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738A - 그릴 - Google Patents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738A
KR20010089738A KR1020017008319A KR20017008319A KR20010089738A KR 20010089738 A KR20010089738 A KR 20010089738A KR 1020017008319 A KR1020017008319 A KR 1020017008319A KR 20017008319 A KR20017008319 A KR 20017008319A KR 20010089738 A KR20010089738 A KR 20010089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wall
charcoal
steel plate
charco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쯔 회플러
Original Assignee
추후기재
이베게 이모빌린 운트 바우엘레멘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기재, 이베게 이모빌린 운트 바우엘레멘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추후기재
Publication of KR20010089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7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으로 굽혀진 부위(22,24)가 바람직한 측방향 외벽(14, 16)을 가진 케이싱, 그 밑에 기름받이용기와 외측목탄 용기(32)가 위치한 그릴래크(Grill rack)(broiler 또는 oven)를 포함하는 그릴(10)에 관한 것이다. 케이싱을 냉각시켜주기 위하여 목탄 용기는 측방향 외벽(14,16,22,24)과 공기순환 후드(hood)(66,68)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다.

Description

그릴{Grill}
이에 상당한 목탄용 그릴은 DE 297 15 854 U1에서 인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경사져 뻗어 있는 케이싱벽으로부터 케이싱의 내측에 뻗어 있는 벽이 나와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가열공기 유도채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위로 목탄 용기를 관류하고 작렬하는 목탄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의 대부분이 전달된다. 이로 인하여 케이싱의 외면은 연소의 우려가 생길 수 있는 주위에서 가열된다.
그릴 대상물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설치된 목탄 용기를 가진 그릴은 예컨대 US 3,743,838, WO 87/05197, US 2,891,465 및 DE 195 15 080 A1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그릴이 수평으로 안내되고 그쪽에서 그릴 구동모터에 의하여 그쪽에서 그릴꽂이로부터 나온 기어와 물려 있는 구동이 가능한 구동체인을 가진 걸이로 되어 있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DE 297 15 564 U1). 이에 따르는 구울 대상물을 자동회전시켜 주기 위하여 사용할 걸이 또는 회전장치는 또한 DE 78 18 174 U1, DE 88 17 19 U1, DE 29 33 603 A1 또는 FR 2 722 966 A1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그쪽에 특히 각각 외측으로 굽혀진 부위를 가진 측방향 외벽을 가진 케이싱, 그의 하부 또는 이러한 고정된 평면을 따라 뻗어 있는 수직돌기에 의하여 설치된 기름받이 용기와 측면으로 이러한 수직돌기에 의하여 설치된 목탄 용기 및 목탄 용기 위에 그릴격자에 경사져 뻗어 있는 선회할 수 있는 측방향 외벽의 벽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그릴 특히 목탄용 그릴에 관한 것이다.
도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부분적으로 절취한 그릴의 측면도:
도 2는 안내강판의 측면도;
도 3은 안내강판의 목탄 용기의 측면상세도;
도 4는 도 3의 목탄 용기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르는 목탄 그릴에 설치 가능한 걸이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르는 꽂이 없는 걸이의 종측내벽도;
도 7은 도 5에 따르는 꽂이 없는 걸이의 측면도;
도 8은 걸이의 변경 실시예;
도 9는 도 8에 따르는 걸이의 측면도.
본 발명에 있어서 그릴 특히 서두에 언급한 기술의 목탄 그릴을 최적의 그릴결과를 실시하는 데 있어서 외벽이 바람직하지 않은 범위로 가열되지 않도록 개선하기 위한 문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동시에 그릴은 구조상 간단하게 제작되어야 하며 문제없이 목탄 용기를 보충할 수 있어야 한다.
발명에 따라서 본 문제는 목탄 용기는 본질적으로 안내강판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 안내 캡에 둘러싸여 있으며 이는 목탄 용기를 측방향 외벽에 대하여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차단시킴으로서 해결된다.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이라는 의미는 이 때 외벽이 목탄 용기에 대하여 공기 안내 캡이 수직은 물론이고 수평돌기에서 그릴의 외벽 부에 대하여 목탄 용기를 충분히 가리지 않고도 외벽이 목탄 용기에 대하여 충분히 차단되어 있다는 것이다. 공기 안내 캡은 이에 따라서 또한 다만 본질적으로 목탄 용기의 상부 변부위로부터 나와서 그릴 받침쇠의 방향으로 뻗어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특히 공기 안내 캡은 외면을 따라서 목탄 용기밑을 지나는 제1 안내강판과 목탄 용기를 상부로 덮고 있으며 그릴 받침쇠에 대하여 경사져서 지나는 동시에 선회 가능한 벽부에 따라서 뻗어 있는 제2 안내강판으로 구성되어있다. 제2 안내강판은 그쪽으로 관통 공을 가진 중간벽 또는 이의 프레임에 연결 가능하다.
