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697A - 팬티형 패드 - Google Patents

팬티형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697A
KR20230029697A KR1020227046281A KR20227046281A KR20230029697A KR 20230029697 A KR20230029697 A KR 20230029697A KR 1020227046281 A KR1020227046281 A KR 1020227046281A KR 20227046281 A KR20227046281 A KR 20227046281A KR 20230029697 A KR20230029697 A KR 20230029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absorbent
skin
right direc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다카하시
이 쉬
옌안 탕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29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absorbent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22Density
    • A61F2013/1543Density with a density gradient in the horizontal plane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 코어(11)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10)와, 몸통 둘레 부재(20)를 갖는 팬티형 패드(1)로서, 흡수성 코어(11)보다도 비피부측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50)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탄성 부재(50)는, 좌우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제 1 탄성 부재(51)와, 제 1 탄성 부재(51)의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된 제 2 탄성 부재(52)를 각각 갖고, 흡수성 본체(10)는, 적어도 제 1 탄성 부재(51)와 제 2 탄성 부재(52)와의 좌우 방향의 사이의 영역에, 흡수성 코어(11)의 밀도가 주위의 부분보다도 높아진 고밀도부(40)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팬티형 패드
본 발명은, 팬티형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 흡수성의 흡수성 본체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나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성 본체의 세로 방향을 따라 신축성을 갖는 탄성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착용 시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의 피트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흡수성 본체(3)의 세로 방향을 따라 고간용 탄성 부재(17)를 복수 배치함으로써, 해당 고간용 탄성 부재(17)의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본체(3)를 위쪽(착용자의 피부측)으로 들어올려,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서의 피트성을 높이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4-35080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탄성 부재(고간용 탄성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를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질 등의 배설구)에 밀착시킬 수 있지만, 흡수성 물품의 좌우 방향 양측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흡수성 본체가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점도가 높은 경혈 등의 배설액이, 착용자의 피부(예를 들면 양다리)를 따라 흡수성 본체의 가로측으로 누설되어 버릴(가로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배설구 및 좌우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높은 피트성을 갖는 팬티형 패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액체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에 겹쳐 배치된 몸통 둘레 부재를 갖는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도 비피부측에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제 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된 제 2 탄성 부재를 각각 갖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적어도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와의 상기 좌우 방향의 사이의 영역에, 상기 흡수성 코어의 밀도가 주위의 부분보다도 높아진 고밀도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분명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설구 및 좌우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높은 피트성을 갖는 팬티형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패드(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또한 신장 상태의 패드(1)를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흡수성 본체(1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A는, 비교예로서, 종래형의 패드를 착용할 때의 피트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실시형태의 패드(1)를 착용할 때의 피트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도 6C는, 몸통 둘레 부재(20)의 비피부측 시트(21)와, 피부측 시트(22, 23)를 접합하는 시트 접합부(60)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 백 시트(14)와 사이드 시트(15)를 접합하는 백 접합부(70)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흡수성 본체(10)를 몸통 둘레 부재(20)에 부착하여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80)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영역 E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액체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으로 겹쳐 배치된 몸통 둘레 부재를 갖는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도 비피부측에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제 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된 제 2 탄성 부재를 각각 갖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적어도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와의 상기 좌우 방향의 사이의 영역에, 상기 흡수성 코어의 밀도가 주위의 부분보다도 높아진 고밀도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고밀도부를 절곡(折曲) 기점으로 하고, 흡수성 코어 중, 제 2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좌우 방향 중앙부와, 제 1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좌우 방향 양측부가, 각각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으로 들어올려져,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 중앙부의 배설구(질구) 및 좌우 방향 양측부의 서혜부에서 흡수성 본체의 피트성이 높아져, 경혈 등의 배설액을 누설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액체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으로 겹쳐 배치된 몸통 둘레 부재를 갖는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도 비피부측에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제 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된 제 2 탄성 부재를 각각 갖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좌우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밀도가 주위의 부분보다도 높아진 고밀도부를 가지며,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흡수성 본체 중, 상기 제 1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 및 상기 제 2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각각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볼록 형상(凸形狀)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흡수성 코어 중, 제 2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좌우 방향 중앙부와, 제 1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좌우 방향 양측부가, 각각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으로 들어올려지도록 위쪽으로 볼록 변형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 중앙부의 배설구(질구) 및 좌우 방향 양측부의 서혜부에서 흡수성 본체의 피트성이 높아져, 경혈 등의 배설액을 누설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팬티형 패드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을 때의 둘로 접기선을 갖고, 상기 둘로 접기선보다도 후측(後側)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둘로 접기선보다도 전측(前側)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둘로 접기선보다도 후측(등측(背側))에 작용하는 수축력의 크기가, 전측(복측(腹側))에 작용하는 수축력보다도 커져, 흡수성 본체가, 착용자의 등측(둔부측)에서 보다 피트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배설구에서 배설된 경혈 등이 착용자의 둔부를 따라 비스듬한 후측으로 이동하여 팬티형 패드의 외부로 누설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좌우 방향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방루벽부(防漏壁部)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루벽부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방루벽 탄성 부재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둘로 접기선보다도 후측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착용자의 등측(둔부측)에 작용하는 탄성 부재의 수축력이, 방루벽 탄성 부재의 수축력보다도 높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를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키기 쉽고, 또한, 방루벽부가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과도하게 높게 기립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팬티형 패드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둔부와 흡수성 코어와의 사이에 틈새(공간)가 형성되는 것이 억제되어, 배설액을 누설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고밀도부는, 상기 둘로 접기선보다도 후측의 상단부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에서 내측, 또한, 상기 상하 방향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하는, 후측 볼록부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상기 후측 볼록부의 외측단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후측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의 3차원적 변형이 억제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후측 볼록부의 양측부가 제 1 탄성 부재로 인장됨으로써, 흡수성 코어의 후측 단부 영역을 평면 형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선골부 부근(둔부)에, 흡수성 코어를 피트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적어도 피부측 시트와, 상기 피부측 시트의 비피부측에 적층된 비피부측 시트를 갖고, 상기 피부측 시트와 상기 비피부측 시트를 접합하는 시트 접합부를 가지며,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몸통 둘레 부재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보다도 상기 좌우 방향의 내측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시트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은, 상기 고밀도부보다도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시트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한 쌍의 고밀도부보다도 좌우 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접합부의 면적률을 높게 함으로써, 신축 응력을 저감시켜, 흡수성 본체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을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고밀도부보다도 좌우 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는 접합부의 면적률을 낮게 함으로써, 몸통 둘레 부재의 신축력을 살려, 흡수성 본체를 착용자의 둔부의 홈에 피트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가 양다리를 움직인 경우에 있어서도, 패드의 양호한 피트성이 유지되기 쉽고, 경혈의 피부를 따른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몸통 둘레 부재가 겹치는 영역, 또한, 상기 고밀도부보다도 상기 좌우 방향의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패드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을 때의 둘로 접기선보다도 후측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시트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은, 상기 둘로 접기선보다도 전측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시트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착용 시에 있어서, 몸통 둘레 부재의 전측의 강성이 후측과 비교하여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가 야간 수면 자세에서 사용할 때, 몸을 뒤척이는 등의 움직임을 해도, 전측(복측)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가 한 번 변형한 형상을 홀딩하기 쉬워진다. 