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628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628A
KR20010093628A KR1020000070074A KR20000070074A KR20010093628A KR 20010093628 A KR20010093628 A KR 20010093628A KR 1020000070074 A KR1020000070074 A KR 1020000070074A KR 20000070074 A KR20000070074 A KR 20000070074A KR 20010093628 A KR20010093628 A KR 20010093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tain
circuit
electrode
electrode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023B1 (ko
Inventor
오노자와마꼬또
오사와미찌다까
이시와따겐지
구와하라다께시
가나자와요시까즈
기무라겐지
오누끼히데노리
오노다이조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9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09G3/2965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using inductors for energy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urface discharge panels
    • G09G3/299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using surface discharge panels using alternate lighting of surface-type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lighting or sustain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스테인펄스의 상승·하강의 타이밍의 엇갈림이나 형상의 어긋남이 없는 서스테인회로를 갖고, 저소비전력으로 오동작하지 않는 PDP 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접하여 교호로 배치된 제1 전극(X)(11) 및 제2 전극(Y)(12)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뻗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어드레스전극(13)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제1 전극에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X서스테인회로(18)와, 제2 전극에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Y서스테인회로(19)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X서스테인회로(18)와 Y서스테인회로(19)는 서스테인펄스의 변화 에지(changing edge)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위상조정회로(51 ∼ 5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PLASMA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소비전력을 저감하기 위해서 서스테인회로에 전력회수회로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을 인접하여 배치하고, 모든 전극간에서 표시라인을 형성하는 ALIS 방식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은 자기발광형이므로 시인성(視認性)이 좋고, 박형으로 대화면표시 및 고속표시가 가능하여, CRT를 대신하는 표시패널로서 주목되고 있다. 기본적인 PDP의 구성에 대하여는, 일본 특개평7-160219호 공보, 일본 특개평9-160525호 공보 및 일본 특개평9-325735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직접 관계되는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도1은 일반적인 PDP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PDP(10)은 n개의 X전극(11)과 Y전극(12)을 인접하여 교호로 배치하고, n개의 X전극(11)과 Y전극(12)의 조를 형성하여, 각 조의 X전극(11)과 Y전극(12) 사이에서 표시를 위한 발광을 행한다. Y전극과 X전극은 표시전극으로 불리지만, 유지전극 또는 서스테인 전극으로 불리기도 한다. 어드레스전극(13)은 표시전극이 뻗은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X전극(11)과 Y전극(12)의 조와의 교점부분에 표시 셀이 형성된다.
Y전극(12)은 스캔 드라이버(14)에 접속되어 있다. 스캔 드라이버(14)에는 Y전극의 개수만큼의 스위치(16)가 설치되어 있고, 어드레스기간에는 주사신호 발생회로(15)로부터의 스캔 펄스가 차례로 인가되도록 전환되고, 유지방전기간에는 Y서스테인회로(19)로부터의 서스테인펄스가 동시에 인가되도록 전환된다. X전극(11)은 X서스테인회로(18)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어드레스전극(13)은 어드레스 드라이버(17)에 접속된다. 화상신호처리회로(21)는 화상신호를 PDP 장치 내부에서의 동작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한 후, 어드레스회로(17)에 공급한다. 구동제어회로(20)는 PDP 장치의 각 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공급한다.
도2는 PDP 장치의 구동 파형을 나타낸 타임 차트이다. PDP 장치는 하나의 표시화면을 소정의 주기마다 재기입하면서 표시하고 있으며, 1 표시주기를 1필드라 칭한다. 계조 표시를 하는 경우에는 1필드를 또 복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하여, 표시 셀마다 발광하는 서브필드를 조합하여 표시를 한다. 각 서브필드는 전 표시 셀을 초기화하는 리세트기간과, 전 표시 셀을 표시하는 화상에 대응한 상태로 설정하는 어드레스기간과, 설정된 상태에 따라서 각 표시 셀을 발광시키는 유지방전(서스테인)기간으로 구성된다. 유지방전기간에는 X전극과 Y전극에 교호로 유지(서스테인)펄스가 인가되고, 어드레스기간에 발광하도록 설정된 표시 셀로 유지방전이 행하여지며, 이것이 표시를 위한 발광으로 된다.
