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292B1 -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 Google Patents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292B1
KR100667292B1 KR1020040098455A KR20040098455A KR100667292B1 KR 100667292 B1 KR100667292 B1 KR 100667292B1 KR 1020040098455 A KR1020040098455 A KR 1020040098455A KR 20040098455 A KR20040098455 A KR 20040098455A KR 100667292 B1 KR100667292 B1 KR 100667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layer
dressing material
wound surface
surfac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385A (ko
Inventor
박명환
어철호
이필은
김현정
유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폴
박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폴, 박명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폴
Priority to KR102004009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292B1/ko
Priority to PCT/KR2004/003201 priority patent/WO2005065604A1/en
Publication of KR2006005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F13/01017
    • A61F13/01029
    • A61F13/0104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17Wound bandages not adhering to the wound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에 직접 접촉되어 상처를 보호하는 창상피복용 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균직경 5 ~ 80㎛의 미세포아와 고점도 삼출액 흡수 수단이 형성되고 두께가 10 ~ 200㎛인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처면 접촉층과, 상기 상처면 접촉층의 상부에 접합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창상피복용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층은 기재시트층 및/또는 고흡수성의 섬유상 흡수시트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점도 삼출액 흡수 수단은 직경 100 ~ 1,000㎛의 거대포아 및/또는 0.1 ~ 10㎜ 길이의 슬리트(slit)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재는 상기 지지층의 상부에 접합된 외측 보호필름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그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우수한 삼출액 흡수능 및 상처면 비부착 특성을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박테리아, 세균 및 이물질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상처에 적절한 습윤 환경을 제공하여 상처치유를 촉진한다.
창상피복, 드레싱재, 폴리우레탄, 흡수, 삼출액, 습윤환경

Description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WOUND DRESS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따른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따른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처면 접촉층의 표면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 실시예에 따른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형태에 따른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형태에 따른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형태에 따른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처면 접촉층 12 : 미세포아
14 : 거대포아 15 : 슬리트
20 : 기재시트층 30 : 섬유상 흡수시트층
40 : 외측 보호필름층
본 발명은 상처에 직접 접촉되어 상처를 보호하면서 상처 치료를 촉진하는 창상피복용 폐쇄성 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성, 방수성, 습기 투과성 등이 우수하고, 적절한 습윤 환경을 상처에 제공하며, 상처면 비부착 특성이 우수한 창상피복용 드레싱재에 관한 것이다.
피부란 인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고 체온조절, 세균침입 방지 등 중요한 생명보호기능을 수행하는 장기의 하나로서 피부가 화상이나 각종 외상에 의해서 결손이 일어나게 되면 그 보호 작용이 상실되어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고, 수분 손실 등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 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또는 손상 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생명연장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드레싱재를 이용한 상처 치료가 필수적이다.
창상치유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는 습윤 환경, 감염, 이물, 괴사조직, 온도, 산소농도, pH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상적인 드레싱재 요건은 상처와의 접촉면에서 적당한 습기의 유지 능력, 삼출액의 흡수 능력, 상처에 대한 부착과 제거의 용이성, 외부와의 가스ㆍ수증기 전달 능력, 외부로부터의 단열성, 박테리아의 침입에 대한 방어력, 인체에 대한 방어력, 인체에 무독성, 경제성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거즈 및 부직포형 드레싱재는 삼출액의 흡수는 용이하나 박테리아의 감염에 대한 방어기능이 없고 상처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켜 치료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드레싱재가 상처면에 부착되어 교환시 신생조직의 손상을 초래하며 제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표면에 있는 돌출 섬유 등이 탈락되어 상처에 이물질로 존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중 상처면 부착을 방지하고 돌출 섬유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필름을 부착한 부직포 및 거즈 드레싱재가 제시되었으나, 이는 상처면을 습윤 환경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 상처면을 습윤 환경으로 유지해주는 다양한 폐쇄성 드레싱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고가격이고 흡수성의 조절 용이성 및 투습도의 조절 용이성 부족으로 인하여 광범위 창상에 적용되지 못하고 특정한 용도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폐쇄성 드레싱재의 종류에는 필름형, 폼형, 하이드로콜로이드형, 하이드로겔형, 소디움알지네이트 등을 사용한 부직포형 등이 있다. 