특히 목탄 케이지와 같은 목탄 용기로부터 그릴 받침쇠에 대하여 경사져지나는 외벽을 따라서 뻗어 있는 제2 안내강판은 2중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안내강판은 특히 5 내지 15mm 그 중에서도 특히 약 10mm거리를 두고 있는 2개의 평행 또는 추가로 평행하게 서로 마주하며 지나는 안내강판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당하는 채널을 통하여 열의 완충작용을 하는 배후환기 또는 공기순환이 발생한다.
추가로 외벽은 목탄 케이지의 높이로부터 시작하여 수직 또는 주로 수직으로 지나는 외벽 하부에 이르기까지 동시 2중벽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추가 절연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조치에 의하여 모두 이에 따라서 그 중에서도 특히 목탄 케이지를 통하여 외벽 및 측별 부위를 차단하는 안내강판 또는 커버 및 특히 감안된 2중벽에 대하여 케이싱의 가열은 연소의 위험이 차단되어 있는 주위에서 감소된다. 이리하여 목탄 그릴 케이싱은 다만 기껏해야 약 50 내지 60℃로 가열된다. 이에 반하여 선행기술에 의한 이에 상당한 목탄 그릴은 즉시 300℃에 이른다.
채널과 관류하는 2중벽은 배후환기 또는 뜨거운 공기 커튼 역할을 한다.
2중벽은 이 때 2중벽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강판이 바닥 측으로 서로 거리를 두고 있으며 헤드 쪽으로는 서로 겹치며 이러한 영역에 관통구멍이 있게 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동시에 냉각작용을 하는 공기유동이 2중벽내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점에 의하여 케이싱 외벽과 마주하고 있는 목탄 용기는 공지되어 있는 선행기술과는 달리 목탄 용기를 관류하는 공기는 직접 케이싱 측벽에 도달하지 않도록 공기 안내 캡을 거쳐서 즉 제1 및 제2 안내강판을 차단한다. 이로 인하여 이의 절연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케이싱벽의 바람직하지 않은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환언하면 케이싱 외벽은 목탄 용기영역에서 거의 2중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선회 가능한 외벽부를 가지고 있어서 이에 의하여 목탄 용기에 접근이 용이하며 일반적으로 커버 역할만하고 차단 역할을 하지 않는다.
목탄 용기가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외벽에 대하여 차단이 되어 있을지라도 목탄 용기 위를 지나는 제2 안내강판은 선회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체인과 같은 유연한 요소에 의하여 측벽의 선회 가능한 부위와 연결되어 있음으로 특히 목탄을 목탄 용기에 문제없이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그릴 받침쇠의 영역을 지나는 축주위로 선회 가능한 그릴 받침쇠에 대하여 경사져 지나는 벽이 올려지면 이에 따라서 벽과 제2 안내강판사이에 존재하는 특히 체인의 형태로 결합에 의하여 후자가 함께 선회됨으로 목탄 용기가 접근 가능함에 따라 목탄을 보충할 수가 있다.
제1의 외벽측 영역에 따르고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목탄 용기의 바닥 영역에 따라 지나는 안내강판은 외벽에 대하여 뜨거운 공기의 동시 차단 시에 목탄 용기를 통하여 공기의 적당한 공급을 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제1 안내강판 또한 전면에서 목탄 용기를 따라 뻗어 있다. 그의 대안으로 목탄 용기의 전면은 강판과 같이 이로부터 나오는 폐쇄된 용기에 의하여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공기 안내 강판과 케이싱 외벽사이에는 환기 채널이 형성되어 있다. 채널의 최적인 연돌 효과를 이루기 위하여 관류하는 공기를 이것의 밑에서와 목탄 용기영역에서 이의 위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고 있다.
제2 안내강판은 캡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릴의 내부에 이르기까지 열려 있음으로 그릴 받침쇠에 뜨거운 공기를 적당히 유동시킬 수가 있다. 동시에 한편으로 그릴 케이싱의 측벽 그 자체는 뜨거운 공기에 대해서는 물론이고 목탄으로부터 직접 복사된 열에 대하여 보호된다. 또한 그릴의 전면벽은 한쪽에서 캡형 제2 안내강판에 의하여 또 한 측에서는 목탄 용기의 전면의 커버에 의하여 차단된다.
