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771A -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얀 - Google Patents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771A
KR20010082771A KR1020017008180A KR20017008180A KR20010082771A KR 20010082771 A KR20010082771 A KR 20010082771A KR 1020017008180 A KR1020017008180 A KR 1020017008180A KR 20017008180 A KR20017008180 A KR 20017008180A KR 20010082771 A KR20010082771 A KR 20010082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tex
yar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gut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4355B1 (ko
Inventor
오우에가즈또
야마자끼히로시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카즈모토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카즈모토,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카즈모토
Publication of KR20010082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4Yarns or threads for use in sports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0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02Strings; String substitutes; Products applied on strings, e.g. for protection against humidity or wear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Strands characterised by a value or range of the dimension give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 D07B2201/2025Strands twisted characterised by a value or range of the pitch parameter give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07B2205/201Polyolef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10T428/2969Polyamide, polyimide or polye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특히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2000 ∼ 22000 dtex 의 얀.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7000 ∼ 22000 dtex 의 얀으로 이루어진 거트 및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2000 ∼ 14000 dtex 의 얀으로 이루어진 악기용 현.
본 발명의 얀은 강도, 탄성 회복율, 응력 유지율이 높고, 내수성, 유연성, 섬유의 균질성이 우수하다. 또, 본 발명의 거트는 테니스 등의 라켓의 프레임에 강하게 당겨 설치할 수 있으며, 당겼을 때의 탄발성이 높고 장시간 탄발성을 유지하며, 또한 내충격성, 내구성, 내수성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악기용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 습온 변화에 대하여 음정의 변화가 적으며, 조현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얀{YARN COMPRISING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저탄성율로부터 유래하는 소프트한 감촉, 우수한 탄성 회복율이란 나일론 섬유와 유사한 성질과, 워시 앤드 웨어성, 수치 안정성, 내황변성(耐黃變性)이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유사한 성질을 함께 가진 획기적인 섬유이지만,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원료인 트리메틸렌글리콜이 고가라서, 지금까지 상업적 규모로의 생산은 거의 실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수년 전부터 공업적으로 저렴하게 트리메틸렌글리콜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현재 그 특징을 살려서 의료 (衣料), 카페트 등으로의 상품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의료 이외의 분야로의 응용은 거의 실시되지 않았다.
또,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제직이나 짜기를 실시하지 않고 합사하여 일체화한 얀을 사용하여 의료 이외의 분야에서 상품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예가 없으며,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고 일체화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2000 ∼ 22000 dtex 의 얀은 없었다.
종래, 공지 기술에서는 본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WO 99/11845 호 명세서에 단사섬도 0.00011 ∼ 11 dtex 이며, 총 섬도가 5.6 ∼ 1100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 섬유의 사용 방법은 이 섬유를 제직이나 짜기를 실시하여 포백 (布帛) 상태로 하여 상품으로 하는 것에 있으며, 본 발명과 같이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고 일체화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2000 ∼ 22000 dtex 의 얀을 제직이나 짜기를 실시하지 않고, 얀을 그대로 또는 얀을 접착 및/또는 피복하여 거트나 악기용 현 등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멀티필라멘트 섬유는 단사섬도가 56 dtex 를 초과하는 필라멘트를 합사하여, 총 섬도 2000 ∼ 22000 dtex 의 얀으로 한 것에 비하여, 강도, 탄성 회복율, 응력 유지율이 높고, 내수성, 유연성, 섬유의 균질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얀을 그대로 또는 얀을 접착 및/또는 피복하여 사용되는 용도에 적합하며, 특히 거트나 악기용 현에 적합하다.
종래 테니스나 배드민턴 등의 라켓의 거트에는 나일론 섬유 등의 합성 섬유,소나 양의 장, 고래 힘줄 등의 동물 힘줄을 적당히 꼬아서 수지에 의해 코팅한 천연 거트가 사용되고 있다. 이 천연 거트는 고장력으로 팽팽하게 당겨 설치해도 추가로 적당한 신장이 있기 때문에, 탄발성, 컨트롤성, 타구감, 홀드감은 양호하다고 일컬어지고 있지만, 내구성, 내수성이 낮고, 고가라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하여 합성 섬유제의 거트는 내구성, 내수성은 양호하지만, 거트의 팽팽함을 강하게 하고 반발성을 좋게 한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한 경우, 서서히 거트가 신장되어, 거트의 장력이 저하되고 탄발성(彈發性)이 낮아져 타구감, 홀드감이 나빠지며 거트가 절단되기 전이라도 종종 거트를 바꾸어 끼울 필요가 있었다. 나일론 섬유를 사용한 거트는 공정 수분율이 높고, 습윤 상태가 되면 추가로 신장되는 특성이 있으며, 거트가 젖은 경우에는 거트 장력의 느슨함이 커져, 탄발성이 저하되며, 타구감, 홀드감이 나빠진다. 또, 아라미드 섬유 등의 고탄성율 섬유는 파단 강도가 높고 저신도이기 때문에, 거트를 강하게 당겨 설치해도 시간의 경과시 장력이 변동하는 것은 적지만, 볼이 맞았을 때에 거트가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탄발성이 낮으며, 또한 충격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262862 호에는 657 데니어(denier)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모노필라멘트 얀을 라켓의 거트로서 사용하면, 나일론보다도 파단시의 영율이 낮고, 신장이 큰 특성이 라켓의 거트로서 매우 적합하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라켓용 거트를 구성하려면 다중 길이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모노필라멘트를 폴리머 피복을 사용하여 1 개로 결합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의 거트로서의 물성이나 성능의 기재는 없다. 또, 멀티필라멘트 및 거트로서의 총 섬도의 기재는 없다. 또한, 개시되어 있는 모노필라멘트의 데니어는 657 데니어로 굵고, 이 굵기의 것을 다수개 사용하여 거트로 한 경우, 초기의 탄발성은 양호하지만, 시간의 경과시 탄발성이 저하된다. 또한, 타구감, 컨트롤성, 내충격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같은 현상에서 라켓의 프레임에 강하게 당겨 설치할 수 있으며, 탄발성이 양호하며, 장시간 양호한 탄발성을 유지하며, 또한 내충격성, 컨트롤성이 우수한 고내구성 거트의 출현이 요망되었다.
또, 악기용 현에 관해서는 종래 악기용 현은 금속현, 나일론현, 천연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나일론현은 악기에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여 조율해도 시간의 경과시 현이 느슨해지기 쉽고, 조율해도 단시간에 재조율이 필요하여 안정된 음정이 되는 데에 매우 시간이 걸렸다. 또, 나일론현은 흡습성이 있기 때문에 습도 변화에 의해 현이 느슨해지거나 팽팽해지거나 하기 때문에 음정이 변화하여 반드시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 천연현은 나일론에 비하면 일정한 저습도 하에서는 음정의 경시적 변화는 적지만, 천연성이기 때문에 섬유 직경의 균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국부적인 응력 집중에 의해 끊어지기 쉽고, 또 고가라는 문제가 있었다.
이 같은 현상으로부터 시간의 경과시 변화, 습도 변화에 대하여 음정의 변화가 적은 조현성이 우수한 악기용 현의 출현이 요망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5-262862 호에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모노필라멘트의 용도로서 기타용의 섬유가 기재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제조 방법, 구성, 효과에 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섬유, 특히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2000 ∼ 22000 dtex 의 얀, 이 얀을 사용한 거트(gut) 및 악기용 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특히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2000 ∼ 22000 dtex 의 얀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얀은 강도, 탄성 회복율, 응력 유지율이 높고, 내수성, 유연성, 섬유의 균질성이 우수하다는 특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얀을 사용한 거트, 악기용 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목적은 테니스 등의 라켓의 프레임에 강하게 당겨 설치할 수 있으며, 당겼을 때의 탄발성이 높고, 장시간 탄발성을 유지하며, 또한 내충격성, 내구성, 내수성이 우수한 거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목적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 습도 변화에 대하여 음정 변화가 적은 조현성이 우수한 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총 섬도가 2000 ∼ 22000 dtex 의 얀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특히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총 섬도가 2000 ∼ 22000 dtex 의 얀이며,
또,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7000 ∼ 22000 dtex 의 얀으로 이루어진 거트, 및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2000 ∼ 14000 dtex 의 얀으로 이루어진 악기용 현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섬유란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된 반복 단위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말하며, 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약 5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의 것을 말한다. 따라서, 제 3 성분으로서 다른 산성분 및/또는 글리콜 성분의 합계량이 약 50 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몰%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와 트리메틸렌글리콜 또는 그 기능적 유도체를 촉매의 존재 하에서 적당한 반응 조건 하에 결합시킴으로써 합성된다. 이 합성 과정에서 적당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제 3 성분을 첨가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해도 되며, 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과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별개로 합성한 후, 블렌드하거나 복합 방사 (외피/심, 사이드 바이 사이드 등) 해도 된다.
