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272A - 유체 제품을 분배 및 도포하기 위한 조립체 - Google Patents

유체 제품을 분배 및 도포하기 위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272A
KR20160149272A KR1020167033495A KR20167033495A KR20160149272A KR 20160149272 A KR20160149272 A KR 20160149272A KR 1020167033495 A KR1020167033495 A KR 1020167033495A KR 20167033495 A KR20167033495 A KR 20167033495A KR 20160149272 A KR20160149272 A KR 20160149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dispenser
receiving body
fluid
surfac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1154B1 (ko
Inventor
프레데릭 뒤께
크리스토프 피에르
Original Assignee
아프타르 프랑스 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타르 프랑스 사 filed Critical 아프타르 프랑스 사
Publication of KR2016014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2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actuated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5Pen-like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중공형 수용 몸체(1);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의 상단부(12)에 장착되고 피부와 같은 목표물에 접촉되는 유체 도포기 표면부(S); 및 저장부(4), 펌프(5), 및 분배기 엔드피스(6)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D)로서,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6)는 유체 분배기 오리피스(62)가 외부로 개방된 유출구 표면(61)을 구획하는, 상기 유체 분배기(D);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제품을 분배 및 도포하기 위한 조립체{ASSEMBLY FOR DISPENSING AND APPLYING A FLUID PRODUCT}
본 발명은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fluid dispenser and applicator assembly)로서, 중공형 수용 몸체;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피부와 같은 목표물에 접촉되는 유체 도포기 표면부; 및 저장부, 펌프, 및 분배기 엔드피스(endpiece)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는 유체 분배기 오리피스(orifice)가 외부로 개방된 유출구 표면을 구획하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조립체는 유리하게는 파동(wave)들을 방출하여서 도포기 표면부로 이들을 전달하는 파동-생성기 모듈을 포함한다. 이로써, 이 조립체는 피부와 같은 목표물에 유체를 도포하여서 피부가 도포기 표면부를 통한 파동을 상기 유체 도포와 동시에, 이후에 또는 이전에 받게 할 수 있다. 당연히, 본 발명의 유리한 적용 분야는 화장품 분야이지만, 본 발명은 약품 분야에서도 적용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 이러한 타입의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를 기술하는 문헌 WO20013/121145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 조립체는 분배기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유출구 덕트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개구가 형성된. 도포기 표면부를 규정하는 도포기 헤드를 포함한다. 또한, 도포기 헤드는 약 660 마이크로미터의 파장을 갖는 적색 광을 발광하는 광 소스(LED)용 하우징을 포함한다. 분배기 조립체는 펌프가 그 내에 포함된 수용 몸체(reception body)를 포함한다. 또한, 몸체는 적색 광을 생성하는 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형성한다. 그의 하단 부분 내에서, 이 문헌의 조립체는 분리가능한 케이스를 포함하며, 이 케이스 내에 유체 저장부가 수용되며 이 저장부는 몸체 내에 포함된 펌프 상에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조립체의 오직 분리가능하고 교체가능한 부분은 그 케이스 내에 수용된 유체 저장부이다. 펌프가 몸체 내에 직접적으로 몰딩된 경우에는, 펌프를 몸체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또한, 도포기 표면부는 유출구 덕트 및 분배기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헤드 및 광소스용 수용 하우징에 의해서만 그 전체가 형성된다.
