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956B1 -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956B1
KR100802956B1 KR1020060115207A KR20060115207A KR100802956B1 KR 100802956 B1 KR100802956 B1 KR 100802956B1 KR 1020060115207 A KR1020060115207 A KR 1020060115207A KR 20060115207 A KR20060115207 A KR 20060115207A KR 100802956 B1 KR100802956 B1 KR 100802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weight
lever
manual transmission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6Additional mass or weight on shift linkage for improving f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9Shift rod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hift rails or rods; Speci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변속시 절도감을 향상시키며,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중량을 줄일 목적으로;
셀렉트 레버와 시프트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검트롤 샤프트가 축방향 이동 및 회전하면서 시프트 러그를 동작시키고, 이의 시프트 러그가 장착되는 시프트 레일을 축방향 이동시킴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일의 각각에 웨이트 댐핑수단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를 제공한다.
시프트 레버, 셀렉트 레버, 웨이트 댐퍼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Shift Control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변속 조작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웨이트 댐퍼의 작동도.
도 4는 종래 변속 조작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시 절도감을 향상시키며,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에 있어서의 자동차에 있어서의 변속기는 동력전달장치의 한 부분으로서,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조건에 따라 엔진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한 후진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변속기는 유압에 의해 현재 자동차의 주행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와, 운전자가 직접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변속을 행하는 수동변속기로 대분 되는데, 본 발명은 후자인 수동 변속기에 관계한다.
이러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부의 종래 구성을 살펴보면, 도 4에서와 같이, 1,2속, 3,4속, 5속 및 후진용 시프트 레일(100)(102)(104)상에 시프트 러그(106)(108)(110)를 장착하고, 상기 시프트 러그(106)(108)(110)의 상측에는 컨트롤 핑거(112)를 보유하는 컨트롤 샤프트(114)를 배치하되, 이 컨트롤 샤프트(114)의 일측단에는 시프트 레버(116)가 일체로 고정되고, 셀렉트 레버(118)가 연결되는 연결부재(120)가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변속을 위하여 운전석의 변속레버를 셀렉트 동작시키면 상기 셀렉트 레버(118)가 회전하면서 컨트롤 샤프트(114)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에 장착된 컨트롤 핑거(112)가 시프트 러그(106)(108)(110)중 선택된 변속단의 시프트 러그(106)(108)(110) 중립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의 상태에서 변속레버의 시프트 동작을 실시하면, 시프트 레버(116)가 회전하면서 상기의 중립위치에서 컨트롤 핑거(112)를 회전시켜 해당 변속단의 시프트 러그를 밀어 변속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변속 조작장치에 있어서는 변속시 회전 관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컨트롤 샤프트(114)의 타단부에 일정 질량을 갖는 웨이트 댐퍼(122)를 장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프트 동작에 의한 컨트롤 사프트(114)의 회전시 회전 관성력을 줌으로써, 변속 절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변속 절도감을 얻기 위한 웨이트 댐퍼는 그 기능에 비하여 중량이 크기 때문에 변속기 중량 및 원가 측면에서 상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
그리고 웨이트 댐퍼가 변속기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초기 레이 아웃 검토시 다른 부품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레이 아웃상에 많은 제약이 뒤따른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시 절도감을 향상시키며,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셀렉트 레버와 시프트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 샤프트가 축방향 이동 및 회전하면서 시프트 러그를 동작시키고, 이의 시프트 러그가 장착되는 시프트 레일을 축방향 이동시킴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레일의 각각에 웨이트 댐핑수단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웨이트 댐핑 수단은 시프트 레일의 일측부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스냅링과, 상기 스냅링 사이의 시프트 레일상에 각각 일정 질량을 갖고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웨이트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변속 조작장치의 구성품 중 본 발명에 관계하는 부분만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변속조작장치를 형성하는 셀렉트 레버(2)와 시프트 레버(4)는 미도시한 변속기 하우징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컨트롤 샤프트(6)의 일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운전석에 배치되어 있는 변속 레버와 변속 케이블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셀렉트 레버(2)와 시프트 레버(4)는 연결부재(8)를 개재시켜 컨트롤 샤프트(6)와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부재(8)는 고정볼트(10)에 의하여 컨트롤 샤프트(8)와 장착되며, 셀렉트 레버(2)는 상기 컨트롤 샤프트(6)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고, 셀렉트 레버(4)는 연결부재(8)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컨트롤 샤프트(6)를 좌우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샤프트(6)의 중간부에는 컨트롤 핑거(12)가 장착되며, 이의 컨트롤 핑거(12)는 1,2속, 3,4속, 5속 및 후진용 시프트 레일(14)(16)(18)상에 배치되는 시프트 러그(20)(22)(24)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컨트롤 핑거(12)의 주위에 배치되는 인터록 플레이트(26)의 좌우 양측의 컨트롤 샤프트(6)상에는 스프링 받이(28)(30)를 두고 리턴 스프링(32)(34)이 배치되어 컨트롤 사프트(6)의 리턴성을 높힘과 동시에 임의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현 중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운전자가 변속을 위하여 운전석의 변속레버를 셀렉트 동작시키면 상기 셀렉트 레버(2)가 회전하면서 컨트롤 샤프트(6)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에 장착된 컨트롤 핑거(12)가 선택된 시프트 러그(20)(22)(24)상의 중립 위 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의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시프트 동작시키면, 시프트 레버(4)가 회전하면서 해당 시프트 러그(14)(16)(18)상의 중립 위치에 있는 컨트롤 핑거(12)를 회전시켜 해당 변속단의 전,후진시키게 되며, 이에 연결되어 있던 해당 시프트 레일(14)(16)(18)을 축방향 이동시킴으로써, 변속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시프트 레일(14)(16)(18)의 각각에는 시프트 포크가 장착되어 시프트 레일(14)(16)(18)과 연동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변속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시프트 레일(14)(16)(18)의 각각에 웨이트 댐핑수단을 배치하였다.
