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0326A - 세탁기에서 섬세한 의류의 세탁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에서 섬세한 의류의 세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326A
KR20010080326A KR1020017005139A KR20017005139A KR20010080326A KR 20010080326 A KR20010080326 A KR 20010080326A KR 1020017005139 A KR1020017005139 A KR 1020017005139A KR 20017005139 A KR20017005139 A KR 20017005139A KR 20010080326 A KR20010080326 A KR 20010080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omposition
liquid detergent
laundry
garm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885B1 (ko
Inventor
워닉토드마이클
바르나바스프레디아써
멜리아미셸프랜시스
커리존다우닝
시클로시마이클피터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1008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8Pads or the like for cleaning cloth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5Mixtures of a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6Mixtures of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6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11D3/38618Protease or amylase in liquid compositions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00Hand rubbing apparatus
    • D06F3/04Hand rubbers, e.g. gloves with corrugated surf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 D06F95/004Bags; Supports therefor
    • D06F95/006Bags for holding the laundry during wa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11D3/2048Dihydric alcohols branch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41Dihydric alcohols
    • C11D3/2051Dihydric alcohols cyclic; polycycl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통상의 가정용 세탁기에서 섬세하거나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를 세탁하기 위한 제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섬세한 의류를 세탁하는 상업적 습식-세정법의 가정용 버전을 제공한다. 본 제품은 세탁/컨디셔닝 배합 액체 조성물 및 임의로 세탁 예비 처리 조성물, 세탁중 의류를 수용하는 가요성 랩 용기, 및 예비처리 도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에서 섬세한 의류의 세탁방법{Method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정의에서, 용어 "드라이 클리닝(dry cleaning)"은 비수성 용매를 사용하여 텍스타일을 세정하는 방법을 기술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드라이 클리닝은 용매 세정을 사용하는 오래된 기술로서, 1860년대에 영국에서 최초로 보고된 바 있다. 통상, 드라이 클리닝 방법은 수성 세탁조에서 수축되거나, 또는 수성 세탁하기에는 너무 귀중하거나 섬세한 것으로 판단되는 울 및 실크 등의 섬세한 직물에 사용된다. 이러한 의류에는 "드라이 클리닝전용(dry clean only)"으로서 의류를 표시하거나, 일부 다른 적절한 세탁 정보를 제공하는 꼬리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최근 50년 동안, 상업적인 드라이 클리닝을 위해 선택되는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비수성 용매는 퍼클로로에틸렌이었다.
퍼클로로에틸렌은 이전의 용매에 비해 우수하지만, 여러 단점이 있다. 특히, 퍼클로로에틸렌은 미국 환경 보호국에 의해 위험한 공기 오염원으로서 확인되었으며, 산업 근로자에게 흔한 신경계 및 신장 질환과 오랫동안 관련이 있어왔다. 1995년, 환경 보호국은 퍼클로로에틸렌을 "사람의 유력한 발암물질"로서 분류했다. 퍼클로로에틸렌의 잠재적인 발암 효과는 산업 근로자나, 퍼클로로에틸렌계 드라이 클리닝 공정을 수행하는 사람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 뉴욕에서 영업중인 드라이 클리닝업자에 대한 최근 연구에 의하면, 많은 이들 클리닝업자가 의류를 세정하기 위하여 다량의 퍼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하고 있으며, 새로이 드라이 클리닝된 의류를 입은 소비자가 퍼클로로에틸렌을 흡입하게 됨으로써 암에 걸릴 위험이 다소 증가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퍼클로로에틸렌의 위험성으로 인하여, 퍼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하는 드라이 클리닝 공정은 영업소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는 불편하고 비용이 비쌀 뿐만 아니라, 품질 및 의류 손질이 일관되지 않은 드라이 클리닝 공정에 섬세하고 아마도 아주 비싼 의류가 노출될 수 있다. 드라이 클리닝업자에게 물품을 맡긴 많은 소비자는 이들이 지나친 수축, 변색 또는 찢어짐으로 손상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드라이 클리닝 영업소에서 퍼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함으로써 의류에 "화학적" 냄새가 남아, 소비자가 불만족감을 느끼게 된다.
더욱이, 용매-이용 드라이 클리닝 공정은 오일성 오물 및 얼룩을 제거하는데 아주 효과적인 반면에, 이들은 점토 오물과 같은 미립자 또는 많은 과일 음료 및 탄산 음료에서 통상 발견되는 당 등의 수용성 얼룩을 제거하는데 최적은 아니며, 단백질성 얼룩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처리 조건이 필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얼룩 및 오물 상태에 대해 우수한 세정 효과를 제공하고, 위험하거나 유해한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섬세하거나, 드라이 클리닝전용 제품에 "산뜻"하고, "청결"한 느낌을 부여하는 방법 또는 공정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각종 오물 및 얼룩에 대해 우수한 세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독성이 없고 위험하지 않은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섬세하거나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를 세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 또는 공정은 또한 비교적 편리하고 저렴해야 하며, 종종 상업적 드라이 클리닝의 결과로서 나타날 수 있는 의류 손상 및 역한 "화학적" 냄새가 없어야 한다.
이상적으로, 미립자 및 단백질성 얼룩과, 오일성 오물 및 얼룩은 통상의 드라이 클리닝보다 수성 세탁법에 가까운 작동 조건하에 세제 성분을 사용하여 직물로부터 제거된다. 이러한 수성 세탁법은 또한 퍼클로로에틸렌 또는 다른 비수성 용매가 사용되는 경우에 종종 발견되는 "화학적" 냄새 보다는, 오히려 "산뜻한" 또는 "청결한" 냄새를 직물에 일관되게 부여한다.
아마도, 가장 널리 실행되는 수성 세탁법은 소비자가 통상의 가정용 세탁기속의 세탁용 세제 수용액에 의류를 침지시켜 수행하는 세탁법이다. 이러한 공정은 얼룩 제거 및 전반적인 의류 세정에 있어서 모두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고, 위험하거나 독성인 화학 물질을 사용함이 없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더욱이, 통상의 세탁기에서 수성 세탁법을 사용하는 것이 실제로 다른 세탁법보다 상당히 편리하고 값이 저렴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공정은 매우 다양한 섬세하거나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 예를 들면 울로부터 제조된 의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허용될 수 없는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울은 일련의 "스케일(scales)"에 의해 서로 교차(interlock)될 수 있는 직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교차된 스케일은 서로 통과해 움직일 수 없으며, 그 결과, 울은 비교적 강한 직물이 된다. 그러나, 울이 젖거나 습윤되면 물이 윤활성을 제공함으로써, 스케일은 충분한 힘이 선호 방향으로 나타나는 경우 선호 방향으로 서로 통과할 수 있으며, 이러한 힘은 세탁기에서 겪게되는 교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섬유가 이러한 선호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울 의류는 수축한다. 이러한 수축은 이들 "스케일"이 단지 선호 방향으로만 서로 통과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복구될 수 없다. 수축을 복구하기 위해, 선호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스케일이 움직이도록 할만큼 충분한 힘이 발휘될 수 없다. 따라서, 울 의류를 수성 세탁 후 꺼내는 경우에, 수축이 일어나고, 의류는 영구적으로 손상된다. 유사하게, 레이온이 물로 포화되는 경우에, 상당히 약해지고, 이어서, 통상의 수성 세탁법에서 행해지는 교반 및 마모로 인해 의류는 심한 손상을 받을 뿐만 아니라, 심하게 주름지게 된다. 유사하게, 실크 같은 섬세한 직물은 심하게 주름질 뿐만 아니라, 이들의 바람직한 부드러운 촉감을 잃게 될 수 있다.