분배기 엔드피스가 제공된 저장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진동 도포기를 기술하는 문헌 US2011/0190672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케이스 상에 배치된 칼라(collar)가 분배기 엔드피스를 둘러싸는 진동 요소를 수용한다. 열적 저장 헤드가 진동 요소에 연결되어서 진동 요소가 진동하게 하며, 헤드는 케이스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헤드는 분배기 엔드피그가 외부로 개방된 도포기 표면부를 규정한다. 칼라는 진동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종방향 푸셔를 포함한다. 유체는 저장부를 짬(squeezing)으로써 분배된다. 펌프를 갖는 변형예에 대해 세부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분배기는 분해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따라서 단일체 조립체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들을 개선하는 것으로, 종래 기술의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에 비해서 더 모듈화되고, 더 깨끗하고, 더 저렴하며 그리고 다양한 파동 생성 기술들에 더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를 제공하며, 상기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는 중공형 수용 몸체;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피부와 같은 목표물에 접촉되는 유체 도포기 표면부; 및 저장부, 펌프, 및 분배기 엔드피스(endpiece)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는 유체 분배기 오리피스(orifice)가 외부로 개방된 유출구 표면을 구획하며, 상기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는, 상기 분배기가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 내에 분배기 엔드피스와 함께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며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는 하우징 내에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며, 그의 유출구 표면은 상기 도포기 표면부의 일부를 형성하며, 이로써 상기 분배기 오리피스는 상기 도포기 표면부 내에서 외부로 직접적으로 개방되며, 상기 분배기는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의 개방 하단부를 통해서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상기 개방 하단부는 상기 상단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유체가 도포기 표면부에 도달하기까지 오직 분배기 내측에서만 유동하고, 상기 도포기 표면부의 유출구 표면은 상기 도포기 표면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로써, 유체는 오직 분배기 및 도포기 표면부와만 접촉하고, 임의의 다른 표면 요소와는 접촉되지 않는다. 이러한 바는 문헌 WO20013/121145의 분배기 조립체에서는 적용되지 않으며, 이러한 문헌에서는 유체가 펌프를 떠나면 유체는 도포기 헤드에 의해서 형성된 유출구 덕트 및 수용 몸체의 섹션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설계에서는,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는 보다 깨끗한 상태가 되며 세정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 펌프, 및 분배기 엔드피스를 포함하는 전체 분배기는 수용 몸체 및 하우징 내에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이로써, 분배기 조립체 내에 임의의 미량의 유체도 남기지 않으면서, 분배기를 몸체로부터 분리하여서 이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바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가 도포기 표면부에 도달하기까지 유체는 오직 분배기 내측에서만 유동한다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단일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를 사용하여서, 몇몇 타입들의 유체가 단지 유체 분배기를 교체함으로써 분배될 수 있으며, 이는 유체가 남거나 유체가 서로 혼합되는 위험 없이 수행된다. 다른 유체 분배기를 그 내에 삽입하기 위해서 유체 분배기를 제거하기 이전에 사용자는 도포기 표면부를 적합하게 세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에서,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 및 상기 하우징은 단일 각도상 배향(single angular orientation)으로 상호 체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대응하는 단면들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상기 분배기는 상기 저장부, 상기 펌프, 및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를 통해서 연장하는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상기 펌프는 상기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수직으로(transversally) 이동가능한 측면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이로써, 조립체는 엄지에 의해서 측면 액추에이터를 누름으로써, 펜과 같이 파지 및 다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는 특정 배향을 가지며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는 측면 푸셔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푸셔는 상기 측면 푸셔를 상기 길이방향 축 X에 대해서 수직하게 누름으로써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를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 내에서의 상기 분배기의 각도상 배향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의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의 체결에 의해서 부여된다.
본 발명의 다른 매우 유리한 양태에서, 상기 도포기 표면부는 부분적으로 도포기 유닛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도포기 유닛은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도포기 헤드, 및 파동들을 방출하여서 파동들을 상기 도포기 표면부에 전달하는 파동-생성기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부분적으로 상기 수용 몸체 내에 수용되며 유리하게는 상기 도포기 표면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파동-생성기 모듈에 의해서 방출되는 파동들은 임의의 파동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서, 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자외선; 일반적으로 임의의 종류의 전자기파; 또는 진동 파들, 예를 들어서, 초음파; 또는 기계적 파동들(마사지); 등일 수 있다. 파동-생성기 모듈은 임의의 적합한 기법을 사용하여서, 예를 들어서, 스냅-체결, 접착 본딩, 억지 끼움, 오버몰딩, 접착 본딩 등에 의해서 도포기 헤드에 결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도포기 유닛은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 상 및 내에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며, 상기 모듈은 유리하게는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 내에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스냅 체결된다(snap-fastened). 이러한 설계를 사용하면, 도포기 헤드에 의해서 형성된 하우징 내측에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분배기 엔드피스를 체결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포기 유닛은 유체 분배기와 완전하게 독립적이다는 것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로써, 도포기 유닛을 유체 분배기의 기능으로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대응하는 파동-생성기 모듈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대응하는 타입들의 도포기 유닛들과 각기 결합되는 몇몇 상이한 타입들의 유체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고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매우 실용적인 특성에 따라서, 상기 유출구 표면은 상기 도포기 표면부와 같은 높이를 갖게 배치되며, 이로써 상기 도포기 표면부는 매끄러우며(smooth) 규칙적이며 연속적인 방식으로 완성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유출구 표면은 적어도 상기 도포기 표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윤곽을 가지며, 이로써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는 상기 하우징을 적어도 상기 도포기 표면부에서 기밀 방식으로 폐쇄한다. 