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884B1 -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884B1
KR101022884B1 KR1020090052120A KR20090052120A KR101022884B1 KR 101022884 B1 KR101022884 B1 KR 101022884B1 KR 1020090052120 A KR1020090052120 A KR 1020090052120A KR 20090052120 A KR20090052120 A KR 20090052120A KR 101022884 B1 KR101022884 B1 KR 10102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rug
water
weight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529A (ko
Inventor
권오형
조동환
김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Priority to KR102009005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88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염이 되었거나 감염의 우려가 있는 창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항균제 등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는 폼층; 수용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도 2,000~10,000cps/25℃의 점성 액체를 코팅시켜 상기 폼층의 일면에 형성한 수용해성 막(membrane) 층; 및 약물을 함유하는 점도 2,000~10,000cps/25℃의 용액을 코팅시켜 상기 수용해성 막 층 위에 형성한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는 폼 드레싱제의 표면에 폼층과 분리된 상태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별도의 약물층을 구비하고 있어, 창상 전면에 골고루 약물을 전달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 약물을 함유하는 폼 드레싱제와 달리 약물이 폼 내부에 스며들지 않게 되므로 폼층의 영향 없이 약물의 방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드레싱제, 약물, 항균, 폴리우레탄, 폼, 창상피복, 친수성

Description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Polyurethane foam dressing that comprises a layer having drug}
본 발명은 창상, 화상 등의 상처부위를 보호하며 상처치유를 도와주는 드레싱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처의 처치는 의학의 기초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집트의 Papyrus Smith에 의하면 기원전 약1700년 전부터 상처 치료를 위하여 동물 기름이나 벌꿀, 면화를 이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역사가 흐르면서 상처의 치료기술에도 많은 연구와 기술 개발로 다양한 종류의 창상피복제가 개발되어 왔다.
1962년 동물학자 Winter가 상처를 건조하여 딱지를 앉게 하는 것보다 상처를 습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창상치유에 있어서 더 도움이 된다는 논문을 발표한 이후로 습윤 상처 처치의 유용성이 계속적으로 입증되고 강조되어 왔다. 상처에서 분비되는 체액이 탈수되거나 건조되지 않도록 하는 습윤 환경 상처 처치(Wet dressing)방법은 상처 치료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970년대 초에는 Rovee가 습윤환경을 유지하여 가피를 형성하지 않는 환경이 상피세포의 창상부를 이동시키고 상피재생을 촉진시킨다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개방이 된 창상의 경우는 상피세포의 이동이 가피층에서 형성되는 콜라겐에 의해 억압되고 창상부액이 혈관신생과 상피화를 자극하는 여러 종류의 성장인자(growth factor)를 없앤다는 연구 결과가 이 이론을 더욱 뒷받침하였다.
이와 같이 습윤환경은 재생 상피세포가 상처면을 따라 원활하게 전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나 건조환경하에서는 상처면을 따라 전개하지 못하기 때문에 창상복원이 늦어지게 되고, 창상 치유가 비효율적으로 진행되게 된다. 또한 삼출액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상처 치유에 관여하는 물질들이 습윤환경하에서는 원활히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처 치유가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상처치유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로는 크게 습윤환경(humidity), 온도(temperature), 감염(infection), 산소농도(oxygen) 등을 들 수 있다. 습윤환경은, 건조한 환경하에서는 재생 상피 세포의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상처 치료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온도는, 세포의 증식이나 세포 분열이 28℃ 이하에서는 크게 장애를 받기 때문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상적인 드레싱제는 상처와 드레싱제 사이의 습윤환경 유지, 적절한 흡수성 및 투습성이 있어야 하며 상처면의 건조를 막고 주변 정상 피부의 침연(짓무름)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또한 가스의 교환, 외부로부터의 세균침입 방지 등의 기능성을 갖고, 교환 시 신생조직 등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상처면에 달라붙지 않아야 한다. 이 밖에도 상처 치유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고 무자극성이며 사용이 용이하고 경제 적이라면 이상적인 드레싱제가 될 수 있다.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습윤환경 드레싱제는 폴리우레탄 폼, 하이드로콜로이드, 하이드로겔, 반투과성 필름 드레싱제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폴리우레탄 폼은 삼출물 흡수능이 우수하고, 교환이 용이하며 쿠션이 있어 상처의 보호기능이 뛰어나 깊은 창상이나 삼출물이 다량 발생하는 창상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삼출물 흡수능이 우수하고 습윤환경 조성이 뛰어나더라도 감염이 되었거나 감염의 우려가 있는 창상에 적용하게 되면 2차 감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감염은 창상치유에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세균을 다수 포함하는 조직에서는 상피 세포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염증이 장기간 지속되면 치유가 지연되게 된다. 또한 드레싱 교환시나 처치시 주의를 기울이지 않거나 오염된 부위를 완전히 소독하지 못하고 처치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2차 감염이나 염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폼에 항균성 약물을 첨가하여 항균성을 가지는 폼 드레싱제가 개발된 바가 있다.