PDP 장치에서는 유지방전기간에 전극간에 최대 200V 정도의 전압을 고주파수의 펄스로서 인가할 필요가 있고, 특히 서브필드 표시로 계조 표시를 하는 것에서는 펄스 폭이 수 μs이다. 이러한 고전압으로 또한 고주파의 신호로 구동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PDP 장치의 소비전력이 커서 전력절약화가 요망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070,663호는 EL(Electro-Luminescence)장치 등의 용량성 표시 유닛의 소비전력을 저감하기 위해서, 표시 유닛의 용량과 공진회로를 구성하는 인덕턴스 소자를 설치하는 제어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 미국 특허 제4,866,349호와 미국 특허 제5,081,400호는 인덕턴스 소자로 구성되는 전력회수회로를 갖는 PDP패널용의 서스테인(유지방전) 드라이버와 어드레스 드라이버를 개시하고 있다. 또 일본 특개평7-160219호 공보는 3전극형 표시 유닛에 있어서, Y전극측에 Y전극이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전환될 때에 인가되어 있는 전력을 회수하는 회수경로를 형성하는 인덕턴스와, Y전극이 저전위에서 고전위로 전환될 때에 축적된 전력을 인가하는 인가경로를 형성하는 인덕턴스의 2개의 인덕턴스를 설치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도3은 전력을 회수하는 회수경로와 축적된 전력을 인가하는 인가경로를 분리한 전력회수회로를 갖는 서스테인회로의 기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신호 V1 ∼ V4를 발생하는 회로도 설치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생략되어 있다. 참조부호(Cp)는 PDP의 X전극과 Y전극으로 형성되는 표시 셀의 구동용량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한쪽 전극의 서스테인회로를 나타냈으나, 다른 쪽 전극도 유사한 서스테인회로에 접속된다. 도3의 회로에서 출력소자(트랜지스터)(31, 33) 및 드라이버회로(32, 34)로 구성되는 부분은, 전력회수회로가 없는 경우의 서스테인회로이고, 출력소자(트랜지스터)(37, 40), 드라이버회로(38, 41), 인덕턴스소자(35, 43), 용량(39) 및 다이오드(36, 42)로 구성되는 부분이 전력회수회로이다. 신호 V1, V2는 각각 드라이버회로(32, 34)에 입력되고, 거기에서 출력되는 신호 VG1, VG2가 출력소자(트랜지스터)(31, 33)의 게이트에 인가된다. 신호 V1이 「고(H)」인 때에는 출력소자(31)가 ON되어 H레벨의 신호가 전극에 인가된다. 이때 신호 V2는 「저(L)」이고, 출력소자(33)는 OFF이다. 신호 V1이 L로 되어 출력소자(31)가 OFF되는 동시에, 신호 V2는 H로 되어 출력소자(33)는 ON되어 전극에는 그라운드 레벨이 인가된다.
전력회수회로가 있는 경우에는, 서스테인펄스를 인가할 때에는, 신호 V1이 H로 되기 전에 신호 V2가 L로 되어 출력소자(33)가 OFF된 후, 신호 V3가 H로 되어 출력소자(40)가 ON되어서 용량(39), 다이오드(42), 인덕턴스(43) 및 용량(Cp)으로 공진회로가 형성되고, 용량(39)에 축적된 전력이 전극에 공급되어서 전극의 전위가 상승한다. 이 전위의 상승이 종료되기 직전에 신호 V3가 L로 되어 출력소자(40)가 OFF되고, 또 신호 V1은 H로 되어서 출력소자(31)는 ON되고, 전극의 전위를 Vs에 고정한다. 서스테인펄스의 인가를 종료할 때에는, 우선 신호 V1이 L로 되어 출력소자(31)가 OFF된 후, 신호 V4가 H로 되어서 출력소자(37)가 ON되어 용량(39), 다이오드(36), 인덕턴스(35) 및 용량(Cp)으로 공진회로가 형성되고, 용량(Cp)에 축적된 전력이 용량(39)에 공급되어 용량(39)의 전압이 상승한다. 이에 의해서 전극에 인가된 서스테인펄스에 의해서 용량(Cp)에 축적된 전력이 용량(39)으로 회수된다. 이 전극의 전위의 저하가 종료되기 직전에 신호 V4가 L로 되어서 출력소자(37)가 OFF되고, 또 신호 V2가 H로 되어서 출력소자(33)가 ON되어, 전극의 전위를 그라운드에 고정한다. 유지방전기간 동안은 서스테인펄스 수 만큼 상기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서, 유지방전에 수반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PDP 장치에서는 고세밀화가 요청되고 있으며, 일본 특허 제2801893호는 모든 표시전극 간에서 표시를 위한 발광을 행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식은 ALIS 방식으로 불리기 때문에, 여기서도 이 용어를 사용한다. ALIS 방식의 상세한 구성은 일본 특허 제2801893호에 개시되어 있어,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점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설명하겠다.
도4는 ALIS 방식의 PDP의 전체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ALIS 방식의 PDP에서는, n개의 Y전극(제2 전극)(12-O, 12-E)과 n+1개의 X전극(제1 전극)(11-O, 11-E)을 인접하여 교호로 배치하고, 모든 표시전극(Y전극과 X전극) 사이에서 표시발광을 한다. 따라서 2n+1개의 표시전극으로, 2n개의 표시라인이 형성된다. 즉 ALIS 방식은 도1의 구성과 동등한 표시전극 수로 2배의 세밀도가 실현된다. 또 방전공간을 헛되지 않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전극 등에 의한 차광이 작기 때문에 높은 개구율이 얻어지므로 고휘도가 실현되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ALIS 방식에서는 모든 표시전극간을 표시를 위한 방전에 이용하지만, 그들 방전을 동시에 발생할 수 없다. 그래서 표시를 홀수라인과 짝수라인으로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행하는 소위 인터레이스 주사를 한다. 홀수필드에서는 홀수번째의 표시라인에 의해 표시를 하고, 짝수필드에서는 짝수번째의 표시라인에 의해 표시를 하여, 전체로서는 홀수필드와 짝수필드의 표시를 합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Y전극은 스캔 드라이버(14)에 접속되어 있다. 스캔 드라이버(14)에는 스위치(16)가 설치되어 있고, 어드레스기간에는 차례로 스캔 펄스가 인가되도록 전환되고, 유지방전기간에는 홀수 Y전극(12-O)은 제1 Y서스테인회로(19-O)에, 짝수 Y전극(12-E)은 제2 Y서스테인회로(19-E)에 접속되도록 전환된다. 홀수 X전극(11-O)은 제1 X서스테인회로(18-O)에, 짝수 X전극(11-E)은 제2 X서스테인회로(18-E)에 접속된다. 어드레스전극(13)은 어드레스 드라이버(17)에 접속된다. 화상신호처리회로(21)와 구동제어회로(20)는 도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동작을 한다.
