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527A - 벌집형 구조를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벌집형 구조를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527A
KR20010087527A KR1020000011299A KR20000011299A KR20010087527A KR 20010087527 A KR20010087527 A KR 20010087527A KR 1020000011299 A KR1020000011299 A KR 1020000011299A KR 20000011299 A KR20000011299 A KR 20000011299A KR 20010087527 A KR20010087527 A KR 20010087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honeycomb structure
housing
carrier plat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3749B1 (ko
Inventor
랑하인리히
스텐젤알렉산더
Original Assignee
하인리히 랑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인리히 랑,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하인리히 랑
Priority to KR102000001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749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부 백미러(external rearview mirror)는 차량에 미러를 부착하기 위한 홀더(2); 하우징(4) 내에 배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12, 50)―여기서 캐리어 플레이트(12, 50)는 하우징(4)이 고정되며, 체결 수단(40, 42)에 의해 홀더(2)에 고정됨―; 하우징(4) 내에 배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12, 50)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러 창유리(20)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 어셈블리(20, 22); 및 캐리어 플레이트(12, 50) 상에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미러 어셈블리(20, 22)에 공통으로 피봇 방식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수단(16)을 포함하며, 캐리어 플레이트(12, 50)는 전면 및 후면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4, 5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 52)의 전면 및/또는 후면은 다수의 셀(cell;28)―여기서 다수의 셀(28)은 베이스 플레이트(24, 52)와 일체형임―을 갖는 벌집형 구조(honeycomb structure; 26)로 형성되며, 셀 벽(cell walls; 30)은 베이스 플레이트(24, 52)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벌집형 구조를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 {CARRIER PLATE WITH HONEYCOMB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motor vehicle)용, 특히 상품 수송차(commercial vehicle)용 외부 미러(external mirror)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품 수송차의 케이스에서 외부 미러에 관한 본질적인 문제는 진동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먼저, 진동은 미러의 사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둘째로, 미러의 진동은 접합부(infraction)를 약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에 대한 방법이 독일 특허번호 DE-A-40 10 083호에 의해 이미 알려져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미러 구조에서, 하우징이 더 이상 어떠한 이동 기능(carrying function)을 발휘하지 못한다. 이러한 이동 기능은 상품 수송차에 미러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 수단(securing means)이 고정되는 유지 장치에 의해 대신된다. 상기 하우징, 상기 외부 미러 중 적어도 하나의 미러 창유리(pane) 및 상기 미러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조정 유닛이 상기 유지 장치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조의 단점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 및 상기 유지 장치가 별도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 내에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지 못하는 위험을 발생하게 된다. 특히, (독일 특허번호 DE-A-40 10 083호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이 상기 유지 장치 및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 유지되는 경우, 이로 인해 진동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차량용 외부 미러가 미국 특허번호 제4,701,037호에 알려져 있으며,이 특허에서 본체 및 몰딩되는 조임 베어링을 갖는 단일체(single piece)의 캐리어 플레이트에 이르는 유지 암(holding arm)이 제공된다. 여기서 미러 위치 조정 유닛은 미러 창유리와 함께 장착되는 미러 캐리어 플레이트 상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유럽 특허번호 EP-A-0 590 510호에는 기본형 상품 수송차용 외부 미러가 통상적으로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미러는,
차량 본체에 연결하기 위한 홀더;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여기서 캐리어 플레이트는 하우징이 유지되며, 체결 장치(fasting device)에 의해 상기 홀더가 고정됨―;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미러 창유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봇 가능한 미러 어셈블리; 및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에 부착되며, 적어도 상기 미러 어셈블리의 피봇 동작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러 형성 또한 실제 사용시 진동이 여전히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것은 특히 트럭에 설치될 경우에 그렇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에 영향을 덜 받는 차량용, 특히 상품 수송차용 외부 미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의 달성의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캐리어 플레이트가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적어도 일측 상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통합되어 벌집형 구조가 이루어짐으로써, 외부미러의 진동 작용이 확실하게 개선된다.
상기 벌집형 구조에 의해, 특히 이 구조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 모두에 형성되는 경우, 안정성이 증가되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용 금속 대신에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중량 및 비용이 절감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에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의 여러 영역에서 통상의 육각형의 셀로 이루어지는 벌집형 구조가 여러 직경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리어 플레이트의 여러 영역에서 상이한 적재가 고려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벌집형 셀 벽의 높이를 다양하게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셀 벽의 높이를 이와 같이 변경함으로써, 상호 작용 조임 앵커(interactive clamp anchor)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통합되는 상기 조임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익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조정 장치용 요홈(recess)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에 의해, 상기 조정 부재가 그 외형의 힘에 의해 고정되며, 이것은 진동 작용을 본질적으로 향상시키며, 즉 진동을 크게 감폭시키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익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후면 상의 벌집형 구조와 반대편에 있는 전면 상의 벌집형 구조는 상호 오프셋(offset)된다. 또한, 이것은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이며, 아울러 상기 진동의 감폭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익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는 하우징베이스에 고정되도록 일체형으로 몰딩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베이스는 주변이 둘러싸인 하우징 가장자리(housing rim)를 이동시키며 미러 창유리의 피봇 동작을 측면에서 제한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 가장자리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선택을 간단하게 하며, 또한, 개별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 비용을 절감시키고 아울러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진동 작용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설명, 특징 및 장점이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 기술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측면도.