한편, 몸통 둘레 부재 후측(등측)에서 강성을 낮게 함으로써, 흡수체 탄성 부재의 세로 방향(상하 방향)의 신축이 저해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가 둔부의 홈을 따르기 쉬워진다. 또, 몸통 둘레 부재가 좌우 방향으로도 수축하기 쉬우므로, 몸을 뒤척이는 등을 해도, 둔부에의 피트를 홀딩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비피부측에 적층된 사이드 시트를 갖고, 상기 백 시트와 상기 사이드 시트를 접합하는 백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된 제 3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백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은, 상기 제 2 탄성 부재와 상기 제 3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백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제 1 탄성 부재와 제 2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백 시트와 사이드 시트와의 접합 강도가 높아져, 흡수성 본체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영역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흡수성 코어)에 접힌 자국이 생기기 쉬워지고, 흡수성 코어가 볼록 변형한 경우에, 형상이 유지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본체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피트한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지고, 경혈 등의 흡수성을 높이며, 누설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전측 몸통 둘레 부재와, 후측 몸통 둘레 부재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측 몸통 둘레 부재와 상기 후측 몸통 둘레 부재를 서로 접합하는 사이드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팬티형 패드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을 때의 둘로 접기선보다도 전측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접합부의 하단의 위치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상단의 위치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착용 시에 있어서, 전측 몸통 둘레 부재가 착용자의 신체(복측)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했다고 해도, 당해 변형에 의한 영향이 흡수체 탄성 부재에 전파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전측 몸통 둘레 부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흡수성 본체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것이 억제되고, 흡수성 본체의 양호한 피트성을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몸통 둘레부의 피부측에 상기 흡수성 본체를 접합하는 본체 접합부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간격은, 상기 흡수성 코어의 폭의 1/2보다도 크며, 상기 본체 접합부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제 1 탄성 부재의 간격을 본체 접합부의 폭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방루벽부의 기립 기점(본체 접합부의 외측단)에 있어서 제 1 탄성 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기 어려워지고, 방루벽부의 기립이 저해되기 어려워진다. 또, 제 1 탄성 부재의 간격을 흡수성 코어의 폭의 1/2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흡수성 코어의 좌우 방향 중앙부의 면적이 너무 좁아져서, 볼록 변형이 생기기 어려워 배설구에 피트하기 어려워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상하 방향의 상단부에서의 상기 본체 접합부의 폭은, 상기 상하 방향의 하단부에서의 상기 본체 접합부의 폭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상하 방향의 상단부에서는, 몸통 둘레 부재에 대해 흡수성 본체가 넓게 접합되어, 흡수성 본체가 비틀리거나 변형하거나 하기 어려워져, 흡수성 본체가 착용자의 신체에 넓게 평면적으로 피트하기 쉬워진다. 한편, 상하 방향의 하단부(가랑이 아래부)에 있어서는 몸통 둘레 부재에 대해 흡수성 본체가 접합되어 있는 부분이 좁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가 변형하기 쉬워지고, 흡수성 본체의 양측부 에지가 착용자의 서혜부에 눌려서 불쾌감을 발생시키는 것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팬티형 패드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을 때의 둘로 접기선을 갖고, 상기 고밀도부와 상기 둘로 접기선이 중복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둘로 접기선을 끼우고 고밀도부가 연속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팬티형 패드의 착용 시에 있어서, 복측 및 등측의 각각의 영역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가 각각 독립하여 변형하기 쉬워진다. 즉, 흡수성 본체의 복측과 등측이 각각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쉽고, 피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경혈 등의 누설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고밀도부는, 일부의 영역이 상기 상하 방향의 반대측으로 반전한 반전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반전부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교차하는 부분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반전부와 제 1 탄성 부재가 교차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해당 반전부의 영향으로, 제 1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흡수성 코어에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반전부의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흡수성 코어의 변형을 국소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흡수성 코어를 피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고밀도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는 도트상(狀)의 엠보스부이고, 상기 엠보스부는,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엠보스부의 피치 및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엠보스부의 피치는, 모두,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탄성 부재의 간격보다도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흡수체 탄성 부재의 간격보다도 좁은 피치로 엠보스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착용자가 패드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리나 신체를 움직였을 때에, 흡수체 탄성 부재의 신축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복수의 엠보스부에 의해 간섭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코어가 비틀리기 어려워져, 착용자의 신체의 섬세한 움직임에도 추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착용 시의 피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전개 상태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영역보다도 전측 및 후측에, 상기 엠보스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흡수성 코어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 탄성 부재의 신축성이 작용하는 범위보다도 외측의 영역에 엠보스부를 설치함으로써, 당해 영역을 평면상으로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하복부(복측)나 선골 부근(등측)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가 신체 형상을 따라 면대면으로 딱 피트하기 쉬워져, 배설액의 누설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적어도 피부측 시트와, 상기 피부측 시트의 비피부측에 적층된 비피부측 시트를 갖고, 상기 피부측 시트 및 상기 비피부측 시트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 시트이며, 상기 피부측 시트와 상기 비피부측 시트를 접합하는 복수의 시트 접합부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의 시트 접합부의 간격은,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엠보스부의 피치보다도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착용 시에 몸통 둘레 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수축했을 때에,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 사이에 미세한 주름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그와 같은 미세한 주름이, 흡수성 본체보다도 비피부측의 몸통 둘레 부재에 형성됨으로써, 흡수성 코어가 비틀리기 어려워져, 패드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몸통 둘레부의 피부측에 상기 흡수성 본체를 접합하는 본체 접합부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접합부의 폭은, 상기 흡수성 코어의 폭보다도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패드에 의하면, 몸통 둘레 부재의 좌우 방향에서의 신축성이, 흡수성 코어의 좌우 방향 전역으로 전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몸통 둘레 부재의 신축성에 의해 흡수성 코어가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눌리기 쉬워져, 피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팬티형 패드(1)(이하에서는, 단지 「패드(1)」라고도 부른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패드(1)의 기본적 구조>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패드(1)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 또한 신장 상태의 패드(1)를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패드(1)의 「신장 상태」란, 패드(1)가 구비하는 각 탄성 부재(예를 들면, 후술하는 흡수체 탄성 부재(50)나, 피부측 시트(22, 23) 등)를 신장시킴으로써, 패드(1) 전체(제품 전체)를 주름 없이 신장시킨 상태, 구체적으로는, 패드(1)를 구성하는 각 부재(예를 들면, 후술하는 비피부측 시트(21) 및 피부측 시트(22, 23) 등)의 치수가 그 부재 단체(單體)의 치수와 일치 또는 그것에 가까운 치수가 될 때까지 신장시킨 상태인 것을 말한다.
패드(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부재가 적층된 방향인 「두께 방향」을 갖고 있다. 상하 방향 중, 착용자가 패드(1)를 착용한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몸통측이 되는 쪽을 「상측」으로 하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이 되는 쪽을 「하측」으로 한다. 또, 전후 방향 중, 착용 시에 착용자의 복측이 되는 쪽을 「전측」으로 하고, 착용자의 등측이 되는 쪽을 「후측」으로 한다. 또, 두께 방향 중, 착용자가 패드(1)를 착용한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측을 「피부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비피부측」으로 한다.
또, 패드(1)는, 도 2에 나타나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을 갖고 있다. 「세로 방향」은, 팬티형에서의 상하 방향을 따른 방향이고, 「가로 방향」은, 팬티형에서의 좌우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의 패드(1)는, 경혈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액체 흡수성의 흡수성 본체(10)와,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측에 배치되고, 패드(1)의 착용 시에는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 배치되는 몸통 둘레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본체(10))
도 4는, 흡수성 본체(1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본체(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즉 흡수성 본체(10)의 장변 방향)이 패드(1)의 상하 방향을 따른 평면도로 보아(平面視) 대략 장방(長方) 형상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10)는, 세로 방향(상하 방향)을 따른 흡수성 코어(11)와, 흡수성 코어(11)보다도 피부측에 배치된 톱 시트(12)와, 톱 시트(12)와 흡수성 코어(11)의 사이에 배치된 세컨드 시트(13)와, 흡수성 코어(11)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백 시트(14)와, 백 시트(14)의 비피부측에 배치된 사이드 시트(15)를 갖고 있다.