도5는 ALIS 방식의 유지방전기간에 있어서의 구동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5a는 홀수필드의 파형을, 도5b는 짝수필드의 파형을 나타낸다. 홀수필드에서는 전극 Y1, X2에 전압 Vs를 인가하고, X1과 Y2를 그라운드 레벨로 하고, X1과 Y1 사이 및 X2와 Y2 사이에서, 즉 홀수표시라인에서 방전을 발생시킨다. 이때 짝수표시라인의 Y1과 X2 사이의 전위차는 0이며, 방전은 발생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짝수필드에서는 전극 X1과 Y2에 전압 Vs를 인가하고, Y1과 X2를 그라운드 레벨로 하고, Y1과 X2 사이 및 Y2와 X1 사이에서, 즉 짝수표시라인에서 방전을 발생시킨다. 리세트기간이나 어드레스기간의 구동파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력회수회로에서는 전력의 회수와 인가를 효율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여, 높은 전력회수율을 실현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높은 전력회수율은 출력소자(31, 33, 37 및 40)의 ON·OFF의 타이밍에 영향받는다. 도6은 이 영향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6a는 클램프의 타이밍이 빨라진 경우를 나타내고, 도6b는 클램프의 타이밍이 늦어진 경우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스테인펄스를 인가할 때에는 출력소자(40)가 ON되어서용량(39)에 축적된 전력을 전극에 공급하고, 전극의 전위의 상승이 종료되기 직전에 신호 V3가 L로 되어서 출력소자(40)가 OFF되는 동시에 신호 V1이 H로 되어서 출력소자(31)는 ON되고, 전극의 전위를 Vs에 고정(클램프)한다. 여기서 도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소자(40)가 OFF되기 전에 출력소자(31)가 ON되면, 용량(39)에 축적된 전력에 의해서 전극의 전위를 상승시키고 있는 도중에 출력소자(31)가 ON되어서 전극을 전압 Vs의 전원에 접속하기 때문에, 나머지 출력소자는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에 의해서 상승하게 되고, 용량(39)에 축적된 전력의 일부가 헛되이 된다. 마찬가지로 서스테인펄스의 인가를 종료할 때에도, 출력소자(37)가 ON되어 용량(39)에 전력을 회수하고 있는 도중에 출력소자(33)가 ON되면, 충분히 전력을 회수하기도 전에 그라운드에 클램프되어서 전력의 회수가 불충분하게 된다.
또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스테인펄스를 인가할 때에 출력소자(40)가 OFF된 후로부터 지연되어 출력소자(31)가 ON되면, 용량(39)에 축적된 전력에 의한 전극의 전위의 상승이 종료되고, 반대로 전극의 전위가 저하되기 시작하여 출력소자(31)가 ON되어서 전극을 전압 Vs의 전원에 클램프하기 때문에, 저하된 전위를 상승시킬 필요가 있어, 그만큼 쓸데없는 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서스테인펄스의 인가를 종료할 때에도, 출력소자(37)가 OFF된 후로부터 지연되어 출력소자(33)가 ON되면, 일단 저하된 전위가 재차 상승하기 시작한 때로부터 그라운드에 클램프되므로 상승된 전위를 저하시킬 필요가 있어, 그만큼 쓸데없는 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서스테인회로 출력소자(31. 33. 37 및 40)가 ON·OFF하는 타이밍이 엇갈리면 전력회수율이 저하되어,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출력소자(31. 33. 37 및 40)가 ON·OFF되는 타이밍은 신호 V1, V2, V3 및 V4의 변화 타이밍에, 드라이버회로(32, 34, 38 및 41)의 지연시간과 출력소자(31, 33, 37 및 40)의 지연시간을 더한 타이밍이다. 신호 V1, V2, V3 및 V4의 변화 타이밍은 비교적 고세밀도로 설정 가능하지만 드라이버회로(32, 34, 38 및 41)의 지연시간과 출력소자(31, 33, 37 및 40)의 지연시간은, 사용하는 소자의 특성의 산포에 따라서 변화된다. 그 때문에 PDP 장치마다 전력회수율이 변화되고, 이상적인 경우에 비해서 전력회수율이 저하되어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회로소자의 지연시간이 엇갈리고, 서스테인펄스의 형상이나 타이밍이 어긋나면,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가능성이 증가된다. 통상 동작전압 Vs의 동작 가능한 최대치 Vs(max)와 최소치 Vs(min)와의 차 △Vs를 동작 마진이라고 부르지만, 회로소자의 지연시간이 엇갈리고, 서스테인펄스의 형상이나 타이밍이 어긋나면, 동작 마진 △Vs는 저하된다. 이것은 장치의 동작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 ALIS 방식에서는, 같은 전압이 인가되는 인접하는 전극간에서는 방전은 생기지 않지만, 이 인가 타이밍이 엇갈리면, 표시를 하지 않은 표시라인에서도 일시적으로 방전이 발생하여, 어드레스기간에 기입된 벽전하가 감소되어, 정상적인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5a에 있어서 전극 Y1에 서스테인펄스를 인가한 후로부터 지연해서 전극 X2에 서스테인펄스가 인가된 경우, 일시적으로 전극 Y1은 H의 상태가, 전극 X2는 L의 상태가 발생하므로, 전극 Y1과 X2 사이에서 오방전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오방전은 전극 X2에 서스테인펄스가 인가되면 정지되지만, 오방전에 의해서 전극 Y1 및 X2의 벽전하가 감소되어 정상적인 표시발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상과 같이 서스테인회로의 각 회로소자의 지연시간이 불균일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서스테인펄스의 ON·OFF의 타이밍의 엇갈림이나 형상의 어긋남이 생기어, 소비전력이 증가되거나 오동작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서스테인펄스의 상승·하강의 타이밍의 엇갈림이나 형상의 어긋남이 없는 서스테인회로를 실현하여, 저소비전력으로 오동작하지 않는 PDP 장치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PDP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2는 PDP 장치의 구동 파형을 나타낸 타임 차트.