즉, 상기 웨이트 댐핑 수단은 상기 시프트 레일(14)(16)(18)의 일측부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스냅링(26)(28),(30)(32),(34)(36)과, 상기 스냅링(26)(28),(30)(32),(34)(36) 사이의 시프트 레일상에 각각 일정 질량을 갖고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웨이트 댐퍼(38)(40)(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웨이트 댐퍼(38)(40)(42)는 종래 컨트롤 샤프트에 장착되어 있던 웨이트 댐퍼와 마찬가지로 변속 절도감을 얻을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므로 스냅링(26)(28),(30)(32),(34)(36) 사이의 거리와 웨이트 댐퍼(38)(40)(42)의 질량은 필요로 하는 변속 절도감에 따라 설정된다.
도 2,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1,2속용 시프트 레일(14)를 일예로 도시한 것으로서, 1속에서 2속으로의 변속시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시프트 레일(14)이 이동하기 시작하는 변속 초기에는 웨이트 댐퍼(38)가 1속측 스냅링(26)에 의하여 도 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2속으로의 변속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이동하던 시프트 레일(14)이 갑자기 정지하게 되는 바, 웨이트 댐퍼(38)가 관성에 의하여 2속측 스냅링(28)쪽으로 이동하여 도 3에서와 같이, 2속측 스냅링(28)과 충돌하게 된다.
그러면 이의 충격력은 2속측 스냅링(28)을 통해 시프트 레일(14)에 가해지고, 시프트 레일(14)에 전달된 충격력은 다시 컨트롤 핑거(12)를 통해 컨트롤 샤프트(6)에 전달됨으로써, 운전석의 변속레버까지 전달되어 운전자가 변속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운전자가 1속에서 2속으로의 변속시 2속 변속 완료전 웨이트 댐퍼(38)의 힘이 2속측 스냅링(28)에 가해짐으로써, 운전자는 본인이 가하는 힘 이외에 자동적으로 빨려 들어가는 2차의 힘을 느끼게 됨으로써, 변속 절도감 및 변속감을 좋게 하여 운전자의 감성적인 변속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다른 변속단에서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다른 변속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시 변속 절도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웨이트 댐퍼를 시프트 레일상에 배치함으로써, 차량의 레이 아웃 검토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 웨이트 댐퍼와 비교하여 중량을 줄일 수 있는 바, 변속기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시프트 레일 각각에 웨이트 댐퍼를 배치함으로써, 웨이트 댐퍼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셀렉트 레버(2)와 시프트 레버(4)의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 샤프트(6)가 축방향 이동 및 회전하면서 시프트 러그(20,22,24)를 동작시키고, 이의 시프트 러그가 장착되는 시프트 레일(14,16,18)을 축방향 이동시킴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시프트 레일(14,16,18)의 각각에 웨이트 댐핑수단을 포함하는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댐핑 수단은 시프트 레일(14,16,18)의 일측부에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스냅링(26)(28),(30)(32),(34)(36)과, 상기 스냅링 사이의 시프트 레일상에 각각 일정 질량을 갖고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는 웨이트 댐퍼(38)(40)(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20060115207A 2006-11-21 2006-11-21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KR100802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207A KR100802956B1 (ko) 2006-11-21 2006-11-21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207A KR100802956B1 (ko) 2006-11-21 2006-11-21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956B1 true KR100802956B1 (ko) 2008-02-14

Family

ID=3934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207A KR100802956B1 (ko) 2006-11-21 2006-11-21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9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397A (ko) * 2003-11-14 2005-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조작 기구의 실렉트 리턴 장치
KR20060073723A (ko) * 2004-12-24 2006-06-29 에스디주식회사 수동변속기 장착용 클러치
KR20070022483A (ko) * 2005-08-22 2007-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제어용 부품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397A (ko) * 2003-11-14 2005-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조작 기구의 실렉트 리턴 장치
KR20060073723A (ko) * 2004-12-24 2006-06-29 에스디주식회사 수동변속기 장착용 클러치
KR20070022483A (ko) * 2005-08-22 2007-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쉬프트 제어용 부품의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6837B2 (en) Multiple-ratio transmission with concentric offset shift forks
JP2015081634A (ja) ドラム式変速機構
JP6239768B2 (ja) パワーユニットの変速駆動装置
US7841254B2 (en) All-terrain vehicle gear-shifting safety device
JP4252905B2 (ja) 変速機
JP4941145B2 (ja) 変速機
KR100851373B1 (ko) 수동 변속기용 자동 변속 조작 장치
KR100802956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JP2002039378A (ja) 手動変速機用変速操作器具
JP4921914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8232262A (ja) 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6384402B2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101795734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구동장치
JP2009228745A (ja) 手動変速機
JP6413849B2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6487887B2 (ja) 動力伝達装置
JP3024250B2 (ja) 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2001099317A (ja) 自動車用変速機
KR100746964B1 (ko) 수동 변속기 컨트롤 샤프트의 컨트롤 핑거
KR100558299B1 (ko) 차량의 변속작동장치
JP6068866B2 (ja) 変速機
KR102089304B1 (ko) 변속기
JP2019007512A (ja) 車両用手動変速機
JP3752682B2 (ja) 車両の変速装置
JPH04277376A (ja) 手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