흡수성 코어(11)는,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홀딩하는 부재이고, 예를 들면 고흡수성 폴리머(SAP)가 혼입된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흡수성 코어(11)는, 티슈페이퍼나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의 시트 부재(코어 랩 시트)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된다.
톱 시트(12)는,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액체 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면 친수성의 에어스루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의 단면도와 같이, 톱 시트(12)의 좌우 방향의 양측 단부가, 흡수성 코어(11)의 좌우 방향의 양외측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피부측에서 비피부측으로 되접혀, 흡수성 코어(11)와 백 시트(14)의 사이에 끼워 넣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컨드 시트(13)는 톱 시트(12)와 거의 동등의 기능 및 구성을 갖는 시트 부재이고, 톱 시트(12)의 비피부측면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 세컨드 시트(13)는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백 시트(14)는, 흡수성 코어(11)에 흡수된 경혈 등의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통기성 또한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면 수지 필름 등에 의해 형성된다.
사이드 시트(15)는, 백 시트(14)의 비피부측에 적층된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면,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유연성을 갖는 부직포가 이용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15)는 한 쌍의 방루벽부(30, 30)를 형성한다.
방루벽부(30)는, 흡수성 본체(10)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 한 쌍 설치되고, 소위 입체 개더에 상당하는 부위이다. 패드(1)의 착용 시에는, 해당 방루벽부(30)가, 흡수성 본체(10)의 좌우 방향의 양측에서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기립함으로써, 경혈 등의 배설액이 흡수성 본체(10)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15)는, 도 4의 단면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1)의 좌우 방향(가로 방향)의 양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면서, 흡수성 본체(10)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서 두께 방향의 피부측으로 절곡되어, 단부(15t)가 흡수성 코어(11)보다도 피부측에 배치된다. 이 단부(15t)는, 세로 방향에서의 전측(복측) 단부에서, 전측 접합부(32f)에서 톱 시트(12)의 피부측면에 접합되고, 세로 방향에서의 후측(등측) 단부에서, 후측 접합부(32b)에서 톱 시트(12)의 피부측면에 접합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전측 접합부(32f) 및 후측 접합부(32b)는,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재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 단부(15t)에서는, 도 4와 같이, 사이드 시트(15)가 되접힘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가 되어 있고, 적층된 사이드 시트(15, 15) 사이에는 방루벽 탄성 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방루벽 탄성 부재(31)는, 세로 방향(상하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에서 설치되고, 세로 방향의 양단부에서 전측 접합부(32f) 및 후측 접합부(32b)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전측 접합부(32f) 및 후측 접합부(32b)의 사이에서 세로 방향(상하 방향)을 따른 신축성을 발현한다. 패드(1)의 착용 시에는, 해당 방루벽 탄성 부재(31)가 발현하는 신축성에 의거하여, 방루벽부(30)의 단부(15t)가 세로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수축함으로써, 단부(15t)의 자유단측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기립한다. 방루벽부(30)에 설치되는 방루벽 탄성 부재(31)의 신장 배율은 2.2∼2.6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장 배율은, 신장 상태의 탄성 부재(방루벽 탄성 부재(31))의 길이를, 자연 상태의 탄성 부재(방루벽 탄성 부재(31))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 나타난다.
또, 흡수성 본체(10)에는, 흡수성 코어(11)의 밀도가 주위의 부분보다도 높아진 고밀도부(40)가 설치되어 있다. 고밀도부(40)는, 흡수성 본체(10)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고밀도부(40)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트상의 압착부가 복수 나열됨으로써 각각 선상으로 형성된 제 1 고밀도부(41)와, 제 2 고밀도부(42)와, 제 3 고밀도부(43)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고밀도부(40)가 설치됨으로써, 흡수성 코어(11)의 액체 흡수성 섬유가 흩어져 형상이 무너져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 패드(1)의 착용 시에는, 해당 고밀도부(40)가 절곡 기점이 됨으로써, 흡수성 코어(11)가 착용자의 신체 형상에 따라 삼차원적으로 변형하기 쉬워지고,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하기 쉬워진다.
또, 흡수성 본체(10)에는, 세로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흡수체 탄성 부재(50)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흡수체 탄성 부재(50)는, 예를 들면 실 고무에 의해 형성되고, 흡수성 코어(11)보다도 비피부측(구체적으로는, 백 시트(14)와 사이드 시트(15)와의 사이)에, 세로 방향(상하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5개의 흡수체 탄성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신장 배율은 2.7∼3.2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신장 배율을 방루벽 탄성 부재(31)보다도 강한 배율로 설정함으로써, 흡수성 본체(10)가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서 수축하기 쉬워지고, 패드(1) 착용 시에, 착용자의 신체에 흡수성 본체(10)를 피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흡수체 탄성 부재(50)가 발현하는 신축성에 의해 흡수성 본체(10)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밀착하기 쉬워지고, 경혈 등의 배설액을 누설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좌우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 탄성 부재(50)를 제 1 탄성 부재(51, 51)로 한다. 또, 제 1 탄성 부재(51, 51)의 좌우 방향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 탄성 부재(50)를 제 2 탄성 부재(52, 52)로 한다. 또, 제 2 탄성 부재(52)보다도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체 탄성 부재(50)를 제 3 탄성 부재(53)로 한다. 또한, 흡수체 탄성 부재(50)는, 적어도 한 쌍의 제 1 탄성 부재(51, 51) 및 한 쌍의 제 2 탄성 부재(52, 52)를 갖고 있으면 된다. 즉, 제 3 탄성 부재(53)가 2개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제로여도 된다.
(몸통 둘레 부재(20))
몸통 둘레 부재(20)는, 복수의 시트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비피부측 시트(21)와, 피부측 시트(22, 23)를 구비하고 있다(도 3 참조).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몸통 둘레 부재(20) 중, 세로 방향에 있어서, 중앙 위치(CL)보다도 전측(복측)의 부분을 전측 몸통 둘레 부재(20f), 중앙 위치(CL)보다도 후측(등측)의 부분을 후측 몸통 둘레 부재(20b)라고도 부른다.
비피부측 시트(21)는, 패드(1)의 가장 비피부측에 배치되는 비신축성의 시트 부재이며, 예를 들면 스펀본드 부직포나 SMS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비피부측 시트(21)는, 도 2의 평면도로 보아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의 중앙부(중앙 위치(CL)를 포함하는 부분)에 있어서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해 잘록해진 형상을 갖고 있다.
피부측 시트(22)는, 세로 방향의 전측(복측)에 있어서 비피부측 시트(21)의 피부측에 적층된 신축성을 갖는 시트 부재이다. 피부측 시트(22)는, 예를 들면, 신축성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다. 「신축성 부직포」란,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섬유, 및 신축성 섬유보다도 수축성이 낮은 신장성 섬유를 포함하고, 기어 연신 등의 적당한 연신 처리가 실시된 부직포이다. 본 실시형태의 피부측 시트(22)는, 신축성 섬유로서, 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일종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의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신장성 섬유로서, 비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일종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폴리프로필렌(PP)의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피부측 시트(22)는, 점재하는 복수의 시트 접합부(60)(도 6 참조)에 의해 비피부측 시트(21)와 접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전측 몸통 둘레 부재(20f)에, 적어도 좌우 방향을 따른 신축성이 부여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접합부(60)는, 초음파 용착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피부측 시트(23)는, 세로 방향의 후측(등측)에 있어서 비피부측 시트(21)의 피부측에 적층된 신축성을 갖는 시트 부재이다. 피부측 시트(23)는, 피부측 시트(22)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즉, 피부측 시트(23)는, 신축성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고, 점재하는 복수의 시트 접합부(60)(도 6 참조)에 의해 비피부측 시트(21)와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후측 몸통 둘레 부재(20b)에, 적어도 좌우 방향의 신축성이 부여된다.
