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433B1 -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433B1
KR100719433B1 KR1020050113683A KR20050113683A KR100719433B1 KR 100719433 B1 KR100719433 B1 KR 100719433B1 KR 1020050113683 A KR1020050113683 A KR 1020050113683A KR 20050113683 A KR20050113683 A KR 20050113683A KR 100719433 B1 KR100719433 B1 KR 100719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urethane
parts
dressing materia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일
강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Priority to KR102005011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3Carbohydrates
    • A61L2300/232Monosaccharides, disaccharides, polysaccharides, lipo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61L2300/414Growth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부위를 보호하며 상처치유를 도와주는 드레싱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삼출물이 적은 상처 또는 삼출물의 양이 적어지는 창상 중·후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자체 점착력이 있는 시트 형태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a)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용제 30∼100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점도가 2,000∼3,000cps/30℃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제조한 후 기포를 제거하고 이형지 위에 도포한 다음 열풍 건조하여 투습성과 방수성을 지닌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만드는 단계; (b)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가교제 1∼20 중량부, 점착부여제(Tackifier) 1∼20 중량부를 60∼90℃에서 혼합하고 기포를 제거하여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 (c) 상기 (a)에서 만든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상기 (b)에서 만든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도포하고 100∼120℃에서 가교시켜 흡수층(20)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력이 있는 시트형태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드레싱, 폴리우레탄, 점착, 상처, 창상피복재, 필름

Description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Apparatus of Adhesive Hydrophilic Polyurethane Film Dressing}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측 필름층 20 : 흡수층
30A,B : 이형지 100A,B : 제1, 제2 이형지 공급부
200A,B : 제 1, 제2 고분자 공급부 300A,B : 제1, 제2 열풍 챔버(Chamber)
400 : 냉각 챔버(Chamber) 500 : 압착롤러
600 : 권취부
본 발명은 상처부위를 보호하며 상처치유를 도와주는 드레싱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 점착력이 있는 시트 형태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처의 처치는 의학의 기초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파피루스(Papyrus)에 의하면 기원전 5000년 전부터 상처 치료를 위하여 동물기름이나 벌꿀, 면화를 이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역사가 흐르면서 상처의 치료기술에도 많은 연구와 기술 개발이 이루어졌다. 1962년 동물학자 윈터(Winter)가 상처를 건조하여 딱지를 앉게 하는 것보다 상처를 습윤하게 유지하는 것이 더 치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논문을 발표한 이후로, 습윤 상처 처치의 유용성이 계속적으로 입증되고 강조되어 왔다. 상처에서 분비되는 체액이 탈수되거나 건조되지 않도록 하는 습윤 환경 상처처치(Wet dressing) 방법은 상처 치료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상적인 드레싱재는 상처와 드레싱재 사이의 습윤 환경 유지, 적절한 흡수성 및 투습성이 있어야 하며 상처면의 건조를 막고 주변 정상 피부의 침연(짓무름)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가스의 교환, 외부로부터의 세균침입 방지 등의 기능성을 갖고, 교환시 상처면에 달라붙어 신생조직 등에 손상을 입히지 않아야 한다. 이 밖에도 상처 치유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고 무자극성이며 사용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라면 이상적인 드레싱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드레싱재는 아직까지 없으며,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드레싱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비교적 최근에 사용하게 된 드레싱 재료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970년대 초기에 반투과성인 투명한 얇은 막(Film)으로서, 상처부위를 습한 상태로 유지하여 괴사조직의 용해와 육아조직의 형성을 촉진하여 상처치유를 촉진시킨다는 “OpSite”(상품명)가 소개 되었다. 그러나 삼출물을 흡수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상처주위에 지나치게 많은 삼출물이 고임으로써 주위의 피부가 짓무르게 되고, 삼출물이 밖으로 새어 나오게 되어 임의로 배출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982년에 미국에서 “DuoDERM”(상품명) 이라는 제품이 소개 되었는데 이는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으로서 상처부위에 부착시, 삼출물과 반응하여 겔(Gel)형태의 습한 환경을 제공하여 창상의 상피화를 촉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산소와 이산화탄소 같은 가스와 수증기는 통과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과다한 삼출물이 고이는 단점이 있으며, 드레싱 교환시 겔(Gel)이 상처면에 남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수성의 고분자에 친수성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어 흡수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고분자를 이용한 드레싱재는 주로 겔화 방법이 제조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고분자를 발포시켜 개방기공(Open Cell)을 형성시키는 폼 제조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404140호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말단을 갖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Prepolymer)와 가교제, 발포제, 첨가제 등을 혼합 교반한 뒤 몰드(Mold)에 주입하여 발포하는 방식으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는 화상(Burn)이나 도너사이트(Donor Site)와 같이 초기에 삼출물이 대량 발생하는 창상의 초기 드레싱으로 적합하다. 그러나 상처에서 나오는 삼출물에는 체내에서 발생되는 성장인자(Growth Factor)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성장인자들이 창상면에 어느 정도 존재하고 있어야 창상 치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삼출물이 적은 창상 또는 삼출물이 적어지는 창상 후기에는 삼출물을 너무 많이 흡수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사용은 오히려 상처치유를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는 자체 점착성이 없어서 폼 드레싱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점착테이프와 같은 2차 드레싱재가 필요하고 또 이러한 점착 필름을 폼 드레싱재에 부착시키는 공정이 추가되어 제품의 가격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삼출물이 적은 상처 또는 삼출물의 양이 적어지는 창상 중·후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드레싱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드레싱재에 자체 점착성이 있어 별도의 반창고나 고정용 점착 필름 없이도 환부에 고정할 수 있는 사용이 간편한 드레싱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에 적합한 드레싱재를 간단하고 용이한 시트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a)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용제 30∼100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점도가 2,000∼3,000cps/30℃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제조한 후 기포를 제거하고 이형지 위에 도포한 다음 열풍 건조하여 투습성과 방수성을 지닌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만드는 단계;
