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431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431A
KR20010088431A KR1020010011663A KR20010011663A KR20010088431A KR 20010088431 A KR20010088431 A KR 20010088431A KR 1020010011663 A KR1020010011663 A KR 1020010011663A KR 20010011663 A KR20010011663 A KR 20010011663A KR 20010088431 A KR20010088431 A KR 20010088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ide wall
liquid
support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7485B1 (ko
Inventor
가시와기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88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4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18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 raised crotch region, e.g. h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경혈 등의 배설액을 흡수 유지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효과적으로 배설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생리용 냅킨에서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르면서 배설부에 계속해서 접촉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배설액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물품은 지지체(2)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시트(4, 4)가 설치되어 있다. 측벽 시트(4, 4)는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변형되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측벽 시트(4, 4)는 지지체(2)로부터 일어선다. 이 측벽 시트(4, 4)에 연결 시트(6)가 접합되고, 연결 시트(6)에 액체 흡수 부재(3)가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액체 흡수 부재(3)는 지지체(2) 상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장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르면서 밀착하게 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주로 경혈 등의 배설액을 흡수 유지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효과적으로 배설액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소변 수거 패드,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이 여러 가지 개발되어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에서는 착용 중에 있어서 배설액을 흡수 코어로 확실하게 흡수하고, 배설액이 흡수성 물품 밖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배설부 주변의 몸의 형상, 특히 질구 주변은 착용자가 서있는 상태,앉아 있는 상태, 다리를 오므리고 있는 상태, 벌리고 있는 상태 등에 따라 다르고, 특히 보행시에는 시시각각 그 형상이 변화된다. 특히 보행시에는 좌우 둔부의 두께가 몸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좌우 상하로 최대 30 mm 정도 변위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좌우 대퇴가 서로 교차하는 동작과 함께, 대퇴부의 근육 조직도 연동하여 이완과 긴장을 반복한다. 이 근육 조직 중, 대퇴부의 내측면에 존재하는 서혜 인대는 대퇴의 이동과 연동하고, 대퇴 내측면의 어느 일정 범위 내를 이동한다.
이 때, 인대 주변의 근육 조직도 이동하고 그 부분의 피부 표면이 주변의 피부 표면에 비해 함몰된 상태가 된다. 이 함몰 현상은 일시적인 것으로 근육 조직이 이완하는 동작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지만, 보행시와 같이 단속적(斷續的)으로 대퇴부의 이완·긴장 운동이 반복된 경우, 함몰 현상도 단속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함몰 현상은 보행시 이외에도 다리 벌림, 다리 오므림을 수반하는 동작이나, 자면서 몸을 뒤척이는 것과 같은 동작 시에도 발생한다. 이러한 함몰부와 흡수성 물품의 흡수 코어가 밀착할 수 없어 간극이 발생하고, 그 간극으로부터 배설액이 누설되어 버리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배설부에 밀착시키는 생리용 냅킨으로서, 예컨대 일본 PCT 공개 공보 평성 제6-502336호(WO92/07535)에는 흡수 코어가 액체 불투과성 후부 시트로부터 떨어져 장착자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위생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4-164446호에는 하부 흡수체 위에 상부 흡수체를 설치한 위생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냅킨에 있어서는 상측의 흡수 코어가 배설부의 오목부에 밀착하기 쉽기 때문에, 통상의 냅킨과 비교해서 누설이 방지되기 쉬워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냅킨에 있어서는, 장착자가 움직였을 때에 그 움직임을 따를 수 없으므로, 상기 함몰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어 버린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성7-33315호에는 착용자가 자유롭게 돌아다닌 경우에 있어서도 경혈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흡수성 물품(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은 상부 냅킨과 하부 냅킨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냅킨보다도 작은 상부 냅킨이 하부 냅킨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부 냅킨의 양단부로부터 긴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우측부와 좌측부)의 탄성 부재에 하부 냅킨이 접합되어 있다. 상부 냅킨과 하부 냅킨은 서로 구속하는 일없이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동일한 기술을 개시하는 것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11-104168호도 존재한다.
상기 공보의 냅킨에서는 상부 냅킨이 착용자가 바로 선 상태에 있어서 배설부에 확실하게 밀착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 부재가 전후단부만 하부 냅킨에 접합되고, 그 외의 부분에서는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보행시 등 좌우의 다리가 전후로 흔들리는 상태에 있어서, 예컨대 우측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면 좌측부의 탄성 부재는 제한되는 일이 없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하부 냅킨의 좌측부도 끌려서 크게 움직여 버린다. 또한, 이 때 하부 냅킨의 우측부의 이동은 좌측부의 이동을 수반하기 때문에, 상기 우측부가 움직이기 위해서 필요한 힘이 커져 버린다. 즉, 우측부 단독으로는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배설부와 상부 냅킨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고 그 결과 누설되어 버린다. 또한, 상부 냅킨에 가로 방향으로 크게 힘이 가해지면 상부 냅킨은 거의 제한없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냅킨이 가로로 너무 틀어져 버리는 일도 있다. 이렇게, 상기 냅킨에서는 장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항상 배설부에 밀착시키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설부에 대한 높은 밀착도를 유지하면서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追從性)이 우수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생리용 냅킨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측벽 시트에 주름을 형성하는 가압 공정을 도시한 선형 금형의 단면도.
도 6은 측벽 시트 및 탄성 부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인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인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인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 단면도.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2 실시 형태로서 생리용 냅킨을 도시한일부 절결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XIV-XIV선 단면도.
도 16은 흡수 코어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3 실시 형태로서 생리용 냅킨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 단면도.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4 실시 형태로서 생리용 냅킨을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XXIII-XXIII선 단면도.