첨가하는 제 3 성분으로서는 지방족디카르복실산 (옥살산, 아디핀산 등), 지환족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 방향족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소듐술포이소프탈산 등), 지방족글리콜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 지환족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 방향족을 함유하는 지방족글리콜 (1,4-비스(β-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 폴리에테르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 지방족옥시카르복실산 (ω-옥시카프론산 등), 방향족옥시카르복실산 (p-옥시벤조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 1 개 또는 3 개 이상의 에스테르 형성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벤조산 등, 글리세린 등) 도 중합체가 실질적으로 선형인 범위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티탄 등의 광택소거제, 인산 등의 안정제, 아세트산코발트 등의 청색물들임제, 히드록시벤조페논 유도체 등의 자외선 흡수제, 활석 등의 결정화핵제, 아에로딜 등의 이활제(易滑劑), 힌더드페놀 유도체 등의 항산화제, 난연제, 제전제, 안료, 형광증백제, 적외선흡수제, 소포제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방사에 관해서는 1500 m/분 정도의 권취 속도로 연신되지 않은 섬유를 얻은 후, 2 ∼ 3.5 배 정도로 늘려 꼬는 (延撚) 하는 통상법, 방사 - 늘려 꼬는 공정을 직결시킨 직연법 (스핀드로법), 권취 속도 5000 m/분 이상의 고속 방사법 (스핀테이크업법), 방사 후 일단 수욕에서 냉각한 후, 연신하는 방법 등 어느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얻어진 단사섬도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총 섬도가 2000 ∼ 22000 dtex 의 얀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의 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의 단사섬도는 1 ∼ 56 dtex 이며, 바람직하게는 5.6 ∼ 44 dtex 이다. 이 범위내에서는 얻어지는 얀은 강도, 탄성 회복율, 응력 유지율이 높고, 유연하며 또한 균질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단사섬도가 1 dtex 미만에서는 방사를 늘려 꼬는 때에 단사 절단이 일어나기 쉽고, 강도 저하가 일어나며, 얀의 마모 강도가 낮아진다. 한편, 단섬유섬도가 56 dtex 를 초과하면 멀티필라멘트의 냉각이 불충분해져 멀티필라멘트끼리가 융착하는 일이 있어, 섬유의 균질성이 나빠진다. 또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단사섬도가 56 dtex 를 초과하면 냉각이 불충분해져 섬유 단면 방향의 결정 배향성이 불균일해진다. 즉, 섬유 단면 외층부는 결정 배향도가 높지만, 중심부는 결정 배향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섬유의 강도나 탄성 회복율이 낮아져 얀의 응력 유지율이 저하된다.
또, 본 발명에서 합사 전의 총 섬도는 56 ∼ 560 dtex 가 바람직하다. 이 합사 전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의 물성은 인장 강도는 2.6 cN (센치뉴턴)/ dtex 이상, 바람직하게는 3.3 cN/dtex 이상이다. 또, 파단 신도(破斷伸度)는 25 % 이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50 % 이며, 파단 신도가 60 % 를 초과하면 탄성 회복율이 낮아지는 경향에 있다. 탄성율은 18 ∼ 36 cN/dtex 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30 cN/dtex 이며, 20 % 신장시의 탄성 회복율은 60 ∼ 99 % 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99 % 이다. 또, 합사하기 전의 멀티필라멘트의 품질을 평가하는 파라미터로서는 예를 들어 U % 를 사용할 수 있다. U % 는 섬유 단면의 길이 방향의 균질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며, 바람직한 U % 는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이다.
본 발명의 얀은 이 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2000 ∼ 22000 dtex 의 얀이다. 2000 dtex 미만에서는 얀의 강도나 마모 강도가 낮기 때문에 거트나 현 등에는 사용할 수 없다. 또, 22000 dtex 를 초과하면 섬유의 직경이 너무 굵어져 합사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특히 거트나 현에는 부적합하다. 또, 총 섬도가 56 ∼ 560 dtex 의 멀티필라멘트를 복수개 합사하여 총 섬도를 2000 ∼ 22000 dtex 의 얀으로 함으로써 섬유의 단면 형상이 원형에 가까운 것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섬유단면 방향의 물성이 보다 균질해진다. 특히, 거트나 악기용 현에서는 이 원형 단면 형상과 섬유단면 방향의 물성의 균질성이 요구되고 있어 적합한 것이 된다.
합사된 얀의 물성은 인장 강도가 50 ∼ 1000 N (뉴턴), 바람직하게는 60 ∼ 800 N 이다. 또, 파단 신도는 25 ∼ 80 %, 바람직하게는 35 ∼ 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50 % 이다. 20 % 신장시의 탄성 회복율은 60 ∼ 99 %, 바람직하게는 70 ∼ 99 %,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99 % 를 나타내는 얀이다. 또, 49.0 N 의 응력에서의 응력 유지율은 60 %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이다.
멀티필라멘트 섬유의 합사 방법은 무연(無撚) 상태에서 정렬시켜 합사하는방법, 인터레이스로 합사하는 방법, 인터레이스로 합사한 멀티필라멘트끼리 수개 ∼ 수십개를 다시 꼬임을 가하여(加撚) 합사하는 방법, 무연 합사한 멀티필라멘트를 합연하여 합사하는 방법, 합연 합사한 멀티필라멘트끼리 수개 ∼ 수십개를 다시 합연하여 합사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무연(無撚)섬유, 편연(片撚)섬유, 제연(諸撚)섬유, 구연(駒撚)섬유, 벽연(壁撚)섬유로서 사용된다. 또, 연수(撚數)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500 T/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1000 T/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500 T/m 이다. 10 T/m 미만에서는 멀티필라멘트의 수속성을 얻기 힘들어 단사가 흩어져 취급하기 어려워진다. 또, 1500 T/m 을 초과하면 강도 저하가 커진다. 이들을 연사하여 합사하는 기계는 이탈리 연사기, 업트위스터, 더블트위스터, 커버링머신, 합연기, 링연사기, 복합연사기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얀은 거트, 악기용 현 이외에 예를 들어 로프, 줄, 산업용 봉사 등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는 합사 전의 원사 또는 합사한 얀을 접착 처리 전 또는 접착 처리시에, 다시 길이 고정 (定長) 또는 신장 하에서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얀의 결정 배향이 촉진되며, 탄성 회복율과 응력 유지율이 향상되며, 거트나 현에 사용한 경우에 당겨 설치된 장력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저하가 적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50 ∼ 200 ℃, 바람직하게는 160 ∼ 180 ℃ 의 범위에서 실시된다. 150 ℃ 미만에서는 결정 배향의 향상 효과가 불충분하며, 200 ℃ 를초과하면 원사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 처리 시간은 통상 20 초 ∼ 2 분간이 바람직하다. 또, 길이 고정 또는 신장 열처리에서의 신장율은 0 ∼ 10 %, 바람직하게는 0 ∼ 5 % 이다. 한편, 이완 상태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면 응력 유지율이 저하되는 경향에 있다. 또, 얀의 파단 신도가 60 % 를 초과하는 경우는, 이 길이 고정 또는 신장 열처리에 의해 30 ∼ 60 %, 바람직하게는 40 ∼ 50 % 로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거트에 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단사섬도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7000 ∼ 22000 dtex 의 얀을 거트로서 사용함으로써, 종래로부터의 거트가 갖는 결점을 해결하고, 고탄발성, 내충격성, 고내구성의 거트를 얻기에 성공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거트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거트에 비하여 탄성 회복율이 높기 때문에, 거트에 강하게 당겨 설치하여 얀에 장력이 걸린 상태, 즉 얀가 5 ∼ 25 % 신장되었을 때의 탄성 회복율이 높기 때문에 초기의 응력 유지율이 높으며,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거트의 당겨 설치된 장력의 변동이 적다. 또, 초기 탄발성이 높음과 동시에 장시간 고탄발성을 유지하며, 또한 볼을 타구하였을 때는 적당한 신장과 우수한 탄성 회복성에 의해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홀드감, 컨트롤성도 좋은 거트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 얀의 물성은인장 강도는 230N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N 이상이며, 인장 강도가 230 N 미만인 경우는 거트로 한 경우의 파단 강도가 낮으며, 파단 강력을 높이는 목적으로 22000 dtex 를 초과하는 총 섬도로 하면, 거트의 직경이 굵어져, 탄발성, 타구감, 컨트롤성, 내충격성이 나빠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 파단 신도는 25 %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 50 % 이다. 파단 신도가 25 % 미만에서는 라켓에 팽팽하게 당겨 설치한 후의 거트의 신장이 적고, 내충격성, 홀드감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으며, 50 % 를 초과하면 탄성 회복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거트가 느슨해지기 쉽고, 장력 저하가 일어나 탄발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20 % 의 신장시의 탄성 회복율은 60 ∼ 99 %, 바람직하게는 70 ∼ 99 % 이며, 49.0 N 의 응력에서의 응력 유지율은 70 % 이상, 특히 75 %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205.9 N 의 응력에서의 응력 유지율은 70 % 이상, 특히 75 % 이상이 바람직하다. 탄성 회복율은 60 % 미만, 또는 응력 유지율 70 % 미만에서는 거트 테션의 저하가 크며, 라켓에 팽팽하게 당겨 설치한 후의 탄발성이 경시적 변화와 함께 저하되어가는 경향이 있다. 또, 얀의 잔류 신도는 1.5 ∼ 8 %, 특히 2.0 ∼ 6.0 % 의 범위에 있으면, 거트의 내충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멀티필라멘트 섬유의 단사섬도는 1 ∼ 56 dtex 이며, 바람직하게는 5.6 ∼ 44 dtex 이다. 1 dtex 미만에서는 마모 강도가 낮아 거트의 내구성이 나빠진다. 56 dtex 를 초과하면 섬유 직경이 굵어지기 때문에, 단면 방향의 결정 배향성이 불균일해지며, 특히 단면 외층부는 결정 배향도가 높지만, 중심부는 결정 배향도가 낮아져 강도, 탄성 회복율이 낮아진다. 그 결과, 거트의탄성 회복율이 낮아지고, 응력 유지율이 저하되며, 특히 탄발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총 섬도는 7000 ∼ 22000 dtex 이며, 7000 dtex 미만에서는 거트로서의 파단 강력이 부족해지며, 라켓에 50 ∼ 60 파운드의 고장력으로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또한 타구에 의해 거트가 끊어지기 쉬워진다는 결점을 발생시킨다. 또, 22000 dtex 를 초과하면 거트로 하였을 때의 직경이 굵어져, 탄발성, 내충격성 모두 나빠지며, 또한 홀드감이나 컨트롤성이 나쁜 타구감의 거트가 된다.