실크 같은 의류는 또한 통상의 세탁기의 기계적 교반에 손상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특히 통상의 세탁용 세제에 손상되기 쉬운데, 이는 이러한 세제가 섬세한 직물에게는 너무 독한(harsh) 성분을 함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잇점은 울, 레이온, 실크, 아크릴, 트리아세테이트, 미세 면류 및 이들 언급된 물질의 혼방과 같은 직물로부터 제조된 의류에 유해하지 않은, 통상의 세탁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된 수성 세탁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시스템은 상기한 섬세하고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직물에 대해 유해한 결과를 수반함이 없이 수성 세탁법의 통상의 세탁, 광택 및 산뜻함의 잇점을 제공하도록 본 발명에서 고안되었다. 시스템은 가요성 중합체 랩 용기를 사용한다. 의류가 이 용기내에 보관되면, 의류는 완충되어 교반기에 의한 힘 및 응력으로부터 충격을 덜 받게 된다. 시스템은 또한 섬세한 의류에 대해 약하게 작용하도록 개질된 액체 세제 조성물을 사용한다. 제1 액체 세제 조성물은 얼룩에 대한 세정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얼룩을 예비처리하는데 사용된다. 시스템은 도포기(얼룩 표면 위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분포시키기 위한 것) 및 임의로, 소비자가 세탁기에 넣기 전에 얼룩을 예비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특수한 얼룩 흡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상 선명도를 개선시키고, 주름 방지 잇점을 제공하며, 직물 마모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기타 직물 보호 잇점을 제공하도록, 세정 조성물 및 컨디셔너의 배합물인 제2 세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한 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경우에, 이 시스템은 소비자에게 가정에서 섬세하고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를 세탁할 수 있는 편리하고 저렴하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의해, 섬세하고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를 손상없이 수성 세탁법으로 산뜻하게 세탁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키트가 밝혀졌다. 통상의 가정용 세탁기에서 수행되는 수성 세정법이 특히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의 가정용 세탁기에서 드라이 클리닝전용 의류 및 다른 섬세한 의류를 세정하기 위한 저렴하고 편리한 방법에 대한 오랫동안의 요구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의류에 위험한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으며, 화학적 악취를 남기지 않으면서, 퍼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하는 드라이 클리닝 업소와 비교하여 마찬가지로 전반적으로 뛰어난 의류 세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필수 성분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 실리콘 연화제, 및 임의로 유화제를 포함하는 세탁/컨디셔닝 배합 액체 조성물이며, 음이온 계면활성제 대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약 2:1 내지 약 3:1이다. 또한, 키트는 가요성 랩 용기와, 통상의 가정용 세탁기에서 의류를 세탁하기 위한 용기 사용에 관한 지침서를 포함한다.
가요성 랩 용기는 세탁기의 교반 작용으로부터 섬세하거나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를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가요성 랩 용기의 주요 부분은 편직 폴리에스테르 또는 편직 나일론 층으로 구성된 가요성 직사각형 패널이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키트를 사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직물 및 텍스타일을 상기한 가요성 랩 용기 내에 넣은 다음, 유효량의 세탁/컨디셔닝 배합 액체 조성물과 함께 가요성 랩 용기를 세탁기 속에 넣고, 제조업자가 지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모든 %, 비 및 비율은 달리 제시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인용된 모든 문헌은 참조로 관련 부분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통상의 가정용 세탁기에서 섬세하거나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를 세탁하기 위한 제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가요성 랩 용기(122)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A는 두 개의 플랩이 부착된 가요성 랩 용기(122)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여기서 제1 플랩(111)은 펼쳐진 상태이고, 제2 플랩(112)은 패널 위로 접힌 상태이다.
도 2는 확대된 가요성 랩 용기(125)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양태에 있어서, 두 개의 랩이 각각의 가요성 랩 용기(122)의 패널의 하단 가장자리(101) 부근에 위치한 연결 장치(107)를 통해 서로 결합하여 확대된 가요성 랩 용기(125)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가요성 랩 용기의 패널(100)에 부착된 포켓(110)을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두 개의 가요성 랩 용기를 결합시켜 도 2에서와 같이 확대된 가요성 랩 용기를 형성시키는 경우에 여분의 스트랩 및 조임 장치을 위한 보관 영역을 제공한다.
도 3A는 두 개의 가요성 랩 용기를 결합시켜 도 2에서와 같이 확대된 가요성 랩 용기를 형성시키는 경우에, 부착된 포켓내의 스트랩 및 조임 장치의 보관 상태를 도시하는 포켓(11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가요성 랩 용기(122)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재료 층의 프로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소비자가 통상의 가정용 세탁기에서 섬세하거나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를 통상의 수성 의류 세정과 관련한 역효과 또는 현저한 손상없이, 우수한 세척능으로 세탁하는데 필요한 물질을 함유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최소한, 키트는 섬세하고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를 처리 및 세정하기 위해 특별히 제형화된 액체 세정 조성물, 헹굼 사이클 컨디셔너 및 가요성 랩 용기를 포함한다.
키트는 또한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 하나 이상의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 헹굼 사이클 컨디셔너 분배용 장치 및 다중 흡수성 얼룩 수용 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기술된 가요성 랩 용기는 오늘날 사용되는 유사한 장치에 비하여 현저한 잇점을 제공한다. 특히, 자체를 보호하고 밀봉하는 우수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의류가 빠져나와 세탁기에서 세탁되면서 손상되는 기회를 제한한다. 또한, 가요성 랩 용기의 두께는 교반기 및 세탁기의 다른 내부 부품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응력 및 마모로부터 용기 속에 넣은 의류(들)을 격리시켜 보호한다. 가요성 랩 용기는 또한 다른 장치에서는 볼 수 없는 확장가능성 및 변형성을 제공하며, 가요성 랩 용기는 경쟁관계의 장치보다 더 클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동일한 가요성 랩 용기를 서로 연결시켜 본래 용량의 2배인 가요성 랩 용기를 소비자에게 추가 경비의 부담없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연결 장치(예: 스냅)를 갖는다. 이는 본 발명의 크기 유지 잇점을 더욱 개선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의류의 얼룩진 부분 위로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을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사람 손가락에 고정되도록 한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를 제공한다.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는 상당히 유용한 도구로서, 이를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얼룩 제거제를 의류의 얼룩진 부분 위에 도포할 수 있다.
이들 별도의 성분이 함께 선택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결과는 섬세하고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를 손상됨이 없이 수성 세탁법으로 산뜻하게 세탁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키트가 제공된다. 통상의 가정용 세탁기에서 수행되는 수성 세탁법이 특히 고려된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수성 조성물"은 물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액"은 성분들의 액체 혼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액"은 단일 액체 또는 고체상 만의 존재를 의미하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균질한 용매/용질 시스템을 기술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은 의류의 국소 영역으로부터 얼룩 제거를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는 양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 양은 아주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세정"은 직물로부터 오물 및 얼룩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와 관련하여 "얼룩진 부분과의 접촉"은 당해 장치의 브러시 수단을 포함하는 부드러운 털과 얼룩진 부분면의 접촉에 의해 수득되는 접촉을 의미한다. 흡수성 얼룩 수용 패드와 관련하여 "얼룩진 부분과의 접촉"은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 반대쪽의 직물의 얼룩진 부분면이 직접 수용기에 접촉되어 이와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장치의 부품 및 이들의 사용 방법은 이후에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 및 세탁/컨디셔닝 배합 세제 조성물]
일부 세탁용 세제 조성물은 너무 독해 섬세하고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를 처리할 수 없다. 특히, 세제 성분(예: 특정 계면활성제, 효소 및 표백제)은 섬세하고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에 심각한 손상(특히, 의류 변색)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체 세정 조성물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표백제가 존재하지 않아야 하며, 세탁용 세제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효소보다 덜 독한 효소 칵테일을 포함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서 액체 세정 조성물은 변색, 마모 또는 다른 역효과를 유발하여 직물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제형화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통상의 세탁용 세제는 대개 면 및 면/폴리에스테르 혼방 직물에 양호한 세정 효과를 제공하도록 제형화되며, 또한 당해 조성물은 울, 실크, 레이온, 알파카 플리스, 미세 면류 및 상기 언급한 직물의 혼방과 같은 직물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산뜻하게 세탁할 수 있도록 제형화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퓨지티브(fugitive) 염료의 이동이 최소화되도록 특별히 선택되고 제형화되는 성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 및 세탁/컨디셔닝 배합 조성물을 둘다 모두 포함하며, 후자는 단일 조성물에 세척성-세정 잇점 및 컨디셔닝과 연화 잇점을 모두 제공한다.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을 도포기(본 명세서에 보다 상세히 기술됨)를 사용하여 의류의 얼룩진 부분의 표면에 분포시킨 다음, 임의로 의류의 얼룩진 부분을 물로 헹굴 수 있다.