미국 특허 제4,664,662호(1985.7.31), 미국 특허 제4,860,737호(1983.8.11), 미국 특허 제5,147,338호(1991.6.17) 등에서는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말단그룹을 가지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 발포제로 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실버설퍼디아진과 같은 항균제 등의 약물을 혼합하여 발포시켜 제조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를 기술하고 있다. 이들 특허에 기술된 폴리우레 탄 폼 드레싱제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0.5~20㎜의 범위이고, 투습도가 300~5,000g/㎡/24hrs(상대습도 10~100%, 37℃)이고, 개방 기공(Open cell)의 사이즈가 30~700㎛이고, 개방 기공율(오픈셀화율)이 20~70%이고, 외측필름층의 두께가 12.5~37.5㎛인 3층 구조를 갖는다.
대한민국 특허 제0404140호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말단을 갖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Prepolymer)와 가교제, 발포제, 항균제로 실버설퍼디아진, 기타 첨가제 등을 혼합 교반한 뒤 몰드(Mold)에 주입하여 발포하는 방식으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폼 자체, 즉 폼 내부에 약물을 포함시키는 방법은 다공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폴리우레탄 폼의 구조적 특징상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폴리우레탄 폼의 셀 내에 있는 약물이 밖으로 방출되어 상처 표면에 닿아야 약효가 나타날 수 있는데, 삼출물이 많은 초기에는 다량의 삼출물에 의해 폼 드레싱제가 팽윤되어서 약물이 방출되지만 삼출물의 양이 적어지는 중·후기에는 약물의 방출이 잘 되지 않는다. 따라서 약물의 방출여부 및 방출량이 삼출물의 양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게 되어, 방출 거동이 불안정해지고 상처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나게 된다. 둘째, 이러한 방출의 어려움 때문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약물을 폼에 첨가하여야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처에는 약물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셋째, 삼출물이 없는 상처의 경우에는 폼에 약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약물이 상처 면까지 방출되지 않거나 방출이 미미하여 약효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선발명인 대한민국 특허 제0780846호에서 친수성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표면에 조제된 약물을 나이프 롤 코팅(knife roll coating) 방법에 의해 코팅시켜 약물함유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다공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의 구조적 특성상 약물을 폼 위에 코팅시키게 되면 폼 내부에 약물을 포함시키는 경우보다는 낫지만 역시 약물이 다공성의 기공으로 스며들게 되어 약물 전달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질상의 폼에 직접적으로 나이프 롤 코팅을 이용하여 약물을 도포하게 되면 폼의 반발력에 의하여 균일한 약물 도포가 어렵고 이에 따라 약물전달이 균일하게 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또 폼의 표면이 쉽게 손상되는(폼이 찢어지거나 깨져서 부스러기가 생길 수 있음)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 방법은 삼출물 흡수가 방해 받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연속상이 아닌 불연속적인 원형의 도트(dot)나 이와 유사한 불연속적인 형태로 약물을 코팅하는데, 이렇게 할 경우 약물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으로 인해 일정한 약물전달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감염이 되었거나 감염의 우려가 있는 창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항균제 등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약물층을 포함하는 친수성 폼 드레싱 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선발명인 특허 제0780846호의 약물함유층을 갖는 친수성 폼 드레싱제의 문제점을 해결한 보다 개선된 형태의 약물층을 포함하는 친수성 폼 드레싱제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더 명확해 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는 폼층 위에, 폼층의 삼출물 흡수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약물이 폼층으로 흡수되지 않도록 약물층과 폼층을 분리시키는 수용해성 막을 형성한 후 이 수용해성 막 위에 약물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는 폼층;
수용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도 2,000~10,000cps/25℃의 점성 액체를 코팅시켜 상기 폼층 위에 형성한 수용해성 막(membrane) 층; 및
약물을 함유하는 점도 2,000~10,000cps/25℃의 용액을 코팅시켜 상기 수용해성 막 층 위에 형성한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가 제공된다.
상기 수용해성 막(membrane) 층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10~100㎛ 범위이다. 상기 수용해성 고분자는 삼출물과 접촉하여 용해될 수 있고 인체의 상처 부위에 사 용가능한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용해성 고분자는 천연 고분자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용해성 고분자는 소디움알지네이트; 잔탄검;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젤란검; 및 펙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성 액체는, 증류수 100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및 수용해성 고분자 2~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약물층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10~200㎛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약물층에 함유되는 "약물"은, 항균제 등 종래에 의약품으로서 알려져 있는 물질은 물론,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점도조절제나 상처치유 보조제 등 상처 치료를 직접, 간접적으로 도와줄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약물은 드레싱제의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것이므로 한정되지 않으나, 상처부위에 사용하는 드레싱제의 목적상 특히 잡균의 감염 및 증식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파디아민은, 포비돈 요오드, 요오드, 요오드화물 이온염, 황산플라디오마이신, 아크리놀, 클로로헥시딘,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젠토늄, 후시딘산나트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밖에도 알려져 공지의 항균제가 같은 목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항염, 항박테리아, 항진균 작용 또는 피부재생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티트리 오일(Teatree oil), 고삼 추출물(Sophora Angustifolia Extract), 붓꽃 추출물(Iris Extract), 감초 추출물(Glycyrrhiza Glabra Extract), 자몽(종자) 추출물에서 유래하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Bioflavonoids); 나린진(Naringin); 폴리펩티드(Polypeptides); 토코페 롤(Tocopherols), 병풀(Centella Asiatica)에서 유래하는 아시아틱에시드(Asiatic acid); 마데카식에시드(Madecasic Acid), 버섯에서 추출한 베타글루칸(β-Glucan), 인도멀구슬나무 추출물(Neem Extract), 위치하젤 추출물(Witch Hazel Extract), 알란토인(Allantoin), 마치현 추출물(Portulace Oleracea Extract), 지실 추출물(Ponciri Fructus Extract), 피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알로에 추출물 등의 천연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약물층을 형성하는 약물 함유 용액은 2,000~10,000cps/25℃의 점도를 갖는 것이 좋다. 