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937B1 -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937B1
KR102555937B1 KR1020210085306A KR20210085306A KR102555937B1 KR 102555937 B1 KR102555937 B1 KR 102555937B1 KR 1020210085306 A KR1020210085306 A KR 1020210085306A KR 20210085306 A KR20210085306 A KR 20210085306A KR 102555937 B1 KR102555937 B1 KR 102555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ilm
weight
water
parts
based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3791A (ko
Inventor
양승환
허대영
정명철
정진홍
윤형순
편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to KR102021008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9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0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59Accessories for dressings provided with visual effects, e.g. printed or colo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53Wound bandages coloured or with decoration pattern or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314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 A61F2013/00327Wound bandages with surface treatments to create projections or depressions in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7Plasters use for cosm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일면이 골과 산으로 구성된 요철구조이며,상기 골의 깊이는 2.5㎛~10㎛, 너비는 2㎛~32㎛인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Water-Based Polyurethane Film With Excellent Makeup Lasting}
본 발명은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관한 것으로 필름의 한면에 형성된 일정 크기의 요철구조에 의해 화장품이 외부마찰에 의한 이탈이 곤란해지는 기술을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이다.
피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외부의 영향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기 쉬운 반면, 현대사회는 갈수록 피부에 대한 자극 원인이 많아지고 있다.
외적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기 오염과 건조한 환경, 내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민감성 피부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 환경 화합물로 오염된 실내 환경과 먼지, 집 진드기 등이 현대인의 피부트러블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1962년 Winter에 의해 피부의 상처나 트러블을 개선하는데 습윤 환경 하에서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는 것이 발표된 이래 이를 검증하는 많은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후 접착식 피부 필름 제품이 개발되었다.
접착식 피부 필름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피부를 분리시킨다.
지금까지의 판매되고 있는 접착식 피부 필름 제품은 습윤성 창상피복재 개념의 하이드로콜로이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의 경우 트러블 부위에 패치를 부착하였을 시 필름의 성분 및 표면 특성 때문에 색조화장이 불가능하다.
색조 화장(메이크업 화장)은 세정 정돈 보호를 위하여 스킨케어 화장품으로 화장하는 기초화장을 끝내고 얼굴이나 손톱 등 신체에 도포하여 색채감을 부여함으로써 피부색을 아름답게 표현하고, 기초 제품으로 커버할 수 없는 피부 결점을 보이지 않게 가꾸는 화장이다.
접착식 피부 패치인 하이드로콜로이드 소재는 대부분 피부 트러블과 기미, 주근깨 등의 레이저 치료 후 흔적을 커버하기 위한 제품으로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제품들은 피부의 굴곡에 밀착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패치 표면에 메이크업이 불가하여 미적 만족도가 매우 결여된다.
즉, 여드름 치료나 레이저 시술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삼출물이 유출되지 않고 조직재생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이후 적용 부위의 보호 및 은폐를 위하여 습윤성 창상피복재 개념의 하이드로콜로이드 패치를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소비자들의 심미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피부자극물질로부터 발생되는 피부트러블 완화 및 보호와 함께 필름 표면의 구조적인 특징을 추가하여 색조화장이 가능한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개발일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여, 화장품의 색조물질이 일면의 굴곡진 홈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폴리우레탄 필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일면이 골과 산으로 구성된 요철구조이며, 상기 골의 깊이는 2.5㎛~10㎛, 너비는 9㎛~32㎛인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폴리올 20~30 중량부, 이온성 폴리올 1~3 중량부가 75~80℃에서 혼합된 후 이소시아네이트 5~10 중량부가 투입되어 60~80℃에서 아세톤 5~10 중량부 및 중화제 1~3 중량부와 혼합되어 프리폴리머로 제조된 후 분산조에서 탈이온수 40~60 중량부 및 다관능 아민 0.3~0.9 중량부와 반응된 후 생성된 고형분으로 제조된 것에 특징이 있는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단일 또는 복수층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색조화장품의 색조 물질을 피부와 비슷한 수준으로 흡착 할 수 있어 색조화장품으로 메이크업이 가능하고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요철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요철구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이형필름의 개념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표면 SEM 사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골 깊이 및 간격너비에 관한 조도측정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메이크업 지속성에 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일면이 골과 산으로 구성된 요철구조이며, 상기 골의 깊이는 2㎛~10㎛, 너비는 9㎛~32㎛인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요철구조를 보여주는 단면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인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요철구조와 상반되는 구조의 이형지를 이용하여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재료인 고형분을 용융하여 이형필름지를 이용하여 응고 및 탈리시켜 생성된 요철구조이다. 요철구조에서 높은 부분이 산(10), 낮은 부분이 골(20)에 해당되며, 인접한 골 사이의 거리를 너비(b), 산과 골의 높이 차이는 깊이(a, a')에 해당된다.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조성물은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용제, 사슬연장제인 다관능 아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올 20~30 중량부, 이온성 폴리올 1~3 중량부가 75~80℃에서 혼합된 후 이소시아네이트 5~10 중량부가 투입되어 60~80℃에서 아세톤 5~10 중량부 및 중화제 1~3 중량부와 혼합되어 프리폴리머로 제조된 후; 분산조에서 탈이온수 40~60 중량부 및 다관능 아민 0.3~0.9 중량부와 반응된 후 생성된 고형분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올은 애경유화(주)에서 생산되는 폴리올(Polyol)을 사용하며, 이온성 폴리올은 디메탄올 프로피온산(dimethanol propionic acid, DMPA)이고, 두 가지 성분을 혼합하여 75~80℃로 승온하여 30분 정도 교반한다. 이후 5~10℃을 감온한 후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투입하고 90℃ 조건에서 4시간 유지한다.
