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210A - 유체 도포기 - Google Patents

유체 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210A
KR20010086210A KR1020007004753A KR20007004753A KR20010086210A KR 20010086210 A KR20010086210 A KR 20010086210A KR 1020007004753 A KR1020007004753 A KR 1020007004753A KR 20007004753 A KR20007004753 A KR 20007004753A KR 20010086210 A KR20010086210 A KR 20010086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ystem
fluid application
applicator
flow composi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불로웨스리
앨런레슬리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86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2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45D24/26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with flexible walls of the liquid, paste, or powder stor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45D19/026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having brush or comb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66Coloring or bleac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45D19/028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having applicators other than brushes or combs, e.g. rollers, ball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22Comb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liquids, pastes or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Tub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는 도포 시스템으로서, 유동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유동 조성물이 배출되어 도포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각각 구비한 서로 상이한 형태의 3개 이상의 도포기를 포함하며, 상기 3 개 이상의 도포기 중 적어도 제 1 도포기는 상기 용기에 고정되고, 적어도 제 2 도포기는 상기 제 1 도포기에 고정되며, 상기 3 개 이상의 도포기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도포기의 하나 이상의 배출구는 유동 조성물을 도포할 때 항상 노출된다.

Description

유체 도포기{FLUID APPLICATORS}
도 1 은 본 발명을 실현하기위한 모발 염색 키트(kit)를 구성하는 마개, 병, 가요성 주머니, 지지 튜브, 삽입체, 밸브, 분배관, 스폰지 패드, 빗 하우징, 및 빗을 도시한 분해도.
도 2 는 병에 고정된 마개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삽입체의 평면도.
도 4 는 도 2 의 단면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로서, 염색약 용기 내의 염색약이 가요성 주머니에 첨가되도록 삽입체와 결합한 염색약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병에 고정된 분배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도 5 의 확대 단면도.
도 7 은 스폰지 패드가 분배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 5 와 유사한 사시도.
도 8 은 도 7 의 단면도.
도 9 는 빗이 고정된 빗 하우징을 병에 고정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10 은 도 9 의 단면도.
도 11 및 도 12 는 서로 결합되기 전의 빗과 빗 하우징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가지 태양을 실현하는 모발 염색 키트를 도시한것으로서, 본 발명 및 다른 특허 출원에 의해 보호되는 여러가지 발명 태양은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는 여러가지 도포기, 도포 시스템 및,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동 조성물이 모발 염색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태양이 그러한 특정 유동 조성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유동 조성물의 예를 들면, 애완동물등을 위한 약물, 케이크 혼합물등과 같은 식품, 의류용 또는 카펫용 세탁 유체, 바디 로션 또는 보습제와 같은 화장품류, 접착제 또는 윤활제 등이 있다.
모발 염색 조성물을 사용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중 하나의 문제는 모발 염색 조성물을 사용 직전에 둘 또는 그 이상의 조성물질로 부터 만들어낼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조성물질들을 혼합할 수 있도록 각 조성물질을 별도로 저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조성물질 중 하나는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이고, 다른 하나는 염색약이다. 한편, 사용자가 염색약을 과산화수소에 첨가할 때 더럽혀질 위험에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또 다른 문제는 도포기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하여 모발에 모발 염색 조성물을 도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단순한 압출 용기로 부터 도포기로 염색조성물이 공급된다면, 압출용기가 채워져 있을 때에는 어떠한 각도에서도 도포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압출 용기가 점차적으로 비어감에 따라, 도포기를 모든 각도에서 즉시 사용할 수 없고, 먼저 모발 염색 조성물이 빨려 들어간(suckback) 것을 상쇄시키기 위한 작업을 필요로 하게된다. 이러한 결과로, 모발 염색 조성물의 도포를 조절하기가 곤란하고, 특히 피부를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모발 경계선(hairline)에 도포하는 것을 곤란하게 한다.
본 모발 염색 키트는 사용 직전에 모발 염색 조성물을 마련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용자가 조절하는 분배 시스템에 의해 모발 염색 조성물이 공급되는 도포기를 구비하며, 상기 분배 시스템에서는 그 분배 시스템이 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모발 염색 조성물이 항상 배출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발생하는 압력차(에어로졸이 아님)를 이용하여 모발 염색 조성물을 배출한다.
준비된 모발 염색 조성물이 90% 내지 95% 까지 배출될 때 까지 모든 방향에서의 분배가 가능하다.
본 모발 염색 키트는 또한 사용자가 양을 조절하면서 도포기를 통해 주변을 적게 더럽히면서도 균일하게 특정영역에 모발 염색 조성물을 분배할 수 있게 한다.
아무리 조심스럽게 조작하더라도, 본 원과 같이 모근부, 모발의 본체 및 경계선에 모발 염색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는 도포기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경계선 도포기, 표면 도포기, 및 브러시/빗 - 형 도포기에서 선택한 여러가지 도포기를 제공한다. 경계선 도포기는 단일 배출구를 구비한 분배관이 될 것이고, 표면 도포기는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한 다공성 물질이 될 것이다. 브러시/빗 - 형 도포기는 모발 염색 조성물을 분배하는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할 것이고, 그렇게 분배된 모발 염색 조성물은 다수의 긴 구획부재에 의해 분산된다. 예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긴 구획부재는 브러시의 강모 또는 빗의 빗살과 유사할 것이다. 모든 여러가지 형태의 도포기는 모발 염색 조성물 용기와 유체 연통한다.
본 발명의 모발 염색 키트의 특정 장점은 다음과 같다:
(a) 3 가지 다른 형태의 도포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만이 사용중에 노출되므로, 조작중에, 사용되지 않는 다른 도포기내에 또는 그 도포기 상에 남아 있는 모발 염색 조성물에 의해 모발이 더럽혀질 위험이 없다;
(b) 3 가지 형태의 도포기 중 표면 도포기는 탄성 압축가능한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폼 또는 스폰지로 형성되므로, 모발 염색 조성물의 펴짐을 개선할 수 있다.
(c) 3 가지 형태의 도포기 중 브러시/빗 - 형 도포기는 긴 구획부재 각각에 형성된 2 개 이상의 배출구를 구비하므로, 모발 염색 조성물을 보다 양호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염색 키트의 다른 장점들은, 일체형 밸브가 공기 유입 조절 및 모발 염색 조성물 배출의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것과, 긴 구획부재용 지지부가, 모발 염색 조성물로 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분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걸이부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된다는 것과, 경계선 도포기가 용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그 경계선 도포기가 용기에 직접 부착된 상태 그대로 브러시/빗 - 형 도포기를 경계선 도포기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표면 도포기를 설명하고 도 9 내지 도 12 를 참조하여 브러시/빗 - 형 도포기를 설명하기 전에,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경계선 도포기와 협력하는 분배 시스템을 설명한다.