중간벽 그 자체는 특히 인장 철망 강판(expanded metal)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이를 포함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뜨거운 공기는 불시에 불꽃이 구울 대상물에 도달할 우려 없이 요구되는 범위 내에서 그릴 받침쇠에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간벽 그 자체는 특히 목탄 용기영역 및 높이에 뻗어 있으며 각 목탄 용기는 그릴 받침쇠밑의 영역이 목탄 용기에 대하여 차단되어 있도록 중간 벽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중간 벽이 거의 또는 대략 거의 이르도록 케이싱의 전체높이위를 지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관계없이 각각의 중간 벽은 그릴 받침쇠앞에 전개된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뻗어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독자적인 창안에 따라서 감안된 점을 들면 그릴 받침쇠에 세울 수 있거나 또는 이를 대치하여 구동에 의하여 구동이 가능한 이의 기어와 같은 그릴꽂이 도는 부위와 물리는 체인을 가진 걸이가 설치가능하며 이는 디플렉션 롤러(deflection roller)에 의하여 그쪽에서 평행하게 서로 마주 대하여 지나는 종측걸이벽에 이르고 있다. 이와 동시에 감안된 점을 들면 적어도 평행하게 서로 마주대하여 지나는 종측벽중의 어느 하나는 적어도 체인의 지지를 구성하는 다른 종측벽의 방향에 따라 굽혀진 부분을 가진 단면을 가지며 특히 내측의 종측벽이 평행하게 서로 마주 대하며 걸이의 상부변에 대하여 평행하게 전개되어 있는 평면을 지나며 다른 종측벽 방향에 따라서 상하체인부의 지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굽혀져 있다. 이와 동시에 이 지지는 측벽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점에 의하여 간단한 조치로 체인의 안전한 가이드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적어도 상부지지는 서로 마주 대하여 떨어져 잇는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체인이 지지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 그릴꽂이에서 나온 피니언 또는 기어가 체인 자체와 물려있어서 안전한 결합이 되어 있다.
적어도 디플렉션 롤러중의 어느 하나는 조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서 체인고정요소의 기능이 발휘된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기어와 같이 디플렉션 롤러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적어도 외측 종측벽중의 상부변로부터 받침쇠 역할을 하는 홀더에 물려있는 그쪽에서 케이싱이 걸이측 돌출부와 함께 하는 구동에 의하여 작동이 가능한 축이 나와 있다. 이로 인하여 전동모터의 간단한 고정이 가능하며 구동의 케이싱 자체는 측벽에서 자체 회전하는 체인에서 안전하게 유지된다 왜냐하면 케이싱은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같이 회전하려하나 받침쇠와 돌출부와 물릴 경우에는 더 동시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원하는 안전이 이루어진다.
기타 다수의 걸이를 중첩 배치시킬 수가 있으며 각 걸이의 체인은 모두가 유일한 구동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에 대하여 걸이 중의 어느 하나에 전동모터가 고정되며 그의 구동축은 구동이 나와 있는 걸이의 체인을 구동할 뿐 아니라 걸이를 따라 추가로 외부를 지나는 체인 또는 프레임과 같은 구동요소에 의하여 추가체인의 구동을 보장한다. 이와 동시에 또한 굽는 과정에 대한 단점의 고려해야 할 필요 없이 3개의 걸이를 서로 겹쳐서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타 상세한 내용, 장점 및 특징은 청구항, 자체 및 / 또는 결합에 대한 이를 인용할 특징뿐만 아니라 인용하는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의 다음 명세로부터도 나타나 있다.
도 1의 측면도에 목탄 그릴(10)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전면벽(12) 및 측벽(14, 16)으로 구성되어 있는 케이싱이 밑벽(20)으로 둘러싸여 있다. 측벽(14, 16)은 단면에서 제형 또는 원형단면을 가진 외측으로 굽혀진 영역(22,24)을 가지고 있다. 각 측벽(22, 28)의 각각 측벽(12)의 상부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부분(26,28)은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실시예에는 힌지(30)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부분(26, 28)은 케이싱의 상부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그릴 받침쇠의 측벽측변에서 측벽(14, 16)에 대하여 평행한 축주위로 회전이 가능하다. 돌출부(22, 24)내 또는 그의 영역에서 목탄 용기(32)는 목탄을 수납하기 위하여 배치되어 있다.
단면의 외측으로 둘출한 제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진 영역(22, 24) 밑에 측벽(14, 16)은 서로 평행하며 수직이다. 이에 대한 측벽부위는 참조기호(23, 25)를 가지고 있다. 바닥(20)에는 재받이(27)가 있는데 케이싱에서 뺄 수 있다. 재받이(27) 상부와 이에 평행하게 기름받이(29)가 설치되어 있다. 목탄 용기(32)로부터 떨어지는 재가 재받이(27)에 도달되도록 바닥에 이르는 외보로 돌출한 부분(22, 24)이 안내부(35,37)에 의하여 재받이(27) 위의 그의 단부가 한편 기름받이(29) 밖을 지나도록 안쪽으로 경사(31, 33)가 걸려 있다.