이로써, 유출구 표면이 유체가 하우징 내로 스며들 가능성 없이 도포기 표면부와 완전하게 일체화된다. 이로써, 단지 도포기 표면부를 매우 간단하게 세정함으로써, 예를 들어서, 문지르거나 딱음으로써, 수용 몸체, 하우징 내에 또는 도포기 표면부 상에 임의의 미량의 유체도 남기지 않으면서, 유체 분배기를 조립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에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하단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와 협동하는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는 유리하게는 탄성 방식으로 작동하여서 상기 분배기를 상기 도포기 헤드를 향해서 밀어서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를 상기 하우징 내로 누르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가 제거된 후에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로부터 상기 저장부가 외부로 돌출되어서, 상기 저장부가 파지되게 하며(gripped) 상기 분배기가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로부터 제거되게 하도록, 상기 저장부는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 내로 들어간다(penetrate). 이로써, 분배기 엔드피스가 하우징 내에 밀봉되는 것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분배기가 용이하게 제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분배기가 안정된 방식으로 수용 몸체 내에서 유지되는 것도 역시 보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방식에서, 상기 조립체는 서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조립되는 3 개의 개별 유닛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하며, 상기 3 개의 개별 유닛들은,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에 의해서 형성되며 유리하게는 푸셔(15) 및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가 제공되는 수용 유닛; 상기 도포기 표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도포기 헤드 및 상기 파동-생성기 모듈을 포함하는 도포기 유닛; 및 상기 유체 분배기에 의해서 구성된 분배기 유닛이다. 상기 조립체는 모듈 방식, 용이한 세정 및 용이한 조립을 제공하며 이로써 저 비용의 조립체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상기 3 개의 개별 유닛들을 함께 조립하는 것의 결과이다. 유리하게는, 펌프는 푸셔 및 모듈 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조밀한 설계로 인해서, 조립체는 펌프, 푸셔 및 모듈이 모두 배열되는 라운드된 부분을 갖는 펜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유체가 분배기를 도포기 표면부에서만 떠나며, 이는 분배기가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는 때에 그리고 도포기 표면부가 파동-생성기 모듈을 또한 포함하는 도포기 유닛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때에 매우 보다 유리하다는 것에 기초한다. 조립체를 3 개의 개별 유닛들로 분리하는 것도 또한 유리한 특성인데, 그 이유는 분배기를 파동-생성기 모듈로부터 분리시키고, 이로써 이들이 상이한 공급자들에 의해서 설계 및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비한정적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서 이하에서 세부적으로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의 실질적으로 실물 크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단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섹션 라인 A-A 상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4는 위의 도면들에서의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과 유사하지만, 유체 분배기가 존재하지 않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의 실질적으로 실물 크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체 분배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유체 분배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서의 유체 분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는 다양한 도면들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는 펜 형상과 유사할 수 있는 길거나 가느다란 형상을 갖는다. 또한,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단면이 크게 변하기 때문에 그의 단면은 일정하지 않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그의 하단부 근처에서,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는 대체적으로 라운드형 또는 원형인 단면을 가지며, 대체적으로 상단부 근처에 위치한 섹션 라인 A-A에서,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는 달걀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도 3). 조립체의 상단면은 한 측면을 향해서 경사지거나 기울어진 도포기 표면부(S)를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보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이 조립체는 3 개의 주요 개별 유닛들, 즉 분배기 유닛(D), 수용 유닛(R), 및 도포기 유닛(A)을 포함한다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분배기 유닛(D)은 유체 분배기로서, 유리하게는 수용 유닛(R) 내측에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며, 상기 수용 유닛(R)은 중공형 내부를 갖는 일체형 수용 몸체(1)를 포함한다. 도포기 유닛(A)은 몸체(1) 상 및 내에, 유리하게는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로써, 2 개의 유닛들(D 및 A)은 각기 2 개의 반대편 단부들(17 및 12)로부터 몸체(1) 상 및 내에 바람직하게는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이는 본 발명의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의 전반적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 유닛(R)의 몸체(1)는 유닛들(A 및 D)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의 상단부 및 하단부(12, 17)가 개방된다. 하단부(17)의 내측은 유리하게는 스크루-체결에 의해서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7)를 수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는 몸체(1)의 하단부(17)의 피치(pitch)에 대응하는 피치를 갖는 나사산(72)을 형성하는 상단 부분을 갖는 원통형 측면 벽체(71) 및 하단 벽체(73)를 갖춘 소형 포트(pot) 형상을 갖는다. 그의 하단 벽체(73)의 상단 상에서,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7)에는 발포체(foam) 또는 엘라스토머일 수 있는 탄성 재료 피스(74)가 제공된다는 것이 관찰되어야 한다.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7)의 내측은 몸체(1)의 내측과 상향으로 연통하는 공간(70)을 형성하며, 몸체(1)의 내측은 자체적으로 수용 공간(1a)을 구획한다. 수용 공간(1a)을 넘어서, 몸체(1)의 내측은 분리 파티션(13)에 의해서 2 개의 구획부들(1b 및 1c)로 분할된다. 구획부(1b)는 공간(1a)으로부터 연장하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구획부(1c)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구획부(1)에서 몸체(1)는 그의 달걀 형상을 규정한다. 파티션(13)의 하단부는 이하에서 기술될 바와 같이 스냅-패스너 에지(snap-fastener edge)(14)를 형성한다.
