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237A -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237A
KR20010087237A KR1020010010381A KR20010010381A KR20010087237A KR 20010087237 A KR20010087237 A KR 20010087237A KR 1020010010381 A KR1020010010381 A KR 1020010010381A KR 20010010381 A KR20010010381 A KR 20010010381A KR 20010087237 A KR20010087237 A KR 20010087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sheet
chassis
flexible
flat ca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0598B1 (ko
Inventor
오쿠다다스미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1008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Abstract

휴대형의 소형전자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플렉시블 스위치를 배치한 플렉시블 시트는, 섀시의 표면에 밀착하는 평판부와, 그 평판부로부터 돌출한 평케이블부를 갖고, 평케이블부의 선단에는 회로기판상의 커넥터와 접속되어야 할 단자부가 설치되어 있다.
섀시의 단말부에는, 플렉시블 시트의 평판부가 섀시의 표면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상방지편이 설치되어 있다.
그 부상방지편은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를 삽입 관통시키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를 걸어 맞추는 것이 가능한 훅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ATTACHING STRUCTURE OF THE FLEXIBLE SHEET IN ELECTRONIC APPLIANCE}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섀시(chassis)상에 플렉시블 시트(flexible sheet)를 부착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41)와 하부케이스(42)에 의해 평평한 하우징이 구성되고, 그 하우징 내에 회로기판유닛(43)이 수용되어 있다.
회로기판유닛(43)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1)상에 합성수지제의 플렉시블 시트(3)가 설치되고, 그 플렉시블 시트(3)에는, 복수의 플렉시블 스위치(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플렉시블 스위치(2)는, 플렉시블 시트(3)가 갖는 탄성에 의해 ON/OFF조작이 가능하며, 그 ON/OFF조작에 의해 한 쌍의 접점이 폐쇄 또는 개방되는 것이다.
플렉시블 시트(3)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회로기판(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각 플렉시블 스위치(2)의 위쪽에 배치되는 조작버튼은, 도 5와 같이 각 플렉시블 스위치(2)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부케이스(41)에 형성된 구멍(44)에 삽입 관통되며, 케이스 외부로부터 그 조작버튼을 누를 수 있게 되어 있다.
액정패널(45)도 또한 섀시(1)상에 설치되며, 그 액정패널(45) 부착위치에 대응하여 상부케이스(41)에 형성된 개구부(46)에 끼워 맞춰지고, 개구부(46)를 덮는 투명수지의 커버(49)를 통하여, 케이스 외부로부터 액정패널(45)의 표시를 볼 수가 있다.
하부케이스(42)에는, 안테나(47)와 RF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플렉시블 시트(3)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렉시블 스위치(2)가 배치된 평판부(4)와, 회로기판상의 커넥터와 접속해야 할 단자부(6)를 갖는 평케이블부(5)로 이루어진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부(4)는, 섀시(1)의 표면에 밀착되고, 평케이블부(5)는, 섀시(1)의 측면에서 굴곡되어, 섀시(1)의 아래쪽에 설치된 회로기판(31)상의 커넥터(32)와 접속된다.
그런데, 플렉시블 시트(3)의 평판부(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섀시(1)와 밀착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시트(3)의 평케이블부(5)를 되접어서, 그 단자부(6)를 회로기판(31)의 커넥터(32)에 꽂아 넣고 있으므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시트(1)로부터 부상(浮上)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근년에, 휴대전화기는, 소형화, 경량화의 경향이 강하여, 케이스 내부의 공간이 더욱 작아지기 때문에, 플렉시블 시트(3)가 내부 구조물과 간섭하기 쉽다.
또한, 플렉시블 시트(3)가 도 8(b)와 같이 부상하는 것에 의해, 반력이나 간극이 발생하여, 플렉시블 스위치(2)와 일체로 되어 기능해야 할 조작버튼(33)의 클릭감이 나빠지거나, 스위치(2) 자체가 기울어서 록(lock)되어 복귀하지 않게 되거나, 스위치(2)를 누르는 때에 주위와 스치는 것에 의해 이음(異音)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도 1(a)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회로기판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회로기판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2는, 섀시와 플렉시블 시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b)는, 그 구조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휴대전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휴대전화기의 회로기판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섀시와 플렉시블 시트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는, 종래의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b)는, 그 구조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섀시 2. 플렉시블 스위치
3. 플렉시블 시트 4. 평판부
5. 평케이블부 6. 단자부
8. 부상방지편 31. 회로기판
32. 커넥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삽입 관통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내부에 수납된 섀시와, 섀시의 표면에 설치되고 복수의 플렉시블 스위치가 배치된 플렉시블 시트와, 섀시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커넥터가 부착된 회로기판과, 각 플렉시블 스위치상에 설치되어 상기한 케이스의 삽입 관통구멍으로부터 케이스의 외측으로 인출하는 복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시트는, 상기 섀시와 밀착하는 평판부와, 그 평판부의 단말둘레에 돌출 설치되어 그 선단에 접속단자부가 설치된 평케이블부를 갖고, 그 평케이블부는 섀시측으로 굴곡되어, 접속단자부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고, 섀시에는, 플렉시블 시트의 평판부가 섀시의 표면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상방지편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 시트 부착구조에 있어서, 부상방지편은, 상기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를 구속 지지하여, 플렉시블 시트의 부상을 방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부상방지편은,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가 삽입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갖고,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를 구속 지지하고 있다.