본 발명에서 단사섬도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7000 ∼ 22000 dtex 의 얀가 거트를 구성하는 섬유에서 차지하는 중량 비율은 적어도 50 % 이상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50 % 미만인 경우는 본 발명의 목적이 충분하게는 달성되지 않는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사용하여 거트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총 섬도 56 ∼ 560 dtex 의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13 ∼ 400 개 합사하여 총 섬도를 7000 ∼ 22000 dtex 로 하고, 이어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 폴리머에 의해 피막하여 거트로 하는 방법, 미리 총 섬도 56 ∼ 560 dtex 의 멀티필라멘트 원사를 총 섬도 1000 ∼ 6000 dtex 로 합사한 후, 다시 이 얀4 ∼ 22 개를 재합사하여 총 섬도 7000 ∼ 22000 dtex 로 하고, 이어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 폴리머에 의해 피복하여 거트로 하는 방법, 또는 660 ∼ 11000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모노필라멘트 1 ∼ 20 개를 심사 (芯絲) 로 하고, 측사 (側絲) 에 단사섬도 1 ∼ 56 dtex 의 멀티필라멘트를 배합하여 총 섬도를 7000 ∼ 22000 dtex 로 하는 방법, 단사섬도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얀을 30 ∼ 10000 개 합사하여 심사로 하고, 측사에 단사섬도 10 ∼ 60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합성 섬유를 배치하는 방법, 또한 심사 및 측사에도 멀티필라멘트를 배치하여 심사의 데니어를 측사의 데니어보다 가늘게 하거나 또는 굵게 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이들의 방법에서 얻어진 거트 얀은 접착제에 의해 접착, 폴리머에 의한 피복 등에 의해 거트로 한다. 필라멘트 사이 공극의 충전 접착 및 최외층을 피복하기 위하여 접착제, 폴리머 등을 사용하여 함침, 코팅 등에 의해 접착, 피복층을 형성하면, 거트의 마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추가로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로 피복층 위에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에 의한 피복층을 형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컨대 단사섬도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한 총 섬도가 7000 ∼ 22000 dtex 의 얀에 의해 심사 또는 측사로서 또는 전부를 구성한 거트라면 되고, 필요에 따라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의 범위내에서 심사 또는 측사 또는 일부에 다른 합성 섬유가 합연 등으로 혼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접착제로서는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이 유용하며,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의 접착성이나 유연성, 내굴곡성의 면에서는 특히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폴리머로서는 용융 폴리머 또는 적당한 용제에 용해시킨 폴리머를 피복에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의 종류로서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이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멀티필라멘트 섬유는 1000 T/m 이하, 특히 20 ∼ 500 T/m 의 꼬임을 가하여 강고하게 결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공시의 결속성만 유지된다면, 무연이라도 된다. 1000 T/m 을 초과하는 꼬임을 가하면, 강도, 탄성율 모두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거트는 테니스, 배드민턴, 스쿼시 등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악기용 현에 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단섬유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총 섬도 2000 ∼ 14000 dtex 의 얀을 악기용 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종래부터의 현이 가진 결점을 해결하고, 시간의 경과시 변화, 습도 변화에 대한 음정 변화가 적은 조현성이 우수한 악기용 현을 얻기에 성공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악기용 현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현에 비하여 탄성 회복율이 높고, 악기에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여 조율해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음정 변화가 적고, 비교적 단시간에 안정된 음정이 되는 조현성이 우수하며, 또 습도 변화가 있어도 현이 느슨해지거나 팽팽해지거나 하지 않고 안정된 음정의 악기용 현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 얀의 물성은 인장 강도는 52 N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N 이상이다. 인장 강도가 52 N 미만인 경우는 현으로 하였을 경우, 현의 파단 강도가 낮아 실용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어, 악기에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는 장력을 낮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현이 겹쳐 연주하기 어려워진다. 또, 파단 신도는 25 ∼ 60 %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50 % 이다. 파단 신도가 25 % 미만에서는 현을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여 조율을 반복한 경우, 현의 절단이 비교적 빠르게 일어나 수명이 짧은 현이 되며, 60 % 를 초과하면 탄성 회복율이 낮아지며, 음정 변화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탄성율은 18 ∼ 36 cN/dtex, 바람직하게는 20 ∼ 36 cN/dtex 이며, 20 % 신장시의 탄성 회복율은 60 ∼ 99 %, 바람직하게는 70 ∼ 99 % 이다. 탄성율이 18 cN/dtex 미만, 및 탄성 회복율이 60 % 미만에서는 음정 변화가 크며 안정된 음정을 얻기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며 조현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 49.0 N 의 응력에서의 응력 유지율은 70 % 이상, 특히 75 % 이상이 바람직하다. 70 % 미만에서는 악기에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여 조율한 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음정 변화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멀티필라멘트 섬유의 단사섬도는 1 ∼ 56 dtex, 바람직하게는 5.6 ∼ 44 dtex 이다. 1 dtex 미만에서는 현으로 한 경우, 현의 마모 강도가 낮아지고, 연주 중에 단사 절단을 일으켜 음정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으며, 현의 내구성도 나빠진다. 56 dtex 를 초과하면 섬유 직경이 굵어지기 때문에 단면 방향의 결정 배향성이 불균일해지고, 특히 단면 외층부는 결정 배향되지만, 중심부는 결정 배향이 불충분해지며, 강도, 탄성 회복율이 낮아지며, 그 결과 악기현으로서 사용하면 시간의 경과시 현이 느슨해져 음정 변화가 커질 뿐만 아니라, 안정된 음정으로 조율하기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여 조현성이 떨어지는 것이 된다. 총 섬도는 2000 ∼ 14000 dtex 의 얀가 사용된다. 2000 dtex 미만에서는 악기현으로서의 인장 강도가 불충분해져 연주 중이나 조율시에 현이 절단되는 경우가 있어 실용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 된다. 또, 14000 dtex 를 초과하면 현의 직경이 너무 굵어져 연주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악기용 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합사, 합연된 멀티필라멘트 섬유를 그대로 현으로 하는 방법, 또 합사, 합연된 멀티필라멘트 얀을 수지 접착시켜 현으로 하는 방법, 또 합사, 합연, 수지 접착한 멀티필라멘트 얀전체를 마모성,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합성 폴리머에 의한 침지, 코팅 등으로 피복시켜 현으로 하는 방법, 또 합성 폴리머로 피복된 얀의 합성 폴리머 또는 그 위에 발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에 의한 피복층을 형성하여 현으로 하는 방법, 또 합사, 합연 또는 접착제로 접착한 멀티필라멘트 얀의 주위를 직경 0.08 ∼ 1 mm 의 강, 동,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백금, 동 등의 금속 피아노선으로 나선형으로 감아 현으로 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컨대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의 총 섬도가 2000 ∼ 14000 dtex 의 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현이라면 되고, 필요에 따라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의 범위내에서 멀티필라멘트의 일부 또는 그 주위에 다른 합성 섬유가 합연, 커버링되어 있어도 된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접착시키는 수지로서는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이 유용하다.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의 접착성이나 유연성, 내굴곡성의 면에서 특히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최외층을 피복하는 합성 폴리머로서는 용융 폴리머 또는 적당한 용제에 용해시킨 폴리머를 피복에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의 종류로서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이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멀티필라멘트 섬유는 1000 T/m 이하, 특히 20 ∼ 500 T/m 의 꼬임을 가하여, 강고하게 결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공시의 결속성만 유지된다면 무연이라도 된다. 1000 T/m 을 초과하는 꼬임을 가하면 인장 강도, 탄성율 모두 저하되는 경향에 있다.
