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403A - 전자 기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403A
KR20010089403A KR1020017005656A KR20017005656A KR20010089403A KR 20010089403 A KR20010089403 A KR 20010089403A KR 1020017005656 A KR1020017005656 A KR 1020017005656A KR 20017005656 A KR20017005656 A KR 20017005656A KR 20010089403 A KR20010089403 A KR 20010089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pening
convex
electronic device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586B1 (ko
Inventor
구타라기겐
고토데이유
Original Assignee
구타라기 켄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타라기 켄,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구타라기 켄
Publication of KR20010089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17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having securing means for mounting boards, plates or wiring boards
    • H05K7/1418Card guides, e.g. gro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 요소와, 이 기기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100)로 구성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전자 기기는 외부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입력 및 출력 중의 적어도 한쪽을 행하기 위한 복수종의 기기 요소(310, 320, 330)를 갖는다. 케이스(100)는 복수의 면으로 둘러싸인 형태를 가지며, 그 적어도 한 면에,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볼록부(121)가 배열되어 구성되는 요철 패턴(120)을 갖는다. 복수개의 볼록부(121)는 동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한 면에는 복수종의 기기 요소 중에서 적어도 한 기기 요소에 대응하는 개구부(131, 132, 133)가 배치된다. 개구부(131, 132, 133)의 둘레 중의 2변(131a, 131b, 132a, 132b, 133a, 133b)가 볼록부(121)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하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케이스{Electronic device and case}
정보 처리 장치 등의 전자 기기는 일반적으로 기기 본체와, 그것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갖는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기록 매체, 메모리 카드, 플러그 등이 장착되어, 여러가지 용도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경우, 먼저 콘트롤러에 접속된 와이어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소켓 커넥터에 장착한다. 필요한 메모리 카드를 전용의 소켓 커넥터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CD, DVD 등의 기록 매체를, 그 재생을 행하는 기록 매체 구동 장치에 장착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게임을 실행한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 기기에서는, 케이스는 그것에 수용되는 기기 본체를 확실하게 수용함과 아울러, 외부와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그 형태, 외관이 설계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서는, 통상 그것이 갖는 기능을 우선하여, 형상 및 구조에 대하여 설계된다. 그 후, 기능을 충족시킨 형상 및 구조에 의거하여 케이스의 외관에 대하여 설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자 기기 중에서, 특히 최종 유저가 개인인 제품에 대한 팔림새는기능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외관 디자인에도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게임, 음악재생, 영상재생, 통신 등에 사용되는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경우, 특히 외관 디자인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엔터테인먼트 장치에서는, 더욱 리얼하게 아름다운 동화상의 재생, 고도의 게임의 실행 등에 있어서, 고성능의 것이 요구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유저는 장치의 성능의 우수함을, 카탈로그 등의 설명, 광도 선전 외에, 케이스의 외관 디자인의 참신성에 의해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전자 기기의 경우, 외관 디자인은 제품 개발에 있어서 극히 중요한 사항이다.