이어서, 세탁/컨디셔닝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세탁기에서 물과 혼합하여 의류의 침지 세정에 적합한 세탁용 세제 수용액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이르러, 도포기, 세탁/컨디셔닝 조성물 및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을 본 명세서에 기술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이들 세제 조성물이 약하고 연하게 특별히 제형화되더라도 우수한 반점 및 얼룩 제거 성능이 수득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전술한 점들 이외에,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용이하게 분배되고, 이들이 얼룩 제거 도포기를 다루기 어렵게 하거나 사용하기 어렵게 만드는 접착성을 갖지 않도록 제형화한다. 사용되는 "활성 부가물" 물질은 최종 조성물의 의도하는 최종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은 단지 비제한적으로 이러한 활성 부가물을 기술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의 보다 많은 예는 당해 분야의 제조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제 1부: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은 본 발명의 임의 성분으로서 사용되며, 이제 논의되는 하기의 적절한 성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세척성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는 직물에 대해 잠재적으로 거친 효과를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통상,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3 내지 약 4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0 중량%의 세척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계면활성제의 비제한적 예로는 올레일 설페이트, C10-C18알킬 알콕시 설페이트("AExS"; 특히, EO 1-7 에톡시 설페이트), C10-C18알킬 알콕시 카복실레이트(특히, EO 1-5 에톡시카복실레이트)와 1급 측쇄형 및 랜덤 C10-C20알킬 설페이트("AS"), 화학식 CH3(CH2)x(CHOSO3 -M+)CH3및 CH3(CH2)y(CHOSO3 -M+)CH2CH3(여기서, x 및 (y+1)은 약 7 이상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약 9 이상의 정수이고, M은 수용성 양이온, 특히 나트륨이다)의 C10-C182급 (2,3) 알킬 설페이트, C10-C18글리세롤 에테르, C10-C18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 및 이들의 상응하는 설페이트화 폴리글리코사이드와 C12-C18알파-설폰화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불포화 설페이트가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 통상의 비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예: 소위 좁은 피크의 알킬 에톡실레이트 및 C6-C12알킬 페놀 알콕실레이트(특히, 에톡실레이트 및 혼합된 에톡시/프로폭시)를 포함하는 C12-C18알킬 에톡실레이트("AE"), C12-C18베타인 및 설포베타인("설타인"), 및 C10-C18아민 옥사이드 등]가 또한 전반적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C10-C18N-알킬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통상의 예로는 C12-C18N-메틸글루카미드가 포함된다(참조: WO 9,206,154). 다른 당 유도된 계면활성제에는 N-알콕시 폴리하이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예: C10-C18N-(3-메톡시프로필)글루카미드)가 포함된다. N-프로필 내지 N-헥실 C12-C18글루카미드가 거품 발생을 낮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10-C20통상의 비누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거품 발생을 높이기 원하면, 측쇄형 C10-C16비누가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이 특히 유용하며, 양이온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통상의 유용한 계면활성제가 표준 문헌에 제시되어 있다.
빌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세제 빌더 또는 빌더 시스템을 포함한다. 존재하는 경우에, 조성물은 통상 약 0.01 내지 약 3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8 중량%의 세제 빌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기 세제 빌더에는 이로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범위한 폴리카복실레이트 화합물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폴리카복실레이트"는 다수의 카복실레이트 그룹,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카복실레이트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폴리카복실레이트 빌더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에 산 형태로 가할 수 있지만, 중화염의 형태로도 또한 가할 수 있다. 염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에, 알칼리 금속(예: 나트륨, 칼륨 및 리튬) 또는 알칸올암모늄 염이 바람직하다.
시트레이트 빌더(예: 시트르산 및 이의 가용성 염(특히, 나트륨 염))는, 재생 가능한 공급원으로부터의 이들의 이용가능성 및 이들의 생체 분해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세제 제형에 특히 중요한 폴리카복실레이트 빌더이다.
지방산은 또한 본 발명에서 중요한 카복실레이트 빌더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지방산은 탄화수소 쇄에 약 1 내지 약 1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약 12 내지 약 1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포화 지방산은 식물 또는 동물 에스테르(예: 껍질 벗긴 야자핵 오일, 껍질 벗긴 야자유 및 코코넛 오일) 등의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수득하거나, 합성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예: 석유의 산화를 통해, 또는 피셔-트롭시 공정(Fisher-Tropsch process)을 통한 일산화탄소의 수소화에 의함].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 적절한 포화 지방산의 예로는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코코넛 및 야자핵 지방산이 포함된다. 포화 코코넛 지방산, 약 5:1 내지 1:1(바람직하게는, 약 3:1) 중량비의 라우르산 및 미리스트산의 혼합물, 상기 산과 소량(예: 전체 지방산의 10 내지 30%)의 올레산과의 혼합물, 및 껍질 벗긴 야자핵 지방산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복실레이트 빌더에는 다양한 범주의 유용한 물질이 포함된다. 폴리카복실레이트 빌더의 한 중요한 범주는 미국 특허 제3,128,287호(1964년 4월 7일자로 Berg에 허여됨) 및 미국 특허 제3,635,830호(1972년 1월 18일자로 Lamberti 등에허여됨)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옥시디석시네이트를 포함하는 에테르 폴리카복실레이트가 포함된다. 1987년 5월 5일자로 Bush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663,071호의 "TMS/TDS" 빌더를 또한 참조한다. 적절한 에테르 폴리카복실레이트에는 사이클릭 화합물, 특히 지환족 화합물,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923,679호(1975년 12월 2일자로 Rapko에 허여됨); 제4,158,635호(1979년 6월 19일자로 Crutchfield 등에 허여됨); 제4,120,874호(1978년 10월 17일자로 Crutchfield 등에 허여됨) 및 제4,102,903호(1978년 7월 25일자로 Crutchfield 등에 허여됨)에 기술된 바와 같은 화합물이 포함된다.
다른 유용한 세제 빌더에는 에테르 하이드록시폴리카복실레이트, 말레산 무수물과 에틸렌 또는 비닐 메틸 에테르와의 공중합체, 1,3,5-트리하이드록시 벤젠-2,4,6-트리설폰산 및 카복시메틸옥시석신산, 폴리아세트산의 다양한 알칼리 금속, 암모늄 및 치환된 암모늄 염(예: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및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및 폴리카복실레이트(예: 멜리트산, 석신산, 옥시디석신산, 폴리말레산, 벤젠, 1,3,5-트리카복실산, 카복시메틸옥시석신산 및 이의 가용성 염)가 포함된다.
다른 적절한 폴리카복실레이트는 미국 특허 제4,144,226호(1979년 3월 13일자로 Crutchfield 등에 허여됨) 및 제3,308,067호(1967년 3월 7일자로 Diehl에 허여됨)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Diehl의 미국 특허 제3,723,322호).
효소
효소는 단백질계, 탄수화물계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얼룩의 제거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직물 세탁을 위해 및 퓨지티브 염료 전이의 방지를 위해 본 발명의 제형중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특정 효소는 텍스타일 제품, 특히 실크 또는 울로부터 제조되는 텍스타일 제품의 표면상의 느슨해지고 닳아해진 섬유를 분해 및 절단시켜 직물 복구 잇점을 제공한다.
혼입되는 효소에는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리파제 및 만나나제 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다른 형태의 효소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들은 식물, 동물, 세균, 진균 및 효모 기원 등의 적절한 기원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선택은 pH-활성 및/또는 안정성 최적 조건, 열안정성, 활성 세제와 빌더 등에 대한 안정성과 같은 몇몇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프로테아제는 다양한 유기 물질 얼룩에 대한 이의 익히 공지된 세정 잇점 때문에 허용될 수 있는 효소이다. 셀룰라제 및 퍼옥시다제와 같은 효소는, 섬세한 의류 및 이들이 존재하지 않는 최적의 조성물에서의 이들의 잠재적으로 독한 효과로 인하여 덜 바람직하다.
효소는 통상 조성물 g 당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 ㎎ 이하, 보다 통상적으로는 약 0.01 내지 3 ㎎의 활성 효소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혼입된다. 달리 언급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 약 0.001 내지 약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의 시판중인 효소 제제를 포함한다. 프로테아제 효소는 대개 조성물 g 당 0.005 내지 0.1 안손 단위(AU: Anson unit)의 활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시판중인 제제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효소의 예는 함께 계류중인 Boutique 등의 가출원[발명의 명칭: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ImprovedHydrotropes", P&G Case 제7694P2호, 1999년 8월 23일자로 출원된 특허원 제60/150,233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효소 안정화 시스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0.001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05 내지 약 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6 중량%의 효소 안정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효소 안정화 시스템은 세척성 효소와 혼화성인 안정화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른 제형 활성제에 의해 본래 제공되거나, 별도로, 예를 들면, 세제 준비 효소(detergent-ready enzyme)의 제조업자 또는 조제업자에 의해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정화 시스템은, 예를 들면, 칼슘 이온, 붕산, 프로필렌 글리콜, 단쇄 카복실산, 보론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제 조성물의 형태 및 물리적 형태에 따른 상이한 안정화 문제를 해결하도록 고안된다.