구획부(1b)와 같은 높이에서, 몸체(1)에는 측면 푸셔(15)가 제공되며, 이 푸셔는 수용 몸체(1)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푸셔(15)는 순수하게 병진 이동하거나,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엘라스토머성 재료를 사용하여서 푸셔(15)를 수용 몸체(1) 상으로 몰딩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으로서, 몸체(1)와 완전하게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푸셔(15)를 고려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푸셔(15) 없이 오직 개구만을 갖는 것을 고려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분리 파티션(13)이 상단부(12) 근방으로 연장하는 것도 또한 관찰되어야 한다. 수용 몸체(1)는 단지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되거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포기 유닛(A)은 도포기 헤드(2) 및 파동-생성기 모듈(3)을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도 1 및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포기 헤드(2)는 예를 들어서, 초승달 형상과 같은,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단면을 갖는 원통형 튜브에 의해서 형성되는 축방향 하우징(22)을 포함한다. 하우징(22)은 도포기-표면 구역(21)에 상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포기-표면 구역은 이 실시예에서, 2 개의 개구들, 즉 하우징(22)의 입구(mouth)에 대응하는 및 모듈(3)을 위한 제 2 개구를 갖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듈(3)은 연속하면서 매끄러운 방식으로 헤드(2)의 도포기-표면 구역(21)을 완성하도록 헤드(2)의 대응하는 개구를 폐쇄하는 도포기-표면 섹션(31)을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모듈(3)은 도포기 헤드의 개구 내로 피팅되며, 이로써 모듈(3)의 도포기-표면 섹션(31)은 임의의 돌출 또는 함몰된 불연속부를 생성하지 않고서 헤드(2)의 도포기-표면 구역을 마무리한다. 이로써, 모듈(3) 및 헤드(2)를 함께 조립하는 것은 이 스테이지에서 하우징(22)의 입구에 의해서 형성되는 단일 개구를 갖는 도포기 표면부(S)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2에서, 도포기-표면 섹션(31)이 최대로 경사진 도포기 표면부(S)의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포기 헤드(2)는 또한 중공형 몸체(1)의 상단부(12) 내로 피팅되는 주변 스커트(peripheral skirt)(23)를 포함한다. 또한, 파동-생성기 모듈(3)은 수용 공간(1c) 내측에서 연장되며, 유리하게는 분리 파티션(13)의 하단 에지(14)와 협동하는데 적합한 스냅-패스너 프로파일(snap-fastener profile)(34)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포기 유닛은 중공형 몸체(1) 상 및 내에 완전하게 안정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파동-생성기 모듈(3)은 임의의 타입의 전자기적, 진동성 등의 파동 또는 방사선, 예를 들어서, 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자외선 광,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등, 또는 초음파 또는 기계적 진동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듈(3)은 또한 피부와 접촉할 시에 고온 또는 저온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 열 또는 저온(열적 파동들)을 생성할 수 있다.
