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838A -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838A
KR20090027838A KR1020070092949A KR20070092949A KR20090027838A KR 20090027838 A KR20090027838 A KR 20090027838A KR 1020070092949 A KR1020070092949 A KR 1020070092949A KR 20070092949 A KR20070092949 A KR 20070092949A KR 20090027838 A KR20090027838 A KR 2009002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fibrids
water
sensitiv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원
김병규
손태원
염정현
김영훈
김태종
Original Assignee
(주)블루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젠 filed Critical (주)블루젠
Priority to KR102007009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7838A/ko
Publication of KR2009002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에 관한 것으로, 상처 치료 및 피부 미용을 획기적으로 부여 할 수 있는 유효성분을 포함한 피부 접착시 수분에 의해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외부의 물리적 힘으로부터 완화시켜주며, 회부의 균과 이 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접착시 수분에 의해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르리드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접착시 수분에 의해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은 수분에 의해 피브리드즈가 용해가 이루어져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상처를 입기 전의 상태로 가능한 가깝게 되돌려서 상처로 인한 아픔을 줄이고, 심한 흉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오랫동안 자외선 및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아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도와주며 상처치유과정에서 피부의 재생이 가급적 빠르게 이루어지게 하여 흉터가 생기지 않게 도와주는 상처 치료 및 피부 미용에 사용되는 제제를 제공하며 피부 접착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가 완전히 용해되어 유효성분들이 피부로 침투되는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은 상처 치료 및 피부미용에 획기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제제의 형태로써, 세부적으로는 상처치료, 피부미용, 아토피, 입속 상처치료, 각질제거, 여드름 치료, 흉터제거, 밴드 등에 이용될 수 있는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에 관한 것 이다.
상처 치료, 상처 치유, 피부 미용, 피부접촉 아토피, 수용성 고분자, 고흡수성 폴리머, 전기방사, 각질제거, 여드름, 약물, 입속상처치료, 각질제거, 여드름 흉터

Description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Moisture Sensitive fibrids Composition and Mothod for Their Preparation}
본 발명은 수분의 영향에 따라 용해되는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부에 접착시 수분 영향에 의한 피브리드즈 조성물이 용해가 가능하여 상처 치유 및 피부 미용에 효과적으로 적용 될 수 있는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란 인체를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고 체온조절, 세균 침입방지 등 중요한 생명보호기능을 수행하는 장기의 하나로서 피부가 화상이나 각종 외상에 의해서 결손이 일어나게 되면 그 보호 작용이 상실되어 기능의 장래를 초래하게 되고 , 수분 손실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부작용과 외부로부터의 세균 감염 등을 일으켜 환부의 치료를 어렵게 하거나 이차적인 기능장애 또는 손상 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어 심한 경우에는 생명연장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처의 치료를 신속하게 하고 이차적인 각종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드레싱재를 이용한 상처 치료가 필수이다. 또한 피부의 최대의 적은 높은 기온과 높은 습도, 그리고 자외선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피부가 고운 다습한 날씨에 노출 되게 되면 피부 자체의 보호력이 약해지게 된다. 이루 인해 피 부에서 땀과 피지 등의 피부 분비물들이 많아지게 된다. 과도한 땀과 피지의 분비는 모공을 넓히고 피부를 늘어지게 한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자극은 피부 색소 침착에 의해 기미, 잡티, 주근깨 등이 생기게 하며, 피부의 노화를 가속화시킨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피부 관리가 필요하다. 우선, 땀과 피지 등의 피부 분비물이 생기면, 즉시 닦아주고 가능한 한 자주 씻어서 청결감과 청량감을 유지해야한다. 그러나 이때 세안을 자주하게 되면 피부의 수분 손실로 피부는 건조하고 거칠어지기 쉬우므로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 피부 분비물의 흡수와 수분 공급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피부 관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흡수성이 있어 피부 분비물을 흡수 제거할 수 있고, 수분 함량이 많아 피부 수분 공급을 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피부미용을 위하여 미용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을 이용할 경우에는 하이드로겔을 피부에 붙인 후 치료용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단시간 이내에 제거해야 하므로 미용제가 신속히 피부속으로 전달될 필요성이 크게 요구된다. 즉, 피부미용시 피부에 적용한 하이드로겔은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용제가 다량 신속하게 하이드로겔에서부터 피부로 전달 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하이드로겔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미용제가 피부 속으로 신속하고 고르게 전달되는 특징을 가져야 한다. 