패드(1)는,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부터, 흡수성 본체(10)의 세로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CL)(도 2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를 접은 위치로 하여 흡수성 본체(10) 및 몸통 둘레 부재(20)가 세로 방향(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혀진다. 당해 둘로 접기의 상태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겹쳐진 전측 몸통 둘레 부재(20f)의 가로 방향(좌우 방향) 양단부(20fe, 20fe)와, 후측 몸통 둘레 부재(20b)의 가로 방향(좌우 방향) 양단부(20be, 20be)가 시일 용접 등의 공지의 접합 수단을 이용하여 접합되고, 사이드 접합부(20we)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둘로 접혀진 몸통 둘레 부재(20)(20f 및 20b)가 전측(복측)과 후측(등측)에서 고리상으로 연결되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나의 몸통 둘레 개구(1a)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1b)가 형성되어, 팬티형의 패드(1)가 된다.
<패드(1)의 피트성에 대해서>
계속해서, 패드(1)를 착용할 때의 피트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는, 비교예로서, 종래형의 패드를 착용할 때의 피트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실시형태의 패드(1)를 착용할 때의 피트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에 나타나는 비교예의 패드에는, 흡수성 본체(1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비교예의 흡수성 본체(100)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본체(10)와 대략 마찬가지이지만,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구성이 흡수성 본체(10)와는 다르다. 즉, 비교예의 흡수성 본체(100)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고밀도부(40, 40) 사이의 영역에 3개의 흡수체 탄성 부재(50)가 설치되어 있고, 고밀도부(40, 40)보다도 외측의 영역에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제 1 탄성 부재(51)에 상당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비교예의 흡수성 본체(100)에서는, 좌우 방향에서의 중앙의 영역에 흡수체 탄성 부재(50)가 설치되어 있지만, 좌우 방향에서의 양측의 영역에는, 흡수체 탄성 부재(50)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흡수성 본체(100)에 있어서, 고밀도부(40)는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지 않아도 된다.
비교예의 흡수성 본체(100)를 구비하는 패드를 착용하는 경우, 흡수성 본체(100) 중 한 쌍의 고밀도부(40, 40)보다도 좌우 방향의 내측의 영역(좌우 방향의 중앙부)에서는, 흡수체 탄성 부재(50)가 수축함으로써, 흡수성 코어(11)가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들어올려진다. 즉, 도 5A와 같이, 흡수성 코어(11)의 좌우 방향 중앙부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볼록 변형하여, 질구 등의 배설구에 밀착한다. 따라서, 가랑이 아래부에 있어서 경혈 등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의 흡수성 본체(100)는, 한 쌍의 고밀도부(40, 40)보다도 좌우 방향의 외측의 영역(좌우 방향의 양측부)에는 흡수체 탄성 부재(50)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당해 영역에서는 흡수체 탄성 부재(50)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아, 흡수성 코어(11)가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하기 어렵다. 즉, 배설구의 양측의 영역에는 흡수성 코어(11)가 밀착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경혈 등의 점도가 높은 액체가, 착용자의 양다리를 따라 서혜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누설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패드(1)의 경우, 흡수성 본체(10) 중 한 쌍의 고밀도부(40, 40)보다도 좌우 방향의 내측의 영역(좌우 방향의 중앙부)은,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질구에 피트하기 쉽다. 즉, 제 2 탄성 부재(52)(및 제 3 탄성 부재(53))가 수축함으로써, 도 5B와 같이 전후 방향의 전측에서 보았을 때에, 흡수성 코어(11)의 좌우 방향 중앙부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절곡한다. 즉, 제 2 탄성 부재(52)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피부측을 향해 볼록 형상이 되도록 변형하여 질구 등의 배설구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한 쌍의 고밀도부(40, 40)보다도 좌우 방향의 외측의 영역(좌우 방향의 양측부)에서는, 제 1 탄성 부재(51, 51)가 수축함으로써, 흡수성 코어(1)의 좌우 방향 양측부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들어올려지도록 절곡한다. 즉, 제 1 탄성 부재(51, 51)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 피부측을 향해 볼록 형상이 되도록 변형함으로써, 착용자의 서혜부 부근에 피트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경혈 등의 배설액이 착용자의 양다리를 따라 가로 방향으로 흘렀다고 해도, 당해 배설액은 서혜부에서 흡수성 코어(11)에 의해 확실히 흡수되기 때문에, 가로 누설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성 본체(10)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1 탄성 부재(51)와 제 2 탄성 부재(52)와의 사이에, 고밀도부(40)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흡수체 탄성 부재(50)(51, 52)가 수축하면, 고밀도부(40)가 절곡 기점이 되고, 흡수성 코어(11)가 3차원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즉, 고밀도부(40)보다도 좌우 방향 내측의 영역은 제 2 탄성 부재(52)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배설구를 향해 볼록 변형하기 쉽고, 고밀도부(40)보다도 좌우 방향 외측의 영역은 제 1 탄성 부재(51)의 수축에 의해 착용자의 서혜부를 향해 볼록 변형하기 쉬워진다(도 5B 참조).
이와 같이, 패드(1)에서는, 고밀도부(40)를 절곡 기점으로 하고, 제 2 탄성 부재(52)가 배치되어 있는 좌우 방향 중앙부와, 제 1 탄성 부재(51)가 배치되어 있는 좌우 방향 양측부가, 각각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으로 들어올려져,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한다. 따라서,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 중앙부의 배설구(질구)에의 피트성 및 좌우 방향 양측부의 서혜부에의 피트성이 함께 높아져, 경혈 등의 배설액을 누설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패드(1)(흡수성 본체(10))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중앙 위치(CL)보다도 후측의 영역에서 흡수체 탄성 부재(50)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Lb50)는, 중앙 위치(CL)보다도 전측의 영역에서 흡수체 탄성 부재(50)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Lf50)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Lb50>Lf50). 즉, 패드(1)를 전후로 둘로 접기로 할 때의 둘로 접기선(세로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CL))보다도 후측(등측)에 작용하는 수축력의 크기 쪽이, 둘로 접기선(중앙 위치(CL))보다도 전측(복측)에 작용하는 수축력의 크기보다도 크다. 그 때문에, 패드(1)를 착용했을 때에, 흡수성 본체(10)는, 착용자의 등측(둔부측)에 있어서 보다 피트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착용자가 앉거나 위를 향해 자거나 하고 있는 경우에, 배설구에서 배설된 경혈 등이 착용자의 둔부를 따라 비스듬한 후측으로 이동하여 패드(1)의 외부로 누설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위치(CL)보다도 세로 방향 후측에 있어서, 흡수체 탄성 부재(50)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Lb50)는, 방루벽 탄성 부재(31)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Lb31)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Lb50>Lb31).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1)를 착용할 때에는, 방루벽 탄성 부재(31)가 발현하는 신축성에 의해, 방루벽부(30)가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기립하여, 배설액의 가로 누설을 억제하기 쉽게 한다. 그러나, 방루벽부(30)의 기립 높이가 너무 높아지면, 흡수성 코어(11)와 착용자와의 피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배설액이 흡수성 코어(11)에 흡수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Lb50>Lb31로 함으로써, 둔부측에 작용하는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수축력을 높이고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코어(11)를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키기 쉬워져, 방루벽부(30)가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과도하게 높이 기립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둔부와 흡수성 코어(11)와의 사이에 틈새(공간)가 형성되는 것이 억제되어, 배설액의 흡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신장 배율을 방루벽 탄성 부재(31)의 신장 배율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수축력이 커져, 틈새(공간)가 보다 형성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둘로 접기선(중앙 위치(CL))보다도 후측에 있어서, 고밀도부(40)(제 3 고밀도부(43))는, 그 후측 단부가 후측으로 볼록 형상이 된 후측 볼록부(43c)를 갖고 있다(도 4 참조). 