혹은, 상기 부상방지편은,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를 걸어 맞추는 것이가능한 훅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를 구속 지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플렉시블 시트의 부상을 억제할 수가 있기 때문에, 부상에 의한 반력이나 간극에 기인하는 플렉시블 스위치의 클릭감의 악화나 록 등의 불량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휴대전화기에 대해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태의 전자기기에 있어서도, 그 케이스 내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플렉시블 시트나 플렉시블 스위치가, 같은 모양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41)와 하부케이스(42)에 의해 평평한 하우징이 구성되고, 그 하우징 내에 회로기판유닛(43)이 수용되어 있다.
회로기판유닛(43)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1)상에 합성수지제의 플렉시블 시트(3)가 설치되고, 그 플렉시블 시트(3)에는, 복수의 플렉시블 스위치(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플렉시블 스위치(2)는, 플렉시블 시트(3)가 갖는 탄성에 의해 ON/OFF조작이 가능하며, 그 ON/OFF조작에 의해 한 쌍의 접점이 폐쇄 또는 개방되는 것이다.
플렉시블 시트(3)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1)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회로기판(3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각 플렉시블 스위치(2)의 위쪽에 배치되는 조작버튼(33)은, 도 4와 같이 각 플렉시블 스위치(2)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부케이스(41)에 형성된 구멍(44)에 삽입 관통되고, 케이스 외부로부터 조작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액정패널(45)도 또한 섀시(1)상에 고착되며, 그 액정패널(45)의 부착위치에 대응하여 상부케이스(41)에 형성된 개구부(46)에 끼워 맞춰지고, 개구부(46)를 덮는 투명수지의 커버(49)를 통하여, 케이스 외부로부터 액정패널(45)의 표시를 볼 수 있다.
하부케이스(42)에는, 안테나(47)와 RF회로(4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a), 도1(b)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시트(3)는, 섀시(1)의 표면에 밀착하는 평판부(4)와, 그 평판부(4)의 단말둘레에 돌출 설치된 평케이블부(5)로 구성되고, 평판부(4)에는, 복수의 플렉시블 스위치(2)가 형성되어 있다.
또, 플렉시블 시트(3)의 평케이블부(5)의 선단에는, 회로기판상의 커넥터(32)와 접속해야 할 단자부(6)가 설치되어 있다.
섀시(1)는, 플렉시블 시트(3)가 밀착하는 평판부(7)를 구비하고, 그 평판부(7)의 단말부에, 플렉시블 시트(3)의 평케이블부(5)를 삽입 관통시키는 부상방지편(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상방지편(8)은, 플렉시블 시트(3)를 걸어 맞추는 훅 형상의 구조라도 상관없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시트(3)의 평판부(4)는, 섀시(1)의평판부(7)와 밀착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구조로서,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시트(3)의 평케이블부(5)가 부상방지편(8)에 삽입 관통되어, 플렉시블 시트(3)의 평판부(4)의 부상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조작버튼의 클릭감의 악화나 조작버튼의 록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시트(3)의 평케이블부(5)가 부상방지편(8)을 관통하여, 그 선단의 단자부(6)가, 섀시(1) 아래쪽의 회로기판(31)상의 커넥터(32)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 시트(3)의 부상이 방지되어, 복수의 플렉시블 스위치(2)를 배치한 플렉시블 시트(3)의 평판부(4)가, 섀시(1)의 표면에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스위치(2)와 일체로 되어 기능하는 조작버튼(33)이 기울어지는 일이 없어, 조작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 시트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부상에 의한 반력이나 간극에 기인하는 플렉시블 스위치의 클릭감 악화나 록 등의 불량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4)

  1. 복수의 삽입 관통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섀시와, 섀시의 표면에 설치되고 복수의 플렉시블 스위치가 배치된 플렉시블 시트와, 섀시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커넥터가 설치된 회로기판과, 각 플렉시블 스위치상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삽입 관통구멍으로부터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조작버튼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시트는, 상기 섀시와 밀착하는 평판부와 그 평판부의 단말둘레에 돌출 설치되어 그 선단에 접속단자부가 설치된 평케이블부를 갖고, 그 평케이블부는 섀시측으로 굴곡되어 접속단자부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으며, 섀시에는, 플렉시블 시트의 평판부가 섀시의 표면으로부터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상방지편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방지편은, 상기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를 구속 지지하여, 플렉시블 시트의 부상을 방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방지편은,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가 삽입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갖고,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를 구속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방지편은,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를 걸어 맞추는 것이 가능한 훅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렉시블 시트의 평케이블부를 구속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KR10-2001-0010381A 2000-03-02 2001-02-28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KR100400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7154A JP3459604B2 (ja) 2000-03-02 2000-03-02 フレキケーブル取り付け構造
