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009B1 -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009B1
KR100832009B1 KR1020070006483A KR20070006483A KR100832009B1 KR 100832009 B1 KR100832009 B1 KR 100832009B1 KR 1020070006483 A KR1020070006483 A KR 1020070006483A KR 20070006483 A KR20070006483 A KR 20070006483A KR 100832009 B1 KR100832009 B1 KR 100832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ilm
layer
release paper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일
장승완
김우균
이향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Priority to KR1020070006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61L15/58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902Plasters containing means
    • A61F2013/00906Plasters containing means for transcutaneous or transdermal drugs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용 드레싱재 및 패취제 등의 지지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반창고용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감이 좋고 기능성이 우수한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이용한 반창고용 필름으로서 종래의 지지체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삼출액이나 약물을 흡수·보유할 수 있는 흡수층이 구비되어 그 자체로 드레싱재나 패취제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가 10∼50㎛인 무공형의 폴리우레탄 외측 필름층과; 두께가 0.05㎜∼5㎜의 범위이고 평균 직경이 1∼800㎛이며 기공의 개방율이 30∼80%인 미세 기공으로 이루어진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층과; 두께가 10∼50㎛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미세다공성 의료용 필름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능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반창고용 필름을 간단하고 효율적인 공정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은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 동시에 제조공정 또한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종이, 부직포,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필름 등 종래의 반창고용 필름을 대체하여 크게 활용될 수 있다.
반창고, 의료용 필름, 폴리우레탄, 다공성, 미세기공, 지지체, 지지필름

Description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ilm for Adhesive Plaster having Micro Porous Foam lay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반창고용 필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반창고용 필름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무공형의 외측 필름층 20 : 미세다공성 폼층
30 : 점착제층 P : 미세기공
본 발명은 상처용 드레싱재 및 패취제 등의 지지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반창고용 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감이 좋고 기능성이 우수한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이용한 반창고용 필름으로서 종래의 지지체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삼출액이나 약물을 흡수·보유할 수 있는 흡수층이 구비되어 그 자체로 드레싱재나 패취제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부착, 적용되는 상처용 드레싱재 및 패취(Patch)제 등은 지지체로서 지지필름을 포함하게 된다. 이중에서도 상처용 드레싱재를 예를 들면, 삼출액을 흡수, 보유하는 흡수재와, 이 흡수재를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지지필름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 필름은 적절한 투습도와 방수성 및 신장률과 회복률 등이 요구된다. 종래의 지지필름으로는, 대표적으로 폴리비닐클로라이드와 부직포 등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지지필름으로 사용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필름은,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어서 현재도 일회용 밴드 등과 같은 상처치료용 드레싱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필름은 투습도가 낮아 장시간에 걸쳐 사용할 경우 수분에 의해 피부가 수화되어 침연(Maceration)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침연(Maceration)은 피부 각질층을 떨어져 나가게 하여 환부에 2차 손상을 유발하므로 상처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필름에 천공을 하여 투습도를 높이는 방법이 시도되었지만, 천공은 구멍으로 박테리아가 침입하거나 방수가 되지 않는 또 다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필름은 관절 등과 같은 부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들뜨게 되어 쉽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도 갖고 있다.
지지필름으로 사용되는 부직포 지지체와 종이 또한 가격이 저렴하고 사용상 간편한 점이 있다. 그러나 박테리아나 이물질 등에 대한 방어기능이나 방수성이 없고, 신체의 굴곡진 부위에 적용했을 때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투습도가 너무 높아 상처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흡수재가 상처면에 부착되어 드레싱 교환 시 신생조직의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폴리비닐클로라이드나 종이, 부직포 등의 종래 지지필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방수성과 어느 정도의 투습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건식 가공법과 습식가공법을 이용하여 제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많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건식 가공법으로 제조한 폴리우레탄 필름은 방수성은 우수하지만 무공형(Non Porous)의 구조이기 때문에 투습도가 낮다. 또한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투습도는 급속도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투습도를 높게 하기 위해 필름을 얇게 가공을 하면 투습도는 올라가게 되지만, 필름이 너무 얇아지면 상처에 처치 시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습식 가공법으로 제조한 폴리우레탄 필름은 미세다공성의 구조를 가질 수 있어서 투습도면에서는 우수하다. 