후측 볼록부(43c)는, 패드(1)의 착용 시에, 둘로 접기선보다도 후측(등측)의 상단부에서, 좌우 방향의 외측에서 내측, 또한, 상하 방향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후측 볼록부(43c)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후측 볼록부(43c)에 의해 상술과 같은 흡수성 코어(11)의 3차원적 변형이 억제되기 쉬워지고, 흡수성 코어(11)가 평면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이 후측 볼록부(43c)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은, 패드(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선골을 따른 위치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선골부 부근에 흡수성 코어(11)를 플랫하게 피트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 후측 볼록부(43c)의 외측단보다도 외측에 제 1 탄성 부재(51, 51)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후측 볼록부(43c)의 양측부가 제 1 탄성 부재(51)로 인장되고, 흡수성 코어(11)의 후측 단부 영역을 평면 형상으로 유지한 채로, 흡수성 코어(11)의 양측부를 선골의 양측을 따르도록 하여 착용자의 둔부에 피트시킬 수 있다. 따라서, 둔부측에서의 경혈 등의 누설을 보다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6A∼도 6C는, 몸통 둘레 부재(20)의 비피부측 시트(21)와, 피부측 시트(22, 23)를 접합하는 시트 접합부(60)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전개 또한 신장 상태의 몸통 둘레 부재(20)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 접합부(60)의 종류 및 배치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종류의 시트 접합부(60)에 의해 비피부측 시트(21)와 피부측 시트(22, 23)가 서로 접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사선부로 나타나는 영역 B에 있어서는, 도 6B에 나타나는 복수의 제 1 시트 접합부(61)에 의해, 비피부측 시트(21)와 피부측 시트(22, 23)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몸통 둘레 부재(20) 중, 영역 B 이외의 영역인 영역 C 및 영역 D에 있어서는, 도 6C에 나타나는 복수의 제 2 시트 접합부(62)에 의해, 비피부측 시트(21)와 피부측 시트(22, 23)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시트 접합부(60)(61, 62)는, 초음파 용착 등의 접합 수단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미세한 시트 접합부(60)가 몸통 둘레 부재(20)의 전체에 걸쳐 점재하고 있음으로써, 몸통 둘레 부재(20)는, 양호한 유연성이나 신축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역 B의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제 1 시트 접합부(61)의 합계의 면적(제 1 시트 접합부(61)의 면적률)이, 영역 C 및 영역 D의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제 2 시트 접합부(62)의 합계의 면적(제 2 시트 접합부(62)의 면적률)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영역 B에서는, 영역 C 및 영역 D보다도 몸통 둘레 부재(20)의 강성이 높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에 나타나는 영역 C는, 몸통 둘레 부재(20)에 흡수성 본체(10)를 겹쳐 붙인 상태에서 두께 방향으로 본 경우에, 한 쌍의 고밀도부(40, 40)보다도 좌우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영역은,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1)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볼록 변형이 생기는 영역이다. 따라서, 영역 C에 있어서 영역 B와 비교하여 몸통 둘레 부재(20)의 강성을 낮게 함으로써, 당해 영역에서는 몸통 둘레 부재(20)의 신축성이 저해되기 어려워지고, 패드(1)의 착용 시에, 흡수성 본체(10)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피트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고밀도부(40, 40)보다도 좌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 B에서는, 영역 C보다도 강성이 높아지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본체(10)의 강성이 영역 B의 전체로서 유지되기 쉬워지고, 패드(1)의 착용 시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가 좌우 방향으로 압축되어(소위, 폭 축소가 생겨) 피트성이 악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영역 C는 저강성이고, 또한, 영역 B과 비교하면 늘거나 줄거나 하기 쉽기 때문에, 자면서 뒤척임 등으로 신체가 움직였다고 해도, 둔부의 홈에 흡수성 본체(10)가 피트한 채의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이것에 의해, 경혈이 둔부의 틈새에서 피부를 따라, 누설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패드(1)에 있어서, 영역 C는, 세로 방향의 후측 편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세로 방향의 중앙 위치(CL)보다도 후측에서의 영역 C의 면적이, 중앙 위치(CL)보다도 전측에서의 영역 C의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도 6A 참조). 즉, 몸통 둘레 부재(20)는, 세로 방향의 후측(등측)에 있어서, 전측(배측)보다도 강성이 낮아져 있다. 따라서, 패드(1)를 착용했을 때에, 몸통 둘레 부재(20)의 후측(등측) 영역이 변형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착용자가 야간 수면 자세에서 사용할 때, 몸을 뒤척이는 등의 움직임을 해도, 전측은 한 번 변형한 형상을 홀딩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후측은 강성을 낮게 함으로써, 세로 방향(상하 방향)에서의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신축을 저해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10)가 착용자의 둔부의 홈을 따르기 쉬워진다. 또한, 몸통 둘레 부재(20)의 후측(등측)이 좌우 방향으로도 수축하기 쉬워지므로, 자면서 몸을 뒤척이는 등을 해도, 둔부에의 피트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도 7은, 흡수성 본체(10)에 있어서, 백 시트(14)와 사이드 시트(15)를 접합하는 백 접합부(70)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1)보다도 비피부측에서, 백 시트(14)와 사이드 시트(15)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 신장 상태의 흡수체 탄성 부재(50)를 끼운 상태에서, 백 시트(14) 및 사이드 시트(15)가 백 접합부(70)를 개재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다. 백 접합부(70)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가는 띠모양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재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나열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동(同)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제 1 탄성 부재(51)와 제 2 탄성 부재(52)와의 사이에는 2개의 띠모양 백 접합부(70, 70)가 배치되어 있고, 제 2 탄성 부재(52)와 제 3 탄성 부재(53)와의 사이에는 1개의 띠모양 백 접합부(70)가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탄성 부재(51)와 제 2 탄성 부재(52)와의 사이의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백 접합부(70)의 면적은, 제 2 탄성 부재(52)와 제 3 탄성 부재(53)와의 사이의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백 접합부(70)의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적어도, 제 1 탄성 부재(51)와 제 2 탄성 부재(52)와의 사이의 영역에서는, 제 2 탄성 부재(52)와 제 3 탄성 부재(53)와의 사이의 영역보다도 백 시트(14)와 사이드 시트(15)가 강고하게 접합되어, 흡수성 본체(10)의 강성이 높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탄성 부재(51)와 제 2 탄성 부재(52)와의 좌우 방향에서의 사이의 영역에는 고밀도부(40)가 설치되어 있고, 패드(1)의 착용 시에 흡수성 본체(10)를 3차원적으로 변형시킬 때의 절곡 기점이 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당해 영역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강성을 높임으로써, 흡수성 본체(10)(흡수성 코어(11))에 접은 자국이 나기 쉬워지고, 흡수성 코어(11)가 도 5B와 같이 볼록 변형한 경우에, 형상이 유지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본체(10)가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피트한 상태가 유지되기 쉬워지고, 경혈 등의 흡수성을 높여, 누설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패드(1)에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전측 몸통 둘레 부재(20f)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접합부(20we)(양단부(20fe))의 하단(20web)의 위치가,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전측에서의 상단(50fu)의 위치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즉,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전측 몸통 둘레 부재(20f)의 사이드 접합부(20we)(양단부(20fe))와 흡수체 탄성 부재(50)가 중복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패드(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전굴(前屈) 자세를 취하거나 다리를 전측으로 움직이거나 했을 때에, 전측 몸통 둘레 부재(20f)가 착용자의 신체(복측)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했다고 해도, 당해 변형에 의한 영향이 흡수체 탄성 부재(50)로 전파되기 어렵다. 