한편, 전자 기기는 본래의 사용 목적에 입각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 또한 유저에게 있어서 쓰기에 편한 것도 중요하다. 디자인을 우선했기 때문에, 기능성이 저하하고, 또한 사용편의성이 저하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따라서, 케이스에 대해서는, 외관 디자인과, 당해 전자 기기의 기능성을 융합시킨 형태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 대하여, 이와 같은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본 발명은 기기 본체를 케이스에 수용한 전자 기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외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부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케이스를 상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며, 정면측의 일부를 각각 다른 위치에서 파단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저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며, 배면측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은 상부 케이스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 구동 장치를 장착하는 부분을 파단하여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9는 상부 케이스에 있어서의, 기록 장치용 커넥터 플러그가 배치되는 부분의 정면도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부 케이스에 있어서의, 조작부가 배치되는 부분의 정면부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케이스의 정면부에 있어서의 배기구 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케이스의 배면부에 있어서의 외부 인터페이스의 플러그를 장착하기 위한 소켓 커넥터 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케이스내에 수용된 기기 본체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로서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의 우수함, 쓰기에 편리함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참신한 디자인을 실현하는, 전자 기기의 기능성과 외관 디자인을 융합시킨 형태를 갖는 전자 기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를 위한 기기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로, 상기 기기 요소를 수용하는 공간을 둘러싸는복수의 면을 구성하는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면 중에서 적어도 한 면에, 각각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볼록부의 배열과, 상기 볼록부의 배열에 있어서의 각 볼록부 사이에 생기는 복수개의 오목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요철 패턴; 및 상기 요철 패턴 중에서 개구되며, 개구의 둘레 중에서 2변이 상기 볼록부와 동일 방향으로 나란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1개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기기 요소와, 상기 기기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전자 기기로, 상기 기기 요소는 외부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입력 및 출력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기 위한 복수종의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복수의 면을 갖는 형태를 가지며, 또한 그 적어도 한 면에, 각각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볼록부의 배열과, 상기 볼록부의 배열에 있어서의 각 볼록부 사이에 생기는 오목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요철 패턴; 및 상기 요철 패턴 중에서 개구되며, 개구의 둘레 중에서 2변이, 상기 볼록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1개의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각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기기인 엔터테인먼트 장치와, 그것에 사용되는 케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엔터테인먼트 장치와 같은, 대중에게 널리 보급하는 장치에 적용하면, 본 발명은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편평한 박스형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가로로 배치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가로 배치를 표준적인 자세로 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세로 배치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에 있어서, 우측면으로 나타내고 있는 부분을 상면으로 하는 배치법을 상정하고 있다. 다른 배치법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
케이스(100)는 기기 요소를 수용하는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의 면을 구성하는 부재를 갖는다. 이들 부재에 의하여, 케이스(100)의 형상이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즉 케이스(100)는 상부 케이스(110), 중앙 섀시(140) 및 하부 케이스(170)에 의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70)는 모두 대략 편평한 직방체 형상을 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가로 배치 상태에서 바닥면이 되는 부분의 면적으로 비교하면, 상부 케이스(110)의 바닥 면적이 하부 케이스(170)의 바닥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70)는 중앙 섀시(140)에 대하여 그 좌측면부(173) 및 배면부(176)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의 좌측면부(113) 및 중앙 섀시(140)의 배면부에 배치되는 위치관계이다. 즉 케이스를 정면에서 보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70)는 좌측면측에 치우친 위치관계에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측으로도 치우친 위치관계에 있다. 따라서, 도 1, 도 2,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섀시(140)를 중심으로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70)가 비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함으로써, 중앙 섀시(140)에 의하여, 케이스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을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를 크게 함으로써, 외부와의 주고받기가 필요한 복수종의 기기 요소를 상부 케이스에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그들 기기 요소를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이러한 종류의 전자 기기에서는, 그 상하 방향의 단면 형상은 기본적으로는 거의 변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70)의 크기를 바꾸고 있으며,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에 대한 하부 케이스(170)의 위치가 비대칭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이것을 보는 자에게 참신한 인상을 줄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 중앙 섀시(140) 및 하부 케이스(170)는 중앙 섀시(140)로부터 또한 하부 케이스(170)로부터, 각각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관통하여, 상부 케이스(110)측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나사구멍에, 상기 볼트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고정한다.
중앙 섀시(140)는 예를 듬련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된다. 물론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어느 부분을 금속판으로, 다른 부분을 수지판으로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지를 가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를 수지 성형으로, 하부 케이스를 금속을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70)의 바닥면부(175)에, 가로배치시의 다리로 하기 위한 다리 부재(1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70)의 좌측면부(173) 및 상부 케이스(110)의 좌측면부(113)에, 각각 세로배치시의 다리로 하기 위한 다리 부재(180)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섀시(140)는 배면부(141) 및 칸막이부(142)를 구비하고 있다. 칸막이부(142)에 의해, 상부 케이스(110)측의 수용 공간과, 하부 케이스(170)측의 수용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또한, 이 칸막이부(142)에 의하여 구획되는 상부 케이스(110)내에 각종 기기 요소,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 DVD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재생 기능을 적어도 구비하는 기록 매체 구동 장치(디스크 유닛)(310)와, 소켓 커넥터(320, 330)을 갖는 커넥터 유닛(301)과, 전원 유닛(302)과, 스위치/인렛 유닛(304)과, 전원 회로 기판(303)이 수용되어 있다.