병(10)은 일반적으로 타원형인 중공 본체(12)로 형성되며, 그 본체의 하단부는 폐쇄되고 상단부에는 개방 네크부(neck)(14)가 마련된다. 그 네크부에는 외측 나사부(16)가 형성된다. 네크(14)에는 또한 대향하는 한 쌍의 러그 수단(18)이 형성되며, 그 중 하나만이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목적을 위해, 각 러그 수단(18)이 램프(22) 쪽에 형성된 간격부(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10)이 압착된 후에 신속하게 형상이 복원될 수 있도록, 적어도 본체(12)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그 플라스틱 재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선형(linear)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또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으며, 투명할 수도 있다. 투명하지 않더라도, 그 플라스틱 재료가 반투명 인것이 바람직하고, 채색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가요성 주머니(24)는 동일한 형상의 두 시트(26)를 겹쳐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그 시트들의 주변부 대부분을 따라 함께 밀봉하여 상부의 개구(28) 및 하부의 V-자형 엣지(edge)(30)를 구비한 측면 밀봉형 봉투를 형성한다. 주머니(24)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제 1 물질용 저장부를 형성하고, 따라서 그 주머니는 양호한 습기 불투과성을 가져야 한다. 각 시트(26)는 금속을 입힌 박판 재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LDPE 밀봉제/접착제/금속을 입힌 PET(polyethylterphalate)의 3 개층을 포함한다.
주머니(24)는 네크부(14)를 통해 병(10)내로 삽입되어 용기를 형성하는데, 그 용기는 외측의 변형 가능한 층(본체(12))과 내측의 가접성(collapsible) 층(시트(2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 층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영역(32)에 의해 분리된다.
또한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28)를 통해 지지 튜브(34)를 주머니(24)내로 삽입할 수 있다. 그 튜브(34)는 길이에 걸쳐 형성된 다수의 구멍(36)을 포함할 수 있고, 측방이 개구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성인 통로를 제공한다. 튜브(34)의 하단부(38)는 개방될 수도 있고 폐쇄될 수도 있다. 튜브(34)의 하단부(38)가 주머니(24)와 접촉할 수도 있고, 그 대신, 튜브(34)의 하단부가 주머니(24)의 V-자형 엣지(30)와 접촉하지는 않고 근접할 수도 있다. 튜브(34)의 상단부는 적절한 방법이나 수단으로 삽입체(40)에 고정할 수도 있고, 삽입체(40)에 단순히 가압식으로 끼워넣을 수도 있다.
삽입체(40)는 개구(28)를 통해 주머니(24)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또한 네크부(14)를 통해 병(10)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 용접이나 초음파 용접 방법 등을 이용하여 삽입체를 시트(26)의 개구(28) 둘레에 액밀(液密) 방식으로 영구적으로 고정한다. 대신에, 삽입체(40) 및 주머니(24)를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단순 가압끼움 방식이나 다른 적절한 방법 또는 수단으로 삽입체(40)를 네크부(14)에 분리할 수 없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신에 사용자가 분리할 수 있게 하여 재충전(재생)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 도 4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체(40)는 튜브형 부재(42)를 구비한 일체형 플라스틱 성형품일 수 있고, 이때 그 튜브형 부재는 측벽(44), 횡벽(46) 및, 한 쌍의 대향하는 하부(48)의 중심을 통해 연장하고 관을 형성한다.
도시된 측벽(44)은, 그 측벽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삽입체(40)가 병(10)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고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50) 및, 그 플랜지(50)와횡벽(46)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내향 리브(52)를 포함한다. 도시된 횡벽(46)은 다수의 개구(54)를 구비하며, 그 개구를 통해, 튜브형 부재(42)와 측벽(44) 사이에 형성되어 튜브형 부재(42)를 둘러싸는 환형 통로(56)와 완충영역(32)이 연결된다. 서로 대향하는 하부(48)는 성형중에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공 상태로 형성하였으며, 그렇게 함으로서 삽입체(40)가 주머니(24)에 액밀 상태로 끼워지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튜브형 부재(42)의 하단부 내측을 함몰시켜 튜브(34)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게하고, 튜브형 부재(42)의 상단부 내측을 모따기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주머니(24)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제 1 물질로 부분적으로 충전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따라서, 튜브(34)와 튜브형 부재(42)를 통해 제 1 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분리가능한 플립(flip)형 상단 캡을 이용하여 튜브형 부재(42)의 상단을 폐쇄할 수 있다. 그 대신, 파단성 필름 밀봉재로 튜브형 부재(42)의 상단을 폐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리 가능한 마개(58)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형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제작할 수 있는 마개(58)는 튜브형 부재(42)의 상단부를 밀봉폐쇄하는 플러그 밀봉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마개(58)의 고정부(62)는 병(10)의 네크부(14)에 기밀(氣密)상태로 끼워질 수 있다. 그러나, 마개(58)의 고정부(62)를 공기누설 상태로 끼워질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병(10)의 네크부(14)에 형성된 외측 나사부(16)와 통기성 나사결합되는 내측 나사부(64)를 형성하여, 환형 통로(56)와 대기 간에 공기가 통하도록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의 장점중 하나는, 주머니(24)내의 과산화수소가 불안정하게 되어 산소를 발생하는 경우, 완충영역(32)내의 공기가 삽입체(40)의 개구(54) 및 나사부들(16,64) 사이를 통해 배출됨으로서, 주머니(24)가 팽창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구성의 다른 장점은, 공기 이동 등으로 완충영역(32)에서 예기치 못한 압력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한 경로를 따라 공기가 완충영역(32)에서 다시 배출되거나 그 완충영역(32)으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모발 염색 키트는 사용자가 모발 염색 조성물 또는 유동 조성물을 사용 직전에 준비할 수 있게 한다.
실제fh, 적어도 제 2 물질이 저장부 내의 제 1 물질에 첨가된다. 만약 저장부가 빈 상태로 공급되었거나 또는 이전에 사용하여 비어있는 상태가 된 경우라면, 당연히 그 저장부에 소정량의 제 1 물질을 먼저 채워야 할 것이다. 어떠한 경우라도, 최초에는 분리되어있던 물질들을 섞어야할 필요가 있다.
