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850A -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850A
KR20190121850A KR1020197029651A KR20197029651A KR20190121850A KR 20190121850 A KR20190121850 A KR 20190121850A KR 1020197029651 A KR1020197029651 A KR 1020197029651A KR 20197029651 A KR20197029651 A KR 20197029651A KR 20190121850 A KR20190121850 A KR 20190121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receiving body
fluid
housing
appl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503B1 (ko
Inventor
쥴리앙 쟝냉
아르노 르부셰
Original Assignee
아프타르 프랑스 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타르 프랑스 사 filed Critical 아프타르 프랑스 사
Publication of KR20190121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Photodynamic therapy, i.e. excitation of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31Replacement of the stick
    • A45D2040/0056Replacement of the stick by removing the old stick from the cartridge by screw movement of stick relative to the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 하우징(22')을 포함하는 중공 수용 본체(1'); 및
· 유체 디스펜서(D')를 상기 수용 본체(1')에 대해 결정된 각도 위치로 배치하는 각도 배향 수단(16, 64)을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D');를 포함하며,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디스펜서(D')가 상기 수용 본체(1') 내로 푸시됨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D')가 결정된 각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각도 배향 수단(16, 64)이 상기 디스펜서(D')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fluid dispenser) 및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중공 수용 본체; 수용 본체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피부와 같은 타겟과 접촉하기 위한 유체 어플리케이터 표면; 및 유체 디스펜서 오리피스가 개방되는 배출구 표면을 규정하는 디스펜서 엔드피스, 저장소 및 펌프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 어셈블리는 유리하게는 파동, 광 및/또는 전기를 방출하고 이들(이것)을 어플리케이터 표면으로 전달하는 활성화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어셈블리는 피부와 같은 타겟에 유체를 도포하고, 어플리케이터 표면을 통해 동시에, 후속적으로 또는 이전에 피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유리한 적용 분야는 화장품 분야이지만, 또한 의약 분야가 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서, 이러한 타입의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를 설명하는 문헌 WO 2015/170048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 문헌은 수용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하우징을 포함하는 유체 어플리케이터 표면 및 중공 수용 본체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터 표면은 피부와 같은 타겟과 접촉하도록 의도되고, 유체 어플리케이터 표면은 하우징을 포함한다.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는 또한 오리피스를 규정하는 디스펜서 엔드피스, 저장소, 펌프를 갖는 유체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디스펜서는 수용 본체에 착탈식으로 수용되고, 그것의 디스펜서 엔드피스의 삽입 부속물(insertion appendage)이 하우징에 착탈식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디스펜서 오리피스는 어플리케이터 표면에서 직접 개방된다. 디스펜서는 상단부로부터 떨어진 수용 본체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수용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또한, 유체 디스펜서를 수용 본체에 대해 결정된 각도 위치로 가져오도록 각도 배향 수단이 제공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디스펜서 엔드피스 및 하우징은 단일 각도 배향과의 상호 결합을 부여하는 대응하는 단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디스펜서 엔드피스가 그것의 하우징 내로 침투하게 하려면, 사용자는 엔드피스가 하우징과 정렬될 때까지 수용 본체에서 디스펜서를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디스펜서가 이미 수용 본체에 전체적으로 거의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은 더욱 어려워진다.
문헌 US2011/0190672는 또한 공지되어 있으며, 이 문헌에는 디스펜서 엔드피스가 제공된 저장소를 포함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진동기 어플리케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케이싱에 배치된 칼라는 디스펜서 엔드피스를 둘러싸는 진동기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축열 헤드(thermal storage head)는 진동 요소에 커플링되어 그것이 진동하게 한다: 이 헤드는 케이싱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이 헤드는 디스펜서 엔드피스가 개?되는 어플리케이터 표면을 규정한다. 칼라는 진동기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측면 푸셔를 포함한다. 