기록 매체 구동 장치(310)는 출몰 가능한 트레이(315)와, 상기 트레이(315)를 수용함과 아울러, CD, DVD 등의 디스크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디스크 유닛 본체(316)를 갖는다. 상기 트레이(315)는 후술하는 개구부(131)를 거쳐서, 출몰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15)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기록 매체의 착탈이 행해진다.
상기 커넥터 유닛(301)에 형성되는 소켓 커넥터(320)는 외부의 물체로서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기 위한 기록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즉 이 소켓 커넥터(320)는 후술하는 개구부(132)로부터 삽입되는 기록 장치를 받아들여서, 당해 기록 장치를 착탈자유롭게 지지함과 아울러, 이에 대하여 전기적 접속을 행한다. 또한, 소켓 커넥터(330)는 개구부(133)으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받아들여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를 착탈자유롭게 지지함과 아울러, 이에 대하여 전기적 접속을 행한다. 플러그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러그 커넥터(230)를 들 수 있다. 이 플러그 커넥터(230)는 케이블(220)을 통하여 콘트롤러 본체(210)에 접속되어 있다. 이 플러그 커넥터(230)는 하우징(231)에 커넥터 단자(232)가 수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중앙 섀시(140)에는 관통 구멍(142b) 및 노치부(142a)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관통 구멍(142b)에는 하부 케이스(170)에 설치되는 방열 팬(306)(도 13참조)이 관통한다. 이에 따라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열 팬(306)은 그 상부측이 상부 케이스(110)내의 공간에 돌출한다. 노치부(142a)의 위치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기 팬(305)이 배치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부(141)는 상부 배면 부재(143)와 하부 배면 부재(144)로 구성된다. 상부 배면 부재(143)와 하부 배면 부재(14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칸막이부(142)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부 배면 부재(143)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치부(14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143a)에는 스위치/인렛 유닛(304)이 장착된다(도 5, 도 13 참조). 게다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배면 부재(143) 및 하부 배면 부재(144)에는 상기 노치부(142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기구(14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배기구(143b)에 배기 팬(305)이 부착되어 있다. 그 밖에도, 하부 배면 부재(144)에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영상 음성 출력 단자(521)와,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단자(522)와, PCMCIA 규격에 준거한 각종 카드형 주변 장치가 장착되는 PCMCIA 슬롯(523)과, 장착된 카드의 인출버튼(524)이 배치된다.
하부 케이스(170)에는 메인 보드 및 입출력 신호 제어 기판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70)에는 도 4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등의 외부 인터페이스의 플러그를 장착하기 위한 소켓 커넥터 유닛(400)이 있다. 이 소켓 커넥터 유닛(400)에는 USB 커넥터(401, 402)와, IEEE 1394 커넥터(40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이 정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술한 기기 요소류의 배치와 어우러져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하부 케이스(170)에는 통기구(19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외에도 상부 케이스(110)의 바닥면(142)이며 상기 통기구(190)에 인접하는 위치에, 통기구(19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기구(190)에는 격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격자 중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격자(191)의 피치를, 후술하는 상부 케이스(110)의 요철 패턴(120)에 있어서의 볼록부(121)의 피치와 정합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케이스 정면의 디자인의 통일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상부 케이스(110)는 상면부(111), 우측면부(112), 좌측면부(113) 및 정면부(114)를 가지며, 배면부측이 비어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 박스형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의 한 면인 정면부(114)에, 외부의 물체의 장착이 그것에 대하여 행해지는 개구부(131∼13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11)는 상술한 기록 매체 구동 장치(310)의 트레이(315)(도 13 참조)를 출몰가능하게 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또한 트레이(315)가 출몰가능한 개구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개구부(132, 133)는 상술한 커넥터 유닛(301)의 각 소켓 커넥터(320, 3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개구부(132)에는 셔터(1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셔터(136)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32)의 한 변(132a)에, 소켓 커넥터(320) 내부에 대피가능하게 지지된다. 셔터(136)는 기록 장치가 삽입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개구부(132)를 덮도록 탄성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소켓 커넥터(330)에는 플러그 커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335)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부 케이스(110)의 정면부(114)에는, 이외에도 개구부(134, 135)가 형성된다(도 3 참조). 