그러나 이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유기용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 용액을 이형지에 코팅하고 물에 침지, 응고시켜 미세다공성의 구조를 갖게 하는 제조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필름 내에 잔류 용제가 남게 되므로 피부에 알러지 등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고, 제조공정이 환경친화적이지 못하다는 공정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처용 드레싱재 및 패취제 등의 지지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반창고용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반창고용 필름은 종래 지지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한 새로운 지지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것은 물론, 삼출액이나 약물을 흡수, 보유할 수 있는 흡수층이 구비되어 그 자체로 드레싱재나 패취제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지지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투습도를 가지면서도 적절한 두께를 갖고 있어 사용감이 좋고 상처에의 처치가 용이한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능이 우수한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을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무독성이고 환경친화적인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을 사용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며, 기능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반창고용 필름을 간단하고 효율적인 제조공정으로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의 성형이 용이한 반창고용 필름을 만들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더 잘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두께가 10∼50㎛인 무공형의 폴리우레탄 외측 필름층과; 두께가 0.05㎜∼5㎜의 범위이고 평균 직경이 1∼800㎛이며 기공의 개방율이 30∼80%인 미세 기공으로 이루어진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층과; 두께가 10∼50㎛인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a) 폴리올과 다이올, 잠재적 이온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용액에 이소시아네이트를 투입하여 반응시킨 후 중화시키고 이를 탈이온수에 수분산시켜 NCO말단 그룹을 갖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분산체를 얻은 다음 아민계 쇄연장제와 반응시켜 폴리우레탄의 사슬을 연장시키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용액의 제조단계;
(b) 상기 (a)에서 얻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용액 100 중량부에 계면활성제 2∼10 중량부를 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기계적으로 발포시킨 후 점증제를 가하여 30℃에서 7,000∼15,000cps로 점도를 조절하는 발포 혼합액의 준비단계;
(c) 상기 (b)의 발포 혼합액을 이형지 위에 도포하고 열풍 건조시켜 시트상의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얻는 단계;
(d) 상기 (a)에서 얻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용액의 기포를 제거한 후 이를 상기 (c)에서 얻은 시트상 폴리우레탄 폼층 위에 도포하고 열풍건조시켜 외측에 무공형의 필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e) 별도로 이형지(B)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만들고, 상기 (d)에서 얻은 필름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형지(A)를 제거한 후 이 제거면에 상기 이형지(B)상에 도포된 점착제층을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창고용 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은 최외측에 형성되는 무공형의 폴리우레탄 외측 필름층과; 외측 필름층의 하단에 형성되고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는 미세다공성의 폼층과; 미세다공성 폼층의 하단에 형성되고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은 외측 필름층, 미세다공성의 폼층,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를 기본적으로 가질 수 있으나, 층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층들이 복수 개로 포함될 수도 있고, 상기 기본 3층 구조의 중간이나 외측에 다른 층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의 바람직한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의 예시적인 형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반창고용 필름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의 단면 모식도로, 두께가 10∼50㎛의 범위를 갖는 무공형의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필름층(10)과; 두께가 0.05㎜∼5㎜의 범위이고 평균 직경 1∼800㎛이며 기공의 개방율이 30∼80%인 미세 기공을 갖는 폴리우레탄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는 미세다공성의 폼층(20)과; 피부에 직접 접촉하게 되는 점착제층(30);을 포함하는 3층 구조이다.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에서 무공형의 외측 필름층(10)은 두께가 10∼50㎛ 범위이며, 무공형의 폴리우레탄으로서 우수한 방수성을 가질 수 있다. 외측 필름층(10)은 폼층(20)의 수분이나 함유 약물이 대기중으로 증발되는 것을 막아주고, 피부에 보습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미세다공성의 폼층(20)은 두께가 0.05㎜∼5㎜의 범위이고, 평균 직경이 1∼800㎛이며, 기공의 개방율이 30∼80%인 미세 기공으로 이루어진다. 폼층(20)은 미세다공성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개방된 기공을 가지고 있어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약물이 담지(Retention)될 수 있다. 또한 발포 혼합액을 발포 비율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기공의 크기와 개방율 등을 조절 할 수 있어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기공의 개방율이 30% 미만이면 약물이 피부로 흡수되는데 있어서 그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80%이상이면 미세다공성 필름의 물성이 떨어져 취급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폼층(20)에 담지 될 수 있는 약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처부위 및 목적에 따라 적당한 약물이 선택, 함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관절염 치료 및 완화가 목적일 경우에는 피록시캄, 케토프로펜 등과 같은 약물이 함유되어 경피투여약물전달제형(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으로 개발될 수도 있으며, 상처치료용 드레싱재에서의 지지필름으로 사용할 경우는 실버설파디아진, 후시딘산 나트륨, 포비돈 요오드, 황산플라디오마이신, 아크리놀, 클로로헥시딘, 염화벤젤코늄, 염화벤젠토늄 등이 알려진 용량에 따라 함유될 수 있다.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점착층(30)은 두께가 10∼5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층(30)을 형성하는 점착제로는 반창고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무독성 점착제로서 공지된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등의 의료용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a는 무공형의 외측 필름층(10)의 표면 사진이고, 도 2b는 약물이 담지된 폼층(20)의 단면 사진이며, 도 2c는 점착층(30)의 표면 사진이다. 무공형의 외측 필름층(10)은 외부로의 약물 방출을 막을 수 있고 방수가 가능한 무공형(Non Porous)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제조
반창고용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 합성 필름으로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실리콘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등의 합성고분자가 있다. 이 중 폴리우레탄은 화학적 안정성, 물성 조절 가능성, 생체적합성 등을 고려할 때 가장 바람직한 소재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며, 특히 무독성이고 환경친화적인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분산 폴리우레탄(Waterborne Polyurethane)은 프리폴리머혼합공정(Prepolymer Mixing Process)을 이용하여 합성하는데, 먼저 잠재적 이 온기를 도입하여 프리폴리머를 제조한 후 이를 이온화하여 물에 분산시켜 프리폴리머 분산체를 형성시킨 다음 아민계 쇄연장제(Chain Extender)로 메인폴리머(Main Polymer)를 제조한다.
