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638A - 디올과 중합성 글리콜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올과 중합성 글리콜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638A
KR20010089638A KR1020017009948A KR20017009948A KR20010089638A KR 20010089638 A KR20010089638 A KR 20010089638A KR 1020017009948 A KR1020017009948 A KR 1020017009948A KR 20017009948 A KR20017009948 A KR 20017009948A KR 20010089638 A KR20010089638 A KR 20010089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omposition
composition
alkyl
mixtures
liquid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크조안나마가렛
엠블레톤게리케네쓰
휴튼하워드데이비드
캐쳐마크레슬리
새들러존데이비드
월라스데보라팬처리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89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63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84Antioxidants; Free-radical scave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C11D11/0094Process for making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e.g. slurries, pastes o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47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pH regulate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11D3/2044Dihydric alcohols linea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11D3/2048Dihydric alcohols branch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07Polyethers, e.g. polyalkylene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11D3/38618Protease or amylase in liquid composition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5Amino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0Beta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유기 용매를 혼입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세척제일 뿐만 아니라 개선된 물리적 및 효소학적 안정성과 전형적인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보다 더욱 편리한 유동성 및 취급성을 제공하는 액체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유기 디아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아민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올과 중합성 글리콜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Diols and polymeric glycols in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수동 식기 세척에 유용한 경질 액체(LDL) 또는 겔 세제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품은 다수의 다양한 성능 및 미적 성질 및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형화된다. 첫번째 및 우선적으로, 액체 또는 겔 식기 세척 제품은 세척되어질 식기류로부터 식품 오물, 특히 기름기 오물의 만족할만한 용해 및 제거를 제공하도록 특정한 종류 및 양의 계면활성제 및 기타 세척 보조제와 함께 제형되거나 상기 제품으로부터 형성된 수용액 형태로 제형된다. 따라서, 제조업자들은 LDL 세제에 추가의 성분을 혼입시켜 개선된 세정능을 갖는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계속된 노력이 있었다.
두번째, 액체 식기 세척 제품은 물리적으로 안정하며, 바람직하지 않는 불균질성을 갖지 않도록 제형화되어야 한다. 상기 "물리적 안정성"의 의미는 하나 이상의 성분이 침전(불연속상이 고체인 경우)되거나 액체와 분리(불연속상이 액체인 경우)되기 보다는 균일한 용액으로 잔존하는 액체 조성물의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유용한 세제 조성물은 불균질하지 않으며, 다양한 상이한 작용 조건 및 저장 온도 하에 안정한 것이다 - 선행 제형자들은 특히 냉온 안정성을 수득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물리적 안정성은 외관성을 강화시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를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세척 수행력을 제공하는데 필수적이다.
세번째로, 액체 식기 세척 제품은 제품을 편리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점도를 갖도록 제형되어야 한다. 따라서,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은 저장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따를 수 없을 정도로 점성이 너무 높아서는 안되며, 동시에 스폰지 또는 주방 제품의 표면에 부착되기 곤란할 정도로 너무 묽어서도 안된다. 또한,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은 적합한 "희석 프로파일"을 가져야 하며, 이는 액체 식기 세척 제품을 물을 사용하여 추가로 희석하면 조성물의 점도가 감소됨을 의미한다. 이것은 많은 전형적인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이 첫번째 희석액상에서 조성물이 더욱 점성이 되게 하여, 사용하기에 더욱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의 용해를 저해하도록 한다는 면에서 대조적이다. "용해"는 액체 식기 세척 제품의 또다른 중요한 속성이다. 용해는 액체 식기 세척 제품이 물과 혼합되는 속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세제 제품은 이의 세척 잇점이 소비자에게 즉시 유용하도록 물과 신속하게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소비자가 세탁을 하기 위해 소비해야 하는 시간이 최소화된다.
네번째, 특히 주의할 점은 액체 식기 세척 제품을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기타 세척 성분과 상호작용하여 감성되거나 분해되지 않는 효소를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효소는 단백질-기재 오물에서 개선된 세척 잇점을 제공하며, 효소를 함유하지 않는 기타 유사한 세척 조성물보다 부드러움 또는 피부 감촉/외관상 효과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식기 세척 조성물의 중요한 성분이다. 그러나, 효소가 다량의 표준 LDL성분(예: 시트르산)의 존재 하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효소를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중에 혼입시키는 것은 어렵다. 또한, 효소는 물의 존재 하에 활성화되며, 대부분의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이 액상이기 때문에, 효소는 저장중에 활성화되지 않으며, 따라서, LDL 조성물이 사용될 때까지 소비된다는 사실에 주의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탁월한 세척 잇점을 제공하며,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 걸쳐 안정한 제형을 가지고, 수동 식기 세척 작업에 유용하고 편리한 점도 및 조도를 갖는 수동 식기 세척액을 제형화하기 위한 계속적인 요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잇점은 개선된 세척 잇점뿐만 아니라, 편리한 조도 및 점도를 제공하고, 무색 및 무취이며, 광범위한 작업 온도 범위 하에서 안정하고 실용적이며, 현존하는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 제형보다 개선된 효소 안정성을 갖는 경질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이르러, 하기 기술된 바와 같은 특정 디올, 특정 중합성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양쪽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유기 디아민과 특정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면 전형적인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보다 탁월한 세척력, 기름기 제거능, 물리적 안정성, 용해성 및 유동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디올의 첨가가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의 물리적 및 효소학적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라 하기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디올은 심지어 전형적으로 특정 성분이 조성물 용액으로부터 분리되며 불균질물을 형성할 만한 높은 pH(10.0 이상) 및 낮은 온도에서도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의 물리적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들 디올은 물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서도 효소학적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들 디올은 다른 용매와 같이 식기 세척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잇점을 제공하지만, 기타 용매(예: 에탄올)와는 다르게 그들이 포함되는 식기 세척 조성물을 묽게하지는 않는다. 디올이 제형 점도를 감소시키는 데 드는 상응하는 비용없이 제형 안정성 잇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형자들은 넓은 범위의 점도에 걸쳐 식기 세척 조성물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한다.