개구부(134, 135)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작부의 키 톱(341, 351)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10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121-1)와 볼록부(121-3)에 끼워지는 공간에 키 톱(351)이 배치되며, 볼록부(121-4)와 (121-6)에 끼워지는 공간에 키 톱(341)이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키 톱(341)은 기록 매체 구동 장치(310)의 트레이(315)(도 13 참조)의 이젝트 버튼에 할당된다. 또한, 키 톱(351)은 전원 스위치겸용 세트 스위치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서, 조작부에 대해서도 후술하는 요철 패턴(120)과의 디자인상의 정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에는 도 1, 도 3, 도 4, 도 5, 도 9, 도 11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정면부(114)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볼록부(121)가 배열되어 구성되는 요철 패턴(120)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면부(114)에 한정되지 않으며, 우측면부(112)에도 요철 패턴(120)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 패턴(120)은 다른 면, 예를 들면 좌측면부(113)에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에 대하여, 배면부를 형성하여, 이 부분에도 요철 패턴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요철 패턴(120)은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부 케이스(110)를 구성하는 부재의 제조시에, 돌출부(121)를 형성함으로써, 요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를 성형할 때에, 함께 볼록부(121)를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요철 패턴(120)을 상부 케이스(110)와는 별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형성된 요철 패턴(120)을 상부 케이스(110)의 외면에 부착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면부(114)에 요철 패턴(120)을 형성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록 매체 구동 장치(310) 및 소켓 커넥터(320, 330)가 외부에 나타난 부분을, 디자인 요소의 일부에 집어넣어서, 그들을 정면부에 배치하더라도, 유저에게 위화감을 주지않도록 함과 아울러, 게다가 한발 나아가서 더욱 참신한 인상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록 매체 구동 장치(310)와, 소켓 커넥터(320, 330)를, 가로배치의 경우에 가로 방향, 세로 배치의 경우에 세로 방향으로, 각각의 개구부를 나란히 함과 아울러, 그 나란함과 동일한 방향으로 볼록부(121)가 연장되도록, 요철 패턴(120)을 형성함으로써, 기록 매체 구동 장치(310), 소켓 커넥터(320, 330)의 배열에 디자인적인 통일성을 주고, 장치에 대한 유전의 친화성을 높이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셔터, 커넥터 등은 무엇보다도 기능이 우선되며, 그 형태는 외관 디자인과는 어울리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었다. 따라서, 셔터, 커넥터 등은 장치의 배면, 측면 등의, 유저가 보기 어려운 면에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배면측에 배치된 기기 요소에 대해서는 유저측에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빈번하게 착탈하는 기기 요소에 대해서는 그것이 현저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개구부의 셔터, 커넥터 등에 대해서도, 디자인 요소의 일부가 되도록 하고 있다. 즉 그들의 형태적인 특징을 살리기 위하여, 요철 패턴을 정면부에 형성하고 있다. 그 결과, 개구부의 셔터, 커넥터 등이 외관 디자인을 손상하지 않는 것은 물론, 이들을 참신한 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로서, 적극적으로 정면부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둘째로, 정면부(114)에 요철 패턴(120)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스(100)에 대하여 유저에게 전체적으로 간결한 인상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요철 패턴(120)은 볼록부(121)가 리브로서도 기능하기 때문에, 그것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강도를 늘린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제의 효과와 함께, 유저에게 면의 강도가 늘어나고 있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만일, 케이스가 구조적 강도를 갖는 것에 대하여, 리브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이더라도, 볼록부(121)가 존재함으로써, 케이스에 충분한 강도가 있다는 안심감을 유저에 대하여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정면부(114)에는 외부로부터의 물체의 출입을 빈번하게 행하는 부위, 즉 기록 매체 구동 장치(310), 소켓 커넥터(320, 330)가 존재한다. 이들에 대해서는, 힘이 가해지는 것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난폭하게 취급되어, 강한 충격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볼록부(121)가 리브로서 기능하면, 정면부(114)의 내충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110)의 정면부(114)에 요철 패턴(120)을 형성함으로써, 빈번하게 착탈이 행해지는 기기 요소류를 정면부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유저의 사용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요철 패턴(120)의 요철의 피치와, 정면부(114)에 배치되는 기기 요소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0)의 정면부(114)에, 가로 방향(가로배치시)으로, 복수개(도 3의 경우, 6개)의 볼록부(121)가 일정 간격(도 3의 경우, 볼록부의 폭과 거의 동일)을 두어 배치된다. 볼록부(121)에 끼워지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오목홈(122)이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철이 일정 피치로 배치된다. 이 요철 패턴(120)은 그 단면이 예를 들면 방형파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볼록부(121)의 선단측의 폭을 기단측의 폭에 비하여 작게 하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즉 오목홈(122)에 테이퍼를 갖게 하는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21)의 엣지에 라운딩을 부여해도 된다.
