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051B1 - 변속기의변속조작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의변속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051B1
KR100315051B1 KR1019940004347A KR19940004347A KR100315051B1 KR 100315051 B1 KR100315051 B1 KR 100315051B1 KR 1019940004347 A KR1019940004347 A KR 1019940004347A KR 19940004347 A KR19940004347 A KR 19940004347A KR 100315051 B1 KR100315051 B1 KR 100315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hift
arm
fork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지카와사토시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임스 이. 미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2Gear shift yokes, e.g. shift for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8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20Multiple final output mechanisms being moved by a single common final actuating mechanism with preselection and subsequent movement of each final output mechanism by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in two different ways, e.g. guided by a shift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는, 시프트레버로부터 조작력을 받아서, 이 조작력을 시프트로드(4)에 전달하는 콘트롤아암(3)과, 상기 시프트로드(4)에 입체적으로 장착된 아암부재(7)와, 슬리브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기장치의 슬리브와 걸어맞춰지는 포크를 포함한다. 또한, 축본체(9)는 아암부재(7)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아암부재(7)의 일단에서 소정축(L)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게 포크부재(10)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포크부재(10)는 이 축본체(9)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변속조작장치는 시프트포크에 의해 동기장치의 슬리브에서 조작장치에 전달되는 진동을 조작력의 저하없이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변속기의 변속조직장치{A CONTROLLER FOR A TRANSNISS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변속기의 변속조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수동변속기에 있어서는, 1-2속용 시프트포크의, 3-4속용 시프트 포크의, 5속용시프트포크를 각각 고정인 3개의 시프트로드가 설치되고, 시프트레버로부터의 조작력을 받아서 이 조작력을 시프트로드에 전달하는 콘트롤아암에 의해 상기 3개의 시프트로드중의 1개가 선택되어서, 변속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시프트포크기 시프트로드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으면, 변속기에 구비되어 있는 슬리브(클러치허브슬리브)를 개재해서 시프트포크에 전달되는 진동이 시프트레버등의 변속조작장치에 전달된다고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점을 고려해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59-70228호에는 다음과 같은 시프트포크의 장착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시프트로드와, 이 시프트로드가 삽입되는 시프트포크의 보스의 양쪽에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 핀구멍에 핀이 삽입되어 있다. 이 보스구멍은 상기 핀에 수직한 시프트로드의 양쪽에 간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보스와 시프트로드를 핀을 중심으로 상대변위가능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장착구조는 시프트포크에 전달되는 진동이 변속조작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변속조작장치내에 조작력전달수단으로서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변속기에 있어서, 시프트포크에 전달되는 진동은 케이블의 내부부재에 전달된다. 이것은 내부부재를 외부부재내에서 진동시켜서, 소위 두드리는 음을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케이블내에 고점도의 실리콘오일 등을 충전해서 진동을 억제하도록 되어있다.
시프트와 레버변속기기 떨어져 있어, 그 사이에 링크기구 내지는 케이블등이 개재하는 전륜구동치의 경우, 시프트레버가 변속기에 직결되어 있는 후륜구동차에비교해서, 변속조작성(조작감)이 떨어진다고 하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이 조각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프트포크의 지지강성은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시프트로드의 시프트포크사이의 좁은 핀의 개재는 시프트포크의 지지강성을 감소시켜서, 조작감을 약화시키게 된다.