도 4 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물질을 완전히 별도의 용기(66)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제 1 물질이 과산화수소라면, 제 2 물질은 염색약이 될 것이다. 염색약은 산소에 민감하기 쉬우므로, 용기(66)는 산소를 투과시키지 못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염색약이 겔(gel) 크림(cream), 페이스트(paste) 형태라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염색약을 짜낼 수 있게 하기 위해 용기(66)는 소성적 (塑性的)으로 변형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편, 염색약이 액체 형태라면, 그 염색약은 중력에 의해 용기(66)로 부터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용기(66)가 탄성적으로 변형한다면, 주머니(24)는 제 1 물질 위의 공기로 팽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만약 용기가 비탄성적으로 변형한다면, 주머니(24)는 납작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는 다수의 용기(66)을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고, 각 용기(66)는 상이한 색조의 모발 염료와 같은 여러가지 물질을 포함할 것이며, 의도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용기(66)를 저장부에 쏟아 부어 특별히 선택한 색조의 모발 염색 조성물과 같은 특별한 유동 조성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용기(66) 또는 용기들 각각이 튜브형 부재(42)를 관통하여 튜브(34)내로 연장하는 긴 노즐(6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양손으로 용기(66)를 쥐어 짜는 경우에도, 용기(66)가 병(10)으로 부터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양호한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그 구성으로 인해, 용기(66)의 내용물이 주머니(24)의 내용물에 가까운 곳에서 그 주머니 내용물에 직접 분출되어 양호한 혼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분명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긴 노즐(68)이 튜브형 부재(42)내로 삽입되기 전에 용기(66)가 반드시 개방되어야 하며, 그러한 개방은 노즐 선단부(70)(도 4 에 파선으로 도시함)를 파열, 절개 또는 비틀림 제거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물질이 용기(66)로 부터 주머니(24)로 이동함에 따라, 주머니(24) 내의 제 1 물질 위쪽의 공기 체적이 점점 감소할 것이고, 그렇게 압축된 공기를 반드시 배출하여 주머니(24)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노즐(68)이 튜브형 부재(42)에 느슨하게 끼워진다면, 압축 공기가 느슨한 결합부를 통해 배출될 것이다. 대신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프라인(spline)을 노즐(68)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 배출용 홈(castellation)을 노즐(68)의 베이스에 근접한 염색약 용기에 형성할 수도 있다. 용기(66)내의 제 2 물질의 성질 및 용량에 따라, 압축공기가 제 2 물질을 통해 상향 이동하여 용기(66)내에 에어 포켓(air pocket)을 형성할 것이고, 그 에어 포켓은 주머니(24)내의 에어 포켓이 수축됨에 따라 팽창할 것이다.
만약 주머니(24)가 팽창한다면, 완충영역(32)내의 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체(40)의 횡벽(46)에 형성된 개구(54)를 통해 배출될 것이다.
충분한 양의 제 2 물질을 제 1 물질에 첨가한 후에, 용기(66)를 병(10)으로 부터 분리하고, 그 용기를 폐기하거나 또는 다음에 다시 사용하기 위해 다시 밀봉하고 보관하게 될 것이다.
제 2 물질을 제 1 물질에 따라 부어 첨가하는 대신에, 주머니(24)에 또는 그 주머니내에 형성되는 용기에 제 2 물질을 수용할 수 있으며, 그 용기는 병(10)의 본체(12)를 쥐어짜는 등의 방법으로 파단되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제 2 물질을 제 1 물질에 부가할 수 있다.
제 2 물질이 제 1 물질에 첨가되었을 때, 병(10)을 흔들어 두 물질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장갑낀 손으로 튜브형 부재(42)의 상단을 막으면서 흔들어, 주머니(24)의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마개(58)를 다시 덮어 플러그 밀봉부(60)가 튜브형 부재(42)의 상단을 폐쇄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편리할 것이다. 어떠한 경우라도, 튜브(34)는 병(10)을 흔들거나 뒤집는 동안 주머니(24)의 운동을 억제하여, 주머니(24)내의 내용물이 주머니(24) 보다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서 혼합을 촉진시킨다. 주머니(24) 체적의 10% 정도가 공간부로 비어 있을 때 흔들어 혼합하는 효과가 가장 뛰어날 것이다. 주머니(24) 및 병(10)의 본체(12)가 모두 반투명이라면, 혼합이 완료되었는 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및 제 2 물질로 이루어진 유동 조성물 특히, 과산화수소와 염색약으로 이루어진 모발 염색 조성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체(40)를 노출시켜 그 삽입체(40)에 분배관(72)을 부착시킬 수 있게 한다.
다시 설명하면 분배관(72)은 일체형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제조할 수 있고, 그 분배관은 돔형 부분(76)에 연결된 원통부(74)를 포함하고, 상기 돔형 부분(76)은 다시 경사부(78)에 연결된다. 원통부(74)의 저단부에는 외측을 향한 리브(80)가 형성된다. 원통부(74)의 상단부는 돔형 부분(76)에 의해 형성되는 견부 (shoulder)에 인접한다. 돔형 부분(76)을 관통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 유입구(84)를 돔형 부분(76)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하게 이격되게 형성할 수 있다. 경사부(78)에는 긴 통로(86)가 형성되고, 그 통로는 하단부로 부터 상단부의 하나의 배출구(88) 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점점 좁아진다. 통로(86)의 넓은쪽 하단부에 근접하여, 경사부(78)의 내측면에 환형 함몰부(90)를 형성한다. 통로(86)의 좁은쪽 상단부에 근접하여, 경사부(78)의 외측면에 환형 리브(92)를 형성한다.
실리콘 중합체를 이용하여 단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밸브 부재(94)를분배관(72)에 부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부재(94)가, 공기 유입구(84)를 통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일방향 밸브로서 작용하는 환형 플래퍼 밸브(96) 형태의 유입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부재(94)가, 통로(86)를 통한 모발 염색 조성물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일방향 밸브로서 작용하는 중앙 콰드로브 밸브(98) 형태의 배출부를 포함한다. 콰드로브 밸브(98)는 측면이 아닌 중앙에서 부터 개방되어 모발 염색 조성물의 원활한 유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콰드로브 밸브(98) 대신에, 밸브 부재(94)의 배출부를 플래퍼 밸브, 엄브렐라 (umbrella) 밸브 또는 덕빌(duckbill) 밸브로 구성할 수도 있다.
플래퍼 밸브(96) 및 콰드로브 밸브(98)는, 외측면에 환형 리브(104)를 구비한 절두원추형(frusto-conical) 위치결정 벽(102) 및 횡방향 밀봉벽(100)을 포함하는 중간부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밸브 부재(94)의 환형 리브(104)가 분배관(72)의 환형 함몰부(90)에 체결될 때 까지 콰드로브 밸브(98)를 통로(86)내로 가압하여, 밸브 부재(94)를 분배관(72)에 쉽게 부착할 수 있다.
원통부(74)의 리브(80)가 삽입체(40)의 리브(52)를 찰깍(청각 또는 적어도 촉각으로 감지할 수 있다)하고 지날 때 까지 분배관(72)의 원통부(74)를 삽입체(40)의 환형 통로(56)내로 가압하여, 분배관(72)에 삽입체(40)를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찰깍 소리가 날때, 분배관(72)의 견부(82)는 삽입체(40)의 견부(50)와 접하고, 밸브 부재(94)의 밀봉벽(100)은 삽입체(40)의 튜브형 부재(42)의 상단부와 밀봉결합하게 된다.
다른 구성으로서, 상기 가압 결합대신에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분배관(72)과 삽입체(40)를 부착할 수도 있다.