도3은 전력회수회로를 설치한 서스테인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4는 ALIS 방식의 PDP 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5는 ALIS 방식의 유지방전기간의 구동 파형을 나타낸 타임 차트.
도6은 전력회수회로에서의 타이밍 엇갈림의 영향을 나타낸 타임 차트.
도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서스테인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8은 실시예의 서스테인회로의 동작을 나타낸 타임 차트.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소비전력 저감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ALIS 방식의 동작 마진의 향상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11은 실시예의 위상조정회로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12는 실시예의 위상조정회로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13은 실시예의 위상조정회로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14는 위상조정회로의 설정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15는 위상조정회로에서 PDP의 산포를 포함해서 조정할 때의 설정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16은 지연시간에 따라서 분류한 서스테인회로의 회로요소를 조합하는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17은 전력회수율의 향상만을 목적으로 한 경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18은 PDP의 산포를 포함해서 고려하는 경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PDP
11 … 제1 전극(X전극)
11-O … 홀수 X전극
11-E … 짝수 X전극
12 … 제2 전극(Y전극)
12-O … 홀수 Y전극
12-E … 짝수 Y전극
13 … 어드레스전극
18-O … 제1 X서스테인펄스발생회로
18-E … 제2 X서스테인펄스발생회로
19-O … 제1 Y서스테인펄스발생회로
19-E … 제2 Y서스테인펄스발생회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PDP 장치는, 서스테인회로에 서스테인펄스의 변화 에지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위상조정회로를 설치한다. 위상조정회로를 조정하여, 서스테인펄스의 변화 에지의 타이밍을 최적의 상태로 하면, 전력회수회로를 효과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각 서스테인회로에서 인가되는 서스테인펄스의 상승·하강의 타이밍이 서로 최적의 조건으로 되므로, 오동작이나 오방전이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력회수회로를 갖는 서스테인회로를 구비하는 PDP 장치나, ALIS 방식의 PDP 장치에 적용하면 특히 효과적이다.
또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력회수회로를 갖는 서스테인회로의 경우에, 위상조정회로는 제3 출력소자가 ON으로 된 후로부터 제1 출력소자가 ON으로 될 때까지의 시간차, 및 제4 출력소자가 ON이 된 후로부터 제2 출력소자가 ON으로 될 때까지의 시간차를 조정 가능하여야 한다.
또 도4에 나타낸 ALIS 방식의 경우에 오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전극간에 인가하는 서스테인펄스의 타이밍이 조정가능하면 되고, 제1 X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와, 제1 또는 제2 Y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와의 상승 타이밍 또는 하강 타이밍의 차, 및 제2 X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와, 제1 또는 제2 Y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와의 상승 타이밍 또는 하강 타이밍의 차가 소정치 이하, 예를 들면 ±30ns 이내가 되도록 조정한다.
위상조정회로에 의한 조정을 실제로 PDP에 실장한 상태에서 행하면, PDP전극의 실제의 용량에 따라서 최적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서스테인회로에 사용하는 회로요소를 지연시간에 따라서 분류하고, 서스테인펄스의 변화 에지의 타이밍이 소정 오차범위 내에 들어 가도록 분류한 회로소자의 조합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합의 회로소자를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ALIS 방식의 PDP 장치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PDP 장치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체 구성을 갖고, 제1 및 제2 X서스테인회로(18-O, 18-E)와 제1 및 제2 Y서스테인회로(19-O, 19-E)는 도7에 나타낸 구성을 갖는다. 도3의 경우와 같이 신호 V1 ∼ V4를 발생하는 회로에 대하여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실시예의 서스테인회로는 도3에 나타낸 구성과는, 각 드라이버회로(32, 34, 38, 41)의 전단에, 제1 위상조정회로(51) ∼ 제4 위상조정회로(54)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가령 출력소자(31. 33. 37, 40) 및 드라이버회로(32, 34, 38, 41)의 지연시간이 불균일하여도, 제1 위상조정회로(51) ∼ 제4 위상조정회로(54)에 있어서의 지연량을 조정함으로써, 출력소자(31, 33, 37, 40)의 ON·OFF하는 타이밍을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적의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소비전력 저감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스테인펄스 수에 비례하여 서스테인회로에서의 소비전력이 증가된다. 그 증가의 비례계수는 전력회수회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가장 크고,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력회수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상당히 작게 할 수 있고,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작게 할 수 있어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동작 마진의 개선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작 마진으로서는 전술한 동작 가능한 전압의 최대치 Vs(max)와 최소치 Vs(min)의 차 △Vs를 사용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전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동작 마진이 저하되나, 본 발명을 적용하면 도3의 구성에 비해서 동작 마진의 저하가 작다.