또한 미국특허 제6,051,425호는 동결건조로 제조된 다공성의 콜라겐 드레싱 시트 재료의 제조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기술들은 동물 콜라겐을 이용해야 하므로 그 제조비용이 높아 매우 높은 가격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수화된 콜라겐 젤을 이용하므로 경도가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동결건조 방식은 에너지 소모가 크고 시간이 장시간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창상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하이드로겔은 미국특허 제 5,501,661 및 5,489,262호에 제시된 하이드로겔형은 투과성이 없는 고분자 필름층에 하이드로겔이 도포된 형태를 이루고 있고, 고분자 필름층은 하이드로겔이 탈수되거나 건조되는 것을 막으며, 하이드로겔층은 상처면에 접하여 삼출액을 흡수하고 습윤환경을 유지하여 상처치료를 촉진시킨다. 그러나 낮은 투습도로 인해 삼출액이 많은 상처에 사용이 불가능하고 수팽윤상태가 지속되면 드레싱재가 붕괴되며 정산 피부의 침염을 일으키는 등 단점을 가진다. 미국특허 제 5,445,604 및 5,065,752호에서 제시된 친수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제는 그 구조가 폴리우레탄 폼의 양면에 필름을 라이네이션 시킨 형태로 되어 있고, 상처면에 접하는 필름에는 미세구멍을 기계적으로 뚫어져 있지 않은 바깥쪽 필름의 투습도가 충분치 못하기 때문에 장기간 부착에는 적합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상처면 쪽 필름에 존재하는 구멍으로 인하여 재생조직이 부착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창상, 외상 등과 같은 피부의 상처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 드레싱(Wound dressing)을 사용한다. 상처 치료용 드레싱이 가져야 할 특성으로는 상처와 접촉면에서 적당한 습기의 유지능력이 필요하고, 상처 분비물의 조절 능력, 사처에 대한 드레싱의 부착 및 제거의 용이성, 외부의 상처부위간의 공기 및 수증기 관통성, 외부에 대한 상처 부위의 단열성, 박테리아의 침입에 대한 저항성, 인체에 대한 무독성, 우수한 기계적 물성 등이 요구된다. 선사, 고대, 그리스-로마, 중세에서 근세에 이르기까지 시내다 발전하고 의학이 개선되면서 드레싱은 창상 국소 관리의 독립되나 기법분야로 분화 발달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발전은 건조 드레싱을 주류로 발전되어 왔으나, 근래에서 와서 건조드레싱을 대신하는 습윤 드레싱의 혁명적 이론의 발전은 몇 개 중요한 연구 결과에 의하여 발전 되고 있다. Hinman 과 Maibach은 상처부위에서 습기가 상처 치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이론을 확립하였으며, 1970년경에 Michael 등은(Michael Z. C., Hu and Mark Reeves, Biosorption of Uranium by Pseud omonas Aeruginosa strain CUS Immobilized in a Novel Matrix Biotechnology Progress, 13(1), 1997) 상처부위에서 작당한 수분을 함유하고 가피가 생성되지 않은 조건에서 상피세포의 이동이 활발하고, 상처치유 기간이 단축됨을 밝혔다. 특히 Winter는 상피 재형성이 상처 부위가 건조된 상태보다 적당한 수분을 함유한 상태에서 40%정도 빠르 효과를 나타낸다고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이러한 습윤환경이론을 충족시키는 최조의 드레싱재로서 근대 드레싱의 제 1세대는 1971년 Smith amp;Nephew사(社)의 Opsite란 상품이 출시되었으며 이것은 Polyurethan 필름과 vinylether, 점착제로 구성된 것으로 창상 밖으로부터 세균과 수분의 진입을 막고, 창상면으로부터 가스와 수증기의 투과를 일정하게 허용하여 창상 주위 피부가 물러지지 않고 창상면에 세균감염이 생기지 않도록 방어하며 습윤환경을 유지시키는 반 투과성 필름 드레싱이다. 이러한 이론을 근거로 출시된 Opsite는 습윤환경이론을 만족시키는 우수한 드레싱제로 널리 사용되었지만 그 성질과 점착성 등의 문제점들이 드러나기도 했다. 다른 제조사회사에서 소재필름의 개량과 점착제의 아크릴레이트로의 변경을 시도한 다양한 소재들을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발전은 1970년대 소위 2세대의 드레싱제 들이 출연하였다. Convatec사(社)의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재를 사용한 제품으로 하이드로 콜로이드재는 친수성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일련의 제품을 속칭하는 것으로 창상, 스토머(stoma) 및 실금 관리기구에 광범위하게 쓰이는 용어다. 하이드로콜로이드재의 출현은 창상치유, 특히 욕창, 하퇴궤양 등의 만성 난치성 피부궤양의 치료에 획기적인 도움을 주었다. 이들 드레싱은 단순히 상처만 덮고 상처분비물을 흡수하는 단계에 그치지 않고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여 상피 재형성을 돕고 박테리아 침입을 막으며, 피부 성장 요소의 사입 등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약물 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에 대한 연구로 Zeng(j. Aeng etal. J. Control, Release, 92, 227(2003)). 등은 생분해성 원료인 poly(L-lactic acid)(PLA)에 약물을 혼입하고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한 후 약물의 방출 특성을 평가하였는데, 약물의 발출은 나노섬유를 제조한 후 약물의 방출 특성을 평가하였는데, 약물의 방출은 나노섬유 내부에서 약물의 확산이나 투과에 의존하지 않고 단지 담체인 고분자섬유의 분해에 영향을 받는다. 이처럼 PLA를 분해시키는 porteinase K의 존재 유무에 따라 약물의 방출이 결정된다. 이처럼 의료용 산업에서 연구 및 산업화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미용과 피부 상처를 치료할 때는 적용부위에 장시간 보호구(protection device)를 붙여줄 수 없으며, 단시간 동안만 보호구를 붙인 후에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가 이용되며, 피부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 시트(sheet)형태 또는 팻치(patch)형태로 만들어져 사용된다.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와 피부 사이의 친화성은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내에 함유되어 있는 미용제 또는 약물이 수분에 의해 용해되면서 약 물이 피부로 전달되는데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그 친화성이 크면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에서부터 피부로 미용제 또는 약물의 전달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신속하고 고르게 전달되는 특징이 가짐으로 앞으로의 피부 미용 및 상처치료에 많이 요구되어 진다.