기름받이(29)도 축의 아래 걸림이 방해받지 않도록 이것은 안내요소(35,37)에 대하여 충분히 떨어져 있다. 이로 인하여 재가 용도에 따라 전적으로 재받이(27)에 이르고 기름이 전적으로 기름받이(29)에 이른다.
목탄 용기(32)는 케이지로 구성되어 있어서 서로 마주하여 아래로 나란히 용접되어 있는 스트립(strip)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예컨대 바로 참조기호(34, 36)로 감안되어 있다. 케이지(32) 자체는 아래 측의 단면이 제형이고 헤드 측의 단면이 사각형인 부분(38 또는 40)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케이지(32)는 외측경계(42)를 가지고 있어서 외측으로 지나는 부분(22, 24)의 외벽(46, 48)의 대략 연장에서 측벽(14, 16)에 대응하고 있다. 케이지(32)의 횡스트립(50,52)의 2개는 후크로 구성되어 있어서 중간벽(58)의 프레임(54,56)에 걸릴 수 있다. 중간벽(58, 60)은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프레임(54, 56)에 의하여 고정된 인장철망강판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목탄 케이지(32)는 케이싱의 내측(62)에 대하여 불꽃차단이 된다.
전면벽(12)과 측벽(14, 16)에 의하여 둘러싸인 케이싱의 헤드부위에는 목탄받침쇠가 설치 가능하여 이는 전면벽(12)에 존재한 홈(64)에 의하여 높이조정이 가능하다.
측벽(14, 16)의 과열을 허용하지 않도록 각각의 돌출부(22,24)를 지나는 목탄 케이지(32)는 안내강판(66,68)에 의하여 이와 차단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안내강판(66)중의 하나는 목탄 케이지(12)위를 지나며 각각의 프레임(54, 56)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54, 56)으로부터 부분(70)을 허물수 있다 제2 안내강판으로도 표시할 수 있는 차단(66)의 측벽(72) 돌출부에 삽입 가능하다. 반대로 레그(70)로부터 핀형 돌기가 나올 수 있어서 레그(72)의 이에 대응하는 홈(74)에 물린다. 이에 의하여 안내강판(66)은 축주위로 회전이 가능하며 이는 힌지(30)에 의하여 미리 부여된 축에 대하여 평행하다. 기타 안내강판(66)은 체인(76) 또는 동일한 작용을 하는 요소에 의하여 측벽(14, 16)의 선회가능부분(26)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선회가능한 부분(26)이 들어올려지면 안내강판(66)은 목탄 케이지(32)가 자유로이 접근 가능하도록 함께 선회된다.
안내강판(66)의 측벽(72)은 선회축영역에 홈(78)을 가지고 있어서 그 안에 중간벽(58, 60) 또는 프레임(54, 56)이 지난다.
도 2의 측면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안내강판(66)은 케이지의 종방향에 따라서 이러한 위측으로 완전히 커버하는 폐쇄면 특히 한쪽으로 각도를 이루는 강판(80)의 형태인 폐쇄면을 가지고 있다. 이와 동시에 목탄 케이지(32)의 방향에 따르는 케이싱 인근의 단부(82)와 이로부터 떨어져 있는 그릴 받침쇠 방향의 단부(84)가 각을 이루고 있다. 폐쇄 전면벽(72) 및 폐쇄면(80)에 의하여 목탄 케이지(32)는 위측으로 캡에 의하여 거의 덮히며 이로 인하여 목탄 케이지(32)를 관류하는 공기는 측벽(14)이 목탄 케이지(32) 위 즉 선회가능한 부분(26, 28) 영역에서 충격을 받음이 없이 목탄 받침쇠의 방향으로 방향설정이 되어 안내된다. 안내강판(66)은 전개된 종측 프레임(8)영역에서 목탄 케이지(32)상에서 추가의 고정수단이 필요 없이도 지지 가능하다.
기타 목탄 케이지 즉 이의 외측면(72, 74)을 따르고 영역적으로 이러한 하측에 따라 지나는 제2 안내강판(68)은 측벽(14, 16)의 영역(22, 24)의 기타 양측에근접해 있는 벽부위에 대하여 차단이 이루어진 결과 이러한 영역에서도 차단이 이루어진다.
안내강판(66, 68)은 이에 따라서 측벽(14)의 돌출부(22)에 의하여 외측으로 한계가 되어 있는 채널을 제한한다. 채널은 아래 측에서 케이지(32) 아래에 있는 구멍(86)에 의하여 접근이 가능함으로 채널을 통하여 외벽(22, 24)은 허용할 수 없는 가열을 차단하도록 열적으로 분리된다. 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의한 최적의 연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것은 목탄 용기(32)의 아래 영역에서 이로부터 상부로서 작은 단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목탄 케이지를 따라 뻗어 있는 공기순환장치(화살표 83)가 이루어져서 제2 안내강판(66)의 케이지 측편을 따라서 지속된다(화살표 85).