분배기 유닛 또는 유체 분배기(D)는 도 6 내지 8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 저장부(4), 펌프(5)이며 분배기 엔드피스(6)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저장부(4)는 슬라이드 원통체(41)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 원통체 내에는 팔로워 피스톤(42)가 수용되며, 이 피스톤은 저장부로부터 유체가 추출되는 때에 이 원통체(41)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원통체(41)의 상단은 넥부(45)를 형성한다. 이러한 특정 저장부 대신에, 작동 공간이 변하지 않는 간단한 저장부 또는 플렉시블한 파우치(flexible pouch)를 갖는 저장부를 고려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펌프(5)는 펌프가 저장부(4)의 넥부(45) 상에 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패스너 링(54)을 포함한다. 펌프(5)는 펌프 챔버(50)를 포함하며, 이 챔버의 하단부에는, 예를 들어서, 슬롯을 구비한 셔터(slotted shutter)의 형태로 유입구 밸브(51)가 제공된다. 그의 상단부에서, 펌프 챔버(50)는 유출구 밸브(52)를 포함하며, 이 밸브도 예를 들어서, 역시 슬롯을 구비한 셔터의 형태로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펌프 챔버(50)는 측면 액추에이터(53)를 포함하며, 이 액추에이터는 펌프 챔버(50)의 작동 공간을 줄여서 유체를 유출구 밸브(52)를 통해서 밀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측면 액추에이터(53)는 분배기(D)의 길이방향 축 X에 수직하게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길이방향 운동은 병진 운동이거나 또는 탄성 변형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하는데 사용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53)는 예를 들어서, 이중사출성형 또는 오버몰딩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펌프 챔버(50)의 유연성 벽체의 형태로 존재한다. 이로써, 펌프(5)는 챔버의 이동가능한 벽체가 유체를 압력 하에 두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작동한다는 점에서, 유연성-다이아프그램 펌프로서 지칭될 수 있다. 그의 상단부에서, 펌프(5)는 분배기 엔드피스(6)를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 웰(mounting well)(56)을 형성한다. 이 장착 웰(56)에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서, 돌출 프로파일 또는 리세스의 형태로 된 키잉(keying) 수단(55)이 제공되며, 이 수단은 상기 장착 웰(56) 내에서의 엔드피스(6)의 각도상의 배향을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분배기 엔드피스(6)는 이로써 장착 스터브(65)를 포함하며, 이 스터브는 장착 웰(56) 내에 체결되는데, 유리하게는 스냅 체결된다. 장착 스터브(65)는 펌프(5) 상에서 분배기 엔드피스(6)의 각도상의 배향을 부여하도록, 장착 웰(45)의 키잉 수단(55) 내에 완전하게 피팅되는 키잉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엔드피스(6)는 언제나 펌프(5)의 오직 한 측면 상에서 연장하는 측면 액추에이터(53)에 대해서 동일한 방식으로 배향된다. 장착 스터브(65) 위에서, 분배기 엔드피스(6)는 도포기 헤드(2)에 의해서 형성된 하우징(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단면을 갖는 삽입 부속물(63)을 형성한다. 이 형상은 도 7에서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이는 초승달 형상과 유사하다. 삽입 부속물(63)의 측면 벽체는 그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비원형상의 실린더일 수 있다. 변형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 밀봉 비드들(sealing beads)이 제공되어서, 하우징(22) 내측에 기밀을 확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의 상단부에서, 삽입 부속물(63)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유출구 표면(61)을 형성하며, 이 표면(61)은 분배기 오리피스(62)를 갖게 천공되며, 이 오리피스는 삽입 부속물(63) 및 장착 스터브(65)를 통과하는 유출구 덕트(60)의 유출구를 형성하며, 이러한 바들은 도 2 및 6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단 분배기 엔드피스(6)가 펌프(5) 상에 장착되면, 유출구 밸브(51)는 유출구 덕트(60)와 직접적으로 연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로써, 측면 액추에이터(53)를 누름으로써, 펌프 챔버(50)의 작동 공간이 감소하며, 이로써 압력 하에 있는 유체는 유출구 밸브(52)를 통해서 밀리며, 이 밸브로부터 유체는 유출구 덕트(60)를 통해서 유동하여서 유출구 표면(61)에 위치한 분배기 오리피스(62)에 도달한다. 측면 액추에이터(53)를 누르는 압력이 해제되면, 유출구 밸브(52)는 폐쇄되며 유입구 밸브(51)가 펌프 챔버(50) 내에 생성된 흡입력으로 인해서 개방되며, 이로써 유체가 저장부(4)로부터 흡입되게 되며, 저장부 내에서는 팔로워 피스톤(42)이 펌프(5)를 향해서 이동한다.