유체는 저장소를 압착하는 것에 의하여 분배된다: 펌프를 가진 변형예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디스펜서는 분해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따라서 단일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펜서가 수용 본체에서 특정 배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문헌 WO 2015/170048의 유체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를 개선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도 배향 수단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도 배향 수단이 디스펜서로 하여금 결정된 각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수용 본체 내로 푸시됨에 따라 디스펜서를 회전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 이상 수용 본체에서 디스펜서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되고 디스펜서 엔드피스가 하우징 내에서 완전히 맞물릴 수 있는 정확한 각도 방향을 시행 착오에 의해 위치시킬 필요가 없다. 이제 수용 본체에서의 디스펜서의 적절한 배향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축 방향으로 수용 본체에 밀어 넣으면 충분하다. 적어도 축 방향 스러스트가 어떠한 회전 컴포넌트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단지 사용자는 각도 배향 수단에 의해 야기되는 회전 운동으로 디스펜서를 보조한다. 초기 각도 배향에 관계없이, 최종 각도 배향이 달성된다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각도 배향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캠-램프(helical cam-ramp)를 포함한다. 캠은 디스펜서 또는 수용 본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각도 배향 수단은 디스펜서의 회전을 유발하는 헬리컬 캠-램프를 따라 미끄러지는 러그를 포함한다. "러그(lug)"라는 용어는 램프 또는 캠을 따라 미끄러짐 접촉할 수 있는 임의의 부재, 부품 또는 프로파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도 배향 수단은 팁에서 함께 결합되어, 결정된 각도 위치로 이어지는 2개의 헬리컬 캠-램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스펜서는 러그가 어느 램프에 결합되는지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어떤 경우에도, 러그는 같은 위치에 도달한다. 두 램프의 상단에 형성된 팁은 러그 차단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제적인 실시예에서, 삽입 부속물의 상류에서, 디스펜서 엔드피스는 팁에서 함께 결합되어, 맞닿음 노치로 이어지는 2개의 헬리컬 캠-램프를 형성하며, 수용 본체는 맞닿음 노치에 하우징될 때까지 2개의 헬리컬 캠-램프 중 하나를 따라 미끄러지는 고정 러그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는 하단부를 폐쇄하기 위해 수용 본체와 협력하는 착탈식 바닥 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착탈식 바닥 벽은 디스펜서를 상단부를 향해 밀어냄으로써, 고정 러그를 맞닿음 노치쪽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하부 벽은 디스펜서를 축 방향 수용 본체쪽으로 이동시켜서 그것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르면, 디스펜서는 저장소, 펌프 및 디스펜서 엔드피스를 통과하는 길이 방향 축(X)을 규정하며, 펌프는 길이 방향 축(X)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수용 본체는 측면 푸셔를 측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측면 액추에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측면 액추에이터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측면 푸셔(lateral push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각도 배향 수단에 의해, 측면 액추에이터는 항상 측면 푸셔에 위치되는 것이 보장된다. 디스펜서가 이제 자동으로 수용 본체에 올바르게 배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 이상 이것을 생각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각도 배향 수단은 또 다른 이점, 즉 삽입 부속물이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형인 단면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디스펜서 엔드피스 및 하우징이 단일 각도 배향으로 상호 맞물림을 부여하는 대응하는 단면을 제공하는 문헌 WO 2015/170048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디스펜서 엔드피스 및 하우징의 대응하는 단면은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에서, 디스펜서 엔드피스는 적어도 어플리케이터 표면에서 하우징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외형을 제공하는 배출구 표면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디스펜서 엔드피스는 적어도 어플리케이터 표면에서, 밀봉된 방식으로 하우징을 폐쇄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터 표면에만 유체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수용 본체는 어플리케이터 표면에서 광과 같은 전자기파, 진동, 및/또는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와 같은 전기를 생성하기에 적합한 활성화 모듈을 하우징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디스펜서가 수용 본체 내로 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디스펜서가 수용 본체에서 자동으로, 실제로는 감지할 수 없게, 배향되는 각을 이루게 되는 디스펜서에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의 각도 배향 수단에 의해 임의의 각도 위치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측면 푸셔를 향한 측면 액추에이터 및/또는 하우징에서의 디스펜서 엔드피스의 방향을 올바르게 배향할 수 있게 한다. 각도 배향 수단은 축 방향 컴포넌트를 방사상 또는 회전 컴포넌트로 변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기술로는 임의의 요소 또는 프로파일을 미끄러지게 하는 헬리컬 램프 또는 캠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 도 1은 종래 기술의 유체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를 통한 수직 단면도이다.
· 도 2는 도 1의 상부 부분을 크게 확대한 도면이다.
· 도 3은 도 2의 섹션 라인 A-A의 수평 단면도이다.
· 도 4는 본 발명의 유체 디스펜서를 통한 수직 단면도이다.
· 도 5a 및 도 5b는 도 4 유체 디스펜서의 상이한 각도들로부터의 사시도이다.
· 도 6a 및 도 6b는 도 4, 도 5a 및 도 5b에서 유체 디스펜서의 디스펜서 엔드피스의 상이한 각도들로부터의 사시도이다.