이에 본 발명의 피부 접착시 피부의 수분에 의해 서서히 용해 가능하여 미용제 및 약물이 피부속으로 신속하게 고르게 전달 되도록 할 목적으로 피부 미용 및 상처 치료용으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비닐아크릴산(PVAc), 및 폴리메타아크릴산(PMAc)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합성 고분자 물질 0.01-20중량%
콜라겐, 젤라틴, 아가, 카라기난, 알기네이트, 키토산, 키토산 유도체, 전분 풀루란,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플루로닉, 알긴, 엘라스틴, 풀로테오글루칸, PLA, PGA, PLGA,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천연 고분자 물질 0.01-55중량%
피부의 효능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피부친화적인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천연소재로는 세라마이드, 코직산, α-히드록시산 및 β-히드록시산, 레티놀, 비타민 C, 비타민 C유도체, 비타민 A, 비타민 E, 아미노산, 구아바, 포도씨앗 추출물, 카모마일, 히알루로닉산, 어성초, 도인, 도인피, 파란근, 리기다, 상황, 영지버섯, 신이화, 포공영, 율피, 동백유, 피톤치드, 버드나무, 자작나무, 소나무추출물, 감 자, 감초, 고삼, 갈조, 굴, 그레이프씨드, 꿀, 녹차, 당근, 당약, 들국화, 딸기 로즈마리, 마카데미아넛 오일, 마트리카리아, 비피두스, 사플로워오일, 상백피, 세이지, 수세미, 식물성 스쿠알렌, 세리신, 피브로인, 아카시아. 쌀, 쑥, 아몬드오일, 아보카도오일, 아이비, 알로에, 옥수수, 올리브오일, 우유단백질, 울금, 유용성감초, 인삼, 작약, 장미, 창포, 천궁, 치자, 코코넛오일, 파슬리, 헨나, 호스테일, 호호바오일, 황토 등으로부터 최소 하나 또는 둘 이상 사용가능하고, 항상화, 항균성, 항염증성, 항세포독성, 항자극성, 항알러지성, 보습성, 미백효과, 수렴효과, 진정효과 등을 부여할 수 있는데, 0.1중량% 내지 30중량% 사이의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0.1중량%이하의 경우 효능이 미비하여 30중량%이상의 경우 추출물의 고유적인 색소가 전체의 제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온에서 물 45-94.8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비닐아크릴산(PVAc), 및 폴리메타아크릴산(PMAc)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합성 고분자 물질 0.01-20중량%및 콜라겐, 젤라틴, 아가, 카라기난, 알기네이트, 키토산, 키토산 유도체, 전분 풀루란,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플루로닉, 알긴, 엘라스틴, 풀로테오글루칸, PLA, PGA, PLGA,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천연 고분자 물질 0.01-55중량%, 피부 친화성 천연소재 0.1-30중량%을 혼합하고 이를 0-70℃ 조건에 서 1시간 내지 48시간 교반, 용해시켜서 제조된 단계:
상기 용액을 다양한 방법으로 피브리드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전기방사, 멜트 브라운, 습식방사 방식으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시트(Sheet) 및 팻치(patch) 형태로 제조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은 피부치료 및 피부미용제를 함유한 수용성 피브리드즈으로 피부에 부착시 소량의 수분으로도 용해가 가능하게 되어 피부친화성 증지제 등의 유효성분이 다량으로 피부속으로 신속하게 전달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은 피부에 적용되어 밀착되었을때 피부의 수분에 의하여 서서히 용해됨으로써 수용액 상태로 변화하여 피브리드즈와 피부사이의 친화성을 최적으로 향상시켜서 미용제나 상처치료제와 같은 유효성분이 피부로 잘 전달되게 하는 특성이 있으며, 또, 피브리드즈내에는 이러한 유효성분의 피부전달을 증진시키는 천연 친화성 증진제가 함유되어 있어서 만족할 만한 양의 유효성분이 신속하게 경피속으로 전달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피브리드즈가 피부에 접촉시 피부에 존재하는 소량의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수용액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의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은 화장품을 함융한 피브리드즈 시 트(sheet) 또는 팻치(patch)가 피부에 적용되어 밀착되었을 때 피브리드즈 상태가 수분에 의하여 용해됨으로서 조성물과 피부사이의 친화성을 최적으로 향상시켜서 미용제가 피부로 잘 전달되게 하는 특성이 있으며, 또 조성물 속에 미용제의 피부전달을 증진 시키는 천연 친화성 증진게가 함유되어 있어서 만족할 만한 양의 미용제가 신속하게 경피속으로 전달(Transdermal delivery of