도 1에 따르는 원리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목탄 케이지(32)의 전면도 닫혀 있다. 이것은 강판요소(88, 90)에 의하여 목탄 케이지(32)에서 직접 나오도록 할 수 있다.
목탄 케이지(32) 내의 목탄 열원에 대한 케이싱 외부의 열 차단은 특히 한편으로 선회가능 목탄 케이지측의 안내강판(66)이 이중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즉 2개의 평행하여 서로 마주하고 있는 강판요소(67,69)가 구성되어 있어서 특히 서로간에 약 10mm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이로 인하여 강판(67, 69)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79)에서 공기는 추가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유동한다. 이러한 강판(67, 69)사이를 지나는 채널(79)은 공기가 공급되어서 기타 안내강판(68)과 외부로 돌출한 부분(22,24)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채널(77)로 유동한다(도 1 및 도 3에서 좌반측의 파선). 이와 동시에 추가로 목탄 케이지(32) 영역내의 측벽(22, 24)부는 즉 이로부터 측면 및 이의 하부로 도 1의 좌부분과 같이 2중벽으로 구성된다.
환언하면 측벽(22, 24)은 그의 중간영역에서 대략 수직인 부분(73, 75) 및 수직인 하부측부분(23, 25)으로 뻗어 있는 부분(31, 33)이 2중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강판(71)과 외벽 사이에의 간격은 약 10mm 정도가 되어야 한다. 내강판(71)과 외벽(34)의 부분(31) 사이의 공간은 아래 측으로 열려 있으며 헤드 측에서는 공기 유출구(81)를 제외하고는 폐쇄되어 있다.
모든 이러한 조치로 인하여 케이싱은 50 내지 60℃의 최대 열을 받으며 이에 대하여 선행기술에 따르는 온도는 350℃의 큰 범위로 측정되어서 그릴이용자에게 위험스럽다. 선회 가능한 벽부위(26, 28) 또는 프랩은 일반적으로 더욱더 차폐 역할을 한다.
제2의 선회가능 안내강판(66)의 채널(79)에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채널(77)에 단면이 아래 측이 헤드 측보다 커야 함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도 5 내지 7에서 걸이의 여러 가지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특히 꽂이(160, 162)를 자동으로 돌릴 수 있도록 그릴(10)의 구멍이나 또는 그릴 받침쇠상에 설치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더욱 많은 꽂이(158)를 서로 겹쳐서 설치 가능하다. 기타의 걸이는 근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음으로 간단히 하기 위하여 또 한편 이하 걸이(158) 중의 한가지 특징만을 기술한다.
걸이(158)는 종방향의 2중벽(166,168)의 사각형 프레임(164)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공간(170)을 제한하며 기어(174, 176)와 같은 조정롤러에 의하여 특히공업용 체인(172)내에서 구동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기어(176)로부터 전동모터(180)에 의하여 연결된 축(178)이 나와 있다. 작동이 가능한 전동모터(180)는 그쪽에서 앞부분(184)을 포함한 케이싱(182)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그쪽으로 돌출부(186)가 나와 있어서 외벽(168)의 부분(188)과 같이 이에 대응하는 홀더에서 물려 있다. 이로 인하여 모터 케이싱(182)의 비틀림 방지가 됨으로 소요되는 방향에 따라서 체인(172)이 이동 가능하다.
도 6에는 2중벽의 내측 종방향 측벽(166)의 배면이 도시되어 있다.
벽(166)은 외측 종방향 측벽(166)의 방향에 따라 굽혀진 변(194, 196, 198, 100)과 함께 다수의 사각부분(190,192)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은 공동의 특히 수평면을 지나고 있다. 부분(194, 196, 198, 100)은 이 때 체인(172)의 상하부(102, 104)의 지지를 형성한다. 각도를 이루는 노치(notch)(194, 196, 또는 198, 100)의 길이는 체인(172)의 이상 없는 안내가 보장되도록 종방향 측벽(166, 168) 사이의 내측거리와 동일하다.
체인(172)이 지지되어 있는 영역에는 종방향 측벽(186)의 상부 변으로부터 나와 있는 그릴꽂이(160, 162)가 삽입 가능한 수납부(106, 108)가 있다. 이와 동시에 각각의 그릴꽂이(160, 162)는 그의 물리는 측단부에 기어(110,112)와 같은 고정캐리어를 가지고 있어서 수납부(106, 108)에 얹힌 그릴꽂이(162,160)는 체인(172)에 의하여 그릴꽂이(160, 162)가 요구범위내에서 회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걸이(158)의 횡측벽(114, 116)은 종방향 측벽(166)보다 높으며 상변(118)에는 받침쇠가 삽입 가능한 부분(120, 122)을 가지고 있다.