상기 잠재적 이온기로는 음이온성기를 도입한다.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음이온성기로는 COO-와 SO3 - 있으며, 이중에서도 COO-는 좋은 수분저항성과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디메틸올프로피온산(DMPA)을 사용하였다. 디메틸올프로피온산(DMPA)은 이온화를 통해서 폴리우레탄구조에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디메틸올부탄산(DMBA)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올과 다이올, 잠재적 이온기를 갖는 화합물(예컨대, 디메틸올프로피온산(DMPA))과 엔-메틸피롤리돈(NMP)을 투입하여 교반 속도 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90℃까지 승온시킨 후 디메틸올프로피온산(DMPA)이 완전히 녹으면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투입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NCO 함량(%)이 이론치에 도달할 때까지 반응시킨다. 그런 다음 반응물의 온도를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중화제를 떨어뜨려 중화시킨 후, 교반속도 500 RPM으로 교반하면서 탈이온수(Distilled Ionized Water, DIW)를 떨어뜨려 수분산시켜 NCO 말단 그룹을 갖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분산체를 얻는다. 제조한 폴리우레탄의 사슬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사슬 말단 NCO와 같은 양론비의 아민(Amine)류 쇄연장제(Chain extender)를 투입하여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 속도 2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수분산 폴리우레탄에 남아있는 엔-메틸피롤리돈(NMP)은 회전증발기에서 진공상태로 12시간 동안 초기의 투입량이 나올 때까지 제거하였다.
상기 폴리올로는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틸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하이드로퓨란/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부틸렌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카보네이트글리콜, 폴리카프로락톤글리콜,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네오펜틸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500∼5,000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을 몰비(mole ratio)로 4:6∼8:2로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함량이 40%∼80% 이상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 지방족 및 치환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토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시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 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1,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하며, 이중에서도 내광성과 특히 무황변성이 우수하고 물성 및 열적 성질이 우수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이올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2-메틸-1,3-펜탄디올 등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 중화제(neutralizing agents)는 음이온성기를 수분산이 가능하도록 염(salt)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중화제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엔,엔-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한다.
상기 아민(amine)류 쇄연장제(chain extender)로는 히드라진, 에틸렌디아민, 피페라진,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펜타에틸렌헥사민, 구아니딘, 멜라민, 2,4,6-트리아미노피리미딘, 디프로필렌트리아민, 테트라프로필렌펜타민, 트리프로필렌테트라민, 1,4-부탄디아민, 1,6-헥산디아민, 1,8-옥탄디아민, 1,10-데칸디아민,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1,12-도데칸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등이 단독 또는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 1,4-부탄디아민, 1,6-헥산디아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폴리우레탄 발포 혼합액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용액에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기계적으로 발포시킨다. 수분산 폴리우레탄 용액 100 중량부에 계면활성제 2∼10 중량부를 첨가한 후에 고속으로 교반하게 되면 계면활성제와 수분산 폴리우레탄 용액에 포함 되어 있는 디메틸올프로피온산(DMPA)의 영향으로 거품이 형성되면서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거품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임펠러(Impeller)(일명 “거품기”)가 구비된 교반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용화된 기계적 교반기인 메카니칼 스터러(Mechanical stirrer)를 사용하였다. 발포시 폼의 밀도는, 교반하면서 첨가량 중량 대비 부풀어 오르는 부피의 비를 조절함으로써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공(Pore)의 크기와 모양은 교반속도와 임펠러의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일정한 저속으로 교반할수록, 그리고 거품기를 이용할수록 기공(Pore)의 크기는 작아지고 일정하게 된다.