·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디스펜서를 삽입하는 동안의 다양한 단계들을 나타내기 위해, 도 4, 도 5a 및 도 5b의 유체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유체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의 유체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 특히 문헌 WO 2015/170048의 유체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종래 기술의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의 일반적인 구조 및 대부분의 세부 사항은 수용 본체에서의 디스펜서의 배향 또는 인덱서 수단을 제외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략적으로 또는 정확히 재현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는 펜 형상과 유사할 수 있는 일롱게이트(elongate) 형상 또는 슬렌더(slender)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그것의 단면이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그것이 일정하지 않은 것다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그것의 하단부에 근접해 있는,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라운드형이거나 원형인 단면을 나타내는 반면, 일반적으로 상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섹션 라인 A-A에서,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는 계란 형상의 단면을 나타낸다(도 3). 어셈블리의 상부면은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경사지는 어플리케이터 표면(S)을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볼 수 있다. 초기에, 3개의 주요 개별 유닛, 즉 유체 디스펜서(D), 수용 유닛(R) 및 어플리케이터 유닛(A)을 포함한다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디스펜서(D)는 속이 빈 내부를 갖는 수용 본체(1)를 포함하는 수용 유닛(R) 내부에 착탈식으로 수용된다. 어플리케이터 유닛(A)은 유리하게는 착탈식으로 본체(1)에 장착된다. 따라서, 2개의 유닛들(D 및 A)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반대편 단부들(17 및 12)로부터 본체(1)에 착탈식으로 수용된다. 이것은 종래 기술의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의 일반적인 구조이며, 이것이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 유닛(R)의 본체(1)는 유닛들(A 및 D)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것의 상단부 및 하단부(12, 17)에서 개방된다. 하단부(17)는 유리하게는 나사-체결에 의해 착탈식 단부 벽(7)을 수용하도록 나사 결합된다. 착탈식 단부 벽(7)에는 발포체 또는 엘라스토머일 수 있는 탄성 재료 피스(74)가 제공된다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착탈식 단부 벽(7)의 내부는 본체(1)의 내부와 상향으로 연통하는 공간(70)을 형성하며, 그 자체가 수용 공간(1a)을 규정한다. 수용 공간(1a)을 넘어서, 본체(1)의 내부는 분리 파티션(13)에 의해 2개의 격실들(1b 및 1c)로 분할된다. 격실(1b)은 공간(1a)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면, 격실(1c)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며, 여기서 본체(1)는 계란 형상을 형성한다. 파티션(13)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냅-파스너 에지(snap-fastener edge)(14)를 형성한다. 격실(1b)과 수평으로, 본체(1)에는 수용 본체(1)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 푸셔(lateral pusher)(15)가 제공된다. 푸셔(15)는 순수하게 병진 이동되거나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재료를 사용하여, 푸셔(15)를 수용 본체(1) 상에 성형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본체(1)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푸셔(15)를 상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푸셔(15)를 갖지 않고 창(window)만을 갖는 것을 상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 파티션(13)은 상단부(12)에 근접하여 연장되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수용 본체(1)는 플라스틱 재료만을 사출 성형하여 만들거나, 또는 금속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터 유닛(A)은 어플리케이터 헤드(2)와 활성화 모듈(3)을 결합한 결과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 헤드(2)는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 예를 들어 초승달(crescent)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을 갖는 원통형 튜브에 의해 형성되는 축 방향 하우징(22)을 포함한다. 하우징(22)은 이 실시예에서 2개의 개구, 즉 하우징(22)의 입구에 대응하는 제 1 개구 및 활성화 모듈(3)을 위한 제 2개구로 형성된 어플리케이터-표면 영역(21)에 상향 연결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활성화 모듈(3)은 헤드(2)의 어플리케이터-표면 영역(21)을 연속적이고 스무딩하게 완료하는 방식으로 헤드(2)의 대응하는 개구를 폐쇄하는 어플리케이터-표면 섹션(31)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활성화 모듈(3)은 어플리케이터 헤드의 개구에 끼워 넣어지며, 이에 따라 활성화 모듈(3)의 어플리케이터-표면 섹션(31)은 임의의 돌출하는 또는 리세스되는 불연속부들을 생성하지 않고 헤드(2)의 어플리케이터-표면 영역을 마무리한다. 결과적으로, 모듈(3)과 헤드(2)를 함께 조립하면, 이 단계에서 하우징(22)의 입구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 개구를 갖는 어플리케이터 표면(S)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어플리케이터-표면 섹션(31)은 가장 경사지는 어플리케이터 표면(S)의 부분을 점유한다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어플리케이터 헤드(2)는 또한 중공 본체(1)의 상단부(12)에 끼워넣어지는 페리페럴 스커트(23)를 포함한다. 또한, 파-발생기 모듈(3)은 수용 공간(1c) 내부로 연장되며, 유리하게는 세퍼레이터 파티션(13)의 하부 에지(14)와 협력하기에 적합한 스냅-파스너 프로파일(34)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플리케이터 유닛(A)은 중공 본체(1)에 완전히 안정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활성화 모듈(3)은 임의의 유형의 전자기, 진동, 전기 등의 파동 또는 방사선, 예를 들면 가시 광선, 적외선 또는 자외선, 마이크로파 등, 또는 심지어 초음파 또는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듈(3)은 또한 피부와의 접촉에 대한 열 또는 냉기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열 또는 냉기(열파)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는 활성화 모듈(3)에 통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유체 디스펜서(D)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저장소(4), 펌프(5) 및 디스펜서 엔드피스(6)를 포함한다.