분배관(72)을 삽입체(40)에 부착한 후 병을 흔들어 유동 조성물을 혼합 또는 재혼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병(10)의 본체(12)를 쥐어짜서, 모발 염색 조성물을 주머니(24)로 부터 분배관(72)의 배출구(88)로 분배하며, 모발 염색 조성물은 상기 배출구(88)로 부터 모발의 뿌리등으로 직선형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은 완충영역(32)내의 공기를 압축하며, 플래퍼 밸브(96)가 공기 유입구(84)를 폐쇄하기 때문에, 그렇게 압축된 공기가 개구(54), 환형 통로(56) 및, 공기 유입구(84)를 포함한 유체 통로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다. 대신에, 압축된 공기는 주머니(24)를 부분적으로 압축하여, 튜브(34), 튜브형 부재(42), 절두원추형 위치결정 벽(102), 및 개방되어 모발 염색 조성물이 통과하는 콰드로브 밸브(98)를 포함하는 유체통로를 통해 모발 염색 조성물이 배출되게 가압한다. 사용자가 병(10)의 본체(12)를 쥐어짜는 것을 멈춘경우, 병(10)의 형상이 신속히 복원되므로, 완충영역(32)이 팽창하게 된다. 콰드로브 밸브(98)가 폐쇄되어, 모발 염색 조성물이 그 콰드로브 밸브(98) 뒤로 빨려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주머니(24)는 부분적으로 압축(붕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대신에, 개방되어 공기 유입구(84)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플래퍼 밸브(96)를 통과하여 완충영역(32)내로 공기가 빨려들어 간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압력과 횟수로 병(10)의 본체(12)를 사용자가 쥐어짜는 것을 반복한다.
주머니(24)가 점차적으로 붕괴되어 그 주머니(24)의 시트(26)들이 서로 접하게 되고 튜브(34) 자체가 붕괴되어 그 튜브(34)내의 유동 조성물이 배출됨에 따라, 튜브(34)내의 개구(36)가 모발 염색 조성물이 남아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발 염색 조성물이 분배됨에 따라, 사용자는 적어도 반투명인 본체(12)를 통해 주머니(24)가 붕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사용자는 모발 염색 조성물이 갑자기 유출되는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 밀봉 봉투를 제 1 물질 저장부로 사용하였지만, 예를 들어, 반을 뒤집은 주머니(inverting-half-bag)를 구비한 병 또는, 네크부로 부터 점차적으로 갈라지는(분리되는) 분리형(delaminating) 병, 또는 삽입체와 일체로 형성된 압출성형(compression blown) 주머니등을 이용하여 외측의 변형가능한 층과 구별되는 내측의 붕괴가능한 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부재는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2 가지 기능을 수행하나, 예를 들어 모발 염색 조성물의 유출 및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별도의 밸브들과 같은 다른 밸브 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 공기 유입조절 밸브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막을 수 있고 병의 본체에 형성되는 단순한 공기구멍일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 에 관해 설명한다. 도시한 도포기(106)는 분배관(72)의 배출구(88)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특히, 표면 도포기(106)는 탄성적으로 압축가능한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폼 또는 스폰지 재료로 형성된 패드(108)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조는 다수의 배출구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로 인해 배출구(88)로 부터 배출되어 패드(108)를 통과하는 모발 염색 조성물을, 조심스럽게 조작하여, 모발 경계선을 따라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패드(108)는 운반체(110)의 상단부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며, 그 운반체(110)의 하반부는 작은 상단부로 부터 큰 하단부까지 연장하는 절두원추형이다. 운반체(110)의 하반부의 내측면에는, 그 운반체(110)가 분배관(72)으로 가압될 때, 분배관(72)의 환형 리브(92)와 착탈가능하게 맞물리는 환형 함몰부(112)가 형성된다. 운반체(110) 및 분배관(72)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없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정확한 도포가 용이하도록 패드(108)의 표면을 곡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때 그 곡면은 운반체(110)의 상반부 둘레의 일부에서만 연장한다. 패드(108)를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하고, 운반체(110) 역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한다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패드(108)를 운반체(1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명백하게, 원래의 표면 도포기(106)가 청소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면, 다수의 표면 도포기(106)가 제공될 것이다. 그 다수의 표면 도포기는, 일회용이라면 서로 유사할 것이고, 교환용이라면 서로 상이할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도포기(106) 대신에, 브러시/빗-형 도포기(114)를 분배관(72)의 배출구(88) 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그 브러시/빗-형 도포기(114)는 하우징(116) 및 분리가능한 유닛(118)을 포함한다.
브러시/빗-형 도포기(114)는 나사 또는 스냅식으로 네크부(14)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16)은 일체형 플라스틱 성형품이고, 위쪽에서 부터, 개구(120)와, 대향 측벽들에 형성되고 홈에 끼워지는 형태의 일련의 웹(web)(124)을 구비한 경사진 개방 챔버(chamber) (122)와, 챔버(128)와 챔버(122)를 연통시키는 안내 튜브(126)와, 챔버(128)의 하단부에 근접한 내측 나사부(132)와, 챔버(128)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대향 러그 수단(134)을 형성한다.
내측 나사부(132)는 회전없이 몰드(mould)로 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128) 내측의 나사부(132)를 네크부(14)의 외측 나사부(16)에 결합함으로서, 하우징(116)을 병(10)에 분리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116)이 점차적으로 나사결합됨에 따라, 분배관(72)의 배출구(88)가 안내 튜브(126)내로 진입한다. 결국, 러그 수단(134)이 러그 수단(18)의 램프(22)를 타고 넘어 러그 수단(18)의 간격부(20)와 찰깍하고 결합된다. 그러한 찰깍(snap) 결합은 하우징(116)이 병(10)에 완전히 나사결합되었다는 것을 청각적 또는 적어도 촉각적으로 알려준다. 러그 수단(18)과 러그 수단(134)이 서로 맞물린 이러한 최종적인 위치에서, 챔버(122)가 본체(12)의 주 축방향으로 개방되며, 다시 설명하겠지만, 그 본체(12)는 대체적으로 타원형 이다.
본 모발 염색 키트의 마지막으로 설명하는 구성요소인 분리가능한 유닛(118)또한 마찰계수를 줄이기 위해 실리콘등을 첨가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물질을 이용하여 일체형 성형제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유동 조성물이 분배되려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한 유닛(118)의 적어도 일부를 반투명으로 할 수 있다.
유닛(118)은 좁은 상단부 부터 넓은 하단부까지 점차적을 경사지고 대체적으로 편평한 지지부(136)를 포함한다. 좁은 상단부는, 고리형 선단부(138a)를 구비하고 그 상단부로 부터 연장하는 탄성 변형 걸이부(138)를 포함한다. 넓은 하단부는, 고리형 선단부(140a)를 구비하고 그 하단부로 부터 연장하는 강성 걸이부(140)를 포함한다. 지지부(136)의 주변부에는 챔버(122)의 개구부를 보완하는 테두리인 밑자락(142)이 형성된다. 강성 빗살(144)과 같은 다수의 긴 구획부재들이, 탄성 변형 걸이부(138), 강성 걸이부(140), 및 밑자락(142)의 반대쪽 방향을 향해, 지지부(136)로 부터 돌출한다. 유동 조성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146)가 지지부(136)를 통과하여 형성된다.
