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034B1 - 상처치료용드레싱제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처치료용드레싱제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034B1
KR100345034B1 KR10-1998-0052921A KR19980052921A KR100345034B1 KR 100345034 B1 KR100345034 B1 KR 100345034B1 KR 19980052921 A KR19980052921 A KR 19980052921A KR 100345034 B1 KR100345034 B1 KR 100345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und
dressing
polyurethane
dmpa
dmb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061A (ko
Inventor
이재석
조영선
김선미
박명환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1998-005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034B1/ko
Priority to JP34489399A priority patent/JP3304942B2/ja
Publication of KR2000003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0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6/0019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6/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wound dressings or bandages in liquid, gel or powder form
    • A61L26/0061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6/008Hydrogels or hydrocollo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8Modification of implant surfaces in order to improve biocompatibility, cell growth, fixation of biomolecules, e.g. plasma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 치료용 드레싱(wound dressing)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인성 질환, 교통사고 및 화상 등의 피부질환 환자의 증가로 인해 해마다 드레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드레싱은 상처의 노출을 막아야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상처를 보호해야 하며, 특히 공기 및 습기 투과성이 우수하여야 상처 분비물의 조절이 가능하고 박테리아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어야하며 또한 형태 변형이 적은 특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형태의 상처리료용 드레싱제는 인체에 무해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PG)과 액체 MDI(methylene di-p-phenyl diisocyanate)를 이용하여 폴리우렌탄을 제조한 다음 카르복시기를 갖는 디메틸프로피온산(dimethyl propionic acid, DMPA) 혹은 디메틸부타논산(dimethyloyl butanoic acid, DMBA), 또는 알지네이트(alginate), 혹은 알지네이트와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을 도입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우레탄에 카르복실기의 도입으로 친수성을 증가시켜 생체 적합성을 증진시키고, 상처 부위에서의 분비물의 흡수를 촉진시키며, 공기 투과성과 습기 흡수성을 향상시켜 치료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젤 형태의 상처치료용 드레싱을 제조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상처치료용 드레싱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처 치료용 드레싱 (wound dressing)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인성 질환, 교통사고 및 화상 등의 피부질환 환자의 증가로 인해 해마다 드레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드레싱용 재료는 상처의 노출을 막을 수 있고 외부로부터 상처를 보호해야 할뿐만 아니라 공기 및 습기 투과성이 우수하여 상처 분비물의 조절이 가능하고, 박테리아의 번식을 막으며, 형태 변형이 적은 물질이 요구된다.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은 만성적인 욕창, 찰과상(abrasions), 열상(lacerations)등에 사용되고 특히 많은 양의 상처 분비물을 흡수하는 특징이 있어 현재 이 분야에 세계적으로 약 15개의 회사가 참여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스미스 앤 네튜(Smith & Nephew)사의 하이드로시트(Hydrosite), 셔우드 메티칼(Sherwood Medical) 사의 비아소브(Viasorb)와 칼로건 베슬(Calogon Vestl Lab.)사의 EPI-Lock을 들 수 있다.
상처치료용 드레싱은 19세기 후반부터 연구가 활성화되었으며 자연으로부터 얻은 소재로부터 벗어나 상처치료용 드레싱의 급격한 발전은 1942년 합성고분자인 메틸셀룰로스로 만들어진 드레싱이 Pickrell에 의해서 개발되면서 진척되었다.
의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상처치료 과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Odland와 Winter(Winter G. D., Epidermal Wound Healing under a New Polyurethane Foam Dressing, Plast. and Surg., 56, 531, 1975)은 피부상피 재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를, Hinman과 Maibach은 상처부위에서 습기가 상처치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이론을 확립하였으며, 1970년경에 Rovee는 상처부위에서 적당히 수분을 함유하고 가피가 생성되지 않은 조건에서 상피세포의 이동이 활발하고 상처치유 기간이 단축됨을 밝혔다.(Michael Z. C., Hu and Mark Reeves, Biosorption of Uranium by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 CSU Immobilized in a Novel Matrix, Biotechnology Progress, 13, 1, 1997) 특히 Winter는 상피 재형성이 상처부위가 건조된 상태보다 적당히 수분을 함유한 상태에서 40%정도 빠른 효과를 나타낸다고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이들은 상처분비물이 존재하지 않는 건조된 상태에서는 가피를 생성하는 콜라젠에 의해 상피세포의 활동이 제한 받으며, 상처분비물이 피부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성장인자를 많이 함유한다는 것을 보였다.