점도가 2,000cps/25℃ 이하일 경우에는 택(tack)성이 있는 상태에 도달 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생산효율성이 좋지 못하고, 10,000cps/25℃ 이상인 경우에는 이형지 위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기가 어려워진다. 약물 함유 용액에는 약물 외에 보습제, 상처치유보조제 등의 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들 물질은 상처치유를 도와주는 역할 외에도 용액의 점도를 증가시키고 항균제 등 다른 약물이 전체적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액상에서 가라앉지 않게 하는 증점제 및 안정제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따라서 보습제, 상처치유보조제 등의 약물을 적절히 포함시키면 별도의 부형제나 점도조절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약물 함유 용액의 점도를 2,000~10,000cps/25℃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약물을 함유하는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약물, 용매, 부형제, 점도조절제를 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용매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로서 선택된 약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용매로 탈이온수(DIW), 에탄올, 메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 직하게는 탈이온수(DIW)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형제로는 약제학 분야의 공지된 부형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들 들어 글리세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점도조절제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점도 조절제이면 모두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소듐알지네이트, 카라기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약물을 함유하는 용액은, (a) 탈이온수(DIW), 메탄올,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용매 100 중량부; (b) 약물 0.1~50 중량부; (C) 부형제 20~40 중량부; 및 (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소듐알지네이트, 카라기난, 펙틴 중에서 선택된 점도 조절제 1~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폼층은, 친수성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친수성 폴리우레탄"은 친수기가 도입되어 일반 폴리우레탄에 비해 친수성을 나타내는 폴리우레탄을 의미한다. 상기 폼층은, 바람직하게는 직경 1~50㎛의 미세 개방기공(open cell)이 형성된 스킨층과; 직경 1~1,000㎛의 개방기공(open cell)이 형성된 흡수층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스킨층에 접하여 상기 수용해성 막 층이 형성되고, 흡수층에는 외측 필름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폼층은 폴리올; 다이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탈이온수(DIW) 60~120 중량부, 계면활성제 1~10 중량부를 고속으로 혼합시킨 발포혼합액을 이형지 위에 0.05~10㎜의 두께로 도포시켜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은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500~6,00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로 에틸렌옥사이드 함량이 20%~9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 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는 상기 폼층 아래에 무공형의 투습방수성 외측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폼층이 스킨층과 흡수층의 2층 구조일 때 외측 필름층은 흡수층에 접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투습성 필름"은 친수기가 도입된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원료로 사용하여 일반 폴리우레탄 필름에 비해 투습성을 지니도록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투습방수성 필름"은 친수기가 도입된 친수성 폴리우레탄을 원료로 사용하여 투습성과 방수성을 동시에 지니도록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a) 수용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도 2,000~10,000cps/25℃의 점성 액체를 이형지 위에 코팅하여 두께 10~100㎛의 수용해성 막 층을 만드는 단계;
(b)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폼층의 일면에 상기 (a)에서 얻은 수용해성 막 층을 합지하는 단계;
(c) 약물을 함유하는 점도 2,000~10,000cps/25℃의 용액을 이형지 위에 코팅하여 두께 10~200㎛의 약물층을 만드는 단계; 및
(d) (b)에서 얻은 합지된 수용해성 막 층의 합지되지 않은 다른 면에 (c)에서 얻은 약물층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제조방법은,
폴리올; 다이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탈이온수(DIW) 60~120 중량부, 계면활성제 1~10 중량부를 고속으로 혼합시킨 발포혼합액을 이형지 위에 0.05~10㎜의 두께로 도포하여 경화되기 전의 택(Tack)성이 있는 겔(Gel) 상태로 상기 폼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더해,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 20~70 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 5~30 중량부 및 안료 1~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후 기포를 제거하고 이형지에 도포 및 건조시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얻는 단계와; 상기 수용해성 막 층과 폼층의 합지에 앞서, 상기 겔 상태의 폼층의 다른 면에 상기에서 얻은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는 폼 드레싱제의 표면에 폼층과 분리된 상태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별도의 약물층을 구비하고 있어, 창상 전면에 골고루 약물을 전달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 약물을 함유하는 폼 드레싱제와 달리 약물이 폼 내부에 스며들지 않게 되므로 폼층의 영향 없이 약물의 방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폼층의 흡수로 인한 약물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약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코팅시켜 막 형태의 약물층을 형성한 후 이를 드레싱제에 합지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나이프 롤 코팅 등의 방법으로 약물을 드레싱 제에 직접 코팅하던 방법에 비해 공정 중의 폼 손상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생산성 및 가공 효율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 모식도이다.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외측 필름층(20)과;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는 폼층(10)과; 수용해성 막 층(30)과; 약물층(4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폴리우레탄 폼층(10)은 폴리우레탄을 시트 상에서 발포 성형시킨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다. 폼층(20)은 직경 1~1,000㎛의 다수의 개방기공을 갖고, 자기 무게의 100~1,000 중량%를 흡수 저장할 수 있으며, 밀도 0.1~0.5g/㎤의 범위를 가진다. 폼층(10)은 직경 1~50㎛의 미세 개방기공(Open Cell)이 형성된 스킨층(11)과 직경 1~1,000㎛의 다수의 개방기공(Open Cell)이 형성된 흡수층(12)의 2층 구조를 갖는다. 이 2층 구조는, 제조공정에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 발포 혼합액을 고속으로 교반한 후에 이형지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면 이형지가 접한 면 에서는 접하지 않은 부분에 비해 보다 미세한 개방기공(Open Cell)이 형성되어 필름 형태의 층이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것이다.