추가로, 특히 염화나트륨 또는 기타 알칼리 금속 무기염과 배합된 특정 중합성 글리콜을 첨가하면 LDL 세제 조성물의 희석 프로파일 및 저온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첫번째 양태에 따르는 세제 조성물은 (a) pK1 및 pK2를 갖는 저분자량 유기 디아민(여기서, 아민의 pK1 및 pK2는 모두 약 8.0 내지 약 11.5의 범위이다);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c)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d) 디올, 중합성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디올은 화학식의 디올(여기서, n은 0 내지 3이며, R7은 H, 메틸 또는 에틸이고, R8은 H,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또는 이소부틸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중합성 글리콜은 화학식 (PO)X(EO)yH의 글리콜(여기서, PO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그룹을 나타내며, EO는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을 나타내고, x + y는 약 17 내지 68이며, x/(x+y)는 약 0.25 내지 1.0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10% 수용액으로서 측정한 pH는 약 5.0 내지 약 12.5이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디아민의 몰 비는 약 100:40:1 내지 약 9:0.5:1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양태에 따라, 수동 식기 세척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세제 조성물은 (a) 400g/mol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디아민 약 0.1 내지 약 5중량%;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약 5 내지 약 50중량%; (c) 양쪽성 계면활성제 약 0.5 내지 약 10중량%; (d) 효소 약 0.0001 내지 약 5중량%; (e) 디올, 중합성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매 약 0.75 내지 약 25.0중량%(여기서, 디올 및 중합성 글리콜은 본 발명의 첫번째 양태절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를포함한다. 또한, 세제 조성물은 (f) 화학식의 (N,N-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의 단독중합체(i)(여기서, 각각의 R은 수소, C1-8알킬 및 이의 혼합물이며, R1은 수소, C1-6알킬 및 이의 혼합물이고, n은 2 내지 약 6이다); 단독중합체(i)과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R1은 수소, C1-6알킬 및 이의 혼합물이다)의 공중합체(ii)[(ii):(i)의 비율은 약 2:1 내지 약 1:2이다];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 0.01 내지 약 5중량%의 중합성 거품 안정화제(iii)(여기서, 중합성 거품 안정화제는 약 1,000 내지 약 2,000,000달톤의 분자량을 갖는다)를 포함한다. 10% 수용액으로서 측정 pH는 약 5.0 내지 약 12.5이며,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디아민의 몰 비는 약 27:8:1 내지 약 11:3:1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양태에 따라, 수동 식기 세척에서 사용하기 위한 적합한 세제 조성물은 (a) 400g/mol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유기 디아민 약 0.1 내지 약 5중량%;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약 5 내지 약 50중량%; (c) 양쪽성 계면활성제 약 0.5 내지 약 10중량%; (d) 완충제 약 0.1 내지 약 10.0중량%; (e) 알칼리 금속 무기 염 약 0.1 내지 약 1.5중량%; 및 (f) 디올, 중합성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매 약 0.75 내지 약 25.0중량%(여기서, 디올 및 중합성 글리콜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다)를 포함한다. pH(10% 수용액으로서 측정)는 약 10 내지 약 12이며,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디아민의 몰 비는 약 27:8:1 내지 약 11:3:1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부, % 및 비율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로서 표현된다. 모든 인용 문헌은 관련 부분에서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은 수동 식기 세척 작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액체 또는 겔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해 조성물은 양쪽성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유기 디아민, 및 디올, 중합성 글리콜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용매뿐만 아니라 기타 세제 보조제를 함유한다. 본원에 기재된 배합물중에서, 상기 성분들은 상기 식기 세척용 세제 제품에 바람직한 식품 오물 세척성, 취급성 및 거품특성을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정의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본원에서 정의된 각각의 성분의 "유효량" 또는 "기름기 제거-개선량"을 포함한다. 본원의 디아민 및 보조 성분의 "유효량"은 적어도 어떤 표적 오염물 및 얼룩에 대한 세척 조성물의 수행을 90%의 신뢰도 수준을 지향하거나 또는 충분하게 개선시키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기름기 얼룩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표적에서, 제형은 이러한 얼룩에 대한 세척 수행력을 적어도 지향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 충분한 디아민을 사용한다.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은 화학식를 의미한다.
"프로필렌 옥사이드 그룹"은 화학식를 의미한다.
"경질 액체(LDL) 세제 조성물"은 수동(즉, 손) 식기 세척에서 사용되는 세제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은 디올 또는 중합성 글리콜 또는 디올과 중합성 글리콜 모두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디올은 화학식(여기서, n은 0 내지 3이며, R7은 H, 메틸 또는 에틸이고, R8은 H,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및 이소부틸이다)를 갖는다. 바람직한 디올은 프로필렌 글리콜, 1,2 헥산디올, 2-에틸-1,3-헥산디올 및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을 포함한다. 디올이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디올 조성물의 약 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조성물은 디올 조성물의 약 20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중량% 미만을 함유한다.
또한,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 그룹을 포함하는 중합성 글리콜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물질은 에틸렌 옥사이드 잔기 블럭을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쇄의 말단에 첨가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합성 글리콜은 화학식 (PO)X(EO)yH(여기서, x+y는 약 17 내지 68이며, x/(x+y)는 약 0.25 내지 1.0이다)의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중합성 글리콜은 약 1000 내지 약 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0 내지 약 4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00 내지 약 3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y가 약 0인 경우)이다.
중합성 글리콜이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액체 세제 조성물은 중합성 글리콜 조성물의 약 0.2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75중량% 이상을 함유한다. 또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약 5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2중량% 미만을 함유한다.
만족할 만한 물리적 안정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중합성 글리콜이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에 첨가되는 경우, 디올 및/또는 알칼리 금속 무기염(예: 염화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물리적 특성을 제공하는 디올의 적합한 양은 상기된 범위의 양이며, 알칼리 금속 무기염의 적합한 양은 조성물의 약 0.1중량% 이상, 및 약 1.5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0.8중량% 미만이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디올의 첨가는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의 물리적 및 효소학적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디올이 특정 중합체 거품 안정화제 및 효소에 대해 중요한 안정화 잇점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중합체 거품 안정화제 및 효소는 모두 이의 혼입에 의해 중요한 잇점을 수득할 수 있다.
당해 이론에 얽매임이 없이, 디올은 저장시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중의 효소 활성화를 제한함으로써 효소 안정화 잇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효소는 최적의 성능을 위해 물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비활성화는 물의 일부를 물과 완전하게 혼화될 수 있는 상기 기술된 디올로 대체시킴으로써 효소와 상호작용하는 유리 물의 양을 감소시켜 성취된다. 사용시, 액체 식기 세척 조성물은 물로 충분히 희석시킨 다음, 최적의 활성 및 성능으로 전도된 물 환경을 갖는 효소를 제공한다.
또한, 당해 이론에 얽매임이 없이, 디올 및 중합성 글리콜의 물리적 안정성 잇점은 하이드로트로프(hydrotrope)로서 작용하는 이의 능력으로부터 유래된다. 조성물의 상 안정성을 유지함으로써, 심지어 저온에서, 특정 성분, 특히 특정 중합체는 조성물 외부로의 침전을 예방하며, 다중상 LDL 조성물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캐리어/용매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디올 및 중합성 글리콜, 물, 알칼리 금속 무기염 및 하기 기재된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용매.
통상적인 용매
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외에, 저급 알칸올, 디올, 기타 폴리올, 에테르, 아민 등과 같은 다양한 기타 수-혼화성 액체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C1-4알칸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은 용매 조성물에 대하여 약 0.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중량% 이상을 함유한다. 또한 조성물은 용매의 조성물에 대하여 약 20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10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중량% 미만을 함유한다.
당해 조성물은 물과 같은 캐리어 수용액과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존재하는 모든 캐리어 수용액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용매는 20 내지 25℃에서 액체이며, 계면활성제로 고려되지 않는 화합물로서 광범위하게 정의된다. 식별기준이 되는 형상중 하나는 용매가 화합물과의 일반적인 혼합물보다는 별개의 존재로서 존재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적합한 용매의 예는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2-메틸 피롤리디논, 벤질 알콜 및 모폴린 n-옥사이드를 포함한다. 이들 용매중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용매는 탄소수 4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내지 12,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0의 에테르 및 디에테르이다. 또한, 기타 적합한 용매는 글리콜 또는 알콕시화 글리콜, 알콕시화 방향족 알콜, 방향족 알콜, 지방족 측쇄 알콜, 알콕시화 지방족 측쇄 알콜, 알콕시화 직쇄 C1-5알콜, 직쇄 C1-5알콜, C8-14알킬 및 사이클로알킬 탄화수소 및 할로탄화수소, C6-16글리콜 에테르 및 이의 혼합물이다.