1980년경에 이르러, 고분자 합성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상처치료용 드레싱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들 드레싱은 단순히 상처를 덮고 상처분비물을 흡수하는 단계에 그치지 않고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여 상피 재형성을 돕고 박테리아 침입을 막으며, 피부 성장 요소의 삽입등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상용되는 드레싱으로는 고분자 박막, 하이드로 콜로이드, 하이드로젤, 폴리우레탄 폼, 인공피부 등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사항으로는 한국특허 출원번호 97-62011호(신규한 졸-겔 프리커서 및 이를 이용한 상처치료용 드레싱의 제조방법)와 98-20286호(기능성 폴리우레탄 하이드로젤의 제조방법)가 있고 슈(Y.-Y. Hsu, J.D. Gresser, D.J. Trantolo, C.M. Lyons, P.R.J. Gangadharam and D.L. Wise, Effects of Polymer Foam Morphology and Density of Kinetics of In Vitro Controlled Release of Isoniazid from Compressed Foam Matrices,J. Biomed. Mater. Res.,35, 107 (1997)) 등과 우(P. Wu, A.C. Fisher, P.P. Foo, D. Queen and J.D.S. Gaylor, In Vitro Assessment of Water Vapor Transmission of Synthetic Wound Dressing,Biomaterials,16, 171 (1995))등의 연구가 있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PG)과 메틸렌 디-p-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phenyl diisocyanate, MDI)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을 만든 후 카르복실 그룹을 갖는 디메틸프로피온산(dimethyl propionic acid, DMPA) 혹은 디메틸부타논산(dimethyloylbutanoic acid, DMBA) 또는 알지네이트(alginate) 혹은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혹은 알지네이트와 히아루론산의 혼합물과 계면활성제, 발포제를 첨가하여 하이드로젤 형태이며 상처치료용 드레싱제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형태의 폴리우레탄폼 드레싱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간에 따른 흡수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누드 마우스 상처부위에 드레싱제를 사용한 경우와 드레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대조군) 0∼9일째 상처부위의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누드 마우스 상처부위에 드레싱제를 사용한 경우(왼쪽 상처부위)와 드레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오른쪽 상처부위) 9일째 상처부위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폴리우레탄 폼은 하이드록시 그룹(-OH)을 갖는 물질과 이소시아네이트 그룹(-NCO)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고 발포제로 물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하이드록시 그룹을 갖는 물질은 대체적으로 부드럽고 유연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부분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 혹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을 주로 사용하고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갖는 물질로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 TDI(3, 3'-toluene 4,4'-diisocyanate), MDI (p-phenylene diisocyanate)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카르복실 그룹은 소량의 첨가만으로도 친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체내에 존재하는 많은 금속 물질과 물리적 결합을 형성하여 수분(혈액)의 흡수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처치료용 드레싱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의 성질이 있고 카르복실 그룹을 갖는 물질을 도입하면 상처 분비물을 잘 흡수할 수 있고 상처 치료에 적합한 조건을 만들어 좀더 빠른 상처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소수성을 가진 PPG와 MDI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을 생성한 후 카르복실 그룹의 일종이며 아래의 구조식 (1)과 같은 구조를 갖는 DMPA, DMBA, 알지네이트, 히아루론산 혹은 알지네이트와 히아루론산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첨가되는 카르복실 그룹의 함량에 따라서 합성된 폼의 친수성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료는 하이드로젤 형태를 유지하여 상처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흡수하여 치료의 최적 조건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인 카르복실 그룹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액체 MDI를 반응기에서 6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에 반응기의 온도를 70℃로 올린 후 PPG를 서서히 가하면서 교반하여 폴리우레탄을 제조한다. PPG의 첨가 속도는 1시간에 100g정도가 되도록 조절하였으며, PPG가 모두 첨가된 후 미반응물을 없애기 위해서 1시간 동안 더 교반한다. 폴리우레탄을 제조한 후 DMPA를 폴리우레탄에 대해 0.5 ∼ 10 wt% 혹은 DMBA를 폴리우레탄 무게에 대해 0.5 ∼ 10 wt% 또는 알지네이트를 폴리우레탄에 대해 0.5 ∼ 5 wt% 혹은 히아루론산을 폴리우레탄에 대해 0.5 ∼ 5 wt% 또는 알지네이트와 히아루론산이 1:1로 혼합된 혼합물을 폴리우레탄에 대해 0.5 ∼ 5 wt%인 카르복실 그릅, 계면활성제를 폴리우레탄 무게에 대해1.2wt%, 발포제를 폴리우레탄 무게에 대해 5wt% 등을 첨가한 후 상온, 상압에서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한다. 폴리우레탄 폼이 합성되면 질소를 충전한 용기에 넣고 상온, 상압에서 보관한다.