특히, 필름형 드레싱재는 사용의 간편성, 제조의 용이성은 있으나 흡수 능력이 없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그 외의 폐쇄성 드레싱재는 사용의 간편성, 제조의 용이성, 경제성 등에서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미국특허 제4,202,800호, 제4,367,327호, 제4,686,137호에서는 친수성 폴리올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여 드레싱재로 적용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필름형 드레싱재는 가벼운 상처 즉, 찰과상, 진무름 등 삼출액 발생이 적은상처에는 유용하나 투습도 및 흡수능이 부족하여 삼출액이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 창상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름형 드레싱재는 제조의 용이성 및 사용의 간편성은 있으나, 드레싱재의 특성 측면에서 상처면 비부착성 및 삼출액 흡수능이 부족하고 투습도가 낮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상처면에 미세포아 및 고점도 삼출액 흡수 수단을 가지는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접촉되게 함으로써 삼출액 흡수능이 우수하고 상처면 비부착 특성을 갖는 창상피복용 드레싱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흡수성의 섬유상 흡수시트를 갖게 함으로써 상처에 적절한 습윤환경을 유지하고 경한 창상에서부터 삼출액이 다량 발생하는 욕창, 화상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우수한 창상피복용 드레싱재를 제공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공기투과성 및 투습성이 우수하고 방수성이 뛰어난 외측 보호필름을 갖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박테리아, 이물질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삼출액의 외부누출 방지 및 적절한 습윤 환경을 유지하는 창상피복용 드레싱재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균직경 5 ~ 80㎛의 미세포아와 고 점도 삼출액 흡수 수단이 형성되고 두께가 10 ~ 200㎛인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처면 접촉층과, 상기 상처면 접촉층의 상부에 접합된 지지층을 포함하는 창상피복용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지지층은 기재시트층 및/또는 고흡수성의 섬유상 흡수시트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점도 삼출액 흡수 수단은 직경 100 ~ 1,000㎛의 거대포아 및/또는 0.1 ~ 10㎜ 길이의 슬리트(slit)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재는 상기 지지층의 상부에 접합된 외측 보호필름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창상피복용 드레싱재는 상처면 비부착 특성과 삼출액 흡수 기능을 갖는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처면 접촉층과, 이 상처면 접촉층의 지지기능 및 흡수된 삼출액의 담지 기능을 갖는 기재시트층(또는 섬유상 흡수층), 바람직하게는 외부로부터의 세균 및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고 적절한 투습도를 유지시키는 외측 보호필름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두께 및 형태는 드레싱재의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두께는 0.1mm ~ 10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재는 그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상처면 비부착성, 삼출액 고흡수성, 적절한 습윤 환경 유지,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등의 침입 방지 등의 특성을 가짐에 따라 상처치유 효과가 우수하고 경한 상처는 물론 광범위한 심한 창상에까지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드레싱재 교환 시 상처면 부착에 따른 환자의 고통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접합'은 본 발명의 드레싱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각 층들) 상호간이 접착제, 열 가압 또는 초음파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거나, 어떤 하나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용액이 다른 구성요소에 코팅, 고착되어 결합되거나, 또는 위와 같은 결합에 의하지 않고 단순히 적층된 것 등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레싱재는 적어도 상처에 직접 접촉하는 상처면 접촉층(10)과, 상기 상처면 접촉층(10)을 지지하는 지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층은 상처면 접촉층(10)의 상부에 접합되어 상처면 접촉층(10)을 지지하면서, 흡수된 삼출액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층은 기재시트층(20)이거나, 바람직하게는 고흡수성을 가지는 섬유상 흡수시트층(30)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형태에 따른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로서, 상처면 접촉층(10)과 기재시트층(20)으로 이루어진 2층 구조의 드레싱재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2형태에 따른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로서, 상처면 접촉층(10)과 고흡수성의 섬유상 흡수시트층(30)으로 이루어진 2층 구조의 드레싱재를 보인 것이다.
상기 상처면 접촉층(10)은 다수의 미세다공 구조를 가지는 10 ~ 200㎛ 두께의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처면 접촉층(10)은 평균직경 5 ~ 80㎛의 미세포아(12)가 다수 형성된 미세다공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상처면 접촉층(10)은 다수의 미세포아(12)와 함께 소수의 고점도 삼출액 흡수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점도 삼출액 흡수 수단은 점도가 높은 삼출액을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직경 100 ~ 1,000㎛의 거대포아(14) 및/또는 0.1 ~ 10㎜ 길이의 슬리트(15)이다. 도 3은 상기 상처면 접촉층(10)의 표면 모식도를 보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처면 접촉층(10)은 평균직경 5 ~ 80㎛의 미세포아(12)와 직경 100 ~ 1,000㎛의 거대포아(14)가 형성된 구조이거나, 평균직경 5 ~ 80㎛의 미세포아(12)와 0.1 ~ 10㎜ 길이의 슬리트(15)가 형성된 구조, 또는 평균직경 5 ~ 80㎛의 미세포아(12)와 함께 직경 100 ~ 1,000㎛의 거대포아(14)와 0.1 ~ 10㎜ 길이의 슬리트(15)가 동시에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미세포아(12), 거대포아(14) 및 슬리트(15)가 동시에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처면 접촉층(10)은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우수한 삼출액 흡수능과 상처면 비부착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처면에 부착되지 않게 함으로써 신생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며 드레싱재 교환 시 상처면 부착에 따른 환자의 고통을 방지한다.