도 24는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1C, 1E, 1F, 1G, 1H, 1J, 1K : 생리용 냅킨
2 : 지지체
2E, 2F : 지지체의 단부
2L, 2R : 지지체의 측부
2a : 액체 투과성 층
2b : 제2 흡수 코어
2F : 점착층
3, 3C, 3D : 액체 흡수 부재
3a : 액체 투과성 층
3b : 흡수 코어
3C : 액체 불투과성 층
4 : 측벽 시트
4a : 정상부
4b : 저부
4c : 중간부
4d : 평탄부
4e, 4f : 측벽 시트의 단부
5 : 측벽
5a : 자유단
5b : 기단
5c : 접합 기부
5d : 말단부
6, 6A, 6B, 6E, 6F, 6G, 6Ha, 6Hb, 6Hc : 연결 시트
6e : 단부
6h : 개공부
6m : 볼록부
6n : 오목부
6p, 6q : 절결부
6s : 접합 개소
6R, 6L : 연결 시트의 측부
7a, 7b, 7c, 7e, 7f, 7g, 7h, 7i : 탄성 부재
8 : 연결 측벽 시트
8c : 접합 기부
8t : 평탄부
10 : 누설 방지 커프스
제1 본 발명은 외부 장착체에 대면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액체 수용측에 위치하는 액체 흡수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지지체의 폭 방향 양측에,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동시에 기단부가 세로 방향을 향해 상기 지지체에 접합된 측벽 시트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측벽 시트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수축력을 발휘하여 측벽 시트의 자유단을 상기 지지체로부터 액체 수용측으로 일으키는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상기 양 측벽 시트를 연결하는 연결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상기 연결 시트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체와 접합되지 않고서 상기 지지체 상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측벽 시트로 형성되는 장착자에게로 일어서는 측벽간에 설치된 연결 시트에 의해 액체 흡수 부재가 지지체로부터 부유한 상태로 지지되고, 액체 흡수 부재가 지지체와는 별개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 움직임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자유 자재이며, 또한 좌우 측부의 측벽의 움직임이 서로 영향을 받기 어렵다. 또한, 액체 흡수 부재는 직접 측벽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연결 시트를 통해 측벽에 간접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액체 흡수 부재가 변형되어도 그 변형시키는 힘이 측벽까지 미치기 어렵고, 액체 수용측으로 일어서는 측벽의 형상을 붕괴시키기 어렵다. 그 결과, 액체 흡수 부재가 배설부에 확실하게 밀착하여 경혈 등 배설액의 누설이 적어진다. 또한, 액체 흡수 부재가 지지체에 대하여 제한 없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고, 즉 가로 방향의 이동은 폭 방향으로 연결된 측벽의 길이에 규제를 받기 때문에 적절한 이동 범위 내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액체 흡수체가 착용자의 몸의 움직임이나 피부의 이동에 따라 배설부에 계속해서 밀착하기 때문에, 누설이 발생하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피부에 대하여 마찰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장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흡수 코어와,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의 액체 수용측 표면을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를 가지며,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상기 연결 시트의 액체 수용측 상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상기 연결 시트는 액체 투과성이며,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상기 연결 시트의 지지체측 하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측벽 시트의 상기 세로 방향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접합되어, 상기 지지체를 상기 세로 방향을 향해 액체 수용측으로 오목형이 되도록 만곡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측벽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세로 방향을 향해 반복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및/또는 상기 측벽 시트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측벽 시트의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 사이에 있어서 기단부로부터 자유단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측벽 시트가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 방향을 향해 지그재그 형상 또는 물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연결 시트는 상기 측벽 시트의 상기 자유단과 상기 기단부 사이에 접합되고, 상기 측벽 시트의 자유단이 상기 연결 시트와의 접합부보다 액체 수용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며, 상기 측벽 시트의 상기 접합부보다도 연장되어 나와 있는 부분에 의해 누설 방지 커프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또는 상기 측벽 시트와는 별개의 부재인 누설 방지 커프스가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측벽 시트의 연장부로 상기 누설 방지 커프스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측벽 시트의 자유단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체의 상기 액체 흡수 부재와 대면하는 측에 상기 액체 흡수부재와 다른 흡수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제2 본 발명은 외부 장착체에 대면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액체 수용측에 위치하는 액체 흡수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지지체에는 한쪽 단부가 지지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부에 접합되면서 다른 쪽 단부가 지지체의 다른 쪽 측부에 접합된 연결 측벽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측벽 시트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수축력을 발휘하여 양단부 사이의 중앙 영역을 상기 지지체로부터 액체 수용측으로 사이를 두는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상기 연결 측벽 시트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체와 접합되지 않고서 상기 지지체 상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발명의 흡수성 물품도 상기 제1 발명의 흡수성 물품과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연결 측벽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흡수 코어와,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의 액체 수용측 표면을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를 가지며,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상기 연결 측벽 시트의 액체 수용측 상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상기 연결 측벽 시트는 액체 투과성이며,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연결 측벽 시트의 지지체측 하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연결 측벽 시트의 상기 세로 방향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접합되어 상기 지지체를 상기 세로 방향을 향해 액체 수용측으로 오목형이되도록 만곡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 측벽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 도록 세로 방향을 향해 반복되는 요철이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연결 측벽 시트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측벽 시트의 상기 양단부로부터 상기 중앙 영역 사이에 있어서 상기 단부로부터 중앙 영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연결 측벽 시트가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중앙 영역 방향을 향해 지그재그 형상 또는 물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액체 흡수 부재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는 액체 수용측으로 일어서는 누설 방지 커프스가 설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지지체의 상기 액체 흡수 부재와 대면하는 측에 상기 액체 흡수 부재와 다른 흡수체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생리용 냅킨을 액체 수용측에서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7, 도 8,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이다. X 방향이 폭 방향, Y 방향이 세로 방향, Z1 방향이 배설부측(액체 수용측)이 되는 상부 방향이며, Z2 방향이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측이 되는 하부 방향이다.
도 1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은 주로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에 대면하는 지지체(2)와, 장착자측으로 위치하여 배설액을 흡수하는 액체 흡수 부재(3)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2)의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폭 방향의 양측부: 2R, 2L)에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시트(4, 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측벽 시트(4)에는 Y 방향으로 수축하는 기능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시트(4)에 의해 자유단(5a)이 Z1 방향으로 일어서는 측벽(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측벽(5)의 자유단(5a)측에는 X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벽(5)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시트(6)가 접합되고, 이 연결 시트(6)의 지지체(2)측 하면에 액체 흡수 부재(3)가 접합되며, 액체 흡수 부재(3)는 지지체(2)와 접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비착용 상태(자유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흡수 부재(3)가 지지체(2)의 상부 방향(Z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지지체(2)는 액체 불투과성 지지 시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 시트는 통기성 수지 필름, 발수 처리된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 또는 부직포의 이면에 통기성 수지 필름이 접합된 것이다. 또한, 지지체(2)의 이면에는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 등에 걸어서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층(2F)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생리용 냅킨의 사용시까지 점착층(2F)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離型紙)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5)을 형성하는 측벽 시트(4)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세한 요철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고, 이 주름은 Y 방향으로 연속하여 반복 형성되어 있다. 이 주름은 측벽 시트(4)를 형성하는 부직포 등의 시트가 열 프레스되어 요철이 형성된 것이다.
