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190A -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 - Google Patents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190A
KR20010081190A KR1020000006319A KR20000006319A KR20010081190A KR 20010081190 A KR20010081190 A KR 20010081190A KR 1020000006319 A KR1020000006319 A KR 1020000006319A KR 20000006319 A KR20000006319 A KR 20000006319A KR 20010081190 A KR20010081190 A KR 20010081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isocyanate
polyurethane film
isocyanate
woven fabric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9864B1 (ko
Inventor
박명환
편도기
김현정
Original Assignee
박명환
주식회사 바이오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환, 주식회사 바이오폴 filed Critical 박명환
Priority to KR102000000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8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8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투습성 필름과 고흡습성 부직포가 복합화된 구조의 폐쇄성 부직포 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고흡수성 부직포의 한면 혹은 양면에 두께가 1∼300㎛이고 직경 10㎛ 이하의 pore를 다수 갖는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때 사용하는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테르폴리올, 쇄연장제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부직포는 합성섬유 및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부직포나 천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드레싱재는 외부로부터의 박테리아 침입을 방지하고, 공기투과성 및 습기투과성이 모두 우수하며, 고흡수성과 상처면 비부착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고흡수성의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삼출액 발생 정도에 무관하게 다양한 상처에 적용가능하고 높은 투습도를 유지함으로써 장기간 부착이 가능한 광범위 폐쇄성 드레싱재이다.

Description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 {Microporous polyurethane film attached non-woven fabric dressing}
본 발명은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고흡수성 부직포(제 1도의 2)에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제 1도의 1)이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피부란 인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고 체온조절, 세균침입방지등 중요한 생명보호기능을 수행하는 장기의 하나로서 피부가 화상이나 각종 외상에 의해서 결손이 일어나게 되면 그 보호작용이 상실되어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고, 수분 손실등에 따른 여러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 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또는 손상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생명연장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드레싱재를 이용한 상처 치료가 필수적이다.
창상치유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를 간단히 설명하면 습윤환경, 감염, 이물·괴사조직, 온도, 산소농도, PH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상적인 드레싱재 요건은 상처와의 접촉면에서 적당한 습기의 유지 능력, 삼출물의 흡수 능력, 상처에 대한 부착과 제거의 용이성, 외부와의 가스·수증기 전달 능력, 외부로부터의 단열성, 박테리아의 침입에 대한 방어력, 인체에 무독성, 우수한 기계적 물성, 경제성 등을 들 수 있다.
통상의 거즈형 드레싱재는 삼출액의 흡수는 용이하나 박테리아의 감염에 대한 방어기능이 없고 상처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켜 치료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드레싱재가 상처면에 부착하여 교환시 제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치유 초기 단계에서는 삼출물이 많기 때문에 하루에도 몇번씩 드레싱재를 교환해 주어야하는 단점등이 있다. 현재 거즈형 드레싱재의 문제점을 개선한 다양한 폐쇄성 드레싱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고가격이고 흡습성의 조절 용이성 및 투습도의 조절 용이성 부족으로 인하여 광범위 창상에 적용되지 못하고 특정한 용도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폐쇄성 드레싱재의 종류에는 필름형, 하이드로콜로이드형, 하이드로겔형, 소디움알지네이트등을 사용한 부직포형, 폴리우레탄 폼형 등이 있다. 특히, 필름형 드레싱재는 사용의 간편성, 제조의 용이성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미국특허 제 4,202,800, 4,367,327, 4,686,137호에서는 친수성 폴리올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여 드레싱재로 적용하였다. 상기의 필름형 드레싱재는 가벼운 상처 즉, 찰과상, 진무름 또는 skin graft donor site에는 유용하나 투습도 및 흡수능이 부족하여 삼출액이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 창상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 5,437,621호에서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부직포에 라미네이션시켜 폐쇄성 드레싱재를 제조하였으나 삼출액 흡수속도가 늦고 저투습도로 인하여 흡수된 삼출액의 투습, 건조에 따른 지속적인 삼출액 흡수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삼출액이 비교적 많은 창상용 드레싱재로의 적용에는 무리가 있다. 이상의 필름형 드레싱재는 제조의 용이성 및 사용의 간편성은 있으나, 특성 측면에서 삼출액 흡수층이 없고 투습도가 낮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삼출액의 흡수성, 공기투과성 및 투습성이 우수하고 경한 창상에서부터 삼출액이 다량 발생하는 욕창, 화상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취급이 용이한 부직포 드레싱재를 개발하는데 있다. 즉, 그 주조가 고흡수성 부직포에 직경 10㎛ 이하의 pore를 갖는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한면 또는 양면에 부착된 형태를 갖으며, 고투습도 및 고흡수능을 보유함에 의해 외부로부터 박테리아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삼출액이 적은 창상으로부터 많은 창상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 가능한 폐쇄성 부직포 드레싱재에 관한 제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 1도는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
