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8752A -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반창고 및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반창고 및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752A
KR20010098752A KR1020010021168A KR20010021168A KR20010098752A KR 20010098752 A KR20010098752 A KR 20010098752A KR 1020010021168 A KR1020010021168 A KR 1020010021168A KR 20010021168 A KR20010021168 A KR 20010021168A KR 20010098752 A KR20010098752 A KR 20010098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tape
base film
medical adhesive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노시타다카시
하마다아츠시
와타나베데츠오
시라이후미야
후루모리겐지
Original Assignee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마이 고로
Publication of KR2001009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75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10T428/31917Next to polyene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4Including polyene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1Polyene monomer-cont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형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층 A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된 층 B를 적층시킴으로써 수득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감압성 접착제 층이 구비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에 감압성 접착제 층이 구비된 상기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감아서 수득된 반창고; 및 베이스 필름에 감압성 접착제 층이 구비되고,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의 중심 영역내에 액체-흡수성 패드가 위치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가 기술되고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반창고 및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BASE FILM FOR MEDICAL ADHESIVE TAPE, AND MEDICAL ADHESIVE TAPE, ADHESIVE PLASTER AND FIRST-AID ADHESIVE TAPE PRODUCED USING THE FILM}
본 발명은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을 각각 사용하여 제조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반창고 및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예컨대 롤 반창고,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 습포제, 드레싱 또는 상처 보호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의료용 접착 테이프, 구체적으로는 피부 자극에 민감한 성인, 유아 또는 환자에게 사용하기 적합한 의료용 접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주로 구성되고 캘린더링 방법 또는 캐스팅 방법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필름이, 통상적으로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 및 롤 반창고와 같은 의료용 접착 테이프에 사용하는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주로 구성된 필름은 장력하에 있는 경우 초기 단계에서 높은 응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쉽게 완화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필름으로 구성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가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 인장 응력은 적용 후 점차 완화되어서 결국 피부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킨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서 사용되는 프탈산 액체 가소화제 및 상기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안에 함유된 염소에 의해 야기되는 환경 오염에 비추어 볼 때, 상기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사용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되어 왔다. 또한,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 첨가된 다량의 액체 가소화제는 감압성 접착제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감압성 접착제 층의 점착력이 저하되며, 소위 접착제 잔류물 및 감압성 접착력의 손상과 같은 문제점을 초래한다.
가요성 및 연신성 모두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대체물로서 의학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대체물의 예로는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α-올레핀계 수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판계 수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포함된다. 게다가, 기재 베이스 물질 위에 적층된 감압성 접착제를 갖되 이러한 상기 수지중에서 개질제로서 상이한 종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혼입시킴으로써 가요성 및 강도를 부여하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가 현재 연구되고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 상황에서, 이러한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사용하여 제조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는, 내열성, 인장 강도, 가요성 또는 응력 완화율의 측면에서 고루 균형을 이룬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으로 구성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의 수준까지는 미처 도달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 강도, 가요성 및 응력 완화율의 측면에서 고루 균형을 갖춘 특성을 갖는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에 대해 대체가능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신규한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면밀히 연구한 결과, 기재 베이스 물질로서 무정형 폴리올레핀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다층 필름이, 인장 강도, 가요성 및 응력 완화율의 측면에서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특성에 근접하다라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이러한 필름에서, 상기 필름 안에 함유되어 가요성을 부여하는 저분자량의 물질이 스며나오는 것이 억제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은 무정형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층 A의 적어도 일면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된 층 B를 적층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은 2개 이상의 층, 즉 무정형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필름(층 A)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된 다른 필름(층 B)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층 B를 층 A의 양면에 적층시켜 형성된 베이스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의 베이스 층(층 A)은 주로 무정형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무정형 폴리올레핀중에 무기 충전제 및 고분자량의 가소화제를 혼입시켜서 제조된다.
무정형 폴리올레핀의 예로는 JP-A-4-224809 호(본원에 사용된 "JP-A"라는 용어는 "미심사 공개된 일본 특허출원"을 의미한다)에서 개시된 방법 또는 JP-B-6-89071 호(본원에 사용된 "JP-B"라는 용어는 "심사 공개된 일본 특허출원"을 의미한다)에서 개시된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것들이 포함된다. 이의 특정 예로는 촉매의 존재하에서 프로필렌을 단독으로 혼성배열 중합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올레핀, 및 프로필렌을 α-올레핀(이는 프로필렌 이외의 올레핀으로서 탄소원자 2 내지 10개를 갖는다)과 공중합시켜서 상기 단량체들을 랜덤하게 배열시킴으로써 수득된 폴리올레핀이 포함된다. 후자의 경우, 단량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 함량을 갖고 단량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50 중량%보다 적은 C2-10α-올레핀 함량을 갖는 무정형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다.