상기에서 계면활성제는 기포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기포가 안정적으로 유지 될 수 있도록 한다. 계면활성제로는 에틸렌옥사이드/프르필렌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인 F-68, F-87, F-88, F-108, F-127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오레일알코올, 카라기난 수용액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발포 후에는 점증제를 가하여 혼합액의 점도를 30℃에서 7,000∼15,000cps 정도로 조절한다. 점증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점도를 높여 제품 성형이 완료될 때까지 일정한 형체를 유지하도록 하여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점증제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암모늄, 알긴산칼륨, 알긴산칼슘, 카제인나트륨, 구아검, 로커스트콩검, 잔탄검, 시클로덱스트린, 아라비아검, 젤란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카제인, 타라검, 타마린드검, 트라가칸스검, 펙틴, 글루코만난, 가티검, 아라비노갈락탄, 퍼셀레란, 풀루란, 글구코사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키틴, 키토산, 소듐알지네이트, 히아루론산 등의 합성고분자나 천연고분자 및 이들 유도체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 사용될 수 있다. 처음부터 점증제를 넣고 한꺼번에 혼합 교반하게 되면 점도가 상승되어 거품형성이 잘되지 않으므로, 먼저 수분산 폴리우레탄과 계면활성제의 혼합액을 고속으로 교반시켜 원하는 부피만큼 거품을 충분히 형성시킨 후 나중에 점증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점증제를 소량씩 첨가하여 가공하기에 적당한 범위까지 혼합액의 점도를 상승시킨다. 점증제를 첨가한 후의 혼합액의 최종 점도는 30℃에서 7,000∼15,000cps 정도가 적합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점도는 용도 및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7,000cps 이하일 경우는 이형지에 성형시 유동성이 생겨 흘러내릴 위험성이 있고, 15,000cps 이상일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이형지에 성형하기가 어렵다.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 혼합액을 제조 할 때에 필요에 따라 공지의 첨가제, 특히 항균제, 소독약 등 목적하는 공지의 약물과 안정제 등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층의 성형 제조
상기에서 준비된 폴리우레탄 발포 혼합액을 이형지 위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후 열풍 건조시켜 미세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을 제조한다.
먼저 폴리우레탄 발포 혼합액을 코팅 게이지 등을 이용하여 이형지 위에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다. 이형지는, 이형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산 폴리우레탄 가공용으로 시판되고 있는 실리콘 이형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발포 혼합액을 이형지 위에 도포한 후 1차로 원적외선램프를 이용하여 이형지 뒷면과 폴리우레탄 발포 혼합액이 도포된 면을 건조시킨다. 피막이 어느 정도 굳어지면 2차로 80∼120℃에서 10∼60분 열풍 건조하여 개방기공(open cell)을 가진 미세다공성의 시트상 폴리우레탄 폼을 얻는다. 원적외선램프를 이용한 1차 건조 없이 도포 후 그대로 열풍 건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도포 후 바로 열풍 건조 방식으로 건조하게 되면 바람의 영향으로 폴리우레탄 발포 혼합액의 도포면에 흐름 자국 같은 것이 생길 수 있고 고온으로 열풍 건조시에는 필름의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피막이 형성되기 전까지는 원적외선램프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열풍 건조기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80∼120℃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미세다공성의 시트상 폴리우레탄 폼은, 두께가 0.05㎜∼5㎜의 범위이고 평균 직경 1∼800㎛이며 기공의 개방율이 30∼80%인 미세 기공이 형성된다. 이렇게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층 위에 두께가 10∼50㎛인 무공형 외측 필름 층을 더 형성시키고, 폼층 아래에 점착제층을 형성시키면 본 발명의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이 된다. 무공형의 외측 필름 층을 형성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무공형 외측 필름 층의 성형 제조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용액의 기포를 제거한 후 이를 상기 시트상 폴리우레탄 폼층 위에, 즉 피부와 접하지 않는 외측에 도포하고 열풍건조시키면 최외측에 무공형의 필름 층이 형성된다. 이때 열풍건조는 바람직하게는 80∼120℃에서 2∼30분간 실시한다.
무공형의 필름 층도 폴리우레탄 폼층의 제조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약물에 함침을 시켰을 때 같은 비율로 팽윤(Swelling)되어 필름이 일정한 형태로 늘어나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는 무공형의 외측 필름층과 약물을 담지한 폼층의 팽윤도가 서로 달라져 전체 필름이 말리는 현상(Curling)이 발생하여 가공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점착제 층의 형성
별도로 준비된 이형지에 점착제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를 사용하며, 콤마 코터기 등을 이용하여 점착제를 도포한다. 이형지상에 도포된 점착제는 바람직하게는 80∼120℃의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한 다음,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필름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과 합지(Lamination)한다. 이때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필름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형지(A)를 제거한 후 이 제거면에 이형지상의 점착제층을 합지한다. 이렇게 합지하여 점착제층을 전사시키면 본 발명의 반창고용 필름이 완성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 ( 합성예 1)
다음 표 1의 조건과 방법으로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다.
Figure 112007006140440-pat00001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 (합성예 2)
다음 표 2의 조건과 방법으로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다.
Figure 112007006140440-pat00002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 (합성예 3)
다음 표 3의 조건과 방법으로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다.