위와 같은 상처면 접촉층(10)은 폴리우레탄 용액을 지지층(즉, 기재시트층 또는 섬유상 흡수시트층)에 코팅한 후 응고(Coagulation)하여 지지층에 접합되거나, 폴리우레탄 용액을 별도의 이형지 상에 코팅한 다음 응고(Coagulation)하여 필름을 제조한 후 지지층에 접합될 수 있다. 이때, 폴리우레탄 용액이 응고되는 과정에서 평균직경 5 ~ 80㎛의 미세포아(12)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점도 삼출액 흡수 수단으로서 직경 100 ~ 1,000㎛의 거대포아(14)나 슬리트(15)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처면 접촉층(10)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용액은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그리고 쇄연장제(Chain extender)로부터 합성되는 폴리우레탄 수지에 용제가 혼합된 용액이다. 그리고 이 용액에는 친수성 부여제 및 항균제 등이 혼합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반응기에 폴리올, 쇄연장제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반응기내의 온도를 70 ~ 80℃로 유지시킨 후 이소시아네이트를 분할 투입하면서 점도를 상승시키고, 점도가 상승하면 용제를 분할 투입하여 반응 점도를 조절하고 점도가 설계한 목표치에 도달하면 잔류 NCO(이소시아네이트)유무를 확인한 후 반응을 종결하여 합성 제조된다.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에 있어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비스4'-프로판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이성질체,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올류로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200 ~ 3,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3,000 ~ 6,00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랜덤 공중합체, 분자 내에 2개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1,000 ~ 3,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에테르폴리올류와 분자량 500 ~ 3,500인 폴리에스터폴리올류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쇄연장제(Chain extender)로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1,3-부 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에스터글리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에틸렌그리콜, 1,6-헥산디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폴리우레탄 수지의 점도 조절제로 사용되는 용제는 물과의 혼화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이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아세톤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와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합성한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지지층에 필름형태로 접합시키기 위하여 침전 응고법과 선별증류 응고법이 사용될 수 있다. 침전 응고법은 폴리우레탄 수지를 물과의 혼화성이 우수한 용제에 용해하여 저점도의 폴리우레탄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지지층에 코팅한 후 응고조의 물속에 침적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폴리우레탄 용액에서 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한 용제가 물로 빠져나가면서 폴리우레탄 수지가 응고되고 이와 동시에 미세포아(12)를 갖는 필름이 지지층의 표면에 부착 생성된다. 그리고 선별증류 응고법은 폴리우레탄 수지를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하여 비용매이면서 고비점을 갖는 용제와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하여 용매이면서 저비점을 갖는 용제로 이루어진 혼합용제에 용해한 후, 이를 지지층에 코팅한 다음 열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저비점 용제의 휘발에 따른 폴리우레탄의 응축현상으로 미세포아(12)를 갖는 필름이 지지층의 표면에 부착 생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 실시예에 따른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으로서, 이는 침전 응고법에 의하여 다수의 미세포아(12)를 형성시킨 것이다.
위와 같이 상처면 접촉층(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제조와 동시에 지지층에 접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형지 상에 폴리우레탄 용액을 코팅하여 응고법으로 미세포아(12)를 갖도록 상처면 접촉층(10)을 제조한 후 이를 이형지로부터 분리시켜 지지층에 열 가압 등의 방법으로 접합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지지층의 표면에 접합된 상처면 접촉층(10)에는 천공, 절단 등의 기계적인 방법으로 100 ~ 1,000㎛의 거대포아(14) 및/또는 0.1 ~ 10㎜의 슬리트(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처면 접촉층(10)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용액에는 드레싱재의 흡수성을 높이기 위하여 친수성 부여제로서 고흡수성 수지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고흡수성 수지로는 L-62, L-64, P-84, P-85, P-105, F-68, F-87, F-88, F-108, F-127(독일, 바스프사) 등과 같은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히아루론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펙틴, 구아검, 소디움알지네이트, 키틴, 키토산, 젤라틴, 스타치,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잔탄검, 카라야검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우레탄 용액에는 항균성을 높이기 위하여 항균제가 혼합될 수 있으며, 이 항균제로는 실버설퍼다이아진, 클로로헥시딘, 포비돈이오딘, 이도카인, 지노솔트, 비브리오리신,헥사클로로펜,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네오마이신, 페니실린, 젠타마이신, 아크리놀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시트층(20) 및/또는 고흡수성의 섬유상 흡수시트층(30)으로 구성될 수 있는 데, 이때 상기 기재시트층(20)은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기재시트로 구성되며, 이 기재시트는 폴리에스터, 폴리에칠렌, 폴리프로필렌, 나이론, 아크릴, 레이온, 견, 면 등과 같은 합성섬유나 천연섬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부직포, 직포, 또는 천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지지력과 함께 흡수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섬유상 흡수시트층(30)은 고흡수성을 갖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흡수시트로 구성되며, 이 흡수시트는 