본 발명의 악기용 현은 예를 들어 기타, 우쿨렐레, 하프, 바이올린, 비올라, 쳄발로, 콘트라베이스, 류트, 샤미센 (일본 고유의 현악기), 거문고 등의 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 바이올린, 비올라 등의 현악기의 테일 거트용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또한,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또, 실시예에서의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강신도 특성의 평가
도요보르도윈샤 제조 텐시론을 사용하여, 시료 길이 20 cm, 인장 속도 20 cm/min 의 조건으로 인장 강신도 (cN/dtex, %), 초기 탄성율 (cN/dtex) 을 측정하였다.
(2) 탄성율의 측정
탄성율은 JIS-L-1013 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3) 탄성 회복율의 평가
20 % 신장시의 탄성 회복율은 시료에 0.0109 cN/dtex 의 최초 하중을 걸고, 매분 20 % 신장의 일정 비율의 속도로 신장시켜, 신도 20 % 로 된 시점에서, 이번에는 반대로 동일한 속도로 수축시켜 응력 - 왜곡선을 그린다. 수축 중, 응력이 최초 하중과 동일한 0.0109 cN/dtex 까지 저하되었을 때의 잔류 신도를 L 이라 하면, 하기식으로 산출하였다.
20 % 신장시의 탄성 회복율 = (20 - L) / 20 × 100 (%)
(4) U % 의 측정
체르베 가우스터사의 USTER TESTER 3 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 응력 유지율의 평가
도요보르도윈샤 제조 텐시론을 사용하여, 시료 길이 20 cm, 인장 속도 20 cm/min 의 조건으로 신장시켜 얀에 49.0 N 및 205.9 N 의 응력을 걸어, 그대로 24 시간 방치 후의 응력을 측정하여, 응력의 유지율을 산출하였다. 응력 유지율이 높을수록 시간의 경과에 따른 거트 장력 및 현의 느슨함이 적고, 탄발성, 음정 변화의 내구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6) 잔류 신도의 측정
도요보르도윈샤 제조 텐시론을 사용하여, 얀시료 길이 20 cm, 인장 속도 20 cm/min 의 조건으로 신장시켜 얀에 205.9 N 의 응력을 가하여, 1 시간 방치하였을 때의 신도를 A1 으로 하고, 다시 신장을 실시하여 255.0 N 의 응력이 되었을 때의 신도를 A2 로 하여 A2 - A1 을 잔류 신도라 하였다.
잔류 신도의 값이 낮을수록 거트에 볼이 맞았을 때 거트가 신장되지 않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7) 필링 테스트
제작한 거트를 라켓에 종사, 횡사 223 N (50 파운드) 으로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여, 30 명의 테니스 스쿨의 아마츄어 플레이어에게 실제로 경식 테니스볼을 타구시켜 탄발성, 내충격성에 관하여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거트에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여 1 일 후 및 20 일 후에 관하여 2 회 실시하였다.
◎ : 30 명 중 24 명 이상이 좋다고 답한 경우
O : 30 명 중 18 ∼ 23 명이 좋다고 답한 경우
△ : 30 명 중 15 ∼ 17 명이 좋다고 답한 경우
× : 30 명 중 14 명 이하가 좋다고 답한 경우
(8) 내구성 평가
상기 라켓을 5 개 사용하여 테니스볼 머신으로 타출 속도 100 km/시, 타출 간격 15 회/분, 타출 거리 50 cm 로, 경식용 테니스볼을 사용하여 거트가 절단될 때까지 계속 쳐서 절단된 평균 회수를 구하였다.
(9) 음정 변화의 평가
클래식 기타 (가와이각끼 제조) 에 현을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여 해방 상태에서 각 음정 (주파수) 에 튜닝미터 (코르그샤 제조 Model DTR-1) 와 마이크 (소니 제조 F-V600P) 를 사용하여 조율하였다. 조율 후는 현을 그대로의 상태로 하여 시간의 경과시 변화 후의 주파수를 측정하여 음정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해방 상태의 설정 음정 및 조율시, 시간의 경과시 변화 평가시의 분위기 온도는 하기와 같다.
[조건 1] 20 ℃ × 65 % RH 분위기 하에서, 587 Hz (레) 의 음정으로 조율한 후, 20 ℃ × 85 % RH 분위기 하에서 12 시간 방치 후의 주파수를 측정하였다.
[조건 2] 20 ℃ × 65 % RH 분위기 하에서, 784 Hz (솔) 의 음정으로 조율하고, 동일한 분위기 하에서 24 시간 방치 후의 주파수를 측정하였다.
[조건 3] 20 ℃ × 65 % RH 분위기 하에서, 986 Hz (시) 의 음정으로 조율하고, 동일한 분위기 하에서 24 시간 방치 후의 주파수를 측정하였다.
(10) 조현성 평가
제작한 현을 클래식 기타 (가와이각끼 제조) 에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여 제2 현은 986 Hz (시), 제 3 현은 784 Hz (솔), 제 4 현은 587 Hz (레) 로 조율 후, 1 일 1 시간 연주를 실시하고, 연주 후의 음정의 어긋남이 반음 이내로 안정될 때까지 반복하여 그 일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2 일째 이후는 조율을 실시한 후 연주를 실시하였다.
◎ : 1 일째에 음정이 안정
O : 3 일 미만에 음정이 안정
△ : 7 일 미만에 음정이 안정
× : 7일 이상에 음정이 안정
(11) 현의 내구성 평가
제작한 현을 조현성 평가와 동일하게 하여, 조율과 연주를 현이 파단될 때까지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 : 15 일 이상 절단되지 않음
O : 14 일 이내에 절단
△ : 7 일 이내에 절단
× : 3 일 이내에 절단
(12) 연주의 용이성 평가
작성한 현과 그 이외의 현으로서 시판되는 현 (야마하 제조 S-10) 을 사용하여 클래식 기타 (가와이각끼 제조) 에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여 조율한 후, 30 명의 아마츄어 플레이어에게 실제로 연주하게 하여 작성한 현의 연주의 용이성에 관하여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 : 30 명 중 24 명 이상이 좋다고 답한 경우
O : 30 명 중 18 ∼ 23 명이 좋다고 답한 경우
△ : 30 명 중 15 ∼ 17 명이 좋다고 답한 경우
× : 30 명 중 14 명 이하가 좋다고 답한 경우
실시예 1
ηsp/c 가 1.1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사용하여 방사 온도 265 ℃, 방사 속도 1200 m/분 으로 연신되지 않은 섬유를 얻고, 이어서 핫롤 온도 60 ℃, 핫플레이트 온도 140 ℃, 연신 배율 2.5 배, 연신 속도 800 m/분 으로 늘려 꼬아 235 dtex/35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얻어진 원사의 물성은 강도 3.7 cN/dtex, 신도 35 %, 탄성율 20 cN/dtex, 탄성 회복율 85 %, U % 1.0 % 였다.