한편, 폴리우레탄을 제조한 후 폼 제조시에 계면활성제, 발포제로서 사용하는 물에 친수성 성질을 나타내는 카르복실 그룹을 갖는 DMPA, DMBA, 알지네이트, 히아루론 산등을 녹여서 도입하거나 함량의 비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하여 폼 제조시에 고체상태로 섞어서 도입한 후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합성할 수 있다.
아래의 반응식 (1)은 카르복실 그룹으로 DMPA를 사용하고 폴리우레탄에 도입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구조식 1. 히아루론산, 알지네이트, DMPA, DMBA의 구조식.
Hyaluronic acid
Alginate
Di-MethylPropionic Acid(DMPA) Di-Methyloyl Butanoic Acid(DMBA)
반응식 1. DMPA가 도입된 경우의 폴리우레탄 폼 제조과정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시험예, 적용예에 의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NCO 말단기를 갖는 폴리우레탄의 합성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물질로 분자량이 3,000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PG)을 이용하였고,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관능기가 2.3인 액체 MDI를 이용하였다. MDI 50g을 반응기에 넣고 60℃에서 30분간 교반 후 반응온도를 70℃로 올리고 반응기에 PPG 150g을 4시간에 걸쳐서 서서히 적가하면서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200g을 합성하였다.
< 실시예 2 - 37 > 카르복실 그룹이 도입된 폴리우레탄 폼의 합성
상기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의 NCO%를 각각 5, 7, 10%가 되도록 조절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폼을 제조하였다. NCO%는 아래와 같은 식에 의해 계산 하였다.
NCO%=
여기서 x : NCO의 몰수
f : NCO의 관능기수
폼의 제조시 사용한 폴리우레탄은 NCO%를 각각 5, 7, 10%인 것을 10g 사용하였으며 카르복실 그룹은 DMBA 혹은 DMPA 또는 알지네이트 혹은 히아루론 산을 폴리우레탄 무게에 대해 각각 1wt%, 2wt%, 3wt%, 5wt%를 사용하였으며, 계면활성제로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L-5305를 1.2 wt%를 사용하였으며, 발포제로는 물을 10 wt% 사용하고 상온, 상압에서 4000rpm으로 30초 동안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한편 사용한 카르복실 그룹인 DMBA, DMPA, 알지네이트, 히아루론 산을 폴리우레탄에 첨가시 물의 양을 조절하여 각각 3, 5, 10%로 조절하였다. 아래의 표 1에 폴리우레탄의 NCO%에 대한 카르복실 그룹의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폴리우레탄의 NCO%에 대한 카르복실 그룹의 함량
실시예 폴리우레탄(NCO%) 카르복실그룹 실시예 폴리우레탄(NCO %) 카르복실그룹
실시예 2 5% DMBA 3% 실시예 20 7% AL 3%
실시예 3 5% DMBA 5% 실시예 21 7% AL 5%
실시예 4 5% DMBA 10% 실시예 22 7% AL 10%
실시예 5 5% DMPA 3% 실시예 23 7% HA 3%
실시예 6 5% DMPA 5% 실시예 24 7% HA 5%
실시예 7 5% DMPA 10% 실시예 25 7% HA 10%
실시예 8 5% *AL 3% 실시예 26 10% DMBA 3%
실시예 9 5% AL 5% 실시예 27 10% DMBA 5%
실시예 10 5% AL 10% 실시예 28 10% DMBA 10%
실시예 11 5% **HA 3% 실시예 29 10% DMPA 3%
실시예 12 5% HA 5% 실시예 30 10% DMPA 5%
실시예 13 5% HA 10% 실시예 31 10% DMPA 10%
실시예 14 7% DMBA 3% 실시예 32 10% AL 3%
실시예 15 7% DMBA 5% 실시예 33 10% AL 5%
실시예 16 7% DMBA 10% 실시예 34 10% AL 10%
실시예 17 7% DMPA 3% 실시예 35 10% HA 3%
실시예 18 7% DMPA 5% 실시예 36 10% HA 5%
실시예 19 7% DMPA 10% 실시예 37 10% HA 10%
*AL은 알지네이트(alginate)를 나타낸다.
