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447B1 - 부직포 롤 - Google Patents

부직포 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447B1
KR101418447B1 KR1020120107557A KR20120107557A KR101418447B1 KR 101418447 B1 KR101418447 B1 KR 101418447B1 KR 1020120107557 A KR1020120107557 A KR 1020120107557A KR 20120107557 A KR20120107557 A KR 20120107557A KR 101418447 B1 KR101418447 B1 KR 101418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roll
present
decontamination layer
porous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924A (ko
Inventor
한태동
Original Assignee
(주)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리텍 filed Critical (주)폴리텍
Priority to KR102012010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4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염제거층을 포함하며, 상기 오염제거층은 부직포와 공극률이 20~80%인 다공성 폴리우레탄으로 된 부직포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롤은 롤의 다공성을 조절함으로써 다공질의 수축과 팽창의 반복 운동으로, 수분, 유분, 약품 등 다양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롤은 피착면의 재질에 상관없이, 철, 비철 금속, 고분자, 플라스틱, 또는 필름과 같은 어떤 피착면에 부착된 이물질이라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직포 롤{Non-woven roll}
본 발명은 부직포 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피착면에 부착된 다양한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부직포 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제조 공정에서 철, 비철 금속, 고분자, 플라스틱, 또는 필름과 같은 피착면에 부착된 수분, 유분 또는 약품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은 최종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다음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나 실제 공정에서는 매우 어려움과 시간이 수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부직포의 공극부에 고분자 탄성체를 포함하는 흡액 롤이 개시되어 있으나, 섬유질 시트를 구성하는 고분자 탄성체가 조기에 산화됨으로써 탄성 열화를 일으켜 경화되고, 그 내구성이 극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조기에 고분자 탄성체가 변색되거나 황변화되는 등의 문제점도 아울러 갖고 있었다.
특히, 자동차 조립 공정에서는 상기 자동차를 구성하는 조립체의 녹 방지를 위해 방청유를 도포하게 되는데, 상기 방청유에는 산성의 유기 용매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립체에 도포된 방청유는 특정 롤러를 이용하여 닦여지게 된다. 지금까지는 상기 롤러가 고무(rubber)에 의해 코팅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자동차 조립체의 표면에 도포된 방청유를 닦아내는 과정에서 상기 롤러의 표면에 코팅된 고무가 상기 방청유에 포함된 산성 용매에 의해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의 부식으로 공정 불량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자동차 조립체에 도포된 방청유를 깨끗하게 닦아내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다양한 피착면에 부착된 수분, 유분, 약품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의 부식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최종 제품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부직포 롤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롤은 축부재와, 상기 축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염제거층을 포함하며, 상기 오염제거층은 부직포 및 공극률이 20~80%인 다공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부직포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는 90~100℃의 온도에서 열수축이 가능한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면, 양모, 및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혼합 방사시킨 섬유사를 입체적으로 직조시킨 3차원 배열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추가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 아미드, 셀룰로즈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친수성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제거층은 상기 부직포에 상기 다공성 폴리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 복합체는 건조와 습식의 마찰계수 차이가 0.05 이내이고, 전단응력이 1200~1300k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 복합체는 수분 흡수율은 15~25mm/min, 길이 방향의 인장강도 45~80kg/2.54cm, 두께 방향의 인장강도 25~70kg/2.54cm, 길이 방향의 신장률 30~130%, 두께 방향의 신장률 50~160%, 길이 방향의 텅 전단 강도(Tongue tear strength) 5.0~10kg, 두께 방향의 텅 전단 강도가 5.0~10k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롤은 롤의 다공성을 조절함으로써 다공질의 수축과 팽창의 반복 운동으로, 수분, 유분, 약품 등 다양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롤은 피착면의 재질에 상관없이, 철, 비철 금속, 고분자, 플라스틱, 또는 필름과 같은 어떤 피착면에 부착된 이물질이라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롤을 사용하여 피착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잔류 이물질로 인한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최종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물질 제거에 따른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롤의 구조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오염제거층의 구조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롤을 상부에서 본 구조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롤의 오염물질 제거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피착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부직포 롤에 관한 것이다.