다음에 위상조정회로의 회로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위상조정회로는 신호의 지연시간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각종의 지연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도11로부터 도13은 위상조정회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1a는 가변저항(VR)과 용량(C)을 조합한 지연회로이고, 도11b는 가변 인덕턴스(VL)와 용량(C)을 조합한 지연회로이고, 도11c는 조(粗)조정용의 가변저항(VR1)과 미(微)조정용가변저항(VR2)과 용량(C)을 조합한 지연회로이고, 도11d는 조조정용의 가변 인덕턴스(VL1)와 미조정용 가변 인덕턴스(VL2)와 용량(C)을 조합한 지연회로이고, 도11e는 트리밍에 의해서 저항치가 조정 가능한 저항(TR)과 용량(C)을 조합한 지연회로이고, 도11f는 트리밍에 의해서 인덕턴스 값이 조정 가능한 인덕턴스(TL)와 용량(C)을 조합한 지연회로이고, 도11g는 조조정용의 트리밍 저항(TR1)과 미조정용 트리밍 저항(TR2)과 용량(C)을 조합한 지연회로이고, 도11h는 조조정용의 트리밍 인덕턴스(VL1)와 미조정용 트리밍 인덕턴스(VL2)와 용량(C)을 조합한 지연회로이고, 도12i와 도12j는 도11g와 도11h의 입력부와 출력부에 버퍼회로(B1, B2)를 설치한 회로이고, 도12k는 저항 어레이(RA)와 스위치 어레이(SA)를 조합하여 저항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용량(C)을 조합한 회로이고, 도12l은 인덕턴스 어레이(LA)와 스위치 어레이(SA)를 조합하여 인덕턴스 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용량(C)을 조합한 회로이고, 도13m은 위상제어신호에 의해서 저항치를 외부에서 설정할 수 있는 전자볼륨(EVR)과 용량(C)을 조합한 회로이고, 도13n은 위상제어신호에 의해서 지연량을 선택할 수 있는 딜레이라인(DL)을 사용한 회로이고, 도13o는 드라이버회로(D)의 앞에 위상시프트회로(PS)를 설치하여, 출력소자(T)의 실제출력(Vout)을 출력전압검출회로(OD)에서 검출하고, 위상차 검출회로(PDD)에서 입력신호 Vin과 출력전압검출회로(OD)의 검출결과로부터 위상차를 구하고, 거기에 따라서 위상시프트회로(PS)의 지연량을 조정하는 회로이고, 도13p는 도13o의 회로에서 출력전압검출회로(OD) 대신에 드라이버회로(D)의 출력을 검출하는 구동전압검출회로(DD)를 설치한 점이 다르고, 출력소자(T)의 지연시간은 조정할 수 없다. 또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용량치가 가변인 가변 용량(C)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실시예에서 각 서스테인회로의 각 위상조정회로를 어떻게 조정하여 설정할 것인지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14는 위상조정회로의 설정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101)에서는 출력소자의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스텝(102)에서는 상기 출력소자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드라이버(구동)회로의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스텝(103)에서는 소정의 지연시간으로부터 상기 2개의 지연시간을 감산하여 조합해서 사용하는 위상조정회로의 지연시간을 산출하고, 스텝(104)에서는 산출된 지연시간에 의해서 조합하여 사용하는 위상조정회로의 지연시간을 설정한다. 이러한 처리를 모든 조에 대하여 행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각 출력소자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ON·OFF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전력은 최대한으로 저감되고, 오동작이나 오방전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14의 처리는 출력소자 및 드라이버회로의 지연시간의 격차를 보정하는 처리이고, 서스테인회로를 PDP 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행하는 처리이다. 그러나 PDP전극간의 용량도 제조에 따라 불균일하고, 그에 의하여 전력회수회로의 공진회로의 시정수 등도 변화하므로, PDP에 따라서 서스테인펄스의 타이밍을 최적의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5는 서스테인회로로 구동하는 PDP의 산포를 포함해서 위상조정회로의 지연시간을 최적치로 설정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111)에서는 서스테인회로를 PDP를 포함하는 장치에 장착하여 조립한다. 또 완전히 조립할 필요는 없고, 동작상태로 되면 좋다. 스텝(112)에서는 제1 X서스테인회로(18-O), 제2 X서스테인회로(18-E), 제1 Y서스테인회로(19-O), 제2 Y서스테인회로(18-E) 중의 어는 것을 조정대상으로 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스텝(113)에서는 선택된 회로의 어떤 조, 구체적으로는 제1 ∼ 제4 위상조정회로(51 ∼ 54) 중의 어느 것을 조정대상으로 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스텝(114)에서는 PDP가 선택한 조에 관계되는 구동 파형을 측정하고, 스텝(115)에서 소정의 기준신호에 대하여 허용범위 내인지를 판정하여, 범위 외이면 스텝(116)에서 위상조정회로를 조정하여 허용범위 내가 되도록 스텝(114)으로부터 스텝(116)을 반복한다.