제 2도는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흡수성 부직포(제 1도의 2)에 직경 10㎛ 이하의 pore를 갖는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제 1도의 1)을 부착시킨 구조의 폐쇄성 부직포 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고흡수성 부직포상에 형성된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구조는 두께가 1∼300㎛이고 직경 10㎛ 이하의 pore(제 2도)를 다수 갖고 있으며, 고흡수성 부직포의 한면 혹은 양면에 부착된 구조로 되어있다.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는 미세 pore 필름의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고투습성, 창면 부착 방지성, 외부로부터의 세균 감염 방지성, 장기 착용성 등의 특성을 확보하고 고흡수성 부직포층에 의한 삼출액의 고흡수성등의 특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폴리우레탄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에테르폴리올 그리고 쇄연장제(chain extender)로부터 합성 제조하고 친수성 부여제 및 항균제를 혼용할 수 있다. 즉, 질소 개스를 채운 3L 플라스크내에 폴리에테르폴리올, 쇄연장제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반응기내의 온도를 60∼70℃로 유지시킨 후 이소시아네이트를 분할 투입하면서 점도를 상승시킨다. 점도가 상승하면 용제를 분할 투입하여 반응 점도를 조절하고 고형분과 점도가 설계한 목표치에 도달하면 잔료 NCO 유무를 확인한 후 반응을 종결한다.
폴리우레탄 수지 합성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이성질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비스-4' -프로판이소시아네이트, 6-이소프로필-1,3-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2-이소시아네이트에틸)-퓨마레이트, 3,3' -디메틸-4,4'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4,4' -바이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 -디메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이성질체,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다.
폴리에테르폴리올류로는 분자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200∼3,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0∼6,00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랜덤 공중합체, 분자내에 2개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1,000∼3,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쇄연장제로는 분자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글레세롤,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솔보스(sorbose), 솔비톨(sorbitol)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사용하는 편이 좋다.
폴리우레탄 용제로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메틸에틸케톤(MEK), 아세톤(Acetone)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DMF, DMAc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합성한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고흡수성 부직포에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합성한 폴리우레탄 수지를 물과의 혼화성이 우수한 용제에 용해하여 폴리우레탄 용액을 제조하고, 부직포에 코팅한 후 응고조의 물속에 침적시켜 미세다공성 필름을 형성시킨다. 물속에서 폴리우레탄 용액은 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용제가 물로 빠져나가면서 폴리우레탄 수지의 응축이 일어나고 동시에 미세 pore를 갖는 필름의 형태로 부직포의 표면에 부착된다. 이때 응고조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응축을 조절하기 위하여 물과의 혼화성이 우수한 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혼합 용제로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메틸에틸케톤(MEK), 아세톤(Acetone),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로는 폴리에스터, 레이욘, 나이론등의 합성섬유 및 견, 면등의 천연섬유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및 천을 사용하고 흡습도는 200%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친수성부여제로는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인 L-62, L-64, P-84, P-85, P-105, F-68, F-87, F-88, F-108, F-127(바스프사)과 히아루론산(Hyarunoic aci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MC), 펙틴(pectin), 구아검(guar gum), 소디움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키틴(chitin), 키토산(chitosan), 젤라틴(gellatin), 스타치(starch),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hydroxyethyl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카라야검(karaya gum) 및 이들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항균제로는 실버설퍼다이아진(silver sulfadiazine), 클로로헥시딘(chlorohexidine), 포비돈이오딘(povidoneiodine), 벤즈알코니움 클로리드(benzalkonium chloride), 퓨라진(furagin), 이도카인(idocaine), 지노솔트(zino salt), 비브리오리신(vibriolysin), 헥사클로로펜(hexachlorophene),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chlorotetracycline), 네오마이신(nomycin), 페니실린(penicillin), 젠타마이신, 아크리놀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합성예, 실시예, 비교예에 의하여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질소 개스를 채운 3L 플라스크내에 분자량 2,000의 폴리에틸렌 0.2mol, 분자량 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0.8mol, 에틸렌글리콜 3mol, 메틸에틸케톤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반응기내의 온도를 60∼70℃로 유지시킨 후 디페닐메탄디이소이사네이트를 분할 투입하면서 점도를 상승시킨다. 점도가 상승하면 용제를 분할 투입하여 반응 점도를 조절하고 고형분이 30%에 도달하면 잔류 NCO 유무를 확인한 후 반응을 종결한다.