도 5는 상기 열 프레스 공정의 설명도이며, 도 6은 열 프레스된 시트를 도시한 측벽(5)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 프레스 공정은 열가소성 섬유로 형성된 또는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멜트 블로운 부직포 등의 부직포로 형성된 측벽 시트(4)를 롤 사이에 끼운 후 프레스 또는 열 프레스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롤의 표면은 선형 압형(21, 2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선형 압형(21, 22)에 의해 시트가 (가열되어) 가압되면, 시트는 정상부(4a)와 저부(4b)에서 섬유가 강하게 압축되고, 중간부(4c)에서 섬유가 가볍게 압축된다. 상기 선형 압형(21,22)을 거친 측벽 시트(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부(4a)와 저부(4b) 및 중간부(4c)가 MD로 반복하여 연속하는 물결 형상이 된다.
측벽 시트(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결 형상이므로, 물결의 대열 방향(MD)으로 탄성 신축성을 가지며, 또한 정상부(4a) 및 저부(4b)가 연장되는 방향(CD)에서는 자립성이 풍부하고 버클링 강도가 높아진다. 이러한 측벽 시트(4)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 방향으로 두 번 접고, 이 때의 자국이 후에 측벽(5)의 자유단(5a)이 된다.
본 발명에서의 측벽(5)을 형성하는 측벽 시트(4)는 도 5에 도시된 공정에 의해 주름을 갖는 상태로 성형됨으로써 그 자체가 MD(Y 방향)로 탄성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도 5에 도시된 공정에 의한 요철형의 주름을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서, 그 자체가 Y 방향으로 탄성 수축성을 갖는 셉톤 멜트 블로운 부직포, 우레탄 폼 등의 탄성 신축성 재료를 사용하여 측벽 시트(4)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측벽 시트(4)를 스펀 본드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또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수지 필름과 같이 그 자체가 큰 탄성 신축성을 갖지 않는 시트로 형성하고, 이 시트에 실형 또는 벨트형의 탄성 부재를 Y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로 접합하여 측벽(5)에 Y 방향으로의 탄성 신축성을 부여해도 좋다.
측벽 시트(4)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 시트(4)가 부직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발수 처리가 실시된 PE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나 PE/PP 또는 PE/PET 등의 복합 섬유(즉, 심초형 섬유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등이다. 또는, 부직포에 PE나 PP를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 등도 사용 가능하다. 기타, 소수기(疏水基)의 분자량을 크게 한 계면 활성제나 디메틸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화합물이나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섬유에 반죽하거나 섬유나 부직포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소수성 시트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시트도 측벽 시트(4)로서 사용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의 형성에서는 도 5의 공정에서 형성된 미세한 요철형의 주름을 갖는 탄성 신축성 시트에, 다시 탄성 부재가 Y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접합되어, Y 방향으로의 탄성 신축성이 보강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 접힌 측벽 시트 사이에는 탄성 부재(7a, 7b, 7c)가 끼워지고, 핫 멜트형 접착제 등으로 시트에 접착되어 있다. 이 때, 예컨대, 각 탄성 부재는 외력을 부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자유 길이가 상기 물결형의 주름이 형성된 측벽 시트(4)의 자유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 또는 약간짧은 것을 사용하고, 측벽 시트(4)를 물결의 대열 방향(MD)으로 거의 주름이 평탄하게 될 때까지 늘린 상태에서 각 탄성 부재(7a, 7b, 7c)를 상기 신장된 상태의 측벽 시트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늘려 측벽 시트(4)에 접착시킨다. 그 결과, 외력을 제거한 자유 상태에서 측벽 시트(4)는 주름을 가지며, 또한 Y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 신축성을 갖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인접하는 탄성 부재의 간격은 5∼15 mm이다.
탄성 부재(7a, 7b, 7c)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로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으로서는 실형, 필라멘트형, 필름형, 띠형(벨트형)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는, 엘라스틱 스펀 본드 부직포나 엘라스틱 멜트 블로운 부직포 등의 신축성 부직포를 절단한 것 등도 사용 가능하다.
탄성 부재가 설치된 한 쌍의 측벽 시트(4, 4)를 1.2∼1.8배 정도 신장시킨 상태에서 소정 폭의 접합 기부(5c)가 지지체(2)의 양측부(2R, 2L)에 접합되어 있다. 이 때, 말단부(5d)가 지지체(2)의 X 방향의 외측을 향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5d)가 지지체(2)의 세로 중심선(L0)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접합 기부(5c)를 형성시켜도 좋다.
측벽(5)의 수축 범위는 자기 길이의 1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측벽(5)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측벽(5)이 장착자의 거동에 따를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한보다 크면, 측벽(5)의 형상이 유지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측벽(5)의 신축력(한계까지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은 190 mN∼2000 m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측벽(5)이 Z2 방향으로 일어서기 어렵게된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수축력이 너무 강해져 장착감이 저하된다.
지지체(2)에 접합되는 측벽 시트(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7a, 7b, 7c)를 정점으로 하여, 탄성 부재(7b)가 생리용 냅킨(1)의 세로 중심선(L0)측에 위치하고, 탄성 부재(7a, 7c)가 생리용 냅킨(1)의 X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에 위치함으로써 X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측벽 시트(4)의 Y 방향의 전후 단부(4e, 4f)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시트(4)의 전부가 평탄하게 절첩된 상태로 지지체(2)의 전후 단부(2E, 2F)에 접합되어 있다.