예로서, 저장소(4)는 유체가 저장소로부터 추출될 때 실린더(41)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종동 피스톤(42)이 수용되는 슬라이드 실린더(41)의 형태일 수 있다. 실린더(41)의 상부는 넥(neck)(45)을 형성한다. 이러한 특정 저장소 대신에, 작업 부피가 변하지 않는 보다 간단한 저장소, 또는 가요성 파우치를 갖는 저장소를 상정할 수도 있다.
펌프(5)는 저장소(4)의 넥(45)에 장착될 수 있게 하는 파스너 링(fastener ring)(54)을 포함한다. 펌프(5)는 그 하단부에 입구 밸브(51)가 예를 들어 슬롯형 셔터 형태로 제공되는 펌프 챔버(50)를 포함한다. 그 상단부에서, 펌프 챔버(50)는 예를 들어 슬롯형 셔터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는 배출구 밸브(52)를 포함한다. 또한, 펌프 챔버(50)는 펌프 챔버(50)의 작동 부피를 감소시켜, 유체가 배출구 밸브(52)를 통과하게 하는 측면 액추에이터(lateral actuator)(53)를 포함한다. 측면 액추에이터(53)는 디스펜서(D)의 길이 방향 축(X)에 대하여 수직하게 이동 가능하다. 이 움직임은 병진 또는 탄성 변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53)는 예를 들어 이중 주입 또는 오버 몰딩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펌프 챔버(50)의 가요성 벽의 형태이다. 따라서, 펌프(5)는 유체를 압력 하에 두기 위해 챔버의 이동 가능한 벽이 직접 작동된다는 점에서 가요성-다이어프램 펌프(flexible-diaphragm pump)로 지칭될 수 있다. 그 상단부에서, 펌프(5)는 디스펜서 엔드피스(6)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웰(mounting well)(55)을 형성한다. 장착 웰(55)에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돌출 프로파일 또는 리세스의 형태로 키잉 수단(keying means)(56)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웰(55)에서의 엔드피스(6)의 각도 배향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펜서 엔드피스(6)는 장착 벽(55) 내부에 결합되고, 유리하게는 스냅-체결되는, 장착 스터브(mounting stub)(65)를 포함한다. 장착 스터브(65)는 펌프(5) 상에 디스펜서 엔드피스(6)의 각도 배향을 부여하기 위해, 웰(well)(55)의 키잉 수단(56)에 완벽하게 끼워넣어지는 키잉 프로파일(keying profile)(66)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엔드피스는 펌프(5)의 일 측면에서만 연장되는 측면 액추에이터(53)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배향된다. 장착 스터브(65) 위에서, 디스펜서 엔드피스(6)는 어플리케이터 헤드(2)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을 갖는 삽입 부속물(63)을 형성한다. 이것은 초승달 형상과 유사하다. 삽입 부속물(63)의 측벽은 전체 높이에 걸쳐 비원형 실린더일 수 있다. 그 상단부에서, 부속물(63)은 디스펜서 오리피스(62)로 천공된 실질적으로 평면인 배출구 표면(61)을 형성하며, 도 2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속물(63) 및 장착 스터브(65)를 통과하는 배출구 덕트(60)의 출구를 형성한다.
디스펜서 엔드피스(6)가 펌프(5) 상에 장착되고 나면,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출구 밸브(51)가 배출구 덕트(60)와 직접 연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액추에이터(53)를 누름으로써, 펌프 챔버(50)의 작동 부피가 감소되고, 압력 하의 유체가 강제로 배출구 밸브(52)를 통과하게 되며, 이로부터 배출구 표면(61)에 위치한 디스펜서 오리피스(62)에 도달할 때까지 배출구 덕트(60)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측면 액추에이터(53)의 압력이 완화되면, 배출구 밸브(52)가 폐쇄되고 펌프 챔버(50)에서 생성된 흡입의 영향 하에서 입구 밸브(51)가 개방되어, 저장소(4)로부터 유체가 흡입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종동 피스톤이 펌프(5)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도 1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D)는 착탈식 단부 벽(7)을 제거한 후에, 하단부(17)를 통해 중공 본체(1)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디스펜서(D)는 디스펜서 엔드피스(6)가 어플리케이터 헤드(2)의 하우징(22) 내로 침투할 때까지 공간(1a)을 통해 축 방향으로 삽입된 다음 공간(1b)을 통해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D)를 각도를 이루게 배향시켜서, 삽입 부속물(63)이 하우징(22) 내부에 결합되도록 해야 한다. 각도 배향은 단일의 각도 배향이다. 따라서, 삽입 부속물(63)과 하우징(22) 사이의 협력은 각도 배향 또는 인덱서 수단을 형성하여, 특히 측면 액추에이터(53)가 푸셔(15)(또는 이를 대체할 수있는 창)를 향하여 배열되도록, 중공 수용 본체(1)에서 디스펜서(D)를 각도를 이루게 배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관측되어야 한다. 각도 배향 또는 인덱서 수단은 삽입 부속물(63)이 하우징(22)에 결합되는 것을 사용자가 느끼거나 감지할 때까지, 중공 본체(1)에서 디스펜서(D)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시행 착오에 의해 정확한 위치를 찾아야 한다.