도 9 에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빗살(144)을 2 열로 배열할 수 있다. 빗살(144)은, 2 열의 양 단부에서 볼때 횡방향 크기가 상이한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빗살(144)의 횡방향 크기는 지지부(136)의 좁은 상단부로 부터 지지부(136)의 넓은 하단부로 갈수록 점점 커질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열의 빗살(144)이 서로에 대해 엇갈리게 할 수도 있으며, 2 열의 옆쪽에서 볼때 두께가 비슷한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도 11 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 개 이상의 배출구(146)가 각 빗살(144)을 관통하여 연장할 수 있으며, 또는 모든 배출구(146)가 각 빗살(144)을 관통하여 연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출구(146)는 빗살(144)을 관통 연장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지지부(136)에서, 하나 이상의 배출구(146)가 인접 빗살(144)들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빗살(144)을 관통연장하는 모든 배출구(146)에도 가능하지만, 적어도 2 이상의 배출구(146)는 빗살(144)의 자유단부에서 개구(148)를 통해 드러난다.
개구(148)가 빗살(144)의 자유단부에 위치한다는 것이 설명하기 쉬울 것이나, 실질적으로는 빗살(144)의 자유단부 약간 뒤쪽에 형성되는데, 이는 부분적으로는 두피에 직접 도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부분적으로는 측면 핀이 필요없이 간단한 2 형(two-part) 몰드로 개구(148)를 형성할 수 있는 공형 개폐 (passing face shut off) 기술로 알려진 바람직한 성형기술의 결과로 인한 것이다.
유닛(118)을 하우징(116)과 조립하기 위해서는, 강성 걸이부(140)의 고리형 선단부(140a)를 슬롯(130)에 위치시키고 선회시키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밑자락(142)의 자유 연부(edge)가 웹(124)과 결합하게 되고, 걸이부(138)의 고리형 선단부(138a)가 변형되어 걸이부(138)가 개구(120)로 삽입 된다. 걸이부(138)의 고리형 선단부(138a)가 개구(120)로 부터 돌출하여 그 개구(120) 주위의 하우징(116) 재료와 결속될 때, 유닛(118)이 하우징(116)에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와 반대 순서로 하우징(116)으로 부터 유닛(118)을 분리한다.걸이부(138)는 손가락 압력으로 해제할 수 있다. 그 대신, 단단한 표면이 걸이부(138)의 고리형 선단부(138a)를 개구(120)내로 후퇴시키게끔, 하우징(116)을 단단한 표면에 대고 가압하여 걸이부(138)를 해제할 수도 있다. 걸이부(138)를 분리하면 개구(148)가 분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116)으로 부터 유닛(118)을 분리하는 하나의 이유는 잔류 모발 염색 조성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116)으로 부터 유닛(118)을 분리하는 또 다른 이유는 다른 형태의 유닛(118)으로 교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빗 형태의 구조를 제공하는 강성 빗살(144)을, 다수의 가요성 강모(剛毛)를 구비한 브러시형 구조로, 또는 스폰지형 구조로, 또는 빗살 및/또는 개구의 크기 및/또는 형상이 상이한 다른 빗 형태의 구조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모발 길이나 모발 형태 등이 다른 여러가지 상이한 상황에 따라, 분배된 모발 염색 조성물을 완전히 분산시키기가 용이할 것이다.
모발 염색 조성물의 유동특성에 따라, 또는 모근 염색, 탈색, 또는 강조와 같은 염색 결과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각 유닛(118)의 개구(148)의 크기, 위치 및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반적인 문제로서, 제 1 물질이 유지되는 제 1 용기가, 하나의 도포기 또는 여러 도포기의 조합에 장착되었을 때, 병(bottle)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반적인 문제로서, 유동 조성물은 가-소성(pseudo-plastic) 유동 특성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여기서 가-소성 유동 특성은 전단(剪斷, shear)됨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고, 일단 전단이 멈춰지면 유동 조성물(최초 점도를 결정한다)의 내부 구조가 신속하게 재구성되어 최초 점도에 근접할 때 까지 점도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동 조성물은 전술한 가-소성 유동 특성이 0.01/초 내지 10,000/초 의 전단 변형율(strain rate)을 가져야 하며, 그 전단 변형율범위는 유동 조성물이 모발 염색 조성물일 때 가장 적합한 범위이다.
적절한 유동 조성물의 예를 들면, 그 유동 조성물은, 전단 변형율이 2000/초일 때 측정한 점도가 0.01 Pa.s 이상(바람직하게는 0.15 Pa.s 이상)이고, 전단 변형율이 10/초일 때 측정한 점도가 5 Pa.s 이하(바람직하게는 1.4 Pa.s 이하)이다.
본 발명은 도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한정하는 것이 아님) 모발용 및/또는 두피용 조성물질을 신속하고도 적절히 조절하면서 그리고 주변을 더럽히지 않고 모발 및/또는 두피에 도포하는 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모발 염색에 있어서, 염색약의 유동을 정확히 조절하고 염색약에 의해 염색되는 영역에 정확하게 염색약을 도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포 및 조작 중에 주변이 더럽혀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염색약에 의해 염색되는 영역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염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들은 염색약을 본인에게 도포하는 사람이 도포기를 취급할때에도 달성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다른 유동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목적 및 다른 유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을 이하에서 설명하고, 본 발명의 다른 태양들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실현하는 바람직한 도포기에 관해 설명한다.
A. US-A-4209027 에는 모발 처리 액체(treating liquid)를 수용하는 압출(壓出 ; squeeze) 용기에 고정될 수 있는 모발 처리장치(treatment device)가 개시되어 있는데, 그 모발 처리액은 사용자에 의해 여러가지 상이한 도포기의 배출구를 통해 분배되고 동시에 상기 모발 처리장치에 의해 외부로 유출된다.
도포기중 하나는 주로 구획수단으로 이용되는 긴 팁(tip)을 구비하고, 다른 도포기들은 주로 분산수단으로 이용되는 브러시나 빗이며, 이때, 그 도포기들은 모발 처리액을 구획수단이나 분산수단 또는 양자 모두로 보낼 수 있는 밸브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모발 처리장치들의 실제적인 단점은 주변을 더럽히지 않고 적절히 취급하기 곤란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 분산수단 중 하나를 이용할 때, 처리되지 않아야할 모발 또는 이미 처리된 모발이 구획수단의 배출구 내의 또는 그 주변의 모발 처리액과 원하지 않게 접촉하여 부분적으로 손상되거나 탈색될 수 있으며, 또한 모발 처리액이 구획수단으로 부터 사용자의 피부나, 옷 또는 주변에 떨어지거나 튈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라, 유동 조성물 분배에 사용되는 도포 시스템은:
유동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적어도 3 개 이상의 도포기로서, 제 1 도포기는 상기 용기에 고정되고, 적어도 제 2 도포기는 상기 제 1 도포기에 고정되며, 유동 조성물이 배출되어 도포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각각 구비한 서로 상이한 형태의 3개 이상의 도포기를 포함하며;
3 개 이상의 도포기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도포기의 하나 이상의 배출구는 유동 조성물을 도포할 때 항상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중에, 선택된 도포기의 하나 이상의 배출구만이 노출된다는 사실은 선택된 도포기를 조작할 때 다른 도포기에 남아있는 유동 조성물에 의해 주변이 더럽혀질 위험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B. 많은 모발 처리장치는, 배출구가 마련된 자유 단부를 향해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로 좁아지는 긴 분배관 형태의 도포기를 구비한다.