α-올레핀의 예로는 쇄 α-올레핀(예: 에틸렌, 부텐-1, 펜텐-1, 헥센-1, 옥텐-1, 노넨-1, 데센-1, 4-메틸펜텐-1, 4-메틸헥센-1 및 4,4-디메틸펜텐-1) 및 사이클릭 α-올레핀(예: 사이클로펜텐 및 사이클로헥센)이 포함된다. 이들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무정형 프로필렌 중합체, 및 에틸렌 및/또는 부텐-1 및 프로필렌의 무정형 공중합체, 즉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부텐-1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 부텐-1 및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무정형 폴리올레핀"이라는 용어는 무정형 폴리올레핀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이점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낮은 결정도를 갖는 폴리올레핀을 의미한다.
무정형 폴리올레핀으로서, 1,000 내지 28,000의 수 평균 분자량,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25,000의 수 평균 분자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000의 수 평균 분자량, 및 190 ℃에서 100 내지 100,000 mPa·S의 비교적 낮은 용융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정형 또는 낮은 결정도의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면, 통상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비해서 매우 감소된 결정질 부분으로도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의 응력 완화율 및 가요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정질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필요에 따라 혼합되어서 물성(예컨대, 탄성 또는 신장도의 모듈러스)을 조정할 수 있다. 수지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무정형 (낮은 결정도의) 폴리올레핀의 혼합율을 5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총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미만의 무정형 (낮은 결정도의) 폴리올레핀 양에서, 이로부터 수득가능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은 가요성이 손상되는 경향을 가지고 본 발명의 사용 목적에 적합하지 않는 것이다.
가소화된 필름의 특성을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에 부여하기 위해, 혼합되는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으로서 0.890 g/㎤ 이상, 바람직하게는 0.895 g/㎤ 이상의 밀도를 갖는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정형 (낮은 결정도의) 폴리올레핀 또는 결정질 폴리프로필렌으로서, 개질된 폴리올레핀이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하다. 개질된 폴리올레핀의 예로는 전술한 무정형 (낮은 결정도의) 폴리올레핀 또는 결정질 폴리올레핀을 불포화 카복실산(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또는 이타콘산) 또는 에스테르, 산 무수물, 또는 이의 금속 염, 또는 이의 유도체로 개질시켜서 수득가능한 것들이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층 A의 총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75 중량%의 무기 충전제가 층 A내에 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통상적으로 필름에 첨가되는 것이라면, 이에 대한 어떠한 구체적인 한정이 없을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운모, 활석, 칼슘 실리케이트, 실리카, 카올린, 유리 섬유 및 점토와 같은 규산 화합물이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제올라이트 및 활석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데, 이는 이들이 층 A로서 다른 규산 화합물에 비해서 필름의 강직성은 증가시키지 않고 응력 완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제올라이트는 천연이거나 합성인 것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다. 천연 제올라이트의 예로는 모르데나이트, 에리오나이트, 클리놉틸로라이트 및 차바자이트가 있으며, 합성 제올라이트의 예로는 제올라이트 A, 제올라이트 X, 제올라이트 Y, 제올라이트 L 및 오메가 제올라이트가 있다. 상기 예시된 제올라이트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혼합물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 충전제의 입경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을지라도, 0.01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5 ㎛의 평균 입경을 갖는 무기 충전제가 요구된다. 150 ㎛를 초과하는 평균 입경을 갖는 무기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데, 이는 분산의 결함을 초래하고, 이렇게 수득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에서는 소위 피쉬-아이(fish-eye) 현상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층 A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추가로 함유한다. 층 A의 하나의 성분으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첨가하면, 무기 충전제과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사이의 혼화성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렇게 수득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의 내충격성, 연신성, 가요성 및 투명성의 측면에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분명한 항복점을 갖지 않는 낮은 결정도의 엘라스토머, 및 분명한 융점이나 분명한 항복점을 동시에 갖지 않는 무정형 엘라스토머가 사용되되, 상기 모든 엘라스토머는 보통의 온도에서 고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및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가 포함된다.
