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7544A -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7544A
KR20010097544A KR1020000021706A KR20000021706A KR20010097544A KR 20010097544 A KR20010097544 A KR 20010097544A KR 1020000021706 A KR1020000021706 A KR 1020000021706A KR 20000021706 A KR20000021706 A KR 20000021706A KR 20010097544 A KR20010097544 A KR 2001009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ing
shift
transmission
weigh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8650B1 (ko
Inventor
최흥규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21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6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6Additional mass or weight on shift linkage for improving f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 작동시에 시프트 레버측에 관성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어 결합형 웨이트가 설치되어 변속기 주변의 부품 배치 설계가 용이하면서도 실렉팅 조작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변속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운전자의 변속 조작에 따라 회전(shifting) 및 직선(selecting) 이동되는 콘트롤 샤프트와;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프팅 작동력이 입력되는 반대쪽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된 시프팅 수단과; 상기 변속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시프팅 수단의 기어치에 치합되어 시프팅 작동시에 관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웨이트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The shift control apparatus for a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 작동시에 시프트 레버측에 관성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기어 결합형 웨이트가 설치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구동력은 자동차에 실은 하물의 양과 도로의 상황 및 주행 속도 등에 따라서 크게 변화하므로, 이것에 대응하여 자동차에는 엔진의 동력을 적절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변속기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변속기는 동력의 변환 구조에 따라 수동 변속기, 자동 변속기, 무단 변속기 등으로 나누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은 상기한 변속기 중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1은 케이블 연결 사시도, 도 2는 변속기측 사시도, 도 3은 변속기측 정면 구성도이다.
운전자가 운전석 옆에 있는 변속 레버(1)를 작동함에 따라 시프트(shift) 케이블(2)과 실렉트(select) 케이블(3)이 움직이면서 변속기(4) 측에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변속 레버(1)를 실렉팅(selecting) 하게 되면, 상기 실렉트 케이블(3)과 연결된 실렉트 레버(5)가 콘트롤 샤프트(7)를 상하로 움직이고, 이때 콘트롤 샤프트(7)에 설치된 콘트롤 핑거(8)가 5단/후진, 3단/4단, 1단/2단 등의 각 변속단의 시프트 러그(9)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후 운전자가 변속 레버(1)를 시프팅(shifting) 하게 되면, 상기 시프트 케이블(2)에 연결된 시프트 레버(6)가 좌우로 회전하고, 이때 상기 콘트롤 핑거(8)도 동시에 회전하면서 1,3,5단 방향이나 2,4,후진단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시프트 러그(9)를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프트 러그(9)는 시프트 레일(10)에 시프트 포크(11)와 함께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시프트 포크(11)가 싱크로나이저 슬리브(미도시)를 움직여 변속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변속 조작 장치에는 변속성 향상을 위해 상기 시프트 레버(6)의 반대쪽 연장부(6a)에 회전 관성력을 제공하는 웨이트(15)가 구비된다.
즉, 시프팅 작동시에 시프트 레버(6)가 회전할 때 웨이트(15)가 반대쪽에서 회전 관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시프팅 조작력이 가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는 시프트 레버(6)측의 길이를 연장함과 아울러 연장부(6a)의 끝단에 웨이트(15)를 추가하여 구성함으로써 시프트 레버(6)의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되어 변속기(4) 주변의 레이 아웃(layout) 구조가 불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은 시프트 레버(6)측에 웨이트(15)를 직접 추가함으로써 웨이트(15) 무게로 인하여 실렉팅 조작 방향 즉, 상하 이동 방향의 하중이 커지게 되어 시프팅 조작감을 향상될 수 있으나 실렉팅 조작감은 오히려 나빠질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 조작기구와 별도로 시프팅 조작력을 향상시키는 웨이트 기구를 구성하여 변속 조작기구측 결합시킴으로써 변속기 주변의 부품 배치 설계가 용이하면서도 실렉팅 조작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는, 변속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운전자의 변속 조작에 따라 회전(shifting) 및 직선(selecting) 이동되는 콘트롤 샤프트와;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프팅 작동력이 입력되는 반대쪽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된 시프팅 수단과; 상기 변속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시프팅 수단의 기어치에 치합되어 시프팅 작동시에 관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웨이트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에서 케이블 연결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종래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가 도시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가 도시된 정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A-A선 방향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변속기 케이스 60 : 콘트롤 샤프트