상기 볼록부(121)의 폭, 요철 패턴(120)의 피치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되는 기기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131∼133)에 적합하도록 정해진다. 즉 기록 매체 구동 장치(310)의 트레이(315)의 출몰에 필요한 개구 형상 및 크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소켓 커넥터(132, 133)에 있어서는, 그것에 장착되는 기록 장치, 플러그 커넥터를 장착할 수 있는 개구 형상 및 크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디자인상은 볼록부(121)가 가능한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볼록부(121)를, 내충격성 강화를 위한 리브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고려하면, 좁은 폭의 볼록부(121)를 고밀도로 배치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볼록부(121)의 피치가 상기 각 개구부(131∼133)의, 볼록부(12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늘어선 변(131a, 131b, 132a, 132b, 133a, 133b)가 각각 오목홈(122)내에 위치하게 되도록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31)에서는 변(131a)이 오목홈(122-2)에 위치하고, 변(131b)이 오목홈(122-4)에 위치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132)에서는, 변(132a)이 오목홈(122-2)에 위치하고, 변(132b)이 122-3에 위치한다. 게다가, 개구부(133)에서는 변(133a)이 오목홈(122-4)에 위치하고,변(133b)이 오목홈(122-5)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서, 도 3,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121-3, 121-4) 및 오목홈(122-3)의 연장이 개구부(131)를 지나고, 볼록부(121-3)의 연장이 개구부(132)를 지나고, 또한 볼록부(121-5)의 연장이 개구부(133)를 지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의 대향하는 2변이 각각 대응하는 오목홈(122)내에 위치하도록 볼록부(121)의 피치를 설정하고 있다. 이 때, 볼록부(121) 및/또는 오목홈(122)의 폭은 상기의 조건을 만족한 다음, 디자인상의 관점에서 적절히 정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철 피치의 약 1/2에 설정되어 있다. 즉 볼록부(121)의 폭과 오목홈(122)의 폭이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물론, 볼록부의 피치, 볼록부의 폭, 오목홈의 폭 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기 요소류를 수용하는 개구부(131∼133)의 배치와, 요철 패턴(120)이 정합성을 가지고 나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131∼133)중의 어디에 있어서도, 그 2변이 오목홈내에 위치해 있다. 이에 따라서, 외관상 눈에띄는 볼록부의 형태를 무너뜨리지 않고, 개구부를 배치할 수 있으며, 디자인상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케이스의 정면부에 대하여 유저의 사용하기편리함을 좋게 한 다음, 참신한 인상을 주는 디자인을 살리게 된다. 또한, 오목홈(122)내에서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오목홈(122)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변이, 볼록부(121)의 그늘에 위치하게 되어, 눈에띄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 때문에, 디자인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얇은 오목홈(122)에 단면을 갖게 되기 때문에, 가공도 용이하다.