cosmetics)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수분의 영향에 감응하여 피브리드즈 상태에서 급격하게 유동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의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상태 변화 피브리드즈는 고상이 상태가 수분의 영향에 의해 액상인 유동상태(liquid state)로 변화하는 물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피부미용의 용도로 상용될 때에 본 발명의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시트(sheet) 또는 팻치(patch) 형태의 제품을 피부에 부착시키면 수분에 의해 피브리드즈가 유동 상태로 상태 변화를 일으켜서 흐름성이 있는 조성물로 변화하게 되며, 이는 피부에 자동적으로 밀착, 침투되면서 피부와의 친화성이 크게 향상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브리드즈에 즉정 합성고분자 물질과 천연고분자 물질로 조성된 피브리드즈형성 물질이 포함되어 이와 더불어 인체피부와 친화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친화성 증진제와 천연재료물질이 함유된다.
본 발명의 피부미용 및 상처 치료용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의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비닐아크릴산(PVAc) 및 폴리메타아크릴산(PMAc)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합성 고분자 물질 0.01-20중량%, 콜라겐, 젤라틴, 아가, 카라기난, 알기네이트, 키토산, 키토산 유도체, 전분 풀루란,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플루로닉, 알긴, 엘라스틴, 풀로테오글루칸, PLA, PGA, PLGA,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천연 고분자 물질 0.01-55중량%, 세라마이드, 코직산, α-히드록시산 및 β-히드록시산, 레티놀, 비타민 C, 비타민 C유도체, 비타민 A, 비타민 E, 아미노산, 구아바, 포도씨앗 추출물, 카모마일, 히알루로닉산, 어성초, 도인, 도인피, 파란근, 리기다, 상황, 영지버섯, 신이화, 포공영, 율피, 동백유, 피톤치드, 버드나무, 자작나무, 소나무추출물, 감자, 감초, 고삼, 갈조, 굴, 그레이프씨드, 꿀, 녹차, 당근, 당약, 들국화, 딸기 로즈마리, 마카데미아넛 오일, 마트리카리아, 비피두스, 사플로워오일, 상백피, 세이지, 수세미, 식물성 스쿠알렌, 세리신, 피브로인, 아카시아. 쌀, 쑥, 아몬드오일, 아보카도오일, 아이비, 알로에, 옥수수, 올리브오일, 우유단백질, 울금, 유용성감초, 인삼, 작약, 장미, 창포, 천궁, 치자, 코코넛오일, 파슬리, 헨나, 호스테일, 호호바오일, 황토 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피부친화적 천연 소재를 0.1-10중량%, 물 8-98.76중량%로 조성 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각 성분들이 이러한 범위로 함유되어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형성하는 경우에, 피부에 적용시 피부에 존재하는 소량(예, 적어도 1%의 수분함량)의 수분에 의해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이 수용액 상태로 변화하 는 특성을 가지고 이에 따라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내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이 피부에 고르고 신속하게 밀착되고 침투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에 있어서, 피브리드즈 형성물질로서 합성 고분자 물질 및 천연 고분자 물질이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합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비닐아크릴산(PVAc) 및 폴리메타아크릴사(PMAc)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천연 고분자 물질은 콜라겐, 젤라틴, 아가, 카라기난, 알기네이트, 키토산, 키토산 유도체, 전분 풀루란,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플루로닉, 알긴, 엘라스틴, 풀로테오글루칸, PLA, PGA, PLGA,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때, 상기 합성 고분자 물질 및 천연 고분자 물질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함성 고분자는 0.01-20중량%를 가지며 천연 고분자 물질은 0.01-55중량% 씩 함유되며, 만일 이러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피브리드즈 형성되지 않거나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없으며 피부에 접착되어도 수분에 의해 용해되지 않을 수 있다.