따라서, 배출구 표면(61)이 어플리케이터 표면(S)과 수평을 이룸으로써 그것을 마무리할 때까지 부속물(63)을 하우징(22) 내부에 완전히 결합시킬 수 있다. 이것을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출구 표면(61)은 헤드(2)의 어플리케이터-표면 영역(21)과 완전히 플러싱되어 마무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디스펜서 오리피스(62)만이 어플리케이터 표면(S)의 연속성을 끊는다. 부속물(63)이 하우징(22)에 완전히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저장소(4)의 단부 벽과 접촉함으로써 그것을 상방으로 밀어내는 가요성 재료(64)를 갖는 착탈식 단부 벽(7)이 사용되어, 하우징(22)에서 밀봉을 확립한다. 이와 관련하여, 착탈식 단부 벽(7)이 제거될 경우 저장소(4)의 하단부가 중공 본체(1)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저장소(4)에 의해 디스펜서를 쉽게 잡을 수 있게 하여 중공 본체(1)로부터 그것을 제거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펜서(D)는 중공 본체(1) 및 헤드(2) 내부에서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하우징(22) 내부의 부속물(63)의 각도 배향이 중공 본체(1)의 푸셔(15)를 향하는 측면 액추에이터(53)를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또한 관찰되어야 한다.
이러한 설계로, 디스펜서(D)는 수용 유닛(R) 내부 및 어플리케이터 유닛(A)의 하우징(22) 내부에서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펜서(D) 및 어플리케이터 유닛(A)은 요구 사항들의 함수로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유체를 분배하는 특정 디스펜서가 특정 어플리케이터 유닛과 연결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D)에 의해 분배되는 유체는 어플리케이터 표면(S)에서만 디스펜서를 빠져나가므로, 디스펜서가 제거되고 나면 수용 유닛(R) 내부에 유체가 남아있지 않게 될 수 있음이 관찰되어야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표면(S)이 완전히 매끄럽고 연속적이기 때문에, 이것을 문지르거나 닦는 것에 의해 쉽게 세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펜서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미리 어플리케이터 표면(S)을 청소한 다음, 디스펜서를 제거하고 그것을 다른 디스펜서로 교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더러움이나 액체 침전물이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유체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가 종래 기술을 나타내지만, 배향 수단(22, 63)을 제외한 모든 특징 및 배치 방식이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변형된 형태로 재현될 수 있다.
디스펜서 엔드피스에서만 디스펜서(D)와 다른, 본 발명의 디스펜서(D')를 설명하기 위해 이하 도 4,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한다: 저장소(4) 및 펌프(5)는 도 1 내지 도 3의 저장소 및 펌프와 완전히 동일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디스펜서 엔드피스(6')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앵커 스터브(65)(엔드피스(6)의 장착 스터브와 동일한 것일 수 있음) 및 삽입 부속물(63')(엔드피스(6)의 삽입 부속물과는 상이함) 외에, 엔드피스(6')는 앵커 스터브(65)와 삽입 부속물(63') 사이에 위치된 배향 프로파일(64)을 포함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배향 프로파일(64)은 삽입 부속물(63')의 하부를 향한 연장부 주위에서 경사진 방식으로 연장되는 2개의 헬리컬 캠-램프(64a, 64b)를 포함한다. 2개의 헬리컬 캠-램프(64a, 64b)는 상단에서 서로 결합되어, 일종의 팁(tip)(64c)을 형성한다. 팁(64c)이 도면들에서는 다소 둥글지만, 각이 지거나 날카로워질 수도 있다. 헬리컬 캠-램프(64a, 64b)는 또한 앵커 스터브(65) 바로 위에 위치한 맞닿음 노치(64d)로 이어진다. 팁(64c)과 맞닿음 노치(64d)는 따라서 정반대의(diametrically-opposite) 방식으로 위치되지만, 팁(64c)이 삽입 부속물(63')에 인접하거나 가까이 있고 맞닿음 노치(64d)가 앵커 스터브(65)에 인접하거나 가까이 있기 때문에, 축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맞닿음 노치(64d)는 측면 액추에이터(53)와 정렬되도록 배향된다. 따라서 2개의 헬리컬 캠-램프(64a, 64b)는 삽입 부속물(63')의 베이스를 둘러싸는 일종의 경사진 돌출 칼라를 형성한다.