ηsp/c 는 폴리머를 90 ℃ 에서 o-클로로페놀의 1 g/데시리터 의 농도로 용해시키고, 그 후 얻어진 용액을 오스트발트 점도관으로 옮겨 35 ℃ 에서 측정하여 하기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ηsp/c = (T/T0-1)/C
T : 시료 용액의 낙하 시간 (초)
T0 : 용제의 낙하 시간 (초)
C : 용액 농도 (g/데시리터)
얻어진 235 dtex/35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14 개 합사하여 3290 dtex/490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다시 이 멀티필라멘트 섬유를 5 개 합사하여 16450 dtex/2450f 의 얀을 얻었다. 이 얀을 70T/m 의 꼬임을 가하였다.
이어서, 이 얀을 우레탄계 접착제인 버녹 16-416 을 100 부, 가교제인 버녹 DN-950 을 10 부, 가교 촉진제인 크리스본엑셀 T 를 1 부 (다이닛뽕인끼샤 제조), 톨루엔을 50 부로 조합한 액에 침지시켜 맹글(mangle)로 교액 후 건조를 실시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용융시킨 나일론 6 수지에 의해 최외층에 피복층을 형성하여 거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578 N, 신도 32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84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85 %, 탄성 회복율 80 %, 잔류 신도 4.8 % 였다.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거트는 균질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강도도 높고, 필링 테스트에서 내구성이 있는 탄발성, 내충격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2
ηsp/c 가 1.1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사용하여 방사 온도 260 ℃, 방사 속도 1100 m/분 으로 연신되지 않은 섬유를 얻고, 이어서 핫롤 온도 60 ℃, 핫플레이트 온도 140 ℃, 연신 배율 2.5 배, 연신 속도 600 m/분 으로 늘려 꼬아 330 dtex/6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얻어진 원사의 물성은 강도 3.5 cN/dtex, 신도 39 %, 탄성율 21 cN/dtex, 탄성 회복율 77 %, U % 2.1 % 였다.
얻어진 330 dtex/6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13 개 합사하여 4290 dtex/78f 의 얀을 얻었다. 다시 이 얀5 개를 크릴에 세워 정렬시켜 70 T/m 의 꼬임을 가하여 21450 dtex/390f 의 얀을 얻었다. 이어서,이 얀을 우레탄계 접착제인 아클리딕 A-190 을 100 부, 가교제인 타이호스 AG-940HV 를 10 부 (다이닛뽕인끼샤 제조), 톨루엔을 50 부로 조합한 액에 침지시켜 맹글로 교액 후 건조를 실시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용융시킨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의해 최외층에 피복층을 형성하여 거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710 N, 신도 36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75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75 %, 탄성 회복율 73 %, 잔류 신도 5.5 % 였다.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거트는 균질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강도도 높고, 필링 테스트에서 탄발성, 내충격성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220 dtex/10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얻어진 원사의 물성은 강도 3.6 cN/dtex, 신도 38 %, 탄성율 20 cN/dtex, 탄성 회복율 84 %, U % 1.8 % 였다.
얻어진 220 dtex/10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11 개 합사하여 2420 dtex/110f 의 얀을 얻었다. 다시 이 섬유3 개를 100 T/m 의 꼬임을 가하여 7260 dtex/330f 의 섬유를 얻었다. 이어서, 이 섬유를 우레탄계 접착제인 버녹 16-416 을 100 부, 가교제인 버녹 DN-950 을 10 부, 가교 촉진제인 크리스본엑셀 T 를 1 부 (다이닛뽕인끼샤 제조), 톨루엔을 50 부로 조합한 액에 침지시켜 맹글로 교액 후 건조를 실시하여, 170 ℃ 에서 1 분간, 5 % 신장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용융시킨 나일론 6 수지에 의해 최외층에 피복층을 형성하여 거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260 N, 신도 34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79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80 %, 탄성 회복율 80 %, 잔류 신도 3.2 % 였다.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거트는 균질성이 우수하며, 필링 테스트에서 탄발성, 내충격성이 양호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84 dtex/75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얻어진 원사의 물성은 강도 3.7 cN/dtex, 신도 35 %, 탄성율 21 cN/dtex, 탄성 회복율 87 %, U % 1.2 % 였다.
얻어진 84 dtex/75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20 개 합사하여 1680 dtex/1500f 의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하였다. 다시 이 멀티필라멘트 얀 11 개를 100 T/m 의 꼬임을 가하여 18480 dtex/16500f 의 얀을 얻었다. 이어서, 이 얀을 우레탄계 접착제인 버녹 DF-407 을 100 부, 가교제인 버녹 DN-950 을 10 부, 가교 촉진제인 크리스본엑셀 T 를 1 부 (다이닛뽕인끼샤 제조), 톨루엔을 50 부로 조합한 액에 침지시켜 맹글로 교액 후 건조를 실시하여, 170 ℃ 에서 1 분간, 3 % 신장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용융시킨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의해 최외층에 피복층을 형성하여 거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640 N, 신도 33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83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83 %, 탄성 회복율 84 %, 잔류 신도 4.3 % 였다.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거트는 균질성이 우수하며, 필링 테스트에서 탄발성, 내충격성이 양호하며 또한 내구성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5
ηsp/c 가 1.0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사용하여 방사 온도 265 ℃, 방사 속도 1100 m/분 으로 연신되지 않은 섬유를 얻고, 이어서 핫롤 온도 60 ℃, 핫플레이트 온도 140 ℃, 연신 배율 2.5 배, 연신 속도 700 m/분 으로 늘려꼬아 250 dtex/23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얻어진 원사의 물성은 강도 3.3 cN/dtex, 신도 36 %, 탄성율 22 cN/dtex, 탄성 회복율 87 %, U % 1.3 % 였다.
얻어진 250 dtex/23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9 개 합사하여 2250 dtex/207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다시 이 멀티필라멘트 얀 4 개를 90 T/m 의 꼬임을 가하면서 합사하여, 9000 dtex/828f 의 얀을 얻었다. 이 얀을 심사로 하여, 측사로서 470 dtex/14f 의 나일론 66 (아사히카세이 고교샤 제조) 을 12 개 합사한 얀을 우레탄계 접착제인 버녹 16-416 을 100 부, 가교제인 버녹 DN-950 을 10 부, 가교 촉진제인 크리스본엑셀 T 를 1 부 (다이닛뽕인끼샤 제조), 톨루엔을 50 부로 조합한 액에 침지시켜 맹글로 교액 후 심사에 측사를 100 T/m 의 비율로 커버링한 후 건조를 실시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용융시킨 나일론 6 수지에 의해 최외층에 피복층을 형성하여 거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610 N, 신도33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85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84 %, 탄성 회복율 78 %, 잔류 신도 3.6 % 였다.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거트는 균질성이 우수하며 기계적 강도도 높고, 필링 테스트에서 내구성이 있는 탄발성, 내충격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6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235 dtex/35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29 개 합사하여 6815 dtex/1015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이 얀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거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225 N, 신도 33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79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78 %, 탄성 회복율 80 % 였다. 잔류 신도는 섬유 절단 때문에 측정할 수 없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84 dtex/105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얻어진 원사의 물성은 강도 3.0 cN/dtex, 신도 35 %, 탄성율 22 cN/dtex, 탄성 회복율 86 %, U % 3.2 % 로, 섬유의 균질성이 떨어졌다.
얻어진 84 dtex/105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멀티필라멘트를 20 개 합사하여 1680 dtex/2100f 의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하였다. 다시 이 멀티필라멘트 섬유 11 개를 100 T/m 의 꼬임을 가하여 18480 dtex/23100f 의 얀을 얻었다.
얻어진 얀을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거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525 N, 신도 34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83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81 %, 탄성 회복율 83 %, 잔류 신도 4.5 % 였다.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1 의 거트는 조금 균질성이 떨어지며, 필링 테스트의 결과에서는 탄발성, 내충격성은 양호하였지만, 거트의 절단이 빠르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2
실시예 2 과 동일하게 하여 280 dtex/4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얻어진 원사의 물성은 강도 2.7 cN/dtex, 신도 39 %, 탄성율 21 cN/dtex, 탄성 회복율 70 %, U % 3.6 % 로, 섬유의 균질성이 떨어졌다.