(b)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가교제 1∼20 중량부, 점착부여제(Tackifier) 1∼20 중량부를 60∼90℃에서 혼합하고 기포를 제거하여(OK)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
(c) 상기 (a)에서 만든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상기 (b)에서 만든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도포하고 100∼120℃에서 가교시켜 흡수층(20)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력이 있는 시트형태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의 이형지를 공급하는 제1 이형지 공급부; 상기 공급된 제1의 이형지 위에 기포가 제거된 고분자 용액을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제1 고분자 공급부; 상기 제1의 이형지 위에 도포된 고분자 용액을 열풍 건조시키는 제1 열풍 챔버;를 포함하는 방수성 필름 형성부와,
상기에서 제조된 방수성 필름 위에 친수성 고분자와 가교제의 혼합액을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제2 고분자 공급부; 상기 도포된 혼합액을 열로 가교시키는 제2 열풍 챔버; 가교 후 다시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냉각 챔버;를 포함하는 흡수층 형성 부와,
제2의 이형지를 공급하는 제2 이형지 공급부; 상기에서 제조된 흡수층 위에 상기 공급된 제2의 이형지를 합지시키는 압착롤러;를 포함하는 이형지 합지부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더 잘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투습· 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제조
일반적으로 드레싱재의 지지체 필름으로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필름들은 투습도가 낮아 피부가 짓무르는 단점이 있고 기계적 물성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다. 반면 폴리우레탄은 화학적 안정성이나 기계적인 물성변화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나 투습성 등의 소재 특성을 고려할 때 지지체 필름으로도 가장 바람직한 소재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한 후 기포를 제거하고 이형지 상에 시트 성형하여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만든다.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올, 다이올, 용제를 투입하여 60℃에서 30분 동안 혼합 교 반한 뒤에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분할 투입하면서 80℃에서 8시간 동안 반응을 시킨다. 반응을 시키고 난 후 이소시아네이트 유무를 IR Chart 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후 이소시아네이트가 없으면 용제를 희석하여 고형분이 30%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한다.
상기 폴리올로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틸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부틸렌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카프로락톤글리콜,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네오펜틸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500∼5,000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을 몰비(mole ratio)로 4:6∼8:2로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함량이 40%∼8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치환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토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시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한다.
상기의 다이올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메틸-1,3-펜탄디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폴리우레탄 필름에 친수성을 부여하여 투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욱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성분인 카르복시기(-COOH)를 포함하고 있는 다이올 화합물 중에서 디메틸올프로피온산(DMPA) 또는 디메틸올부탄산(DMBA)을 상기 다이올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디메틸올프로피온산(DMPA), 디메틸올부탄산(DMBA)을 첨가제로 사용하지 않고 반응물로 사용함으로써 삼출물에 젖어있는 경우에도 삼출물에 용출되지 않는 특징을 갖게 된다.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에 용제를 가하여 점도가 2,000∼3,000cps/30℃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만든다. 이때 필요에 따라 안료가 첨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MEK) 5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5 중량부와 안료 5 중량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용액은 진공교반 탈포기로 기포를 제거한 다음 이형지 위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다. 그런 다음 100℃ 열풍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시키면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얻어진다. 이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친수기가 도입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된 것이므로, 400∼3,000g/㎡/day(상대습도 10∼80%, 37℃, Desiccant Method) 범위의 고투습도를 가지며, 동시에 방수성을 갖는다. 이 폴리우레탄 필름 층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드레싱재의 외측을 형성하게 된다.
폴리우레탄 혼합액의 제조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가교제 1∼20 중량부, 점착부여제(Tackifier) 1∼20 중량부를 60∼90℃에서 진공 교반하면서 탈포시켜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제조 한다.
일반적으로 상처면에 접촉되어 삼출물을 흡수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드레싱재의 흡수층에는,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실리콘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고분자, 천연 및 합성고무, 실리콘, 셀룰로오스 등의 천연 고분자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적 안정성, 기계적인 물성변화의 조절 용이성, 투습성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폴리우레탄을 소재로 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다이올을 투입하여 혼합 교반한 뒤에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분할 투입하면서 반응시켜 만들 수 있다.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올과 다이올을 투입하여 60℃에서 30분 동안 혼합 교반한 뒤에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분할 투입하 면서 80℃에서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80℃에서 점도가 10,000∼15,000cps 가 되면 이소시아네이트 유무를 IR Chart 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뒤에 이소시아네이트가 없으면 반응을 종결하였다. 점도가 반드시 상기 범위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10,000cps 이하일 경우는 열풍 건조시 배합액에 유동성이 생겨 흘러내릴 위험성이 있고, 25,000cps 이상일 경우는 점도가 너무 높아 시트 성형하기가 어렵다.