상기 설명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디올에 더불어, 화학식 HO-CR1R2-OH(여기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2-10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쇄 및/또는 사이클릭이다)에 따르는 기타 글리콜이 적합하며,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적합한 글리콜중 하나는 도데칸글리콜이다.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알콕시화 글리콜은 화학식 R-(A)n-R1-OH(여기서, R은 H, OH, 탄소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직쇄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이며, R1은 H 또는 탄소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0의직쇄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이고, A는 알콕시 그룹, 바람직하게는 에톡시, 메톡시 및/또는 프로폭시이며, n은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이다)에 따르는 글리콜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알콕시화 글리콜은 메톡시 옥타데칸올 및/또는 에톡시에톡시에탄올이다.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방향족 알콜은 화학식 R-OH(여기서, R은 탄소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치환되거나 비알킬 치환된 아릴 그룹이다)에 따르는 알콜이다. 예를 들면,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방향족 알콜은 벤질 알콜이다.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지방족 측쇄 알콜은 화학식 R-OH(여기서, R은 탄소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 내지 12의 측쇄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그룹이다)에 따르는 알콜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지방족 측쇄 알콜은 2-에틸부탄올 및/또는 2-메틸부탄올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알콕시화 지방족 측쇄 알콜은 화학식 R(A)n-OH(여기서, R은 탄소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 내지 12의 측쇄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그룹이며, A는 알콕시 그룹, 바람직하게는 부톡시, 프로폭시 및/또는 에톡시이고, n은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의 정수이다)에 따르는 알콜이다. 적합한 알콕시화 지방족 측쇄 알콜은 1-메틸프로폭시에탄올 및/또는 2-메틸부톡시에탄올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직쇄 C1-5알콜은 화학식 R-OH(여기서, R은 탄소수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내지 4의 직쇄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 그룹이다)에 따르는 알콜이다. 적합한 직쇄 C1-5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기타 적합한 용매는 부틸 디글리콜 에테르(BDGE), 부틸트리글리콜 에테르, 테라밀산 알콜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써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특히 바람직한 용매는 부톡시 프로폭시 프로판올, 부틸 디글리콜 에테르, 벤질 알콜, 부톡시프로판올,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이의 혼합물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기타 용매는 n-부톡시프로판올 또는 n-부톡시프로폭시프로판올과 같은 프로필렌 글리콜 유도체, 수용성 CARBITOL R 용매 또는 수용성 CELLOSOLVE R 용매이며; 수용성 CARBITOL R 용매는 2-(2-알콕시에톡시)에탄올계의 화합물(여기서, 알콕시 그룹은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로부터 유도된다)이고; 또한, 바람직한 수용성 카르비톨인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이 부틸 카르비톨로서 공지되어 있다. 수용성 CELLOSOLVE R 용매는 2-알콕시에톡시 에탄올계의 화합물이며, 2-부톡시에톡시에탄올이 바람직하다. 기타 적합한 용매는 벤질 알콜, 및 2-에틸-1, 3-헥산디올 및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과 같은 디올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매는 n-부톡시프로폭시프로판올, BUTYL CARBITOLR및 이의 혼합물이다.
또한, 용매는 모노-, 디-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에테르 및이의 혼합물의 에테르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용매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5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250이다. 바람직한 용매의 예는 모노-에틸렌 글리콜 n-헥실 에테르,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를 포함한다.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는 다우 케미칼 캄파니(Dow Chemical Company) 사로부터 제조된 상표명 "다와놀(Dowanol)" 및 아르코 케미칼 캄파니(Arco Chemical Company) 사로부터 제조된 상표명 "아르코솔브(Arcosolv)"로 시판되고 있다. 기타 바람직한 용매는 유니온 카바이드 캄파니(Union Carbide company)사로부터 시판되는 모노- 및 디-에틸렌 글리콜 n-헥실 에테르를 포함한다.
디아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디아민은 세제 조성물중에 세척능을 지시된 개선점 이상으로 도달하기에 효과적인 수준의 세척 계면활성제와 배합되어 사용된다. 수동 식기 세척 조성물에서, 이러한 "처리 수준"은 오염물 및 얼룩의 형태 및 심함뿐만 아니라 세척 수온, 세척수의 용적 및 세척수와 식기류가 접촉하는 시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세척 조성물 사용자의 습관 및 수행이 상당히 다양한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당해 조성물은 디아민 조성물의 약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25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5중량%이상을 함유한다. 또한, 조성물은 디아민 조성물의 약 15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중량% 미만을 함유한다.
몇몇 양태중 하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정 디아민과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기름기/오일 오염물의 제거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상적인" 기름기/오일 오염물은 트리글리세라이드, 지질, 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 지방산, 무기염 및 단백질분해 물질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하기 논의된 특정 비율로 양쪽성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배합된 디아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2가 이온의 양으로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개선된 기름기 및 오염된 음식 세척력의 잇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개선된 세척력은 식기 세척 조성물의 알칼리도를 증가시키는 완충제로서의 디아민의 성향에 기인한다. 탁월한 용해 속도는 통상적인 제형보다 현저한 고점도(예:1,000 센티포이즈 이상)를 가지면 동시에 탁월한 용해력 및 세척 수행력을 유지하는 수동 식기 세척용 세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형, 특히 컴팩트 제형을 허용하는 2가 이온 제거에 의해 성취된다. 이것은 고점도를 가짐과 동시에 허용되는 용해력을 유지하는 컴팩트 제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잠재적인 장점을 갖는다. "컴팩트" 또는 "울트라"는 통상적인 액체 세제와 비교하여 감소된 물 수준을 갖는 세척 제형을 의미한다. "컴팩트" 또는 "울트라" 제형에 대한 물 수준은 액체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 중량의 5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미만이다. 상기 농축 제품은 소비자가 제품을 소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생산자가 낮은 운송비를갖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농축되지 않은 조성물에 대해 적합한 물 수준은 액체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약 85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0중량% 미만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아민은 불순물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불순물이 없는"은 디아민이 불순물로부터 95% 이상, 즉 바람직하게는 97%, 더욱 바람직하게는 99%, 가장 바람직하게는 99.5% 이상의 순도임을 의미한다. 시판되는 디아민중에 존재할 수 있는 불순물의 예는 2-메틸-1,3-디아미노부탄 및 알킬하이드로피리미딘을 포함한다. 또한, 디아민은 디아민 분해 및 암모니아 형성을 피하기 위하여 산화제로부터 유리시켜야 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하기에 논의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 유리된 조성물의 제조는 조성물이 효소를 함유하는 경우 중요하다. 심지어 소량의 과산화수소라도 효소 함유 제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디아민은 존재하는 모든 과산화물과 반응할 수 있으며, 효소 안정화제로서 작용하고, 과산화수소가 효소와 반응하는 것을 예방한다. 단지 상기 디아민의 이러한 효소 안정화의 단점은 디아민 함유 조성물중에 존재할 수 있는 악취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믿어지는 질소 화합물이 생성된다는 것이다. 또한, 효소 안정화제로서 작용하는 디아민은 기름기 세척, 거품, 용해 및 저온 안정성을 수행하기 위하여 처음에 주어진 조성물에 대한 잇점을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디아민을 방해한다. 따라서, 과산화수소의 발생 가능성의 원인이 되는 효소 안정화제가 실질적으로 유리된 성분을 사용하거나, 설사 디아민이 악취 화합물로서 작용하고, 이의 주요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존재하는 디아민의 양을 감소시키더라도 비-디아민 산화방지제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과산화수소의 양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유기 디아민은 pK1 및 pK2가 약 8.0 내지 약 11.5, 바람직하게는 약 8.4 내지 약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6 내지 약 10.75의 범위인 디아민이다. 상기를 수행하고 제공하는데 바람직한 물질은 1,3-비스(메틸아민)-사이클로헥산(pKa = 10 내지 10.5), 1,3 프로판 디아민(pK1=10.5; pK2=8.8), 1,6 헥산 디아민(pK1=11; pK2=10), 1,3-펜탄 디아민(Dytek EP)(pK1=10.5; pK2=8.9), 2-메틸-1,5-펜탄 디아민(Dytek A)(pK1=11.2; pK2=10.0)이다. 기타 바람직한 물질은 탄소수 C4내지 C8의 알킬렌 스페이서를 갖는 1급/1급 디아민이다. 일반적으로, 2급 및 3급 디아민보다 1급 디아민이 바람직한 것으로 믿어진다.
pK1 및 pK2의 정의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pK1" 및 "pK2"는 "pKa"로서 당해 분야에 집합적으로 공지된 형태의 양이다. pKa는 당해 화학 분야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원에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된 값은 문헌[참조: "Critical Satability Constants: Volume 2, Amines" by Smith and Martel, Plenum Press, NY and London, 1975]으로부터수득할 수 있다. pKa에 대한 추가의 정보는 문헌[참조: imformation supplied by Dupont, a supplier of diamines]과 같은 적합한 사보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디아민의 pKa는 25℃의 모든 수용액중에서 0.1내지 0.5M 사이의 이온 강도에 대하여 구체화된다. pKa는 온도 및 이온 강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평형 상수이며; 따라서, 문헌에 기록된 값은 측정 방법 및 조건에 따라 때때로 일치하지 않는다. 불명확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원의 pKa에 대해 사용된 적합한 조건 및/또는 참조는 본원에서 정의되거나 문헌[참조: "Critical Stability Constants: Volume 2, Amines"]에 기재되어 있다. 전형적인 측정 방법중 하나는 문헌[참조: "The Chemist's Ready Reference Handbook" by Shugar and Dean, McGraw Hill, NY, 1990]에 기술된 적합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한 산의 전위차 적정 및 pKa 측정이다.