스텝(117)에서는 모든 조에 대하여 상기의 처리가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여, 남아 있는 조가 있으면 스텝(118)에서 조정대상의 조를 변경하여 스텝(114)으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조정대상회로의 4개의 위상조정회로의 조정이 종료되고, 그 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ON·OFF한다. 또 스텝(119)에서는 모든 회로에 대하여 상기의 처리가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고, 남아 있는 회로가 있으면 스텝(120)에서 조정대상의 회로를 변경하여 스텝(114)으로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하여 모든 회로의 조정이 종료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위상조정회로를 설치하였으나, 서스테인회로에 사용하는 회로요소의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총 지연시간이 허용범위 내가 되도록 조합하고, 구체적으로는 출력소자와 드라이버회로의 지연시간의 합이 소정치에 대하여 허용범위 내가 되는 조합을 선택하여 PDP 장치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서스테인펄스의 타이밍을 최적으로 할 수 있다. 도16은 그것을 위한 제조공정에서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131)에서는 출력소자의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스텝(132)에서 지연시간에 따라서 분류한다. 이들의 처리와 병행하여 스텝(133)에서는 드라이버회로의 지연시간을 측정하고, 스텝(134)에서 지연시간에 따라서 분류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 출력소자와 드라이버회로가 지연시간에 따라서 그룹으로 분류된다.
스텝(135)에서는 총 지연시간이 같아지는 조합을 만든다. 여기서 예를 들면 ALIS 방식이면, 하나의 PDP 장치에는 4개의 서스테인회로가 있고, 각 서스테인회로는 4개의 출력소자와 드라이버회로의 조가 있다. 즉 하나의 PDP 장치로 16조의 출력소자와 드라이버회로의 조가 있으므로, 지연시간의 합이 같은 조를 16조 선택한다. 스텝(136)에서 그 조합의 출력소자와 드라이버회로를 장착한다.
이상의 처리에서는 하나의 PDP 장치 내의 서스테인회로의 16조의 출력소자와 드라이버회로의 조는 모두 같은 지연시간이 되도록 선택되지만, 전력회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라면, 서스테인회로마다 출력소자(31, 40)의 ON·OFF 타이밍과 출력소자(33, 37)의 ON·OFF 타이밍이 소정의 관계에 있으면 된다. 도17은 그와 같은 경우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16의 스텝(131) ∼ 스텝(134)을 행한 후, 스텝(141)에서는 총 지연시간이 똑 같은 2조의 출력소자와 드라이버회로를 선택하고, 제1 출력소자(31)와 제1드라이버회로(32) 및 제3 출력소자(40)와 제3 드라이버회로(53)로서 장착하고, 스텝(142)에서는 총 지연시간이 똑 같은 2조의 출력소자와 드라이버회로를 선택하여, 제2 출력소자(33)와 제2드라이버회로(34) 및 제4 출력소자(37)와 제4 드라이버회로(54)로서 장착한다.
또 ALIS 방식에서 오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전극에 서스테인펄스를 인가할 때에 ON·OFF의 타이밍차가 생기지 않아야 된다. 그 때문에 제1 X서스테인회로로부터 출력되어 홀수번째의 X전극에 인가되는 서스테인펄스와, 제1 및 제2 Y서스테인회로로부터 출력되어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의 Y전극에 인가되는 서스테인펄스 사이에 타이밍의 차가 없고, 제2 X서스테인회로로부터 출력되어 짝수번째의 X전극에 인가되는 서스테인펄스와, 제1 및 제2 Y서스테인회로로부터 출력되어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의 Y전극에 인가되는 서스테인펄스 사이에 타이밍의 차가 없어야 한다. 이것은 결국, 모든 서스테인펄스에 타이밍차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또 ALIS 방식의 PDP 장치에서 오방전이 생기지 않는 타이밍차를 조사한 결과, 인접하는 전극에 인가하는 서스테인펄스는 ±30ns의 어긋남이면 오방전의 발생은 낮았었다.