한가지 가능한 안정화 방법은 보레이트 그룹을 사용하는 것이다(참조: Severson, 미국 특허 제4,537,706호). 보레이트 안정화제는, 사용되는 경우에 조성물의 10 중량% 이하 또는 그 이상의 수준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보다 통상적으로는 약 3 중량% 이하의 붕산 또는 다른 보레이트 화합물(예: 보락 또는 오르토보레이트)이 액체 세제용으로 적합하다. 치환된 붕산(예: 페닐보론산, 부탄보론산, p-브로모페닐보론산 등)이 붕산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치환된 붕소 유도체를 사용함으로써, 세제 조성물중 전체 붕소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특정 세정 조성물의 안정화 시스템은, 많은 물 공급원에 존재하는 염소 표백제 그룹이 특히, 알칼리성 조건하에 효소를 공격하고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염소 표백제 스캐빈저를 0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물중 염소 수준은 통상 약 0.5 내지 약 1.75 ppm의 범위로 작을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직물 세탁중에 효소와 접하는 전체 물 용적중 유효 염소량은 비교적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시 염소에 대한 효소 안정성이 종종 문제가 된다. 적절한 염소 스캐빈저 음이온은 광범위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고, 사용되는 경우에, 설파이트, 비설파이트, 티오설파이트, 티오설페이트, 요오다이드 등과 암모늄 양이온을 함유하는 염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산화 방지제(예: 카바메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등), 유기 아민[예: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또는 이의 알칼리 금속염, 모노에탄올아민(MEA)]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 1982년 3월 9일자로 레톤(Letton)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318,818호에 기술된 수용성 포르메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포르메이트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5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2%,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4 내지 약 1.5%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첨가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세제 성분은 함께 계류중인 1992년 1월 31일자로 출원된 유럽 특허원 제92870018.6호에 기술된 효소 산화 스캐빈저인 효소 안정화제이다. 이러한 효소 산화 스캐빈저의 예로는 에톡시화 테트라에틸렌 폴리아민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효소 안정화 및 염소 스캐빈징에 적합한 다른 화합물 및 기술은 함께 계류중인 Curry 등의 가출원[발명의 명칭: "Methods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P&G Case 제7315P2호, 1999년 10월 1일자로 출원된 특허원 제 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미립 오물 제거제/재침착 방지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미립 오물 제거 및 재침착 방지 특성을 갖는 수용성 에톡시화 아민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액체 세제 조성물은 통상 약 0.01% 내지 약 5%를 함유한다.
가장 바람직한 방오제 및 재침착 방지제는 에톡시화 테트라에틸렌-펜타민("TEPA")이다. 평균적으로,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은 각각의 수소 부위에서 15 내지 18 mole의 에틸렌 옥사이드에 의해 에톡실화된다. 에톡실화 아민의 예가 미국 특허 제4,597,898호(1986년 7월 1일자로 VanderMeer에 허여됨)에 또한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한 미립 오물 제거-재침착 방지제의 또다른 그룹은 유럽 특허원 제111,965호(Oh 및 Gosselink, 1984년 6월 27일자로 공개됨)에 기술된 양이온성 화합물이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미립 오물 제거제/재침착 방지제에는 유럽 특허원 제111,984호(1984년 6월 27일자로 공개됨, Gosselink)에 기술된 에톡실화 아민 중합체; 유럽 특허원 제112,592호(1984년 7월 4일자로 공개됨, Gosselink)에 기술된 양쪽 이온성 중합체, 및 미국 특허 제4,548,744호(1985년 10월 22일자로 Connor에 허여됨)에 기술된 아민 옥사이드가 포함된다.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른 미립 오물 제거제 및/또는 재침착 방지제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재침착 방지제의 또다른 유형으로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즈(CMC) 물질이 포함된다. 이들 물질은 당해 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염료 전이 억제제
본 발명의 중요한 부분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수성 세정법에 따라 세정된 섬세한 의류 및 직물에 대한 색상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세정 공정 도중 하나의 직물로부터 다른 직물로 염료가 전이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료 전이 억제제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중합체, 폴리아민 N-옥사이드 중합체, N-비닐피롤리돈과 N-비닐이미다졸의 공중합체, 망간 프탈로시아닌, 퍼옥시다제,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이들 제제가 사용되는 경우에 통상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2 중량%로 포함된다.
보다 상세히, 본 명세서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폴리아민 N-옥사이드 중합체는 화학식 R-Ax-P의 단위[여기서, P는 N-O 그룹이 결합되거나, N-O 그룹이 중합성 단위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N-O 그룹이 두 단위에 모두 결합될 수 있는 중합성 단위이며; A는 화학식 -NC(O)-, -C(O)O-, -S-, -O- 및 -N= 중의 하나이고; x는 0 또는 1이며; R은 N-O 그룹의 질소가 결합되거나 N-O 그룹이 일부를 이루는 지방족, 에톡시화 지방족,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지환족 그룹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이다]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폴리아민 N-옥사이드는 R이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예: 피리딘, 피롤, 이미다졸, 피롤리딘, 피페리딘 및 이의 유도체)인 것이다.
N-O 그룹은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상기 식에서,
R1, R2및 R3은 지방족,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지환족 그룹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이며;
x, y 및 z는 0 또는 1이다.
또한, N-O 그룹의 질소가 결합되거나, 상기 언급한 그룹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폴리아민 N-옥사이드의 아민 옥사이드 단위는 pKa < 10, 바람직하게는 pKa < 7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pKa < 6이다.
염료 전이 억제제의 한 예는 "PVNO"로서 칭할 수 있는 폴리(4-비닐피리딘-N-옥사이드)이다. N-비닐피롤리돈과 N-비닐이미다졸 중합체의 공중합체(그룹을 "PVPVI"로 칭함)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이 또한 적합하다.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759,208호(1998년 6월 2일자로 Zhen 등에 허여됨)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된다.
부가적 색상 보호제
염료 전이 억제제 이외에, 본 발명은 또한 색상 보호 잇점을 제공하는 부가적 제제: 하기 화학식의 30 폴리에틸렌이민, PEI 600 E20을 포함한다:
상기 식에서,
B는 폴리에틸렌이민 주쇄의 측쇄화에 의한 쇄 구조의 연속을 의미하고,
E는 화학식 -(CH2CH2O)mH의 에틸렌옥시 단위이며,
m은 약 20의 평균값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값이 20이라는 의미는 충분한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다른 적절한 제제가 폴리에틸렌이민 출발 물질과 반응하여 각각 N-H 단위를 20개 에톡실화할 정도로 완전히 에톡실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일부 N-H 단위 수소 원자가 20개 미만의 에톡시 단위로 대체되고, 일부는 20개 이상의 에톡시 단위로 대체됨으로써, 에톡실화수의 평균이 20이 됨을 알 수 있다.
폴리알킬렌이민 주쇄를 형성하는 단위에는 제1 주쇄 및 특정 측쇄를 종결짓는 화학식 H2N-CH2CH2]- 및 -NH2의 1급 아민 단위, 개질후 수소 원자가 평균 20개의 에틸렌옥시 단위로 치환되는 화학식의 2급 아민 단위, 및 제1 주쇄와제2 주쇄의 측쇄화 지점인 화학식(여기서, B는 측쇄화에 의한 쇄 구조의 연속을 나타낸다)의 3급 아민 단위가 있다. 3급 단위는 치환 가능한 수소 원자가 없으므로, 에틸렌옥시 단위에 의한 치환에 의해 개질되지 않는다. 폴리아민 주쇄의 형성중에, 폐환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소정량의 사이클릭 폴리아민은 모(母) 폴리알킬렌이민 주쇄 혼합물에 존재할 수 있다. 사이클릭 알킬렌이민의 1급 및 2급 아민 단위는 각각 선형 및 측쇄형 폴리알킬렌이민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킬렌옥시 단위의 첨가에 의해 개질된다.
지수 w, x 및 y는 폴리에틸렌이민 주쇄의 평균 분자량이 개질 전에 약 600 dalton이 되도록 하는 값이다. 또한,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각각의 측쇄가 1급 아민 단위에서 종결되어야 하므로 지수 w의 값은 사이클릭 아민 주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y+1임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에틸렌 주쇄 단위, -NCH2CH2-에 대한 평균 분자량은 약 43 dalton이다.