바람직하지 않으며 성능 손상의 원인인 약 8.0 미만의 낮은 pK1 및 pK2는 치환 및 구조적 변형이 측정되었다. 이것은 에톡시화 디아민, 하이드록시 에틸 치환된 디아민, β(및 적어도 γ) 위치에 산소 내지 스페이서 그룹(예: Jeffamine EDR 148) 에 질소를 갖는 디아민을 유도하는 치환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유용한 디아민은 화학식(여기서, R2는 독립적으로 H, 메틸, -CH2CH3및 에틸렌 옥사이드로부터 선택되며, CX및 Cy는 독립적으로 메틸렌 그룹 또는 측쇄 알킬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 + y는 약 3 내지 약 6이며, A는 존재하지 않거나, 목적하는 범위의 디아민 pKa를 조정하기 위해 선택된 전자 공여 또는 수용 잔기로부터 선택되며, A가 존재하는 경우 x 및 y는 모두 1 이상이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한 디아민의 예는 문헌[참조: Phillip Kyle Vinson et al., entitled"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ic Diamines for Improved Grease Cleaning, Sudsing, Low Temperature Stability and Dissolution", having P & G Case No. 7167P, 출원 번호 제60/087,693호, 1998년 6월 2일 출원,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됨]에 상응하는 임시 특허 출원에서 찾을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 유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직쇄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α올레핀 설포네이트, 파라핀 설포네이트, 알킬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알킬 설페이트, 알킬 알콕시 설페이트,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알콕시 카복실레이트, 알킬 알콕시화 설페이트, 사르코시네이트, 타우리네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유효량은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세척 계면활성제의 약 0.5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중량%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적합한 예는 문헌[참조: Chandrika Kasturi et al., entitled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Polymeric Suds Enhancers", having P & G Case No. 6938P, 제60/066,344호, 1997년 11월 21일 출원,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됨]에 상응하는 임시 특허 출원에서 찾을 수 있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추가의 예는 문헌[참조: "Surface Active Agents and Detergents" (Vol. I and II by Schwartz, Perry and Berch)]에서 주어진다. 또한,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다양성은 일반적으로 문헌[참조: 미국 특허 제3,929,678호(1975년 12월20일 허여), Laughlin, et al. at Column 23, line 58 내지 Column 29, line 23]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미국 특허 제5,415,814호(1995년 5월 16일 허여, Ofosu-Asante et al.,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됨)에서 찾을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 유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다. 아민 옥사이드는 반극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며, 탄소수 약 10 내지 약 18의 1개의 알킬 잔기, 및 탄소수 약 1 내지 약 3의 알킬 그룹 및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의 잔기를 함유하는 수용성 아민 옥사이드; 탄소수 약 10 내지 약 18의 1개의 알킬 잔기, 및 탄소수 약 1 내지 약 3의 알킬 그룹 및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2개의 잔기를 함유하는 수용성 산화포스핀; 및 탄소수 약 10 내지 약 18의 1개의 알킬 잔기, 및 탄소수 약 1 내지 약 3의 알킬 및 하이드록시알킬 잔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잔기를 함유하는 수용성 설폭사이드를 포함한다.
반극성 비이온성 세제 계면활성제는 화학식(여기서, R3는 탄소수 약 8 내지 약 22의 알킬,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알킬 페닐 그룹, 또는 이의 혼합물이며; R4는 탄소수 약 2 내지 약 3의 알킬렌 또는 하이드록시알킬렌 그룹 또는이의 혼합물이고; x는 0 내지 약 3이며; 각각의 R5는 탄소수 약 1 내지 약 3의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약 1 내지 약 3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이며, R5그룹은 예를 들면 산소 또는 질소원자를 통해 서로 부착되어 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을 갖는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이들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는 특히 C10-18알킬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 및 C8-12알콕시 에틸 디하이드록시 에틸 아민 옥사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필 아민 옥사이드와 같은 적합한 아민 옥사이드는 화학식[여기서, R1은 알킬, 2-하이드록시알킬, 3-하이드록시알킬 또는 3-알콕시-2-하이드록시프로필 라디칼(여기서, 알킬 및 알콕시는 각각 탄소수 약 8 내지 약 18이다)이며, R2및 R3는 각각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2-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프로필 또는 3-하이드록시프로필이고, n은 0 내지 약 10이다]의 화합물로 나타낸다.
추가로 적합한 종의 아민 옥사이드 반극성 표면 활성제는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R1은 알킬, 2-하이드록시알킬, 3-하이드록시알킬 또는 3-알콕시-2-하이드록시프로필 라디칼(여기서, 알킬 및 알콕시는 각각 탄소수 약 8 내지 약 18이다)이며, R2및 R3는 각각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2-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프로필 또는 3-하이드록시프로필이고, n은 0 내지 약 10이다]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의 아민 옥사이드(여기서, R1은 C10-14알킬이며, R2및 R3는 메틸 또는 에틸이다)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이 적은 거품을 형성하기 때문에, 미국 특허 제4,316,824호(Pancheri), 제5,075,501호 및 제5,071,594호(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됨)에 기술된 장쇄 아민 옥사이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양쪽성 세제 계면활성제의 기타 적합하며 비제한적인 예는 아미노 프로필 베타인 및 지방족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2급 또는 3급 아민의 유도체(여기서, 지방족 잔기는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으며, 지방족 치환체중 하나는 탄소수 약 8 내지 약 24이고, 하나 이상의 지방족 치환체는 음이온성 수용성 그룹을 함유한다)를 포함한다.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추가의 예는 문헌[참조: "Surface Active Agents and Detergents"(Vol. I and II by Schwartz, Perry and Berch),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됨]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당해 조성물중에 유효량으로 존재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중량%이다.
제2 계면활성제
제2 세척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세척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양을 선택함으로써, 본원에 기재된 기타 보조 성분과 함께,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세탁 세척 또는 특히 식기 세척을 포함하는 기타 상이한 세척 적용에 사용하기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특정 계면활성제는 특정 최종 사용 목적에 따라 광범위하게 다양할 수 있다. 적합한 제2 계면활성제는 문헌[참조: 계류중인 임시 특허 출원, Chandrika Kasturi et al., entitled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Polymeric Suds Enhancers", having P & G Case No. 6938P, 출원 번호 제60/066,344호]의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대 양쪽성 계면활성제 대 디아민의 비율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디아민의 비율은 약 100:40:1 내지 약 9:0.5:1, 바람직하게는 약 27:8:1 내지 약 11:3:1(몰 기준)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디아민을 특정 비율로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이 개선된 저온 안정성, 12.5 미만의 pH에서 더 나은 기름기 제거 방출 및 음식물 세척 잇점 및 개선된 경수 세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 9:1 이상, 바람직하게는 20:1 이상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대 디아민의 몰 비는 개선된 저온 안정성, 더 나은 기름기 제거 방출 및 음식물 세척 잇점 및 개선된 경수 세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임의의 세척 성분
중합성 거품 안정화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중합성 거품 안정화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중합성 거품 안정화제는 발포된 거품 용적 및 액체 세제 조성물의 기름기 제거 능력의 손실없이 거품 지속력을 제공한다. 이들 중합성 거품 안정화제는 화학식의 (N,N-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여기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C1-8알킬 및 이의 혼합물이며, R1은 수소, C1-6알킬 및 이의 혼합물이고, n은 2 내지 약 6이다)의 단독중합체(i); 및 단독중합체(i)과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R1은 수소, C1-6알킬 및 이의 혼합물이다)의 공중합체(ii)[단, (ii) 대 (i)의 비율은 약 2:1 내지 약 1:2이다]로부터 선택된다. 통상적인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되는 중합성 거품 촉진제의 분자량은 약 1,000 내지 약 2,000,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내지 약 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내지 약 75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00 내지 약 500,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5,000 내지 약 200,000이다. 중합성 거품 안정화제는 예를 들면 (N,N-디메틸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의 시트레이트, 설페이트 또는 니트레이트염과 같은 무기 또는 유기 염인 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중합성 거품 안정화제는 화학식의 (N,N-디메틸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이다.