인체 피부와 친화성을 향상시켜주는 조성물에서부터 피부 미용제 또는 약물이 다량으로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는 물질로서 식물, 동물 또는 광물로부터 추출한 천연물이며 이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세라마이드, 코직산, α-히드록시산 및 β-히드록시산, 레티놀, 비타민 C, 비타민 C유도체, 비타민 A, 비타민 E, 아미노산, 구아바, 포도씨앗 추출물, 카모마일, 히알루로닉산, 어성초, 도인, 도인피, 파란근, 리기다, 상황, 영지버섯, 신이화, 포공영, 율피, 동백유, 피톤치드, 버드나무, 자작나무, 소나무추출물, 감자, 감초, 고삼, 갈조, 굴, 그레이프씨드, 꿀, 녹차, 당근, 당약, 들국화, 딸기 로즈마리, 마카데미아넛 오일, 마트리카리아, 비피두스, 사플로워오일, 상백피, 세이지, 수세미, 식물성 스쿠알렌, 세리신, 피브로인, 아카시아. 쌀, 쑥, 아몬드오일, 아보카도오일, 아이비, 알로에, 옥수수, 올리브오일, 우유단백질, 울금, 유용성감초, 인삼, 작약, 장미, 창포, 천궁, 치자, 코코넛오일, 파슬리, 헨나, 호스테일, 호호바오일, 황토등이 유용하며, 그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중량%이다. 이러한 천연물질은 그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며 너무 많은 경우에는 수분 감응성이 저하 될 수 있다.
물은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의 주성분으로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98.76중량%로 포함되며 그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피부에 접착되어도 수분에 의해 용해되지 않을 수 있으며 너무 많은 경우에는 피브리드즈 형태로 형성되지 않거나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온에서 우선 물과 상기 합성 고분자 물질 그리고 천연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고 이를 0-80℃로 승온하여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유지시키면서 천연 생채물질을 혼합시킨다. 이때 혼합되는 각 성분 및 그 양은 본 발명의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이때 혼입되는 각 성분의 유용한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이때 혼합되는 각 성분의 유용한 예 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시트(sheet) 또는 팻치(patch)형태로 제조되어 피부미용 이나 상처 치료에 적용 될 수 있다. 전기방사, 멜트 브라운, 습식방사 방식 등을 통하여 제조 가능하다. 전기방사를 예를들어 보면, 본 발명의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기방사 0-40kV 조건에서 방사하면 시트(sheet) 또는 팻치(patch)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 기타 다양한 모양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피부 접촉시 수분에 의해 서서히 용해되어 유요성분들이 피부로 침투되므로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상처를 입기전의 상태로 가능한 가깝게 되돌려서 상처로 인한 아름을 줄이고, 심한 흉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제로써, 상처가 난 후 초기에 상처 부위를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로 압박하여 지혈 할 수 있으며,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에서 유효성분이 서서히 방출되어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도와주며, 상처치유과정에서 피부의 재생이 가급적 빠르게 이루어지게 하여 흉터가 생기지 않게 도와주는 상처 치료 및 피부 미용에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피부미용, 아토피, 입속 상처치료, 각지제거, 여드름 치료, 흉터제거, 밴드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상처의 치 유를 촉진시키고, 상처를 입기 전의 상태로 가능한 가깝게 되돌려서 상처로 인한 아픔을 줄이고, 심한 흉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제로써, 상처가 난 후 초기에 상처 부위를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로 압박하여 지혈을 할 수 있으며, 수용성 필름에서 유효성분이 서서히 방출되어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도와주며, 상처치유과정에서 피부의 재생이 가급적 빠르게 이루어지게 하여 흉터가 생기지 않게 도와주는 상처 치료 및 피부미용에 사용되는 제제를 제공하며, 피부 접착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가 완전히 용해되어 유효성분들이 피부로 침투되는 수용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상처 치료 및 피부미용에 획기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제제의 형태로써, 세부적으로는 상처치료, 피부미용, 아토피, 입속 상처치료, 각질제거, 여드름 치료, 흉터제거, 밴드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1-7(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제조)
상온에서 1L 용기에 교반하면서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성분을 혼합하였다. 먼저 탈이온수에 합성고분자 물질을 첨가하고 70℃로 승온한 후 천천히 교반 시키면서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상온에서 천연고분자 물질과 피부친화적 천연물을 나중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전기방사(전기방사조건)를 통하여 혼합용액을 방사하여 성형시켰다.