JP(UM)-A-7-22951 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발 처리장치는 빗 형태의 도포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빗은 분배관의 배출구로 부터 빗의 살(teeth)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 개구로 모발 조성물을 배출하는 내부통로를 구비한다.
사용시에, 빗이 분배관에 가압식으로 끼워지게 되어, 그 빗은 분배관의 자유단부를 지나 연장하고, 마찰에 의해 분배관 길이의 일부에 유지된다.
실제적으로, 모발의 매듭이나 엉킴부에 의해 빗이 이동한다면, 빗과 분배관 사이의 연결부에서 굽힘 모멘트 및 토르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 빗이 분배관으로 부터 빠져 분배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유사한 구조가 개시된 JP-A-9-118375 에는, 2 가지 액체를 혼합하는 방법과, 그렇게 혼합된 액체를 적절한 수단으로 노즐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빗을 통해 분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 2 가지 액체는 모발 채색 조성물을 형성할 것이다. 그러나, 노즐 외측 하부의 모발 염색 조성물 방울에 의해 빗을 노즐에 부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는 모발 염색 조성물이 윤활제로서 역할을 하고 빗이 노즐에 스냅(snap) 및/또는 나사 결합되는데 해로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라,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는 도포 시스템은:
유동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제 1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내의 유동 조성물이 제 1 배출수단을 통해 분배되도록 용기에 부착되는 제 1 도포수단과;
제 2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유동 조성물이 제 2 배출수단을 통해 분배되기 전에 상기 제 1 배출수단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 1 도포수단 위에 위치하는 제 2 도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도포수단은 상기 용기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중에, 제 2 도포수단이 제 1 도포수단에 부착되는 대신 용기에 부착된다는 사실에 의해, 제 2 도포수단이 잘 회전되지 않고 또는 잘 분리되지 않는 강한 구조가 가능하다.
C,D. 통상적으로, 모발 처리장치는 여러가지 상이한 모발 처리조건에 적합한 여러가지 형태의 도포기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모발 조성물을 직선형으로 도포할 수 있는 분배관, 천과 같이 모발 조성물을 모발에 펴서 바를 수 있는 투과성 분배부재, 및 모발 전체 길이에 걸쳐 모발 조성물을 분배 작업을 할 수 있는 분배 빗 또는 브러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실제적으로, US-A-4211247 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도포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또한 분배 도포기로 모발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모발 조성물을 단순히 펼치기 위한 비분배(non-dispensing) 스폰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라,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기 위한 도포 시스템은:
유동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유동 조성물이 단일 배출구를 통해 분배되는 직선 도포기와, 유동 조성물이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표면에 분배되는 표면 도포기와, 유동 조성물이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분배되고 다수의 긴 구획부재에 의해 분산되는 브러시/빗 형태의 도포기를 포함하는 3 개 이상의 도포기를 구비하며;
상기 표면 도포기는,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고 탄성 압축가능한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폼(foam) 또는 스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중에, 표면 도포기가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폼 또는 스폰지 수단 형태라는 사실로 인해, 폼 또는 스폰지가 유동 조성물을 흡수 및 재분배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단순히 천으로 닦아내던 것 보다 유동 조성물을 보다 골고루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따라,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는 도포 시스템은:
유동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유동 조성물이 단일 배출구를 통해 분배되는 직선 도포기와, 유동 조성물이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표면에 분배되는 표면 도포기와, 유동 조성물이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분배되고 다수의 긴 구획부재에 의해 분산되는 브러시/빗 형태의 도포기를 포함하는 3 개 이상의 도포기를 구비하며;
상기 브러시/빗 형태 도포기의 다수의 배출구 중 2 이상은 각각의 긴 구획부재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긴 구획부재 중 2 개 이상이 각각의 배출구를 구비한다는 사실은, 사용중에, 그 긴 구획부재가 유동 조성물을 보다 잘 분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유동 조성물이 모발 염색 조성물일 때 특히 중요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4 가지 태양 모두를 실현하는 도포 시스템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a) 도포기 중 하나는 유동 조성물이 통과하여 분배되는 하나의 긴 통로를 구비한 관이고,
(b) 도포기 중 다른 하나는,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고 탄성 압축될 수 있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폼 또는 스폰지로 이루어지며,
(c) 도포기 중 또 다른 하나는, 유동 조성물이 하우징을 통해 분배되는 지지부로 부터 돌출한 다수의 긴 구획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폼 또는 스폰지 물질은 운반체(carrier)의 일단부에 또는 그 단부에 근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패드 형태이다.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운반체를 분배관에 착탈 가능하게 가압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특히 특정 영역을 목표로 할때, 패드가 운반체 둘레의 일부만에 걸쳐 연장하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긴 구획부재는 강성의 빗살 형태이다.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할 때, 빗살을 하나 이상의 열(row)로 배치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열의 끝에서 볼때, 횡방향 크기가 상이한 대체적인 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빗살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계속적인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빗살로 부터 유동 조성물을 분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빗살의 자유단부가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긴 구획부재 및 지지부는 하우징으로 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지지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서로 상이한 지지부를 구비한 긴 구획부재는 여러가지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성 빗살을 구비한 빗형 지지부를 가요성 필라멘트(flexible filaments)를 구비한 브러시형 지지부로 대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긴 구획부재 및 지지부는 걸이부(catch)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는 유닛으로 형성된다. 하우징이 긴 구획부재로 부터 분리되어 떨어질 수 있도록, 걸이부는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고 하우징을 통과하여 연장하는 개구에 결속될 수 있다. 피벗(pivot)으로 작용하는 추가 걸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한 걸이부는 손가락 힘으로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하우징을 단단한 표면에 대고 가압하는 것 만으로도 탄성적으로 편향가능한 걸이부가 분리되게끔하여, 긴 구획부재 및 지지부가 하우징으로 부터 분리되게 할 수도 있다.
조립을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하기위해, 하우징과 용기를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으며, 하우징과 용기는, 그 하우징이 용기와 완전히 나사결합되었을 때 서로 스냅(snap)결합되어 하우징과 용기를 소정위치로 정렬시키는 러그(lug)수단을 각각 구비한다.
분배관을 용기에 가압 결합(push fit)할 수도 있다.