스티렌계 엘레스토머의 예로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이의 수소화된 생성물,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BS), 수소화된 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SEBS), 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이의 수소화된 생성물, 수소화된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SEPS), 수소화된 스티렌-비닐 이소프렌 공중합체(V-SEP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IS), 수소화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SEPS) 및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올레핀 결정 블록 공중합체(SEBC)가 포함된다.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예로는 무정형 또는 낮은 결정도의 폴리올레핀/α-올레핀 공중합체,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수지와 올레핀계 고무의 혼합물, 폴리올레핀 수지와 일부-가교결합된 올레핀계 고무의 혼합물 및 폴리올레핀 수지와 완전-가교결합된 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있으며,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의 예로는 폴리아미드-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폴리에테르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층 A의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3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로 첨가된다.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층 A의 총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된 필름(층 B)은 이러한 층 A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다. 이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호모폴리프로필렌 (homopolypropylene)이 사용가능하지만, 프로필렌으로 주로 구성된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모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는 경우, 생성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은 증가된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 경향이 있다.
공중합체로서, 프로필렌과 공중합가능한 어떠한 것도 사용될 수 있지만, 적절한 가요성을 얻기 위해서는 에틸렌-함유 랜덤 폴리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층 B는 전술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층 B의 수지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3 내지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다른 첨가제를 함유하는 층 B의 총량을 기준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10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의료용 첨가제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층 B를 층 A의 일면에 적층시켜서 수득된 2층 필름, 또는 층 B를 층 A의 양면에 적층시켜서 수득된 3층 필름으로서 제공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층 B를 층 A의 노출된 표면들중 하나의 면에 적층시킨 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거나 이를 함유하지 않는 층 B를 층 A의 노출된 표면들중 다른 하나의 면에 적층시켜서 수득된 3층 구조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물을 갖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은 내열성, 인장 강도, 가요성 또는 응력 완화율의 측면에서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에 근접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베이스 필름 및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은 또한 이 위에 감압성 접착제 층이 적층되는 경우 적용시의 특성 측면에서 유사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층 B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지 않는 층 B라도 이를 층A의 2개의 면중 일면에만 적층시키면, 내열성, 인장 강도, 가요성 또는 응력 완화율의 측면에서 어느 정도로 개선되리라는 것이라는 것은 두말할 것 없이 당연한 것이다.
열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광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핵생성제, 난연제 및/또는 안료와 같이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도 물론 층 A 및/또는 층 B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되고 그 안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혼입되거나/되지 않은 층 B (필름)은, 무정형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고 무기 충전제를 갖고 그 안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선택적으로 혼입된 층 A (필름) 위에 적층된다. 적층시킴에 따라, 각각의 층의 성분들은 혼합되고, 이어서 통상 펠릿 또는 덩어리의 형태로 제공된 후, 적층 필름으로 가공된다.
혼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다. 이렇게 공급된 성분을 가열하고, 용융시키고, 통상 사용하는 잘 공지된 혼합기, 예컨대 반죽기, 롤 혼합기 또는 밴버리(Banbury) 혼합기내에서, 또는 일축 압출기 또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반죽한 후, 생성된 덩어리를 펠릿화시킨다.
이렇게 수득된 펠릿으로부터 층 A 및 층 B로 구성된 적층 필름이 형성된다.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다. 통상 공지된 T-다이(T-die) 방법, 팽창 방법, 캘린더링 방법 또는 롤링 방법에 의해, 펠릿은 목적하는 두께를 갖는 적층 필름으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층 성분은 반죽되고, 펠릿화 단계 없이 연속적이고 건조하게 필름으로 블렌딩된다.
적층 필름은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잘 공지된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데, 이는 즉 층 B를 층 A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시키거나 또는 2 또는 3개의 층을 동시압출시켜서 수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층 A는 1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의 두께를 갖도록 조정되며, 층 B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지에 관계없이 2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의 두께를 갖도록 조정된다. 층 A의 두께가 10 ㎛ 미만인 경우, 본 발명에 의해 허용가능한 이점중 하나인 응력 완화율은 늘 완벽하게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반면, 층 A의 두께가 100 ㎛를 초과하는 경우, 생성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은 너무 딱딱해져 가요성이 불량하게 되어서 적용시 물리적 불일치감을 초래할 수 있다.