그릴(10)에 한 개 이상의 걸이가 배열되는 한 이의 체인은 공동구동에 의하여 작동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앞서 명시되어 있는 방법으로 걸이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한 전동모터가 시초로 당해 걸이의 체인에서 뿐만 아니라 기타 체인 또는 프레임에 의하여 기타 체인의 구동휠과 연결되며 이는 일반적으로 즉 걸이가 자체 구비되고 전동모터와 연결되어 있을 때에 한한다.
도 8과 도 9에는 걸이(200)의 대안이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그의 종방향 측벽(166, 168)은 -도 5 내지 7의 실시예의 경우처럼- 외벽(168)이 폐쇄되어 있으며 내벽(166)은 외벽(168)의 방향에 따라 궁형인 부분(202, 204)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서로 마주 대하여 평행하며 체인(172)의 상하부에 대하여 평행이다. 이와 동시에 외벽(168)의 방향에 따라 굽혀진 부분(202, 204)은 체인(172)의 상하부분(102, 104)의 지지 역할을 한다. 또한 조정롤러 중의 어느 하나는 -도 6과 도 8의 실시예에서 우측 조정롤러(206)로서- 체인(172)을 조일 수 있도록 가변적(2중화살표 208)으로 구성되어 있다.

Claims (38)

  1. 그릴 특히 목탄 그릴(10)는 측면의 특히 각각 외측으로 굽혀진 영역(22, 24)을 가지고 있는 외벽(14, 16), 그릴 받침쇠, 이것의 또는 이것에 의하여 고정된 평면을 따르는 수직돌기 밑에 설치되어 있는 기름받이 및 -케이지와 같이 측면으로 이러한 수직돌기에 의하여 설치된 목탄 용기(32) 및 이의 내면에 따르고 이러한 안내강판(66)에 거리를 둔 목탄 용기 위에서 그릴 받침쇠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선회 가능한 측벽의 벽부(26,28)를 포함하는 그릴에 있어서,
    목탄 용기(32)는 안내강판(66)을 둘러싸고 있는 하나의 공기 안내 캡(66,68)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으며, 이 안내강판은 목탄 용기를 적어도 측방향 외벽(14, 16, 22, 24)에 대하여 목탄 용기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캡(66, 68)은 측방향 외벽(14, 16, 22, 24)에 대하여 목탄 용기(32)를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캡은 목탄 용기(32)의 외벽면에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의 밑에 있는 제1 안내강판(68) 및 목탄 용기를 위측으로 덮고 있는 선회 가능한 제2 안내강판(66)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2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목탄 용기(32) 위에 따르는 안내강판(66)이 2중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강판(66)은 2개의 평행 또는 또한 병렬로 서로 마주하는 강판요소(67,69)를 포함하며, 이것은 특히 5<x<15mm 그 중에서도 특히 x는 대략 10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안내강판(66)은 관통구멍을 가지는 중간벽(58,66) 또는 프레임(54, 66)에 이것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강판(66)은 측방향 외벽(14, 16)의 경사져 선회 가능한 벽부분(26,28)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강판(66)은 체인(76)과 같은 유연한 요소에 의하여 선회 가능한 벽부분(26, 28)과 연결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탄 용기(32)는 그릴(10)의 케이싱내 또는 주로 측방향 외벽(14, 16)의 돌출부(22, 24) 영역의 그릴 케이싱내에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벽(58, 60)은 인장금속조직으로 되어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벽(58, 60)은 수직 또는 그릴 받침쇠에 의하여 고정된 평면에 대하여 주로 수직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벽(58,60)은 그릴(10)의 바닥(20)에 대하여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벽(58, 60)은 일반적으로 케이싱의 측방 돌출부(22, 24) 영역에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탄 용기(32)는 예컨대 강판(88, 90) 위에서 앞벽측으로 덮여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제1 안내강판(68)은 채널(77)의 경계를 구성하며 측벽부분(14, 16) 또는 그의 돌출부(22,24)로부터 측면으로 제한을 받으며 또는 돌출부에 대하여 평행하고 이와 거리를 둔 강판요소(71)가 제한을 받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방향 외벽(14, 16)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목탄 용기(32)의 영역 내에서 2중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릴(10)의 측방향 외벽(14, 16)의 외부로 돌출한 부분(12, 24)은 적어도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바닥부분에 대하여 경사져 뻗어 있는 영역(31, 33, 73, 75)에서 2중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중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돌출부(22, 24)의 내벽은 강판요소(7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판요소(71)는 돌출부(22, 24)의 외벽에 대하여 바닥 측으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그릴.