상기 폴리올로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틸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부틸렌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카프로락톤글리콜,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네오펜틸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500∼5,000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을 몰비(mole ratio)로 4:6∼8:2로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함량이 40%∼8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치환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토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시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 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중에서도 내광성과 특히 무황변성이 우수하고 물성 및 열적 성질이 우수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와 접착제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혼용하여 합성하게 되면 접착성이 생겨서 폴리우레탄 수지 내에 끈적거림(Tack성)이 생기게 되므로 자체 점착성을 갖게 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상기의 다이올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메틸-1,3-펜탄디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가교제로는 통상적인 폴리우레탄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CO함량(%)이 7∼22%이고, 고형분이 49∼76%로 에틸아세테이트에 녹아 있는 상태이거나 또는 고형분이 100%인 폴리우레탄 가교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Unithane-50TM, Unithane-75TM, Unithane-HXTM, Unithane-102BT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점착부여제(Tackifier)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점착력을 증가시켜 그 자체로 환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본 발명에서 점착부여제로는 피부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적은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나, 이밖에도 인체에의 적용이 허용된 점착제는 모두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우레탄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점착제 등과 로진, 구마론-인덴 수지, 알킬페놀-아세틸렌, 알킬페놀-알데히드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알킬화된 노볼락 레진, 자일렌-포름알데히드 수지, 석유수지, 테르펜 수지, 아스팔트와 비투멘 같은 기타 탄화수소 수지들도 사용 가능하다.
이밖에도 상기 폴리우레탄 혼합액에는, 드레싱재의 물성을 좋게 하거나 원하는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가 0.5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로는 필요에 따라 보습제, 항균제, 상처치유촉진인자 등 창상치료를 위한 약물이 알려진 사용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밖에도 드레싱재의 물성을 좋게 하기 위한 공지의 첨가제가 통상의 방법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습제로, 히아루론산, 아미노산, L-아스파라긴산,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DL-알라닌, L-이소로이신, 염산리진, 글리신, 글리세린, L-글루타민, L-글루타민산, L-글루타민산나트륨, 피리진산, L-트레오닌, 세리신, 세린, L-티로신, 헤파린,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소듐알지네이트, 키틴, 키토산, 젤라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잡균의 감염 및 증식을 방지하는 항균제로, 설파디아민은, 포비돈 요오드, 요오드, 요오드화물 이온염, 황산플라디오마이신, 아크리놀, 클로로헥시딘,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젠토늄 등이 알려진 용량 범위(일반적으로 0.05∼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밖에도 창상치료 및 감염예방 등의 목적으로 현재 효능이 알려져 있는 약물 또는 앞으로 효능이 규명될 약물이 상기 혼합액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처치유보조제로는, 섬유아세포증식인자(FGF), 간섬유증식인자(HGF), 표피세포증식인자(EGF) 등의 육아형성촉진제나 정균작용과 육아증식 작용을 하는 당류가 포함될 수 있다. 당류로는 정제당, 백당 등의 수크로오스와, 솔비톨, 만니톨, 과당, 포도당, 자일리톨, 유당, 맥아당, 말티톨, 트레할로오스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드레싱재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알려진 고흡수성고분자(Super Absorbent Polymer)와 같은 흡수보조제도 첨가제로 상기 혼합액에 포함될 수 있다. 흡수보조제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텔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암모늄, 알긴산칼륨, 알긴산칼슘, 카제인나트륨, 구아검, 로커스트콩검, 잔탄검, 시클로덱스트린, 아라비아검, 알긴산, 젤란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카제인, 타라검, 타마린드검, 트라가칸스검, 펙틴, 글루코만난, 가티검, 아라비노갈락탄, 퍼셀레란, 풀루란, 글구코사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키틴, 키토산, 소듐알지네이트, 히아루론산 등의 천연고분자와 이들의 유도체 및 합성고분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드레싱재의 제조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도포하고 100∼120℃에서 가교시켜 흡수층을 만든다.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다음 100∼120℃의 열풍 챔버(Chamber)에서 10∼20분 동안 가교시켜 흡수층을 만든다.
가교 후에는 최종 제품화를 위해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흡수층 위에 이형지를 합지하고, 폴리우레탄 필름층에 접한 이형지는 박리한 다음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절단한다. 흡수층에 접한 이형지는 사용시 박리되며, 이렇게 박리된 면이 창상면을 덮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는 흡수층(20)과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외측 필름층(10)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모식도이다. 도 1a는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단면 모식도로, 상처면에 직접 접촉되는 흡수층(20)과 외측의 폴리우레탄 필름층(10)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b는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의 본 발명 드레싱재를 보여주고 있는데, 외측의 폴리우레탄 필름층(10)에 부착된 이형지(40a)는 최종 제조 과정에서 박 리된 후 제품화되고, 흡수층(20)에 부착된 이형지(40b)는 사용시 제거되어 제거된 면이 환부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필름 드레싱재에서 상처면에 접촉되는 흡수층(20)은 삼출물을 흡수 저장하고, 상처면 비부착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처면에 접촉되는 흡수층(20)은 두께 0.05∼3mm의 범위를 갖고, 자기 무게의 100∼500 중량%를 흡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드레싱재에서 외측 필름층(10)은 투습·방수성 필름으로, 두께 10∼50㎛의 범위를 갖고, 400∼3,000g/㎡/day(상대습도 10∼80%, 37℃, Desiccant Method)의 고투습도를 가지면서, 방수성으로 외부로부터의 박테리아(Bacteria) 및 세균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삼출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며, 상처면에 습윤환경(Moisture Environment)을 조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예시적인 형태일 뿐으로, 본 발명의 드레싱재는 용도에 따라 크기 및 형태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드레싱재는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을 거쳐 드레싱재가 완성된 후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로 권취되고, 그런 다음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 층(10)에 접한 이형지(도 1b의 40A)를 박리한 후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절단하여 제품화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공정으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품화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신체부위별 용도와 같은 다양한 용도와 소비자의 기호를 반영할 수 있는 본 발명 드레싱재의 또 다른 특징이다.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장치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공정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장치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장치는 크게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의 형성부(A),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도포하여 가교 시키는 흡수층 형성부(B) 및 이형지를 합지하는 합지부(C)로 이루어진다.