또한, 케이블식의 조작력전달수단을 구비한 변속기에 있어서, 케이블내에 고점도의 실리콘오일등을 충전하였을 경우, 이 실리콘오일이 시프트조작에 대한 저항으로서 작용한다. 이것도 조작감을 약화시키는 원인으로 되어 있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본 발명은, 동기장치의 슬리브로부터 시프트포크를 개재해서 조작장치에 전달되는 진동을 조작감을 약화시키지 않고 저감할 수 있는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는, 시프트레버로부터 조작력을 전달하는 콘트롤아암(3)과, 콘트롤아암(3)에 의해 전달되는 시프트레버로부터의 조작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프트로드(4)와, 변속기링(20)을 지지하는 변속기축(25)의 축방향으로 변속기링과 걸어맞춰질 수 있는 포크부재(10)와,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시프트로드(4)에 장착된 아암부재(7)와, 이 아암부재는 시프트로드(4)의 중앙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으며, 그리고 아암부재(7)의 일단부에서 소정축(L)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게 포크부재(10)를 지지하도록 포크부재(10)와 아암부재(7)사이에 배치된 지지수단(9, 10a )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암부재와 포크부재 사이에는 포크부재를 아암부재의 일단에 있어서의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포크부재를 비교적 큰 직경의 축에 의해 아암부재의 일단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포크부재를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구성에 있어서도, 포크부재의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동기장치의 슬리브로부터 시프트포크를 개재해서 조작장치에 전달되는 진동을 조작감을 약화시키지 않고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식의 조작력전달수단을 구비한 변속기에 있어서도, 조작감을 약화시키는 실리콘오일등을 케이블내에 충전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특장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표시하는 단면정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Ⅱ - Ⅱ선을 따르는 평면으로부터 밑쪽을 본 평면도; 그리고 제 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표시하는 단면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변속기케이싱(2)에는 콘트롤로드(1)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시프트레버(도시생략)로부터 조작력을 받을때, 콘트롤로드(1)는 축방향으로 슬리이드이고, 또한 그 축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 콘트롤로드(1)에는 콘트롤아암(3)이 고착되어 있다. 콘트롤아암(3)밑에는 3개의 시프트로드, 즉, 3-4속용시프로드(4)와 1-2속용시프트로드(5)와 5속-리버스용시프트로드(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시프트로드는 콘트롤로드(1)에수직한 방향으로 뻗으며, 또한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다.
시프트로드(4)에 장착된 시프트포크는 아암부재(7)의 포크부재(10)가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아암부재(7)는 시프트로드(4)에 고착되어 있다. 이 아암부재(7)는, 핀(8)에 의해 시프트로드(4)에 고정된 보스부(7a)와, 이 보스부(7a)에서 시프트로드(4)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는 제 1아암부(7b)와, 보스부(7a)에서 제 1아암부(7b)측과는 반대방향으로 뻗고, 이어서 시프트로드(4)의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 제 2아암부(7c)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부재(7)의 제 1아암부(7b)의 선단에는, 시프트로드(4)의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는 축 L을 갖는 원통형상의 축본체(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축본체(9)가 끼워맞춰질 수 있는 구멍(10a)을 가진 포크부재(10)는 축본체(9)에 회동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이 아암부재(7)의 제 2아암부(7c)에는 위쪽을 향해서 개방되는 걸어맞춤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콘트롤아암(3)의 하단에 형성된 걸어맞춤단부(3a)는 콘트롤로드(1)의 슬라이드동작에 따라서 걸어맞춤홈(11A)과 선택적으로 걸어맞춰진다. 홈(11A)와 단부(3)가 서로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시프트로드(4)는 콘트롤로드(1)의 요동동작에 따라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그 결과, 포크부재(10)가 작동되어 3속 또는 4속의 기어가 선택되도록 되어있다.
포크부재(10)와 변속기링(20)는 서로 걸어맞춰져 있으며, 변속기링(20)은 변속기입력축(25)상에 지지되어 있다. 포크부재(10)는 변속기링(20)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변속기링(20)은 그 축이동의 방향에 의존하고 있는 2개의 동기장치(21),(22)중의 하나와 걸어맞춰지며, 이 2개의 동기장치(21),(22)는 각각3속용 기어세트(23)과 4속용기어세트(24)와 결합된다. 기어세트(23),(24)와 출력기어는 변속기출력축(26)상에 배치되어 있다.