이상의 설명은 케이스(100)를 가로배치한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세로 배치도 가능하다. 세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배치 상태에서의 좌측면부(113)를 바닥면으로 하여, 다리 부재(180)에 의하여 케이스(100)를 세운다. 이 경우에도, 정면부(114)는 정면이 되기 때문에, 상술한 가로 배치의 경우와 동일한 이론이 성립한다. 세로 배치의 경우에는 가로 배치 상태로 우측면부(112)가 상면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면부(112)에 대해서도, 요철 패턴(120)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세로 배치된 경우, 상면부에 요철 패턴(120)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세로 배치의 경우에 있어서의 천지(天地)방향의 정역(正逆)을 유저가 알기 쉽다. 이 때문에, 천지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케이스(110)를 세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개구부(131)에는 그곳에 장착되는 기록 매체 구동 장치(310)의 트레이(315)의 앞면이 나타나고, 개구부(132)에는 그곳에 형성되는 셔터(136)가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디자인의 통일성을 더욱 향상하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315)의 앞면(315a) 및 셔터(136)의 앞면에, 각각 요철 패턴(120)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한 폭 및 피치로 또한 동일한 색으로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 즉 트레이(315)의 앞면(315a)에는 볼록부(317-3, 317-4)와, 그 사이에 생기는 오목홈(318-3)을 형성한다. 이들 볼록부(317-3, 317-4)는 모두 그 연장이 상술한 개구부(131)를 지나는볼록부(121-3, 121-4)와 대응하여 일직선상에 나란하다. 또한, 셔터(136)에는 볼록부(327-3)를 형성하고 있다. 이 볼록부(327-3)는 그 연장이 상술한 개구부(132)를 지나는 볼록부(121-3)와 대응하여 일직선상에 나란하다. 도 6은 상부 케이스(110)의 정면부(114)에 관하여, 각각 개구부(131∼135)에 대하여 각각 다른 위치에서 파단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변화를 주기 위하여, 볼록부(317-3, 317-4), 볼록부(327-3)에 대하여 색을 바꾸면, 볼록부의 형태를 바꿀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315)가 몰(沒)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개구부(131)에는 (121-3, 121-4)와 대응하여 일직선상에 볼록부(317-3, 317-4)가 나란하다. 따라서, 외관상은 볼록부(121-3, 121-4)가 그대로 배열되어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셔터(136)가 닫겨있는 경우에는, 볼록부(121-3)와 대응하여 일직선상에 볼록부(327-3)이 나란하다. 이 때문에, 셔터(316)가 닫겨져 있는 경우에는 볼록부(121-2)가 그래도 배열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 결과, 상부 케이스(110)의 정면부(114)는 볼록부가 연속하고 보이고, 요철 패턴(120)에 의하여 케이스가 단단해 보이는 효과, 참신한 인상을 주는 효과가 한층더 강조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그 한 용도로서, 게임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터테인먼트 장치는 본체(100)과, 콘트롤러(200)와, 도시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게임 장치를 구성한다.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2사람이 게임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한사람이 게임하는 장치로 해도 된다. 따라서, 콘트롤러(200)는 1대인 경우도 있다. 게임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향재생, 영상재생, 통신 등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케이스에 대하여 기능성의 우수함, 사용하기 편리함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참신한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기능성과 외관 디자인을 융합시킨 형태를 갖는 전자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4)

  1. 정보 처리를 위한 기기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로,
    상기 기기 요소를 수용하는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의 면을 구성하는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복수의 면 중에서 적어도 한 면에, 각각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볼록부의 배열과, 상기 볼록부의 배열에 있어서의 각 볼록부 사이에 생기는 복수개의 오목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요철 패턴; 및 상기 요철 패턴 중에서 개구되고, 개구의 둘레 중에서 2변이 상기 볼록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1개의 개구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2변 중의 한 변이 상기 복수개의 오목홈 중의 어느 한 오목홈에 위치하고, 다른 한변이 그것과는 다른 오목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출입에 사용할 수 있는 개구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커넥터를 배치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개구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복수개 형성되며, 그들 개구부에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입출에 사용할 수 있는 개구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 1 개구부와, 소켓 커넥터를 배치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구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소켓 커넥터와는 다른 소켓 커넥터를 배치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구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 3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복수 부위에 형성되며, 그 중의 적어도 한 개구부에는 당해 개구부를 개폐자유롭게 닫기 위한 셔터를 가지며, 상기 셔터의 외측의 면에 제 2 볼록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록부는 상기 요철 패턴을 구성하는 볼록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에서 상기 볼록부가 일정 피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한 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면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와, 이들을 칸막이하는 중앙 섀시를 가지며, 상기 한 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면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12. 기기 요소와, 상기 기기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전자 기기로,