61 : 시프트 레버부 63 : 실렉팅 레버
65 : 시프팅 기구 66 : 기어치
80 : 웨이트 기구 81 : 기어형성축부
82 : 기어치 83 : 케이스 지지축부
84 : 고정 너트 85 : 베어링
86 : 부쉬 88 : 웨이트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가 도시된 정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방향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변속기 케이스(51)의 홀(51b)에 콘트롤 샤프트(60)가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는 바, 이 콘트롤 샤프트(60)는 운전자가 변속 레버(미도시 됨)를 실렉팅(selecting) 작동하게 되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시프팅(shifting) 작동하게 되면 회전 운동하면서 변속 조작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트롤 샤프트(60)의 선단부에는 시프팅 기구(65)가 설치되는 바, 상기 시프팅 기구(65)는 변속 레버측과 연결되는 시프트 케이블 및 실렉트 케이블이 각각 연결되고, 운전자의 시프팅 작동력이 입력되는 반대쪽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기어치(6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시프팅 기구(65)는 상기 기어치(66)가 형성된 반대쪽 부분에 상기 시프트 케이블이 연결되는 시프트 레버부(61)가 형성되고, 상기 시프트 레버부(61)의 하측에 상기 실렉트 케이블이 연결되는 실렉트 레버(63)가 결합되도록 실렉트 홈부(65a)가 형성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일측에는 시프트 레버부(61)와 실렉트 홈부(65a)가 형성되고, 반대쪽에 일정 회전 범위만큼 기어치(6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시프팅 기구(65)에는 운전자가 시프팅 작동을 할 때 회전 관성력을 제공토록 웨이트 기구(80)가 결합되는 바, 이 웨이트 기구(80)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시프팅 기구(65)의 기어치(66)에 치합될 수 있도록 한쪽 축부에 기어치(8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웨이트 기구(80)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51)에 회전가능하게지지되는 케이스 지지축부(83)와, 상기 케이스 지지축부(83)에서 연장되어 상기 시프팅 기구(65)의 기어치(66)에 치합되는 기어형성 축부(81)와, 상기 기어형성 축부(8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프팅 기구(65)측에 관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웨이트부(88)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변속기 케이스(51)에는 상기 웨이트 기구(80)의 케이스 지지축부(83)가 삽입되도록 축홀(51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축홀(51a)에 상기 케이스 지지축부(83)가 삽입되어 끝단부에 고정 너트(84)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축홀(51a)의 내측에는 웨이트 기구(8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케이스 지지축부(83)를 지지하는 부쉬(86)가 설치되고, 상기 축홀(51a)의 내외측 양단에는 웨이트 기구(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토록 스러스트 베어링(85)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시프팅 기구(65)와 웨이트 기구(80)에 형성되어 상호 치합되는 기어치(66)(82)는 시프팅 조작시에 관성 회전력을 제공토록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하지만, 실렉팅 조작시에 상하 방향으로는 구속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시프팅 기구(65)와 웨이트 기구(80)의 기어치(66)(82)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치합됨으로써 실렉팅 조작시에 시프팅 기구(65)의 기어치(66)가 상기 웨이트 기구(80)의 기어치(8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변속을 위해 실렉팅 작동을 하게 되면 실렉트 레버(63)를 통해 시프팅 기구(65)를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시프팅 기구(65)는 웨이트 기구(80)의 기어치(82)를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콘트롤 샤프트(60)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변속 조작을 위한 선택 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콘트롤 샤프트(60)가 실렉팅 작동을 위해 상하 이동될 때 웨이트 기구(80)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의 실렉팅 조작력이 커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단 결정을 위해 시프팅 작동을 하게 되면 시프트 레버부(61)를 통해 시프팅 기구(65)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시프팅 기구(65)의 회전력이 기어치(66)(82)를 통해 웨이트 기구(80)에 전달되고, 다시 웨이트부(88)의 회전 관성력이 시프팅 기구(75)에 전달되므로써 콘트롤 샤프트(60)의 회전력이 배가되어 시프팅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웨이트 기구(80)를 변속기 케이스(51) 측에 지지시킴과 아울러 웨이트부(88)를 시프팅 기구(65)의 상측에 위치시켜 관성 회전력을 전달토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에서와 같이 웨이트의 회전 반경이 커지지 않게 되어 변속기 주변의 부품 설계 및 배치가 용이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는 시프팅 작동시에 회전 관성력을 제공하면서도 실렉팅 작동시에 웨이트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의 변속 조작력이 저감되어 보다 원활한 변속 작동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웨이트 기구를 변속기 케이스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시프트 레버측의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기 주변의 레이 아웃 구조가 유리해질 수 있는 이점도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변속기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운전자의 변속 조작에 따라 회전(shifting) 및 직선(selecting) 이동되는 콘트롤 샤프트와;
