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487U -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487U
KR19980064487U KR2019970009176U KR19970009176U KR19980064487U KR 19980064487 U KR19980064487 U KR 19980064487U KR 2019970009176 U KR2019970009176 U KR 2019970009176U KR 19970009176 U KR19970009176 U KR 19970009176U KR 19980064487 U KR19980064487 U KR 199800644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de glass
sunshade
improve
th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1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학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91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487U/ko
Publication of KR19980064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487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사이드 도어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트림의 상부 내측에 운전자가 임의로 외부 상, 하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차양장치를 구성하여 주어,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또한, 외부에서 차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도난 예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통상적으로 상기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도어를 열어 도난을 취하는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차량 전체의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차량의 상품성과 품질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더불어, 사용자의 신뢰도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 도어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트림의 상부 내측에 운전자가 임의로 외부 상, 하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차양장치를 구성하여 주어,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또한, 외부에서 차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도난 예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통상적으로 상기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도어를 열어 도난을 취하는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차량 전체의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차량의 상품성과 품질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더불어, 사용자의 신뢰도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이드 도어 상에 구비되어 사이드 글래스는 태양으로부터 전달되는 뜨거운 열기와 자외선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어떠한 대응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은 단순한 재질의 투명유리로 제작되어 있어, 낮 시간에 운행을 할 경우에는 다량의 자외선과 뜨거운 열기를 실내로 직접 유입시키므로 운전자에게 상당한 불편을 초래시켰음을 물론이고, 장기간 운전시 운전자의 얼굴과 목 그리고 손과 같은 피부에 경미한 화상을 초래시키는 등의 문제까지 야기시켰다.
그러므로, 일부 운전자들은 불법화되어 있다는 것을 인지하면서도 사이드 글래스 내측에 자외선과 열기의 차단을 이룰 수 있는 고단가의 썬팅 처리를 하여 운행을 하고도 있으나, 이는 사이드 글래스 자체의 투명성을 크게 저하시켜 운행시 운전자가 좌, 우 후방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없도록 하여 대형 사고를 초래토록 하는 비안전한 문제를 야기시켰음은 물론이고, 운행시 범침금을 물게 되는 등의 수모와 불이익을 수반토록 하는 문제를 야기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또한, 외부에서 차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도난 예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통상적으로 상기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도어를 열어 도난을 취하는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로 하는 기능 등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차량 전체의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차량의 상품성과 품질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더불어, 사용자의 신뢰도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이드 도어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트림의 상부 내측에 운전자기 임의로 외부 상, 하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차양장치를 구성하여 주어 달성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인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의 실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인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의 실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차양장치102:차양막
104:권취바106:걸림바
108:사이드 도어110:사이드 글래스
112:도어 트림114:관통공
116:톱 실링부118:고리
이하,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와 동일 구성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여기서는 본 고안의 특징만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도어(108)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트림(112)의 상부 내측에 운전자가 임의로 외부 상, 하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108)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11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차양장치(10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차양장치(100)는 일측은 상기 도어 트림(112) 상부에 일정길이 만큼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14) 내측으로 삽입되어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되, 상기 사이드 도어(108)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차체의 톱 실링부(116)에 길이 방향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고리(118)에 걸림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걸림바(106)와 연결되어 있고, 타일측은 일측이 상기 도어 트림(112)의 상부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되, 회동 후에는 항시 원위치로 자연 복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권취바(104)에 일정길이 말려져 있는 차양막(10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도어(108)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트림(112)의 상부 내측에 운전자가 임의로 외부 상, 하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108)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11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차양장치(100)를 구성하여 주어,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108)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11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또한, 외부에서 차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도난 예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통상적으로 상기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도어를 열어 도난을 취하는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러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사이드 도어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트림의 상부 내측에 운전자가 임의로 외부 상, 하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차양장치를 구성하여 주어,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또한, 외부에서 차내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도난 예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욱이 통상적으로 상기 사이드 글래스를 통해 도어를 열어 도난을 취하는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차량 전체의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차량의 상품성과 품질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더불어, 사용자의 신뢰도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사이드 도어(108) 내측에 형성되는 도어 트림(112)의 상부 내측에 운전자가 임의로 외부 상, 하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운행시 필요에 따라 사이드 도어(108) 상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글래스(110)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볕의 차단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차양장치(10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장치(100)는 일측은 상기 도어 트림(112) 상부에 일정길이 만큼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14) 내측으로 삽입되어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되, 상기 사이드 도어(108)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차체의 톱 실링부(116)에 길이 방향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고리(118)에 걸림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걸림바(106)와 연결되어 있고, 타일측은 일측이 상기 도어 트림(112)의 상부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되, 회동 후에는 항시 원위치로 자연 복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권취바(104)에 일정길이 말려져 있는 차양막(10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
KR2019970009176U 1997-04-29 1997-04-29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 KR199800644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176U KR19980064487U (ko) 1997-04-29 1997-04-29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176U KR19980064487U (ko) 1997-04-29 1997-04-29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487U true KR19980064487U (ko) 1998-11-25

Family

ID=6968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176U KR19980064487U (ko) 1997-04-29 1997-04-29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44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380B1 (ko) 2000-04-25 2008-01-24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슬롯 덮개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380B1 (ko) 2000-04-25 2008-01-24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슬롯 덮개를 구비한 측면 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4487U (ko) 자동차용 사이드 글래스 차양장치
US20030214147A1 (en) Dual purpose vehicle shade
KR0167095B1 (ko) 액정을 이용한 자동차의 글라스
KR940007458Y1 (ko) 자동차용 백미러
KR200146799Y1 (ko) 자동차 원도우의 차양장치
KR200271133Y1 (ko) 차량용 햇빛 차단장치
KR19980028819U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0146800Y1 (ko) 자동차 윈도우의 차양장치
KR200359893Y1 (ko) 자동차용 착탈식 보조 햇빛가리개
KR890006993Y1 (ko) 자동차용 창유리
KR200163203Y1 (ko) 자동차용접이식선글라스
KR100212186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조립체
KR200154053Y1 (ko) 자동차의 반투명 선바이저
KR19980039512U (ko) 차양장치가 내장된 도어트림
KR970006830Y1 (ko) 자동차도어의 차양판장치
KR19990010801A (ko)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의 회전수단
KR0129423B1 (ko) 차량의 후진시 후방시계 확보용 미러
KR19990033653U (ko) 자동차용버티칼햇빛가리개
KR19980062264A (ko) 자동차의 룸선바이저구조
JPH1029428A (ja) ダブル・パワーウインド式日除け
JPH075836U (ja) 半透明式日除け板
KR970035047A (ko) 자동차의 햇빛차단구조
KR980007195U (ko) 자동차용 보조 도어글래스
KR19980041713U (ko) 자동차의 햇빛가리개구조
KR970034907A (ko) 자동차 필라에 내장한 차양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