층 B의 두께가 2 ㎛ 미만인 경우, 층 A에 사용된 수지의 저분자량 물질이 표면으로 스며나올 것이다. 반면, 층 B의 두께가 20 ㎛를 초과하는 경우, 탄성 모듈러스가 너무 높아져서 적용시 물리적 불일치감을 초래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감압층이 형성된다. 감압성 접착제 층은 층 A 또는 층 B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층 B는 층 A에 함유된 저분자량 물질의 블리드-쓰루 또는 고착력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용시 물리적 불일치감을 감소시키거나 고착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함유 층 B의 표면에 감압성 접착제 층을 형성시키는 것이며, 이로 인해 생성된 베이스 필름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에 의해 얻는 것에 더욱 근접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감압성 접착제 층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 위에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인, 간접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예로는, 감압성 접착제 층이 형성되는 표면을 엠보싱 처리하여서 베이스 필름과의 고착력을 개선시키거나, 또는 통상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하도제를 사용하여 코로나 방전 처리하거나 예비처리하는 것이 있다.
감압성 접착제 층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다. 의료용 감압성 접착제로서 통상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아크릴릭 감압성 접착제,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 및 실리콘계 감압성 접착제가 포함된다.
아크릴릭 감압성 접착제의 예로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개의 탄소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총량을 기준으로 주요 단량체로서 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 중량%의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이와 공중합가능한 기타 단량체와 공중합시켜 수득할 수 있는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부틸, 헥실, 옥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라우릴 및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포함된다. 이들의 에스테르 쇄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기타 단량체의 예로는 작용성 단량체, 예컨대 카복실 그룹-함유 불포화 단량체(예: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및 크로톤산),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예: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이의 유도체(예: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디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예: N-부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에톡시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알킬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예: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산-아미도 그룹-함유 불포화 단량체(예: N-비닐 피롤리돈)이 포함된다. 이들 작용성 단량체와 더불어,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또는 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비작용성 단량체도 또한 공중합반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의 예로는 점착제 수지(예: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쿠마론-인덴계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또는 석유계 수지)를 주요 중합체(예: 천연 고무, 폴리이수부틸렌, 폴리이소프렌, 폴리부텐,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중에 혼입시킴으로써 수득된 접착제가 포함된다. 전술한 조성물을 갖는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는 또한 필요에 따라 연화제(예: 액체 폴리부텐, 광유, 라놀린, 액체 이소프렌 또는 지방산 에스테르), 충전제(예: 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 및/또는 산화방지제(예: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전술한 아크릴릭 감압성 접착제중에 혼합될지라도 어떠한 해도 끼치지 않는다. 아크릴릭 갑압성 접착제에 연화제가 첨가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다작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다작용성 에폭시 화합물 또는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로 가교결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계 감압성 접착제의 예로는 주로 디메틸 폴리실록산으로 구성된 것이포함된다.
이러한 감압성 접착제로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의 두께를 갖는다. 두께가 10 ㎛ 미만인 경우,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고정 특성이 늘 충분하게 허용가능한 것은 아니다. 반면, 120 ㎛를 초과하는 두께는 아마도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피부로부터 벗겨냄에 따라 자극을 초래하는데, 이는 너무도 강한 접착력 때문이다. 또한, 과도한 두께의 접착제는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며, 이 때문에 불리하다. 전술한 감압성 접착제는 통상 공지된 방법에 따라 베이스 필름에 적용되며, 이로 인해 감압성 접착제 층이 형성된다.
이렇게 수득된 본 발명의 의료용 접착 테이프는 감아서 롤 반창고(수술용 테이프) 또는 드레싱으로서 사용된다.
다르게는, 이는 적절한 크기의 조각으로 절단되고, 감압성 접착제 층의 표면의 중심 영역에서, 액체-흡수성 패드가 구비된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액체-흡수성 패드로서, 통상 공지된 패드, 예컨대 거즈, 직물 패브릭, 부직 패브릭, 흡수성 면과 부직 패브릭의 복합물, 및 흡수성 면과 니트의 복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의 크기는 목적하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의료용 접착 테이프의 감압성 접착제 층의 2 내지 3 ㎜가 액체-흡수성 패드 주위에 노출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의 감압성 접착제 층의 표면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할 때까지 분리기로 덮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경우, 실리콘계 이형제를 사용하는 분리기가 바람직한데, 이는 오르가노실록산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층과의 이형성을 개선시키기 때문이다.