    상기 기기 요소는 외부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입력 및 출력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기 위한 적어도 한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복수의 면을 갖는 형태를 가지며, 또한 그 적어도 한 면에, 각각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볼록부의 배열과, 상기 볼록부의 배열에 있어서의 각 볼록부 사이에 생기는 복수개의 오목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요철 패턴; 및 상기 요철 패턴중에서 개구되고, 개구의 둘레중의 2변이 상기 볼록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한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기기 요소로서,
    기록 매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의 읽기를 적어도 행하는 기록 매체 구동 장치와,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기 위한 기록 장치의 장착을 받아들여서, 당해 기록 장치를 착탈자유롭게 지지함과 아울러,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제 1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받아들여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를 착탈자유롭게 지지함과 아울러,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제 2 소켓 커넥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장착부가 출몰가능한 제 1 개구부이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소켓 커넥터를 배치할 수 있는 제 2 개구부이며,
    상기 복수의 개구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2 소켓 커넥터를 배치할 수 있는 제 3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3 개구부 각각은 그들의 상기 2변 중의 한 변이 상기 복수개의 오목홈 중의 어느 한 오목홈에 위치하고, 다른 한 변이 그것과는 다른 오목홈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 1 소켓 커넥터가 형성되는 제 2 개구부에, 당해 제 2 개구부를 닫기 위한 셔터를 가지며, 상기 셔터는 그 외측의 면에 제 2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록부는 상기 요철 패턴을 구성하는 볼록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당해 장착부가 상기 제 1 개구부내에 수용된 상태로, 당해 제 1 개구부를 막는 면에, 제 3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볼록부는 상기 요철 패턴을 구성하는 볼록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구동 장치는 장착부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장착하여, 정보의 읽기를 적어도 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요소로서 키 톱을 갖는 조작부를 더 가지며, 상기 키 톱을 배치하기 위한 제 4 개구부가 상기 한 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 기기.
  22. 제 12항 내지 제 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에서 상기 볼록부가 일정 피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3. 제 12항 내지 제 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한 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면 중의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4. 제 12항 내지 제 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와, 이들을 칸막이하는 중앙 섀시를 가지며,
    상기 한 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면 중의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17005656A 1999-09-06 2000-09-06 전자 기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케이스 KR100715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181799 1999-09-06
JP11/251817 1999-09-06
JP2000/244269 2000-08-11
JP2000244269A JP2001148580A (ja) 1999-09-06 2000-08-11 電子機器、および、これに用いる筐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403A true KR20010089403A (ko) 2001-10-06
KR100715586B1 KR100715586B1 (ko) 2007-05-09

Family

ID=2654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656A KR100715586B1 (ko) 1999-09-06 2000-09-06 전자 기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케이스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580605B1 (ko)
EP (1) EP1133221B1 (ko)
JP (1) JP2001148580A (ko)
KR (1) KR100715586B1 (ko)
CN (1) CN1327711A (ko)
AT (1) ATE334573T1 (ko)
AU (1) AU6872500A (ko)
BR (1) BR0007071A (ko)
CA (1) CA2350030A1 (ko)
DE (1) DE60029559T2 (ko)
HK (1) HK1039437A1 (ko)
NZ (1) NZ512156A (ko)
RU (1) RU2001115131A (ko)
TW (1) TW590347U (ko)
WO (1) WO2001019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9856B2 (ja) * 2001-05-31 2004-08-0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装着体着脱機構及びプレートユニット
EP1565048B1 (en) * 2004-02-13 2007-04-11 Zero Cases (UK) Limited Rack mounted equipment case