합성섬유나 천연섬유를 솜 형태로 집합시켜 시트 상으로 가공한 것이거나, 합성섬유나 천연섬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부직포, 직포, 또는 천과 같은 기재시트 중에서 흡수도가 높은 것, 또는 이와 같은 기재시트에 고흡수성의 섬유나 고흡수성의 고분자 또는 천연물이 산포 등의 방법으로 접합된 고흡수성의 흡수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섬유나 천연섬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부직포, 직포, 또는 천과 같은 기재시트와, 이 기재시트에 혼용된 고흡수성 고분자 또는 천연물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상 흡수시트층(30)은 폴리아크릴산, 폴리설폰산 염계, 폴리아크릴산염계, 폴리비닐알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사카라이드,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펙틴, 구아검, 소디움알지네이트, 키틴, 키토산, 젤라틴, 스타치,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펄프, 카라야검 등으로 이루어진 고흡수성 고분자 및 천연물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기재시트에 산포 또는 함침 등의 방법으로 혼용 되어 구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섬유상 흡수시트층(30)은 고흡수성 고분자 및 천연물의 종류와 사용량에 따라 적절한 습윤 환경 조절 및 흡수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자기무게의 400%이상을 흡수할 수 있는 높은 삼출액 흡수능과 흡수한 삼출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보유력(Retention)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형태에 따른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제 3형태에 따르면, 드레싱재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처면에 접촉되는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상처면 접촉층(10), 기재시트층(20) 및 섬유상 흡수시트층(30)이 접합되어 이루어진 3층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3층 구조는 충분한 지지력과 함께 특히 삼출액 흡수능 및 보유력이 우수하여 삼출액이 다량 발생하는 창상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고 비교적 잦은 드레싱 교환이 요구될 경우 유용하게 적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형태에 따른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제 4형태에 따르면, 드레싱재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처면에 접촉되는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상처면 접촉층(10), 기재시트층(20)/섬유상 흡수시트층(30) 및 외측 보호필름층(40)이 접합되어 이루어진 3층 구조를 갖는다. 즉, 상처면 접촉층(10)과 외측 보호필름층(40)의 사이에 기재시트층(20) 또는 섬유상 흡수시트층(30)이 개재된 3층 구조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 5형태에 따른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로서, 본 발명의 제 5형태에 따른 드레싱재는, 상처면에 접촉되는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상처면 접촉층(10), 기재시트층(20), 섬유상 흡수시트층(30) 및 외측 보호필름층(40)이 접합되어 이루어진 4층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형태(도 6) 및 제 5형태(도 7)에 적용된 상기 외측 보호필름층(40)은 두께 10 ~ 200㎛의 투습성 필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보호 필름층(40)은 포어(pore)가 없는 비다공질(non-porous) 필름으로서 습기 투과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방수성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외측 보호필름층(40)은 외부로부터의 박테리아 및 이물질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삼출액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며 적절한 습기 투과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특히 상처에 적절한 습윤 환경을 제공하여 상처치유를 촉진한다.
상기 외측 보호필름층(40)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의 다양한 소재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습도 300 ~ 2,000g/㎡/24hr를 갖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 형태로서, 합성예, 제조예, 실시예 및 이와 비교되는 비교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합성예 1 >
본 합성예의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질소 가스를 채운 3L 플라스크 내에 분자량 2,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0.2mol, 분자량 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0.8mol, 분자량 3,000의 폴리에스터폴리올 0.4mol, 1,4-부탄디올 3mol, 디메틸포름아미드(DMF)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반응기 내의 온도를 70 ~ 80℃로 유지시킨 후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를 분할 투입하면서 점도를 상승시켰다. 점도가 상승하면 용제를 분할 투입하여 반응 점도를 조절하고 고형분이 30%에 도달하면 잔류 이소시아네이트 유무를 확인한 후 반응을 종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DMF) 200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용액을 얻었다.
< 합성예 2 >
본 합성예의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질소 가스를 채운 3L 플라스크내에 분자량 2,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0.2mol, 분자량 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0.8mol, 분자량 3,000의 폴리에스터폴리올 0.4mol, 1,4-부탄디올 3mol, 디메틸포름아미드(DMF)를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고 반응기 내의 온도를 70~80℃로 유지시킨 후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를 분할 투입하면서 점도를 상승시켰다. 점도가 상승하면 용제를 분할 투입하여 반응 점도를 조절하고 고형분이 30%에 도달하면 잔류 이소시아네이트 유무를 확인한 후 반응을 종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를 폴리우레탄 수지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50중량부의 F-127과 1.0중량부의 실버설퍼다이아진, 그리고 200중량부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을 투입한 후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친수성부여제와 항균제가 분산된 폴리우레탄 용액을 제조하였다.