Figure 112007006140440-pat00003
제조예 1
(1) 눈금이 있는 1리터 비이커에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F-127 20wt% 수용액 10 중량부와 F-68 40wt% 수용액 5 중량부, 라우릴알코올 0.5 중량부와 카라기난 5wt%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거품기가 달린 고속교반기로 2,000 RPM의 속도로 부피가 150.6㎖(발포도 20%)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어서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TM(상품명, 롬엔하스사) 0.7 중량부를 분할 투입하면서 교반속도 2,000RMP으로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액을 S/K BOR SMTM(상품명, 사피사) 이형지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차로 원적외선 램프 건조기로 1분 동안 건조하고 다시 2차로 100℃ 열풍건조 오븐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미세 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을 제조하였다.
(2)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상품명, 롬엔하스사)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진공교반 탈포기로 기포를 제거하였다. 기포를 제거한 액을 (1)에서 제조한 미세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로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켜 무공형의 외측 필름 층을 형성하였다.
(3)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BA-2000S™(부림케미칼사)를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로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2)에서 만들어진 필름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형지를 제거한 면과 합지하여 전사시키는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제조된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은, 무공형 외측 필름층의 두께가 25㎛이고, 폼층의 두께는 0.2㎜이며, 점착제층의 두께는 20㎛ 이었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의 물성을 다음에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① 폴리우레탄 필름의 후도(Thickness)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무공형의 외측 필름층, 폼층, 점착제층의 후도를 측정하였다.
②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신장율)
만능시험기(Universial Test Machine, Instron)를 이용하여 로드셀(Load Cell) 50N, 시편의 폭은 20㎜, 시편의 길이(Gauge Length)는 30㎜, 크로스헤드의 속도(Cross Head Speed)는 100㎜/min로 하여 JIS-K-640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③ 기계적 물성(변형률)
만능시험기(Universial Test Machine, Instron)를 이용하여 시편의 폭은 20mm, 시편의 길이(Gauge Length)는 30mm,크로스헤드의 속도(Cross Head Speed)는100㎜/min로 하여 EN 13726-4:200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④ 방수도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EN 13726-3:200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⑤ 투습도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항온항습기와 투습컵을 이용하여 ASTM E96-94(Desiccant Method)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온도는 37± 1℃로 하고, 상대습도는 80 ± 2%로 하였다.
제조예 2
(1) 눈금이 있는 1리터 비이커에 합성예 2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F-127 20wt% 수용액 10 중량부와 F-68 40wt% 수용액 5 중량부, 라우릴알코올 0.5 중량부와 카라기난 5wt%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거품기가 달린 고속교반기로 2,000 RPM의 속도로 부피가 150.6㎖(발포도 20%)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어서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TM(상품명, 롬엔하스사) 0.7 중량부를 분할 투입하면서 교반속도 2,000RMP으로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액을 S/K BOR SMTM(상품명, 사피사) 이형지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차로 원적외선 램프 건조기로 1분 동안 건조하고 다시 2차로 100℃ 열풍건조 오븐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미세 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을 제조하였다.
(2) 합성예 2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상품명, 롬엔하스사)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진공교반 탈포기로 기포를 제거하였다. 기포를 제거한 액을 (1)에서 제조한 미세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켜 무공형의 외측 필름 층을 형성하였다.
(3)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BA-2000S™(부림케미칼사)를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로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2)에서 만들어진 필름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형지를 제거한 면과 합지하여 전사시키는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제조된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은, 무공형 외측 필름층의 두께가 25㎛이고,폼층의 두께는 0.2㎜이며, 점착제층의 두께는 20㎛이었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의 물성을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3
(1) 눈금이 있는 1리터 비이커에 합성예 3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F-127 20wt% 수용액 10 중량부와 F-68 40wt% 수용액 5 중량부, 라우릴알코올 0.5 중량부와 카라기난 5wt%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거품기가 달린 고속교반기로 2,000 RPM의 속도로 부피가 150.6㎖(발포도 20%)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어서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TM(상품명, 롬엔하스사) 0.7 중량부를 분할 투입하면서 교반속도 2,000RMP으로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액을 S/K BOR SMTM(상품명, 사피사) 이형지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차로 원적외선 램프 건조기로 1분 동안 건조하고 다시 2차로 100℃ 열풍건조 오븐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미세 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을 제조하였다.
(2) 합성예 3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상품명, 롬엔하스사)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진공교반 탈포기로 기포를 제거하였다. 기포를 제거한 액을 (1)에서 제조한 미세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켜 무공형의 외측 필름 층을 형성하였다.