**HA는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을 나타낸다.
< 시험예 1 > 폴리우레탄 폼의 투습도 측정
상기의 실시예에서 카르복실 그룹으로 DMPA, DMBA을 사용한 폴리우레탄 폼의 투습도를 조사하였다. 폴리우레탄 폼의 수분 투습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34.506 cm2의 면적, 5mm 두께인 폴리우레탄 폼에 물 100g을 넣고 빈틈이 없도록 하여 상압, 40℃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보관 후 물의 무게변화를 측정하여 수분의 투습도를 결정하였다.
투습도는 폴리우레탄 폼의 무게변화를 폴리우레탄 폼의 단면적으로 나누어줌으로써 단위 면적당 투습된 양으로 환산하였으며 폴리우레탄 폼의 투습된 양을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카르복실 그룹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투습도가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표 2. DMPA, DMBA 사용시 폴리우레탄 폼의 투습된 량
폴리우레탄 카르복실그룹 A-B 투습된 양(g/m2.24hrs)
NCO 5% DMPA 10% 7.96 2306.84
DMPA 5% 7.28 2109.78
DMPA 3% 9.54 2753.14
DMBA 10% 8.6 2492.32
DMBA 5% 5.96 1727.24
DMBA 3% 8.71 2524.20
NCO 7% DMPA 10% 7.26 2103.98
DMPA 5% 8.61 2495.22
DMPA 3% 6.30 1825.77
DMBA 10% 8.94 2590.85
DMBA 5% 5.22 1512.78
DMBA 3% 3.62 1049.09
NCO 10% DMPA 10% 3.66 1022.92
DMPA 5% 3.29 919.51
DMPA 3% 4.96 1386.25
DMBA 10% 4.88 1102.45
DMBA 5% 3.76 1283.47
DMBA 3% 3.27 998.32
A : 초기의 폴리우레탄 폼의 무게
B : 24시간 후의 폴리우레탄 폼의 무게
< 시험예 2 > 폴리우레탄 폼의 흡습도 측정
카르복실 그룹을 포함하지 않은 폴리우레탄 폼 1g과 폴리우레탄의 무게에 대해 DMPA 0.5 wt%, DMPA 3 wt%, 알지네이트(AL)와 히아루론산(HA)이 1:1로 혼합된 혼합물 3 wt%, DMPA가 Ca+2형태로 3 wt%, DMBA가 Ca+2형태로 3 wt%, 알지네이트가 Ca+2형태로 3 wt%, 알지네이트(AL)와 히아루론산(HA)이 1:1로 혼합된 혼합물이 Ca+2형태로 3 wt% 등이 혼합된 1g의 폴리우레탄 폼을 물에 담궈 두면서 흡수하는 물의 정도를 시간의 변화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 시험예 3 > 폴리우레탄 폼의 기계적 물성 측정
DMPA와 DMBA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의 기계적 물성은 UTM(Universal Test Machine, USA, Instro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샘플은 가로 7cm, 세로 2cm, 두께 5mm로 하여 5번 이상 측정한 후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표 3. DMPA(DMBA)의 함량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의 모듈러스(Modulus).
DMPA(DMBA)PPG, NCO% 3% 5% 10%
*3000, 5% 1.323(1.226) 1.030(1.089) 1.223(0.918)
*3000, 10% 1.753(3.153) 2.858(**) 2.189(2.106)
*4000, 5% (**)(**) 0.695(0.766) 0.982(1.233)
* 는 PPG의 분자량이다.
** : 폼이 형성되지 않아 측정하지 못함.
표 4. DMPA(DMBA)의 함량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의 압축강도(Stress)(Kgf/cm2)
DMPA(DMBA)PPG, NCO% 3% 5% 10%
*3000, 5% 1.925(1.447) 1.536(1.535) 1.402(1.236)
*3000, 10% 2.173(2.512) 2.752(**) 2.262(2.161)
*4000, 5% (**)(**) 1.594(1.536) 2.120(2.234)
* 는 PPG의 분자량이다.
** : 폼이 형성되지 않아 측정하지 못함.
표 3. DMPA(DMBA)의 함량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의 인장강도(Strain)(%)
DMPA(DMBA)PPG, NCO% 3% 5% 10%
*3000, 5% 176.236(145.187) 176.690(177.847) 138.347(166.004)
*3000, 10% 188.006(142.347) 161.680(**) 170.353(136.340)
*4000, 5% (**)(**) 323.347(280.014) 325.013(234.360)
* 는 PPG의 분자량이다.