도 2는 벌집형 구조를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캐리어 플레이트 후면의 상면도.
도 4는 도 2의 캐리어 플레이트 정면의 상면도.
도 5a는 도 2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의 측면도.
도 5b는 도 2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의 다른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면도.
도 8은 도 7의 절단선 B-B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대한 도 9에 대응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대한 도 9에 대응하는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외부 미러의 제1 실시예를 통해 종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인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기술된다. 외부 미러 어셈블리는 미러를 차량에 부착하기 위한 (점선으로 표시되는) 홀더(holder; 2), 하우징 베이스(6)를 구비하며 하우징 가장자리(8)로 연장되는 하우징(4), 및 덮개(covering; 10)를 포함한다. 하우징(4),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하우징 베이스(6)가 캐리어 플레이트(12) 상에 장착되고, 캐리어 플레이트의 전면 및 개구부(opening; 14) 상에 위치 조정 유닛(16)이 배치된다. 조정 유닛(16) 상에서, 미러 이동 플레이트(18)가 장착되어 미러 창유리(22)용 홀딩 플레이트(holding plate; 20)를 고정시키며, 조임 폐쇄 연결(clamping closure connection)에 의해 해당 위치 내에 고정된다.
도 2는 캐리어 플레이트(12)의 사시도이다. 캐리어 플레이트(12)는 평판 베이스 플레이트(24)를 포함하며 양측 모두에서 벌집형 구조(26)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벌집형 구조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육각형의 셀(28)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육각형 셀(28)은 6개의 셀 벽(30)을 구비하며, 이로 인해 각각 2개의 인접 셀(28)은 사이에 끼워진 셀 벽(30)을 각각 공유한다.
직사각형의 베이스 플레이트(24)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sidewall; 32)에 의해 주변이 둘러싸인다.
도 2, 3 및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12)는 또한 하우징 베이스(6)를 장착시키기 위한 연결 부재(connection element; 34)를 포함한다. 또한 캐리어 플레이트(12)는 상기 조정 장치(16)용 개구부(14) 뿐만 아니라 조정 장치(16)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관통 개구부(through opening; 36)를 구비한다. 연결 부재(34), 및 조정 장치(16)용 개구부(14)는 캐리어 플레이트(12)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5b 및 도 6에서, 또한 일체형 조임 요홈(40)이 홀더(2)가 상당하게 돌출되는 캐리어 플레이트(12) 내에 도시된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요홈(40)을 구비하는 조임 부재(도시되지 않으며 추가로 설명되지 않음)를 구속하도록 연결 부재, 즉, 나사식 볼트(도시되지 않으며 추가로 설명되지 않음)에 의해 관통되는 구멍(boring; 42)이 또한 도시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가 기술되며, 전면 및 후면 측 상에 벌집형 구조(26)를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50) 및 베이스 플레이트(52)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캐리어 플레이트(50)의 베이스 플레이트(52)는 하우징 가장자리(56)를 구비한 하우징 베이스(54)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도 1 내지 도6에 따른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하우징 가장자리(56), 하우징 베이스(54) 및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50)의 베이스 플레이트(52)를 포함하는 일체형 구조에 의해, 개별 부품의 수가 감소되고, 따라서 그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이러한 일체형을 통해, 진동 감폭 및 진동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매우 양호한 안정성이 달성된다.
도 9, 10, 및 11의 단면도에서, 본 발명의 3개의 상이한 변형예가 도시된다. 이들 3개의 상이한 변형예는 하우징 가장자리(56)의 전면 단부(57)의 구조가 본질적으로 상이하다.