다음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직포 롤(100)을 나타낸 것으로서, 축 부재(10)와 오염제거층(20)을 포함한다. 상기 축 부재(10)와 오염제거층(20)은 고정부재(11)와 플레이트(12)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축 부재(10)는 원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축 부재(10)의 외주에는 오염제거층(20)이 형성되고, 양측으로부터 고정 부재(11)와 플레이트(12)에 끼워져 장착된다.
상기 축 부재(10), 고정부재(11) 및 플레이트(12)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세라믹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염제거층(20)은 부직포와 공극률이 조절된 다공성 폴리우레탄으로 된 이중층 구조의 복합체가 복수의 층으로 권취된 구조로서, 상기 오염제거층(20)을 확대시킨 다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오염제거층(20)은 미세 기공들(21)을 가지며 조절된 공극률을 가지는 기상의 다공성 폴리우레탄(22)을 상기 부직포(23)에 스프레이 분사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23)는 90~100℃의 온도에서 열수축이 가능한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면, 양모, 및 레이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섬유(길이 짧은 섬유)를 혼합 방사시킨 섬유사를 입체적으로 직조시킨 3차원 배열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 원료들은 90~100℃의 온도에서 열수축되어 상기 원료들 내부에 포함된 기공들이 효과적으로 수축되어 상기 부직포 섬유의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의 제조시, 추가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크릴 아미드, 셀룰로즈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친수성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부직포 내에 포함된 기공들에 포함되어 상기 고분자의 고유한 친수성(hydrophilic property) 때문에 물을 쉽게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부직포 롤을 수분을 포함하는 오염 물질을 제거할 때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오염제거층은 상기 부직포에 기상의 다공성 폴리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상의 다공성 폴리우레탄(22)은 높은 내마모성과 내구성으로 물성이 우수한 부직포 롤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그 내부에 형성된 미세한 기공들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 제조되는 부직포 롤의 무게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징도 있다. 또한, 부드러운 표면으로 인해 피세정면에 대하여 오염제거층을 유연하게 접촉시킬 수 있어, 오염 제거 과정에서의 흠집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22)은 액상(liquid phase)이 아니라 기상(vapor phase)의 형태이므로, 오염제거층의 형성시 장시간 침지시키거나 응고시키는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스프레이 분사법으로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고,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다공성 폴리우레탄(22)의 공극률(porosity)을 20~80%로 조절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최대화시키고자 하였다. 상기 다공성 폴리우레탄(22)의 다공도가 20% 미만인 경우 폴리우레탄 내부에 형성된 기공이 미흡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데 부족하고, 또한, 80%를 초과하는 경우 기공이 너무 발달하는 경우 물성이 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 롤은 수분 흡수율은 15~25mm/min, 길이 방향의 인장강도 45~80kg/2.54cm, 두께 방향의 인장강도 25~70kg/2.54cm, 길이 방향의 신장률 30~130%, 두께 방향의 신장률 50~160%, 길이 방향의 텅 전단 강도(Tongue tear strength) 5.0~10kg, 두께 방향의 텅 전단 강도가 5.0~10k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직포 롤은 건조와 습식의 마찰계수 차이가 0.05 이내로 매우 작은 특징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직포 롤은 기상의 다공성 폴리우레탄과 복합체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 흡수가 매우 빠르다. 따라서, 건조 시와 습식 때의 마찰계수의 차이가 매우 적기 때문에, 상기 부직포 롤이 건조된 경우뿐만 아니라 수분을 흡수하여 습식의 상태에 있더라도 어느 때든 방청류를 적절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전단응력이 1200~1300kg/㎠로 높기 때문에 스트립(strip)에 이한 롤 박리로 인해 생긴 파손 및 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직포 롤은 철, 비철 금속, 고분자, 플라스틱, 및 유리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피착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피착면 이외에도 다양한 피착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롤을 이용하는 경우 오염 물질도 수분, 및 유분은 물론 기타 다양한 오염 물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롤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염제거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와 기상의 다공성 폴리우레탄을 준비한다. 