JP5183577B2 (ja) * 2009-06-22 2013-04-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2011177404A (ja) * 2010-03-03 2011-09-15 Daito Giken:Kk 遊技台
USD723463S1 (en) * 2012-09-14 2015-03-03 Rockwell Automation Asia Pacific Business Center Pte. Ltd. Industrial control component female connector interface
US9629274B2 (en) 2013-05-17 2017-04-18 Sony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CN105229558B (zh) * 2013-05-17 2019-08-16 索尼电脑娱乐公司 电子设备
USD858519S1 (en) * 2017-05-18 2019-09-03 ShenZhen ORICO Technologies Co., Ltd. Hard disk case
USD938418S1 (en) * 2020-07-31 2021-12-14 Ugreen Group Limited Hard disk cas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671U (ko) * 1979-06-15 1981-01-10
JPS562671A (en) 1979-06-22 1981-01-12 Nissan Motor Co Ltd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diaphragm
JPH0731858B2 (ja) 1986-08-25 1995-04-10 ソニー株式会社 フロントロ−デイング型デイスクプレ−ヤ
JPS6353747U (ko) * 1986-09-29 1988-04-11
US4728160A (en) * 1986-10-22 1988-03-0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Cabinet for a computer assembly
JPH0457278A (ja) * 1990-06-21 1992-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装置及び複合化ディスク装置
JPH07202445A (ja) * 1994-01-04 1995-08-04 Hitachi Ltd 軽量筐体
US5668697A (en) * 1995-04-20 1997-09-16 Hewlett-Packard Company Data storage module having cradles on housing and elastomeric member mounted on data storage mechanism
USD398910S (en) * 1996-09-26 1998-09-29 Kabushiki Kaisha Toshiba Operation and controlling apparatus for electric computers with a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SG64486A1 (en) 1997-03-27 1999-04-27 Son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processing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authoring system
JPH10284853A (ja) 1997-04-02 1998-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筐体
US5995363A (en) * 1998-03-05 1999-11-30 Wu; Wen-Kao Structure of a carrying case for computer peripherals
US6088221A (en) * 1998-06-15 2000-07-1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Hot-pluggable disk drive carrier assembly with no loose parts
US6353536B1 (en) * 1998-06-25 2002-03-05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equipment system and extension device for expanding the functions of electronic equipment
US6147859A (en) * 1999-08-18 2000-11-14 Ops, Inc. Modular external peripheral housing
AU142704S (en) * 1999-08-26 2001-01-1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trol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872500A (en) 2001-04-10
EP1133221B1 (en) 2006-07-26
KR100715586B1 (ko) 2007-05-09
BR0007071A (pt) 2001-07-31
EP1133221A1 (en) 2001-09-12
DE60029559T2 (de) 2007-07-19
CA2350030A1 (en) 2001-03-15
ATE334573T1 (de) 2006-08-15
US6580605B1 (en) 2003-06-17
JP2001148580A (ja) 2001-05-29
WO2001019150A1 (fr) 2001-03-15
EP1133221A4 (en) 2005-08-24
DE60029559D1 (de) 2006-09-07
HK1039437A1 (zh) 2002-05-17
CN1327711A (zh) 2001-12-19
RU2001115131A (ru) 2003-06-27
TW590347U (en) 2004-06-01
NZ512156A (en) 200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586B1 (ko) 전자 기기 및 이것에 사용하는 케이스
CA2097410C (en) Recording medium cassette and 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11175211A (ja) 標準プラグを受入れるための統合レセプタクルを備えた着脱可能i/oデバイス
JP3279443B2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3106892U (ja) エンタテインメント装置
KR100887110B1 (ko) 게임기용 카트리지
KR20020027732A (ko) 디스크 드라이브
CN216388446U (zh) 电子设备的外壳及电子设备
MXPA01004492A (en) Electronic device and case
KR20010089396A (ko) 엔터테인먼트 장치 및 엔터테인먼트 장치용 외부 기억 장치
JP2003091340A (ja) Pcカード
EP1220356B1 (en) Shielded electronic device and shield material
KR100263681B1 (ko) 기록매체 카세트 및 기록/재생장치
JP2550684Y2 (ja) 接続用ジャック
JP3013562B2 (ja) ディスク装置の取付けアダプタ
JP2002093488A (ja) 電気接続端子、被接続部品用ガイド、及び被接続部品用コネクタ装置
KR200209724Y1 (ko) 다중 슬롯을 구비하여 체인저 기능을 갖는 멀티미디어카드 재생기
JP3147743U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10050520A1 (en) Accessory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KR200296204Y1 (ko) 실리콘 디스크용 다중 규격 읽기/쓰기 신호 전송 모듈
JP2001291561A (ja) コネクタ
JPH08306166A (ja) 記録再生用カセット
MXPA01009481A (en) Repeater
JP2002117648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KR20030083477A (ko) 메모리 카드 기록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