[합성예 2]
본 발명에서 사용한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질소 개스를 채운 3L 플라스크내에 분자량 2,000의 폴리에틸렌 0.2mol, 분자량 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0.8mol, 에틸렌글리콜 3mol, 메틸에틸케톤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반응기내의 온도를 60∼70℃로 유지시킨 후 디페닐메탄디이소이사네이트를 분할 투입하면서 점도를 상승시킨다. 점도가 상승하면 용제를 분할 투입하여 반응 점도를 조절하고 고형분이 30%에 도달하면 잔료 NCO 유무를 확인한 후 반응을 종결한다. 그리고 상기의 폴리우레탄 용액에 폴리우레탄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의 F-127과 1.0 중량%의 실버설퍼다이아진(silver sulfadiazine)을 투입한 후 상온에서 30분 교반하여 친수성부여제와 항균제가 분산된 폴리우레탄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을 부직포에 4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킨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MEK 농도를 20%로 하였고 응고시간은 2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은 즉시 응고되어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된다. 다음 응고 시편을 꺼내어 물속에 옮겨 넣고 10분 경과 후 꺼내어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기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물성은 다음에 예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고흡수성 부직포상에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을 형성시킨 폐쇄성 드레싱제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① 기계적물성(인장강도, 신율, 모듈러스)
인장시험기(Universal Test Machine, USA, Instron)로 JIS-K-640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② 흡수도%
본 발명의 폐쇄성 드레싱제를 3Cm×3Cm의 크기로 취하여 70℃ oven에서 24시간 동안 drying시킨 후 초기 무게(A)를 측정하고 25℃ 증류수에 48시간 동안 함침보관한 후 꺼내어 무진 휴지로 표면의 물기를 닦아낸 후 무게(B)를 측정한다. 최종적으로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흡수도% = (B-A)/A × 100
③ 투습도
항온 항습 장치를 이용하여 KS M 6886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온도는 40℃로 하였고 상대 습도는 90%로 하였으며 다음식에 따라 투습도를 계산한다.
P=A/S
A=((a1-a0)+(a2-a1)+(a3-a2))/3
여기에서 P : 투습도(g/m2/24hr)
A : 1시간의 평균 증가량(g)
S : 시험편의 투습 면적(m2)
④ 몰폴로지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폐쇄성 드레싱제의 표면과 단면의 Cell 모양과 크기를 측정하였다.
⑤ 세포에 대한 독성 실험
본 발명의 폐쇄성 드레싱제의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ISO 10993-5를 이용하였다. 세포는 국립위생연구소에서 제공한 마우스 섬유아세포인 3T3 세포를 이용하였다. 12 Well 플라스틱 배양 접시에 10% FCS(Fetal Calf Serum)를 함유하는 RPMI-1640(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1640)을 배양액으로 하여 3T3 세포를 2 × 104/㎠로 파종시켰으며 37℃, 5% CO2하에서 4일 동안 2차 배양하였다. 여기에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를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각각 1일, 3일 동안 배양시켜 트립신/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용액을 사용하여 수확한 후 0.4% 트립판 블루 용액으로 염색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헤마싸이토미터로 측정하였다.