부직포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단섬유를 혼합 방사시킨 섬유사를 3차원적으로 직조시켜, 예를 들어 니들 펀칭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혼합 단섬유로부터 제조된 부직포는 높은 강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오염제거층으로 사용하는 경우 피세정면에 대하여 강한 접촉을 시키더라도 견딜 수 있는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조된 부직포에 상기 기상의 다공성 폴리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시켜 부직포와 다공성 폴리우레탄이 복합체 형태를 이룬 오염제거층을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조된 오염제거층 형성을 위한 부직포 복합체를 원주 형상의 축 부재(10)에 권취시켜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롤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축 부재(10)는 다음 도 3과 같이 샤프트(shaft)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의 키-홈(13, key-home)에 상기 부직포 복합체로 된 오염제거층(20)이 끼어 있는 구조로서, 본 발명의 부직포 복합체(20)와 샤프트(10)는 원칙적으로 접합되지 않고 끼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부직포 복합체를 상기 축 부재(10)에 권취시켜 오염제거층(20)이 형성되면, 양측으로부터 고정 부재(11)와 플레이트(12)를 끼워 장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롤은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염제거층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오염제거층으로서 부직포와 공극률이 20~80%로 조절된 다공성 폴리우레탄의 부직포 복합체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다음 도 4~5에서와 같이 상기 다공성 폴리우레탄 부직포 복합체가 수축 팽창의 반복에 의한 수절 효과(wringer effect)에 의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롤(100)을 아래 위에 장착시키고 이물질(150, 예를 들어, 방청유 등)을 제거하는 경우, 피착면(140, 예를 들어, 자동차 조립체)이 상기 롤러의 오염제거층(120)과 맞닿게 되면, 마주보는 롤의 오염제거층(120)은 수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피착면(140) 표면에 붙어 있던 이물질들(150)이 상기 오염제거층(120)과 부딪쳐 일부는 외부로 떨어져 나가고, 일부는 상기 오염제거층(120) 내부로 흡수된다. 상기 오염제거층(120)은 기상의 다공성 폴리우레탄과 부직포의 복합체인 스펀지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롤 내부로 이물질(150)이 침투되더라도 오염제거층(120)에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다음 도 4와 5의 화살표는 방청유와 같은 이물질(150)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피착면(140)이 롤러를 통과하여 오염제거층(120)이 팽창될 때 다공성 폴리우레탄 부직포 복합체 다공질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 이물질(150)이 부직포 롤 내부로 더 깊이 침투되어 실질적으로는 이물질(150)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오염제거층(120) 내부로 흡수된 일부 이물질(150)은 상기 팽창 과정에서 다시 오염제거층(120) 밖으로 빠져나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의 오염제거층(120)은 약 20~40mm의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오염제거층(120) 내부로 흡수된 일부 이물질이 있더라도 오염을 제거하는 데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지속적인 사용으로 상기 오염제거층(120)이 마모되는 경우, 약 1년을 주기로 오염제거층(120)을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90~100℃의 온도에서 열수축이 가능한 폴리에스터 수지 단섬유를 혼합 방사시킨 섬유사를 니들 펀칭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직조하였다. 상기 니들 펀칭 과정은 5회 반복하였다. 상기 부직포를 롤 상태로 포장한 다음,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에 침지시켰다.
상기 제조된 부직포에 공극률 30%인 기상의 다공성 폴리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시켜 상기 부직포에 다공성 폴리우레탄이 도포된 이중층 구조의 부직포 복합체를 얻었다.
상기 얻어진 부직포 복합체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롤 상태로 포장한 다음, 다음 도 3과 같은 샤프트(shaft) 구조를 가지는 축 부재를 준비하였다.