따라서, 착용자가 신체를 움직였을 때에, 전측 몸통 둘레 부재(20f)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흡수성 본체(10)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것이 억제되고, 흡수성 본체(10)의 양호한 피트성을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경혈 등의 누설을 보다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8은, 흡수성 본체(10)를 몸통 둘레 부재(20)에 부착하여 접합하기 위한 본체 접합부(80)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패드(1)에서는, 흡수성 본체(10)의 비피부측면(사이드 시트(15)의 비피부측면)과, 몸통 둘레 부재(20)의 피부측면이, 도 8의 사선부로 나타나는 본체 접합부(80)를 개재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다. 본체 접합부(80)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합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패드(1)에서는, 본체 접합부(80)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이, 세로 방향의 양단부(상하 방향에서의 상단부)에 있어서, 세로 방향의 중앙부(가랑이 아래부)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즉, 본체 접합부(80)는, 세로 방향의 전후 단부(팬티형 상태에서의 전측 상단부 및 후측 상단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의 폭(W70a)의 부분을 갖고, 세로 방향의 전측 단부와 후측 단부와의 사이(팬티형 상태에서의 하단부)에 폭(W70a)보다도 좁은 폭(W70b)의 부분을 갖는다(W70a>W70b).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세로 방향의 양단부에서는, 몸통 둘레 부재(20)에 대해서 흡수성 본체(10)가 넓게 접합되고, 흡수성 본체(10)가 비틀리거나 변형하거나 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착용자의 복부 및 둔부에서, 흡수성 본체(10)가 넓게 평면적으로 피트하기 쉬워진다. 한편, 세로 방향의 중앙부(가랑이 아래부)에 있어서는 몸통 둘레 부재(20)에 대해서 흡수성 본체(10)가 접합되어 있는 부분이 좁기 때문에, 그 만큼, 흡수성 본체(10)가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 부근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강성이 과도하게 강해지지 않고, 흡수성 본체(10)를 변형하기 쉽게 하는 동시에, 패드(1)의 착용 시에 흡수성 본체(10)의 양측부 에지가 착용자의 서혜부에 눌려서 불쾌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본체(10)가 전체적으로 착용자의 신체(복측부, 가랑이 아래부, 둔부)에 적당히 피트하기 쉬워져, 경혈 등의 누설을 억제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제 1 탄성 부재(51, 51)의 좌우 방향에서의 간격(W51)은, 본체 접합부(80)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W70a, W70b)보다도 좁다(W51<W70). 방루벽부(30)를 구성하는 사이드 시트(15)는, 본체 접합부(80)에 의해 몸통 둘레 부재(20)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방루벽부(30)가 피부측으로 기립할 때에는, 본체 접합부(80)의 좌우 방향의 양단을 경계로 하여 사이드 시트(15)가 피부측으로 절곡 가능해진다. 즉, 본체 접합부(80)의 좌우 방향의 양단은, 방루벽부(30)가 피부측으로 기립할 때의 기립 기점이 되는 위치이다. 따라서, W51<W70으로 함으로써, 방루벽부(30)의 기립 기점에 있어서 제 1 탄성 부재(51, 51)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기 어려워지고, 방루벽부(30)의 변형(기립)이 저해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한 쌍의 제 1 탄성 부재(51, 51)의 좌우 방향에서의 간격(W51)은, 흡수성 코어(11)의 폭(W11)의 1/2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W51>W11/2). 만약, 제 1 탄성 부재(51, 51) 사이의 간격(W51)이, 흡수성 코어(11)의 폭(W11)의 1/2 이하라고 하면, 흡수성 코어(11)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의 면적이 좁아지고, 양측부의 면적이 넓어진다. 이 경우, 흡수성 코어(11)가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볼록 형상을 형성하기 어려워지고, 흡수성 코어(11)의 좌우 방향 중앙부가 배설구에 피트하기 어려워진다. 또, 제 1 탄성 부재(51)가 수축했다고 해도, 흡수성 코어(11)의 좌우 방향 양측부가 충분히 들어올려지지 않아, 착용자의 서혜부에 흡수성 코어(11)가 피트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대해, 제 1 탄성 부재(51, 51) 사이의 간격(W51)을, 흡수성 코어(11)의 폭(W11)의 1/2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흡수성 코어(11)를 적절히 볼록 변형시키기 쉬워지고, 양호한 피트성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고밀도부(40)는, 패드(1)를 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을 때의 둘로 접기선(세로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CL))과 중복되어 있지 않다. 도 4에서는, 세로 방향에 있어서, 제 2 고밀도부(42)와 제 3 고밀도부(43)와의 사이에 중앙 위치(CL)가 배치되어 있다. 즉, 세로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CL)(둘로 접기선)와 중복되는 부분을 갖지 않도록 고밀도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둘로 접기선을 사이에 두고 고밀도부(40)가 세로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패드(1)의 착용 시에, 복측의 움직임과 등측의 움직임이 연동하기 어려워지고, 각각의 영역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가 각각 독립하여 변형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흡수성 본체(10)의 복측과 등측이 각각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 피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경혈 등의 누설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패드(1)의 고밀도부(40)는, 세로 방향에 있어서서 반대측으로 반전된 반전부(40r)를 갖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제 2 고밀도부(42)는, 세로 방향의 전측 단부가 후측으로 반전된 반전부(42r1)를 갖고, 세로 방향의 후측 단부가 전측으로 반전된 반전부(42r2)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반전부(42r1, 42r2)는, 제 1 탄성 부재(51)를 좌우 방향으로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반전부(42r1, 42r2)는, 제 1 탄성 부재(51)와 교차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이 반전부(42r1, 42r2)와 제 1 탄성 부재(51)가 교차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해당 반전부(42r1, 42r2)의 영향으로 제 1 탄성 부재(51)에 의한 수축력이 흡수성 코어(11)에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반전부(40r)의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흡수성 코어(11)의 변형을 국소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4와 같은 경우, 제 1 탄성 부재(51)에 의한 수축력을 반전부(42r1)와 반전부(42r2)와의 사이에서 약하게 함으로써, 당해 영역에서는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흡수성 코어(11)가 평면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하면, 착용자의 복부의 평면을 따라 흡수성 코어(11)를 피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변형예>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고밀도부(40)로서, 도트상의 압착부가 복수 나열됨으로써 선상으로 형성된, 소위 힌지상의 제 1 고밀도부(41), 제 2 고밀도부(42), 제 3 고밀도부(43)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고밀도부(40)는 이와 같은 선상으로 나열된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밀도부(40)로서, 상술의 제 1 고밀도부(41) 등의 대신에, 흡수성 코어(11)의 전체에 걸쳐 복수의 엠보스부(45)(후술하는 도 9 참조)가 설치되어도 된다.