본 발명의 폴리아민은, 예를 들면, 촉매(예: 이산화탄소, 중아황산나트륨, 황산, 과산화수소, 염산, 아세트산 등)의 존재하에 에틸렌이민을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폴리아민 주쇄를 제조하는 특정 방법이 미국 특허 제2,182,306호(1939년 12월 5일자로 Ulrich 등에 허여됨), 미국 특허 제3,033,746호(1962년 5월 8일자로 Mayle 등에 허여됨), 미국 특허 제2,208,095호(1940년 7월 16일자로 Esselmann 등에 허여됨), 미국 특허 제2,806,839호(1957년 9월 17일자로Crowther에 허여됨) 및 미국 특허 제2,553,696호(1951년 5월 21일자로 Wilson에 허여됨)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거품 억제제
거품 형성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는 화합물을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혼입시킬 수 있다. 거품 억제제는 미국 특허 제4,489,455호 및 제4,489,574호에 기술된 소위 "고농축 세정법" 및 전면 적재 유럽형 세탁기에서 특히 중요할 수 있다.
광범위한 물질이 거품 억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거품 억제제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익히 공지되어 있다[참조예: Kirk 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Third Edition, Volume 7, pages 430-447(John Wiley & Sons, Inc., 1979). 특히 관심있는 거품 억제제의 한 범주는 본 명세서의 모노카복실 지방산 및 가용성 염을 포함한다(참조: Wayne St. John에 1960년 9월 27일자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2,954,347호). 거품 억제제로서 통상 사용되는 모노카복실 지방산 및 이의 염은 하이드로카빌 쇄의 탄소수가 10 내지 약 24개이고,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개이다. 적절한 염에는 알칼리 금속 염(예: 나트륨, 칼륨 및 리튬 염)과 암모늄 및 알칸올암모늄 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또한 비계면활성제 거품 억제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의 예로는, 고분자량 탄화수소, 예를 들면, 파라핀, 지방산 에스테르(예: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1가 알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C18-C40케톤(예: 스테아론) 등이 포함된다. 다른 거품 억제제로는 N-알킬화 아미노 트리아진(예: 트리- 내지 헥사알킬멜라민 또는 디- 내지 테트라알킬디아민 클로르트리아진), 및 모노스테아릴 포스페이트[예: 모노스테아릴 알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모노스테아릴 디알칼리 금속(예: K, Na 및 Li) 포스페이트와 포스페이트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탄화수소(예: 파라핀 및 할로파라핀)는 액체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액체 탄화수소는 실온 및 대기압에서 액체이며, 유동점(pour point)은 약 -15 내지 약 50 ℃의 범위이고, 최소 비점은 약 110 ℃ 이상(대기압)이다.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약 100 ℃ 미만인 왁스성 탄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탄화수소는 세제 조성물용 거품 억제제의 바람직한 범주를 구성한다. 탄화수소 거품 억제제는, 예를 들면, 1981년 5월 5일자로 Gandolfo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265,779호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탄화수소에는 탄소수가 약 12 내지 약 70인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및 헤테로사이클릭의 포화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가 포함된다. 이러한 거품 억제제 논의에 사용된 용어 "파라핀"은 순수 파라핀 및 사이클릭 탄화수소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계면활성제 거품 억제제의 또 다른 바람직한 범주는 실리콘 거품 억제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범주에는 폴리오가노실옥산 오일(예: 폴리디메틸실옥산), 폴리오가노실옥산 오일 또는 수지의 분산액 또는 에멀젼, 및 폴리오가노실옥산과 실리카 입자와의 배합물(여기서, 폴리오가노실옥산은 실리카상에 화학적흡착되거나 융합된다)의 사용이 포함된다. 실리콘 거품 억제제는 당해 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265,779호(1981년 5월 5일자로 Gandolfo 등에허여됨) 및 유럽 특허원 제89307851.9호(M. S. Starch에 의해 출원되고, 1990년 2월 7일자로 공개됨)에 기술되어 있다.
부가적 거품 억제제는 본 출원에서 후술되는 실리콘 연화제에 관한 섹션 및 앞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579,208호(1998년 6월 2일자로 Zhen 등에 허여됨)에 기술된 실리콘 거품 억제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다른 임의 성분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이드로트로프, 항균제, 부가적 효소 안정화제 및 향료가 포함된다. 수축 방지제, 주름 방지제, 직물 크리스핑제 및 다른 직물 색상 보호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기술된 조성물의 pH는 5 내지 9이다.
제 2부: 세탁/컨디셔닝 배합 조성물
본 발명은 또한 드라이 클리닝전용인 의류에 대한 세제 및 세정 잇점 뿐만 아니라, 세탁을 통한 연화 및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는 세탁/컨디셔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는 소비자에게 전체 공정의 편리함을 상당히 증진시키는데, 이는 컨디셔닝제가 세탁 사이클의 초기에 첨가되어, 후속되는 헹굼 사이클중에 첨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정 잇점 이외에, 세탁/컨디셔닝 배합 용액은 색상 선명도의 개선, 내마모성의 개선 및 과도한 주름 방지 등의 수많은 중요한 잇점을 제공한다. 또한, 직물 연화제는 수성 세탁용 세제로 세탁한 후에 거친 촉감을가질 수 있는 실크와 같은 의류의 직물 연화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탁/컨디셔닝 배합 조성물에 있어 특히 중요한 것은 수축 방지제, 주름 방지제, 직물 크리스핑제 및 다른 직물 색상 보호제로서 작용하는 부가제이다.
세탁/컨디셔닝 조성물을 위한 다수의 성분이 상기의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에 관한 섹션에서 기술되었으므로, 여기서는 다시 중복하지 않는다. 이러한 성분들 이외에, 세탁/컨디셔닝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다음의 임의 및 필수 성분이 숙련된 제조업자에 의해 선택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또 다른 성분은 미국 특허 제5,460,736호(1995년 10월 24일자로 Trinh 등에 허여됨); 미국 특허 제5,545,350호(1996년 8월 13일자로 Baker 등에 허여됨) 및 미국 특허 제5,562,849호(1996년 10월 8일자로 Wahl 등에 허여됨)에 또한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세탁/컨디셔닝 배합 조성물은 약 1 내지 약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5 중량%의 하기 화학식의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C1-C4알킬, C1-C4하이드록시알킬, 벤질 및 -(C2H4O)xH(여기서, x는 약 2 내지 약 5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음이온이며,
R3및 R4는 각각 C6-C14알킬이거나, R3은 C6-C18알킬이고, R4는 C1-C10알킬, C1-C10하이드록시알킬, 벤질 및 -(C2H4O)xH(여기서, x는 2 내지 5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메틸설페이트 염이다. 바람직한 모노-장쇄 알킬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R1, R2및 R4가 각각 메틸이고, R3은 C8- C16알킬이거나, R3은 C8-18알킬이고, R1, R2및 R4는 메틸 및 하이드록시알킬 잔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이 있다. 라우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미리스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팔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코코넛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코코넛 트리메틸암모늄 메틸설페이트, 코코넛 디메틸-모노하이드록시-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코코넛 디메틸-모노하이드록시에틸암모늄 메틸설페이트, 스테리알 디메틸-모노하이드록시-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스테리알 디메틸-모노하이드록시에틸암모늄 메틸설페이트, 디-C12-C14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음이온 계면활성제 대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의 비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는 모두 본 발명의 필수 성분이다. 이들이 특정 중량비로 함께 존재하는 경우에, 이들은 조성물내에서 혼합된 미셀(micellar) 시스템을 형성하므로, 세탁/컨디셔닝 조성물은 실리콘 연화제 에멀젼 및 다른 중합체를 현탁시키기에 충분히 점성이면서, 동시에 당해 조성물은 이들이 담겨진 세제 병으로부터 이들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부을 수 없을 정도로 너무 점성이고 농후하지 않다.
상 안정성/현탁액 잇점과 생성물 점도의 최적 균형을 성취하기 위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 대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약 2:1 내지 약 3;1, 바람직하게는 약 2.2:1 내지 약 2.8:1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특허 제5,759,208호는 또한 음이온 및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의 배합물을 기술하지만, 음이온 대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의 비(5:1 이상)는 본 발명에 사용된 비보다 상당히 높다.
효소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효소는 단백질계, 탄수화물계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얼룩을 포함하는 각종 얼룩의 세정 및 제거를 증진시킨다. 본 발명의 세탁/컨디셔닝 배합 조성물에 있어서, 특정 효소는 텍스타일 제품, 특히 실크 또는 울로부터 제조된 텍스타일 제품의 표면상의 느슨해지고 닳아해진 섬유를 분해 및 절단함으로써 직물 복구 잇점을 제공한다. 만나나제 효소 및 아밀라제 효소는 이들의 얼룩 제거 잇점 때문에 세탁/세정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바와 같이, 셀룰라제 및 퍼옥시다제 등의 효소는 덜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아밀라제 효소는, Phadebasa α-아밀라제 활성 검정에 의해 측정된 비활성이 25 내지 55 ℃의 온도 및 8 내지 10 범위의 pH 값에서 Termamyla의 비활성보다 25% 이상 더 높은 a-아밀라제로서 명시될 수 있는 NATALASER이다.