지지부로 부터 돌출한 다수의 긴 구획부재를 구비한 지지부 및 하우징 형태의 도포기를 통해 분배되기 전에 유동 조성물이 분배관 형태의 도포기를 통과할 때, 그 유동 조성물의 분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이 분배관 위쪽에 위치하였을 때 그 분배관의 자유단부를 수용하는 안내 튜브(tube)를 하우징이 구비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를 병속 주머니(bag-in-bottle) 형태의 용기로 하여, 병속 주머니 형태의 용기가 어떠한 방향에 있더라도 유동 조성물을 분배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용기에서, 내측의 가접층(붕괴가능층 ; collapsible layer)은 저장부를 형성하고, 외측의 가변층(deformable layer)은 완충영역에 의해 내측 가접층과 분리된다. 밸브수단은 완충영역(병) 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과 저장부(주머니)로 부터 유동 조성물이 유출되는 것을 조절한다. 조립을 간단하게 하고 상업적 장점을 살리기 위해, 밸브수단은 단일 구성을 가지는 밸브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밸브부재를 분배관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기 유입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는 환형 플래퍼(flapper) 밸브로 구성할 수 있고, 그 환형 플래퍼 밸브는 중앙의 콰드로로브(quadrolobe) 밸브를 둘러싸고 분배관내의 하나의 긴 통로의 개구 정도를 조절하며, 상기 중앙의 콰드로로브 밸브는 분배관내의 하나의 긴 통로 안으로 가압식으로 끼워진다.
유동 조성물은 모발 및/또는 두피용 조성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시스템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Claims (38)

  1.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는 도포 시스템으로서:
    유동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유동 조성물이 배출되어 도포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각각 구비한 서로 상이한 형태의 3개 이상의 도포기를 포함하며;
    상기 3 개 이상의 도포기 중 적어도 제 1 도포기는 상기 용기에 고정되고, 적어도 제 2 도포기는 상기 제 1 도포기에 고정되며;
    상기 3 개 이상의 도포기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도포기의 하나 이상의 배출구는 유동 조성물을 도포할 때 항상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기는 분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3 도포기는 다수의 긴 구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도포기는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5.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는 도포 시스템으로서:
    유동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제 1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내의 유동 조성물이 제 1 배출수단을 통해 분배되도록 용기에 부착되는 제 1 도포수단과;
    제 2 배출수단을 구비하고, 유동 조성물이 제 2 배출수단을 통해 분배되기 전에 상기 제 1 배출수단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 1 도포수단 위에 위치하는 제 2 도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도포수단은 상기 용기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포수단은 분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포수단은 다수의 긴 구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 3 도포수단을 상기 제 1 도포수단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유동 조성물을 도포할 때, 상기 3 개 이상의 도포기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도포기만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10.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는 도포 시스템으로서:
    유동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유동 조성물이 단일 배출구를 통해 분배되는 직선 도포기와, 유동 조성물이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표면에 분배되는 표면 도포기와, 유동 조성물이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분배되고 다수의 긴 구획부재에 의해 분산되는 브러시/빗 형태의 도포기를 포함하는 3 개 이상의 도포기를 구비하며;
    상기 표면 도포기는,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고 탄성 압축가능한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폼(foam) 또는 스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11. 유동 조성물을 분배하는 도포 시스템으로서:
    유동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유동 조성물이 단일 배출구를 통해 분배되는 직선 도포기와, 유동 조성물이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표면에 분배되는 표면 도포기와, 유동 조성물이 다수의 배출구를 통해 분배되고 다수의 긴 구획부재에 의해 분산되는 브러시/빗 형태의 도포기를 포함하는 3 개 이상의 도포기를 구비하며;
    상기 브러시/빗 형태 도포기의 다수의 배출구 중 2 이상은 각각의 긴 구획부재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도포기는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13. 제 4 항,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물질은 탄성압축가능한 폼 또는 스폰지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14. 제 10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폼 또는 스폰지 재료는 운반체의 일단부에 또는 그 단부 가까이에 위치하는 패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15. 제 2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2 항이나 제 7 항을 인용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유동 조성물이 분배되는 하나의 긴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16. 제 10 항 또는 제 11 항, 또는 제 10 항이나 제 11 항을 인용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도포기는 유동 조성물이 분배되는 하나의 긴 통로를 구비하는 분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17. 제 14 항 및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체는 상기 분배관에 착탈가능하게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18. 제 14 항 및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체는 상기 분배관에 착탈가능하게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운반체 둘레의 일부에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20.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상기 용기에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21. 제 15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의 공기 유입구는 밸브 부재의 작동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22. 제 15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의 다수의 공기 유입구는 밸브 부재의 작동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의 하나의 긴 통로는 밸브 부재의 작동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분배관의 하나의 긴 통로에 가압 고정되는 중앙 콰드로로브 밸브를 둘러싸는 환형 플래퍼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25. 제 3 항, 제 7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 또는 그 제 3 항, 제 7 항, 제 10 항이나 제 11 항을 인용하는 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획부재는, 유동 조성물이 하우징으로 부터 분배되는 지지부에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26. 제 25 항 또는, 제 15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하우징이 분배관 위쪽에 위치할 때, 분배관의 자유단부를 수납하는 안내 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획부재는 강성 빗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은 하나 이상의 열로 배열되고, 각 빗살의 자유단부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29. 제 25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획부재 및 지지부는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획부재 및 지지부는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되고, 그 유닛은 걸이부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탄성 변형가능하고 하우징을 관통하는 개구와 결합될 수 있으며, 그 걸이부는 긴 구획부재와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피벗으로 작용하는 추가 걸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33. 제 29 항 내지 제 32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그 다수의 지지부의 긴 구획부재는 서로 상이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34. 제 25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용기는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용기는 러그 수단을 포함하고, 그 러그 수단은 하우징이 용기에 완전히 회전결합되었을 때 찰깍 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36. 선행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기가 어떠한 방향에 있더라도 유동 조성물을 분배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는 병내부에 주머니가 마련된 형태의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일체형 밸브 부재는 병내로 유입되는 공기 및 주머니로 부터 배출되는 유동 조성물 모두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38. 선행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조성물은 모발용 및/또는 두피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도포 시스템.
KR1020007004753A 1997-11-21 1998-11-20 유체 도포기 KR200100862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724714.2A GB9724714D0 (en) 1997-11-21 1997-11-21 Applicators
GB9724714.2 1997-11-21
PCT/US1998/024835 WO1999026510A1 (en) 1997-11-21 1998-11-20 Fluid applica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210A true KR20010086210A (ko) 2001-09-10

Family

ID=1082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753A KR20010086210A (ko) 1997-11-21 1998-11-20 유체 도포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1032287B1 (ko)
JP (1) JP2001523501A (ko)
KR (1) KR20010086210A (ko)
CN (1) CN1168408C (ko)
AT (1) ATE269015T1 (ko)
AU (1) AU1531899A (ko)
BR (1) BR9815315A (ko)
CA (1) CA2310470C (ko)
CO (1) CO5050377A1 (ko)
DE (1) DE69824623T2 (ko)
ES (1) ES2222618T3 (ko)
GB (1) GB9724714D0 (ko)
PE (1) PE20000028A1 (ko)
WO (1) WO199902651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31B1 (ko) * 2012-12-13 2013-04-08 김동현 모발 거품 염색장치
WO2014092340A1 (ko) * 2012-12-13 2014-06-19 Kim Dong Hyun 모발 거품 염색장치
KR20160038009A (ko) * 2013-07-31 2016-04-06 아프타르 프랑스 사 분사 및 도포 헤드
KR20180096603A (ko) * 2015-11-02 2018-08-29 인텔 플라스틱스 인크. 물질 분배기/도포기
KR20190121850A (ko) * 2017-03-09 2019-10-28 아프타르 프랑스 사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38936B1 (es) * 1998-06-30 2000-09-16 Clemente Marco Juan Carlos Pua aplicadora para tratamiento del cabello y/o cuero cabelludo.