성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PVA (폴리비닐알코올) 4 5 6 7 6 5 4
콜라겐 20 20 30 30 40 40 50
소나무추출물 1 1 1 1 1 1 1
실시예 8 - 용해도 실험
실시예 1-7과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수분 감응서 피드리드즈에 무게애 대한 물의 함량을 0, 1, 5, 10, 20, 50%로 변화시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의 용해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수분이 없을 경우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전혀 용해되지 않았지만 무게에 대한 1%의 수분으로도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용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1%의 소량의 수분으로도 충분히 용해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수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0 × × × × × × ×
1
5
10
20
50이상
(×;용해되지 않음, △;일부 용해됨, ○;완전 용해됨)
실시예 9 - 세포활성시험
상기 실시예 1로 제조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위에 macrophage Raw 264.7 cells의 세로활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T-bottle에 세를 분주한 후, 80%의 confluency에 도달 할때 serum free EMEM으로 교체 하였다. 6well plate에 제조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넣고, macrophage Raw 264.7 cells을 5×104 cells/well 의 세포를 분주한 후 24시간, 48시간 세포활성을 측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24시간 이후 48시간째 세포배양이 2-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세포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 항균성 시험
실시예 1로 제조된 본 발명의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을 한국 원사 직물 시험 연구원(FITI)에 의뢰하여, 항균도 시험방법(FC-TM-20)-2001))으로 항균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본 발명의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은 실시예 1의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제조하고 충분히 컨디셔닝 시켜 준비됨)
※ 항균가공제품과 대조편에 공시균을 접종하여 배양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항균가공제품(가공포)과 대조편(표준포)을 비교함으로써 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도(정균감소율)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다.
정균감소율% = (C-B)/C×100
(B=가공포의 배양후 균수, C=표준포의 배향후 균수)
수 분% 평균균수 시험성립여부
0 1) 공시균 ① 2) 공시균 ② 공시균 ① 공시균 ②
초기균수(”시간) 2.0×104 1.9×104 105배 증가 (31.6배 이상) 200배 증가 (31.6배 이상)
표준포 배양후“0 2.1×106 3.8×106
시험형태 정균감소율(%)
1) 공시균 ① 공시균 ②
지시상태 99.9 이상 99.9 이상
비이온계면활성제 접종균에 0.05% 비이온 계면화설제(TWEEN 80) 사용
STOMACHER 400POLY-BAG
※공시균: 1)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2) 클렙시엘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및 클렙시엘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하여 모두 99.9% 이상의 정균율을 나타내어 매우 우수한 항균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전기방사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의 SEM 촬영사진

Claims (7)

  1.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를 형성할 수 있는 합성고분자 0.01-20중량%, 천연물 고분자 0.01-55중량%, 피부 친화 천연생체물질 1-10중량% 조성되고, 피부 접촉시 수분으로 인해 용해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을 제공하는 것이다.
  2. 상기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형성할 수 있는 합성고분자은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글리콘(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비닐아크릴산(PVAc) 및 폴리메타아크릴산(PMAc)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된 피부 접촉시 용해 가능한 수용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3. 상기 1항에 있어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형성 할 수 있는 천연 고분자는 콜라겐, 젤라틴, 아가, 카라기난, 알기네이트, 키토산, 키토산 유도체, 전분 풀루란, 갈락토 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플루로닉, 알긴, 엘라스틴, 풀로테오글루칸, PLA, PGA, PLGA,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천연 고분자 물질을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용 및 상처 치료용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생체물질은 피부의 효능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피부친화적인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천연소재로는 세라마이드, 코직산, α-히드록시산 및 β-히드록시산, 레티놀, 비타민 C, 비타민 C유도체, 비타민 A, 비타민 E, 아미노산, 구아바, 포도씨앗 추출물, 카모마일, 히알루로닉산, 어성초, 도인, 도인피, 파란근, 리기다, 상황, 영지버섯, 신이화, 포공영, 율피, 동백유, 피톤치드, 버드나무, 자작나무, 소나무추출물, 감자, 감초, 고삼, 갈조, 굴, 그레이프씨드, 꿀, 녹차, 당근, 당약, 들국화, 딸기 로즈마리, 마카데미아넛 오일, 마트리카리아, 비피두스, 사플로워오일, 상백피, 세이지, 수세미, 식물성 스쿠알렌, 세리신, 피브로인, 아카시아. 