** : 폼이 형성되지 않아 측정하지 못함.
< 적용예 > 상처치료 효과의 측정
본 발명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과 누드 마우스를 이용하여 동물실험을 행하였다. 누드 마우스의 등배부에 2개의 9π㎟ 크기의 상처를 만들고 한쪽은 드레싱을 하고 나머지 한쪽은 드레싱을 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으로 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도 3(a)의 드레싱은 스미스 앤 네퓨사(Smith & Nephew)의 하이드로지트(Hydrosite)를 사용한 경우이고, 도 3(b)의 드레싱은 카르복실 그룹이 포함되지 않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한 경우이고, 도 3(c)의 드레싱은 DMPA가 10% 포함된 폴리우레탄 폼을 경우이고, 도 3(d)의 드레싱은 알지네이트와 히아루론 산을 1:1로 혼합한 것을 폴리우레탄 무게에 대해 5wt%를 첨가한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손부위의 넓이 9πmm2가 3일째는 드레싱군에서 평균 56%가, 대조군에서는 평균 33%가 감소하였으며 6일째는 드레싱군에서 67%가 감소하였고 대조군에서는 44%가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드레싱군에서 피부결손 크기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특히 드레싱군중에서 스미스 앤 네퓨사(Smith & Nephew)의 Hydrosite 드레싱을 사용한 것보다 본 발명의 알지네이트와 히아루론 산의 혼합물을 사용한 폼의 드레싱군이 더 우수한 효과가 있었으며 전체 드레싱군중에서 DMPA 10%군에서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고, 특히 알지네이트와 히아루론산을 첨가한 드레싱군에서 피부결손이 큰 회복세를 보였다.
본 발명은 친수성을 나타내며 폴리우레탄 폼 제조시 첨가되는 카르복실 그룹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의 친수성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글리콜의 종류,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 폴리우레탄에 남아 있는 NCO%, 계면활성제 등에 의해 폼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교반 속도, 첨가되는 물의 양, 촉매의 양, 계면활성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폼의 동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처럼 하이드로젤 형태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은 제조과정에서 형성된 폴리우레탄 필름이 외부로부터 박테리아의 침입을 막아줄 수 있고, 카르복실 그룹의 도입으로 고 투습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처부위에서 분비되는 분비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처치료용 드레싱은 기존 상처 치료용 드레싱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친수성 물질을 도입함으로써 생체 적합성을 증진시키고, 상처 부위에서 분비물의 흡수를 증진시키며, 공기 투과성과 습기 흡수성을 향상시켜 치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상처치료용 드레싱제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3)

  1. 폴리우레탄에 카르복실 그룹, 계면활성제, 물을 교반하여 하이드로젤 형태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료용 드레싱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카르복실 그룹은 디메틸프로피온산(dimethyl propionic acid, DMPA), 디메틸부타논산(dimethyloylbutanoic acid, DMBA), 알지네이트(alginate),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HA)을 사용하거나, 알지네이트와 히아루론 산을 1:1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료용 드레싱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인 L-5305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치료용 드레싱제의 제조방법.