측벽(5)을 형성하는 측벽 시트(4) 자체의 탄성 수축력 및 각 탄성 부재(7a, 7b, 7c)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측벽(5)이 Y 방향으로 탄성 수축한다. 그 결과, 비장착 상태(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가 Y 방향을 향하여 액체 수용측이 오목형이 되도록 만곡하고, 또한 측벽(5)은 기단(5b, 5b)으로부터 지그재그 형상으로 일어서며, 자유단(5a, 5a)이 Z1 방향을 향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시트(4)는 탄성 부재의 간격, 즉 10∼15 mm의 접는 폭으로 4번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1)이 신체에 장착되고, 측벽(5)의 자유단(5a)이 피부에 맞닿았을 때에 측벽(5)은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유연하게 변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피부에 닿는 감촉이 부드럽고, 또한 신체의 움직임에 대하여 측벽(5)이 유연하게 추종하여 자유단(5a) 및/또는 그 주변 영역에 있어서 측벽(5)이 피부에 밀착하기 쉬워지며, 피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렵게 된다. 이렇게 측벽(5)이 피부에 밀착한 채로 몸의 움직임에 따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측벽 시트의 접는 폭이 5∼25 mm이고, 또한 절곡 횟수가 한 번 이상, 나아가서는 4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벽 시트(4)를 지그재그형으로 절곡할 때의 절곡 위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근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접는 선을 형성시키면, 측벽 시트(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으로 변형되기 쉬워진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시트(4)의 전면에 물결형의 주름을 형성하지 않고, 탄성 부재(7a, 7b, 7c)가 접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거의 평탄하게 된 평탄 부분(4d)을 형성해 두면, 상기 탄성 부재(7a, 7b, 7c)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접는 선으로 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그재그형의 접는 상태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또한, X 방향에 있어 지지체(2)의 우측부(2R)에서의 측벽(5)의 기단(5b)으로부터, 지지체(2)의 좌측부(2L)에서 측벽(5)의 기단(5b)까지의 간격은 생리용 냅킨의 경우 30 mm 이상 10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측벽(5, 5)의 간격이 작아지고, 그 결과 측벽간에 존재하는 액체 흡수 부재(3)의 폭도 작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한보다 크면, 측벽(5, 5)의 간격이 착용자의 고간부의 간격보다 커지게 되고, 생리용 냅킨(1)의 착용시에 장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형성되는 Z 방향으로 일어선 측벽(5)의 자유단(5a)측에 있어서, 탄성 부재(7b)가 설치된 개소의 바로 위(Z2 측)에 연결 시트(6)의양측부(6L, 6R)가 접합되어 있다. 액체 흡수 부재(3)는 이 연결 시트(6)의 하측(지지 시트(3)측)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1)의 Y 방향의 중앙부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흡수 부재(3)가 Z1 방향으로 일어서는 연결 시트(6)로 들어 올려져 지지체(2)와 떨어진 위치에서 지지된다.
또한,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시트(6)의 양측 말단(6S, 6S)을 지지체(2)측을 향해 측벽(5)과 접합시켜도 좋다. 이 경우, 연결 시트(6)의 양측 말단(6S, 6S)이 피부에 접촉할 가능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피부와의 마찰이 쉽게 생기지 않는다. 또한, 연결 시트(6)의 양측부(6R, 6L)와 측벽(5)과의 접합 개소(6s)로부터, 탄성 부재(7)를 경유하여 측벽(5)의 기단(5b)까지의 실제 길이는 10 mm 이상 5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라면 측벽(5)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7b)의 바로 아래(Z2 측)에 연결 시트(6)의 양측 말단(6S, 6S)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단, 지그재그형 측벽(5)의 세로 중심선(L0)측의 정점 부근에 연결 시트(6)의 양측 말단(6S, 6S)이 접합되면 측벽(5)의 보형성(保形性)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연결 시트(6)가 접합되는 측벽(5)을 형성하고 있는 측벽 시트(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에 연장되는 물결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이 연장되는 방향(CD)으로의 버클링 강성이 높아져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벽 시트(4)가 지그재그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측벽 시트(4)의 탄성 부재(7a)와 탄성 부재(7b) 사이의 부분, 즉 CD가 비스듬히 연장되는 부분에 의해 연결 시트(6)가 양측으로부터 지지된 상태이다. 따라서, 연결 시트(6)는측벽(5)에 의해 좌우로 크게 움직이는 일없이 적절히 움직일 수 있는 범위 내에 구속된 상태로 또한 지지체(2)와는 독립되어 어느 정도의 높이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확실하게 지지된다. 또한, 측벽 시트(4)가 상하를 향해 지그재그 형상이기 때문에 연결 시트(6)는 상하(Z 방향)로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생리용 냅킨(1)의 장착시에는 연결 시트(6)에 접합된 액체 흡수 부재(3)가 장착자의 몸의 움직임에 맞춰 지지체(2)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 때, 좌우의 측벽(5)은 독립하여 변형되는 것이기 때문에, 장착자가 보행했을 때 등 좌우 고간부의 형상이 변화할 때라도 그 변화에 좌우 각각의 측벽(5)이 따로따로 따르기가 쉽다. 또한, 액체 흡수 부재(3)는 측벽(5)에 직접 접합되어 있지 않고, 연결 시트(6)를 통해 측벽(5)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 중에 액체 흡수 부재(3)가 변형했다고 해도 측벽(5)이 받는 영향은 적게 되고, 또한 반대로 측벽(5)의 움직임에 의해 액체 흡수 부재(3)가 끌리거나 변형되는 것도 완화된다. 부분적 액체 흡수 부재(3)가 독립된 움직임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앉거나 서거나 하는 동작에 있어서도 액체 흡수 부재에 대하여 X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완화되어 액체 흡수 부재(3)와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액체 흡수 부재(3)는 지지체(2)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지만, 그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측벽(5)의 기단(5b)에서 액체 흡수 부재(3)의 접합부까지의 높이 거리내이며,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측벽(5)이 좌우 방향으로 지나치게 변형되기 어려운 형상이기 때문에, 지지체(2) 상에서 액체 흡수 부재(3)가 지나치게 이동하여 배설부에서 떨어져 버리는 일도 없다.
또한, 측벽(5)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측벽 시트(4)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프트감이 높다. 또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체(2)의 세로 치수보다 긴 치수를 갖는 측벽 시트(4)에 의해 측벽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체(2)의 세로 치수보다 긴 치수를 갖는 시트로 측벽(5)이 형성되면, 측벽(5)에 작용하는 힘이 완충되기 쉽고, 따라서 액체 흡수 부재(3)가 독립된 거동을 보이기 쉽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생리용 냅킨(1)에서는 확실하게 액체 흡수 부재(3)가 배설액을 흡수할 수 있어 배설액이 새어 속옷류를 더럽혀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지지체(2)는 측벽 시트(4)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수축력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방향을 따라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생리용 냅킨(1)은 장착자의 고간부에 의해 밀착하게 된다.