이렇게 수득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는 탁월한 가요성 및 응력 완화율을 갖지만, 이를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물리적 불일치감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의료용 접착 테이프가 장시간 동안 피부 표면에 적용되는 경우 피부 표면이 점점 갑갑해져서, 결국은 자극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의료용 접착 테이프의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의 범위내에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 및 감압성 접착제 층 모두를 천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천공 처리하면, 사용시 본 발명의 롤 반창고를 손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천공 처리는 천공 롤을 사용하거나, 또는 펀칭하거나 레이저에 노출시킴으로써 가능하다. 구멍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3 ㎜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며, 여기서 "부"라는 명칭은 "중량부"를 의미하고, "%"는 "중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수지 펠릿의 제조예>
층 A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지로서 무정형 폴리올레핀 수지, 무기 충전제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하기 표 1에 명시된 바와 같은 양으로 충전하고 5 내지 10 분 동안 200 ℃의 반죽기내에서 반죽함으로써 수지 펠릿 A를 제조하였다. 층 B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지로서 랜덤 폴리프로필렌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하기 표 2에 명시된 바와 같은 양으로 충전하고 5 내지 10 분 동안 200 ℃의 반죽기내에서 반죽함으로써 수지 펠릿 B를 제조하였다.
<필름의 제조예>
실시예의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을 공지된 T-다이 방법에 따라 3층 압출기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시, 압출기의 실린더의 온도를 수지의 종류에 따라 150 내지 240 ℃내에 속하도록 조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의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은, 예정된 두께 비율을 갖도록 조성물 각각을 압출시키고 필름이 80 ㎛의 총 두께를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수득하였다. 생성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의 모든 면을 압출시킨 후 냉각시키기 전에 압력하에서 엠보싱 롤과 정확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엠보싱 처리하였다.
필름 두께
실시예 1 내지 4: 층 B/층 A/층 B = 1/10/1 = 총 80 ㎛.
실시예 5 및 6: 층 A/층 B = 10/1 = 총 80 ㎛.
비교예 1 내지 4: 80 ㎛의 두께를 갖는 단층.
<감압성 접착제의 제조예>
(감압성 접착제-1)
중합반응용 용매로서 사용된 에틸 아세테이트중에서,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95 중량부를 아크릴산 5 중량부와 공중합시켜서 35 %의 고체 농도를 갖는 감압성 접착제 용액을 수득하였다.
(감압성 접착제-2)
상기 수득된 감압성 접착제-1 100 중량부, 가소화제로서의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70 중량부 및 외부 가교결합제로서의 삼작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2 중량부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킨 후 첨가하여서 30 %의 고체 농도를 갖는 감압성 접착제 용액을 수득하였다.
<의료용 접착 테이프의 제조예>
실리콘 수지로 처리하여 이형성을 부여하는 일면을 갖는 분리기 위에서, 상기 수득된 감압성 접착제 용액을 적용한 후, 건조시켜 약 50 ㎛의 건조 두께를 수득함으로써 감압성 접착제 층을 수득하였다. 이어, 상기 생성된 감압성 접착제 층을 실시예 1 내지 6에서 각각 수득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 위로 이동시켜 그 위에 적층시켜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수득하였다.
<평가 시험>
이렇게 제조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 및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하기 기술되는 항목과 관련된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샘플로서, 20 ㎜의 폭 및 40 ㎜의 길이의 크기로 절단된 필름을 사용하였다. 하기 기술되는 항목들을 20㎜의 척(chuck)간 거리, 23 ± 2 ℃의 온도 및 65 ± 15 %의 상대 습도의 조건하에서 장력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단, 적용 시험은 제외됨). 표 2에 제시된 비교예의 단층 베이스 필름에 대해서 동일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초기 응력)
베이스 필름 각각을 300 ㎜/분의 속도로 잡아당겨 연신시켜서 변형-응력 곡선을 결정하였다. 이런 변형-응력 곡선으로부터, 초기 응력(N/20 ㎜)을 밝혀냈다.
(응력 완화율)
장력 시험을 초기 응력의 시험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장 응력의 값의 변화는 필름 각각이 10 %의 신장도를 나타낼 때까지 연신시킴으로써 측정하고, 응력 완화율(%)을 하기 수학식 1으로부터 측정하였다:
상기 식에서,
초기 인장 응력은 잡아당기기 시작한 후 10 %의 신장도를 나타낼 때까지의 최대 인장 응력을 의미한다.