시프트로드(5),(6)에는 그 상단에 각각 콘트롤아암(3)의 걸어맞춤단부(3a)와 선택적으로 걸어맞춰지는 홈(11B)(11C)을 가진 아암부재(12),(13)가 장착되어 있다. 아암부재(12),(13)의 근원은 해당핀(8)에 의해 시프트로드(5),(6)에 고정되어 있다. 이 3개의 걸어맞춤홈(11A),)(11B),(11C)는 홈(11A)을 중앙으로 해서 콘트롤로드(1)의 축방향을 따라서 정렬되어 있다. 1-2속용 및 5속-리버스용 시프트포크 (14),(15)는 각각 시프트로드 (5),(6)에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콘트롤로드(1)가, 제 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슬라이드범위의 중앙위치에 있을때에는, 콘트롤아암(3)의 걸어맞춤단부(3a)가 걸어맞춤홈(11A)에 걸어맞춰진다. 콘트롤로드(1)가 제 1도의 중앙위치에서 왼쪽으로 슬라이드하게되면, 걸어맞춤단부(3a)는 걸어맞춤홈(11B)과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콘르롤로드(1)가 중앙위치에서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게 되면, 걸어맞춤단부(3a)는 걸어맞춤홈(11c)과 걸어맞춰지게된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해 조직되는 시프트레버(도시생략)로 부터의 조직력을 받아서 콘트롤로드(1)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상기 조작력을 시프트로드(4),(5),(6)의 중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콘트롤아암(3)은 왼쪽으로 뻗는 가이드핀(16)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콘트롤아암(3)의 위쪽에서 케이싱(2)에 고정된 가이드플레이트(17)에 형성된 가이드홈(17a)에 상기 가이드핀(16)이 걸어맞춰져서, 콘트롤로드(1)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급제하도록 되어있다.
본 실시예의 변속기의 시프트패턴을 제 4(b)도에 표시되어 있다. 시프트레버(도시생략)는, 1-2속선택용 외측종코스(30), 3-4속선택용 중간종코스(31) 및 5속-리버스선택용 다른 외측종코스(32)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3개의 종코스(30),(31),(32)는 횡코스(33)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시프트패턴의 대안이 제 4(b)도에 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1속-리버스는 외측종코스(30')로 선택되며, 3-4속은 중간종코스(31')로 선택되며, 그리고 4-5속은 다른 외측종코스(32')로 선택된다. 이 3개의 종코스(30'),(31'),(32')는 횡코스(33')를 기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 4(b)도에 의한 시프트패턴의 대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해 지지된 포크부재가 작동되어 2속 또는 3속을 선택하도록 되어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포크부재(10)가 아암부재(7)의 제 1아암부(7b)의 선단에 형성된 축본체(9)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재는 강화된 강성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시프트포크에 의해 동기장치의 슬리브에서 조작장치에 전달된 진동이 조작감을 약화시키지 않고 감소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 축본체(9)는 아암부재(7)에 장착되어 있으며, 축본체(9)가 끼워맞춰지는 구멍(10a)은 포크부재(10)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축본체가 포크부재(10)에 장착되고, 구멍이 아암부재(7)에 형성되는 다른 구성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예를 들어 충분히 설명하였지만, 여러가지 변경과 변형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는 것을 이해해야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이것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표시하는 단면정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Ⅱ - Ⅱ 선을 따르는 평면으로부터 밑쪽을 본 평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표시하는 단면측면도
제 4 도는 상기 실시예의 변속기의 시프트 패턴도
제 4 도는 상기 시프트패턴의 대안을 표시하는 시프트패턴도
(1) ... 콘트롤로드 (2) ... 변속기케이싱
(3) ... 콘트롤아암 (4),(5),(6) ... 시프트로드
(7) ... 아암부재 (9) ... 축본체
(10) ... 포크부재 (11A),(11B),(11C) ... 걸어맞춤홈
(17) ... 가이드플레이트

Claims (5)

  1. 시프트레버로부터 조작력을 전달하는 콘트롤아암(3)과,
    콘트롤아암(3)에 의해 전달되는 시프트레버로부터의 조작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시프트로드(4)와,
    변속기링(20)을 지지하는 변속기축(25)의 축방향으로 변속기링(20)과 걸어맞춰질 수 있는 포크부재(10)와,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시프트로드(4)에 장착된 아암부재(7)와, 이 아암부재는 시프트로드(4)의 중앙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으며,