조성물중에 존재하는 경우, 중합성 거품 촉진제는 조성물중에 약 0.01 내지 약 1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5중량%로 존재한다.
빌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빌더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시트르산 및 시트레이트와 같은 빌더가 LDL 조성물중의 효소 안정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빌더로서 프로필렌 글리콜을 혼입하는 LDL 조성물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빌더 염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 조성물이 세척제 캐리어의 부분 또는 전체로서 프로필렌 글리콜 용매를 포함하는 경우, 효소는 더욱 안정되며, 소량의 빌더가 필요하거나 또는 빌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빌더의 사용이 바람직한 경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물질, 실리케이트, 폴리카복실레이트 및 지방산,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와 같은 물질, 아미노폴리포스포네이트(특히,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 포스폰산 및 디에틸렌 트리아민 펜타메틸렌-포스폰산)와 같은 금속 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모든 통상적인 빌더 시스템이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명백한 환경적인 이유때문에 보다 덜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포스페이트 빌더를 본원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카복실레이트 빌더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염 형태의 시트르산, 화학식 R-CH(COOH)CH2(COOH)(여기서, R은 C10-20알킬 또는 알케닐, 바람직하게는 C12-16이거나, 또는 R은 하이드록실, 설포 설폭실 또는 설폰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다)의 숙신산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숙시네이트, 미리스틸 숙시네이트, 팔미틸 숙시네이트 2-도데세닐숙시네이트, 2-테트라데세닐 숙시네이트를 포함한다. 숙시네이트 빌더는 나트륨, 칼륨, 암모늄 및 알칸올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수용성 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기타 적합한 폴리카복실레이트는 옥소디숙시네이트, 및 미국 특허 제4,663,07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타르타레이트 모노숙산산과 타르타레이트 디숙신산의 혼합물이다.
특히 본원의 액체 제조를 위하여,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지방산 빌더는 포화 또는 불포화 C10-18지방산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비누이다. 바람직한 포화 종은 알킬 쇄중에 12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바람직한 불포화 지방산은 올레산이다. 액체 조성물에 대한 기타 바람직한 빌더 시스템은 도데세닐 숙신산 및 시트르산을 기재로 한다.
세척력 빌더 염이 포함되는 경우,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5 내지 25중량%를 포함한다.
효소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세척 수행 잇점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소는 셀룰라제, 헤미셀룰라제, 퍼옥시다제, 프로테아제, 글루코-아밀라제, 아밀라제, 리파제, 큐티나제, 펙티나제, 크실라제, 리덕타제, 옥시다제, 페놀옥시다제, 리폭시게나제, 리그니나제, 풀룰라나제, 탄나제, 펜토사나제, 말라나제, β-글루카나제, 아라비노시다제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효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배합물은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리파제, 큐티나제 및/또는 셀룰라제와 같은 통상적으로 적용가능한 효소의 칵테일을 갖는 세제 조성물이다. 효소가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경우, 세제 조성물 중량의 약 0.0001 내지 약 5중량%의 활성 효소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단백질분해 효소는 알칼라제(AlcalaseR, Novo Industri A/S 제조), BPN', 프로테아제 A 및 프로테아제 B(Genencor 제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프로테아제 B가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아밀라제 효소는 터마밀(TERMAMYLR), 듀라밀(DURAMYLR) 및 문헌[참조: WO 제9418314호(Genencor International) 및 WO 제9402597호(Novo)]에 기술된 아밀라제 효소를 포함한다.
적합하며 바람직한 효소의 추가의 비제한적인 예는 문헌[참조: 계류중인 출원: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ic Diamines for Improved Grease Cleaning, Sudsing, Low temperature stability and Dissolution", P & G Case No. 7167P 및 출원번호 제60/087,693호,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됨]에 기재되어 있다.
과산화수소, 및 시트르산 및 시트레이트와 같은 빌더가 LDL 조성물 중의 효소 안정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효소를 함유하는 조성물중에 이들 화합물의 수준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산화수소는 흔히 계면활성제 및 계면활성제 페이스트중의 불순물로서 발견된다. 아민 옥사이드 또는 아민 옥사이드의 계면활성제 페이스트중의 과산화수소의 바람직한 수준은 0 내지 4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ppm이다. 아민 옥사이드중의 아민 불순물은 베타인이며, 존재하는 경우, 과산화수소에 대해 상기 언급된 수준으로 최소화해야 한다.
마그네슘 이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LDL 조성물로부터 2가 이온을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본 발명의 대안적인 양태에서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2가 이온이 용해의 지연뿐만 아니라, 세척 불량 및 불량한 저온 안정 특성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LDL 조성물로부터 모든 2가 이온을 배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카라인 pH 메트릭스 중에서 이러한 2가 이온-함유 조성물을 제형화시키는 것은 2가 이온 특히 마그네슘과 수산화물 이온의 비양립성으로인해 어려울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그네슘 이온의 존재는 몇가지 잇점을 제공한다. 명백하게, 이러한 2가 이온의 포함은 다양한 LDL 조성물, 특히 알킬 에톡시 카복실레이트 및/또는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한 기름기 오염물의 세척력을 개선시킨다. 이것은 당해 조성물이 2가 이온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 연수중에 사용되는 경우 특히 명백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이러한 잇점은 2가 이온의 포함없이 수득할 수 있다. 특히, 개선된 기름기 세척력은 상기 논의된 구체적인 비율로 양쪽성 및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배합된 유기 디아민을 포함함으로써 2가 이온없이 성취할 수 있으며, 한편 효소는 본 발명의 LDL 조성물의 피부 순화 성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LDL 조성물의 대안적인 양태에서 존재하는 경우, 마그네슘 이온은 약 0.01 내지 1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5 내지 0.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25 내지 0.1중량%의 활성 수준으로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존재하는 마그네슘 이온의 양은 알킬 에톡시 카복실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의 양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의 총량에 따른다.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이온은 수산화물, 염화물, 아세테이트, 설페이트, 포르메이트, 옥사이드 또는 니트레이트염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된다. 저장 동안, 중간정도의 농도의 수산화물 이온을 함유하는 조성물중에 준재하는 수산화물 침전물의 형성으로 인해 이들 조성물의 안정성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특정 킬레이트제를 첨가하는 것이 요구된다. 적합한 킬레이트제는 하기에 추가로 논의되며, 문헌[참조: 미국 특허 제5,739,092호, 1998년 4월 14일 허여, Ofosu-asante,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됨]에 기재되어 있다.