2개의 헬리컬 캠-램프에 위치되는 삽입 부속물(63') 및 그것의 베이스는 도 1 내지 3의 삽입 부속물(63)의 단면과 달리, 라운드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나타낸다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디스펜서의 배향은 더 이상 삽입 부속물에 의해 결정되지 않으며, 2개의 헬리컬 캠-램프, 팁(64c) 및 맞닿음 노치(64d)에 의해 결정된다.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디스펜서(D')가 수용 유닛(R)의 중공 본체(1')와 어떻게 협력하는지를 볼 수 있다. 본 도면들은 디스펜서(D')를 사시도로하고, 중공 본체를 단면으로 하고 어플리케이터 유닛(A)이 제거된 본 발명의 유체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다. 중공 본체(1')는 하우징(22')과 푸셔(15) 사이에 위치된 러그(lug)(16)를 포함하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러그(16)는 도 7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삽입 부속물(63')에 근접하거나 이것과 접촉하도록 방사상 내측으로 돌출한다. 삽입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자는 (하부 벽(7)을 제거한 후에) 개방 하단부를 통해서 중공 본체(1')에 디스펜서(D')를 삽입하기만하면 된다. 디스펜서(D')는 러그(16)가 배향 프로파일(64)과 접촉할 때까지, 임의의 회전 컴포넌트(turning component) 없이 중공 본체(1')에 축 방향으로 결합된다. 중공 본체(1')에서의 디스펜서(D')의 임의의 배향에 따라, 러그가 팁(64c) 또는 헬리컬 캠-램프들(64a 또는 64b) 중 하나와 접촉하거나, 특히, 러그(16)가 맞닿음 노치(64d)에 직접 수용되므로, 배향 프로파일(64)은 어떠한 목적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나, 러그(16)는 일반적으로 헬리컬 캠-램프(64a 또는 64b) 중 하나와 접촉하며, 이에 따라 디스펜서(D')가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러그는 맞닿음 노치(64d)와 레지스터에 도달할 때까지 램프(64a 또는 64b)를 따라 미끄러진다. 디스펜서(D')는 러그가 맞닿음 노치(64d)(도 7c)의 하부와 맞닿을 때까지 (회전 컴포넌트 없이) 축 방향 운동을 계속할 수 있다. 동시에, 삽입 부속물(63')은 하우징(22')에 결합된다. 삽입 부속물(63') 및 그 하우징(22')의 단면이 라운드형 또는 원형인 것을 고려하면, 러그(16)가 여전히 램프들 중 하나 위에서 슬라이딩하는 동안 삽입 부속물(63')은 하우징(2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a에서, 러그(16)는 실제로 램프(64b) 옆에서 팁(64c)과 접촉한다. 그런 다음 도 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램프(64b) 위에서 미끄러진다. 마지막으로, 도 7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치(64d)에 수용된다. 따라서, 측면 액추에이터(53)가 푸셔(15)를 향하도록 위치되고, 삽입 부속물(63')은 하우징(22')에 완전히 결합된다. 따라서 단부 벽(7)이 다시 제자리에 놓일 수 있다.
본 도면들은 디스펜서 엔드피스 상에 배향 프로파일이 형성되고 중공 본체 상에 러그가 형성되는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다면, 다음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상정할 수도 있다:
· 배향 프로파일이 중공 본체에 의해 형성되며(또는 중공 본체에 고정됨), 러그는 디스펜서에 의해 형성됨.
· 배향 프로파일에는 팁을 형성하고 맞닿음 노치로 이어지는 하나의 캠-램프만 포함됨. 따라서 단일 램프는 거의 360°상으로 확장됨.
· 캠-램프가 하우징(22) 상에 형성됨.
어떠한 실시예이든, 배향 프로파일은 러그(또는 그 등가물)와 협력하여 각도 배향 또는 인덱서 수단을 형성하여, 중공 수용 본체(1')에서 디스펜서(D')가 각도를 이루게 배향시킬 수 있으며, 특히 이에 따라 측면 액추에이터(53)가 푸셔(15)(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창)를 향하여 배열되고, 사용자는 임의의 특정 각도 위치를 찾을 필요가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 중공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 디스펜서(D')의 각도 배향이 무엇이든, 사용자는 그것을 인식하거나 심지어 알아차리지 못하고서도, 그것이 적절한 방식으로 자동 배향된다. 디스펜서(D')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단부 벽(7)을 제자리에 배치하면서 배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각도 배향 수단은 디스펜서로 하여금 그것이 결정된 각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수용 본체 내로 푸시될 때 디스펜서를 회전하게 한다.