또한 생리용 냅킨(1)에서는, 연결 시트(6)는 측벽(5)의 자유단(5a)보다 약간 Z2 방향측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시트(6)의 접합 개소(6s)보다 Z 방향으로 연장한 측벽(5: 접합 개소(6s)에서 자유단(5a)까지의 부분)은 배설액이 X 방향에 있어서 액체 흡수 부재(3)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 방지 커프스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측벽(5)이 누설 방지 커프스의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연결 시트(6)의 상면에서 측벽(5)의 자유단(5a)까지의 간격을 5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mm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결 시트(6)는 Y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자가 보행 등의 동작으로 다리를 전후로 이동시켰을 때, 우측부(6R)와좌측부(6L)가 Y 방향에 있어서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힘이 작용하지만, 연결 시트(6)가 Y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다면, 우측부(6R) 및 좌측부(6L)가 Y 방향에 있어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더욱 가능해지고(이 때 연결 시트(6)는 거의 평행사변형 형상이 된다), 액체 흡수 부재(3)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으며, 액체 흡수 부재(3)가 바람직하지 못한 형상으로 변형되거나 지나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연결 시트(6)의 신축성은 상기 측벽의 신축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시트(6)의 신축 가능 길이는 자기 길이의 20∼2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액체 흡수 부재(3)가 측벽(5)의 움직임을 완전히 따라 액체 흡수 부재(3)와 배설부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켜 버린다. 상기 상한보다 크면, 연결 시트(6)가 완전 신장된 채로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므로, 액체 흡수 부재(3)를 지지체(2)로부터 Z1 방향으로 끌어올릴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연결 시트(6)는 X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지 않거나 또는 신축성을 가졌다고 해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용 냅킨(1)의 착용시에 있어서의 연결 시트(6)의 X 방향으로의 신축은 액체 흡수 부재(3)의 불필요한 이동을 일으키며, 장착자의 피부와 액체 흡수 부재(3) 사이에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측벽(5)의 자유단(5a)이 Z1 방향으로 일어선 형상을 붕괴해 버리고, 또한 측벽(5)의 누설 방지 커프스로서의 기능을 손상시킬 우려도 있다.
연결 시트(6)는, 예컨대 PE, PP, PET,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나셀룰로오스, 면, 레이온 등의 천연 섬유를 원료로 사용하여 형성한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레진 본드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등이나, PE, PP, PET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수지 시트나, 상기 수지 시트에 개공 처리를 실시하여 영율(Young modulus)을 저하시킨 것이나, 귤 망과 같이 눈이 거친 메쉬 구조를 갖는 메쉬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시트를 조합하여 연결 시트(6)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연결 시트(6)의 양측부(6R, 6L)를 개공 처리된 시트 또는 메쉬 재료로 구성하고, 양측부(6R, 6L)에 끼워지는 중간부를 상기 부직포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기술한 연결 시트(6)의 지지체(2)측에 액체 흡수 부재(3)가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연결 시트(6)는 배설액을 액체 흡수 부재(3)로 투과시키기 때문에, 연결 시트(6)는 액체 투과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액체 흡수 부재(3)는 도 1에 있어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보다 훨씬 작은 직사각 형상이다. 단, 소위 모래시계 형상이어도 좋다. 액체 흡수 부재(3)는 액체 투과성 연결 시트(6)의 바로 밑에 위치하는 흡수 코어(3b)와, 흡수 코어(3b)의 지지체측을 덮는 액체 불투과성 층(3c)으로 구성된다. 흡수 코어(3b)의 주변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성 층(3c)이 연결 시트(6)에 접합되어 있다.
흡수 코어(3b)는 분쇄 펄프 또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물 등에 의해 형성되고, 분쇄 펄프 또는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와의 혼합물이 티슈 등의 흡수성 시트나 액체 투과성 시트로 둘러싸인 것이다. 또한, 액체 흡수 부재(3)를 배설부에 더욱 밀착시키기 위해서 흡수 코어(3b)가 탄성 변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코어(3b)가 탄성 변형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에 우레탄 폼이나 셀룰로오스 스폰지 등의 분쇄물, 구형의 섬유 덩어리인 에어리치 섬유, 메쉬형으로 형성된 신축성을 갖는 셉톤 등의 수지 적층체, 권축된 섬유, 스플릿 얀(split yarn)을 함유시키면 좋다. 이 경우, 친수성 소재 또는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 코어(3b)의 액체 흡수성을 높이기 위해서, Z2 방향을 향하게 함으로써 흡수 코어(3b)의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흡수 코어(3b)로 이행한 배설액이 흡수 코어(3b) 내에서 더욱 지지체(2)측으로 이행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흡수 속도 및 흡수량이 커진다. 또한, 2개의 흡수체를 적층하여 흡수 코어(3b)를 형성하고, 상층(액체 수용측)의 밀도보다 하층(지지체(2)측)의 밀도를 높게 하여도 좋다.
연결 시트(6)와 흡수 코어(3b)는 올레핀 베이스 또는 고무 베이스의 핫 멜트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핫 멜트의 도포는 빗형, 스프레이형 또는 스파이럴형 등의 패턴으로 행해지고, 연결 시트(6)와 흡수 코어(3b) 사이의 액체 투과성이 저하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스파이럴 형상, 비드 형상, 띠형, 복수 라인의 연속선에 의한 접합, 또는 접착제를 스프레이 도포하여 접합하여도 좋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 층(3c)은 통기성 수지 필름, 발수 처리된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이다. 단, 연결 시트(6)가 액체 불투과성인 경우, 층(3C)을 액체 투과성의 소재로 형성하여도 좋다.
도 10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생리용 냅킨을 액체 수용측에서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A)은 도 1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단, 연결 시트(6A)의 중앙 영역에는 배설액을 투과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 복수의 개공부(6h)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시트(6A)의 밑에 접합된 액체 흡수 부재(3A)는 연결 시트(6A)측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성 층(3a)과, 지지체(2)측에 위치하는 액체 불투과성 층(3c)과, 상기 액체 투과성 층(3a)과 액체 불투과성 층(3c) 사이에 끼워지는 흡수 코어(3b)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시트(6A)의 개공부(6h)에서는 액체 투과성 층(3a)이 노출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층(3a)은 친수 처리된 PE 섬유, PP 섬유, PET 섬유, 또는 이들 복합 섬유 등으로 형성된 부직포로서,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이다. 또는, 개공 처리가 실시된 수지 시트이다.
단, 생리용 냅킨(1A)에 있어서, 액체 흡수 부재(3A)의 액체 투과성 층(3a)은 설치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체 흡수 부재(3)가 설치되고, 개공부(6h)로부터 흡수 코어(3b)의 흡수성 시트가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액체 흡수 부재(3) 대신에 액체 투과성 층(3a)을 갖는 액체 흡수 부재(3A)를 사용하여도 좋다.