외측 필름층(20)은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 드레싱제의 최외측, 즉 피부와 접하지 않는 최외측을 형성한다. 외측 필름층(20)은 400~3,000g/㎡/day(상대습도 10~90%, 37℃, Desiccant Method)의 고투습도를 가지면서 외부로부터의 박테리아(Bacteria) 및 세균 등의 침입을 방지하고, 삼출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고, 상처 면에 습윤환경(Moisture Environment)을 조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수용해성 막 층(30)은 수용해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며, 폼층의 삼출물 흡수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그 위에 형성될 약물층을 폼층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약물이 폼층 내로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용해성 막 층(30)은 폼층(20)의 일면에 두께 10~100㎛의 얇은 막(membrane)으로 형성된다. 먼저 증류수 100 중량부에 글리세린 1~5 중량부, 수용해성 고분자 2~10 중량부를 고속으로 교반하여 상온에서 2,000~10,000cps의 점성이 있는 액체를 제조한 후 이를 이형지 위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한 후 건조시키면 물이 증발하면서 얇은 막이 형성되는데, 이 막을 폼층(20)의 일면에 합지하여 수용해성 막 층(30)을 형성한다. 수용해성 막 층(30)은 삼출물에 닿게 되면 자연스럽게 녹아서 없어지기 때문에 폼층의 삼출물 흡수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약물이 상처면에 작용하는 동안 약물과 폼층을 분리시키는 물리적 장벽 역할을 하게 된다.
약물층(40)은 약물을 함유하며, 상기 수용해성 막 층(30)에 의해 폼층(20)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약물층(40)은, 폼층(20)과 접하지 않은 수용해성 막 층(30)의 다른 면에 두께 10~200㎛의 두께로 형성된다. 먼저 약물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 100 중량부; 약물 0.1~50 중량부; 부형제 20~40 중량부; 및 점도 조절제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도 2,000~10,000cps/25℃의 용액을 만든 후 이를 이형지 위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시킨 후 건조하면 용매가 증발하면서 약물을 함유한 막이 형성되는데, 이 막을 수용해성 막 층(30)에 합지하여 약물층(40)을 형성한다. 약물층(40)은 상기 수용해성 막 층(30)에 의해 폼층과 분리됨으로써 다공성인 폼층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약물을 상처 면에 균일하게 방출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a는 스킨층의 표면 사진이고, 도 2b는 흡수층의 표면 사진, 도 2c는 외측 필름층의 표면 사진, 도 2d는 스킨층에 접한 수용해성 막 층의 단면 사진, 도 2e는 약물층의 표면 사진이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폴리우레탄 폼층의 제조
(1)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제조
먼저, 폴리올과 다이올 혼합용액에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투입하여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한다.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올, 다이올을 투입하여 교반 속도 150 RPM 정도로 교반하면서 50℃까지 승온시킨 후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투입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NCO 함량(%)이 이론치에 도달할 때까지 반응시킨다.
상기 폴리올로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틸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부틸렌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카프로락톤글리콜;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네오펜틸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친수기가 도입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이다. 친수성 부여에는 친수성 그룹인 에틸렌옥사이드의 함량이 중요한데, 이것은 "Journal of Cellular Plastics 1976; 12; 285" "Journal of Cellular Plastics 1983; 19; 259", 미국 특허 제4,008,189호(1975.11.4) 등에 공지된 기술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로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500~6,00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로 에틸렌옥사이드 함량이 20wt%~90wt%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치환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토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시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이올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메틸-1,3-펜탄디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같이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제조에 공지의 산화방지제를 알려진 방법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페닐-베타-나프탈아민; 시스테인염산염;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노르디히드로구아자레트산; 부틸히드록시아니솔;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에리소르브산; 갈산프로필, Ciba Specialty Chemicals사의 IRGANOX 1010; IRGANOX 1035; IRGANOX 1076; IRGANOX 1330; IRGANOX 1425WL; IRGANOX 3114; IRGANOX B215; IRGANOX B220; IRGANOX B225; IRGANOX B561; IRGANOX B313; IRGANOX B501W; IRGANOX B900; IRGANOX B1411; IRGANOX B1412; IRGANOX PS800; IRGANOX PS802; IRGAFOS P-EPQ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산; 시트르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IRGANOX 1010; IRGANOX 1035; IRGANOX 1076; IRGANOX 1330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같이 사용한다. 산화방지제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전체 중량의 0.05~5 중량%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폴리우레탄 발포 혼합액의 제조