Claims (10)

  1. 유체 디스펜서 및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어셈블리로서,
    · 중공 수용 본체(1')로서, 유체 어플리케이터 표면(S)이 상기 수용 본체(1)의 상단부(12)에 위치되어 피부와 같은 타겟과 접촉하고, 상기 유체 어플리케이터 표면(S)은 하우징(22')을 포함하는, 상기 중공 수용 본체(1'); 및
    · 저장소(4), 펌프(5) 및 유체 디스펜서 오리피스(62)를 형성하는 디스펜서 엔드피스(6')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서(D')로서, 상기 디스펜서(D')는, 상기 디스펜서 엔드피스(6')의 삽입 부속물(insertion appendage)(63')이 상기 하우징(22')에 착탈식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수용 본체(1')에 착탈식으로 수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 오리피스(62)가 상기 어플리케이터 표면(S)에서 직접 개방되고, 상기 디스펜서(D')는 상단부(12)로부터 떨어진 상기 수용 본체(1')의 개방된 하단부(17)를 통해 상기 수용 본체(1')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상기 유체 디스펜서(D')를 상기 수용 본체(1')에 대해 결정된 각도 위치로 가져오도록 각도 배향 수단(16, 64)이 제공되는, 상기 유체 디스펜서(D');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D')가 상기 수용 본체(1') 내로 푸시됨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D')가 결정된 각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각도 배향 수단(16, 64)이 상기 디스펜서(D')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배향 수단(16, 64)은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캠-램프(helical cam-ramp)(64a, 64b)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배향 수단(16, 64)은 디스펜서(D')를 회전시키는 상기 헬리컬 캠-램프(64a, 64b)를 따라 미끄러지는 러그(lug)(16)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배향 수단(16, 64)은, 팁(tip)(64c)에서 함께 결합되고 상기 결정된 각도 위치로 이어지는 2개의 헬리컬 캠-램프(64a, 64b)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속물(63')로부터 상류에서, 상기 디스펜서 엔드피스(6')는 팁(64c)에서 함께 결합되고 맞닿음 노치(64d)로 이어지는 2개의 헬리컬 캠-램프(64a, 64b)를 형성하며,
    상기 수용 본체(1')는, 상기 맞닿음 노치(64d)에 수용될 때까지 상기 2개의 헬리컬 캠-램프(64a, 64b) 중 하나를 따라 미끄러지는 고정 러그(16)를 형성하는,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17)를 폐쇄하도록 상기 수용 본체(1')와 협력하는 착탈식 바닥 벽(7)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식 바닥 벽(7)은 상기 디스펜서(D')를 상기 상단부(12)를 향해 밀어내어 상기 고정 러그(16)를 상기 맞닿음 노치(64d) 쪽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어셈블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D')는 상기 저장소(4), 펌프(5) 및 디스펜서 엔드피스(6')를 통과하는 길이 방향 축(X)을 규정하며, 상기 펌프(5)는 상기 길이 방향 축(X)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 액추에이터(lateral actuator)(53)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본체(1')는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53)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측면 푸셔(lateral pusher)(15)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 푸셔(15)를 측면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53)를 이동시킬 수 있는, 어셈블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속물(63')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제공하는, 어셈블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엔드피스(6')는 적어도 상기 어플리케이터 표면(S)에서 하우징(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외형을 제공하는 배출구 표면(61)을 형성하여, 상기 디스펜서 엔드피스(6')는 적어도 상기 어플리케이터 표면(S)에서 상기 하우징(22')을 밀봉 폐쇄하게 되는, 어셈블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본체(1')는, 상기 어플리케이터 표면(S)에서 광과 같은 전자기파, 진동, 및/또는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와 같은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활성화 모듈(3)을 하우징하는, 어셈블리.
KR1020197029651A 2017-03-09 2018-03-06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KR102511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1930 2017-03-09
FR1751930A FR3063609B1 (fr) 2017-03-09 2017-03-09 Ensembl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e produit fluide.