(3)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BA-2000S™(부림케미칼사)를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로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2)에서 만들어진 필름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형지를 제거한 면과 합지하여 전사시키는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제조된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은, 무공형 외측 필름층의 두께가 25㎛이고,폼층의 두께는 0.2㎜이며, 점착제층의 두께는 20㎛ 이었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의 물성을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4
(1) 눈금이 있는 1리터 비이커에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F-127 20wt% 수용액 10 중량부와 F-68 40wt% 수용액 5 중량부, 라우릴알코올 0.5 중량부와 카라기난 5wt%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거품기가 달린 고속교반기로 2,000 RPM의 속도로 부피가 163.15㎖(발포도 30%)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어서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TM(상품명, 롬엔하스사) 0.7 중량부를 분할 투입하면서 교반속도 2,000RMP으로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액을 S/K BOR SMTM(상품명, 사피사) 이형지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차로 원적외선 램프 건조기로 1분 동안 건조하고 다시 2차로 100℃ 열풍건조 오븐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미세 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을 제조하였다.
(2)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상품명, 롬엔하스사)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진공교반 탈포기로 기포를 제거하였다. 기포를 제거한 액을 (1)에서 제조한 미세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켜 무공형의 외측 필름 층을 형성하였다.
(3)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BA-2000S™(부림케미칼사)를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로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2)에서 만들어진 필름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형지를 제거한 면과 합지하여 전사시키는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제조된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은, 무공형 외측 필름층의 두께가 25㎛이고, 폼층의 두께는 0.2㎜이며, 점착제층의 두께는 20㎛ 이었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의 물성을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5
(1) 눈금이 있는 1리터 비이커에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F-127 20wt% 수용액 10 중량부와 F-68 40wt% 수용액 5 중량부, 라우릴알코올 0.5 중량부와 카라기난 5wt%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거품기가 달린 고속교반기로 2,000 RPM의 속도로 부피가 175.7㎖(발포도 40%)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어서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TM(상품명, 롬엔하스사) 0.7 중량부를 분할 투입하면서 교반속도 2,000RMP으로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액을 S/K BOR SMTM(상품명, 사피사) 이형지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차로 원적외선 램프 건조기로 1분 동안 건조하고 다시 2차로 100℃ 열풍건조 오븐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미세 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을 제조하였다.
(2)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상품명, 롬엔하스사)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진공교반 탈포기로 기포를 제거하였다. 기포를 제거한 액을 (1)에서 제조한 미세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켜 무공형의 외측 필름 층을 형성하였다.
(3)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BA-2000S™(부림케미칼사)를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로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2)에서 만들어진 필름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형지를 제거한 면과 합지하여 전사시키는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제조된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은, 무공형 외측 필름층의 두께가 25㎛이고,폼층의 두께는 0.2㎜이며, 점착제층의 두께는 20㎛ 이었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의 물성을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6
(1) 눈금이 있는 1리터 비이커에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F-127 20wt% 수용액 10 중량부와 F-68 40wt% 수용액 5 중량부, 라우릴알코올 0.5 중량부와 카라기난 5wt%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고 거품기가 달린 고속교반기로 2,000 RPM의 속도로 부피가 188.25㎖(발포도 50%)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어서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TM(상품명, 롬엔하스사) 0.7 중량부를 분할 투입하면서 교반속도 2,000RMP으로 교반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액을 S/K BOR SMTM(상품명, 사피사) 이형지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차로 원적외선 램프 건조기로 1분 동안 건조하고 다시 2차로 100℃ 열풍건조 오븐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미세 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을 제조하였다.
(2) 합성예 1에서 제조한 수분산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점증제로 아크리졸 알엠-825™(상품명, 롬엔하스사)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진공교반 탈포기로 기포를 제거하였다. 기포를 제거한 액을 (1)에서 제조한 미세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층 위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켜 무공형의 외측 필름 층을 형성하였다.
(3) 실리콘으로 처리된 이형지에 코팅게이지를 이용하여 BA-2000S™(부림케미칼사)를 균일하게 도포한 후 100℃로 열풍건조기에서 10분 동안 건조시키고, (2)에서 만들어진 필름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형지를 제거한 면과 합지하여 전사시키는 방법으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제조된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은, 무공형 외측 필름층의 두께가 25㎛이고,폼층의 두께는 0.2㎜이며, 점착제층의 두께는 20㎛ 이었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미세다공성 반창고용 필름의 물성을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물성비교를 위해 부직포 형태의 점착필름(두께 0.3㎜, 엔에스팜사)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물성은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물성비교를 위해 폴리우레탄 점착필름인 에피케어(두께 40㎛, 일동제약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물성은 제조예 1에 예시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06140440-pat00004
방수도 * : P=PASS, F=FAIL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 2, 3의 경우 친수성 성분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이 증가하면 투습도는 증가하지만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예 3, 4, 5, 6을 보게 되면 발포도가 증가할수록 필름의 인장강도는 감소하고 신장률과 변형률은 증가하며 투습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포도가 40%이상이 되면 방수능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발포도가 높아질수록 폼층에 존재하는 기공의 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필름의 물성이 부드럽게 되고 투습도는 높아지는 지게 되지만 방수능은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비교예 1은 부직포의 구조적 특성상 투습도를 측정할 수 없었으며, 특히 변형률은 한번 늘어나면 원상복구가 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굴곡진 부위에 부착시 쉽게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는 방수능 및 기계적 물성은 우수하였지만 무공형의 구조로 투습도가 본 발명의 제품 보다 낮았다.