JP2000-057154 2000-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237A true KR20010087237A (ko) 2001-09-15
KR100400598B1 KR100400598B1 (ko) 2003-10-08

Family

ID=1857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381A KR100400598B1 (ko) 2000-03-02 2001-02-28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73718B2 (ko)
JP (1) JP3459604B2 (ko)
KR (1) KR1004005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764B1 (ko) * 2007-09-05 2008-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KR101324422B1 (ko) * 2004-06-21 2013-11-01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상부 하우징부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531600A (en) * 1999-08-27 2001-03-26 Lex Kosowsky Current carrying structure using voltage switchable dielectric material
DE10003699A1 (de) * 2000-01-28 2001-08-09 Siemens Ag Gerät mit wechselbarem Gehäuseteil
JP4435490B2 (ja) 2003-02-19 2010-03-17 株式会社東芝 携帯無線通信装置及び接続部材
KR100652754B1 (ko) * 2005-08-26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모드키
JP4694518B2 (ja) * 2007-02-26 2011-06-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TWI361371B (en) * 2007-12-19 2012-04-0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422240B2 (en) * 2009-07-27 2013-04-16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CN105307444B (zh) * 2015-03-31 2018-03-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连接机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487A (en) * 1995-07-31 1997-01-21 Motorola, Inc. Apparatus for RF shielding radio circuitry
JPH0974439A (ja) * 1995-09-04 1997-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無線機のスイッチ構造
US5832371A (en) * 1996-11-01 1998-11-03 Ericsson, Inc. Modular radiotelephone
GB2327153B (en) * 1997-07-07 2002-03-20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 device
US5963434A (en) * 1998-02-27 1999-10-05 Ericsson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6088240A (en) * 1998-06-15 2000-07-11 Motorola, Inc. Hinged flip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device
TW425032U (en) * 1999-07-30 2001-03-01 Hon Hai Prec Ind Co Ltd Shielding device to preven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or cellular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422B1 (ko) * 2004-06-21 2013-11-01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상부 하우징부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버튼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0844764B1 (ko) * 2007-09-05 2008-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59604B2 (ja) 2003-10-20
JP2001245032A (ja) 2001-09-07
US6373718B2 (en) 2002-04-16
KR100400598B1 (ko) 2003-10-08
US20010019476A1 (en)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2208B1 (en) Electrostatic preventing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2007026371A (ja) 電子機器
JP2004264342A (ja) 液晶表示装置
KR100400598B1 (ko)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KR20020059913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접지장치
US20030211835A1 (en) Mobile phone with changeable keypad
JP4055311B2 (ja) 携帯型情報端末
US6763245B1 (en) Portable phone device
JP2007073445A (ja) キー操作部及び電子機器
US7228111B2 (en) Keypad structure
WO2003081972A1 (fr) Terminal mobile
KR10065137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일체형 키패드
KR10048504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정전기 방지용 키패드구조
GB2338832A (en) Volume control switch for mobile phone
KR20050011561A (ko) 전자파 차폐장치 일체형 내장 안테나 및 그 내장안테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JP2005032495A (ja) 電子機器
US20040121824A1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JP2007207686A (ja) キーラバー、キー操作部及び電子機器
JP2006270035A (ja) 携帯電子機器
JP3728392B2 (ja) 携帯情報端末
JP2003018264A (ja) 無線通信装置
JP4518878B2 (ja) キー構造及び該キー構造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2368848A (ja) 携帯電話機
JP2003272467A (ja) 電子機器装置
JP2000156135A (ja) キート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