도 1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생리용 냅킨을 액체 수용측에서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B)은 도 1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단, 도 12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B)에서는, 연결 시트(6B)의 중앙영역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6m)와 오목부(6n)가 X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액체 수용측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면, 배설액이 X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쉽게 옆으로 새지 않게 된다. 또한, 연결 시트(6B)의 볼록부(6m)와 오목부(6n)는 상기 측벽의 요철의 형성과 마찬가지로 시트를 프레스 또는 열 프레스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XIV-XIV선 단면도, 도 16은 액체 흡수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C)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생리용 냅킨(1)과 동일한 구성을 갖지만, 액체 흡수 부재(3C)가 모래시계 형상이며, 연결 시트(6)의 액체 수용측에 존재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연결 시트(6)의 밑에 액체 흡수 부재(3C)가 접합되어 있지 않고, 연결 시트(6) 위에 액체 흡수 부재(3C)가 접합되어 있어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액체 흡수 부재(3C)가 독립된 거동을 보여 장착자의 움직임에 따를 수 있다.
생리용 냅킨(1C)에서는 측벽(5)의 탄성 부재(7b) 부근에 접합된 연결 시트(6)의 액체 수용측에 액체 흡수 부재(3C)가 설치되어 있다. 액체 흡수 부재(3C)는 상기 액체 흡수 부재(3A)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으며, 장착자에게 닿는 액체 투과성 층(3a)과 연결 시트(6)가 닿는 액체 불투과성 층(3c)과 액체 투과성 층(3a)과 액체 불투과성 층(3C) 사이에 끼워지는 흡수 코어(3b)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연결 시트(6)는 액체 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 어느 쪽이든 상관없다. 액체 흡수 부재(3C) 대신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흡수 코어(3b)의 표면 전체를 액체 투과성 층(3a)으로 둘러싸서 형성한 액체 흡수 부재(3D)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연결 시트는 액체 불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연결 시트(6)를 액체 불투과성으로 하고, 액체 흡수 부재(3C)를 액체 불투과성 층(3C)을 설치하지 않고서, 흡수 코어(3b)와 액체 수용측의 표면을 덮는 액체 투과성 층(3a)만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액체 흡수 부재(3C) 또는 액체 흡수 부재(3D)와 연결 시트(6)의 접합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제를 스파이럴 형상이나 선형이나 점선형으로 도포하거나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한다.
또한, 세로 중앙선(L0) 부근에 의해서만 액체 흡수 부재(3C)와 연결 시트(6)를 접합하는 경우, X 방향에 있어서의 측벽(5)과 연결 시트(6)와의 접합부와, 액체 흡수 부재(3C)와 연결 시트(6)와의 접합부까지의 간격이 길어지기 때문에 측벽(5)의 움직임을 연결 시트(6)가 흡수하기 위해서 액체 흡수 부재(3C)가 보다 독립된 움직임을 취하기 쉽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연결 시트(6)의 양측부(6R, 6L)로 흐른 배설액이 액체 흡수 부재의 하측(연결 시트(6)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체 흡수 부재(3D)를 이용하여 연결 시트(6)측으로 흐른 배설액을 액체 흡수 부재(3D)의 연결 시트(6)측에서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 단면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E)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생리용 냅킨(1C)과 마찬가지로 연결 시트(6E)의 액체 수용측에 모래시계 형상의 액체 흡수 부재(3C)가 설치되어 있다.
생리용 냅킨(1E)에서는, 연결 시트(6E)의 양측부(6R, 6L)에 있어서 절결부(6p, 6q)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 시트(6E)를 이용하면, 절결부(6p, 6q)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에서 측벽(5)과 연결 시트(6E)가 독립된 거동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절결부(6p, 6q) 사이에 위치하는 액체 흡수 부재(3C)가 장착자의 고간부의 변형을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시트(6E)에 있어서는, 배설액이 절결부(6p, 6q)로부터 연결 시트(6E)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 상에 액체 흡수 부재(3)와는 별개의 제2 흡수체가 설치되어 있고, 절결부(6p, 6q)를 투과한 배설액이 제2 흡수체로 흡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리용 냅킨(1E)에서는 제2 흡수 코어(2b)가 설치되고, 또한, 제2 흡수 코어(2b)의 액체 수용측이 액체 투과성 층(2a)으로 덮여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층(2a)은 친수 처리된 섬유로 형성되어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이며, 상기 제2 흡수 코어(2b)는 흡수 코어(3b)와 마찬가지로 펄프, 또는 펄프와 SAP와의 혼합체가 티슈 등으로 둘러싸인 것, 또는 흡수지를 겹친 것 등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유 상태의 액체 흡수 부재(3C)가 장착자의 배설부에 밀착하여 액체 흡수 부재(3C)에 의해 경혈을 충분히 흡수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흡수 코어(2b)는 액체 흡수 부재(3)보다 얇은 것이 좋고, 예컨대 티슈 등의 흡수지를 겹친 것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티슈 등만으로 형성되는 제2 흡수 코어(2b)는 그 면적이 액체 흡수 부재(3C)의 면적보다 넓고, 위에서 본 상태에서 액체 흡수 부재(3C)의 좌우 상기의 측방으로 상기 제2 흡수 코어(2b)가 비어져 나와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2 흡수 코어는 연결 시트(6E)의 절결부(6p, 6q)의 Z2 방향의 바로 아래 부근에만 설치되고, 세로 중앙선(L0) 부근에는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도 19, 도 20, 도 21은 각각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생리용 냅킨의 액체 수용측에서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F), 도 20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G), 도 21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H)은 연결 시트를 제외하고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E)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9의 생리용 냅킨(1F)에서는, 지지체(2)의 Y 방향의 세로 치수보다 작은 치수를 갖는 연결 시트(6F)가 지지체(2)의 Y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측벽(5)에 접합되어 있다. 이 경우, 연결 시트(6F)의 단부(6E, 6E)가 지지체(2)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연결 시트(6F)가 지지체(2) 변형의 영향을 보다 받기 어려우며, 연결 시트(6F)가 보다 독립된 거동을 보이고, 장착자의 고간부의 움직임에 따를 수 있다.
또한, 도 20의 생리용 냅킨(1G)에서는, 연결 시트(6G)가 도 19에 도시된 연결 시트(6F)와 같이 지지체(2)보다 작은 세로 치수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연결 시트(6G)는 X 방향의 중앙부(폭 중심선(W0) 부근)의 세로 치수가 극단적으로 줄어들고 있고, H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연결 시트(6G)가 좌우에 있어서 독립되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액체 흡수 부재(3C)가 장착자의 고간부의 움직임에더욱 따르기 쉽게 된다.