< 외측 보호필름 제조예 >
폴리우레탄 에라스토머 20g을 디메틸포름아미드(DMF)와 메틸에틸케톤(MEK)의 혼합용매(DMF:MEK=30:70)에 넣고 60℃로 가열ㆍ교반하면서 녹여 점조액체상태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를 일정 두께의 게이지 바(Gauge Bar)로 그 양면을 고정시키고, 이 이형 처리된 이형지 상에 상기 폴리우레탄 용액을 흘리고 필름 코터기로 균일한 두께로 도포한 후 100℃ 오븐에서 1시간 이상 건조시켜 두께 20㎛의 비다공질 폴리우레탄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
상기 합성예 1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부직포(대한민국, 바이린사 제품)에 5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켰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30wt%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수용액으로 하였고, 온도는 30℃를 유지하였으며, 응고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용액은 응고되기 시작하면서 미세포아(12)를 가지는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되었다. 이를 다시 스퀴징(squeezing)을 하여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오븐에서 20분 동안 열풍 건조시켰다. 이 건조 시편을 기계적으로 천공하여 직경 1,000㎛의 크기로 1㎠당 15개의 거대포아(14)를 만들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재의 층 구조는 도 1과 같다. 이와 같이 제조된 드레싱재에 대하여 다음의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① 제품의 두께
다이알식 마이크로미터기를 사용하여 완제품의 두께를 3군데 측정하여 평균 값을 내었다.
②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신장율)
인장시험기(Universial Test Machine, USA, Instron)로 JIS-K-640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③ 흡수도(%)
제조된 드레싱재를 3cm × 3cm의 크기로 취하여 70℃ 오븐(oven)에서 24시간동안 건조시킨 후 초기무게(A)를 측정하고, 25℃증류수에 48시간 동안 함침 보관한 후 꺼내어 무진 휴지로 표면의 물기를 닦아낸 다음 무게(B)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다음 식에 따라 흡수도(%)를 계산하였다.
흡수도(%) = (B-A)/A ㅧ 100
④ 투습도
항온 항습기를 이용하여 ASTM E96-94의 Desiccant Method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온도는 40℃로 하였고 상대 습도는 90%로 하였으며 다음 식에 따라 투습도를 계산하였다.
P=A/S
A={(a1-a0) + (a2-a1) + (a3-a2)}/3
여기에서 P : 투습도(g/㎡/24hr)
A : 1시간의 평균 증가량(g)
S : 시험편의 투습면적(㎡)
a0: 1시간 후 측정한 무게(g)
a1 a2, a3 : 2시간, 3시간, 4시간 후 측정한 무게(g)
⑤ 포아(pore)의 크기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드레싱재 표면의 포아(pore)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⑥ 동물실험
드레싱재의 상처치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평균연령은 6 ~ 8주, 몸무게는 250 ~ 300g의 Rat을 이용하였다. Rat을 렘부탈로 복강 마취시킨 후 등부위에 직경 4cm × 4cm의 정사각형의 피부결손을 만들고 드레싱을 실시하였다. 드레싱 후 1주, 2주, 3주 시간경과에 따른 피부결손부위의 크기 변화 그리고 드레싱재의 교환 시 신생 조직세포의 탈리 현상 및 조직학적 검사를 하여 상처치유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부직포(대한민국, 바이린사 제품)에 5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켰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30wt%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수용액으로 하였고, 온도는 30℃를 유지하였으며, 응고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용액은 응고되기 시작하면서 미세포아(12)를 가지는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되었다. 이를 다시 스퀴징(squeezing)을 하여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오븐에서 20분 동안 열풍 건조시켰다. 이 건조 시편을 기계적으로 천공하여 직경 1,000㎛의 크기로 1㎠당 15개의 거대포아(14)를 만 들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재의 층 구조는 도 1과 같다. 이와 같이 제조된 드레싱재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부직포(대한민국, 바이린사 제품)에 5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켰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30wt%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수용액으로 하였고, 온도는 30℃를 유지하였으며, 응고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용액은 응고되기 시작하면서 미세포아(12)를 가지는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되었다. 이를 다시 스퀴징(squeezing)을 하여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오븐에서 20분 동안 열풍 건조시켰다. 이 건조 시편을 기계적으로 천공하여 직경 1,000㎛의 크기로 1㎠당 15개의 거대포아(14)를 만들었다.
위와 같이 천공된 폴리우레탄 필름 시트에 부직포 흡수 시트(대한민국, 백산린텍스사 제품, 두께:0.3mm)를 적층한 후, 그 위에 상기 외측 보호필름 제조예에 따른 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시켰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재의 층 구조는 도 6과 같다. 이와 같이 제조된 드레싱재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부직포(대한민국, 바이린사 제품)에 5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켰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30wt%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수용액으로 하였고, 온도는 30℃를 유지하였으며, 응고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용액은 응고되기 시작하면서 미세포아(12)를 가지는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되었다. 이를 다시 스퀴징(squeezing)을 하여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오븐에서 20분 동안 열풍 건조시켰다. 이 건조 시편을 기계적으로 천공하여 직경 1,000㎛의 크기로 1㎠당 15개의 거대포아(14)를 만들었다.