(1/2-응력 기간)
장력 시험을 초기 응력 시험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하고, 각각의 필름을 10 %의 신장도로 연신시켰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장 응력의 값의 변화를 측정하여서 응력 완화율 곡선을 결정하였다. 이런 곡선으로부터, 인장 응력이 초기 인장응력의 1/2로 감소되는데 필요한 시간(초)을 측정하였다. 이들 베이스 필름의 특성들을 수거하여 표 3에 제시한다.
(피부 적용시 의료용 접착 테이프의 특성)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 내지 4의 베이스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각각을 5 ㎝ × 5 ㎝의 조각으로 절단하고, 8 시간 동안 10명의 보통 지원자의 팔꿈치(굽은 부분)에 적용하였다. 적용시 느낌 및 피부에 대한 접착력을 5단계 시스템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4에 제시한다. 표 4에서, 10명의 지원자의 평균점을 제시한다.
(관의 고정)
실시예 1, 4, 5 및 6 및 비교예 1의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수술용 테이프 각각을 12 ㎜ × 60 ㎜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5 ㎜의 외부 직경을 갖는 실리콘 관을 U형으로 구부리고, 생성된 수술용 테이프를 10명의 보통 지원자의 팔뚝 안쪽에 고정시켰다. 테이프의 고정성을 상기 테이프가 관의 복원력에 의해 이형될 때까지 시간(분)마다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5에 제시한다.
(피부 적용시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의 특성)
실시예 1, 2 및 4 및 비교예 2 내지 4의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을 각각 사용하여 제조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19 ㎜ × 72 ㎜의 조각으로 절단하였다. 12 ㎜ × 20 ㎜의 거즈 패드를 의료용 접착 테이프의 감압성 접착제의 표면의 중심 영역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수득된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를 10명의 보통 지원자에게 6 시간 동안 손가락의 2번째 관절 주위를 감싸도록 하고, 8 시간 동안 이를 그들의 팔뚝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적용시 느낌, 피부에 대한 접착력 및 피부 자극을 5단계 시스템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6에 제시한다. 표 6에 제시된 숫자는 10명의 지원자의 평균점이다.
<평가 결과>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 각각이 통상의 폴리에틸렌 필름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초기 응력을 갖지만, 실제 사용시 문제를 초래할 만큼 높지는 않고; 응력 완화율이 통상의 폴리에틸렌 필름에서보다 낮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에서와 거의 유사하며; 1/2-응력 시간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에서보다 단축되지는 않지만 통상의 폴리에틸렌 필름에서보다 단축된 것으로 밝혀졌다.
표 4 및 6으로부터, 본 발명의 베이스 필름을 사용하여 수득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각각이 적용, 피부 접착 및 피부 자극시 느낌 측면에서 통상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보다 월등히 우수하며, 그들의 성능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생각된다.
표 5로부터, 감압성 접착제 층이 무정형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층 A 위에 직접 적층되는 경우, 임의의 감압성 접착제로부터의 고착력 붕괴가 관찰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결국 높은 복원력을 갖는 관을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의료용 접착 테이프가 형성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것이다(실시예 5 및 비교예 1).
반면, 표 5로부터, 감압성 접착제 층이 층 B 위에 적층되는 경우, 어떠한 고착력 붕괴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복원력을 갖는 관이 충분히 고정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베이스 필름의 특성의 시험 결과
베이스 필름 초기 응력(N/20 ㎜) 응력 완화율(%) 1/2-응력 시간(s)
실시예 1 13.8 36 16
실시예 2 13.6 39 29
실시예 3 11.7 35 14
실시예 4 13.0 36 16
비교예 2 11.9 67 500 이상
비교예 3 7.5 65 500 이상
비교예 4 8.5 17 2
적용시 의료용 접착 테이프의 시험 결과
베이스 필름 감압성 접착제 적용시 느낌 피부 접착력
실시예 1 1 4.5 4.2
실시예 2 1 4.4 4.6
실시예 3 1 4.8 4.7
실시예 4 1 4.6 4.5
비교예 2 1 3.7 4.1
비교예 3 1 3.5 4.3
비교예 4 1 4.7 3.5
평가 : 5(탁월함) ; 4 - 3(보통) ; 2 - 1(불량함)
관 고정의 시험 결과
베이스 필름 감압성 접착제 고정
실시예 1 2 180 분 이상
실시예 4 2 180 분 이상
실시예 5 2 *
실시예 6 2 180 분 이상
비교예 1 2 *
* : 감압성 접착제의 고착력이 시험중에 붕괴되었다.