KR10-1998-0052921A 1998-12-03 1998-12-03 상처치료용드레싱제의제조방법 KR100345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921A KR100345034B1 (ko) 1998-12-03 1998-12-03 상처치료용드레싱제의제조방법
JP34489399A JP3304942B2 (ja) 1998-12-03 1999-12-03 傷治療用医薬材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2921A KR100345034B1 (ko) 1998-12-03 1998-12-03 상처치료용드레싱제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061A KR20000038061A (ko) 2000-07-05
KR100345034B1 true KR100345034B1 (ko) 2003-04-23

Family

ID=1956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921A KR100345034B1 (ko) 1998-12-03 1998-12-03 상처치료용드레싱제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04942B2 (ko)
KR (1) KR1003450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58B1 (ko) 2005-11-11 2007-05-09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719433B1 (ko) 2005-11-25 2007-05-1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WO2017179918A1 (ko) 2016-04-12 2017-10-19 (주)안트로젠 수포성 표피박리증 완화 또는 개선용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생분해성 또는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비분해성 지지체 조성물
KR20190102564A (ko) 2018-02-26 2019-09-04 주식회사 엔도비전 상처치료용 다층 드레싱재
KR20240068459A (ko) 2022-11-10 2024-05-17 전은서 상처 치유제를 포함하는 2차 도포에 의한 창상피복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0613B2 (ja) * 2004-10-08 2011-03-16 ライオン株式会社 貼付剤
KR100754667B1 (ko) 2005-04-08 2007-09-03 한미약품 주식회사 비펩타이드성 중합체로 개질된 면역글로불린 Fc 단편 및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0748390B1 (ko) * 2005-11-14 2007-08-10 주식회사 대웅 상피세포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상처치료용 서방성 필름 제형
EP2179749B1 (de) * 2008-10-23 2012-08-08 Paul Hartmann AG Polyurethangelschäume
GB201117458D0 (en) * 2011-10-10 2011-11-23 Univ London Queen Mary Antimicrobial polymer
PL3212204T3 (pl) * 2014-10-28 2019-11-29 Biovotec As Mikronizowane cząstki błony skorupki jaja i ich zastosowanie dla pobudzania gojenia ran
KR101787192B1 (ko) * 2015-08-12 2017-10-18 주식회사 제네웰 항균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CN105251034B (zh) * 2015-11-11 2019-03-01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止血、抗感染的创面复合材料
CN109248336B (zh) * 2018-11-08 2021-06-18 广州润虹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抑菌促愈合泡沫敷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PL3838300T3 (pl) * 2019-12-19 2024-07-22 Paul Hartmann Ag Sposób wytwarzania polimeru zawierającego alginian do celów medycznych, zwłaszcza do leczenia ra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1268A2 (en) * 1984-08-02 1986-02-12 Smith and Nephew Associated Companies p.l.c. Wound dressing
US4743673A (en) * 1986-12-19 1988-05-10 Tyndale Plains-Hunter, Ltd. Hydrophilic carboxy polyurethan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1268A2 (en) * 1984-08-02 1986-02-12 Smith and Nephew Associated Companies p.l.c. Wound dressing
US4743673A (en) * 1986-12-19 1988-05-10 Tyndale Plains-Hunter, Ltd. Hydrophilic carboxy polyurethan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58B1 (ko) 2005-11-11 2007-05-09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719433B1 (ko) 2005-11-25 2007-05-1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WO2017179918A1 (ko) 2016-04-12 2017-10-19 (주)안트로젠 수포성 표피박리증 완화 또는 개선용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생분해성 또는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비분해성 지지체 조성물
KR20190102564A (ko) 2018-02-26 2019-09-04 주식회사 엔도비전 상처치료용 다층 드레싱재
KR20240068459A (ko) 2022-11-10 2024-05-17 전은서 상처 치유제를 포함하는 2차 도포에 의한 창상피복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67036A (ja) 2000-06-20
JP3304942B2 (ja) 2002-07-22
KR20000038061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034B1 (ko) 상처치료용드레싱제의제조방법
US4960594A (en) Polyurethane foam dressing
EP0584361B1 (en) Wound covering material
US20040018227A1 (en) Multilayered microporous foam dres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1263998A (en) Hydrophilic, flexible, open cell polyurethane poly (n- vinyl lactam) interpolymer foam and dental and biomedical products fabricated therefrom
EP0541390B1 (en) Wound dressing comprising polyurethane foam
JP5020639B2 (ja) 薬用ポリウレタン発泡体
US6326410B1 (en) Wound dressing comprising polyurethane foam
JPH0323530B2 (ko)
EP0371736A2 (en) Wound covering
KR20190098881A (ko) 폴리우레탄 폼과 하이드로화이버가 복합화돤 쉬트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창상 피복제
EP1082146B1 (en) Polyurethane foams for use in wound dressings
CN113801285A (zh) 聚氨酯泡绵敷料的制备方法及伤口敷料贴片
KR100340981B1 (ko)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 방법
CN111748071B (zh) 一种亲水性聚氨酯泡沫敷料及其制备方法
KR100404140B1 (ko) 다층구조의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59864B1 (ko)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형성된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CN113713163A (zh) 亲水性聚氨酯敷料及其制备方法
CN113289045A (zh) 一种具有超亲水医用聚氨酯泡沫敷料的制备
KR200185721Y1 (ko) 미세다공성 표피 구조의 폼 드레싱재
JPH03289961A (ja) 創傷被覆材
JPH01124461A (ja) 医用材料及び傷の治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