위와 같이 천공된 폴리우레탄 필름 시트에 부직포 흡수 시트(대한민국, 백산린텍스사 제품, 두께:0.3mm)를 적층한 다음 그 위에 고흡수성 고분자(대한민국, 코오롱사 제품, GE-600)을 10g/㎡로 산포시켜 라미네이션(Lamination) 시켰다. 그리고 고흡수성 고분자 위에 상기 외측 보호필름 제조예에 따른 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시켰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재의 층 구조는 도 6과 같다. 이와 같이 제조된 드레싱재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부직포(대한민국, 바이린사 제품)에 5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켰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30wt%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수용액으로 하였고, 온도는 30℃를 유지하였으며, 응고 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용액은 응고되기 시작하면서 미세포아(12)를 가지는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되었다. 이를 다시 스퀴징(squeezing)을 하여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오븐에서 20분 동안 열풍 건조시켰다. 이 건조 시편을 기계적으로 천공하여 직경 1,000㎛의 크기로 1㎠당 15개의 거대포아(14)를 만들었다.
위와 같이 천공된 폴리우레탄 필름 시트에 부직포 흡수 시트(대한민국, 백산린텍스사 제품, 두께:0.3mm)를 적층한 다음 그 위에 고흡수성 고분자(대한민국, 코오롱사 제품, GE-600)을 20g/㎡로 산포시켜 라미네이션(Lamination) 시켰다. 그리고 고흡수성 고분자 위에 상기 외측 보호필름 제조예에 따른 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시켰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재의 층 구조는 도 6과 같다. 이와 같이 제조된 드레싱재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부직포(대한민국, 바이린사 제품)에 5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켰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30wt%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수용액으로 하였고, 온도는 30℃를 유지하였으며, 응고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용액은 응고되기 시작하면서 미세포아(12)를 가지는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되었다. 이를 다시 스퀴징(squeezing)을 하여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오븐에서 20분 동안 열풍 건조시켰다. 이 건조 시 편을 기계적으로 천공하여 직경 1,000㎛의 크기로 1㎠당 15개의 거대포아(14)를 만들었다.
위와 같이 천공된 폴리우레탄 필름 시트에 부직포 흡수 시트(대한민국, 백산린텍스사 제품, 두께:1.0mm)를 적층한 다음 그 위에 고흡수성 고분자(대한민국, 코오롱사 제품, GE-600)를 20g/㎡로 산포시켜 라미네이션(Lamination) 시켰다. 그리고 고흡수성 고분자 위에 상기 외측 보호필름 제조예에 따른 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시켰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재의 층 구조는 도 6과 같다. 이와 같이 제조된 드레싱재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부직포(대한민국, 바이린사 제품)에 5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켰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30wt%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수용액으로 하였고, 온도는 30℃를 유지하였으며, 응고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용액은 응고되기 시작하면서 미세포아(12)를 가지는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되었다. 이를 다시 스퀴징(squeezing)을 하여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오븐에서 20분 동안 열풍 건조시켰다. 이 건조 시편을 기계적으로 천공하여 직경 1,000㎛의 크기로 1㎠당 15개의 거대포아(14)를 만들었다.
위와 같이 천공된 폴리우레탄 필름 시트에 부직포 흡수 시트(대한민국, 백산 린텍스사 제품, 두께:2.0mm)를 적층한 다음 그 위에 고흡수성 고분자(대한민국, 코오롱사 제품, GE-600)를 20g/㎡로 산포시켜 라미네이션(Lamination) 시켰다. 그리고 고흡수성 고분자 위에 상기 외측 보호필름 제조예에 따른 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시켰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재의 층 구조는 도 6과 같다. 이와 같이 제조된 드레싱재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부직포(대한민국, 바이린사 제품)에 5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켰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30wt%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수용액으로 하였고, 온도는 30℃를 유지하였으며, 응고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용액은 응고되기 시작하면서 미세포아(12)를 가지는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되었다. 이를 다시 스퀴징(squeezing)을 하여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오븐에서 20분 동안 열풍 건조시켰다. 이 건조 시편을 기계적으로 천공하여 직경 1,000㎛의 크기로 1㎠당 15개의 거대포아(14)를 만들었다.