도 4를 보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배기(D)의 분배기 유닛은,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7)를 제거한 후에, 그의 하단부(17)를 통해서 중공형 몸체(1) 내측으로 삽입된다. 분배기(D)는 이로써 공간(1a)를 통해서, 이어서 공간(1b)을 통해서, 그리고 분배기 엔드피스(6)가 도포기 헤드(2)의 하우징(22) 내로 투입되기까지,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배기(D)를 각도상 배향(angular orientation)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로써 그의 삽입 부속물(63)이 하우징(22) 내측에서 체결된다. 이러한 각도상 배향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각도상 배향(single angular orientation)이다. 이로써, 유출구 표면(61)을 마무리하도록 유출구 표면(61)이 도포기 표면부(S)과 같은 높이에 있기 되기까지 삽입 부속물(63)을 하우징(22) 내측으로 완전하게 체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바는 도 2에서 볼 수 있다. 유출구 표면(61)을 마무리하도록 유출구 표면(61)은 헤드(2)의 도포기-표면 구역(21)과 완전하게 동일한 높이가 된다. 마지막으로, 오직 분배기 오리피스(62) 만이 도포기 표면부(S)의 연속성을 파괴한다. 삽입 부속물(63)이 하우징(22) 내측에서 완전하게 체결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저장부(4)의 하단 벽체와 접촉하여서, 이를 상향으로 밀며 하우징(22)에서 기밀을 확립하는 유연성 재료(64)를 갖는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7)가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서,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7)가 제거되는 때에, 중공형 몸체(1)로부터 이를 제거하도록 그의 저장부(4)에 의해서 분배기를 쥐고 있는 것이 용이하게 되게, 저장부(4)의 하단부는 중공형 몸체(1)로부터 밖으로 돌출된다는 것이 또한 관찰되어야 한다. 이로써, 분배기(D)는 중공형 몸체(1) 및 헤드(2) 내측에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하우징(22) 내측에서의 삽입 부속물(63)의 부여된 각도상 배향은 중공형 몸체(1)의 푸셔(15)를 마주보게 측면 액추에이터(53)를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 또한 관찰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성을 도시하며, 여기서 상기 조립체는 달걀 형상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생성기 모듈(3)이 구획부(1c) 내측에 수용되며, 이 구획부는 종방향 푸셔(15)에 의해서 덮힌 그의 측면 액추에이터(53)를 갖는 펌프(5)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분리 파티션(13)에 의해서 구획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로써, 펌프(5)는 모듈(3) 및 푸셔(15) 간에서, 중공형 몸체(1) 내측에 배치된다는 것이 말해질 수 있다.
이러한 설계로, 도포기 유닛은 수용 유닛(R) 상 및 내에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또한, 분배기(D)의 분배기 유닛도 또한 수용 유닛(R) 내측에 그리고 도포기 유닛(A)의 하우징(22) 내측에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배기(D) 및 도포기 유닛은 필요하다면 의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특정 유체를 분배하는 특정 분배기가 특정 도포기 유닛과 연동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를 구성하기 위해서, 수용 유닛(R) 내에 2 개의 유닛들(A 및 D)을 장착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유닛들(A 및 D)을 교체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들 각각은 수용 유닛(R)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배기(D)에 의해서 분배된 유체가 도포기 표면부(S)에서만 분배기를 떠나며, 이로써 어떠한 유체도 일단 분배기가 제거되면 수용 유닛(R) 내측에 남지 않게 되는 것도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또한, 도포기 표면부(S)이 완전하게 연속적이며 매끄럽기 때문에, 이 표면은 문지르거나 닦음으로써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분배기를 바꾸기 원하면, 사용자가 미리 도포기 표면부(S)를 세정하고 다음에 분배기를 제거하고 이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어떠한 오염 또는 유체 퇴적도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하는데 사용된 실시예에서, 파동-생성기 모듈(3)은 도포기-표면 섹션(31)을 형성한다. 이는 단지 특정한 비한정적 실시예인데, 그 이유는 파동-생성기 모듈(3)이 도포기 표면부(S)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고서, 파동-생성기 모듈(3)을 제조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시적으로, 모듈(3)은 도포기 표면부(S) 바로 아래의 도포기 헤드(2)와 연동되며, 이로써 상기 도포기 표면부은 파동들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 수단 역할을 한다.
하우징(22) 내에 조립될 때를 제외하고, 분배기(D) 및 도포기 유닛(A) 간의 완전한 독립은, 이 2 개의 유닛들을 완전하게 분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이들은 완전하게 상이한 공급자들, 즉, 분배기의 제조 시에 특정된 공급자 및 전자적 파동-생성기 모듈들의 설계 시에 특정된 공급자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깨끗한 상태 및 세정동작이 용이하게 보장되는 3 개의 개별 유닛들을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가 획득된다.