이후 용제의 아세톤을 80℃이하에서 투입하고, 중화제 트리에틸아민(TEA)을 60℃이하에서 1시간 유지한다.
상기 반응물을 분산조에서 탈이온수(DIW)을 투입 후 20~35℃로 유지한 상태에서 혼합하고, 20분 안정화시킨 후 다관능 아민을 탈이온수와 혼합 후 다시 투입반응시킨다. 이후 60~65℃로 승온 후 12시간 이후 고형분으로 추출한다.
상기 다관능 아민은 아민류(AMINE류) 화합물로써 사슬 연장제이며, 구체적으로 이소포론디아민, 피페라진, 하이드라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설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 1
1.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고형분 제조
애경유화(주)에서 생산되는 폴리올 24.85Kg 이온성 폴리올 디메탄올 프로피온산 1.73Kg을 80℃에서 혼합된 후 73℃로 감온한 후 이소시아네이트 7.90Kg을 투입하여 90℃에서 유지하며, 75℃에서 아세톤 8.00Kg 및 중화제(TEA) 1.30 Kg와 혼합 후 프리폴리머를 제조한다.
분산조에서 탈이온수 53Kg 및 다관능 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0.49Kg을 혼합 후 분산조에 있는 상기 프리폴리머에 드로핑(dropping) 한 후 60분 동안 혼합시키고 안정화 시킨 후 60℃에서 12시간 유지하여 고형분을 제조한다.
2. PET 이형필름을 이용한 요철구조 제조
도 2는 본 발명에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요철구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이형필름의 개념도이다.
이형필름은 표면의 광택이 없는 메트(matte)처리된 이형필름을 사용한다. 이형필름은 일반 PET필름 위에 코팅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코팅 조성물에 구형입자를 첨가하여 코팅층 표면에 요철을 구현한다. 이형필름의 폭(c)과 높이(d)를 하기 표와 같이 조절하여 상기 고형분을 용융시켜 도포한 후 응고 후 이형필름을 제거하여 일면이 요철구조가 생성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생산한다.
실시예 2~6 및 비교예 1~2
나머지 실시예 및 비교예는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생산한다.
다만, 실시예 2는 2 Layer를 사용하고 나머지는 1 Layer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2의 유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에스테르 폴리올, PEG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유기용제 하에서 반응시켜 만든 유성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메이크업 지속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우레탄 필름의 요철부분에 일반 색조화장품의 양을 동일한 화장솜에 바른 후 1분간 표면에 화장품을 문지른다.
1분 후 부드러운 헝겊으로 색조화장품이 묻어 있는 표면에 화장품 잔량이 최대한 적도록 문지른 후 남아 있는 화장품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필름 수성 PU 수성 PU 수성 PU 수성 PU 수성 PU 수성 PU 유성 PU 유성 PU
이형필름 폭(c)(㎛) 32 23 26 10 11 20 13 12
이형필름 높이(d)(㎛) 4.0 3.0 8.0 4.0 3.5 2.5 2.0 4.0
요철 골의 너비(b)(㎛) 32.2 23.8 26.1 9.9 11.5 19.9 13.0 12.3
요철 골의 깊이(a)(㎛) 4.284 3.362 8.471 4.165 3.966 2.591 2.074 4.012
메이크업
지속성
우수 우수 우수 보통 보통 보통 불량 불량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표면 SEM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골 깊이 및 간격너비에 관한 조도측정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메이크업 지속성에 대한 사진이다.