실리콘 연화제 및 이의 에멀젼
본 발명은 또한 대부분의 유형의 직물에 훨씬 더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고, 주름 형성량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각종 실리콘 오일(바람직하게는, 에멀젼 형태로 제조됨)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연화제는 에멀젼의 형태로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실리콘 연화제로는 하기 화학식의 폴리알킬 또는 폴리아릴 실옥산이 포함된다.
상기 식에서,
R은 지방족, 바람직하게는 알킬 또는 알케닐, 또는 아릴이고, 또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으며,
x는 1 내지 약 8,000의 정수이다.
적절한 치환되지 않은 R 그룹으로는 알콕시, 아릴옥시, 아릴알킬, 아릴알케닐, 알킬아민, 및 에테르-치환되고, 하이드록시-치환되고, 할로겐-치환된 지방족 및 아릴 그룹이 포함된다. 적절한 R 그룹으로는 양이온성 아민 및 4급 암모늄 그룹이 또한 포함한다.
실옥산 쇄에 치환된 지방족 또는 아릴 그룹은 생성된 실리콘이 실온에서 유체로서 유지되는 한 어떠한 구조도 가질 수 있고, 소수성이며, 텍스타일 제품에 적용시키는 경우 손상을 주거나 다른 유해함이 없고, 세제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혼화성이며, 통상의 사용 및 보관 조건하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본 발명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텍스타일 제품에 침착되고 이를 컨디셔닝시킬 수 있다.
각각의 단량체성 실리콘 단위의 규소 원자에 대한 2개의 R 그룹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R 그룹은 동일한 그룹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알킬 및 알케닐 치환체는 C1-C5알킬 및 알케닐,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4알킬 및 알케닐, 가장 바람직하게는 C1-C2알킬 및 알케닐이다. 다른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함유 그룹(예: 알콕시, 아릴알킬 및 알킬아미노)의 지방족 부분은 직쇄 또는 측쇄형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 내지 4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 내지 3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 내지 2이다.
다른 적절한 R 그룹에는 메틸, 에틸, 프로필, 페닐, 메틸페닐 및 페닐메틸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리콘은 폴리디메틸실옥산, 폴리디에틸실옥산 및 폴리메틸페닐실옥산이다. 폴리디메틸실옥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적절한 R 그룹에는 메틸, 메톡시, 에톡시, 페닐에톡시, 프로폭시 및 아릴옥시가 포함된다. 실리콘 말단 캡의 3개의 R 그룹은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한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리콘에는 특히 주름 감소에 효과적인 비이온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개질된 폴리디메틸실옥산이 포함된다. 이러한 실리콘 유체는 상표명 SILWETR.SILWETRL77(제조원: OSI Specialties Company)로 시판중이며, 이는 84%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개질된 헵타메틸트리실옥산 및 16%의 알릴옥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의 혼합물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실리콘 오일의 다른 논의 및 예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874,073호(1999년 2월 23일자로 Kaiser 등에 허여됨)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실리콘 컨디셔닝제를 유화시키는데 효과적인 농도로 유화제를 혼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유화제"는 현탁제를 포함함). 유화제 및 현탁제는 모두 앞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874,073호 및 제5,759,208호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된다. 에멀젼을 형성하기 위하여 실리콘 유체에 가하는, 미국 특허 제5,759,208호에 기술된 유화성 계면활성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 올리고머 또는 공중합체 물질
본 발명의 세탁/컨디셔닝 배합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 올리고머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은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 올리고머 또는 공중합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셀룰로즈계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 직물 처리 물질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수성 세탁액에서 세탁된 직물 및 텍스타일에 수많은 외관상 잇점을 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직물 외관 잇점에는, 예를 들면, 세탁된 직물의 전반적인 외관의 개선, 필(pill) 및 보풀 형성의 감소, 탈색에 대한 보호 및 내마모성의 개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사이클릭 아민계 직물 처리 물질은 이러한 물질이 혼입된 세탁용 세제 조성물에 의해 수반되는 세정능에 있어서 허용되는 다소의 손실과 함께, 상기와 같은 직물의 외관상 잇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 올리고머 또는 공중합체 성분은 이들 사이클릭 아민계 물질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페리딘 및 에피할로히드린 축합물의 혼합물을 모르폴린 및 에피할로히드린 축합물의 혼합물과 배합하여 원하는 직물 처리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더욱이, 사이클릭 아민계 직물 처리 물질의 분자량은 하기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혼합물 내에서 변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올리고머는 단지 소수의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분자인 반면에, 중합체는 보다 많은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올리고머는 평균 분자량이 약 1,000 미만인 분자로서 정의되며, 중합체는 평균 분자량이 약 1,000 이상인 분자이다. 공중합체는 둘 이상의상이한 단량체가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중합된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1급 사이클릭 아민계 단량체(예: 피페리딘) 및 2급 사이클릭 아민 단량체(예: 모르폴린)의 혼합물로부터 중합된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중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 올리고머 또는 공중합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셀룰로즈계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의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세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5%로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 올리고머 또는 공중합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셀룰로즈 계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의 혼합물을 세제 조성물의 약 0.1 내지 약 4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75 내지 약 3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세탁액 부가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즉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 올리고머 또는 공중합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셀룰로즈계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의 혼합물이 세제 조성물로 혼입되지 않은 경우,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 올리고머 또는 공중합체, 및 소수성으로 개질된 셀룰로즈계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의 혼합물의 농도는 약 0.1 내지 약 80 중량%의 부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 작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목적하는 직물 외관 및 완전성의 잇점을 제공하는 바람직한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 올리고머 또는 공중합체 물질은, 함께 계류중인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 Panandiker 등의 가출원[발명의 명칭: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With A Combination Of Cyclic Amine Based Polymers And Hydrophobically Modified Carboxy Methyl Cellulose"; P&G Case제7292P2호, 1999년 8월 10일자로 출원된 특허원 제60/148,053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중합체성 방오제
방오제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되는 경우에, 이들은 일반적으로 세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10.0%, 통상 약 0.1 내지 약 5%,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약 3.0%로 포함된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중합체성 방오제가 임의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중합체성 방오제는, 소수성 섬유(예: 폴리에스테르 및 이의 혼방)의 표면을 친수성화시키기 위한 친수성 단편, 및 소수성 섬유에 침착되어 세탁 및 헹굼 사이클의 종료 후에도 이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친수성 단편에 대한 앵커로서 작용하는 소수성 단편을 모두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방오제에 의한 처리후 존재하는 얼룩이 이후의 세탁 과정에서 보다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특히 유용한 중합체성 방오제에는,
(i) (a) 중합도가 2 이상인 폴리옥시에틸렌 단편, (ii) 중합도가 2 내지 10인 옥시프로필렌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단편(여기서, 친수성 단편은 에테르 결합에 의해 각 말단에 인접한 잔기에 결합되지 않으면 옥시프로필렌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및 (iii) 옥시에틸렌 및 1 내지 약 30개의 옥시프로필렌 단위를 포함하는 옥시알킬렌 단위의 혼합물(여기서, 혼합물은, 친수성 성분이 표면에 방오제의 침착시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합성 섬유 표면의 친수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히 큰 친수성을 갖도록 하는 충분한 양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함유하며, 친수성 단편은 바람직하게는 약 25% 이상의 옥시에틸렌 단위,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당해 성분이 특히 약 20 내지 30개의 옥시프로필렌 단위를 갖는 경우, 약 50% 이상의 옥시에틸렌 단위를 포함한다)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친수성 성분; 또는
(b) (i) C3옥시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단편(여기서, 소수성 성분이 또한 옥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다면, 옥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C3옥시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의 비는 약 2:1 또는 그 이하이다), (ii) C4-C6알킬렌 또는 옥시 C4-C6알킬렌 단편, 또는 이들의 혼합물, (iii) 중합도가 2 이상인 폴리(비닐 에스테르) 단편,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iv) C1-C4알킬 에테르 또는 C4하이드록시알킬 에테르 치환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여기서, 치환체는 C1-C4알킬 에테르 또는 C4하이드록시알킬 에테르 셀룰로즈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러한 셀룰로즈 유도체는 양쪽성으로써, 이들은 충분한 수준의 C1-C4알킬 에테르 및/또는 C4하이드록시알킬 에테르 단위를 갖고,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합성 섬유 표면에 침착되어 충분한 수준의 하이드록시를 유지하며, 이러한 통상의 합성 섬유 표면에 부착되면, 섬유 표면 친수성이 증가하게 된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소수성 성분; 또는 (a)와 (b)의 배합물을 갖는 방오제가 포함된다.