물, 가교제, 계면활성제 등을 혼합하여 발포제로 사용할 발포조성물을 제조한다. 발포조성물은 탈이온수 60~120 중량부; 가교제 0.5~40 중량부; 계면활성제 1~10 중량부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안료 0.01~2 중량부, 보습제 및 흡수보조제 0.1~4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1,2,4-부탄트리올; 솔비톨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같이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폴리우레탄 폼 형성시 가교 반응을 통해 폼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계면활성제로는 공지의 계면활성제가 알려진 용도와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인 바스프사의 F-68; F-87; F-88; F-108; F-127과,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 L-580; L-603; L-688; L-5420; SZ-1703; L-6900; L-3150; Y-7931; L-1580; L-5340; L-5333; L-6701; L- 5740M; L-3002; L-626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스킨층(11)과 흡수층(12)의 기공(Pore)의 크기와 기공의 개방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인 바스프사의 F-68은 조직에 상해를 가하지 않고 상처를 세척하는데 도움을 주며 무독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가장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습제는 상처면에 습윤환경을 유지하여 가피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상처치유를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보습제"는 일반적으로 보습제로 알려져 있는 공지의 보습제는 물론 습윤환경을 유지시켜 가피 형성을 억제하고 상처치유를 원활하게 하는 상처치유보조제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보습제로는, 구체적으로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암모늄; 알긴산칼륨; 알긴산칼슘; 카제인나트륨; 구아검; 로커스트콩검; 잔탄검; 시클로덱스트린; 아라비아검; 젤란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카제인; 타라검; 타마린드검; 트라가칸스검; 펙틴; 글루코만난; 가티검; 아라비노갈락탄; 퍼셀레란; 풀루란; 글구코사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키틴; 키토산; 소듐알지네이트; 히아루론산; 아미노산; L-아스파라긴산;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DL-알라닌; L-이소로이신; 염산리진; 글리신; 글리세린; L-글루타민; L-글루타민산; L-글루타민산나트륨; 피리진산; L-트레오닌; 세리신; 세린; L-티로신; 헤파린;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소듐알지네이트; 젤라틴 등이 상기 범위 내에서 발포 혼합액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는 폴리우레탄 폼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지의 고흡수성 고분자(Super Absorbent Polymer) 등의 흡수보조제가 상기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이밖에도 본 발명의 발포조성물에는 안정제, 보존제, 물성 조절제 등 효능이 알려진 공지의 첨가제가 공지의 목적으로 소량 부가될 수 있다.
(3) 폴리우레탄 폼층의 성형 제조
상기에서 준비된 발포 혼합액을 이형지 위에 0.05~10㎜범위의 두께로 도포하여 경화되기 전의 택(Tack)성이 있는 겔(Gel) 상태의 폴리우레탄 폼층을 얻는다.
상기 단계에서 고속으로 교반된 발포 혼합액을 코팅 게이지 등을 이용하여 이형지 위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후 약 1~2분의 시간이 경과하면 택(Tack)성이 있는 겔(Gel) 상태로 폴리우레탄 폼층이 형성된다. 이 단계에서는 이형지 위에 도포된 발포 혼합액이 경화(Curing)가 되기 전, 즉 겔(Gel)처럼 끈적한 택(Tack)성이 있는 상태로 폴리우레탄 폼층을 형성하고 바로 다음 단계를 진행하여야 한다.
이형지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의 제조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 20~70 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 5~30 중량부를 가하여 교반한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이형지에 도포한 후 건조시 켜 무공형의 방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층을 만든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에 안료 1~10 중량부가 더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진공교반탈포기로 탈포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이렇게 기포가 제거된 폴리우레탄 용액을 코팅 게이지 등을 이용하여 무광이형지 위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시키면 무공형의 폴리우레탄 필름 층이 얻어진다. 이때 폴리우레탄 수지로 투습성과 방수성을 동시에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 즉 상기 폴리우레탄 폼 층의 형성에 사용된 폴리우레탄 수지와 마찬가지로 주사슬에 친수기가 도입된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면 투습성과 방수성을 동시에 갖는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 층이 얻어진다. 이 폴리우레탄 필름 층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드레싱제의 외측을 형성하게 된다.
폴리우레탄 폼층과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의 합지
앞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폼층과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합지한다. 이때 일정한 갭(Gap)을 두고 눌러서 폼 드레싱제의 두께를 조절하며, 바람직하게는 별도로 접착제나 점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경화(Curing)되기 전의 택(Tack)성이 있는 겔(gel) 상태의 폴리우레탄 폼 층과 폴리우레탄 필름 층을 그대로 합지시킨다. 그러나 합지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압력을 가하는 공지의 합지 방법도 사용 가능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필름 층을 합지(Laminating)한 후 약 100℃ 정도의 열풍건조기에서 약 1분 동안 건조시킨 후 폴리우레탄 필름 층에 접한 이형지 를 박리한다. 이렇게 열풍건조를 거친 후 다음의 숙성단계에 들어가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열풍건조하지 않고 그대로 열풍건조기에서 숙성시킬 경우에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가 수축되면서 말리는 현상(Curling)이 나타나 롤(Roll) 형태로 권취하기가 어렵고, 또한 폴리우레탄 폼 층에 남아있는 수분이 휘발 되는데도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만일 수분이 적당하게 휘발되지 않으면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상처면 접촉층의 삼출물 흡수능 및 흡수속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열풍건조시킨 후 필름 층에 접한 이형지를 박리하면 폼 층에만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와 발포 조성물을 3000RPM정도의 속도로 고속 교반한 후 발포 혼합액을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된 이형지 위에 공급을 하고 경사진 면을 흘러내리게 한 다음 약 2분이 경과 된 다음에 택(Tack)성이 있는 겔(Gel)상태의 폴리우레탄 폼 층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때 투습방수성의 필름과 합지면(이형지가 없는 면)을 서로 맞닿게 하여 바로 합지시키고, 100℃ 열풍건조기에서 3분 동안 건조시켰다.