엠보스부(45)는, 고밀도부(41∼43)와 달리, 흡수성 본체(10) 중 흡수성 코어(11)만을 두께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흡수성 코어(11)의 밀도가 주위의 부분보다도 높아진 부분이고, 흡수성 코어(11)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엠보스부(45)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복수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해당 흡수성 코어(11)가 박판상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고, 패드(1)의 착용 시에 착용자가 신체를 움직인 경우라도 형태 무너짐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 1 탄성 부재(51)와 제 2 탄성 부재(52)와의 좌우 방향에서의 사이의 영역에, 고밀도부(40)로서의 엠보스부(45)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 탄성 부재(50(51, 52))가 수축했을 때에, 엠보스부(45)(고밀도부(40))가 절곡 기점이 되고,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1)가 3차원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즉, 흡수성 본체(10)(흡수성 코어(11)) 중, 제 2 탄성 부재(52)가 배치되어 있는 좌우 방향 중앙부와, 제 1 탄성 부재(51)가 배치되어 있는 좌우 방향 양측부가, 각각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으로 볼록 변형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한다. 이것에 의해,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배설구(질구) 및 서혜부에의 피트성이 높아져, 경혈 등의 배설액을 누설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본체(10)의 구조가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팬티형 패드(1)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흡수성 본체(10)에서는, 흡수성 코어(11)에 복수의 엠보스부(45)가 설치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팬티형 패드(1)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영역 E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엠보스부(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1)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흡수성 본체(10)(흡수성 코어(11))에 있어서, 엠보스부(45)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주위의 부분과 비교하여 밀도가 높아진 고밀도부(40)로 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의 세로 방향(상하 방향) 및 가로 방향(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도트상의 엠보스부(45)가 흡수성 코어(11)의 전체에 걸쳐 점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점재하는 복수의 엠보스부(45)에 의해, 흡수성 코어(11)를 구성하고 있는 펄프 섬유 등의 보수성 섬유가 정리된 상태에서 흩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11)의 형상이 무너지기 어렵고, 양호한 흡수성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제 2 실시형태의 흡수성 코어(11)에 있어서, 엠보스부(45)는,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세로 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여 나열되는 2개의 엠보스부(45, 45)의 피치는 p45v이며, 가로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여 나열되는 2개의 엠보스부(45, 45)의 피치는 p45s이다. 그리고, 이들 피치(p45v 및 p45s)는, 모두 흡수체 탄성 부재(50(51∼53))의 가로 방향(좌우 방향)에서의 간격(d50(d50A, d50B))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p45v, p45s<d50).
이와 같은, 패드(1)를 착용하는 경우,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탄성 부재(51)와 제 2 탄성 부재(52)와의 사이에 설치된 고밀도부(40)가 절곡 기점이 되고, 흡수성 코어(11)가 착용자의 배설구 및 서혜부를 향해 볼록 변형됨으로써 피트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흡수성 코어(11)의 전체에 걸쳐 복수의 엠보스부(45)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성 본체(10)(흡수성 코어(11))가 볼록 변형한 후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또한,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간격보다도 좁은 피치로 엠보스부(45)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착용자가 패드(1)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리나 신체를 움직였을 때에,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신축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복수의 엠보스부(45)에 의해 간섭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코어(11)의 비틀림이 억제되는 동시에, 흡수성 코어(11)가 착용자의 신체의 섬세한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패드(1)의 착용 시에서의 피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전개 상태의 흡수성 본체(10)의 세로 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엠보스부(45)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영역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9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 탄성 부재(50) 전측에서의 단(50fu)보다도 전측의 영역에 적어도 일부의 엠보스부(45)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세로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후측에서의 단(50bu)보다도 후측의 영역에 적어도 일부의 엠보스부(45)가 배치되어 있다.
만약, 흡수성 코어(11)의 세로 방향에서의 전체에 걸쳐 흡수체 탄성 부재(50)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었던 경우, 착용자의 신체에서 비교적 평평한 하복부(복측)나, 선골 부근(등측)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가 볼록 변형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착용자의 신체와 흡수성 본체(10)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기 쉬워지고, 경혈 등의 배설액이 누설되는 요인이 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 흡수성 코어(11)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흡수체 탄성 부재(50)의 신축성이 작용하는 범위(소위, 유효 길이 범위)를 제한하고, 그것보다도 외측의 영역에 고밀도부(40)(엠보스부(45))를 설치함으로써, 당해 영역을 평면상으로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패드(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하복부(복측)나 선골 부근(등측)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가 신체 형상을 따라 면대면으로 딱 피트하기 쉬워져, 배설액의 누설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패드(1)의 몸통 둘레 부재(20)에는, 비피부측 시트(21)와, 피부측 시트(22, 23)를 접합하는 복수의 시트 접합부(60)가 설치되어 있지만(도 6 참조), 좌우 방향(가로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시트 접합부(60, 60)의 간격은, 엠보스부(45)의 좌우 방향(가로 방향)에서의 피치(p45s)보다도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패드(1)의 착용 시에 몸통 둘레 부재(20)가 좌우 방향으로 수축했을 때에, 이웃하는 시트 접합부(60, 60) 사이에 세밀한 요철(몸통 둘레 부재(20)의 표면의 주름)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본체(10)보다도 비피부측에 있어서 몸통 둘레 부재(20)에 형성되는 세밀한 주름에 의해, 흡수성 본체(10)(흡수성 코어(11))가 비틀리기 어려워지고, 패드(1)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패드(1)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와 몸통 둘레 부재(20)를 접합하는 본체 접합부(80)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W80)은, 흡수성 코어(11)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W11)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이면, 몸통 둘레 부재(20)의 좌우 방향(가로 방향)에서의 신축성이, 흡수성 코어(11)의 좌우 방향(가로 방향) 전역으로 전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몸통 둘레 부재(20)의 신축성에 의해 흡수성 코어(11)가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압박되기 쉬워지고, 피트성을 보다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 접합부(80)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W80)은, 흡수성 본체(10)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 접합부(80)를 형성하고 있는 핫멜트 접착제 등이 흡수성 본체(10)의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스며나와 착용자의 신체나 의복에 부착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 흡수성 코어(11)에 설치되는 엠보스부(45)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성 코어(11)가 도 5B와 같이 볼록 변형될 때의 절곡 기점이 되는 좌우 한 쌍의 제 2 고밀도부(42(41, 43))보다도 좌우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조). 흡수성 코어(11) 중, 좌우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고밀도부(42(41, 43))보다도 외측의 영역은, 패드(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양다리에 끼워짐으로써, 좌우 방향의 내측으로 압축하는 힘이 작용하기 쉬운 영역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영역에 엠보스부(45)가 설치되고, 강성이 높아지고 있음으로써, 흡수성 코어(11)가 볼록 변형한 후에, 추가로 좌우 방향으로 압축되었을 때에, 흡수성 코어(11)의 폭이 좁아져 버리거나,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서 비틀림이나 휨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패드(1)의 피트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배설액의 가로 누설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외===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팬티형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패드(1)에 대해서 설명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성인용의 경실금 속옷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몸통 둘레 부재(20)를 구성하는 피부측 시트(22, 23)로서, 신축 부직포 등의 신축성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몸통 둘레 부재(20)에 좌우 방향의 신축성을 부여하고 있었지만, 몸통 둘레 부재(20)에 다른 신축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전측 몸통 둘레 부재(20f) 및 후측 몸통 둘레 부재(20b)의 상단부에, 각각 실 고무 등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25)가 좌우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몸통 둘레 탄성 부재(25)가 설치됨으로써, 몸통 둘레 개구(1b)에서의 피트성이 보다 높아져, 패드(1)의 착용 시에, 몸통 둘레 부재(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몸통 둘레 부재(20)에 몸통 둘레 탄성 부재(25)를 설치하는 경우, 몸통 둘레 탄성 부재(25)의 적어도 일부가, 피부측 시트(22, 23)와 각각 중복되도록 배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몸통 둘레 탄성 부재(25)가 발현하는 좌우 방향의 신축성과, 피부측 시트(22, 23)가 발현하는 좌우 방향의 신축성이 연동하여, 착용자의 몸통 둘레에서의 패드(1)의 피트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1: 패드(팬티형 패드, 흡수성 물품) 1a: 몸통 둘레 개구
1b: 다리 둘레 개구 10: 흡수성 본체
11: 흡수성 코어 12: 톱 시트
13: 세컨드 시트 14: 백 시트
15: 사이드 시트 15t: 단부
20: 몸통 둘레 부재 20f: 전측 몸통 둘레 부재
20fe: 단부 20b: 후측 몸통 둘레 부재
20be: 단부 20we: 사이드 접합부
21: 비피부측 시트 22: 피부측 시트
23: 피부측 시트 25: 몸통 둘레 탄성 부재
30: 방루벽부 31: 방루벽 탄성 부재
32f: 전측 접합부 32b: 후측 접합부
40: 고밀도부 41: 제 1 고밀도부
42: 제 2 고밀도부 42r1: 반전부