    상기 콘트롤 샤프트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프팅 작동력이 입력되는 반대쪽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기어치가 형성된 시프팅 수단과;
    상기 변속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시프팅 수단의 기어치에 치합되어 시프팅 작동시에 관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웨이트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팅 수단과 웨이트 수단은 상호 결합되는 기어치가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하고, 실렉팅 조작시에 상하 방향으로는 구속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팅 수단에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변속 레버측과 시프트 케이블 및 실렉트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시프팅 수단은 상기 기어치가 형성된 반대쪽 부분에 상기 시프트 케이블이 연결되는 시프트 레버부와, 상기 시프트 레버부의 하측에 상기 실렉트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실렉트 레버가 결합되는 실렉트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수단은 상기 변속기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케이스 지지축부와, 상기 케이스 지지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시프팅 수단의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형성 축부와, 상기 기어형성 축부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프팅 수단측에 관성 회전력을 제공하는 웨이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수단은 상기 변속기의 외부에서 상기 시프팅 수단의 기어치에 치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2000-0021706A 2000-04-24 2000-04-24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368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706A KR100368650B1 (ko) 2000-04-24 2000-04-24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706A KR100368650B1 (ko) 2000-04-24 2000-04-24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544A true KR20010097544A (ko) 2001-11-08
KR100368650B1 KR100368650B1 (ko) 2003-01-24

Family

ID=1966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706A KR100368650B1 (ko) 2000-04-24 2000-04-24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6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706B1 (ko) * 2002-10-09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580496B1 (ko) * 2004-05-11 2006-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
KR100643993B1 (ko) * 2004-05-25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오버 스트로크 제한 장치
KR101028320B1 (ko) * 2008-12-03 2011-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조작장치
FR3044733A1 (fr) * 2015-12-07 2017-06-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ntrole des changements de rapport d’une boite de vitesses, a double inerti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7724A (ko) 2011-08-11 2013-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706B1 (ko) * 2002-10-09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580496B1 (ko) * 2004-05-11 2006-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
KR100643993B1 (ko) * 2004-05-25 2006-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시프트 오버 스트로크 제한 장치
KR101028320B1 (ko) * 2008-12-03 2011-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변속 조작장치
FR3044733A1 (fr) * 2015-12-07 2017-06-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ntrole des changements de rapport d’une boite de vitesses, a double inert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8650B1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650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315051B1 (ko) 변속기의변속조작장치
KR100558299B1 (ko) 차량의 변속작동장치
KR101134283B1 (ko) 핀 형태의 수동변속기 가이드 구조
KR100802948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9980056862A (ko) 차량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KR100387671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일체형 시프팅 장치
JP3173630B2 (ja) 差動遊星機構型無段変速装置の変速操作構造
JPH1194078A (ja) 平行軸式変速機
KR19990020808U (ko) 수동 변속기의 시프팅 장치
KR200236357Y1 (ko) 수동 변속기의 후진 변속 장치
JP2024072040A (ja) 車両のマニュアル変速機
JPH0238133Y2 (ko)
KR200247093Y1 (ko) 수동 변속 레버의 조작성 향상장치
KR100251909B1 (ko) 2중 기능의 시프팅(shifting)장치
KR0120239Y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기구
KR19990018071U (ko) 수동 변속기의 디텐트 기구
JP2001146965A (ja) 半自動変速機のパーキングロック構造
JP2886036B2 (ja) 歩行型作業機の後進牽制装置
JP4300779B2 (ja) トラクタの変速装置
KR19990015555U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
JP3975581B2 (ja) 車両の多段変速装置
KR100802956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439885B1 (ko) 수동변속기 조작장치
JPS622578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