이형필름의 폭과 높이는 도 2와 같으나, 수성 폴리우레탄 고형분의 용융응고 과정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부피변화 및 이형필름 제거과정에서 요철구조의 모양 및 크기가 변화가 일어나 도 3과 같은 표면을 갖게 된다.
비교예 1 및 2는 유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사용한 것으로 메이크업 지속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2. 이형지 필름
10 : 산 20 : 골
a, a' : 깊이 b : 너비
c : 폭 d : 높이

Claims (3)

  1.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일면이 골과 산으로 구성된 요철구조이며,
    상기 골의 깊이는 2.5㎛~10㎛, 너비는 9㎛~32㎛이며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폴리올 20~30중량부, 이온성 폴리올 1~2중량부, 반응촉매 0.05~0.10중량부가 75~80℃에서 혼합된 후 이소시아네이트 5~10 중량부가 투입되어 60~80℃에서 아세톤 5~10중량부 및 중화제 1~2 중량부와 혼합되어 프리폴리머로 제조된 후;
    분산조에서 탈이온수 40~60중량부 및 다관능 아민 0.3~0.9 중량부와 반응된 후 생성된 고형분으로 제조된 것에 특징이 있는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단일 또는 복수층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KR1020210085306A 2021-06-30 2021-06-30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KR10255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06A KR102555937B1 (ko) 2021-06-30 2021-06-30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06A KR102555937B1 (ko) 2021-06-30 2021-06-30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791A KR20230003791A (ko) 2023-01-06
KR102555937B1 true KR102555937B1 (ko) 2023-07-18

Family

ID=8492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06A KR102555937B1 (ko) 2021-06-30 2021-06-30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9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09B1 (ko) 2007-01-22 2008-05-23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1172831A (ja) * 2010-02-25 2011-09-08 Kazki International:Kk 美容用貼付材及びその貼付方法
KR101613904B1 (ko) 2015-04-03 2016-04-21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수분산 액상 드레싱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6140717A (ja) * 2015-02-05 2016-08-08 株式会社メディカルフロント 貼付体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09B1 (ko) 2007-01-22 2008-05-23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미세다공성 폼층을 가진 반창고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1172831A (ja) * 2010-02-25 2011-09-08 Kazki International:Kk 美容用貼付材及びその貼付方法
JP2016140717A (ja) * 2015-02-05 2016-08-08 株式会社メディカルフロント 貼付体シート
KR101613904B1 (ko) 2015-04-03 2016-04-21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수분산 액상 드레싱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791A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341555A1 (de) Selbsthaftende flaechengebil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ES2724235T3 (es) Cosmético de protección solar
US9414970B2 (en) Wrinkle reducing skin patch, process of manufacture and useful articles thereof
BRPI0808471A2 (pt) Dispersão aquosa, uso de dispersões aquosas,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substratos tipo folha de múltiplas camadas, substrato tipo folha de múltiplas camadas, uso de substratos tipo folha de múltiplas camadas, e, painéis interiores de automóveis, sapatos, têxteis ou peça de mobília.
PT1313783E (pt) Sistemas de revestimento multi-camada compostos por um revestimento base de camada grossa semelhante a um gel e um revestimento de protecção de verniz de poliuretano, respectiva produção e utilização.
KR101985368B1 (ko) 보습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PT81751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adesivos para aplicacao de medicamentos por via transdermica
IT8224839A1 (it) Polimeri reattivi per la cura di affezioni cutanee
EP0236104A3 (en) Wound dressing
SE7902612L (sv) Inbeddningsmassa samt framstellning och anvendning derav
TW201023917A (en) Wound dressing comprising a polyurethane foam layer and a covering layer of thermoplastic polymer
JPH0352295B2 (ko)
JPH033528Y2 (ko)
JPH09124469A (ja) 化粧料用又は皮膚科医薬用絆創膏
KR102555937B1 (ko) 메이크업 지속성이 우수한 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US5810749A (en) Nasal fixation with water-hardening fiber-mesh resin
KR101770985B1 (ko)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88424B (zh) 包含聚氨酯和交联淀粉的成膜化妆品组合物
KR101151071B1 (ko)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16245A (ko) 하이드로젤 시트 제조 방법
JP2000119129A (ja) 化粧用ゲルシート
KR102038857B1 (ko) 하이드로겔 조성물
CN109276746A (zh) 除疤贴片及其制造方法
CN212522181U (zh) 一种防止嘴唇干裂的敷料
WO2022226857A1 (zh) 一种用于刺青护色的湿式敷料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