숙성
바람직하게는 합지 후 열풍건조기에서 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합지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를 폴리우레탄 필름층에 접해 있는 이형지를 박리한 다음 50~70℃의 열풍건조기에서 일정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이렇게 일정시간 동안 숙성을 하고 나면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가 어느 정도 수축을 하게 되는데 이때 폴리우레탄 외측 필름층이 같이 수축되면서 자연스러운 주름 무늬가 생긴다. 또한 주름무늬가 있는 이형지 AR-175(아사히롤사)와 같은 이형지를 사용하여도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수용해성 막 층의 제조 및 합지
증류수 100 중량부에 글리세린 1~5 중량부, 수용해성 고분자 2~10 중량부를 고속으로 교반하여 상온에서 2,000~10,000cps의 점성이 있는 액체를 제조한 후 이를 이형지 위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고 100℃오븐에서 약 3분간 건조시키면 물이 증발하면서 얇은 막이 형성된다. 이때 완전히 건조시키지 않고 택(tack) 성을 유지하는 상태로 수용해성 막을 제조한 후 이 막을 상기 폴리우레탄 폼층과 합지(lamination)한다.
약물층의 제조 및 합지
(a) 탈이온수(DIW), 메탄올,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용매 100 중량부; (b) 약물 0.1~50 중량부; (C) 부형제 20~40 중량부; 및 (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소듐알지네이트, 카라기난, 펙틴 중에서 선택된 점도 조절제 1~1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도 2,000~10,000cps/25℃의 약물 함유 용액을 제조한다. 또는 약물을 탈이온수(DIW) 등의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여기에 필요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또는 점도조절제를 첨가하여 점도를 2,000~10,000cps/25℃로 조절하여 약물 함유 용액을 얻을 수도 있다. 이렇게 얻어진 약물 함유 용액을 이형지 위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한 후 100℃ 정도의 오븐에서 약 3분간 건조하면 택(tack)성이 있는 약물층이 얻어진다. 약물층의 두께는 10~200㎛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택(tack)성이 있는 상태에서 바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에 합지된 수용해성 막 층과 합지시킨다.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의 합성예
다음 표 1의 조건 및 방법으로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합성하였다.
Figure 112009035505540-pat00001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예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은 상기 표 1에서 제조한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 50 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 15 중량부, 안료 5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혼합액을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합지된 무광이형지(율촌화학사)에 두께게이지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다음 100℃ 열풍건조기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무광이형지의 한 면에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형성시켰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어진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의 두께는 30㎛ 이었다.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합성예
다음 표 2와 같은 조건으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합성하였다.
Figure 112009035505540-pat00002
발포 혼합 조성물의 제조예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에 혼합할 발포 혼합 조성물을 다음 표 3과 같은 조건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5505540-pat00003
수용해성 막( membrane ) 조성물의 제조예
다음 표 4와 같은 조건으로 수용해성 막(membrane)을 형성할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5505540-pat00004
약물층 조성물의 제조예
다음 표 5와 같은 조건으로 약물층을 형성한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35505540-pat00005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제조예
(1)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는 상기 합성예 2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와 상기 발포 혼합 조성물 제조예에서 제조한 발포 조성물 80 중량부를 3,000RPM으로 10초 동안 교반하여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시킨 실리콘 이형지(율촌화학사) 위에 공급하여 발포 혼합액이 경사진 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하였다.
(2) 상기와 같이 발포혼합액을 흘러내리게 한 후 2분이 경과 한 뒤에 택(Tack)성이 있는 겔(Gel)상태의 폴리우레탄 폼 층이 일정한 두께가 되었을 때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 제조예에서 제조한 30㎛두께의 필름을 일정한 두께 갭(Gap)을 두고 합지하였다. 이어서 제품의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서 일정한 두께 갭(Gap)을 두고 누른 후 100℃열풍건조기에서 3분 동안 건조시켰다.
(3) 건조시킨 후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이 형성된 무광이형지를 박리하고 70℃ 열풍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4) 상기의 수용해성 막 조성물 제조예에서 제조된 액을 SK BOR S/M이형지(사피워렌사)위에 도포를 하고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두께 20㎛가 되도록 코팅을 하였다. 이어서 100℃ 열풍건조기에서 3분 동안 건조시킨 후 택(tack)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폼과 합지한 후 40℃ 열풍건조기에서 2시간 동안 건조를 시켰다.
