B2 (ja) 2011-06-22
EP1149718A3 (de) 2002-05-02
US6347825B2 (en) 200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380B1 (ko) 슬롯 덮개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US7537039B2 (en) Window blind driven by a window lifter
KR100744958B1 (ko) 자동차의 측면창 롤업 블라인드
JP4713775B2 (ja) 車両窓用日除けブラインドを格納した自動車及びルーフに格納できる車両窓用日除けブラインド
US7717158B2 (en) Side window roll-up shade with cable drive
US5404926A (en) Roller shade for non-rectangular openings
JP4290359B2 (ja) 窓ブラインド
US20080034667A1 (en) Manual window blind with automatic retraction
KR100876847B1 (ko) 차량용 분할 차창 차양장치
KR20010078789A (ko) 후방 창의 롤-업식 블라인드
JP3013910B2 (ja) サンバイザ
JP2004136881A (ja) 自動車用ウィンドウシェード
CN110191817B (zh) 具有由绳索操纵的翻盖的防晒卷帘
US6061963A (en) Window regulator mechanism
KR20070001837A (ko) 구동 요소 상에 포지티브 엔드 정지부를 갖춘 차량용윈도우 차양막
US20120145339A1 (en) Vehicular shade assembly
JP2001055046A (ja) 車輌用開口部の遮蔽装置
CN110733317A (zh) 卷帘组件
US3209412A (en) Sliding window arrangement
KR20080112117A (ko) 측면 윈도우용 전기 롤업 쉐이드
JP4166518B2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装置
KR0169637B1 (ko) 자동차의 차광장치
US20120097348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