방향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서 유용한 방향제 및 방향 성분은 알데하이드, 케톤, 에스테르등을 포함하지만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천연 및 합성 화학 성분을 포함한다. 또한, 오렌지유, 레몬유, 장미 추출물, 라벤더, 무스크, 파출리, 발삼 에센스, 백단유, 솔유, 시더 등과 같은 성분의 복합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천연 추출물 및 에센스가 포함된다. 최종적인 방향제는 상기 성분의 극단적인 복합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최종적인 방향제는 전형적으로 본원의 세제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2중량%를 포함하며, 각각의 방향 성분은 최종 방향제 조성물의 약 0.0001 내지 약 9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유용한 방향제 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는 계류중인 임시 특허 출원[참조: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ic Diamines for Improved Grease Cleaning, Sudsing, Low temperature stability and Dissolution", having P & G Case No. 7167P, 출원번호 제60/087,693호, 상기 인용됨]에서 찾을 수 있다.
킬레이트제
또한 본원의 세제 조성물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철 및/또는 망간 킬레이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킬레이트제는 아미노 카복실레이트, 아미노 포스포네이트, 다작용적으로 치환된 방향족 킬레이트제 및 이의 혼합물(모두 하기에 정의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당해 이론에 얽매임이 없이, 이들 물질의 잇점은 가용성 킬레이트의 형성에 의해 세척 용액으로부터 철 및 망간 이온을 제거하는 이들의 예외적인 능력에 일부 기인한다.
임의의 킬레이트제로서 유용한 아미노 카복실레이트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세테이트, N-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트리아세테이트,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에틸렌디아민 테트라프로프리오네이트,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헥사세테이트,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아세테이트, 에탄올디글리신, 알칼리 금속, 암모늄 및 치환된 암모늄염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킬레이트제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아미노 포스포네이트는 세제 조성물중에 총 낮은 수준 이상의 인이 허용되는 경우, DEQUEST로서 에틸렌디아민테트라키스(메틸렌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아미노 포스포네이트는 약 탄소수 6이상의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다.
또한, 다작용적으로-치환된 방향족 킬레이트제는 본원의 조성물에서 유용하다[참조: 미국 특허 제3,812,044호, 1974년 5월 21일 허여, Connor et al.]. 산 형태에서 이러한 형태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1,2-디하이드록시-3,5-디설포벤젠과 같은 디하이드록시디설포벤젠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생분해가능한 킬레이트제는 에틸렌디아민 디숙시네이트("EDDS"), 특히 미국 특허 제4,704,233호(1987년 11월 3일, Hartman and Perkins)에 기술된 바와 같은 [S,S] 이성체이다.
또한 본원의 화합물은 킬레이트제 또는 공-빌더로서 수용성 메틸 글리신 디아세트산(MGDA)염(또는 산 형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시트레이트와 같은 "약한" 빌더가 킬레이트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되는 경우, 이들 킬레이트제는 일반적으로 본원의 세제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15중량%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경우, 킬레이트제는 상기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3.0중량%를 포함한다.
조성물 pH
본 발명의 식기 세척 조성물은 사용하기위해 주어진 경우, 즉 오염된 식기에 희석되거나 적용되는 경우 식품 오염물에 의해 생성되는 산성 작용에 적용된다. 7이상의 pH를 갖는 조성물이 보다 효과적인 경우, 일반적으로 조성물 및 희석 용액중에 더욱 알칼리성 pH를 제공할 수 있는 완충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0.1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8중량%의 완충제를 함유한다. 당해 완충제의 pKa값은 조성물의 바람직한 pH값(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측정하여, 완충제의 pKa는 약 7 내지 약 12이다) 이하인 약 0.5 내지 1.0 pH 단위이어야 한다. 이들 조선 하에, 완충제는 최소한의 양을 사용하여 pH를 가장 효과적으로 조절한다.
바람직한 무기 완충제/알칼리성 공급원은 탄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및 다인산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탄산염,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및 알칼리 금속 인산염을 포함한다.
완충제는 그 자체로서 활성인 세제이며, 또는 pH를 알칼리로 유지시키기 위해 당해 조성물에 단독으로 사용되는 저분자량의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완충제는 질소 함유 물질이다. 이의 예는 라이신과 같은 아미노산 또는 모노-, 디- 및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저급 알콜 아민이다. 또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디아민이 완충제로서 작용하며, 바람직한 완충제이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완충 시스템은 0.5%의 디아민과 2.5%의 시트레이트의 배합물 및 0.5%의 디아민, 0.75%의 탄산칼륨 및 1.75%의 탄산나트륨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기타 바람직한 질소 함유 완충제는 트리(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 메탄(HOCH2)3CNH3(TRIS), 2-아미노-2-에틸-1,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올, 디나트륨 글루타메이트, N-메틸 디에탄올아미드, 1,3-디아미노-프로판올 N,N'-테트라-메틸-1,3-디아미노-2-프로판올,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글리신(비신) 및 N-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 글리신(트리신)이다. 상기의 모든 혼합물이 또한 허용된다. 추가의 완충제는 문헌[참조: McCutcheon's EMULSIFIERS AND DETERGENTS, North American Edition, 1997, McCutcheon Division, MC Publishing Company Kirk and WO 제95/07971호,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됨]를 참조한다.
기타 성분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세제 조성물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척 부가물을 포함한다: 오염 방출 중합체, 중합성 분산제, 폴리사카라이드, 연마제, 살균제 및 기타 항미생물제, 변색 억제제, 빌더, 효소, 염료, 완충제, 항진균제 또는 곰팡이 조절제, 방충제, 방향제, 하이드로트로프, 공정 보조제, 거품 촉진제, 발색제, 항-부식 보조제, 안정화제, 산화 방지제 및 킬레이트제. 기타 활성 성분, 캐리어, 하이드로트로프, 산화방지제, 공정 보조제, 염료 또는 안료, 액체 제형을 위한 용매, 바 조성물에 대한 고체 충전제 등을 포함하는 세척 조성물중에 유용한 광범위하게 다양한 기타 성분이 본원의 조성물중에 포함될 수 있다. 많은 거품이 바람직한 경우, C10-16알칸올아미드와 같은 거품 촉진제를 당해 조성물중에 전형적으로 1 내지 10% 수준으로 혼입시킬 수 있다. C10-14모노에탄올 및 디에탄올 아미드는 이러한 거품 촉재제의 전형적인 부류로 설명된다. 이러한 거품 촉진제와 아민 옥사이드, 베타인 및 설타인과 같은 고 거품 보조 계면활성제가 또한 효과적이다.
산화방지제를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중에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이들은 2,6-디-3급-부틸-4-메틸페놀(BHT), 카바메이트, 아스코르베이트, 티오설페이트, 모노에탄올아민(MEA),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과 같은 세제 조성물중에 사용되는 모든 통상적인 산화방지제일 수 있다. 산화방지제가 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중에 약 0.001 내지 약 5중량%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세척 성분은 임으로 상기 성분을 다공성 소수성 기질상으로 흡착시킨 다음, 상기 기질을 소수성 피막으로 피복시켜 추가로 안정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성분은 다공성 기줄중에 흡착시키기 전에 계면활성제와 혼합된다. 사용시, 세척 성분은 기재로부터 이의 의도된 세척 작용을 수행하게 될 액상 세척 용액으로 방출된다.
당해 기술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다공성 소수성 실리카[데구사(DeGussa)에서 제조한 상표명 SIPERNAT D10]를 3 내지 5%의 C13-15에톡시화 알콜(EO 7)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단백질분해 효소 용액과 혼합한다. 전형적으로, 효소/계면활성제 용액은 실리카 중량의 2.5배이다. 생성된 분말을 실리콘 오일(500 내지 12,500 범위의 점도의 다양한 실리콘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중에서 교반하여 분산시킨다. 생성된 실리콘 오일 분산제는 에멀젼화되거나, 최종 세제 매트릭스중에 첨가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상기 언급된 효소, 표백제, 표백 활성화제, 표백 촉매, 광활성화제, 염료, 형광제, 직물 컨디셔너 및 가수분해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성분이 액체 세탁 세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세제중에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수동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은 하이드로트로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적합한 하이드로트로프는 톨루엔 설폰산, 나프탈렌 설폰산, 큐멘 설폰산, 크실렌 설폰산의 나트륨, 칼륨, 암모늄 또는 수용성 치환된 암모늄염을 포함한다.