상기 샤프트의 키-홈(key-home)에 상기 부직포 복합체를 끼우고, 상기 부직포 복합체를 상기 축 부재에 권취시켜 오염제거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축 부재의 양측으로부터 고정 부재와 플레이트를 끼워 장착시켜 부직포 롤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1
종래와 같이 고무 재질(우레탄 고무)만을 이용한 롤을 본 발명과 비교하였다.
실험예 1 :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고무 재질과 부직포 복합체의 마찰계수, 전단응력 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비교예 1 실시예 1
마찰계수 건조 0.16 0.28
습식 0.08 0.24
전단응력(kg/㎠) 600~700 1200~1300
상기 표 1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복합체의 경우 마찰계수가 종래 우레탄 고무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높기 때문에 슬립성이 적어 밀착성이 우수하고, 실제 제조 공정에서 라인 스피드(Line speed)를 높일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건조 및 습식 간의 마찰계수 차이가 0.05 이내로서 건조된 경우뿐만 아니라 수분을 흡수하여 습식의 상태에 있더라도 어느 때든 이물질을 적절히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단응력이 종래 우레탄 고무를 사용한 경우보다 월등히 개선되어 STRIP에 의한 롤의 박리로 생긴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실험예 2 :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 복합체의 수분 흡수율, 인장 강도, 신장률, 전단 강도 등을 ASTM의 표준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10회 측정하여 1회의 값을 실시예 1에 기재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같이 나타내었다.
물성 실시예 1 평균 요구조건
(Sepectification)
수분 흡수율(mm/min) 22 21 평균 20
길이 방향의 인장강도(kg/2.54cm) 75 74 50 이상
두께 방향의 인장강도(kg/2.54cm) 63 62.9 30 이상
길이 방향의 신장률(%) 62 61.5 40이상
두께 방향의 신장률(%) 94 94 60 이상
길이 방향의 텅 전단 강도(Tongue tear strength, kg) 9 9.1 6 이상
두께 방향의 텅 전단 강도(Tongue tear strength, kg) 9.8 9.7 5.5 이상
상기 표 2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복합체의 경우 수분 흡수율, 인장강도, 신장률, 텅 전단 강도(Tongue tear strength) 등이 업계에서 요구되는 수준보다 모두 개선된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복합체를 오염제거층으로 포함하는 부직포 롤은 오염 물질의 제거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성이 개선되어 종래 우레탄 고무를 사용하던 롤을 대체할 수 있어, 공정 개선 및 이에 따른 불량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험예 3 : 이물질 제거 능력 시험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롤을 이용하여 자동차 제조 공정 중 방청유의 제거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롤을 사용하는 경우 라인 스피드가 500~600MPM으로 공정 속도가 높은 반면, 비교예 1의 롤은 라인 스피드가 50~80MPM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비교예 1의 롤은 마찰계수가 낮아 슬립성이 좋지 않은 반면, 본 발명 실시예 1에 따른 롤의 경우 마찰계수가 크고, 건식과 습식 간의 마찰 계수 차이가 적어 피착면과의 밀착성이 좋아 슬립성이 개선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따른 롤의 경우 건조와 습식 상태에 관계없이 우수한 생산성을 보인 반면, 비교예 1의 롤은 이물질에 의한 고무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등의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10 : 축 부재
20, 120 : 오염제거층
11 : 고정 부재
12 : 플레이트
13 : 키-홈(key-home)
21 : 미세 기공
22 : 다공성 폴리우레탄
23 : 부직포
140 : 피착면
150 : 이물질

Claims (6)

  1. 축 부재와,
    90~100℃의 온도에서 열 수축 가능한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혼합 방사시킨 섬유사를 직조시킨 부직포 섬유를 폴리비닐알코올 친수성 고분자에 침지시켜 상기 부직포 내에 포함된 기공들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친수성 고분자가 포함되어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친수성 고분자의 고유한 친수성(hydrophilic property) 때문에 물을 쉽게 포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에 기상(vapor phase)의 다공성 폴리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시켜 공극률이 20~80%인 다공성 폴리우레탄 도포층으로 구성된 이중층 구조를 가지는 오염제거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복합체는 건조와 습식의 마찰계수 차이가 0.05 이내이고, 전단응력이 1200~1300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복합체는 수분 흡수율 15~25mm/min, 길이 방향의 인장강도 45~80kg/2.54cm, 두께 방향의 인장강도 25~70kg/2.54cm, 길이 방향의 신장률 30~130%, 두께 방향의 신장률 50~160%, 길이 방향의 텅 전단 강도(Tongue tear strength) 5.0~10kg, 두께 방향의 텅 전단 강도가 5.0~10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롤.