⑥ 동물실험
부직포 드레싱재의 상처치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평균 연령은 6∼8주, 몸무게는 250∼300g의 Rat을 이용하였다. Rat은 렘부탈로 복강마취시킨 후 등부위에 직경 4×4 cm의 정사각형의 피부결손을 만들고 드레싱을 실시하였다. 드레싱후 1주, 2주, 3주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결손부위의 크기 변화 및 교환시 조직세포의 탈리현상, 조직학적 검사를 하여 상처치유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을 부직포(ED-8423)에 4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킨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MEK의 농도를 20%로 하였고 응고시간은 10∼3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은 즉시 응고되어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된다. 다음 응고 시편을 꺼내어 물속에 옮겨 넣고 10분 경과 후 꺼내어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기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물성은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을 부직포(ED-8423)에 4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킨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MEK의 농도를 20%로 하였고 응고시간은 2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은 즉시 응고되어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된다. 다음 응고 시편을 꺼내어 물속에 옮겨 넣고 10분 경과 후 꺼내어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기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물성은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을 부직포(SPT-120)에 4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킨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MEK 농도를 20%로 하였고 응고시간은 2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은 즉시 응고되어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된다. 다음 응고 시편을 꺼내어 물속에 옮겨넣고 10분 경과 후 꺼내어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기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물성은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시판중인 S사의 제품(Opsite)을 적용하였고 물성은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알 수 있듯이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무공형 폴리우레탄 필름보다 기계적 물성은 떨어지나 투습도는 우수하다. 그리고 실시예 2, 3, 4에서는 고흡수성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흡수도가 크며 삼출액이 다량 발생하는 욕창, 화상등에도 사용가능하다. 실시예 1에서 실시예 4까지의 폴리우레탄 필름은 10㎛ 이하의 미세 pore를 갖는 미세다공성 필름이다. 실시예의 독성실험 결과는 살아있는 cell 수가 1일, 3일 경과 후 control의 cell 수에 대해 각각 40%, 10% 감소하였고 비교예 1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동물실험 결과 무처치군(control)과 실시예 1 및 기존 제품은 상처분비물의 흡수가 불충분하여 상처 치유가 수축에 의해 진행되었고 가피(crust)가 형성되었으나,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의 경우는 재상피화에 의해 상처치유가 진행되었고 가피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비교예 1에 비교해 50% 이상의 빠른 치유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는 기존의 필름 드레싱재의 단점인 저투습도 및 저흡수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드레싱재로, 그 구조가 10㎛이하의 미세 pore를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이 부직포의 한면 혹은 양면에 부착된 형태이고,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외부세균의 침입을 방지하고 창면부착을 방지하며 또한 투습도가 기존 제품에 비해 2배 이상 높고 흡수 삼출액의 충분한 투습 건조에 따른 지속적인 삼출액의 흡수가 가능하여서 많은 양의 삼출액이 비교적 장기간 발생되는 창상에도 적용 가능한 효율성이 우수한 드레싱재이다.

Claims (7)

  1.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는 그 구조가 직경 10㎛ 이하의 pore를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이 고흡수성 부직포 혹은 천의 한면 혹은 양면에 부착된 형태로 되어있다.
  2. 청구항 1에서,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테르폴리올, 쇄연장제를 사용하여 합성 제조한다.
  3. 청구항 1에서, 사용하는 부직포 혹은 천은 폴리에스터, 나이론, 레이욘등의 합성섬유로부터 제조된 것과 견, 면등의 천연섬유로부터 제조된 것을 포함한다.
  4. 청구항 2에서, 사용하는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이성질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비스-4' -프로판이소시아네이트, 6-이소프로필-1,3-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2-이소시아네이트에틸)-퓨마레이트, 3,3' -디메틸-4,4'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4,4' -바이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 -디메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한다.
  5. 청구항 2에서, 폴리올 및 쇄연장제로서 폴리올은 분자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200∼3,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0∼6,00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랜덤 공중합체, 분자내에 2개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1,000∼3,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쇄연장제는 분자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글레세롤,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솔보스(sorbose), 솔비톨(sorbitol)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6. 청구항 2에서, 폴리우레탄에 친수성부여제를 혼합 사용할 수 있고, 이에는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인 L-62, L-64, P-84, P-85, P-105, F-68, F-87, F-88, F-108, F-127(바스프사)과 natural gel인 히아루론산(Hyarunoic aci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MC), 펙틴(pectin), 구아검(guar gum), 소디움알지네이트(sodium alginate), 키틴(chitin), 키토산(chitosan), 젤라틴(gellatin), 스타치(starch),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hydroxyethylcellulose), 잔탄검(xanthan gum), 카라야검(karaya gum) 및 이들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7. 청구항 2및 3에서, 항균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에는 실버설퍼다이아진(silver sulfadiazine), 클로로헥시딘(chlorohexidine), 포비돈이오딘(povidone iodine), 벤즈알코니움 클로리드(benzalkonium chloride), 퓨라진(furagin), 이도카인(idocaine), 지노솔트(zino salt), 비브리오리신(vibriolysin), 헥사클로로펜(hexachlorophene),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chlorotetracycline), 네오마이신(nomycin), 페니실린(penicillin), 젠타마이신, 아크리놀을 사용할 수 있다.