먼저 투습·방수성 필름 형성부(A)는 제1의 이형지를 공급하는 제1 이형지 공급부(100A)와; 상기 공급된 제1의 이형지(30A) 위에 투습·방수성의 고분자 용액을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제1 고분자 공급부(200A)와; 상기 제1의 이형지 위에 도포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열풍 건조시키는 제1 열풍 챔버(Chamber)(300A);를 포함한다. 먼저 제1 이형지 공급부(100A)에서 실리콘 등으로 처리된 이형지가 공급되고, 제1 고분자 공급부(200A)로부터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용액이 기포를 제거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공급된 이형지(30A) 위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된다.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용액이 도포된 이형지는 제1 열풍 챔버(300A)를 지나면서 열풍 건조되어 시트형태의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10)이 만들어지게 된다.
흡수층 형성부(B)는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 위에 친수성 고분자와 가교제의 혼합액을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제2 고분자 공급부(200B)와; 이 도포된 혼합액을 열로 가교시키는 제2 열풍 챔버(300B); 가교 후 다시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냉각 챔버(400); 를 포함한다. 먼저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에 가교제, 안료 등을 혼합한 폴리우레탄 혼합액이 앞의 필름 형성부에서 제조된 필름 위에 균일하게 도포된다. 도포된 고분자 혼합액은 제2 열풍 챔버(300B)로 옮겨져 100∼120℃의 열로 가교된다. 가교 후에는 냉각 챔버(400)로 옮겨져 상온으로 냉각되어 필름층(10) 위에 직접 흡수층(20)이 시트 성형된 본 발명의 필름 드레싱재가 만들어진다.
이형지 합지부(C)는 제2의 이형지(30B)를 공급하는 제2 이형지 공급부(100B)와 상기에서 제조된 흡수층(20) 위에 상기 공급된 제2의 이형지(30B)를 합지시키는 압착롤러(500)를 포함한다. 제2 이형지 공급부(100A)에서 실리콘 등으로 처리된 이형지가 공급되고, 이 이형지와 앞에서 만들어진 드레싱재의 흡수층(20)을 서로 맞닿게 한 후 일정한 갭(Gap)을 주고 압착롤러(500)를 통과시켜 합지(Lamination)한다. 바람직하게는 합지부(C)에 이어 권취부(600)를 두어 합지된 것을 롤형태 등으로 권취한다. 이렇게 권취된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온도로 숙성을 시킨 후 투습·방수성 필름 층(10)에 접한 이형지(40A)를 박리하고 원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절단하여 제품화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 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 합성예 1)
다음 표 1의 조건과 방법으로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다.
Figure 112005068474514-pat00002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 합성예 2)
다음 표 2의 조건과 방법으로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다.
Figure 112005068474514-pat00003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 합성예 3)
다음 표 3의 조건과 방법으로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다.
Figure 112005068474514-pat00004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 합성예 4)
다음 표 4의 조건과 방법으로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다.
Figure 112005068474514-pat00005
투습· 방수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합성( 합성예 5)
다음 표 5의 조건과 방법으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다.
Figure 112005068474514-pat00006
제조예 1
(1) 상기의 합성예 5 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2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MEK) 5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5 중량부, 살색 안료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도가 2,500cps/30℃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용액을 코팅 게이지를 이용하여 무광 종이 이형지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100℃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외측 필름층을 얻었다.
(2) 상기의 합성예 1에서 제조한 말단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70℃에서 12시간 동안 보관하여 수지의 온도를 70℃로 유지한 다음 수지 200 중량부에 가교제 Unithane HXTM(상품명, 유니온화성사) 10 중량부, 항균제로 설파디아민은 0.5 중량부, 흡수보조제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 중량부, 보습제로 글리세린 6 중량부, 상처치유 촉진인자로 소듐알지네이트 2 중량부, 점착부여제로 BA-2900TM(상품명, 부림케미칼사) 10 중량부와 STRUKTOL-30TM 5 중량부(상품명, Struktol사)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만들었다. 이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상기 (1)에서 제조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코팅 게이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다음 100℃ 열풍 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가교시켜 흡수층을 형성한 다음 상온에서 10분 동안 냉각시켰다. 상온으로 냉각된 흡수층 위에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를 합지시키고, 투습·방수성의 외측 필름층에 접해있는 이형지는 박리하여 본 발명의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드레싱재의 외측 필름층의 두께는 20㎛이고 외측 필름층을 제외한 드레싱재의 두께는 1mm이었다. 다음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①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신장율)
만능시험기(Universial Test Machine, Instron)를 이용하여 로드셀(Load Cell) 50N, 시편의 폭은 20mm, 시편의 길이(Gauge Length)는 30mm, 크로스헤드의 속도(Cross Head Speed)는 100mm/min로 하여 측정하였다.