위와 같이 천공된 폴리우레탄 필름 시트에 부직포 흡수 시트(대한민국, 백산린텍스사 제품, 두께:0.5mm)를 적층한 다음 그 위에 섬유상 고흡수성 고분자(일본, KANEBO사 제품)를 적층시켜 라미네이션(Lamination) 시켰다. 그리고 고흡수성 고분자 위에 상기 외측 보호필름 제조예에 따른 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시켰 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재의 층 구조는 도 7과 같다. 이와 같이 제조된 드레싱재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부직포(대한민국, 바이린사 제품)에 500㎛ 두께로 코팅하고 응고조에 입수시켰다. 이때 응고조의 조건은 30wt%의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수용액으로 하였고, 온도는 30℃를 유지하였으며, 응고시간은 30분으로 하였다. 폴리우레탄 용액은 응고되기 시작하면서 미세포아(12)를 가지는 하얀 미세다공막으로 형성되었다. 이를 다시 스퀴징(squeezing)을 하여 건조대에 고정한 후 100℃의 건조오븐에서 20분 동안 열풍 건조시켰다. 이 건조 시편을 군데군데 절개하여 길이 1mm의 슬리트(15)를 1㎠당 5개 만들었다.
위와 같이 절개된 폴리우레탄 필름 시트에 부직포 흡수 시트(대한민국, 백산린텍스사 제품, 두께:0.5mm)를 적층한 다음 그 위에 섬유상 고흡수성 고분자 시트(일본, KANEBOS사 제품)를 적층시켜 라미네이션(Lamination) 시켰다. 그리고 고흡수성 고분자 위에 상기 외측 보호필름 제조예에 따른 투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시켰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싱재의 층 구조는 도 7과 같다. 이와 같이 제조된 드레싱재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시판중인 대한민국 N사의 제품(상품명 : 메딕스벤드, 부직포 드레싱)을 본 비교예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해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시판중인 대한민국 D사의 제품인 멸균가아제를 본 비교예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해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시판중인 대한민국 P사의 제품(상품명 : medilon, 부직포 드레싱)을 본 비교예로 적용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에서 예시된 방법에 의해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상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 드레싱재의 물성 평가 결과 >
구 분 제품의 두께 (mm) 기계적 강도 흡수도 (%) 투습도** 포아(pore) 크기(㎛) 동물실험
인장강도 (kgf/㎟) 신장율 (%) 신생조직 탈리현상
실시예1 0.12 0.26 35 120 2,700 1~10 △~○
실시예2 0.15 0.24 37 140 2,840 1~100 △~○
실시예3 0.65 0.27 39 430 1,540 1~100
실시예4 0.70 0.26 40 940 1,020 1~100
실시예5 0.73 0.28 42 1,670 980 1~100
실시예6 2.0 0.33 42 1,780 930 1~100
실시예7 3.0 0.35 44 1,890 990 1~100
실시예8 3.5 0.29 43 1,180 890 1~100
실시예9 3.5 0.28 28 1,200 900 1~100
비교예1* 5.1 0.22 35 730 3,500 -
비교예2* 4.0 0.13 12 120 5,000↑ -
비교예3* 4.0 0.10 14 360 5,000↑ -
* : 기존제품
** : g/㎡/24hrs at 40℃, 90%RH
◎ : 전혀 없음 ○ : 대체로 없음 △ : 약간있음 X : 심함
상기 [표 1]의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7, 실시예 8, 실시예 9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부직포 상에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형성시킨 시트와 섬유상 흡수 시트의 흡수능력 증가에 따라 습윤 환경 유지가 효율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고흡수성 고분 자의 병용에 따라 흡수 시트층(30)의 흡수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흡수능의 조절에 따라 삼출액이 다량 발생하는 욕창, 화상 등에도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실시예 1, 실시예 2를 비교해 보면 친수성 부여제가 포함된 폴리우레탄 용액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큰 포아(pore)를 형성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물실험에서는 무처치군(Control)과 실시예 1, 실시예 2의 경우는 흡수가 불충분하여 상처치유가 수축에 의해 진행되었고 가피(Crust)가 형성되었지만 신생조직이 드레싱재 안으로 파고들지는 않았다. 또한 실시예 3은, 흡수능은 불충분하였으나 적정 투습도로 인해 상처면에 달라붙지는 않았다. 그러나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에 따른 드레싱재를 적용한 경우에는 건조 환경을 조성하여 드레싱재가 상처면에 달라붙었고 신생조직이 파고들어 드레싱 교환시 조직손상으로 인한 출혈이 발생하였다.
상기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의 경우는 재상피화에 의해 상처치유가 진행되었고 가피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드레싱재가 습윤 환경을 조성하여 상처면에 달라붙지 않았다. 그리고 삼출액의 흡수도 우수하였으며 드레싱 교환 시 신생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출혈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과 비교해 50% 이상의 빠른 상처치유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부직포나 거즈 드레싱재의 단점인 건조환경 유지, 낮은 흡 수능, 상처면 부착성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드레싱재로서, 상처에 적용되어 우수한 상처치유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처면 접촉층은 미세포아와 고점도 삼출액 흡수 수단(거대포아 또는 슬리트)이 형성되어 저점도의 삼출액은 물론 고점도의 삼출액을 원활히 흡수하면서 상처면 비부착 특성을 갖는다.