Claims (12)

  1.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로서,
    중공형 수용 몸체(1);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의 상단부(12)에 장착되고 피부와 같은 목표물에 접촉되는 유체 도포기 표면부(S); 및
    저장부(4), 펌프(5), 및 유체 분배기 오리피스(62)가 외부로 개방된 유출구 표면(61)을 구획하는 분배기 엔드피스(6)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D);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는,
    분배기(D)가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 내에 분배기 엔드피스(6)와 함께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고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6)는 하우징(22) 내에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며, 유출구 표면(61)은 상기 도포기 표면부(S)의 일부를 형성하여, 상기 분배기 오리피스(62)는 상기 도포기 표면부(S) 내에서 외부로 직접적으로 개방되며, 상기 분배기(D)는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의 개방 하단부(17)를 통해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상기 개방 하단부(17)는 상기 상단부(12)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6) 및 상기 하우징(22)은 단일 각도상 배향으로 상호 체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대응하는 단면들을 갖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D)는 상기 저장부(4), 상기 펌프(5), 및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6)를 통해서 연장하는 길이방향 축 X를 가지며, 상기 펌프(5)는 상기 길이방향 축 X에 대해서 수직으로(transversally) 이동가능한 측면 액추에이터(53)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6)는 특정 배향을 가지며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53)에 대해서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는 측면 푸셔(15)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푸셔는 상기 측면 푸셔(15)를 길이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53)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측면 액추에이터(53)를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 내에서의 상기 분배기(D)의 각도상 배향은 상기 하우징(22) 내에서의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6)의 체결에 의해서 부여되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표면(61)은 적어도 상기 도포기 표면부(S)에서 상기 하우징(2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윤곽(outline)을 가지고,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6)는 상기 하우징(22)을 적어도 상기 도포기 표면부(S)에서 기밀 방식으로 폐쇄하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 표면부(S)는 부분적으로 도포기 유닛(A)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도포기 유닛은 상기 하우징(22)을 형성하는 도포기 헤드(2), 및 파동들을 방출하여서 파동들을 상기 도포기 표면부(S)에 전달하는 파동-생성기 모듈(3)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3)은 부분적으로 상기 수용 몸체(1) 내에 수용되며 유리하게는 상기 도포기 표면부(S)의 일부를 형성하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기 유닛(A)은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 위 및 안에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수용되며, 상기 모듈(3)은 유리하게는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 안에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스냅 체결되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표면(61)은 상기 도포기 표면부(S)와 같은 높이를 갖게 배치되어, 상기 도포기 표면부(S)는 매끄러우며 규칙적이며 연속적인 방식으로 완성되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17)를 폐쇄하도록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와 협동하는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7)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7)는 유리하게는 탄성 방식으로 작동하여 상기 분배기(D)를 상기 도포기 헤드(2)를 향해서 밀어서 상기 분배기 엔드피스(6)를 상기 하우징(22) 내로 가압하는,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7)가 제거된 후에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로부터 상기 저장부(4)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저장부(4)가 파지되게 하며 상기 분배기(D)가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로부터 제거되게 하도록, 상기 저장부(4)는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7) 내로 들어가는(penetrating),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조립되는 3 개의 개별 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3 개의 개별 유닛들은,
    상기 중공형 수용 몸체(1)에 의해서 형성되며 유리하게는 푸셔(15) 및 분리가능한 하단 벽체(7)가 제공되는 수용 유닛(R);
    상기 도포기 표면부(S)를 형성하며 상기 도포기 헤드(2) 및 상기 파동-생성기 모듈(3)을 포함하는 도포기 유닛(A); 및
    상기 유체 분배기에 의해서 구성된 분배기 유닛(D);인,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펌프(5)가 상기 푸셔(15) 및 상기 파동-생성기 모듈(3) 간에 배치된, 유체 분배기 및 도포기 조립체.
KR1020167033495A 2014-05-07 2015-05-05 유체 제품을 분배 및 도포하기 위한 조립체 KR102331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4114 2014-05-07
FR1454114A FR3020748B1 (fr) 2014-05-07 2014-05-07 Ensembl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e produit fluide
PCT/FR2015/051185 WO2015170048A1 (fr) 2014-05-07 2015-05-05 Ensembl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e produit flu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272A true KR20160149272A (ko) 2016-12-27
KR102331154B1 KR102331154B1 (ko) 2021-11-26

Family

ID=5122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495A KR102331154B1 (ko) 2014-05-07 2015-05-05 유체 제품을 분배 및 도포하기 위한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94729B2 (ko)
EP (1) EP3139790B1 (ko)
JP (1) JP6633546B2 (ko)
KR (1) KR102331154B1 (ko)
CN (1) CN106572733B (ko)
CA (1) CA2948099A1 (ko)
FR (1) FR3020748B1 (ko)
WO (1) WO20151700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850A (ko) * 2017-03-09 2019-10-28 아프타르 프랑스 사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9880B1 (fr) 2016-04-08 2020-10-23 Aptar France Sas Ensembl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D846391S1 (en) * 2016-05-02 2019-04-23 Aptar France Sas Dispenser
FR3052989B1 (fr) * 2016-06-27 2020-02-21 Aptar France Sas Ensembl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e produit fluide
FR3063608B1 (fr) * 2017-03-09 2021-10-29 Aptar France Sas Tete de distribution et d'application de produit fluide.