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판요소(71)는 헤드 측에서 외벽(14,16)으로 돌출되고 상부영역에서 공기출구(81)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77)은 제1 안내강판(66)과 측방향 외벽(14, 16) 사이에서 목탄 용기(32) 아래와 그릴(10)의 케이싱의 종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77)은 목탄 용기(32) 영역에서 목탄 용기 밑에서 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중벽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2 안내강판(66)은 공기유동채널(79)을 제한하며 여기에 제1 안내강판(66)에 의하여 제한을 받는 채널(77)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안내강판(65)은경사져 선회 가능한 벽부분(26, 28)을 따라서 뻗어 있는 제1부분(80) 및 2개의 이에 수직으로 뻗어 있는 전면부(72)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탄 용기의 전면측 영역내 또는 어느 정도 이의 영역으로 넘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탄 용기(32)는 중간벽(58, 60)과 풀릴 수 있거나 또는 그의 프레임(54, 56)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목탄 용기(32)는 후크형 부분(50, 52)을 가지고 있으며 그 안에 프레임(54, 56)이 부분적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54, 56)으로부터 레그(leg)가 나와 있으며 여기에 공기 안내 강판 또는 제2 안내강판(66)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릴(10)의 상변에는 적어도 받침쇠(158)가 구동(180)에 의하여 구동 가능한 그릴걸이(160),172) 또는 기어(110, 112)와 같은 이의 부분과 함께 설치가능하며 이는 받침쇠의 평행하여 서로 마주하는 종방향 받침쇠벽(166, 168) 사이에 들어 있으며 적어도 받침쇠(158)의평행하여 서로 마주하는 종방향 측벽(166, 168)은 다른 종방향 측벽 방향을 따라 굽혀진 한편 내에 뻗어 있는 부분(194, 196, 198, 100)과 함께 노치(notch)(190, 192)와 같은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체인(172)의 지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방향측벽(166, 168)으로부터 2개의 평행하여 서로 마주하여 뻗어 있는 궁형부분이 시작되며 이는 체인(172)의 상하부분(102, 1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받침쇠(158)는 서로 겹쳐 배열되어 있으며 그의 체인(172)은 공동구동에 의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194, 196, 198, 300)는 종방향 측벽(166, 168) 사이에서 동일 또는 대량 동일한 간격인 거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인(172)의 상부분(102)을 지지하고 있는 지주는 다수의 종방향에 따라 서로 마주하여 거리를 둔 부분(194, 196, 198, 10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인(172)의 지지 안된 영역에서는 그릴꽂이(160, 162)가 이와 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인(172)은 조정롤러(206)에 의하여 안내되며 이로부터 적어도 하나는 크램핑 롤러로서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방향 측벽(166, 168)의 상변으로부터 그릴꽂이(160, 163)부분과 같은 홀더가 시작되며 받침쇠(158)의 상변에 의하여 크램핑된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용기 밑에서 체인(172)이 지지됨이 없이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인(172)의 기어(176)와 같이 조정롤러에 의하여 축(178)이 유래하며 이는 구동(180)에 의하여 작동되고 그쪽에는 부착돌기(186)와 함께 케이싱(182)을 가지며 이것은 적어도 종방향 외벽(168)의 상변으로부터 존재하는 지주로서 사용되는 홀더(188)와 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인(172)은 공업용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받침쇠(158)의 횡측벽은 하변(118)으로부터 시작하는 L-형과 같은 각도 또는 반원형의 홈(120, 122)이 뻗어 있으며 이는 목탄 그릴에 얹힌 받침쇠인 경우에는 그릴의 부분 또는 그의 그릴 받침쇠 부분에 의하여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의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횡측벽(114, 116)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의 특히 2개의 L-형과 같은 각도- 또는 후크형의 홈(120, 122)이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
KR1020017008319A 1998-12-29 1999-08-28 그릴 KR200100897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823182U DE29823182U1 (de) 1998-12-29 1998-12-29 Grill
DE29823182.4 1998-12-29
PCT/EP1999/006359 WO2000038559A1 (de) 1998-12-29 1999-08-28 Gri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738A true KR20010089738A (ko) 2001-10-08

Family

ID=806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319A KR20010089738A (ko) 1998-12-29 1999-08-28 그릴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139834A1 (ko)
JP (1) JP2002533148A (ko)
KR (1) KR20010089738A (ko)
CN (1) CN1335754A (ko)
AU (1) AU5856499A (ko)
BR (1) BR9916674A (ko)
CA (1) CA2358537A1 (ko)
CZ (1) CZ20012411A3 (ko)
DE (1) DE29823182U1 (ko)
HU (1) HUP0104755A3 (ko)
MX (1) MXPA01006756A (ko)
PL (1) PL348527A1 (ko)
TR (1) TR200102323T2 (ko)
WO (1) WO2000038559A1 (ko)
ZA (1) ZA2001053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9690B3 (de) * 2008-09-23 2010-04-29 Uwe Kucharek Multifunktionsgrill
CN103125535B (zh) * 2013-02-04 2015-10-28 山东凤祥股份有限公司 一种碳烤机及食品支撑架
CN105249848B (zh) * 2015-11-12 2018-06-22 青岛旭阳炉业有限公司 一种无烟烧烤炉
CH712339A1 (de) * 2016-04-13 2017-10-13 Dkb Household Switzerland Ag Grill.