② 흡수도(%)
드레싱재를 5cm×5cm의 크기로 취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초기 무게(A)를 측정하고 37℃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함침 보관한 후 꺼내어 표면의 물기를 닦아낸 다음 무게(B)를 측정한다. 최종적으로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흡수도(%) = (B-A)/A × 100
③ 투습도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ASTM E 96-94(Desiccant Method)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이때 항온항습기의 온도는 37℃로 하였고 상대 습도는 80%로 하였다.
④ 모폴로지(Morphology)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자체 점착성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각 부분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⑤ 창상 치유 효과의 측정
생후 6∼8주경의 체중 250∼300g Rat을 사용하였고 Rat은 램부탈로 복강마취 시켰다. 기관내 삽관이나 산소의 공급은 별도로 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실내공기를 호흡하도록 하였다. 옆구리 등 부위를 삭모하고 제모기로 털을 완전히 제거한 후 수술부위를 포비돈 및 알코올로 소독하였으며 가능한 한 무균적 수술을 시행하였다. 등 부위에 100π㎟의 피부 결손을 만든 후 창상 부위를 생리식염수로 세척하고 마른 거즈로 닦은 후 창상부위 보다 약 1cm 넓게 드레싱재를 부착하고 그 위에 거즈 2장을 덮어 주었으며 드레싱재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통에 탄력붕대로 가볍게 고정을 하였다. 드레싱 후 3, 6, 9, 12, 15일째 드레싱 교환을 하였으며 시간경과에 따른 피부결손 부위의 상피화 형성의 정도 및 드레싱 교환시 신생조직의 탈리 현상,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조직 생검을 실시하여 창상치유 효과를 측정하였다.
제조예 2
(1) 상기의 합성예 5 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2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MEK) 5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5 중량부, 살색 안료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도가 2,500cps/30℃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용액을 코팅 게이지를 이용하여 무광 종이 이형지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를 하여 100℃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외측 필름층을 얻었다.
(2) 상기의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실 말단 그룹을 갖는 친수성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70℃에서 12시간 동안 보관하여 수지의 온도를 70℃로 유지한 다음 수지 200 중량부에 가교제 Unithane HXTM(상품명, 유니온화성사) 10 중량부, 항균제로 설파디아민은 0.5 중량부, 흡수보조제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 중량부, 보습제로 글리세린 6 중량부, 상처치유 촉진인자로 소듐알지네이트 2 중량부, 점착부여제로 BA-2900TM(상품명, 부림케미칼사) 10 중량부와 STRUKTOL-30TM 5 중량부(상품명, Struktol사)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만들었다. 이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상기 (1)에서 제조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코팅 게이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다음 100℃ 열풍 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가교시켜 흡수층을 형성한 다음 상온에서 10분 동안 냉각시켰다. 상온으로 냉각된 흡수층 위에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를 합지시키고, 투습·방수성의 외측 필름층에 접해 있는 이형지는 박리하여 본 발명의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드레싱재의 외측 필름층의 두께는 20㎛이고 외측 필름층을 제외한 드레싱재의 두께는 1mm이였으며, 물성을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3
(1) 상기의 합성예 5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2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MEK) 5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5 중량부, 살색 안료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도가 2,500cps/30℃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용액을 코팅 게이지를 이용하여 무광 종이 이형지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100℃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외측 필름층을 얻었다.
(2) 상기의 합성예 3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실 말단 그룹을 갖는 친수성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70℃에서 12시간 동안 보관하여 수지의 온도를 70℃로 유지한 다음 수지 200 중량부에 가교제 Unithane HXTM(상품명, 유니온화성사) 10 중량부, 항균제로 설파디아민은 0.5 중량부, 흡수보조제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 중량부, 보습제로 글리세린 6 중량부, 상처치유 촉진인자로 소듐알지네이트 2 중량부, 점착부여제로 BA-2900TM(상품명, 부림케미칼사) 10 중량부와 STRUKTOL-30TM 5 중량부(상품명, Struktol사)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상기 (1)에서 제조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코팅 게이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다음 100℃ 열풍 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가교시켜 흡수층을 형성한 다음 상온에서 10분 동안 냉각시켰다. 상온으로 냉각된 흡수층 위에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를 합지시키고, 투습·방수성의 외측 필름층에 접해있는 이형지는 박리하여 본 발명의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드레싱재의 외측 필름층의 두께는 20㎛이고 외측 필름층을 제외한 드레싱재의 두께는 1mm이였으며, 물성을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축정하였으며, 측정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4
(1) 상기의 합성예 5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2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MEK) 5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5 중량부, 살색 안료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도가 2,500cps/30℃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용액을 무광 종이 이형지에 코팅 게이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100℃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외측 필름층을 얻었다.