비액상 액체 세제
비액상 캐리어 매질을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의 제조는 문헌[미국 특허제4,753,570호; 제4,767,558호; 제4,772,413호; 제4,889,652호; 제4,892,673호; GB-A 제2,158,838호, 제2,195,125호; 제2,195,649호; 미국 특허 제4,988,462호; 제5,266,233호; EP-A 제225,654호(6/16/87); 제510,762호(10/28/92); 제540,089호(5/5/93); 제540,090호(5/5/93); 미국 특허 제4,615,820호; EP-A 제565,017호(10/13/93); 제030,096호(6/10/81),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됨]에 기술된 바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조성물중에 안전하게 현탁되는 다양한 미립자 세척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비액상 조성물은 LIQUID PHASE, 임의로, 그러나 바람직하지는 않게는 SOLID PHASE를 포함하며, 이후의 상세한 설명 및 참조 문헌에 기술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동 식기 세척에 사용하기 위한 세척 수용액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당해 조성물의 유효량은 액상 세척액 또는 침액을 형성하기 위해 물에 첨가된다. 이어서, 이렇게 형성된 수용액은 식기, 식탁용기 및 요리 기구와 접촉된다.
세척 용액을 형성하기 위하여 물에 첨가되는 본원의 세제 조성물의 유효량은 수용액중에 약 500 내지 20,000ppm의 조성물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양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0 내지 5,000ppm의 본원의 세제 조성물이 액상 세제 용액중에 제공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의 범주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려는 의미는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부, 퍼센트 및 비율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경질 액체 식기 세척용 세제
실시예 1
AE0.6S1 26.1
아민 옥사이드2 6.5
시트르산 2.6
거품 촉진 중합체3 0.2
나트륨 큐멘 설포네이트 3.50
프로필렌 글리콜 9.8
비이온성4 3.0
디아민5 0.50
BAL.
총 활성 36%
점도(cps @ 20℃) 780
pH @ 10% 9.0
1: 평균 0.6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C12-13알킬 에톡시 설포네이트
2: C12-14아민 옥사이드.
3: 중합체는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이다.
4: 비이온성은 9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C11알킬 에톡시화 계면활성제 또는 8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C10알킬 에톡시화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5: 1,3 비스(메틸아민)-사이클로헥산.
본 발명의 경질 액체 식기 세척용 세제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AE0.6S1 26.1 26.1 26.1 13.05 26.1
아민 옥사이드2 6.5 6.5 6.5 3.25 5.5
비이온성3 3 3 3 1.5 3
거품 촉진 중합체4 0.2 0.2 0.2 0.1 0.2
디아민5 0.5 0.5 0.5 0.25 0.5
나트륨 큐멘 설포네이트 3.5 3.5 3.5 1.75 2.0
염화나트륨 -- 0.5 0.5 0.25 0.6
프로필렌 글리콜 9.8 -- 10.0 5.0 --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 1.0 1.0 0.5 1.0
시트레이트 2.6 -- -- -- --
Mg2+ -- -- -- -- 0.04
프로테아제6 -- -- 0.015 0.0075 --
에탄올 -- 7.0 0.0 0.0 7.0
음이온성:아민 옥사이드:디아민의 몰 비 23:8:1 23:8:1 23:8:1 23:8:1 23:8:1
pH @ 10% 9 9 9 9 9
1: 평균 0.6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C12-13알킬 에톡시 설포네이트
2: C12-14아민 옥사이드.
3: 비이온성은 9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C11알킬 에톡시화 계면활성제 또는 8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C10알킬 에톡시화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4: 중합체는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이다.
5: 1,3 비스(메틸아민)-사이클로헥산.
6: 프로테아제는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SavinaseR; MaxataseR; MaxacalR;Maxapem 15R; subtilisin BPN 및 BPN'; 프로테아제 B; 프로테아제 A; 프로테아제 D; PrimaseR; DurazymR; OpticleanR; OptimaseR; 및 AlcalaseR.
본 발명의 경질 액체 식기 세척용 세제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AE0.6S1 26.09 26.09 26.09 28.80
아민 옥사이드2 6.50 6.5 8.0 8.0
거품 촉진 중합체3 0.20 0.20 0.20 0.22
나트륨 큐멘 설포네이트 3.50 3.50 3.50 3.90
비이온성4 3.00 3.00 3.00 3.30
디아민5 0.50 0.50 0.50 0.55
염화나트륨 1.5 1.5 1.5 1.5
NaOH 0.35 0.35 0.35 0.35
Na2CO3 1.75 1.75 1.75 1.75
K2CO3 0.75 0.75 0.75 0.75
프로필렌 글리콜 4.0 4.0 4.0 4.0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1.0 1.0 1.0 1.0
에탄올 3.0 0.7 0.7 --
물 및 Misc. BAL. BAL. BAL. BAL.
점도(cps @ 70F) 353 640 635 848
pH @ 10% 10.8 10.8 10.80 10.8
1; 평균 0.6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C12-13알킬 에톡시 설포네이트.
2: C12-14아민 옥사이드.
3: 중합체는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이다.
4: 비이온성은 8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C10알킬 에톡시화 계면활성제 또는 8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C10알킬 에톡시화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5: 1,3 비스(메틸아민)-사이클로헥산.

Claims (10)

  1. a) pK1 및 pK2를 갖는 저분자량 유기 디아민(여기서, 디아민의 pK1 및 pK2는 모두 8.0 내지 11.5의 범위이다),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c)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d) 디올, 중합성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여기서, 디올은 화학식의 디올(여기서, n은 0 내지 3이며, R7은 H, 메틸 또는 에틸이고, R8은 H,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또는 이소부틸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중합성 글리콜은 화학식 (PO)X(EO)yH의 글리콜(여기서, PO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그룹을 나타내며, EO는 에틸렌 옥사이드 그룹을 나타내고, x + y는 17 내지 68이며, x/(x+y)는 0.25 내지 1.0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포함하고, 10% 수용액으로 측정한 pH가 5.0 내지 12.5이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양쪽성 계면활성제:디아민의 몰 비가 100:40:1 내지 9:0.5:1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식기 세척용으로 적합한 식기 세척용 액상 세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pH가 10 내지 11.5임을 특징으로하는 식기 세척용 액상 세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올이 프로필렌 글리콜, 1,2-헥산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식기 세척용 액상 세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성 글리콜이,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인 식기 세척용 액상 세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아민이 화학식의 디아민(여기서, R2 내지 5는 H, 메틸, 에틸 및 에틸렌 옥사이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CX및 CV는 메틸렌 그룹 또는 측쇄 알킬 그룹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x+v는 3 내지 6이며, A는 임의로 존재하며 디아민 pKa를 목적하는 범위로 조정하기 위해 선택되는 전자 공여 또는 수용 잔기로부터 선택되고, A가 존재하는 경우, x 및 y는 둘 다 2 이상이어야 한다)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식기 세척용 액상 세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성 글리콜이, 분자량이 2000 내지 4000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고, 조성물에 대하여 0.25 내지 5.0중량%의 범위로 존재하는 식기 세척용 액상 세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의 (N,N-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여기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8알킬 및 이들의 혼합물이며, R1은 수소, C1-6알킬 및 이들의 혼합물이고, n은 2 내지 6이다)의 단독중합체(i) 및
    단독중합체(i)와 화학식의 화합물(여기서, R1은 수소, C1-6알킬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과의 공중합체(ii)[단, (ii):(i)의 비율은 2:1 내지 1:2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성 거품 안정화제(여기서, 중합성 거품 안정화제의 분자량은 1,000 내지 2,000,000달톤이다)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용 액상 세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데바스(PhadebasR) α-아밀라제 활성 검정으로 측정한 특이 활성이 25℃ 내지 55℃의 온도 및 8 내지 10의 pH 값에서 터마밀(TermamylR)의 특이 활성보다 25% 이상 큰 α-아밀라제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용 액상 세제 조성물.