CN107281639B (zh) * 2017-07-12 2023-06-20 深圳半岛医疗有限公司 治疗敏感性肌肤的手柄及设备
FR3069465B1 (fr) 2017-07-25 2019-08-09 Aptar France Sas Ensembl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FR3073131B1 (fr) * 2017-11-06 2023-01-13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applicateur de produit fluide.
FR3083146B1 (fr) * 2018-06-29 2020-06-19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US11653739B1 (en) * 2022-01-31 2023-05-23 APR Beauty Group, Inc. Applicator head for a fluid produ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379A (ko) * 2002-02-13 2004-10-08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로션 도포기를 구비한 제모 장치
KR20090018413A (ko) * 2007-08-17 2009-02-20 정규선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WO2013121145A1 (fr) * 2012-02-17 2013-08-22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US20140234010A1 (en) * 2013-02-19 2014-08-21 Hct Asia Ltd. Applicator device or dispenser with stone tip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8384B1 (en) * 1996-08-29 2004-12-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appliance for personal body care
US7226231B2 (en) * 2003-07-17 2007-06-05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Piston-type dispenser with one-way valve for storing and dispensing metered amounts of substances
WO2006037112A2 (en) * 2004-09-27 2006-04-06 Medical Instill Technologies, Inc. Laterally-actuated dispenser with one- way valve for storing and dispensing metered amounts of substances
US7883287B2 (en) * 2007-05-10 2011-02-08 HCT Asia, Ltd Dispenser with thermal storage tip
CN201197644Y (zh) * 2008-04-08 2009-02-25 陕西科技大学 暖水瓶
KR100900788B1 (ko) * 2008-09-24 2009-06-02 (주)연우 이온도입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US8360998B2 (en) * 2010-02-02 2013-01-29 Hct Asia Ltd. Applicator system with vibrating implement
WO2013185302A1 (zh) * 2012-06-13 2013-12-19 北京低碳清洁能源研究所 一种交联聚乙烯组合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379A (ko) * 2002-02-13 2004-10-08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로션 도포기를 구비한 제모 장치
KR20090018413A (ko) * 2007-08-17 2009-02-20 정규선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WO2013121145A1 (fr) * 2012-02-17 2013-08-22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US20140234010A1 (en) * 2013-02-19 2014-08-21 Hct Asia Ltd. Applicator device or dispenser with stone t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1850A (ko) * 2017-03-09 2019-10-28 아프타르 프랑스 사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55672A1 (en) 2017-03-02
FR3020748B1 (fr) 2020-10-30
FR3020748A1 (fr) 2015-11-13
KR102331154B1 (ko) 2021-11-26
US10194729B2 (en) 2019-02-05
JP2017518097A (ja) 2017-07-06
WO2015170048A1 (fr) 2015-11-12
EP3139790B1 (fr) 2018-04-25
CA2948099A1 (en) 2015-11-12
EP3139790A1 (fr) 2017-03-15
JP6633546B2 (ja) 2020-01-22
CN106572733B (zh) 2019-11-15
CN106572733A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9272A (ko) 유체 제품을 분배 및 도포하기 위한 조립체
KR102511503B1 (ko) 유체 제품 분배 및 도포 어셈블리
KR101880545B1 (ko) 분무기
CA2465887C (en) Foam dispenser, housing and storage holder therefor
KR102222171B1 (ko) 분사 및 도포 헤드
MXPA02009058A (es) Envases para distribuir dos liquidos.
AU2005240264A1 (en) Spray head for atomizing a medium
TW201313172A (zh) 模組式泵
JP2017525627A (ja) 流体製品ディスペンサー
CN111032231A (zh) 用于分配流体的设备、用于设备的盒、制造方法和灌注方法
CN109564123A (zh) 泵压头和计量装置
US9834327B2 (en) Device for refilling a container
CN111182976B (zh) 分配和施加头部
KR20090018413A (ko)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US10267550B2 (en) Tray for ice making machine, ice making machine comprising same, and refrigerator comprising ice making machine
KR101923389B1 (ko) 유체 디스펜서
US11376615B2 (en) Assembly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US11207673B2 (en) Fluid-release unit and manual metering device with at least one fluid-release unit
KR102671523B1 (ko) 추가의 매체를 위한 추가 저장소를 갖는,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분배기
JP2016539867A (ja) 容器に適用されるように構成された流体を分配するための装置及び関連した分配システム
JP5554160B2 (ja) 塗布具付き注出器
RU280115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выдачи продукта
EP3285614B1 (en) Neat hand-washing system
JP2022086925A (ja) 定量噴出容器
JP2020524036A (ja) 密閉力が向上したオーバキャップを備えた化粧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