도 21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H)에서는 3개의 연결 시트(6Ha, 6Hb, 6Hc)가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측벽(5)에 접합되어 있다. 이 경우, 연결 시트(6Ha, 6Hb, 6Hc)가 각각이 서로 영향을 받는 일없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연결 시트(6Ha, 6Hb, 6Hc) 상에 접합된 액체 흡수 부재(3C)가 Y 방향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독립되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생리용 냅킨(1H)에서는, 3개의 연결 시트가 설치되어 있지만, 설치되는 연결 시트의 수는 2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좋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절결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XXIII-XXIII선 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J)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측벽 시트 대신에 지지체(2)의 우측부(2R)에서 좌측부(2L)까지 X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연결 측벽 시트(8)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측벽 시트(8)에는 측벽 시트(4)와 마찬가지로 각각이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세한 요철형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고, 이 주름은 Y 방향으로 연속하여 반복 형성되어 있다. 주름이 형성된 시트가 2장 적층되어 연결 측벽 시트(8)를 형성하고 있다. 이 2장의 시트 사이에는 측벽 시트(4)와 마찬가지로 소정 간격마다 탄성 부재(7f, 7g, 7h, 7i)가 신장된 상태로 끼워져 접합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7g, 7h)와의 간격은 액체 흡수 부재(3C)의 폭 치수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어 있다. 탄성 부재를 끼운 시트가 신장된 상태로 시트의 X 방향의 측부가 각각 지지체(2)의 양측부(2R, 2L)에 접합되어 접합 기단(8c, 8c)으로 되어 있다.
시트의 X 방향의 폭 치수는 지지체의 X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보다 크고, 측벽 시트(4)와 마찬가지로 탄성 부재가 설치된 개소를 정점으로 하여 지그재그로 접혀 있다. 즉, 탄성 부재(7f, 7i)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가 지지체(2)의 X 방향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7g, 7h) 사이에 있어서, 연결 측벽 시트(8)의 평탄부(중앙 영역: 8t)로 되어 있고, 평탄부(8t)는 지지체(2)로부터 Z1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이 평탄부(8t)의 액체 수용측에 있어서 액체 흡수 부재(3C)가 접합되고,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액체 흡수 부재가 지지체(2)와는 다른 거동을 보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생리용 냅킨(1J)에 있어서도 액체 흡수 부재(3C)가 지지체(2)로부터 독립된 거동을 보이고, 장착자의 고간부의 움직임에 따를 수 있다.
또한, 생리용 냅킨(1J)에서는 연결 측벽 시트(8)의 평탄부(8t)의 액체 흡수 부재(3C)의 양측부(3R, 3L)의 바로 외측에 있어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10s, 10s)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10s)의 자유단(10e)에는 탄성 부재(7e)가 설치되고, 자유단(10e)이 장착자에게로 일어서는 누설 방지 커프스가 형성되어 X 방향의 누설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4는 상기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23과 동등한 단면도이다. 도 24에서는 누설 방지 커프스(10)를 형성하기 위한 시트(10t)가 X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고, 시트(10t)의 액체 수용측에 액체 흡수 부재(3C)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시트(10t)가 연결 시트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한다. 이러한 시트(10t)가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연결 시트 대신에 이용되어도 좋다.
또, 제1, 제2,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지지체(2) 상에 제2 흡수 코어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이 생리용 냅킨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기저귀, 소변 수거 패드, 팬티 라이너 등 기타 흡수성 물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수 코어가 지지체와 독립되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액체 흡수 부재를 항상 착용자의 배설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상태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를 수 있게 되므로, 배설액을 확실하고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3)

  1. 외부 장착체에 대면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액체 수용측에 위치하는 액체 흡수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지지체의 폭 방향의 양측에,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동시에 기단부가 세로 방향을 향해 상기 지지체에 접합된 측벽 시트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측벽 시트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수축력을 발휘하여 측벽 시트의 자유단을 상기 지지체로부터 액체 수용측으로 일으키는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상기 양 측벽 시트를 연결하는 연결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상기 연결 시트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체와 접합되지 않고서 상기 지지체 상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흡수 코어와,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의 액체 수용측 표면을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를 가지고,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상기 연결 시트의 액체 수용측 상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는 액체 투과성이고, 상기 액체흡수 부재는 상기 연결 시트의 지지체측 하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시트의 상기 세로 방향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접합되어 상기 지지체를 상기 세로 방향을 향해 액체 수용측으로 오목형이 되도록 만곡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도록 상기 세로 방향을 향해 반복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시트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측벽 시트의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 사이에 있어서 기단부로부터 자유단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시트가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자유단 방향을 향해 지그재그 형상 또는 물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는 상기 측벽 시트의 상기 자유단과 상기 기단부 사이에 접합되고, 상기 측벽 시트의 자유단이 상기 연결 시트와의 접합부보다 액체 수용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며, 상기 측벽 시트의 상기 접합부보다도 연장되어 나와 있는 부분에 의해 누설 방지 커프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시트의 자유단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상기 액체 흡수 부재와 대면하는 측에 상기 액체 흡수 부재와 별개의 흡수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3. 외부 장착체에 대면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액체 수용측에 위치하는 액체 흡수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지지체에는 한쪽 단부가 지지체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부에 접합되면서 다른 쪽 단부가 지지체의 다른 쪽 측부에 접합된 연결 측벽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측벽 시트에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수축력을 발휘하여 양단부 사이의 중앙 영역을 상기 지지체로부터 액체 수용측으로 분리시키는 탄성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상기 연결 측벽 시트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체와 접합되지 않고서 상기 지지체 상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연결 측벽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흡수 코어와, 적어도 상기 흡수 코어의 액체 수용측 표면을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를 가지고,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상기 연결 측벽 시트의 액체 수용측 상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측벽 시트는 액체 투과성이고, 상기 액체 흡수 부재는 연결 측벽 시트의 지지체측 하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측벽 시트의 상기 세로 방향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접합되어 상기 지지체를 상기세로 방향을 향해 액체 수용측으로 오목형이 되도록 만곡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측벽 시트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도록 세로 방향을 향해 반복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측벽 시트에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측벽 시트의 상기 양단부로부터 상기 중앙 영역 사이에 있어서 상기 단부로부터 중앙 영역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측벽 시트가 상기 단부로부터 상기 중앙 영역의 방향을 향해 지그재그 형상 또는 물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2. 제13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액체 흡수 부재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는 액체 수용측으로 일어서는 누설 방지 커프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3.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상기 액체 흡수 부재와 대면하는 측에 상기 액체 흡수 부재와 다른 흡수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010011663A 2000-03-07 2001-03-07 흡수성 물품 KR100857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62160 2000-03-07