얻어진 280 dtex/4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14 개 합사하여 3920 dtex/56f 의 얀을 얻었다. 다시 이 얀5 개를 크릴에 세워 정렬시켜 70 T/m 의 꼬임을 가하여 19600 dtex/280f 의 얀을 얻었다.
얻어진 얀을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거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501 N, 신도 37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65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66 %, 탄성 회복율 65 %, 잔류 신도 5.8 % 였다.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2 의 거트는 조금 균질성이 떨어지며, 필링 테스트의 결과에서는 탄발성, 내충격성 모두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3
길이 고정 열처리를 5 % 이완 열처리로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거트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498 N, 신도 41 %, 68.6 N 시의 응력 유지율 62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61 %, 탄성 회복율 58 %, 잔류 신도 9.6 % 였다.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3 의 거트는 조금 균질성이 떨어지며, 필링 테스트의 결과에서는 탄발성, 내충격성 모두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4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220 dtex/10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28 개 합사하여 6160 dtex/280f 의 얀을 얻었다. 다시 이 멀티필라멘트 얀 4 개를 70 T/m 의 꼬임을 가하여 24640 dtex/1120f 의 얀을 얻었다.
얻어진 얀을 실시예 3 와 동일하게 하여 거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840 N, 신도 35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78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78 %, 탄성 회복율 79 %, 잔류 신도 6.8 % 였다.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4 의 거트는 필링 테스트의 결과에서는 탄발성, 내충격성 모두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5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을 260℃ 에서 용해 후, 방사하여 일단 15 ℃ 의 수욕에서 냉각하여, 다시 70 ℃ 의 탕욕을 통과시킨 후, 3 개의 롤과 롤 사이에 설치한 2 개의 히터를 통과시켜 연신, 릴렉스, 열세트를 실시하여 권취하였다. 롤의 주속도는 방구 (紡口) 에 가까운 순으로 각각 10.5 m/min, 42.3 m/min, 42.3 m/min 으로 설정하고, 히터는 방구에 가까운 순으로 각각 70 ℃, 100 ℃ 로 설정하여 660 dtex 의 모노필라멘트를 얻었다. 얻어진 모노필라멘트의 물성은 강도 2.6 cN/dtex, 신도 45 %, 탄성율 22 cN/dtex, 탄성 회복율 65 %, U % 3.5 % 였다.
이 모노필라멘트 25 개를 100 T/m 의 꼬임을 가하여 16500 dtex 의 모노필라멘트의 얀을 얻었다.
이 얀을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거트를 작성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402 N, 신도 40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65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64 %, 탄성 회복율 60 %, 잔류 신도 7.6 % 였다.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이 거트는 필링 테스트의 결과에서는 탄발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6
나일론 66 섬유 멀티필라멘트 940 dtex/140f (등록 상표, 레오나 ; 아사히카세이 고교샤 제조 ; 강도 6.2 cN/dtex, 신도 28 %, 탄성율 65 cN/dtex, 탄성회복율 65 %) 를 17 개 정렬시켜 70 T/m 의 꼬임을 가하여 14280 dtex/2380f 의 멀티필라멘트의 얀을 얻었다.
얻어진 얀을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거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843 N, 신도 27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68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66 %, 탄성 회복율 62 %, 잔류 신도 1.9 % 였다.
얻어진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6 의 거트는 균질성은 좋지만, 필링 테스트의 결과에서는 초기의 탄발성은 좋지만 시간의 경과시 저하가 보이며 , 내충격성도 현저하게 우수한 것은 아니었다. 또, 고습도 조건 하에서는 그 저하가 현저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1 에서 235 dtex/35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 대신에 235 dtex/35f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 (아사히카세이 고교 (주)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거트를 작성하였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멀티필라멘트의 강신도, 탄성율, U % 및 탄성 회복율은 각각 4.1 cN/dtex, 33 %, 97 cN/dtex, 1.5 % 및 25 % 이며, 얻어진 거트는 파단 강도 638 N, 신도 31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57 %, 205.9 N 시의 응력 유지율 55 %, 탄성 회복율 24 %, 잔류 신도 1.2 % 였다.
얻어진 거트의 성능 및 필링 테스트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
비교예 7 의 거트는 탄발성, 내충격성 모두 떨어지는 것이었다.
파단강력N/파단신도 % 응력유지율 %49.0 N시/205.9 N 시 탄성회복율 % 잔류신도 % 필링테스트1 일 후 필링테스트20 일 후 내구성
탄발성 내충격성 탄발성 내충격성 거트의 절단 상황
실시예 1 578/32 84/85 80 4.8 1130
실시예 2 710/36 75/75 73 5.5 1207
실시예 3 260/34 79/80 80 3.2 890
실시예 4 640/33 83/83 84 4.3 1121
실시예 5 610/33 85/84 78 3.6 1306
실시예 6 225/33 79/78 80 절단 - - - - -
비교예 1 525/34 83/81 83 4.5 504
비교예 2 501/37 65/66 65 5.8 1208
비교예 3 498/41 62/61 58 9.6 × × 1300
비교예 4 840/35 78/78 79 6.8 × × 1350
비교예 5 402/40 65/64 60 7.6 × × 964
비교예 6 843/27 68/66 62 1.9 1380
비교예 7 638/31 57/55 24 1.2 × × 1150
비교예 8
실시예 6 에서 얻어진 거트는 라켓에 팽팽하게 당겨 설치 중, 강력 부족 때문에 섬유 절단이 발생하여 거트로서는 부적합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220 dtex/10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사용하여 이 멀티필라멘트를 10 개 합사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여, 2200 dtex/100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얻어진 얀은 인장 강도 79 N, 신도 38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78 %, 탄성 회복율 84 % 였다.
이 멀티필라멘트의 얀의 주위에 0.16 mm 의 강철의 피아노선을 나선형으로 감고 기타의 제 4 현을 얻었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1),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 습도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거의 없으며, 조현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연주하기 쉬운 현이었다.
실시예 8
ηsp/c = 1.0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사용하여 방사 온도 265 ℃, 방사 속도 1200 m/분 으로 연신되지 않은 섬유를 얻고, 이어서 핫롤 온도 60 ℃, 핫플레이트 온도 140 ℃, 연신 배율 3 배, 연신 속도 800 m/분 으로 늘려꼬아 220 dtex/200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연신사의 강신도, 탄성율, U % 및 탄성 회복율은 각각 3.5 cN/dtex, 36 %, 21 cN/dtex, 1.6 % 및 86 % 였다.
얻어진 220 dtex/200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10 개 합사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여 2200 dtex/2000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얻어진 얀은 인장 강도 77 N, 신도 36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80 %, 탄성 회복율 85 % 였다.
이 멀티필라멘트의 얀의 주위에 0.16 mm 의 강철의 피아노선을 나선형으로 감고 기타의 제 4 현을 얻었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1),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 습도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거의 없으며, 조현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연주하기 쉬운 현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330 dtex/6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7 개 합사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여, 2310 dtex/42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얻어진 얀은 인장 강도 82 N, 신도 38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75 %, 탄성 회복율 77 % 였다.
이 멀티필라멘트의 얀의 주위에 0.16 mm 의 강철의 피아노선을 나선형으로 감고 기타의 제 4 현을 얻었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1),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 습도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거의 없으며, 조현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연주하기 쉬운 현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220 dtex/10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사용하여 이 멀티필라멘트를 10 개 합사하여 2200 dtex/100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이어서, 이 얀3 개를 우레탄계 접착제인 버녹 16-416 을 100 부, 가교제인 버녹 DN-950 을 10 부, 가교 촉진제인 크리스본엑셀 T 를 1 부 (다이닛뽕인끼샤 제조), 톨루엔을 50 부로 조합한 액에 침지시켜 맹글로 교액하고, 바로 100 T/m 의 꼬임을 가한 후 건조를 실시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용융시킨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표면 피복을 실시하고 6600 dtex/300f 의 얀을 작성하여, 기타의 제 2 현을 얻었다. 이 얀(현) 는 인장 강도 223 N, 신도 35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78 %, 탄성 회복율 80 % 였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3),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거의 없으며, 조현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연주하기 쉬운 현이었다.