다른 적합한 중합체성 방오제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 1995년 5월 16일자로 Gosselink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5,415,807호에 기술되어 있다.
직물 보호 성분의 배합물
이들은 별도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올리고머/공중합체 물질과 염료 전이 억제제[예: 폴리비닐 피롤리돈 중합체, 폴리아민 N-옥사이드 중합체, N-비닐피롤리돈과 N-비닐이미다졸의 공중합체, 망간 프탈로시아닌 및 퍼옥시다제(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에 관한 섹션에서 전술함)]와 함께 사용되어 특히, 혼합된 색상 로드(load)하에 있는(즉, 밝고 어두운 색상인 직물의 혼합) 의류 사이에 최적의 염료 전이 억제를 제공한다.
[가요성 랩 용기]
세탁기에서 교반기의 작용으로 인해, 섬세한 직물이 심하게 손상될 수 있는 충분한 마모 및 응력에 노출되는 것으로 오랫동안 공지되어 왔다. 그 결과, 마모 및 응력으로부터 이들 의류를 보호하기위하여 세탁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루(bag)가 개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여러가지 이유로 불만족스러움이 입증되었다. 먼저, 이들은 일반적으로 너무 작아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작은 의류만을 수용할 수 있으며, 심지어 의류를 뭉치게 할 수 있고, 주름 및 형태 손실을 악화시킬 수 있다. 둘째로, 대부분의 이들 자루가 신뢰할 수 있는 밀봉 수단을 갖지 못하므로, 자루가 종종 세탁 도중에 열리게 되고, 의류는 자루가 제공하리라 예상되는 보호를 받지 못함으로써, 의류의 마멸 및 마모가 증가될 수 있다.세째로, 이들 자루는 종종 세탁액과 의류를 접촉시켜 세정 잇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격자형 망상으로 구성된 외부 쉘을 갖지만, 이러한 격자형 패턴은 또한 수용된 의류에 동일한 격자 자국을 남길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실제로 다림질로 펼 수 없다. 네째로, 이들 자루는 일반적으로 너무 얇기 때문에, 섬세한 의류가 세탁용 세탁기에서 겪게 되는 마모 및 응력으로부터 충분한 완충 작용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들 문제점을 많이 보완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바람직한 가요성 랩 용기("랩")가 도 1, 도 1A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랩(122)은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패널(100)을 포함한다. 패널(100)의 칫수는 너비가 약 31 내지 약 91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1 내지 약 81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1 내지 약 71 ㎝이고, 길이는 약 55 내지 약 117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66 내지 약 107 ㎝,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6 내지 약 97 ㎝가 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직사각형 양태에서, 패널의 상단 가장자리(102)로부터 패널의 하단 가장자리(101)까지의 거리는 패널의 우측 가장자리(103)로부터 패널의 좌측 가장자리(104) 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랩은 또한 패널의 상단 가장자리(102) 부근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스트랩(108)을 포함한다. 각 스트랩의 한 말단에 스트랩에서 이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각 스트랩(108)에 고정되어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제1 조임 장치(109)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조임 장치(106)는 스트랩에서 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조임 장치를 통하여 스트랩을 통과시켜 각 스트랩에 부착된다. 제1 및 제2 조임 장치는 가요성 랩 용기가 사용 도중 로울형 모양을 유지하도록 상호조절한다(참조예: 도 7). 또한, 두 개의 포켓(110)이 도 1, 도 1A,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방법으로 패널의 상단 가장자리 부근에 부착된다. 랩 용기는 이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앞서 인용된 함께 계류중인 Curry 등의 가출원[발명의 명칭: "Methods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P&G Case 제7315P2호]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된다.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
필수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는, 의류의 얼룩 부위에 유효량의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을 도포시키는 동시에, 얼룩 제거를 돕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기계적 작용을 제공할 수 있는 비마모성 도구일 수 있다. 따라서, 사람 손가락과 같이 단순한 물체는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포기로서의 바람직한 양태는 앞서 인용된 함께 계류중인 Curry 등의 가출원[발명의 명칭: "Methods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P&G Case 제7315P2호]에서 논의된다.
[흡수성 얼룩 수용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수성 얼룩 수용체에는 액체 조성물을 흡입하는 흡수성 물질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작동 형태에 있어서, 얼룩 수용체는 특히 얼룩 부위로부터 액체 조성물을 "위크(wick)" 또는 "배출"시키도록 고안된다. 흡수성 얼룩 수용체는 반드시 백색이거나 날염되지 않음으로써 수용체로부터 의류로 염료가 전이되는 것을 방지한다. 백색이거나 날염되지 않은 일회용 종이 타월(예: BOUNTYTM브랜드 타월), 세정 랙(clean rag)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수용체는 부직 패드로 이루어진다. 흡수성 얼룩 수용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물질은 앞서 인용된 함께 계류중인 Curry 등의 가출원[발명의 명칭: "Methods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P&G Case 제7315P2호]에 기술되어 있다.
[방법 양태]
본 발명의 장치, 조성물 및 공정의 사용은 이후에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이러한 기술은 예시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필요하거나 필수적이 아닐지라도, 의류의 얼룩 부위로부터 얼룩을 제거하는 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예비처리 과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비처리 과정은 예비처리 조성물을 얼룩 부위에 가한 다음, 의류의 얼룩 부위 상으로 예비처리 조성물을 분포시키기 위해,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로 부드럽게 브러싱하여 예비처리 조성물을 얼룩 부위 위에 분포 및 도말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어서, 예비처리 조성물을 얼룩 부위로부터 물로 헹군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예비처리 공정은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공정의 변형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수행할 수 있다.
1. 테이블 윗면 등과 같은 적당한 표면 위에서, 의류의 얼룩 부위를 FAM 흡수 패드 또는 종이 타월(바람직하게는, 염료가 타월로부터 의류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백색이거나 날염되지 않은 부직 패드)과 같은 흡수성 얼룩 수용체 또는 본 발명에서 기술된 다른 얼룩 수용체와 접하도록 놓는다.
2.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로 부드럽게 브러싱하여 예비처리 조성물을 얼룩 부위상에 도말시켜 그 주변의 부위는 포화시키지 않으면서 국소 얼룩 부위를 포화시킨 다음, 가능한 한 완전히 얼룩이 제거되도록 한다.
3. 임의로, 조성물을 얼룩에 약 1 내지 3분 동안 침투시킨다.
4. 임의로, 보다 많은 예비처리 조성물을 얼룩 부위에 도포한다.
5. 임의로, 예비처리한 얼룩 부위를 찬 수돗물로 헹군다.
6. 이러한 예비처리 공정에 이어서, 하기 기술되는 전반적인 세정 공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예비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의류의 전직물 표면 부위에 대한 전반적인 공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i) 임의로, 의류의 얼룩 부위에서 상기 기술의 단계 1 내지 6에 따르는 예비처리 공정을 수행한다.
(ii) 본 발명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세탁 용구 속에 단계 (i)에서 예비처리한 의류를 넣고, 세탁기에서 세탁 도중 개방되지 않도록 세탁 용구를 유지시칸다.
(iii) 세탁기 속에 측정량의 세탁/컨디셔닝 배합 조성물과 함께 세탁 용구를 넣는다.
(iv) 세탁기를 이의 가장 부드러운 교반 사이클로 작동시키면서, 약 6분 이상 동안, 통상 약 4분 내지 약 12분 동안 세탁 및 헹굼 사이클에 모두 냉수를 사용한다.
(v) 세탁기에서 세정된 의류를 수용한 가요성 랩 용기를 꺼내고, 가요성 랩 용기로부터 의류(들)을 꺼내어, 이들을 공기 건조시키거나, 실크 의류의 경우 먼저 이들을 공기-플러프(air-fluff)(열 없음)로 셋팅된 의류 건조기에 넣거나, 레이온 및 레이온 혼방으로부터 제조된 의류의 경우에는 가능한 최저 건조기 열 셋팅에 놓는다. 중량이 무거운 의류는 건조기에서 8 내지 10분 동안 유지시키지만, 가벼운 의류는 4 내지 6분 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의류를 꺼내고 공기 건조시킨다. 울 의류는 의류 건조기에 넣어서는 안된다.