(5) 상기의 약물층 조성물 제조예에서 제조한 액을 SK BOR S/M이형지(사피워렌사) 위에 도포하고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두께 50㎛가 되도록 코팅을 하였다. 이어서 100℃ 열풍건조기에서 3분 동안 건조시킨 후 택(tack)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4)에서 제조한 폴리우레탄 폼에 합지된 수용해성 막 층과 합지한 후 40℃ 열풍건조기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제조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두께와 외측 필름층의 두께 및 기계적 물성, 항균성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헙방법
① 흡수도(%)
드레싱제를 1㎝ㅧ 1㎝의 크기로 취하여 상온에서 24시간동안 방치 후 초기 무게(A)를 측정하고 37℃의 증류수에 48시간 동안 함침 보관 후 꺼내어 표면의 물기를 닦아낸 후 무게(B)를 측정한다. 최종적으로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흡수도(%) = (B-A)/A ㅧ 100
②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신장율)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외측필름 층을 합지하지 않은 폴리우레탄 폼 층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만능시험기(Universial Test Machine, Instron)를 이용하여 로드셀(Load Cell) 50N, 시편의 폭은 20㎜, 시편의 길이(Gauge Length)는 30㎜, 크로스헤드의 속도(Cross Head Speed)는 100㎜/min로 하여 측정하였다.
③ 모폴로지(Morphology)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개방기공(Open Cell), 포아(pore)의 모양과 필름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④ 창상치유효과 측정
생후 6~8주경의 체중 250~300g 레트를 사용하였고 레트는 램부탈로 복강마취 시켰다. 기관내 삽관이나 산소의 공급은 별도로 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실내공기를 호흡하도록 하였다. 옆구리 등 부위를 삭모하고 제모기로 털을 완전히 제거한 후 수술부위를 포비돈 및 알코올로 소독하였으며 가능한 한 무균적 수술을 시행하였다. 등 부위에 50π㎟의 피부 결손을 만든 후 창상 부위를 생리식염수로 세척하고 마른 거즈로 닦은 후 창상부위보다 약 1㎝ 넓게 드레싱제를 부착시키고 드레싱제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통에 탄력붕대로 가볍게 고정을 하였다. 드레싱 후 3, 6, 9, 12, 15일째 드레싱 교환을 하였으며 시간경과에 따른 피부결손 부위의 상피화 형성의 정도 및 드레싱 교환시 신생조직의 탈리 현상,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창상치유 효과를 측정하였다.
⑤ 항균력 시험
제조된 각 드레싱제의 항균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KS M0146:2003에 제시된 Shake flask method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시험균액을 37ㅁ 1℃에서 24시간 진탕 배양후 균수를 측정 하였으며(진탕회수 120회/min), 중화용액[1/500TSB(Trypticase Soy Broth] 사용량은 50㎖, 접종 배지는 TSB 1㎖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균주로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1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제조예와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를 제조하되, 약물층을 형성시키는 방법만 대한민국특허 제0780846호에 제시된 방법으로 하여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약물층 조성물은 상기 표 5와 동일하게 하였으며, 약물층 조성물을 나이프 롤(knife roll) 코팅방법을 사용하여 원형(dot) 형태의 비연속상으로 코팅시켰다. 제조한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두께와 외측 필름층의 두께 및 기계적 물성, 항균성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35505540-pat00006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항균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는 기계적 물성, 흡수도 등은 비교예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다만 항균성 시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원형 형태의 비연속상으로 제조된 비교예는 약물이 도포되지 않은 부위로 인하여 항균력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온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제조예에서는 폼 드레싱제의 상처면 접촉면의 전 부위에 약물을 도포함으로써 항균성이 우수하였다. 동물임상실험에서는 전반적으로 창상치유 효과가 우수하였지만 비교예에서는 약3%의 비율로 부분적 염증이 발생하는 부위가 관찰되었다. 제조예에서는 부분적 염증이 발생한 개체는 1마리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은 수용해성 막(membrane)을 폴리우레탄 폼에 합지하여 별도의 수용해성 막 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대한민국 특허 제0780846호에 제시된 방법에 비하여 약물 도포효과를 혁신적으로 향상시켰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수용해성 막은 삼출물을 흡수하는 데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으로, 도 2a는 스킨층의 표면 사진, 도 2b는 흡수층의 표면 사진, 도 2c는 외측 필름층의 표면 사진, 도 2d는 스킨층에 접한 수용해성 막 층의 단면 사진, 도 2e는 약물층의 표면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폼층
11 : 스킨층
12 : 흡수층
20 : 무공형의 투습방수성 외측 필름층
30 : 수용해성 막 층
4O : 약물층

Claims (15)

  1.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는 폼층;
    수용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도 2,000~10,000cps/25℃의 점성 액체를 코팅시켜 상기 폼층 위에 형성한 수용해성 막(membrane) 층; 및
    약물을 함유하는 점도 2,000~10,000cps/25℃의 용액을 코팅시켜 상기 수용해성 막 층 위에 형성한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해성 막 층은 두께가 10~100㎛ 범위인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해성 고분자는 소디움알지네이트; 잔탄검;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젤란검; 및 펙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성 액체는 증류수 100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및 수용해성 고분자 2~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해성 고분자는 소디움알지네이트; 잔탄검;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젤란검; 및 펙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층은 두께가 10~200㎛ 범위인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을 함유하는 용액은,
    (a) 탈이온수(DIW), 메탄올, 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용매 100 중량부;
    (b) 약물 0.1~50 중량부;
    (C) 부형제 20~40 중량부; 및