FR3067582A1 (fr) * 2017-06-20 2018-12-21 Monpuis Dispositif de combustion mobile notamment pour le chauffage exterieur et/ou la cuisson a feu vif
CN111374567B (zh) * 2018-12-29 2022-09-0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烘烤器具
KR102453403B1 (ko) * 2022-02-10 2022-10-11 신은호 다기능 구이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1465A (en) 1956-10-19 1959-06-23 Roland Melander Barbecue device
GB1343115A (en) 1970-06-08 1974-01-10 Agfa Gevaert Device for detecting irregularities in a moving material
DE7818174U1 (de) 1978-06-19 1979-11-29 Conrad, Harry, 6639 Dillingen Allgasflammengrill
JPS5542688A (en) 1978-09-21 1980-03-26 Amf Inc Hotdog grill driving apparatus
SE452094B (sv) 1986-03-07 1987-11-16 Komfortventilation Teknik Ab Grill
US4788905A (en) * 1987-06-10 1988-12-06 Kohorn H Von Combination cooking, eating and ventilating system
DE8817194U1 (de) 1988-03-22 1994-01-13 Lindemann Maschfab Gmbh Vorrichtung zum Beschicken einer Siebtrommel
US5163359A (en) * 1991-10-25 1992-11-17 Mclane Sr Jack S Cooking apparatus
FR2722966A1 (fr) * 1994-07-29 1996-02-02 Charpillon Bauduret Agnes Dispositif de cuisson pour brochettes
DE19515080C2 (de) 1995-04-28 1998-01-15 Buetow Klaus Dieter Grillgerät insbesondere mit Holzkohlefeuerung
DE29715854U1 (de) * 1997-05-30 1997-11-13 Auler Juergen Holzkohlegrill
DE29715564U1 (de) 1997-08-30 1997-11-20 Auler Juergen Aufsatz für ein Grillgerät
FR2775885B1 (fr) * 1998-03-11 2000-08-18 Gilbert Lange Appareil de cuisson du type barbec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104755A2 (hu) 2002-04-29
AU5856499A (en) 2000-07-31
HUP0104755A3 (en) 2002-05-28
BR9916674A (pt) 2001-10-16
DE29823182U1 (de) 2000-05-11
CA2358537A1 (en) 2000-07-06
JP2002533148A (ja) 2002-10-08
CZ20012411A3 (cs) 2002-07-17
MXPA01006756A (es) 2003-05-15
PL348527A1 (en) 2002-06-03
TR200102323T2 (tr) 2002-04-22
ZA200105332B (en) 2002-02-21
WO2000038559A1 (de) 2000-07-06
CN1335754A (zh) 2002-02-13
EP1139834A1 (de)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4496B2 (en) Combination smoker and barbecue pit
US9877610B2 (en) Grill
EP2849618B1 (en) Flame resistant cooking grate and cooking apparatus
NZ272978A (en) Conveyor toaster oven: conveyor has means for slackening belt for removal or installation
EP3853529B1 (en) Oven
KR20010089738A (ko) 그릴
US7117866B2 (en) Multi-faceted grill
KR101379180B1 (ko) 스마트 구이기
EP3251565B1 (en) Barbecue for cooking food
EP1444937B1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US20040173199A1 (en) Salaman grill
KR100648005B1 (ko) 전기 그릴
US5878657A (en) Device for cooking food
CA2190434C (en) Device for cooking food
JP2004222885A (ja) 調理用加熱プレート
JP4072722B2 (ja) 調理機器の過熱防止装置
JP3545272B2 (ja) ガスグリル
KR100614684B1 (ko) 숯불 구이기
US5806510A (en) Barbecue tray
US10021888B2 (en) Vertical smoker and cooker for food
JP6757216B2 (ja) フライヤー
KR200279960Y1 (ko) 테이블용 원적외선 구이 장치
KR200318141Y1 (ko) 고기 구이 장치
EP1444934B1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US20220381445A1 (en) Smokeless air-fry drip 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