  9. (a) 기재를 제1항에 따라 제조한 식기 세척용 액상 세제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효과적인 기재 세척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세제 조성물을 기재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식기 세척 조작으로 기재를 세척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기 세척용 액상 세제 조성물이 물을 사용하여 90% 미만으로 희석시킨 희석액으로 기재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09948A 1999-02-08 2000-02-08 디올과 중합성 글리콜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 KR20010089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04499P 1999-02-08 1999-02-08
US60/119,044 1999-02-08
PCT/US2000/003231 WO2000046331A1 (en) 1999-02-08 2000-02-08 Diols and polymeric glycols in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638A true KR20010089638A (ko) 2001-10-06

Family

ID=2238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948A KR20010089638A (ko) 1999-02-08 2000-02-08 디올과 중합성 글리콜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4) EP1151070A1 (ko)
JP (4) JP4107633B2 (ko)
KR (1) KR20010089638A (ko)
CN (1) CN1345364A (ko)
AR (1) AR017744A1 (ko)
AU (4) AU2874600A (ko)
BR (1) BR0008066A (ko)
CA (1) CA2360654A1 (ko)
CZ (1) CZ20012872A3 (ko)
TR (1) TR200102231T2 (ko)
WO (4) WO200004633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705A1 (ko) 2020-02-26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및 세척용 복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유리 분말 제조 방법
KR20220085515A (ko) 2020-12-15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친환경 세탁 세제 및 세척 보조제용 유리 조성물 및 그 유리 분말 제조 방법
KR20220085517A (ko) 2020-12-15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친환경 세제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세제용 유리 분말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0627B1 (en) * 1999-02-08 2004-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ols and polymeric glycols in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WO2001023274A1 (en) 1999-09-30 2001-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package with means to mask amine malodours
EP1370636A1 (en) 2001-03-21 2003-1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 dishwashing composition
US20040229767A1 (en) * 2003-02-28 2004-1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tomicroemulsion, cleaning implement containing same, and method of use therefor
GB0518059D0 (en) 2005-09-06 2005-10-12 Dow Corning Delivery system for releasing active ingredients
WO2009125335A2 (en) 2008-04-07 2009-10-15 Ecolab Inc. Ultra-concentrated liquid degreaser composition
CN105143423B (zh) * 2013-04-29 2018-05-29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增稠液体洗涤剂组合物的方法
EP2883949A1 (en) * 2013-12-13 2015-06-17 Unilever PLC Aqueous hand dish-wash compositions comprising surfactant and amylase
CN106459834B (zh) * 2014-05-14 2019-03-22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水性碱性手洗餐具液体洗涤剂配制品
EP3158045A1 (en) * 2014-06-19 2017-04-26 Unilever PLC Enzyme treatment composition
EP3162881B1 (en) * 2015-10-29 2019-01-1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leaning product
CN106833937A (zh) * 2015-12-04 2017-06-13 深圳市芭格美生物科技有限公司 厨房重油生物酶清洗液及其制备方法
DE102016204062A1 (de) * 2016-03-11 2017-09-14 Henkel Ag & Co. Kgaa Aminoxid-haltige Reinigungsmittel
JP7170567B2 (ja) * 2019-03-18 2022-11-14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の製造方法
EP4286500A1 (en) * 2022-06-01 2023-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xylanase in a dishwashing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3465A (en) * 1979-12-12 1981-07-08 Nippon Oil & Fats Co Ltd Method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in quality of amine oxide
US4462922A (en) * 1981-11-19 1984-07-31 Lever Brothers Company Enzymatic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DE3366958D1 (en) * 1982-05-24 1986-11-20 Procter & Gamble Fatty acid containing detergent compositions
EP0449503A3 (en) * 1990-03-27 1991-12-18 Richardson-Vicks, Inc. Surfactant compositions
US5356800A (en) * 1992-11-30 1994-10-18 Buckman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Stabilized liquid enzymatic compositions
SE9203818L (sv) * 1992-12-18 1994-06-19 Berol Nobel Ab Maskindiskmedel och dess användning
AU7720494A (en) * 1993-09-14 1995-04-03 Procter & Gamble Company, The Manual dishwashing composition comprising amylase and lipase enzymes
CZ111097A3 (en) * 1994-10-13 1997-09-17 Procter & Gamble Detergent containing amines and anionic surface-active agents
CN1217742A (zh) * 1996-03-07 1999-05-26 普罗格特-甘布尔公司 含有改进的淀粉酶的洗涤剂组合物
BR9714424A (pt) * 1996-12-20 2000-05-02 Procter & Gamble Composições detergentes de lavagem de pratos contendo diamidas orgânicas
US5871590A (en) * 1997-02-25 1999-02-16 Ecolab Inc. Vehicle cleaning and drying compositions
JP2002508026A (ja) * 1997-07-02 2002-03-12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ホスホリパーゼおよびアミラーゼを含んでなる皿洗組成物
CA2220312C (en) * 1997-11-10 1999-11-09 Murugesu Nandhakumaran Radio receiver and rebroadcaster
AR017416A1 (es) * 1997-11-21 2001-09-05 Procter & Gamble Composicion detergente adecuada para ser usada en el lavado de vajilla y estabilizador de espuma proteinace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705A1 (ko) 2020-02-26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및 세척용 복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유리 분말 제조 방법
KR20210108693A (ko) 2020-02-26 2021-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및 세척용 복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유리 분말 제조 방법
KR20220085515A (ko) 2020-12-15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친환경 세탁 세제 및 세척 보조제용 유리 조성물 및 그 유리 분말 제조 방법
KR20220085517A (ko) 2020-12-15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친환경 세제용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세제용 유리 분말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874300A (en) 2000-08-25
CA2360654A1 (en) 2000-08-10
AU3225400A (en) 2000-08-25
BR0008066A (pt) 2001-11-06
JP4107633B2 (ja) 2008-06-25
AR017744A1 (es) 2001-09-12
WO2000046334A1 (en) 2000-08-10
WO2000046333A1 (en) 2000-08-10
JP2002536498A (ja) 2002-10-29
AU2874600A (en) 2000-08-25
CN1345364A (zh) 2002-04-17
EP1151075A1 (en) 2001-11-07
JP2002536500A (ja) 2002-10-29
EP1151070A1 (en) 2001-11-07
WO2000046331A1 (en) 2000-08-10
WO2000046335A1 (en) 2000-08-10
CZ20012872A3 (cs) 2002-07-17
TR200102231T2 (tr) 2001-12-21
AU2874400A (en) 2000-08-25
EP1151074A1 (en) 2001-11-07
JP2002536499A (ja) 2002-10-29
JP2002536497A (ja) 2002-10-29
EP1151073A1 (en)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4013B2 (en) Diols and polymeric glycols for improved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KR20010089638A (ko) 디올과 중합성 글리콜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용 세제 조성물
EP1814972B1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for improved low temperature grease cleaning
EP1969105B1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with naturally derived alkyl or hydroxyalkyl sulphate or sulphonate surfactant and mid-chain branched amine oxide surfactants
EP1814973B1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for improved low temperature grease cleaning
US20060019851A1 (en)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for improved low temperature grease cleaning and starch soil cleaning
US20060172908A1 (en)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WO1995018210A1 (en) Liquid hard surface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builders
US20020193268A1 (en)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color-stabilizing phosphonates
CA2567625A1 (en) Detergent composition
US20040029757A1 (en) Hand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using
EP1218476B1 (en)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color-stabilizing phosphonates
JP2004503670A (ja) 香料組成物及びこの香料組成物を含む洗浄性組成物
EP1111031A1 (en) cleaning composition
MXPA01008036A (en) Diols and polymeric glycols in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