KR1020000006319A 2000-02-10 2000-02-10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형성된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100359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319A KR100359864B1 (ko) 2000-02-10 2000-02-10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형성된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319A KR100359864B1 (ko) 2000-02-10 2000-02-10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형성된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190A true KR20010081190A (ko) 2001-08-29
KR100359864B1 KR100359864B1 (ko) 2002-11-07

Family

ID=1964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319A KR100359864B1 (ko) 2000-02-10 2000-02-10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형성된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86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413B1 (ko) * 2000-12-07 2003-01-24 호성케멕스 주식회사 투습성과 방수성을 갖는 폴리우레탄-부직포 합지 및 그의제조방법
WO2005065604A1 (en) * 2004-01-07 2005-07-21 Biopol Co., Ltd. Wound dressing
KR100716658B1 (ko) * 2005-11-11 2007-05-09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719433B1 (ko) * 2005-11-25 2007-05-1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745050B1 (ko) 2006-03-24 2007-08-02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839898B1 (ko) * 2007-04-24 2008-06-19 (주)원창무역 직물코팅용 항균투습형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418447B1 (ko) * 2012-09-27 2014-07-14 (주)폴리텍 부직포 롤
KR20170143369A (ko) 2016-06-21 2017-12-2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용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지혈용품
KR102269037B1 (ko) 2020-12-17 2021-06-25 주식회사 건바이오 미세기공 제어를 통하여 통기성이 개선된 다기능성 의료용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678B1 (ko) 2012-08-16 2014-01-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섬유시트 형태의 의료용 지지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865B1 (ko) * 1992-10-17 1999-03-20 윤종용 전자기기의 도어잠금장치
KR960011263B1 (ko) * 1993-06-12 1996-08-21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선폭 측정 포토마스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413B1 (ko) * 2000-12-07 2003-01-24 호성케멕스 주식회사 투습성과 방수성을 갖는 폴리우레탄-부직포 합지 및 그의제조방법
WO2005065604A1 (en) * 2004-01-07 2005-07-21 Biopol Co., Ltd. Wound dressing
KR100716658B1 (ko) * 2005-11-11 2007-05-09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719433B1 (ko) * 2005-11-25 2007-05-1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745050B1 (ko) 2006-03-24 2007-08-02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839898B1 (ko) * 2007-04-24 2008-06-19 (주)원창무역 직물코팅용 항균투습형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418447B1 (ko) * 2012-09-27 2014-07-14 (주)폴리텍 부직포 롤
KR20170143369A (ko) 2016-06-21 2017-12-2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혈용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지혈용품
KR102269037B1 (ko) 2020-12-17 2021-06-25 주식회사 건바이오 미세기공 제어를 통하여 통기성이 개선된 다기능성 의료용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9864B1 (ko)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4361B1 (en) Wound covering material
US20040018227A1 (en) Multilayered microporous foam dres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77908B1 (ko) 보수율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KR101787192B1 (ko) 항균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JPH06104116B2 (ja) 創傷被覆材
KR20190098881A (ko) 폴리우레탄 폼과 하이드로화이버가 복합화돤 쉬트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창상 피복제
KR100359864B1 (ko)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형성된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100719433B1 (ko)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CN1389186A (zh) 多层结构多微孔性泡沫敷料及其制造方法
KR100404140B1 (ko) 다층구조의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45034B1 (ko) 상처치료용드레싱제의제조방법
KR100340981B1 (ko)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 방법
JPH04317654A (ja) 創傷被覆材
KR100631108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WO2005065604A1 (en) Wound dressing
JP2001340375A (ja) 創傷被覆材
KR100667292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100546793B1 (ko) 키토산을 이용한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281494B (zh) 一种封闭型聚氨酯预聚物在制备纤维素基功能敷料中的应用
KR100553078B1 (ko) 2층 구조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KR200185721Y1 (ko) 미세다공성 표피 구조의 폼 드레싱재
JPH07313585A (ja) 創傷被覆材
CN117771411A (zh) 一种含壳聚糖的聚氨酯复合层、敷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50104704A (ko) 키토산을 이용한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6153B2 (ja) 創傷被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