KR1020120107557A 2012-09-27 2012-09-27 부직포 롤 KR101418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557A KR101418447B1 (ko) 2012-09-27 2012-09-27 부직포 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557A KR101418447B1 (ko) 2012-09-27 2012-09-27 부직포 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924A KR20140040924A (ko) 2014-04-04
KR101418447B1 true KR101418447B1 (ko) 2014-07-14

Family

ID=5065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557A KR101418447B1 (ko) 2012-09-27 2012-09-27 부직포 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4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190A (ko) * 2000-02-10 2001-08-29 박명환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
JP2009280883A (ja) * 2008-05-26 2009-12-03 Kowa Co Ltd ロール及び洗浄装置
JP2009281695A (ja) * 2008-05-26 2009-12-03 Kowa Co Ltd ロール及び洗浄装置
KR101111417B1 (ko) * 2005-05-18 2012-02-16 가부시키가이샤 고오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190A (ko) * 2000-02-10 2001-08-29 박명환 미세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부착 부직포 드레싱재
KR101111417B1 (ko) * 2005-05-18 2012-02-16 가부시키가이샤 고오와
JP2009280883A (ja) * 2008-05-26 2009-12-03 Kowa Co Ltd ロール及び洗浄装置
JP2009281695A (ja) * 2008-05-26 2009-12-03 Kowa Co Ltd ロール及び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924A (ko)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9169B2 (ja) 複合膜支持体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膜
US10799820B2 (en) Durable nanofiber synthetic filter media
CN104136104B (zh) 分离膜支持体和其制造方法、以及使用分离膜支持体的分离膜和流体分离元件
JP4757311B2 (ja) 編物により補強された複合中空繊維膜
US20060089072A1 (en) Composite filtration media
EA023246B1 (ru) Слой мембраны из нановолокна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воды и воздуха
JP2009517199A (ja) 編物により補強された複合中空繊維膜
KR101589746B1 (ko) 복합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JP6602063B2 (ja) 多孔質膜
JP2021511208A (ja) 濾過材料
KR101418447B1 (ko) 부직포 롤
JP2002530544A (ja) 酸化剤に耐性のある自己回復物品
JP6602065B2 (ja) ノズル拭き取り部材
US20200385907A1 (en) Spunbonded nonwoven fabric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EP0900296B1 (en) Surface conditioning articl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6602064B2 (ja) 多孔質膜
JP4953939B2 (ja) 不織布の製造方法
KR101184986B1 (ko) 복합탈수시트
KR102200279B1 (ko) 섬유 지지체로 보강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막
KR20100027225A (ko) 다공성 및 조절된 가소화 표면을 가지는 산업용 직물
KR101111417B1 (ko)
JP2017002420A (ja) 吸液シート及び吸液ロール
CN116872587A (zh) 一种高倍亲水手术地垫用医用复合材料及制备方法
KR101175866B1 (ko) 관형 편직물 및 이를 이용하는 복합 중공사 막
KR100824821B1 (ko) 다공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박막과 그 조성물,오염방지/박리방지 조성물 및 박막의 가공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