(2) 상기의 합성예 4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실 말단 그룹을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70℃에서 12시간 동안 보관하여 수지의 온도를 70℃로 유지 한 다음 수지 200 중량부에 가교제 Unithane HXTM(상품명, 유니온화성사) 10 중량부, 항균제로 설파디아민은 0.5 중량부, 흡수보조제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 중량부, 보습제로 글리세린 6 중량부, 상처치유 촉진인자로 소듐알지네이트 2 중량부, 점착부여제로 BA-2900TM(상품명, 부림케미칼사) 10 중량부와 STRUKTOL-30TM 5 중량부(상품명, Struktol사)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상기 (1)에서 제조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코팅 게이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다음 100℃ 열풍 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가교시켜 흡수층을 형성한 다음 상온에서 10분 동안 냉각시켰다. 상온으로 냉각된 흡수층 위에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를 합지시키고, 투습·방수성의 외측 필름층에 접해있는 이형지는 박리하여 본 발명의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드레싱재의 외측 필름층의 두께는 20㎛이고 외측 필름층을 제외한 드레싱재의 두께는 1mm이였으며, 물성을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축정하였으며, 측정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 제조예 1
(1) 상기의 합성예 5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2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MEK) 5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5 중량부, 살색 안료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도가 2,500cps/30℃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용액을 코팅 게이지를 이용하여 무광 종이 이형지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여 100℃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외측 필름층을 얻었다.
(2) 상기의 합성예 4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실 말단 그룹을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70℃에서 12시간 동안 보관하여 수지의 온도를 70℃로 유지 한 다음 수지 200 중량부에 가교제 Unithane HXTM(상품명, 유니온화성사) 10 중량부, 항균제로 설파디아민은 0.5 중량부, 흡수보조제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 중량부, 보습제로 글리세린 6중량부, 상처치유 촉진인자로 소듐알지네이트 2중량부, 점착부여제로 BA-2900TM(상품명, 부림케미칼사) 10 중량부와 STRUKTOL-30TM 5 중량부(상품명, Struktol사)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상기 (1)에서 제조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코팅 게이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다음 100℃ 열풍 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가교시켜 흡수층을 형성한 다음 상온에서 10분 동안 냉각시켰다. 상온으로 냉각된 흡수층 위에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를 합지시키고, 투습·방수성의 외측 필름층에 접해있는 이형지는 박리하여 본 발명의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드레싱재의 외측 필름층의 두께는 20㎛이고 외측 필름층을 제외한 드레싱재의 두께는 3mm이였으며, 물성을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축정하였으며, 측정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 제조예 2
(1) 상기의 합성예 5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수지 2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MEK) 5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15 중량부, 안료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도가 2,500cps/30℃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얻었다. 이 폴리우레탄 용액을 무광 종이 이형지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를 하여 100℃ 열풍 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외측 필름층을 얻었다.
(2) 상기의 합성예 4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실 말단 그룹을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70℃에서 12시간 동안 보관하여 수지의 온도를 70℃로 유지 한 다음 수지 200 중량부에 가교제 Unithane HXTM(상품명, 유니온화성사) 10 중량부, 항균제로 설파디아민은 0.5 중량부, 흡수보조제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20 중량부, 보습제로 글리세린 6 중량부, 상처치유 촉진인자로 소듐알지네이트 2 중량부, 점착부여제로 BA-2900TM(상품명, 부림케미칼사) 10 중량부와 STRUKTOL-30TM 5 중량부(상품명, Struktol사)를 첨가한 후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상기 (1)에서 제조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코팅 게이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다음 100℃ 열풍 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가교시켜 흡수층을 형성한 다음 상온에서 10분 동안 냉각시켰다. 상온으로 냉각된 흡수층 위에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를 합지시키고, 투습·방수성의 외측 필름층에 접해있는 이형지는 박리하여 본 발명의 자체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드레싱재의 외측 필름층의 두께는 20㎛이고 외측 필름층을 제외한 드레싱재의 두께는 3mm이였으며, 물성을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축정하였으며, 측정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물성비교를 위해 시판중인 메디폼™(일동제약사)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물성은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물성비교를 위해 시판중인 알레빈™(스미스앤네퓨사)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물성은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물성비교를 위해 시판중인 메딕스 밴드™(엔에스팜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물성은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창상 중·후기에서의 치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의 적용예 1∼3과 같이 실시하였다.