실시예 11
ηsp/c = 1.1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사용하여 방사 온도 265 ℃, 방사 속도 1200 m/분 으로 연신되지 않은 섬유를 얻고, 이어서 핫롤 온도 60 ℃, 핫플레이트 온도 140 ℃, 연신 배율 3 배, 연신 속도 800 m/분 으로 늘려꼬아 280 dtex/10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연신사의 강신도, 탄성율, U % 및 탄성 회복율은 각각 3.4 cN/dtex, 38 %, 20 cN/dtex, 1.8 % 및 84 % 였다.
얻어진 280 dtex/10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5 개 합사하여 1400 dtex/50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이어서, 이 얀10 개를 우레탄계 접착제인 버녹 16-411 을 100 부, 가교제인 버녹 DN-950 을 10 부, 가교 촉진제인 크리스본엑셀 T 를 1 부 (다이닛뽕인끼샤 제조), 톨루엔을 50 부로 조합한 액에 침지시켜 맹글로 교액하고, 바로 100 T/m 의 꼬임을 가한 후 건조를 실시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용융시킨 나일론 6 수지로 표면 피복을 실시하고 14000 dtex/500f 의 얀을 작성하여, 기타의 제 3 현을 얻었다. 얻어진 얀(현) 는 인장 강도 466 N, 신도 37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75 %, 탄성 회복율 79 % 였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2),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거의 없으며, 조현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연주하기 쉬운 현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220 dtex/10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사용하여, 이 멀티필라멘트를 10 개 합사한 후, 100 T/m 의 꼬임을 가하여, 2200 dtex/100f 의 멀티필라멘트 섬유를 심 성분 섬유로서, 220 dtex/10f 의 나일론 66 섬유 멀티필라멘트 (아사히카세이 고교 (주) 제조) 2 개를 나선형으로 감고, 동시에 우레탄계 접착제인 타이호스 AG-940HV 를 100 부, 가교제인 버녹 DN-950 을 10 부, 가교 촉진제인 크리스본엑셀 T 를 1 부 (다이닛뽕인끼샤 제조), 톨루엔을 50 부로 조합한 액에 침지시켜 맹글로 교액하고, 바로 100 T/m 의 꼬임을 가한 후 건조를 실시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여 2640 dtex/120f 의 복합 얀을 얻었다.
얻어진 복합 얀은 인장 강도 95 N, 신도 36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78 %, 탄성 회복율 79 % 였다. 다시, 0.16 mm 의 강철의 피아노선을 나선형으로 감고 기타의 제 4 현을 얻었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1),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 습도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거의 없으며, 조현성, 내구성이 우수하며, 연주하기 쉬운 현이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220 dtex/10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멀티필라멘트를 다시 10 개 합사하여 2200 dtex/100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이 멀티필라멘트 얀은 강도, 탄성 회복율, 응력 유지율이 높고, 내수성, 유연성, 섬유의 균질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이어서, 이 멀티필라멘트 얀을 7 개를 우레탄계 접착제인 버녹 DF-407 을 50 부, 가교제인 버녹 DN-950 을 10 부, 가교 촉진제인 크리스본엑셀 T 를 1 부 (다이닛뽕인끼샤 제조), 톨루엔을 100 부로 조합한 액에 침지시켜 맹글로 교액하고, 바로 100 T/m 의 꼬임을 가한 후 건조를 실시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용융시킨 나일론 6 수지로 표면 피복을 실시하여 15400 dtex/700f 의 얀을 작성하여, 이 얀을 기타의 제 3 현으로 하였다.
얻어진 얀(현) 는 인장 강도 537 N, 신도 39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77 %, 탄성 회복율 83 % 였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2),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13 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거의 없지만, 현이 너무 굵어 연주하기 어려워, 기타현으로서는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7 에서 220 dtex/10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멀티필라멘트 대신에 실시예 12 에서 사용한 220 dtex/10f 의 나일론 66 섬유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기타의 제 4 현을 얻었다. 또한, 나일론 66 섬유 멀티필라멘트의 강신도, 탄성율, U % 및 탄성 회복율은 각각 4.3 cN/dtex, 32 %, 31 cN/dtex, 2.1 % 및 65 % 이며, 2200 dtex/100f 얀의 인장 강도는 94 N, 신도 33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65 %, 탄성 회복율 65 % 였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1),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비교예 9 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 습도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크고, 조현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10
실시예 7 에서 220 dtex/10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 대신에 220 dtex/10f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 (아사히카세이 고교 (주) 제조)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기타의 제 4 현을 얻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멀티필라멘트의 강신도, 탄성율, U % 및 탄성 회복율은 각각 4.0 cN/dtex, 34 %, 97 cN/dtex, 1.5 % 및 25 % 이며, 2200 dtex/100f 얀의 인장 강도는 88 N, 신도 34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49 %, 탄성 회복율 24 % 였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1),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비교예 10 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크고, 조현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11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84 dtex/105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얻어진 원사의 물성은 강도 3.2 cN/dtex, 신도 35 %, 탄성율 22 cN/dtex, 탄성 회복율 86 %, U % 3.2 % 이며, 섬유의 균질성이 떨어졌다.
얻어진 84 dtex/105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멀티필라멘트를 25 개 합사하여, 2100 dtex/2625f 의 멀티필라멘트 얀으로 하였다. 얻어진 얀은 인장 강도 67 N, 신도 34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80 %, 탄성 회복율 86 % 였다. 이 얀의 주위에 0.16 mm 의 강철의 피아노선을 나선형으로 감고 기타의 제 4 현을 얻었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1),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실시예 11 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 습도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는 거의 없지만,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12
ηsp/c = 1.0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사용하여 방사 온도 265 ℃, 방사 속도 1000 m/분 으로 연신되지 않은 섬유를 얻고, 이어서 핫롤 온도 60 ℃, 핫플레이트 온도 140 ℃, 연신 배율 3 배, 연신 속도 600 m/분 으로 늘려꼬아 235 dtex/3f 의 연신사를 얻었다. 연신사의 강신도, 탄성율, U % 및 탄성 회복율은 각각 3.1 cN/dtex, 40 %, 20 cN/dtex, 3.5 % 및 64 % 이며 섬유의 균질성이 떨어졌다.
얻어진 235 dtex/3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멀티필라멘트를 10 개 합사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여 2350 dtex/30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얻어진 얀은 인장 강도 72 N, 신도 40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64 %, 탄성 회복율 61 % 였다.
이 멀티필라멘트 얀의 주위에 0.16 mm 의 강철의 피아노선을 나선형으로 감고 기타의 제 4 현을 얻었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1),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비교예 12 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크고, 조현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13
길이 고정 열처리를 5 % 이완 열처리로 변화시킨 것 이외에는 비교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2350 dtex/30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얻어진 얀은 인장 강도 70 N, 신도 44 %,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60 %, 탄성 회복율 57 % 였다.
이 멀티필라멘트 얀의 주위에 0.16 mm 의 강철의 피아노선을 나선형으로 감고 기타의 제 4 현을 얻었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1),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비교예 13 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크고, 조현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14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220 dtex/10f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이 멀티필라멘트를 다시 6 개 합사하여 170 ℃ 에서 1 분간 길이 고정 열처리를 실시하여 1320 dtex/60f 의 멀티필라멘트 얀을 얻었다. 얻어진 얀은 인장 강도 47 N, 신도 38 %, 탄성 회복율 84 % 로, 인장 강도가 낮은 것이었다. 또한,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은 섬유가 절단되었기 때문에 측정할 수 없었다.
이 멀티필라멘트 얀의 주위에 0.16 mm 의 강철의 피아노선을 나선형으로 감고 기타의 제 4 현을 얻었다.
얻어진 현을 기타의 제 4 현으로서 적정한 장력으로 팽팽하게 당겨 설치하면 현이 절단되어 기타의 현으로서는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15
실시예 1 과 동일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사용하여 260 ℃ 에서 용해 후, 방사하여 일단 15 ℃ 의 수욕에서 냉각하여, 다시 70 ℃ 의 탕욕을 통과한 후, 3 개의 롤과 롤 사이에 설치한 2 개의 히터를 통과시켜 연신, 릴렉스, 열세트를 실시하여 권취하였다. 롤의 주속도는 방구에 가까운 순으로 각각 8.5 m/min, 31.4 m/min, 31.4 m/min 으로 설정하고 히터는 방구에 가까운 순으로 각각70 ℃, 100 ℃ 로 설정하여 6600 dtex 의 모노필라멘트를 얻었다. 얻어진 모노필라멘트의 물성은 강도 2.4 cN/dtex, 신도 48 %, 탄성율 20 cN/dtex, 49.0 N 시의 응력 유지율 58 %, 탄성 회복율 60 %, U % 3.7 % 였다.