도 9에서, 하우징 가장자리(56)는 하우징 베이스(54)로부터 통상적으로 "L" 형상으로 연장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 가장자리(56)는 전방 단부(57) 상에 "U"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앞머리가 구부러지며 덮개(10)용 수납 표면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57) 상의 하우징 가장자리(56)는 속이 빈 공간(hollow space) 주위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에 영향을 덜 받는 차량용 외부 미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차량용 외부 백미러(external rearview mirror)에 있어서,
    a) 상기 차량에 미러를 부착하기 위한 홀더(2);
    b) 하우징(4) 내에 배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12, 50)―여기서 캐리어 플레이트(12, 50)는 상기 하우징(4)이 고정되며, 체결 수단(fastening means; 40, 42)에 의해 상기 홀더(2)에 고정됨―;
    c) 상기 하우징(4) 내에 배치되는 캐리어 플레이트(12, 50) 상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미러 창유리(20)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 어셈블리(20, 22); 및
    d)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 50) 상에 장착되며 적어도 하나의 미러 어셈블리(20, 22)에 공통으로 피봇 방식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수단(16)
    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 50)는 전면 및 후면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24, 52)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 52)의 전면 및/또는 후면은 다수의 셀(cell;28)―여기서 다수의 셀(28)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 52)와 일체형임―을 갖는 벌집형 구조(honeycomb structure; 26)로 형성되며, 셀 벽(cell walls; 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 52)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 52)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미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 52)의 전면 및 후면 상에 벌집형 구조(26)에서, 상기 전면 상의 벌집형 구조가 상기 후면 상의 벌집형 구조에 대하여 오프셋(offset) 되어 있는 외부 미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형 구조(26)의 셀(28)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 50)의 여러 영역에서 상이한 직경을 나타내는 외부 미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형 구조(26)의 셀 벽(30)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 50)의 여러 영역에서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는 외부 미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 50) 상에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 50)와 일체형으로 상기 조정 수단(16)을 위한 수납 엔클로저(receiving enclosure; 38)가 배치되며, 상기 조정 수단(16)이 그 외형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로크(lock)되는 외부 미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 52)의 주변에서 가장자리 벽(rim wall; 32)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4, 52)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외부 미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가 조임 장치(clamping device; 40, 42)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홀더(2)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호 작용 조임 장치(40)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 50)와 일체형이며, 조임 부재(clamping member)가 적어도 하나의 상호 작용 조임 장치(40)를 갖는 외형에 의해 로크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상호 작용 조임 장치(40)에서 상기 벌집형 셀 벽(30) 내에 형성된 높이 차이 때문에 상기 벌집형 구조(26)가 새로운 형태를 취하는
    외부 미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 50)가 하우징 베이스(housing base; 6, 54)에 연결되며, 상기 미러 창유리(22)의 측면 피봇 동작을 제한하는 주변이 둘러싸인 하우징 뼈대(peripherally circumscribing housing framing; 8, 56)를 이동시키는 외부미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 상에 상기 하우징 베이스(6)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12)가 일체형으로 몰딩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외부 미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52), 상기 하우징 베이스(54) 및 상기 하우징 가장자리(56)가 일체형(one piece)으로 형성되는 외부 미러.
KR1020000011299A 2000-03-07 2000-03-07 벌집형 구조를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 KR100613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299A KR100613749B1 (ko) 2000-03-07 2000-03-07 벌집형 구조를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299A KR100613749B1 (ko) 2000-03-07 2000-03-07 벌집형 구조를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527A true KR20010087527A (ko) 2001-09-21
KR100613749B1 KR100613749B1 (ko) 2006-08-22

Family

ID=3753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299A KR100613749B1 (ko) 2000-03-07 2000-03-07 벌집형 구조를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7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072B1 (ko) * 2007-11-14 2015-07-06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아웃사이드 미러 유닛용 장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37876C3 (de) * 1975-08-26 1980-04-24 Reitter & Schefenacker Kg, 7300 Esslingen Rückspiegelanordnung fü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DE4429604A1 (de) * 1994-08-20 1996-02-22 Mekra Rangau Plastics Außenspiegel für Kraftfahrzeuge
US5721646A (en) * 1996-02-23 1998-02-24 Kam Truck Components,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DE19644824C1 (de) * 1996-10-29 1997-12-18 Buehler Gmbh Nachf Geb Kupplungseinrichtung zur gelenkigen Verbindung des Spiegelglasträgers eines Kraftfahrzeug-Rückblickspiegels mit dem Gehäuse des Spiegelantrieb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072B1 (ko) * 2007-11-14 2015-07-06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아웃사이드 미러 유닛용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3749B1 (ko) 200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41559B2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KR20080091013A (ko) 충격 흡수 부재의 장착 구조 및 장착 방법
US6840641B2 (en) Carrier plate for mirror assembly
KR100613749B1 (ko) 벌집형 구조를 갖는 캐리어 플레이트
JPH0143649B2 (ko)
JP2006088785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KR0177480B1 (ko) 차량용 에어백 ecu취부 브래킷
KR100197266B1 (ko) 자동차 범퍼 조립구조
JP3720126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156544Y1 (ko) 트럭의 아웃사이드미러 장착구조
JPH063722Y2 (ja) バンパ構造
JP2001260750A (ja) ハニカム構造のキャリヤプレート
KR100214830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아우터 패널 형상구조
KR200184481Y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JPH0213222Y2 (ko)
KR100611416B1 (ko) 자동차의 범퍼 커버 고정용 브라켓트 및 이를 위한 프론트앤드 모듈 캐리어 구조
JP2577579Y2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の取付け構造
KR20080037292A (ko) 프런트 앤드 모듈 캐리어
JP3191584B2 (ja)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9980030602A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인슐레이터 취부구조
JP2963660B2 (ja) バンパの受止めブラケット
KR200162903Y1 (ko) 차량용 인스트루먼트 패널 구조
JPH058326Y2 (ko)
JPH0349958Y2 (ko)
KR20050076505A (ko) 카오디오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