적용시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의 시험 결과
베이스 필름 감압성 접착제 적용시 느낌 피부 접착력 피부 자극
손가락 팔뚝 손가락 팔뚝 팔뚝
실시예 1 1 4.2 4.3 4.5 4.7 4.3
실시예 2 1 4.5 4.7 4.3 4.3 4.0
실시예 4 1 4.7 4.8 4.2 4.6 4.3
비교예 2 1 3.8 4.1 3.8 4.5 3.9
비교예 3 1 3.7 4.3 4.1 4.2 3.5
비교예 4 1 4.5 4.8 4.5 4.7 4.1
평가 : 5(탁월함) ; 4 - 3(보통) ; 2 - 1(불량함)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은, 무정형 폴리올레핀으로 제조된 층 A중 적어도 일면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제조된 층 B를 적층시킴으로써, 통상의 폴리올레핀 필름에 비해 인장 강도, 가요성 및 응력 완화율 측면에서 잘 균형잡히고 이의 특성이 오히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에 근접하도록 수득된다.
층 A 위에 적층될 층 B내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혼입시킴으로써,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의 특성, 예컨대 인장 강도, 가요성 및 응력 완화율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에 더욱 근접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층 B를 층 A의 양면에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용시 더욱 개선된 성능을 나타내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2개의 층 B들중 하나중에 혼입시킴으로써 수득가능하다. 감압성 접착제 층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함유 층 B 위에 형성시키면, 고착력의 붕괴의 발생 빈도가 감소되고, 저분자량 물질이 스며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물질이 층 A로부터 감압성 접착제 층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이의 특정 양태를 참고하여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이의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가능하다는 것이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에 대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베이스 필름 대체물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을 사용하면, 의료용으로 적합한 의료용 접착 테이프, 예컨대 탁월한 인장 강도, 가요성 및 응력 완화율을 갖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으로 제조된 것에 비해 열등하지 않은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 및 반창고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8)

  1. 무정형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층 A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된 층 B를 적층시킴으로써 수득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B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층 B중 하나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상기 층 B중 다른 하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지 않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형 폴리올레핀이 무정형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 및/또는 부텐-1 및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중 하나 이상인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A가 결정질 폴리올레핀을 추가로 함유하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A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무기 충전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인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및/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인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B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에틸렌-함유 랜덤 폴리프로필렌인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B의 노출된 표면이 엠보싱 처리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A가 10 내지 100 ㎛의 두께를 갖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 B가 2 내지 20 ㎛의 두께를 갖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13.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감압성 접착제 층이 구비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로서, 상기 베이스 필름이 무정형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층 A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된 층 B를 적층시킴으로써 수득되고,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이 상기 층 B 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층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층 B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이 상기 층 B 위에 적층되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이 10 내지 120 ㎛의 두께를 갖는 의료용 접착 테이프.
  17.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감압성 접착제 층이 구비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감아서 수득된 반창고로서, 상기 베이스 필름이 무정형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층 A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된 층 B를 적층시킴으로써 수득되고,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이 상기 층 B 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층된 반창고.