상기 실시예 등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창고용 필름은 기계적 물성, 투습도 등의 기능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부착시 밀착성이 좋으며, 종래의 반창고용 필름에 비해 부착감이 우수하고, 또한 미세다공성의 폴리우레탄 폼이 약물이 피부로 흡수되는데 있어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반창고용 필름은 종이, 부직포,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의 종래 반창고용 필름은 물론 종전에 시도되던 폴리우레탄 지지필름에 비해서도 훨씬 우수한 기능성과 편리한 사용성으로 이들을 대체하여 지지체로서 널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지지체로서의 용도에 한정되지 않고 삼출액이나 약물을 흡수·보유할 수 있는 흡수층이 구비되어 그 자체로 드레싱재나 패취제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분산 폴리우레탄 용액을 발포시켜 이형지 위에 도포하고 열풍 건조시키는 등의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폴리우레탄 반창고용 필름을 대량 생산할 수 있으므로, 종전에 시도되던 폴리우레탄 지지필름에 비해 생산비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면서도 기능적으로 보다 우수한 폴리우레탄 반창고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a) 폴리올과 다이올, 잠재적 이온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용액에 이소시아네이트를 투입하여 반응시킨 후 중화시키고 이를 탈이온수에 수분산시켜 NCO말단 그룹을 갖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분산체를 얻은 다음 아민계 쇄연장제와 반응시켜 폴리우레탄의 사슬을 연장시키는 수분산 폴리우레탄 용액의 제조단계;
    (b) 상기 (a)에서 얻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용액 100 중량부에 계면활성제 2∼10 중량부를 가하고 혼합 교반하여 기계적으로 발포시킨 후 점증제를 가하여 30℃에서 7,000∼15,000cps로 점도를 조절하는 발포 혼합액의 준비단계;
    (c) 상기 (b)의 발포 혼합액을 이형지 위에 도포하고 열풍 건조시켜 시트상의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얻는 단계;
    (d) 상기 (a)에서 얻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용액의 기포를 제거한 후 이를 상기 (c)에서 얻은 시트상 폴리우레탄 폼층 위에 도포하고 열풍건조시켜 외측에 무공형의 필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e) 별도로 이형지(B)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만들고, 상기 (d)에서 얻은 필름층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의 이형지(A)를 제거한 후 이 제거면에 상기 이형지(B)상에 도포된 점착제층을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창고용 필름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에서 발포 혼합액을 이형지 위에 도포한 후 1차로 원적외선램프를 이용하여 이형지 뒷면과 폴리우레탄 발포 혼합액이 도포된 면을 건조시키고, 피막이 형성되면 2차로 80∼120℃에서 10∼60분 열풍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용 필름의 제조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2개의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500∼5,000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글리콜을 몰비(mole ratio)로 4:6∼8:2로 혼합한 것이거나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함량이 40%∼80% 이상인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용 필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재적 이온기를 갖는 화합물은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디메틸올부탄산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용 필름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용 필름의 제조방법.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텔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암모늄, 알긴산칼륨, 알긴산칼슘, 카제인나트륨, 구아검, 로커스트콩검, 잔탄검, 시클로덱스트린, 아라비아검, 알긴산, 젤란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카제인, 타라검, 타마린드검, 트라가칸스검, 펙틴, 글루코만난, 가티검, 아라비노갈락탄, 퍼셀레란, 풀루란, 글구코사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키틴, 키토산, 소듐알지네이트, 히아루론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창고용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070006483A 2007-01-22 2007-01-22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483A KR100832009B1 (ko) 2007-01-22 2007-01-22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483A KR100832009B1 (ko) 2007-01-22 2007-01-22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009B1 true KR100832009B1 (ko) 2008-05-23

Family

ID=3966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483A KR100832009B1 (ko) 2007-01-22 2007-01-22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00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574A (ko) * 2014-08-20 2016-03-02 주식회사 헵스켐 수분산성 에너제틱 폴리우레탄의 제조 방법
KR101613904B1 (ko) 2015-04-03 2016-04-21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수분산 액상 드레싱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013B1 (ko) 2016-08-04 2017-04-05 이승희 나노 섬유를 구비한 피부용 점착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43160A (ko) * 2016-10-19 2018-04-27 대가파우더시스템 주식회사 지혈용 분말의 제조 방법
CN107982578A (zh) * 2017-12-15 2018-05-04 太原理工大学 纳米羟基磷灰石/环糊精基聚氨酯复合多孔骨组织工程支架材料的制备方法
KR20190075578A (ko)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 드레싱 필름용 조성물 및 항균 드레싱 필름
CN110433321A (zh) * 2019-07-06 2019-11-12 张明 一种具有缓释抗菌的医用泡沫敷料的制备方法