회로요소의 지연시간을 측정하여 조합하는 경우에도, 장착하는 PDP의 용량 등의 산포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8은 그와 같은 경우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151)에서 서스테인회로가 구동하는 PDP의 용량을 측정하고, 거기에 장착하는 서스테인회로의 최적지연시간을 산출한다. 스텝(152)에서는 분류된 출력소자와 드라이버회로에서 최적지연시간으로 되는 조합을 선택하여 스텝(153)에서 장착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서스테인펄스의 지연에 관계되는 회로소자가, 그 이외에도 있는 경우에는 그들의 지연시간도 고려하여야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스테인회로에서의 드라이버회로의 지연량의 불균일 및 출력소자의 지연량의 불균일에 의해 영향을 받는, 서스테인펄스의 ON·OFF 타이밍, 전력회수회로 출력소자의 ON·OFF 타이밍을 최적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전력회수율의 PDP 장치마다의 산포를 저감하고, 소비전력을 평균적으로 저감할 수 있고, PDP의 동작 마진의 불균일도 향상되고, ALIS 방식이면 오방전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인접하여 교호로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뻗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어드레스전극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전극에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X서스테인회로와, 상기 제2 전극에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Y서스테인회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서스테인회로와 상기 Y서스테인회로는 상기 서스테인펄스의 변화 에지(changing edge)의 타이밍을 조정하는 위상조정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서스테인회로와 상기 Y서스테인회로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용량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진회로를 갖고, 상기 서스테인펄스의 인가를 해제할 때의 에너지를 회수하여, 상기 서스테인펄스의 다음 인가 시에 사용하는 전력회수회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X서스테인회로와 상기 Y서스테인회로는
    상기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경로와 고전위 전원선 및 저전위 전원선 사이에 접속된 제1 및 제2 출력소자와,
    상기 경로와 상기 전력회수회로의 접속상태를, 상기 전력회수회로로부터 상기 경로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제3 출력소자와, 상기 경로로부터 상기 전력회수회로로 전력을 회수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제4 출력소자와,
    상기 제1 내지 제4 출력소자를 구동하는 제1 내지 제4 드라이브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위상조정회로는 상기 제3 출력소자가 ON이 된 후로부터 상기 제1 출력소자가 ON으로 될 때까지의 시간차, 및 상기 제4 출력소자가 ON이 된 후로부터 상기 제2 출력소자가 ON으로 될 때까지의 시간차를 조정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조정회로는 상기 제1 내지 제4 드라이브회로의 전단에 각각 설치한 제1 내지 제4 위상조정회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2 전극의 한 쪽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전극으로 제1 표시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전극의 다른 쪽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전극으로 제2 표시라인을 형성하고, 1화면의 표시필드를 복수의 서브필드로 구성하고, 표시를 행하는 서브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 표시를 행하고,
    상기 X서스테인회로는 상기 제1 전극의 홀수번째의 전극에 상기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제1 X서스테인회로와, 짝수번째의 전극에 상기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제2 X서스테인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Y서스테인회로는 상기 제2 전극의 홀수번째의 전극에 상기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제1 Y서스테인회로와, 짝수번째의 전극에 상기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제2 Y서스테인회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X서스테인회로와, 상기 제1 및 제2 Y서스테인회로는 각각 상기 위상조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X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와, 상기 제1 또는 제2 Y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의 상승 타이밍 또는 하강 타이밍의 차, 및 상기 제2 X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와, 상기 제1 또는 제2 Y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의 상승 타이밍 또는 하강 타이밍의 차가 소정치 이하로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치는 ±30ns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조정회로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1 또는 제2 전극에 상기 서스테인펄스를 인가했을 때의 파형을 관찰하여 설정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인접하여 교호로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뻗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어드레스전극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전극에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X서스테인회로와, 상기 제2 전극에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Y서스테인회로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X서스테인회로와 상기 Y서스테인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소자의 신호에 대한 지연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지연시간에 따라서 분류하고,
    상기 서스테인펄스의 변화 에지의 타이밍이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분류한 회로소자의 조합을 선택하고,
    선택된 조합의 회로소자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2 전극의 한 쪽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전극으로 제1 표시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전극의 다른 쪽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전극으로 제2 표시라인을 형성하고, 1화면의 표시필드를 복수의 서브필드로 구성하고, 표시를 행하는 서브필드를 조합함으로써 계조 표시를 행하고, 상기 X서스테인회로는 상기 제1 전극의 홀수번째의 전극에 상기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제1 X서스테인회로와, 짝수번째의 전극에 상기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제2 X서스테인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Y서스테인회로는 상기 제2 전극의 홀수번째의 전극에 상기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제1 Y서스테인회로와, 짝수번째의 전극에 상기 서스테인펄스를 공급하는 제2 Y서스테인회로를 구비하고,
    회로소자의 조합을 선택할 때에는, 상기 제1 X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와, 상기 제1 또는 제2 Y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의 상승 타이밍 또는 하강 타이밍의 차, 및 상기 제2 X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와, 상기 제1 또는 제2 Y서스테인회로가 출력하는 서스테인펄스의 상승 타이밍 또는 하강 타이밍의 차가 소정치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X서스테인회로와 상기 제1 및 제2 Y서스테인회로의 회로소자를 선택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00070074A 2000-03-29 2000-11-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12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2131A JP3644867B2 (ja) 2000-03-29 2000-03-29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92131 2000-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628A true KR20010093628A (ko) 2001-10-29
KR100712023B1 KR100712023B1 (ko) 2007-05-02

Family

ID=1860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074A KR100712023B1 (ko) 2000-03-29 2000-11-2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24329B1 (ko)
EP (1) EP1139323A3 (ko)
JP (1) JP3644867B2 (ko)
KR (1) KR100712023B1 (ko)
TW (1) TW58067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72B1 (ko) * 2002-08-01 2005-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629833B1 (ko) 2004-05-18 2006-09-29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용량성 부하 구동 회로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24675B1 (ko) * 2004-11-19 2007-06-04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용량성 부하 구동 회로
KR100860688B1 (ko) * 2002-03-26 2008-09-26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구동 회로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96049B1 (ko) * 2006-10-12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4867B2 (ja) * 2000-03-29 2005-05-11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15087A (ja) * 2001-01-19 2002-07-31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031971B2 (ja) * 2001-12-27 2008-01-09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パワーモジュール
JP4268390B2 (ja) * 2002-02-28 2009-05-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JP4299497B2 (ja) 2002-05-16 2009-07-22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駆動回路
KR100489876B1 (ko) * 2002-06-29 2005-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09602B1 (ko) * 2002-09-27 2005-08-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온도에 기인한 펄스 왜곡이 보상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의 구동 방법