PCT/FR2018/050510 WO2018162837A1 (fr) 2017-03-09 2018-03-06 Ensembl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e produit flu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850A true KR20190121850A (ko) 2019-10-28
KR102511503B1 KR102511503B1 (ko) 2023-03-17

Family

ID=5863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651A KR102511503B1 (ko) 2017-03-09 2018-03-06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78101B2 (ko)
EP (1) EP3592175B1 (ko)
KR (1) KR102511503B1 (ko)
CN (1) CN110430780A (ko)
FR (1) FR3063609B1 (ko)
WO (1) WO20181628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48089B2 (en) 2005-12-30 2011-11-01 Edge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skin
WO2014151104A1 (en) 2013-03-15 2014-09-25 Edge Systems Ll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skin
WO2009088884A1 (en) 2008-01-04 2009-07-16 Edge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the skin
EP4324414A3 (en) 2014-12-23 2024-05-01 HydraFacial LLC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skin using a rollerball or a wicking member
USD1016615S1 (en) 2021-09-10 2024-03-05 Hydrafacial Llc Container for a skin treatmen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210A (ko) * 1997-11-21 2001-09-10 데이비드 엠 모이어 유체 도포기
US20070274764A1 (en) * 2006-05-26 2007-11-29 Youngtack Shim Capless writing tools and methods
KR20160149272A (ko) * 2014-05-07 2016-12-27 아프타르 프랑스 사 유체 제품을 분배 및 도포하기 위한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0041B1 (fr) * 1999-10-22 2001-12-07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liquide
FR2826841B1 (fr) * 2001-07-03 2003-09-26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notamment un rouge a levres liquide
AU2003246195A1 (en) * 2002-07-29 2004-02-16 Kose Corporation Stick-like cosmetic paint container
JP4219768B2 (ja) * 2003-08-20 2009-02-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塗布用具
FR2866819B1 (fr) * 2004-02-26 2006-03-31 Techpack Int Distributeur-applicateur typiquement a tete massante
KR100840555B1 (ko) * 2006-12-08 2008-06-23 권혁탁 진공 차단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FR2910076B1 (fr) * 2006-12-19 2009-03-06 Alfa Laval Moatti Soc Par Acti Moteur hydraulique
US8104984B2 (en) * 2007-12-14 2012-01-31 Tokiwa Corporation Filled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FR2953497B1 (fr) * 2009-12-09 2012-06-08 Valois Sas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8360998B2 (en) 2010-02-02 2013-01-29 Hct Asia Ltd. Applicator system with vibrating implement
FR2975978B1 (fr) * 2011-06-06 2013-06-28 Guerlain Sa Distributeur de produit liquide.
MX2017005190A (es) * 2014-10-24 2017-07-27 Unilever Nv Dispensador para una crema, un gel o una composicion solida blanda.
US20160135567A1 (en) * 2014-11-19 2016-05-19 Ejaz Kamboj Multiple cosmetic holder and applicator
FR3037490B1 (fr) * 2015-06-19 2017-07-21 Oreal Applicateur cosmetiq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210A (ko) * 1997-11-21 2001-09-10 데이비드 엠 모이어 유체 도포기
US20070274764A1 (en) * 2006-05-26 2007-11-29 Youngtack Shim Capless writing tools and methods
KR20160149272A (ko) * 2014-05-07 2016-12-27 아프타르 프랑스 사 유체 제품을 분배 및 도포하기 위한 조립체
US20170055672A1 (en) * 2014-05-07 2017-03-02 Aptar France Sas Assembly for dispensing and applying a fluid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430780A (zh) 2019-11-08
US20210282532A1 (en) 2021-09-16
KR102511503B1 (ko) 2023-03-17
FR3063609A1 (fr) 2018-09-14
US11278101B2 (en) 2022-03-22
FR3063609B1 (fr) 2019-03-29
EP3592175B1 (fr) 2021-05-05
WO2018162837A1 (fr) 2018-09-13
EP3592175A1 (fr)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1850A (ko)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KR102331154B1 (ko) 유체 제품을 분배 및 도포하기 위한 조립체
US10463143B2 (en) Cleaning appliance
US20180116774A1 (en) Cleaning appliance
US20180110322A1 (en) Cleaning appliance
HU221949B1 (hu) Billentyűs-szivattyús folyadékadagoló
EP2462833A2 (en) Portable electrically-operated liquid-cosmetic mist dispenser
JP4918096B2 (ja) 流体投与ポンプ
US20180116390A1 (en) Cleaning appliance
JP6651470B2 (ja) 流体製品ディスペンサー
JP2010520003A (ja) 液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生成物を射出する使い捨てデバイス
US5257726A (en) Dispenser for flowable media
WO2003041871A1 (en) Dispenser for dispensing a fluid, housing for such a dispenser, storage holder destined for placement therein and arrangement for the dosed pumping of a fluid from a fluid reservoir
AU2002343848A1 (en) Dispenser for dispensing a fluid, housing for such a dispenser, storage holder destined for placement therein and arrangement for the dosed pumping of a fluid from a fluid reservoir
JP5242677B2 (ja) 個人使用の機器のための補充パック
KR20180134989A (ko) 트리거식 분출기
US11850637B2 (en) Rotar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11376615B2 (en) Assembly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JP5575687B2 (ja) トリガー式噴出器
JP5554160B2 (ja) 塗布具付き注出器
JP2018531184A (ja) 分配ヘッド
JP2018531184A6 (ja) 分配ヘッド
KR101757413B1 (ko) 진동 파운데이션 장치
JP2012206768A (ja) トリガー式噴出器
CN114618701A (zh) 喷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