  18. 베이스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감압성 접착제 층이 구비되고,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의 중심 영역에 액체-흡수성 패드가 위치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로서, 상기 베이스 필름이 무정형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된 층 A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된 층 B를 적층시킴으로써 수득되고, 상기 감압성 접착제 층이 상기 층 B 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층된 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
KR1020010021168A 2000-04-20 2001-04-19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반창고 및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 KR200100987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9987 2000-04-20
JP2000119987 2000-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752A true KR20010098752A (ko) 2001-11-08

Family

ID=1863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168A KR20010098752A (ko) 2000-04-20 2001-04-19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반창고 및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26958B2 (ko)
EP (1) EP1147780A3 (ko)
KR (1) KR20010098752A (ko)
CA (1) CA23441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91B1 (ko) * 2006-10-25 2008-05-27 주식회사 영 창 이중지대용지 및 이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60565B1 (en) * 2001-05-11 2006-03-29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fixing a joint por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50037047A1 (en) * 2003-08-11 2005-02-17 Young-Ho Song Medical devices comprising spray dried microparticles
JP4825508B2 (ja) * 2005-12-14 2011-11-30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用支持基材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047558A (ja) * 2006-08-10 2008-02-28 Nitto Denko Corp 反り抑制ウエハ研削用粘着シート
TWI491369B (zh) * 2008-03-05 2015-07-11 Kenji Nakamura Mask
JP5288862B2 (ja) * 2008-04-07 2013-09-1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09286707A (ja) * 2008-05-27 2009-12-10 Nitto Denko Corp 医療材料又は衛生材料用のゲル組成物、その成形体及びそれを用いた貼付材もしくは貼付製剤
CA2942132A1 (en) 2014-03-05 2015-09-11 Phinergy Ltd. Pit stop for and method of replacement of electrolyte
CN105878563A (zh) * 2016-04-28 2016-08-24 邱清泉 一种治疗关节痹症的药饼及其制备方法
CN106038064A (zh) * 2016-04-28 2016-10-26 邱清泉 一种治疗术后伤口水肿的药贴及其制备方法
CN105853608A (zh) * 2016-04-28 2016-08-17 邱清泉 一种治疗跌打损伤的药饼及其制备方法
CN105998354A (zh) * 2016-04-28 2016-10-12 邱清泉 一种治疗突发性面瘫的药贴及其制备方法
KR102609355B1 (ko) * 2016-09-28 202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품
CN110934690A (zh) * 2019-11-15 2020-03-31 惠州市浩明科技股份有限公司 医用胶带及卷绕储存机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7616A (en) * 1968-11-22 1971-09-21 Eastman Kodak Co Laminated amorphous and crystalline polypropylene sheeting
US5264281A (en) 1988-10-18 1993-11-23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tapes for medical or sanitary use
JP2533174Y2 (ja) * 1989-04-24 1997-04-23 日東電工株式会社 オムツ用粘着テ−プ
TW212771B (ko) 1991-09-20 1993-09-11 Ube Reikisen Kk
US5432009A (en) 1993-06-17 1995-07-11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Film for first-aid sticking plaster
JP2997831B2 (ja) * 1993-09-06 2000-01-11 グンゼ株式会社 積層体
US5795834A (en) * 1995-12-22 1998-08-18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Adhesive tape and method of ma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91B1 (ko) * 2006-10-25 2008-05-27 주식회사 영 창 이중지대용지 및 이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7780A2 (en) 2001-10-24
CA2344133A1 (en) 2001-10-20
EP1147780A3 (en) 2003-04-16
US6926958B2 (en) 2005-08-09
US20010051782A1 (en) 200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8752A (ko) 의료용 접착 테이프를 위한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의료용 접착 테이프, 반창고 및응급 처치용 접착 테이프
CN107000393B (zh) 伸缩性层叠体以及包含其的制品
JP6663179B2 (ja) 伸縮性積層体およびそれを含む物品
KR20020015967A (ko) 의료용 감압성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구급용 반창고
JP5652867B2 (ja) 医療用粘着剤組成物
JP2000217858A (ja) 医療用粘着テープ若しくはシート、並びに救急絆創膏
US20110281067A1 (en) Surface protective film
WO2016031620A1 (ja) 伸縮性積層体およびそれを含む物品
JP2584866B2 (ja) 外用貼付材
WO2020256235A1 (ko)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JP4863568B2 (ja) 貼付材及び絆創膏、並びに救急絆創膏
CN108138015B (zh) 超小型固定用带和包括其的物品
JP2013227372A (ja) 粘着テープ
JP2696543B2 (ja) 外用材
WO2016093303A1 (ja) 伸縮性積層体、それを含む物品、伸縮性積層体伸長物、および、それを含む物品
CN108883612A (zh) 伸缩性层叠体以及包括其的制品
JP3827165B2 (ja) 皮膚貼付材用基材および皮膚貼付材
JPH105271A (ja) 保護パッド
JP4205192B2 (ja) 貼付材
JP2017078142A (ja) 超小型固定用テープおよびそれを含む物品
JPH0833677A (ja) 吸収性物品
JP2022529430A (ja) 多層共押出フィルム及び該多層共押出フィルムを含む物品
JPH0819569A (ja) 救急絆創膏
JPH09187498A (ja) 救急絆創膏用フィルム
JPH052742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