42r2: 반전부 43: 제 3 고밀도부
43c: 후측 볼록부 45: 엠보스부
50: 흡수체 탄성 부재 51: 제 1 탄성 부재
52: 제 2 탄성 부재 53: 제 3 탄성 부재
60: 시트 접합부 61: 제 1 시트 접합부
62: 제 2 시트 접합부 70: 백 접합부
80: 본체 접합부 100: 흡수성 본체(비교예)
CL: 중앙 위치(둘로 접기선)

Claims (17)

  1.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액체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에 겹쳐 배치된 몸통 둘레 부재를 갖는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도 비피부측에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제 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된 제 2 탄성 부재를 각각 갖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적어도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와의 상기 좌우 방향의 사이의 영역에, 상기 흡수성 코어의 밀도가 주위의 부분보다도 높아진 고밀도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2. 서로 교차하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과 전후 방향을 갖고,
    액체 흡수성의 흡수성 코어를 구비한 흡수성 본체와, 상기 흡수성 본체의 비피부측에 겹쳐 배치된 몸통 둘레 부재를 갖는 팬티형 패드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도 비피부측에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탄성 부재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좌우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제 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된 제 2 탄성 부재를 각각 갖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좌우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밀도가 주위의 부분보다도 높아진 고밀도부를 가지며,
    상기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흡수성 본체 중, 상기 제 1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 및 상기 제 2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 각각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해 볼록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패드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을 때의 둘로 접기선을 갖고,
    상기 둘로 접기선보다도 후측(後側)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둘로 접기선보다도 전측(前側)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좌우 방향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방루벽부(防漏壁部)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방루벽부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방루벽 탄성 부재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둘로 접기선보다도 후측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방루벽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는, 상기 둘로 접기선보다도 후측의 상단부에 있어서,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에서 내측, 또한, 상기 상하 방향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후측 볼록부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상기 후측 볼록부의 외측단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적어도 피부측 시트와, 상기 피부측 시트의 비피부측에 적층된 비피부측 시트를 갖고,
    상기 피부측 시트와 상기 비피부측 시트를 접합하는 시트 접합부를 가지며,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몸통 둘레 부재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보다도 상기 좌우 방향의 내측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시트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은, 상기 고밀도부보다도 상기 좌우 방향의 외측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시트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7. 제 6 항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몸통 둘레 부재가 겹치는 영역, 또한, 상기 고밀도부보다도 상기 좌우 방향의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패드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을 때의 둘로 접기선보다도 후측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시트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은, 상기 둘로 접기선보다도 전측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시트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백 시트의 비피부측에 적층된 사이드 시트를 갖고,
    상기 백 시트와 상기 사이드 시트를 접합하는 백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의 내측에 이웃하여 배치된 제 3 탄성 부재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상기 제 2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백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은, 상기 제 2 탄성 부재와 상기 제 3 탄성 부재와의 사이의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백 접합부의 합계의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전측 몸통 둘레 부재와, 후측 몸통 둘레 부재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전측 몸통 둘레 부재와 상기 후측 몸통 둘레 부재를 서로 접합하는 사이드 접합부를 가지며,
    상기 팬티형 패드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을 때의 둘로 접기선보다도 전측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접합부의 하단의 위치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상단의 위치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부의 피부측에 상기 흡수성 본체를 접합하는 본체 접합부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서, 한 쌍의 상기 제 1 탄성 부재의 간격은, 상기 흡수성 코어의 폭의 1/2보다도 크며, 상기 본체 접합부의 폭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의 상단부에서의 상기 본체 접합부의 폭은, 상기 상하 방향의 하단부에서의 상기 본체 접합부의 폭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티형 패드를 상기 전후 방향으로 둘로 접을 때의 둘로 접기선을 갖고,
    상기 고밀도부와 상기 둘로 접기선이 중복되는 부분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는, 일부의 영역이 상기 상하 방향의 반대측으로 반전한 반전부를 갖고 있고,
    상기 반전부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와 교차하는 부분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를 두께 방향으로 압착하는 도트상(狀)의 엠보스부이고,
    상기 엠보스부는,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엠보스부의 피치 및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엠보스부의 피치는, 모두,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탄성 부재의 간격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전개 상태의 상기 흡수성 본체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수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영역보다도 전측 및 후측에, 상기 엠보스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부재는, 적어도 피부측 시트와, 상기 피부측 시트의 비피부측에 적층된 비피부측 시트를 갖고,
    상기 피부측 시트 및 상기 비피부측 시트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신축 시트이며,
    상기 피부측 시트와 상기 비피부측 시트를 접합하는 복수의 시트 접합부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의 시트 접합부의 간격은,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엠보스부의 피치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부의 피부측에 상기 흡수성 본체를 접합하는 본체 접합부를 갖고,
    상기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접합부의 폭은, 상기 흡수성 코어의 폭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패드.
KR1020227046281A 2020-06-30 2021-05-17 팬티형 패드 KR202300296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20335.9A CN113855395A (zh) 2020-06-30 2020-06-30 内裤型卫生巾
CN202010620335.9 2020-06-30
PCT/JP2021/018638 WO2022004162A1 (ja) 2020-06-30 2021-05-17 ショーツ型ナプキ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697A true KR20230029697A (ko) 2023-03-03

Family

ID=7898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6281A KR20230029697A (ko) 2020-06-30 2021-05-17 팬티형 패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004162A1 (ko)
KR (1) KR20230029697A (ko)
CN (1) CN113855395A (ko)
TW (1) TW202216097A (ko)
WO (1) WO20220041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50426B (zh) * 2023-03-25 2023-11-14 广东邦宝个人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芯体表层布橡筋复合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809A (ja) 2003-05-28 2004-12-16 Livedo Corporation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4604B2 (ja) * 2009-12-28 2014-06-1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052747B1 (ja) * 2015-09-30 2016-12-27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領域を有する吸収性物品
WO2018078886A1 (ja) * 2016-10-31 2018-05-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9162372A (ja) * 2018-03-20 2019-09-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0809A (ja) 2003-05-28 2004-12-16 Livedo Corporation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6097A (zh) 2022-05-01
WO2022004162A1 (ja) 2022-01-06
CN113855395A (zh) 2021-12-31
JPWO2022004162A1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683B1 (ko) 흡수성 물품
JP5945423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5848068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EA037713B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тягиваемого впитывающего изделия
CN111031984B (zh) 吸收性物品
JP6412834B2 (ja) 吸収性物品
CN210330913U (zh) 短裤型吸收性物品
KR20230029697A (ko) 팬티형 패드
KR20180000064U (ko) 팬츠형 흡수성 물품
WO2017199932A1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TWI778254B (zh) 吸收性物品
WO2019220935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7354478B1 (ja) ショーツ型ナプキン
JP7196351B1 (ja) 吸収性物品
CN212662100U (zh) 吸收性物品
JP2023130512A (ja) ショーツ型ナプキン
WO2023224079A1 (ja) 使い捨ておむつ用の吸収パッド又は使い捨ておむつ
CN113194899B (zh) 裤形吸收性物品及附接吸收性垫的方法
CN112118817B (zh) 短裤型吸收性物品
KR20230100633A (ko) 팬티형 패드
CN111491596B (zh) 短裤型吸收性物品
JP2018175364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116350429A (zh) 内裤型吸收性物品和吸收性物品包装体
JP2023126005A (ja) 吸収性物品
JP2023126004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