적용예 1
비교예 1에서 사용된 메디폼™(일동제약사)을 초기와 3일 경과까지 2회에 걸쳐 드레싱을 하고, 그 후로는 제조예 4에서 제조한 자체 점착성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로 교환하여 사용하였으며, 창상 치유 효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적용예 2
비교예 1에서 사용된 메디폼™(일동제약사)을 초기와 9일 경과까지 4회에 걸쳐 드레싱을 하고, 그 후로는 제조예 4에서 제조한 자체 점착성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로 교환하여 사용하였으며, 창상 치유 효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적용예 3
비교예 1에서 사용된 메디폼™(일동제약사)을 초기와 12일 경과까지 5회에 걸쳐 드레싱을 하고, 그 후로는 제조예 4에서 제조한 자체 점착성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로 교환하여 사용하였으며, 창상 치유 효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68474514-pat00007
* : 조건=37℃,80%RH
** : 기존 제품
◎ : 우수 ○ : 양호 ◇ : 보통 × : 나쁨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2,3의 경우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흡수도는 일정하게 증가하고 기계적인 물성은 일정하게 떨어진다. 그러나 제조예 4와 같이 에틸렌글리콜과 같은 다이올 화합물의 양을 증가 시키면 하드세그먼트 함량이 높아져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드세그먼트 함량에 따라 기계적 물성을 조절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4, 비교제조예 1, 2의 경우 드레싱재의 두께를 높이거나 흡수보조제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양을 늘이게 되면 흡수도가 많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실험 결과 제조예 3,4와 비교제조예 1,2, 그리고 비교예 1,2의 경우는 드레싱 교환시 상처면에 달라붙어 신생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출혈이 없었으나, 비교예 3은 그물형태의 필름 구멍으로 신생 조직이 파고 들어 신생조직이 손상을 입으면서 출혈이 심하였으며 투습도가 매우 높아 상처면에 가피가 형성 되었다. 또한 비교예 1,2 경우와 같이 삼출물이 많은 초기부터 상피화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계속 폼 드레싱을 사용하는 것 보다, 적용예 1∼3, 특히 적용예 2, 3의 경우와 같이 삼출물이 많은 초기에는 폼 드레싱재를 사용하고 어느 정도 상피화가 되는 시점부터는 본 발명의 드레싱재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재상피화와 창의 수축이 매우 우수 하고 상처 치유 속도도 비교예에 비하여 훨씬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는, 삼출물이 적은 상처 또는 삼출물의 양이 적어지는 창상 중·후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를 제공한다. 삼출물이 적은 상처 또는 삼출물이 적어지는 시점에 본 발명의 드레싱재를 사용하게 되면 상처 치유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고가의 폼 드레싱재의 사용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환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는 드레싱재 자체에 어느 정도의 점착력이 있어, 드레싱재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반창고나 다른 필름 드레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생산성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5)

  1. (a)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용제 30∼100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점도가 2,000∼3,000cps/30℃인 폴리우레탄 용액을 제조한 후 기포를 제거하고 이형지 위에 도포한 다음 열풍 건조하여 투습성과 방수성을 지닌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만드는 단계;
    (b) 말단에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가교제 1∼20 중량부, 점착부여제(Tackifier) 1∼20 중량부를 60∼90℃에서 혼합하고 기포를 제거하여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
    (c) 상기 (a)에서 만든 폴리우레탄 필름층 위에 상기 (b)에서 만든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도포하고 100∼120℃에서 가교시켜 흡수층(20)을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력이 있는 시트형태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다이올을 투입하여 혼합 교반한 후 이소시아네이트를 분할 투입하면서 반응시켜 만든 것으로, 상기 폴리올은 2개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500∼5,000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을 4:6∼8:2의 몰비로 혼합한 것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함량이 40%∼8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시클로헥실렌-1,4-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올은 디메틸올프로피온산(DMPA) 또는 디메틸올부탄산(DMB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다이올을 투입하여 혼합 교반한 후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를 분할 투입하면서 반응시켜 만든 것임을 특징으로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2개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500∼5,000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을 4:6∼8:2의 몰비(mole ratio)로 혼합한 것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함량이 40%∼8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올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여제(Tackifier)는 로진, 구마론-인덴 수지, 알킬페놀-아세틸렌, 알킬페놀-알데히드 수지, 석유수지, 테르펜 수지, 아스팔트와 비투멘 같은 기타 탄화수소 수지, 폴리알킬화된 노볼락 레진, 자일렌-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혼합액은 보습제, 항균제, 흡수보조제, 상처치유보조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히아루론산, 아미노산, L-아스파라긴산,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DL-알라닌, L-이소로이신, 염산리진, 글리신, 글리세린, L-글루타민, L-글루타민산, L-글루타민산나트륨, 피리진산, L-트레오닌, 세리신, 세린, L-티로신, 헤파린,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소듐알지네이트, 키틴, 키토산 및 젤라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설파디아민은, 포비돈 요오드, 요오드, 요 오드화물 이온염, 황산플라디오마이신, 아크리놀, 클로로헥시딘, 염화벤잘코늄 및 염화벤젠토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보조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텔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암모늄, 알긴산칼륨, 알긴산칼슘, 카제인나트륨, 구아검, 로커스트콩검, 잔탄검, 시클로덱스트린, 아라비아검, 알긴산, 젤란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카제인, 타라검, 타마린드검, 트라가칸스검, 펙틴, 글루코만난, 가티검, 아라비노갈락탄, 퍼셀레란, 풀루란, 글구코사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키틴, 키토산, 소듐알지네이트,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천연고분자와 이들의 유도체 및 합성고분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치유보조제는 섬유아세포증식인자(FGF); 간섬유증식인자(HGF); 표피세포증식인자(EGF)를 포함하는 육아형성촉진제, 정제당; 백당을 포함하는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과당, 포도당, 자일리톨, 유당, 맥아당, 말티톨 및 트레할로오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 점착력이 있는 시트형태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15. 삭제
KR1020050113683A 2005-11-25 2005-11-25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719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683A KR100719433B1 (ko) 2005-11-25 2005-11-25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683A KR100719433B1 (ko) 2005-11-25 2005-11-25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433B1 true KR100719433B1 (ko) 2007-05-17

Family