JP2000062160A JP3933839B2 (ja) 2000-03-07 2000-03-07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431A true KR20010088431A (ko) 2001-09-26
KR100857485B1 KR100857485B1 (ko) 2008-09-09

Family

ID=1858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663A KR100857485B1 (ko) 2000-03-07 2001-03-0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458113B2 (ko)
EP (1) EP1132067B1 (ko)
JP (1) JP3933839B2 (ko)
KR (1) KR100857485B1 (ko)
CN (1) CN1168427C (ko)
AU (1) AU776753B2 (ko)
BR (1) BR0100871A (ko)
CA (1) CA2339442A1 (ko)
DE (1) DE60139432D1 (ko)
ID (1) ID29653A (ko)
MY (1) MY124919A (ko)
SG (1) SG99892A1 (ko)
TW (1) TW48964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2469B2 (ja) * 2000-03-13 2006-1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2000653A (ja) * 2000-06-19 2002-01-08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
US20040064125A1 (en) * 2002-09-30 2004-04-01 Justmann David A. Pleated tissue and adhesive arrangement for the absorbent core of an extensible absorbent article
KR100948898B1 (ko) 2002-11-18 2010-03-2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부착용 보조 패드
US7591810B2 (en) 2002-12-19 2009-09-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having a body conforming absorbent composite
US8246593B2 (en) 2003-07-03 2012-08-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for dynamic body fit
US20050124962A1 (en) * 2003-12-05 2005-06-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suspended absorbent body
JP4653537B2 (ja) * 2005-03-29 2011-03-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2008002254A (es) * 2005-08-19 2008-03-27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JP5064671B2 (ja) * 2005-09-30 2012-10-31 大王製紙株式会社 男性用パンツ型吸収性物品
MY149311A (en) * 2006-07-05 2013-08-30 Uni Charm Corp Absorptive article
US20080255532A1 (en) * 2007-04-12 2008-10-16 Arquest, Inc. Multiple barrier leg cuff
JP5290992B2 (ja) * 2007-11-28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吸収性物品
JP5065950B2 (ja) * 2008-03-07 2012-1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095467B2 (ja) * 2008-03-27 2012-12-1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771250B2 (en) * 2009-10-29 2014-07-08 Sca Hygiene Products Ab Inverse standing gathers for an absorbent article
JP5596994B2 (ja) * 2010-02-19 2014-10-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15134359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substrates
US20150250659A1 (en) * 2014-03-06 2015-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CN107920938B (zh) 2015-08-26 2021-07-30 宝洁公司 具有三维基底和标记的吸收制品
JP6759369B2 (ja) 2016-07-01 2020-09-2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改善されたトップシート乾燥度を有する吸収性物品
CN109199707B (zh) * 2018-11-16 2021-12-07 莆田市宏铭贸易有限公司 婴幼儿透气纸尿裤
WO2020131348A1 (en) * 2018-12-17 2020-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ampons
CN114948448A (zh) * 2021-02-23 2022-08-30 康那香企业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CN113633455A (zh) * 2021-09-09 2021-11-12 陆震海 接血、储血,各自独立又互相关联新一代卫生巾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1563A (en) 1987-03-16 1993-01-26 Mcneil-Ppc, Inc. Anatomically shaped absorbent pad
US5584829A (en) 1991-05-21 1996-1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panty covering components that naturally wrap the sides of panties
ES2065068T3 (es) 1990-10-29 1995-02-01 Procter & Gamble Compresa higienica que tiene componentes susceptibles de separacion en uso.
JPH04164446A (ja) 1990-10-30 1992-06-10 Masao Itokawa 生理用ナプキン及び生理用ナプキンの製造法
DK0549784T4 (da) 1991-07-23 2000-08-28 Procter & Gamble Buet, formet absorberende artikel
JPH0733315A (ja) 1993-07-17 1995-02-03 Takeshi Aoyama 新聞紙、広告紙の取り出し装置
US5853403A (en) 1994-10-25 1998-12-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tacting liquid control member
US5954705A (en) 1995-06-13 1999-09-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5730738A (en) 1995-12-04 1998-03-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angled band structural elastic-like film cuffs
JP3442943B2 (ja) 1996-10-23 2003-09-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1509716A (ja) 1997-01-17 2001-07-24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弾性吸収性パッド
JP3904302B2 (ja) 1997-09-30 2007-04-11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6193701B1 (en) * 1997-12-31 2001-02-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article having zones with different resistance-to stretch
JP3294203B2 (ja) 1998-09-08 2002-06-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859418B2 (ja) 2000-03-07 2006-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9653A (id) 2001-09-13
MY124919A (en) 2006-07-31
KR100857485B1 (ko) 2008-09-09
EP1132067A3 (en) 2001-11-28
CN1168427C (zh) 2004-09-29
AU2486701A (en) 2001-09-13
AU776753B2 (en) 2004-09-23
CA2339442A1 (en) 2001-09-07
BR0100871A (pt) 2001-11-27
US20010021839A1 (en) 2001-09-13
DE60139432D1 (de) 2009-09-17
US6458113B2 (en) 2002-10-01
CN1317303A (zh) 2001-10-17
EP1132067B1 (en) 2009-08-05
SG99892A1 (en) 2003-11-27
JP3933839B2 (ja) 2007-06-20
JP2001245925A (ja) 2001-09-11
EP1132067A2 (en) 2001-09-12
TW489643U (en) 200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485B1 (ko) 흡수성 물품
JP3859419B2 (ja) 吸収性物品
JP4198849B2 (ja) 吸収性物品
KR100589464B1 (ko) 흡수성물품
JP3959339B2 (ja) 吸収性物品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JP3426249B2 (ja) 曲げ抵抗性弾性化カフスを有する吸収体
JP4796074B2 (ja) 改善された防護性のために外方に凸状の長手方向中央チャネル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4108908B2 (ja) 吸収体
US20060135930A1 (en) Hygienic absorbent article
JP2000271170A (ja) 表面構造体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H11342154A (ja) 体液吸収性物品
KR101927040B1 (ko) 채널 및 성형 탄성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JP5230269B2 (ja) 吸収パッド
JP2003010242A (ja) 吸収性物品
JP4484841B2 (ja) 吸収性物品
JP2022086257A (ja) 吸収性物品
KR20230029697A (ko) 팬티형 패드
JPH1199171A (ja) 吸収性物品
JP7128610B2 (ja) 吸収性物品
JPH1199170A (ja) 吸収性物品
WO2024062924A1 (ja) 吸収性物品
KR100258021B1 (ko) 휨 탄성 부재를 삽입한 일회용 흡수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