이 모노필라멘트를 기타 제 2 현으로 하였다.
얻어진 현에 관하여 음정 변화의 평가 (조건 3), 조현성, 현의 내구성 및 연주의 용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비교예 15 의 현은 시간의 경과시 변화에 의한 음정 변화가 크고, 조현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탄성 회복율 % 49.0 N 응력 유지율 % 음정 변화(Hz) 조현성 내구성 연주의 용이성
설정 주파수 측정 주파수 판정
실시예 7 84 78 587 583
실시예 8 85 80 587 585
실시예 9 77 75 587 580
실시예 10 80 78 986 984
실시예 11 79 75 784 782
실시예 12 79 78 587 579
실시예 13 83 77 784 780 ×
비교예 9 65 65 587 493 ×
비교예 10 24 49 587 523 × ×
비교예 11 86 80 587 581 ×
비교예 12 61 64 587 554 × ×
비교예 13 57 60 587 543 × ×
비교예 14 84 절단 절단 - - - × 절단
비교예 15 60 58 986 952 × ×

Claims (9)

  1.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2000 ∼ 22000 dtex 의 얀.
  2. 제 1 항에 있어서, 49.0 N 의 응력에서의 응력 유지율이 70 % 이상인 얀.
  3. 제 1 항에 있어서, 49.0 N 의 응력에서의 응력 유지율이 70 % 이상, 탄성 회복율이 70 % 이상인 얀.
  4.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7000 ∼ 22000 dtex 의 얀으로 이루어진 거트.
  5. 제 4 항에 있어서, 49.0 N 의 응력에서의 응력 유지율이 70 % 이상인 거트.
  6. 제 4 항에 있어서, 49.0 N 의 응력에서의 응력 유지율이 70 % 이상, 탄성 회복율이 70 % 이상인 거트.
  7. 단사섬도가 1 ∼ 56 dtex 의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멀티필라멘트 섬유를 합사하여 이루어진 총 섬도가 2000 ∼ 14000 dtex 의 얀으로 이루어진 악기용현.
  8. 제 7 항에 있어서, 49.0 N 의 응력에서의 응력 유지율이 70 % 이상인 악기용 현.
  9. 제 7 항에 있어서, 49.0 N 의 응력에서의 응력 유지율이 70 % 이상, 탄성 회복율이 70 % 이상인 악기용 현.
KR10-2001-7008180A 1998-12-28 1999-12-27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얀 KR100404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271798 1998-12-28
JP1998-372717 1998-12-28
JP1999-145832 1999-05-26
JP14583299 1999-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771A true KR20010082771A (ko) 2001-08-30
KR100404355B1 KR100404355B1 (ko) 2003-11-05

Family

ID=2647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180A KR100404355B1 (ko) 1998-12-28 1999-12-27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03623B1 (ko)
EP (1) EP1167594A1 (ko)
JP (1) JP3194431B2 (ko)
KR (1) KR100404355B1 (ko)
CN (1) CN1101863C (ko)
AU (1) AU1802900A (ko)
TW (1) TW480296B (ko)
WO (1) WO20000393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085B1 (ko) * 2011-04-08 2013-04-10 주식회사 덕우실업 초박형직물제조용 폴리에스테르 저수축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2964B1 (en) * 1997-08-18 2003-11-25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lyester fiber and fabric prepared therefrom
EP1298236A4 (en) * 2000-02-04 2004-12-01 Asahi Chemical Ind ELASTIC FABRIC
US6287688B1 (en) 2000-03-03 2001-09-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rtially oriented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yarn
EP1183409B1 (en) 2000-03-03 2005-11-1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yarn
JP2002201548A (ja) * 2000-11-06 2002-07-19 Asahi Kasei Corp 表皮材用織物
US6782923B2 (en) * 2001-11-13 2004-08-31 Invista North America, S.A.R.L. Weft-stretch woven fabric with high recovery
US6923925B2 (en) 2002-06-27 2005-08-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of making poly (trimethylene dicarboxylate) fibers
US6921803B2 (en) 2002-07-11 2005-07-2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their manufacture and use
US20040265585A1 (en) * 2003-06-27 2004-12-30 Moore Steven Clay Adhesive coated sewing thread
US20060063452A1 (en) * 2003-06-27 2006-03-23 Moore Steven C Adhesive coated sewing thread
JPWO2005004652A1 (ja) * 2003-07-14 2006-08-24 富士ケミカル株式会社 人工毛髪及びその製造方法
US7217876B2 (en) * 2003-11-14 2007-05-15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trings for musical instruments
US20050272336A1 (en) * 2004-06-04 2005-12-08 Chang Jing C Polymer compositions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WO2006086305A2 (en) * 2005-02-08 2006-08-17 J.D'addario & Company, Inc. Method for coating wire for a musical instrument string, and coated string
US7666501B2 (en) 2005-12-07 2010-02-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oly(alpha-hydroxy acid) bi-constituent filaments
KR101289257B1 (ko) * 2006-09-14 2013-08-0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섬유, 직편물, 카시트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DE202006020374U1 (de) * 2006-11-10 2008-07-10 Gustav Pirazzi & Comp. Kg Musiksaite
US8729399B2 (en) * 2010-05-31 2014-05-20 Hitachi Metals, Ltd. Flat cab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0215257B2 (en) * 2014-04-17 2019-02-26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Short rubber reinforcement fiber, rubber composition containing said short fiber, and power transmission belt
US9845555B1 (en) * 2015-08-11 2017-12-19 Parkdale, Incorporated Stretch spun yarn and yarn spinning method
IT201700036730A1 (it) * 2017-04-04 2018-10-04 Mimmo Peruffo Uso di un polimero termoplastico per la realizzazione di corde per strumenti musicali e attrezzi sportivi
JP2021168818A (ja) * 2020-04-16 2021-10-28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およびラ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4216A (ja) * 1981-12-14 1983-06-21 Teijin Ltd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ト繊維の製造法
US5340909A (en) 1991-12-18 1994-08-23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Poly(1,3-propylene terephthalate)
TW288052B (ko) * 1994-06-30 1996-10-11 Du Pont
US6423814B1 (en) 1997-09-03 2002-07-23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lyester resin composition
US6284370B1 (en) * 1997-11-26 2001-09-0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lyester fiber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11172526A (ja) * 1997-11-26 1999-06-29 Asahi Chem Ind Co Ltd 低熱応力ポリエステル繊維及びその紡糸方法
JP3187007B2 (ja) * 1998-02-18 2001-07-11 旭化成株式会社 加工性の優れたポリエステル繊維
US6287688B1 (en) * 2000-03-03 2001-09-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rtially oriented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ya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085B1 (ko) * 2011-04-08 2013-04-10 주식회사 덕우실업 초박형직물제조용 폴리에스테르 저수축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03623B1 (en) 2003-01-07
TW480296B (en) 2002-03-21
CN1101863C (zh) 2003-02-19
AU1802900A (en) 2000-07-31
JP3194431B2 (ja) 2001-07-30
CN1332814A (zh) 2002-01-23
KR100404355B1 (ko) 2003-11-05
EP1167594A1 (en) 2002-01-02
WO2000039374A1 (fr) 200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355B1 (ko)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얀
US4084399A (en) Gut for racket
US5327714A (en) Synthetic string for sporting application
US6460321B1 (en) Racquet string
TWI593446B (zh) Racket str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4391088A (en) String for sports rackets
US4530206A (en) Strings for tennis rackets and rackets equipped with same
US4449353A (en) Gut string for sports rackets
US4586708A (en) Sports racket strings of a synthetic thermoplastic polymeric material
US6978593B2 (en) Composite synthetic string for tennis racket
JP2898228B2 (ja) 合成スト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74134A1 (en) Musical instrument string including synthetic spider silk
JPH03205070A (ja) ガットの製造法
JP2003154039A (ja) ストリング
US20110136601A1 (en) Racket st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racket strung with the same
JPS6336365Y2 (ko)
JPH02198Y2 (ko)
JPH119725A (ja) ガット
RU2286412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рученой армированной нити
JPH08229163A (ja) 合成ストリ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87940A (ja) 複合糸
JPH026543B2 (ko)
JPH07148285A (ja) ラケット用ガット
JP4867205B2 (ja) ストリングス
JP2000262653A (ja) スト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