쌀, 쑥, 아몬드오일, 아보카도오일, 아이비, 알로에, 옥수수, 올리브오일, 우유단백질, 울금, 유용성감초, 인삼, 작약, 장미, 창포, 천궁, 치자, 코코넛오일, 파슬리, 헨나, 호스테일, 호호바오일, 황토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된 피부 접촉시 용해 가능한 수용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온에서 물 45-94.8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에틸렌옥사 이드(PEO), 폴리비닐아크릴산(PVAc), 및 폴리메타아크릴산(PMAc)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합성 고분자 물질 0.01-20중량%및 콜라겐, 젤라틴, 아가, 카라기난, 알기네이트, 키토산, 키토산 유도체, 전분 풀루란,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플루로닉, 알긴, 엘라스틴, 풀로테오글루칸, PLA, PGA, PLGA,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천연 고분자 물질 0.01-55중량%, 세라마이드, 코직산, α-히드록시산 및 β-히드록시산, 레티놀, 비타민 C, 비타민 C유도체, 비타민 A, 비타민 E, 아미노산, 구아바, 포도씨앗 추출물, 카모마일, 히알루로닉산, 어성초, 도인, 도인피, 파란근, 리기다, 상황, 영지버섯, 신이화, 포공영, 율피, 동백유, 피톤치드, 버드나무, 자작나무, 소나무추출물, 감자, 감초, 고삼, 갈조, 굴, 그레이프씨드, 꿀, 녹차, 당근, 당약, 들국화, 딸기 로즈마리, 마카데미아넛 오일, 마트리카리아, 비피두스, 사플로워오일, 상백피, 세이지, 수세미, 식물성 스쿠알렌, 세리신, 피브로인, 아카시아. 쌀, 쑥, 아몬드오일, 아보카도오일, 아이비, 알로에, 옥수수, 올리브오일, 우유단백질, 울금, 유용성감초, 인삼, 작약, 장미, 창포, 천궁, 치자, 코코넛오일, 파슬리, 헨나, 호스테일, 호호바오일, 황토으로부터 최소 하나를 선택하여 피부 친화성 천연물 소재 0.1-30중량%을 혼합하고 이를 0-70℃ 조건에서 1시간 내지 48시간 교반, 용해시켜서 제조된 단계:
    상기 용액을 다양한 방법으로 피브리드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전기방사, 멜트 브라운, 습식방사 방식으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시트(Sheet) 및 팻치(patch) 형태로 제조 단계; 를 포함하여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제조방법.
  6. 제 1항의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을 이용하여 피부 재생 치료에 적용하는 상처치료용 드레싱.
  7. 제 1항의 피부 접착시 용해가 가능한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를 이용하여 피부 미용에 적용하는 피부 미용 팩제.
KR1020070092949A 2007-09-13 2007-09-13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7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949A KR20090027838A (ko) 2007-09-13 2007-09-13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949A KR20090027838A (ko) 2007-09-13 2007-09-13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838A true KR20090027838A (ko) 2009-03-18

Family

ID=4069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949A KR20090027838A (ko) 2007-09-13 2007-09-13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7838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6016A (zh) * 2012-10-31 2013-02-13 西南科技大学 一种静电纺丝制备改性魔芋葡甘露聚糖纤维的方法
CN103194856A (zh) * 2013-04-02 2013-07-10 吉林大学 抗菌、伤口愈合作用的壳聚糖/丝胶复合纳米纤维的制备方法
KR101320297B1 (ko) * 2011-10-26 2013-10-22 주식회사 제닉 쌀가루를 포함하는 경피 흡수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65579A1 (ko) * 2012-10-25 2014-05-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용해속도가 제어된 나노섬유로 구성된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3966694A (zh) * 2014-04-23 2014-08-06 安徽依采妮纤维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抗紫外线抗菌芦荟纤维面料及其制备方法
CN104342775A (zh) * 2014-10-15 2015-02-11 东华大学 一种基于绿色电纺技术制备蜂蜜-天然材料复合纳米纤维膜的方法
CN104983721A (zh) * 2015-06-25 2015-10-21 河南行知专利服务有限公司 一种疤痕修复贴
CN105239273A (zh) * 2015-11-20 2016-01-13 苏州大学 一种聚乙烯醇/蜂蜜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
CN105435300A (zh) * 2015-12-25 2016-03-30 重庆理工大学 一种含纳米丝素蛋白的抑菌医用敷料
CN105734830A (zh) * 2016-04-05 2016-07-06 东华大学 一种鱼腥草精油和壳聚糖复合纳米纤维毡的制备方法
KR20170045727A (ko) * 2015-10-16 2017-04-27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건식 패드
CN114045609A (zh) * 2021-11-02 2022-02-15 南方科技大学 一种可调温口罩及其制备方法
CN114921864A (zh) * 2022-05-27 2022-08-19 大连工业大学 一种湿度响应瓜尔胶纤维及其制备方法
WO2024019574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블리스팩 나노섬유와 고분자량 수용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모노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297B1 (ko) * 2011-10-26 2013-10-22 주식회사 제닉 쌀가루를 포함하는 경피 흡수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065579A1 (ko) * 2012-10-25 2014-05-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용해속도가 제어된 나노섬유로 구성된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54421B1 (ko) * 2012-10-25 2014-11-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가 용융형 나노섬유로 구성된 미용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4703507A (zh) * 2012-10-25 2015-06-10 阿莫绿色科技株式会社 由控制溶解速度的纳米纤维构成的美容膜及其制造方法