FR2805442B1 (fr) * 2000-02-25 2003-02-14 Oreal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pplication d'une composition capillaire
JP4517531B2 (ja) * 2001-04-27 2010-08-04 花王株式会社 染毛剤塗布用ブラシ
JP4517532B2 (ja) * 2001-04-27 2010-08-04 花王株式会社 染毛剤塗布用ブラシ
DE60219520T2 (de) 2001-12-20 2007-12-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haarbehandlungsprodukten
US8316863B2 (en) 2002-07-17 2012-11-27 L'oreal S.A. Applicator nozzle and applicator assembly incorporating such a nozzle
AU2005289776A1 (en) 2004-09-24 2006-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e-treatment for hair colourants and bleaches
CN103200835B (zh) * 2010-08-12 2015-08-26 三菱铅笔株式会社 涂布器
CN102772189A (zh) * 2011-05-09 2012-11-14 张凤飞 便携式擦鞋器
WO2015012419A1 (ko) * 2013-07-23 2015-01-29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유닛
FR3032334B1 (fr) * 2015-02-06 2019-04-19 Hawa Anne Brosse a cheveux interchangeables avec recharge de produit
ES1143784Y (es) * 2015-05-18 2015-12-07 Del Cano Mauricio Campo Sistema aplicador de fluidos configurable
CA3092134A1 (en) * 2018-02-27 2019-09-06 Yael LEV Hair-coloring composition and method
KR101892674B1 (ko) 2018-07-11 2018-10-04 주식회사 딥포인트 빗 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218930342U (zh) * 2022-09-30 2023-04-28 北京中泰邦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药物管帽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18931A (de) * 1926-10-15 1927-02-16 Rudolf Schneitter Robert Anstreichbürstchen für Wichse etc.
US4209027A (en) 1974-06-21 1980-06-24 Shila Morganroth Hair treatment devices and packaging therefor
US4211247A (en) 1974-06-21 1980-07-08 Shila Morganroth Devices for use in selectively altering hair color
US4011879A (en) * 1976-06-03 1977-03-15 Roberts Shepard D Combination applicator-dispenser hair styler
US4781311A (en) * 1984-08-17 1988-11-01 The Clorox Company Angular positioned trigger sprayer with selective snap-screw container connection
GB2174356A (en) * 1985-05-03 1986-11-05 Albyn Of Stonehaven Limited Container with closure and spreader
GB8901320D0 (en) * 1989-01-21 1989-03-15 Elopak Systems Nozzle
DE8902166U1 (ko) * 1989-02-23 1989-06-15 Schwan-Stabilo Schwanhaeusser Gmbh & Co, 8500 Nuernberg, De
DE3931111A1 (de) * 1989-09-18 1991-03-28 Rupert Soltenau Kappe fuer einen haarfestigerbehaelter, insbesondere haargeeltube und haarschaumdose
US5299877A (en) * 1991-11-26 1994-04-05 Donald Birden Liquid applicator
US5316403A (en) * 1992-12-15 1994-05-31 Mansour Amin F Apparatus for applying a film of liquid
JPH0722951U (ja) 1993-09-29 1995-04-25 花王株式会社 注出容器
JPH08164954A (ja) * 1994-12-15 1996-06-25 Yoshida Kogyo Kk <Ykk> チューブ容器
US5643403A (en) * 1994-12-19 1997-07-01 Robert N. Poole Wall covering removal system with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a surface scarifying apparatus
JPH09118375A (ja) 1995-10-26 1997-05-06 Shiseido Co Ltd 二液混合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431B1 (ko) * 2012-12-13 2013-04-08 김동현 모발 거품 염색장치
WO2014092340A1 (ko) * 2012-12-13 2014-06-19 Kim Dong Hyun 모발 거품 염색장치
KR20160038009A (ko) * 2013-07-31 2016-04-06 아프타르 프랑스 사 분사 및 도포 헤드
KR20180096603A (ko) * 2015-11-02 2018-08-29 인텔 플라스틱스 인크. 물질 분배기/도포기
KR20190121850A (ko) * 2017-03-09 2019-10-28 아프타르 프랑스 사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724714D0 (en) 1998-01-21
ATE269015T1 (de) 2004-07-15
DE69824623D1 (de) 2004-07-22
CA2310470C (en) 2004-03-16
CN1168408C (zh) 2004-09-29
JP2001523501A (ja) 2001-11-27
BR9815315A (pt) 2000-10-24
AU1531899A (en) 1999-06-15
CO5050377A1 (es) 2001-06-27
CA2310470A1 (en) 1999-06-03
DE69824623T2 (de) 2005-02-03
PE20000028A1 (es) 2000-03-19
WO1999026510A1 (en) 1999-06-03
CN1279590A (zh) 2001-01-10
ES2222618T3 (es) 2005-02-01
EP1032287A1 (en) 2000-09-06
EP1032287B1 (en)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607B1 (en) Fluid applicators
KR20010086210A (ko) 유체 도포기
US6505986B1 (en) Applicator systems
US6334449B1 (en) Fluid delivery system
JP2885675B2 (ja) 液状からペースト状の粘度を持つ物質用ノ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ペンサ
JP2885676B2 (ja) 塗布用チップを具備した液状からペースト状の粘度を持つ物質用ディスペンサ
US7243660B2 (en) Hair coloring apparatus, kit and associated methods
WO2003070183A2 (en) Hair-coloring system
TWI651070B (zh) 用於施配可流動材料之施配器
KR20010086213A (ko) 유체 송출장치
EP1032286B1 (en) Applicator systems
CA2215179C (en) Dual compartment package and pumps
CN111031845B (zh) 包括可替换内容器的化妆品容器
CA2309107A1 (en) Applicators
AU2002300056B2 (en) Fluid delivery system
MXPA00004906A (en) Fluid applicators
CZ20001658A3 (cs) Zařízení pro přívod tekutiny
MXPA00004904A (en) Applicator systems
JPH09313243A (ja) 毛髪料塗布器具
JP2003289935A (ja) 櫛型塗布容器
MXPA00004905A (en) Fluid delivery system
MXPA00004903A (en) Applicators
MXPA00002447A (en) Hair product appl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