    (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소듐알지네이트, 카라기난, 펙틴 중에서 선택된 점도 조절제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티트리 오일(Teatree oil); 고삼 추출물(Sophora Angustifolia Extract); 붓꽃 추출물(Iris Extract); 감초 추출물(Glycyrrhiza Glabra Extract); 자몽(종자)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인도멀구슬나무 추출물(Neem Extract); 위치하젤 추출물(Witch Hazel Extract); 마치현 추출물(Portulace Oleracea Extract); 지실 추출물(Ponciri Fructus Extract); 알로에 추출물; 후시딘산 나트륨; 실버설파디아진;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과당; 포도당; 자일리톨; 유당; 맥아당; 말티톨; 트레할로오스; 포비돈; 및 바세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폼층 아래에 무공형의 투습방수성 외측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폼층은 직경 1~50㎛의 미세 개방기공(open cell)이 형성된 스킨층과; 직경 1~1,000㎛의 개방기공(open cell)이 형성된 흡수층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해성 막 층은 스킨층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외측 필름층은 흡수층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인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폼층은 폴리올; 다이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탈이온수(DIW) 60~120 중량부, 계면활성제 1~10 중량부를 고속으로 혼합시킨 발포혼합액을 이형지 위에 0.05~10㎜의 두께로 도포시켜 얻은 것인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500~6,000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로 에틸렌옥사이드 함량이 20%~90%인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이소시아네이 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13. (a) 수용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도 2,000~10,000cps/25℃의 점성 액체를 이형지 위에 코팅하여 두께 10~100㎛의 수용해성 막 층을 만드는 단계;
    (b)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폼층의 한면에 상기 (a)에서 얻은 수용해성 막 층을 합지하는 단계;
    (c) 약물을 함유하는 점도 2,000~10,000cps/25℃의 용액을 이형지 위에 코팅하여 두께 10~200㎛의 약물층을 만드는 단계; 및
    (d) (b)에서 얻은 합지된 수용해성 막 층의 합지되지 않은 다른 면에 (c)에서 얻은 약물층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폴리올; 다이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100 중량부에, 탈이온수(DIW) 60~120 중량부, 계면활성제 1~10 중량부를 고속으로 혼합시킨 발포혼합액을 이형지 위에 0.05~10㎜의 두께로 도포하여 경화되기 전의 택(Tack)성이 있는 겔(Gel) 상태로 상기 폼층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메틸에틸케톤 20~70 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 5~30 중량부 및 안료 1~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후 기포를 제거하고 이형지에 도포 및 건조시켜 투습방수성의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얻는 단계와;
    상기 수용해성 막 층과 폼층의 합지에 앞서, 상기 겔 상태의 폼층의 다른 면에 상기에서 얻은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의 제조방법.
KR1020090052120A 2009-06-12 2009-06-12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2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20A KR101022884B1 (ko) 2009-06-12 2009-06-12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20A KR101022884B1 (ko) 2009-06-12 2009-06-12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29A KR20100133529A (ko) 2010-12-22
KR101022884B1 true KR101022884B1 (ko) 2011-03-16

Family

ID=43508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120A KR101022884B1 (ko) 2009-06-12 2009-06-12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8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918A1 (ko) 2016-04-12 2017-10-19 (주)안트로젠 수포성 표피박리증 완화 또는 개선용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생분해성 또는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비분해성 지지체 조성물
KR20200013449A (ko)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은-활성탄 복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263B1 (ko) * 2011-07-27 2013-11-04 (주)폴머 스킨층을 갖는 발포 폴리스티렌 입자 및 이를 이용한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물
KR101648083B1 (ko) * 2014-02-19 2016-08-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58195B1 (ko) * 2018-12-17 2020-09-22 유한회사 팜스코리아 약물 수용홈이 형성된 폼 드레싱재
CN117567790B (zh) * 2024-01-15 2024-03-26 四川大学 内部促凝血外表面抗凝血的医用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46B1 (ko) 2006-05-19 2007-11-30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약물함유층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46B1 (ko) 2006-05-19 2007-11-30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약물함유층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918A1 (ko) 2016-04-12 2017-10-19 (주)안트로젠 수포성 표피박리증 완화 또는 개선용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생분해성 또는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비분해성 지지체 조성물
KR101926331B1 (ko) 2016-04-12 2018-12-07 (주)안트로젠 수포성 표피박리증 완화 또는 개선용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생분해성 또는 중간엽줄기세포-하이드로겔-비분해성 지지체 조성물
KR20200013449A (ko) 2018-07-30 2020-02-0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은-활성탄 복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29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816B1 (ko) 친수성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친수성 폼드레싱재
KR100745050B1 (ko)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780846B1 (ko) 약물함유층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제조방법
KR101022884B1 (ko)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EP0584361B1 (en) Wound covering material
KR101202875B1 (ko) 메쉬 필름을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EP1374812A1 (en) Multilayered microporous foam dres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11182B1 (ko)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99453B1 (ko)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JP5020639B2 (ja) 薬用ポリウレタン発泡体
WO2008156285A1 (en) Method for producing hydrophilic foam dressing and hydrophilic foam dressing produced thereby
KR20090027838A (ko)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4195A (ko) 무기재료가 혼입된 애완용 하이드로겔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19433B1 (ko)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832009B1 (ko)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6658B1 (ko)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2253879B1 (ko) 은-활성탄 복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22370Y1 (ko) 창상피복재
JP2993170B2 (ja) 創傷被覆材
KR101933486B1 (ko)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340375A (ja) 創傷被覆材
KR100631108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100667292B1 (ko)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JPH07313585A (ja) 創傷被覆材
KR102269037B1 (ko) 미세기공 제어를 통하여 통기성이 개선된 다기능성 의료용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