    아암부재(7)의 일단부에서 소정축(L)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게 포크부재(10)를 지지하도록 포크부재(10)와 아암부재(7) 사이에 배치된 지지수단(9, 10a)을 구비하는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2. 제 l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재(7)는 콘트롤아암(3)과 걸어맞춰질 수 있는 제 2아암부 (7c)를 포함하는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9, 10a)은, 아암부재(7)의 일단에 고착된 축본체(9)와, 포크부재(10)에 형성된 구멍(10a)을 포함하며, 상기 축본체(9)와 상기 구멍(10a)은 서로 끼워맞춰지는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5개의 전진속도(1, 2, 3, 4, 5)와 한 개의 추진속도(R)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시프트레버는 3개의 종코스(30, 31, 32; 30', 31', 32')와 이 종코스들을 연결하는 1개의 횡코스(33;33' )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9, 10a)에 의해 체결된 상기 포크부재(10)는 3개의 종코스 중의 중간코스(31;31' )에 의해 선택된 2개의 변속기어(23, 24) 중의 하나와 걸어맞춰지는 변속기링(20)과 걸어맞춰지는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5개의 전진속도(1, 2, 3, 4, 5)와 한 개의 추진속도(R)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시프트레버는 3개의 종코스(30, 31, 32; 30', 31', 32')와 이 종코스들을 연결하는 1개의 횡코스(33;33' )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수단(9, 10a)에 의해 체결된 상기 포크부재(10)는 3개의 종코스 중의 중간코스(31;31')에 의해 선택된 2개의 변속기어(23, 24) 중의 하나와 걸어맞춰지는 변속기링(20)과 걸어맞춰지는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KR1019940004347A 1993-03-08 1994-03-07 변속기의변속조작장치 KR100315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629493A JP3467793B2 (ja) 1993-03-08 1993-03-08 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93-46294 1993-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5051B1 true KR100315051B1 (ko) 2002-02-28

Family

ID=1274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347A KR100315051B1 (ko) 1993-03-08 1994-03-07 변속기의변속조작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67793B2 (ko)
KR (1) KR100315051B1 (ko)
DE (1) DE440754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9010B2 (ja) * 1994-09-14 2001-09-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手動変速機の変速制御機構
JP6079609B2 (ja) * 2013-12-17 2017-02-15 マツダ株式会社 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6119591B2 (ja) * 2013-12-17 2017-04-26 マツダ株式会社 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CN104712756A (zh) * 2015-03-04 2015-06-1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变速器换档机构总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3413A (en) * 1959-05-25 1962-07-10 Int Harvester Co Transmission control
US3452614A (en) * 1967-06-05 1969-07-01 Borg Warner Shift lever mechanism with shift rail interlock and stop means
JPS5627423A (en) * 1979-08-09 1981-03-17 Toyota Motor Corp Shift mechanism of speed change gear for car
JPS5970228U (ja) * 1982-10-27 1984-05-1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シフトフオ−ク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07540B4 (de) 2007-08-02
JP3467793B2 (ja) 2003-11-17
DE4407540A1 (de) 1994-09-15
JPH06265018A (ja) 199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TO20000769A1 (it) Dispositivo selettore di marce per cambio automatizzato.
US4532823A (en) Concentric shift rail mechanism
EP1717490A2 (en) Shift mechanism of transmission
KR100315051B1 (ko) 변속기의변속조작장치
CN102933879B (zh) 具有换档装置的带动元件的系统
CA1103957A (en) Gear transmission
JPS6121830A (ja) 車両用4輪駆動装置の切換操作装置
JP5006778B2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KR100368650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JP4374900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JP2013137078A (ja) 副変速機構付き変速機
KR101134283B1 (ko) 핀 형태의 수동변속기 가이드 구조
JP4370940B2 (ja) ツインクラッチ式歯車変速装置
KR100259641B1 (ko) 수동변속기의변속조작기구
JPH09112691A (ja) 手動変速機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0280142B1 (ko) 6단수동변속기시프트레일지지장치
KR20040006326A (ko) 6속 수동변속기의 변속 조작부
WO2023238944A1 (ja) 変速装置
JPH1194078A (ja) 平行軸式変速機
JP4506195B2 (ja) ツインクラッチ式歯車変速装置
KR100802956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장치
JPH0830535B2 (ja) 歯車式変速機の変速機構
JP6259692B2 (ja) 変速操作装置
JP5898541B2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構造
WO2015111448A1 (ja) 副変速機構付き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