JP2004274719A (ja) * 2003-02-18 2004-09-30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プリドライブ回路、容量性負荷駆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4480341B2 (ja) * 2003-04-10 2010-06-16 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51051B1 (ko) * 2003-11-27 2006-0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
KR20050081012A (ko) * 2004-02-12 2005-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KR20050112862A (ko) * 2004-05-28 2005-12-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JP2006047953A (ja) 2004-06-28 2006-02-16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半導体集積回路、駆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017990A (ja) 2004-07-01 2006-01-19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表示装置の動回路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058799A (ja) * 2004-08-24 2006-03-02 Fuji Electric Device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駆動用集積回路
KR20080048893A (ko) * 2006-11-29 2008-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171643A (ja) * 2009-01-21 2010-08-05 Toshiba Corp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378930B2 (en) * 2009-03-05 2016-06-28 Applied Materials, Inc. Inductively coupled plasma reactor having RF phase control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4811501B2 (ja) * 2009-06-26 2011-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容量性負荷駆動回路、液体噴射装置及び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7047A (en) * 1976-03-29 1978-01-03 Owens-Illinois, Inc. Circuit and method for generating gray scale in gaseous discharge panels
US4594588A (en) * 1983-03-07 1986-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lasma display margin control
JPH04181809A (ja) 1990-07-23 1992-06-29 Fuji Electric Co Ltd 集積回路装置の負荷駆動回路
KR950003132B1 (ko) * 1992-03-26 1995-04-01 삼성전관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구조 및 구동방법
JP2770657B2 (ja) 1992-06-09 1998-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駆動装置
JP3279704B2 (ja) * 1993-03-19 2002-04-30 富士通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JP2891280B2 (ja) 1993-12-10 1999-05-17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2888176B2 (ja) 1995-07-14 1999-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駆動方法
US6373452B1 (en) 1995-08-03 2002-04-16 Fujiitsu Limited Plasma display panel, method of driving same and plasma display apparatus
JP2801893B2 (ja) 1995-08-03 1998-09-21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5642018A (en) * 1995-11-29 1997-06-24 Plasmaco, Inc. Display panel sustain circuit enabling precise control of energy recovery
TW369674B (en) * 1996-05-15 1999-09-11 Daihen Corp Plasma processing apparatus
JP3672669B2 (ja) 1996-05-31 2005-07-20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
KR100222203B1 (ko) 1997-03-17 1999-10-01 구자홍 AC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에너지 리커버리(recovery) 서스테인 회로
JP2771527B2 (ja) * 1997-03-28 1998-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及び表示部駆動用回路
US6160530A (en) * 1997-04-02 2000-12-12 Nec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JP2976923B2 (ja) 1997-04-25 1999-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容量性負荷の駆動装置
JP3633761B2 (ja) 1997-04-30 2005-03-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
JPH11327505A (ja) 1998-05-20 1999-11-26 Fujitsu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FR2763735B1 (fr) 1997-05-22 1999-08-13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Etage de sortie de puissance pour la commande de cellules d'ecran a plasma
JP3897896B2 (ja) * 1997-07-16 2007-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H11282416A (ja) 1998-01-30 1999-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回路、そ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EP1078393A4 (en) 1998-04-13 2005-04-13 Emcore Corp MODULAR GLASS HISTORY SOLAR CELL ARRANGEMENT
JP4240163B2 (ja) 1998-05-21 2009-03-18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420938B2 (ja) 1998-05-27 2003-06-30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KR100277407B1 (ko) * 1998-06-30 2001-01-15 전주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텔레비전의 전력 회수방법 및 그 회로
TW527576B (en) * 1998-07-29 2003-04-11 Hitachi Ltd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and discharge type display apparatus
JP3630290B2 (ja) * 1998-09-28 2005-03-16 パイオニア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KR20010028539A (ko) * 1999-09-21 2001-04-06 구자홍 에너지 회수 장치
JP3644867B2 (ja) * 2000-03-29 2005-05-11 富士通日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688B1 (ko) * 2002-03-26 2008-09-26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구동 회로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72372B1 (ko) * 2002-08-01 2005-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629833B1 (ko) 2004-05-18 2006-09-29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용량성 부하 구동 회로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24675B1 (ko) * 2004-11-19 2007-06-04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용량성 부하 구동 회로
KR100896049B1 (ko) * 2006-10-12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8026870B2 (en) 2006-10-12 2011-09-27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9323A3 (en) 2003-09-10
KR100712023B1 (ko) 2007-05-02
JP3644867B2 (ja) 2005-05-11
JP2001282181A (ja) 2001-10-12
TW580676B (en) 2004-03-21
US7224329B1 (en) 2007-05-29
EP1139323A2 (en) 200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0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483251B2 (en)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US6784859B2 (en) Plasma display drive method
JP4269133B2 (ja) Ac型pdpの駆動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7642993B2 (en) Driving method of plasma display panel
US7053869B2 (en) PDP energy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and high speed addressing method using the same
US7580050B2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50168410A1 (en) Drive circuit and drive method
US200400853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US20040001036A1 (en) Method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US6842159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US6281635B1 (en) Separate voltage dr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lasma display panel
US200201406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AC type PDP
US20050219158A1 (en) Plasma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H11344948A (ja)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KR20040089465A (ko) 용량성 부하 구동 회로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008249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50264488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2003959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002277A1 (en) Plasma display panel device
US70156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capacitive load, and processing program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for driving capacitive load
JP417253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US20060044225A1 (en) Plasma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70008246A1 (en) Plasma display and a method of driving the plasma display
JP200415755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