KR20230003791A (ko) *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티앤엘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328A (en) 1975-07-28 1976-08-03 E. R. Squibb & Sons, Inc. Surgical bandage
JPH05285208A (ja) * 1992-04-08 1993-11-02 Terumo Corp 外科用ドレッシング
JPH05285209A (ja) * 1992-04-08 1993-11-02 Terumo Corp 抗菌性外科用ドレッシング
KR20020046619A (ko) * 2000-12-15 2002-06-21 박명환 다층구조의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5068086A (ja) * 2003-08-26 2005-03-17 Bridgestone Kaseihin Tokyo Kk 貼付剤
KR20050072628A (ko) * 2004-01-07 2005-07-12 주식회사 바이오폴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20060062869A (ko) * 2004-12-06 2006-06-1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제조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328A (en) 1975-07-28 1976-08-03 E. R. Squibb & Sons, Inc. Surgical bandage
JPH05285208A (ja) * 1992-04-08 1993-11-02 Terumo Corp 外科用ドレッシング
JPH05285209A (ja) * 1992-04-08 1993-11-02 Terumo Corp 抗菌性外科用ドレッシング
KR20020046619A (ko) * 2000-12-15 2002-06-21 박명환 다층구조의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5068086A (ja) * 2003-08-26 2005-03-17 Bridgestone Kaseihin Tokyo Kk 貼付剤
KR20050072628A (ko) * 2004-01-07 2005-07-12 주식회사 바이오폴 창상피복용 드레싱재
KR20060062869A (ko) * 2004-12-06 2006-06-1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제조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및 이를이용하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제조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574A (ko) * 2014-08-20 2016-03-02 주식회사 헵스켐 수분산성 에너제틱 폴리우레탄의 제조 방법
KR101633680B1 (ko) 2014-08-20 2016-06-27 주식회사 헵스켐 수분산성 에너제틱 폴리우레탄의 제조 방법
KR101613904B1 (ko) 2015-04-03 2016-04-21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수분산 액상 드레싱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013B1 (ko) 2016-08-04 2017-04-05 이승희 나노 섬유를 구비한 피부용 점착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43160A (ko) * 2016-10-19 2018-04-27 대가파우더시스템 주식회사 지혈용 분말의 제조 방법
KR101995909B1 (ko) 2016-10-19 2019-08-08 대가파우더시스템 주식회사 지혈용 분말의 제조 방법
CN107982578A (zh) * 2017-12-15 2018-05-04 太原理工大学 纳米羟基磷灰石/环糊精基聚氨酯复合多孔骨组织工程支架材料的制备方法
CN107982578B (zh) * 2017-12-15 2021-04-13 太原理工大学 纳米羟基磷灰石/环糊精基聚氨酯复合多孔骨组织工程支架材料的制备方法
KR20190075578A (ko) 2017-12-21 2019-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항균 드레싱 필름용 조성물 및 항균 드레싱 필름
CN110433321A (zh) * 2019-07-06 2019-11-12 张明 一种具有缓释抗菌的医用泡沫敷料的制备方法
KR20230003791A (ko) *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티앤엘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KR102555937B1 (ko) 2021-06-30 2023-07-18 주식회사 티앤엘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009B1 (ko)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985969B1 (ko) 친수성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친수성 폼 드레싱재
KR100711182B1 (ko)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0753536B (zh) 聚氨酯泡沫面膜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076291B (zh) 伤口敷料
KR100745050B1 (ko)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199453B1 (ko)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TW201014617A (en) Layered composite wound dressing comprising a polyurethane foam layer, an absorbent layer and a covering layer
TW201023917A (en) Wound dressing comprising a polyurethane foam layer and a covering layer of thermoplastic polymer
JP2009533335A (ja) 生物学的医療用発泡物品
KR100716658B1 (ko)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0780846B1 (ko) 약물함유층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제조방법
JPH06104116B2 (ja) 創傷被覆材
KR101202875B1 (ko) 메쉬 필름을 포함하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19433B1 (ko) 점착력이 있는 친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WO2008156285A1 (en) Method for producing hydrophilic foam dressing and hydrophilic foam dressing produced thereby
KR101811273B1 (ko) 개선된 폴리우레탄 마스크 팩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22884B1 (ko) 약물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53879B1 (ko) 은-활성탄 복합체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방법
JP2993170B2 (ja) 創傷被覆材
KR20120078202A (ko) 피부 패치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9026446A1 (ja) 多孔体の製造方法
TWI835056B (zh) 多孔層結構體及多孔層結構體之製造方法
KR101933486B1 (ko)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207614A (ja) ポリマーベースのフォームシートを調製するための工程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