특히, 위와 같은 상처면 접촉층과 함께 고흡수성의 섬유상 흡수시트층을 가지는 층 구조는 적절한 습윤 환경 유지와 함께 지속적인 고흡수력 및 우수한 보유력을 가짐에 따라 경한 창상은 물론 삼출액이 다량 발생하는 광범위한 창상에 유용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외측 보호필름층을 가지는 층 구조는 외부로부터의 박테리아, 세균 및 이물질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삼출액의 외부누출을 방지하며, 특히 상처에 적절한 습윤 환경을 제공하여 상처치유를 촉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상처면 비부착성, 삼출액 고흡수성, 습윤 환경 유지,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등의 침입 방지 등의 특성을 가짐에 따라 상처치유 효과가 우수하고 경한 상처는 물론 광범위한 창상에까지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드레싱재 교환 시 상처면 부착에 따른 환자의 고통을 방지하는 새로운 형태의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처면 접촉층(10)을 가지는 창상피복용 드레싱재에 있어서,
    상기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처면 접촉층(10)과, 상기 상처면 접촉층(10)의 상부에 접합된 기재시트층(20)과, 상기 기재시트층(20)의 상부에 접합된 고흡수성의 섬유상 흡수시트층(30)과, 상기 섬유상 흡수시트층(30)의 상부에 접합되고 두께가 10 ~ 200㎛인 투습성의 외측 보호필름층(40)으로 이루어진 4층 구조이고,
    상기 상처면 접촉층(10)은 평균직경 5 ~ 80㎛의 미세포아(12)와, 고점도 삼출액을 흡수하는 것으로서 1 ~ 10㎜ 길이의 슬리트(15)가 형성되고, 두께가 10 ~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면 접촉층(10)은 고점도 삼출액을 흡수하는 것으로서 1 ~ 10㎜ 길이의 슬리트(15)와 직경 100 ~ 1,000㎛의 거대포아(14)가 동시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흡수시트층(30)은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염계, 폴리비닐알콜, 폴리설폰산염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전분, 폴리사카라이드, 폴리메타크릴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펙틴, 구아검, 소디움알지네이트, 키틴, 키토산, 젤라틴, 스타치,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잔탄검, 펄프 및 카라야검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과 기재시트의 혼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흡수시트층(30)을 구성하는 기재시트는 합성섬유나 천연섬유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부직포, 직포, 또는 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1020040098455A 2004-01-07 2004-11-29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100667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455A KR100667292B1 (ko) 2004-11-29 2004-11-29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PCT/KR2004/003201 WO2005065604A1 (en) 2004-01-07 2004-12-07 Wound dres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455A KR100667292B1 (ko) 2004-11-29 2004-11-29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85A KR20060059385A (ko) 2006-06-02
KR100667292B1 true KR100667292B1 (ko) 2007-01-12

Family

ID=3715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455A KR100667292B1 (ko) 2004-01-07 2004-11-29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107B1 (ko) * 2016-03-15 2017-01-26 주식회사 엔도비전 키토산 기반의 지혈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310822A1 (en) * 2008-02-27 2010-12-09 Basf Se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production and use thereof
KR102028131B1 (ko) * 2018-07-13 2019-10-02 이민우 드레싱제
EP3632476A1 (en) * 2018-10-05 2020-04-08 John J. Ryan (Sealing Products) Limited Wound contact surface and method of manufa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107B1 (ko) * 2016-03-15 2017-01-26 주식회사 엔도비전 키토산 기반의 지혈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85A (ko) 200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5465B2 (ja) 保水率を向上させた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ドレッシング材
KR101787192B1 (ko) 항균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JP5756124B2 (ja) 改善された粘着性を有するハイドロゲルマトリックス
EP0584361B1 (en) Wound covering material
EP1255575B1 (en) Foam/film composite medical articles
EP1374812A1 (en) Multilayered microporous foam dres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953127B2 (en) Absorbent foam wound dressing materials
KR20190098881A (ko) 폴리우레탄 폼과 하이드로화이버가 복합화돤 쉬트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창상 피복제
JP5756123B2 (ja) 液体の吸収能が向上したハイドロゲルマトリックス
KR100631108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JP2993170B2 (ja) 創傷被覆材
KR100359864B1 (ko)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형성된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WO2005065604A1 (en) Wound dressing
KR100404140B1 (ko) 다층구조의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67292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100553078B1 (ko) 2층 구조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JP2001340375A (ja) 創傷被覆材
JP2000175958A (ja) 創傷用包帯
KR20180075812A (ko)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34173A (ko) 실크 드레싱재
JPH07313585A (ja) 創傷被覆材
JP2000175959A (ja) 創傷用包帯
JP2001017527A (ja) 創傷被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