CN102926016B (zh) * 2012-10-31 2014-12-03 西南科技大学 一种静电纺丝制备改性魔芋葡甘露聚糖纤维的方法
CN102926016A (zh) * 2012-10-31 2013-02-13 西南科技大学 一种静电纺丝制备改性魔芋葡甘露聚糖纤维的方法
CN103194856A (zh) * 2013-04-02 2013-07-10 吉林大学 抗菌、伤口愈合作用的壳聚糖/丝胶复合纳米纤维的制备方法
CN103194856B (zh) * 2013-04-02 2016-02-10 吉林大学 抗菌、伤口愈合作用的壳聚糖/丝胶复合纳米纤维的制备方法
CN103966694A (zh) * 2014-04-23 2014-08-06 安徽依采妮纤维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抗紫外线抗菌芦荟纤维面料及其制备方法
CN104342775A (zh) * 2014-10-15 2015-02-11 东华大学 一种基于绿色电纺技术制备蜂蜜-天然材料复合纳米纤维膜的方法
CN104983721A (zh) * 2015-06-25 2015-10-21 河南行知专利服务有限公司 一种疤痕修复贴
KR20170045727A (ko) * 2015-10-16 2017-04-27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건식 패드
CN105239273A (zh) * 2015-11-20 2016-01-13 苏州大学 一种聚乙烯醇/蜂蜜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
CN105435300A (zh) * 2015-12-25 2016-03-30 重庆理工大学 一种含纳米丝素蛋白的抑菌医用敷料
CN105435300B (zh) * 2015-12-25 2019-03-01 重庆理工大学 一种含纳米丝素蛋白的抑菌医用敷料
CN105734830A (zh) * 2016-04-05 2016-07-06 东华大学 一种鱼腥草精油和壳聚糖复合纳米纤维毡的制备方法
CN114045609A (zh) * 2021-11-02 2022-02-15 南方科技大学 一种可调温口罩及其制备方法
CN114921864A (zh) * 2022-05-27 2022-08-19 大连工业大学 一种湿度响应瓜尔胶纤维及其制备方法
CN114921864B (zh) * 2022-05-27 2023-08-22 大连工业大学 一种湿度响应瓜尔胶纤维及其制备方法
WO2024019574A1 (ko) * 2022-07-22 2024-01-25 주식회사 블리스팩 나노섬유와 고분자량 수용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모노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7838A (ko) 수분 감응성 피브리드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ezvani Ghomi et al. Wound dressings: Current advances and future directions
KR100676937B1 (ko)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Sood et al. Wound dressings and comparative effectiveness data
Gruppuso et al. Polymeric wound dressings, an insight into polysaccharide-based electrospun membranes
Aragon et al. Electrospun asymmetric membranes for wound dressing applications
Kataria et al. In vivo wound healing performance of drug loaded electrospun composite nanofibers transdermal patch
KR20110114195A (ko) 무기재료가 혼입된 애완용 하이드로겔 패치 및 그 제조방법
Boateng et al. Wound healing dressings and drug delivery systems: a review
Li et al. Antibacterial strategies for wound dressing: preventing infection and stimulating healing
EP3305335A1 (en) Multifunctional compound skin or wound dressing as regenerative skin substitute
RU2422133C1 (ru) Гидрофильный гель,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раневое покрытие и перевязочное средство на его основе
CN110237295B (zh) 一种花青素藻酸盐敷料
Das et al. Progress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potential medicinal plant extract‐conjugated polymeric constructs for wound healing and tissue regeneration
KR20070118730A (ko) 보습성이 우수한 창상피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80846B1 (ko) 약물함유층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제조방법
Hasan et al. Biopolymers in diabetic wound care management: A potential substitute to traditional dressings
Sadeghi-Aghbash et al. Wound healing: an overview of wound dressings on health care
JP6290184B2 (ja) 創傷ドレッシング
Singh et al. Polysaccharide-aloe vera bioactive hydrogels as wound care system
Al-Moalemi et al. Electrospun sodium alginate/poly (ethylene oxide) nanofibers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Menon et al. Recent progress in polysaccharide and polypeptide based modern moisture-retentive wound dressings
CN103480032A (zh) 一种含银复合凝胶敷料及其制备方法
Bülbül et al. Traditional and advanced wound dressings: physical characterization and desirable properties for wound healing
Ndlovu et al. Cellulose Acetate-Based Wound Dressings Loaded with Bioactive Agents: Potential Scaffolds for Wound Dressing and Skin Re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