ID=3827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683A KR100719433B1 (ko) 2005-11-25 2005-11-25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43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39B1 (ko) * 2008-04-23 2008-09-22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드레싱재용 실리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드레싱재와 그제조방법
KR101052308B1 (ko) * 2008-07-15 2011-07-28 에스앤씨 바이오텍 주식회사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는 드레싱 재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7113B1 (ko) 2010-03-15 2012-06-22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탄성체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356050B1 (ko) 2007-10-09 2014-01-28 주식회사 실론 씸실링 테잎용 용제형 폴리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폴리우레탄 필름을 포함하는 씸실링테잎
KR101494660B1 (ko) * 2013-06-18 2015-02-17 주식회사 티앤엘 개선된 점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WO2017073826A1 (ko) * 2015-10-30 2017-05-04 이태완 상처 치료용 고흡수성 제로겔 드레싱
WO2018169334A1 (ko) * 2017-03-17 2018-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03323A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노아닉스 듀얼코팅을 위한 친수성 코팅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수성 코팅방법
KR20220033278A (ko) * 2020-09-09 2022-03-16 엄기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을 포함하는 휴대폰 화면보호필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2711A (en) 1992-10-05 1997-04-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hesive composition for use as a wound dressing or ostomy/prosthesis adhesive
KR20010008533A (ko) * 1999-07-01 2001-02-05 박명환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
KR20010081190A (ko) * 2000-02-10 2001-08-29 박명환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
KR100345034B1 (ko) 1998-12-03 2003-04-23 광주과학기술원 상처치료용드레싱제의제조방법
KR20050061195A (ko) * 2003-12-18 2005-06-22 주식회사 바이오폴 2층 구조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KR20050084464A (ko) * 2002-12-27 2005-08-26 가부시키가이샤 가헤이 폴리우레탄 발포체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적층체 시트의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2711A (en) 1992-10-05 1997-04-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dhesive composition for use as a wound dressing or ostomy/prosthesis adhesive
KR100345034B1 (ko) 1998-12-03 2003-04-23 광주과학기술원 상처치료용드레싱제의제조방법
KR20010008533A (ko) * 1999-07-01 2001-02-05 박명환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 방법
KR20010081190A (ko) * 2000-02-10 2001-08-29 박명환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
KR20050084464A (ko) * 2002-12-27 2005-08-26 가부시키가이샤 가헤이 폴리우레탄 발포체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적층체 시트의제조 방법
KR20050061195A (ko) * 2003-12-18 2005-06-22 주식회사 바이오폴 2층 구조의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050B1 (ko) 2007-10-09 2014-01-28 주식회사 실론 씸실링 테잎용 용제형 폴리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폴리우레탄 필름을 포함하는 씸실링테잎
KR100859339B1 (ko) * 2008-04-23 2008-09-22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드레싱재용 실리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드레싱재와 그제조방법
KR101052308B1 (ko) * 2008-07-15 2011-07-28 에스앤씨 바이오텍 주식회사 실리콘 입자를 포함하는 드레싱 재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157113B1 (ko) 2010-03-15 2012-06-22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탄성체용 프라이머 조성물
KR101494660B1 (ko) * 2013-06-18 2015-02-17 주식회사 티앤엘 개선된 점착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
WO2017073826A1 (ko) * 2015-10-30 2017-05-04 이태완 상처 치료용 고흡수성 제로겔 드레싱
WO2018169334A1 (ko) * 2017-03-17 2018-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161929B2 (en) 2017-03-17 2021-11-02 Lg Chem, Ltd.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03323A (ko) * 2020-07-01 2022-01-10 주식회사 노아닉스 듀얼코팅을 위한 친수성 코팅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수성 코팅방법
KR102407830B1 (ko) * 2020-07-01 2022-06-13 주식회사 노아닉스 듀얼코팅을 위한 친수성 코팅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수성 코팅방법
KR20220033278A (ko) * 2020-09-09 2022-03-16 엄기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을 포함하는 휴대폰 화면보호필름
KR102406427B1 (ko) 2020-09-09 2022-06-07 엄기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을 포함하는 휴대폰 화면보호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433B1 (ko)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US10987447B2 (en) Antibacterial dressing material and preparing method therefor
JP4975465B2 (ja) 保水率を向上させた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ドレッシング材
KR100859339B1 (ko) 드레싱재용 실리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드레싱재와 그제조방법
JP5020639B2 (ja) 薬用ポリウレタン発泡体
EP1374812A1 (en) Multilayered microporous foam dres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45050B1 (ko)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WO1992019194A1 (en) Wound covering material
KR100780846B1 (ko) 약물함유층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제조방법
KR101202875B1 (ko) 메쉬 필름을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6658B1 (ko)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CN104491915B (zh) 一种术后防黏连医用敷料及其制备方法
JP3304942B2 (ja) 傷治療用医薬材料
KR200422370Y1 (ko) 창상피복재
KR101879643B1 (ko) 스프레이형 연질 폴리우레탄 폼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22884B1 (ko)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404140B1 (ko) 다층구조의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359864B1 (ko)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형성된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JPH04317654A (ja) 創傷被覆材
KR100631108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JP2001340375A (ja) 創傷被覆材
JP2001212224A (ja) 創傷被覆材
KR100667292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20180075812A (ko)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212222A (ja) 創傷被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