단계 (ii)에 있어서, 주름지기 쉬운 직물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탁 용구에 너무 많이 넣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계 (iii)에서, 세탁기는 실질적으로 수평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에 배치된 교반기를 가질 수 있다. 통상, 세탁액중 활성 성분의 농도가 약 300 내지 2500 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00 내지 약 2000 pp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1600 ppm이 되도록 하는 양의 세탁/컨디셔닝 액상 조성물을 가한다. 단계 (iv)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직물의 오물 정도 및 형태, 오물의 특성, 직물의 특성 및 직물 하중 등에 따라 보다 오래 또는 보다 짧은 기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I
(1) 예비처리 공정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 및 (2) 세탁 사이클중에 첨가되는 세탁/컨디셔닝 조성물의 예이다. 조성물은 상세한 제형화 후에 기술된 방식으로 사용한다.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
성분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0
N-코코일 N-메틸 글루카민 1.60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16.00
아민 공계면활성제 0.40
시트르산 2.50
지방산(12-16) 2.00
에탄올 2.59
모노에탄올 아민 0.75
나트륨 포르메이트 0.062
프로판디올 5.08
톨루엔 설포네이트 0.36
보락스 프리믹스 2.50
수산화나트륨 2.62
직물 보호제 2.70
효소 0.15
나머지 성분들 61.67
(물, 소포제, 향료, 색상 안정화제)
세탁/컨디셔닝 조성물
성분 중량%
음이온성 계면활성제114.40
비이온성 계면활성제24.00
라우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5.33
시트르산 0.70
에탄올 2.10
모노에탄올 아민 0.75
나트륨 포르메이트 0.06
프로판디올 3.67
톨루엔 설포네이트 0.36
보락스 프리믹스 2.50
NaOH 0.1
에톡실화 테트라에틸렌 펜타민 0.90
PVNO 0.37
사이클릭 중합체30.55
효소 0.50
실리콘 연화제45.00
향료, 염료 및 기타 미량 성분 0.50
물 잔량
1: 평균 1.8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C12-15 알킬 에톡시 설포네이트
2: Neodol 45-7
3: 이미다졸-epi(1:4.1의 비로 이미다졸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축합에 의해 생성된 축합 올리고머). 조성물은 약 94%의 올리고머 및 6%의 유리 이미다졸이다.
4: 실리콘 연화제는 평균 3개의 에톡시 그룹을 함유하는 디메티콘 및 암모늄 알킬 설포네이트의 혼합물이거나, 84%의 폴리알킬렌옥사이드-개질된 헵타메틸트리실옥산("활성" 성분) 및 16%의 알릴옥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의 혼합물인 SILWETRL77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실리콘 연화제는 에멀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
산뜻하게 세탁할 하나 이상의 의류를 선택한다. 잉크, 립스틱, 샐러드 드레싱, 콜라 오물 및 다른 유사한 공급원에 의한 의류상에 생긴 얼룩을 확인하고 예비처리를 선택한다. 예비처리를 위하여, 의류의 국소 얼룩 부위를 종이 타월 위에 놓고, 약 0.5 내지 5 mls(얼룩의 크기에 따라 달라짐)의 실시예 I의 세탁 예비처리 제품을 직접 적용시켜 처리하며,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를 사용하여 의류에 부드럽게 가한다. 그 다음에, 과량의 액상 제품은 흐르는 찬 수돗물로 얼룩을 씻어낸다.
단계 2
가요성 랩 용기를 테이블 또는 의류 건조기 등의 평면 위에 평평하게 놓는다. 재킷 등의 첫번째 의류를 랩 위에 놓는다. 의류의 소매 및 다른 연장 부분은 경우에 따라, 접어 주고, 랩의 주변 바깥으로 의류가 나오지 않도록 놓는다. 첫번째 의류를 랩 위에 놓은 후, 랩의 플랩을 의류 위로 접어 의류 전체가 랩에 의해 싸이도록 한다. 이어서, 다른 의류를 접은 플랩 위에 놓고, 상기한 동일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요성 랩 용기의 주변 바깥으로 의류가 나오지 않도록 주의한다.
단계 3
이어서, 랩을 마치 슬리핑 백을 감는 경우와 같이 감는다. 랩은 가장자리 부근으로부터 시작하여 연결 장치로 랩의 가장 긴 가장자리에 평행한 방향으로 감는다. 자루를 감은 후에, 스트랩 및 조임쇠로 고정하여, 자루를 묶는 스트랩(들)이 팽팽해지도록 당긴다.
단계 4
그 다음에, 의류-수용 랩을 세탁기에 넣는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동일한 중량인 두 벌의 의류를 수용한 랩을 균형잡힌 하중을 위해 동시에 세탁기에 넣는다. 세탁기 세팅은 중간 수위의 물(대략 17 gallon), 냉수 및 가장 부드러운 교반 세팅으로 설정해야 한다. 실시예 I의 세탁/컨디셔닝 배합 조성물을 2개 뚜껑 가득한 양(약 66 ㎖)으로 세탁기에 붓는다; 물 17 gallon 중 실시예 I의 액상 제품 66 ㎖는 세제/물 용액중의 액체 세정 조성물의 전체 농도가 약 1090ppm임을 의미한다.
단계 5
세탁기로 이의 모든 사이클을 종료한 후에, 의류-수용 랩을 세탁기로부터 꺼내고, 랩 속의 의류를 랩으로부터 꺼낸다. 남자의 타이 및 울 의류를 제외하고는, 이들을 건조기에 넣고, 실크 의류인 경우에는 건조기를 공기-플러프(열 없음)로 셋팅하거나, 레이온 및 레이온 혼방으로부터 제조된 의류인 경우에는 가능한 최저 건조기 열 셋팅으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중량이 무거운 의류는 건조기에서 8 내지 10분 동안 유지시키지만, 가벼운 의류는 4 내지 6분 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축축한 의류를 건조기로부터 꺼낸 다음 의류를 널거나, 최종 건조를 위해 이를 평평하게 펴 놓는다. 남자의 타이 및 울인 경우에는, 건조기 단계가 적합치 않으며, 공기 건조는 이들을 세탁기로부터 꺼낸 직후에 시작해야 한다.
단계 6
경우에 따라, 의류를 다림질하거나 증기를 쐬인다.

Claims (23)

  1. (a) 음이온 계면 활성제;
    (b) 4급 암모늄 계면 활성제;
    (c) 실리콘 연화제; 및
    (d) 임의로, 유화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음이온 계면 활성제 대 4급 암모늄 계면 활성제의 중량비는 약 2:1 내지 약 3:1, 바람직하게는 약 2.2:1 내지 약 2.8:1인, 섬세한 직물의 세탁 및 컨디셔닝에 적합한 액체 세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만나나제, 아밀라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효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셀룰라제 또는 퍼옥시다제 효소를 함유하지 않는 액체 세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4급 암모늄 계면 활성제가 하기의 화학식의 화합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체 세제 조성물.
    상기 식에서,
    R1및 R2는 독립적으로, C1-C4알킬, C1-C4하이드록시알킬, 벤질 및 -(C2H4O)xH(여기서, x는 약 2 내지 약 5의 값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음이온이며,
    R3및 R4는 각각 C6-C14알킬이거나, R3은 C6-C18알킬이고, R4는 C1-C10알킬, C1-C10하이드록시알킬, 벤질 및 -(C2H4O)xH(여기서, x는 2 내지 5의 값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5. 제1항에 있어서,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 올리고머 및 공중합체 물질, 폴리비닐 피롤리돈 중합체, 폴리아민 N-옥사이드 중합체, N-비닐피롤리돈과 N-비닐이미다졸의 공중합체, 망간 프탈로시아닌, 퍼옥시다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직물 보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사이클릭 아민계 중합체, 올리고머 또는 공중합체 물질 및 폴리아민 N-옥사이드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 연화제가 하기의 화학식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체 세제 조성물.
    상기 식에서, R은 지방족, 바람직하게는 알킬 또는 알케닐, 또는 아릴이고, 또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으며,
    x는 1 내지 약 8,000의 정수이다.
  8. 제1항에 있어서, Phadebasa a-아밀라제 활성 검정에 의해 측정된 비활성이 25 내지 55 ℃의 온도 및 8 내지 10 범위의 pH 값에서 Termamyla의 비활성보다 25% 이상 더 높은 a-아밀라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 연화제가 폴리디메틸실옥산, 폴리디에틸실옥산, 폴리메틸페닐실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체 세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 연화제가 폴리알킬렌옥사이드-개질된 폴리디메틸실옥산인 액체 세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유화제가 유화 계면 활성제인 액체 세제 조성물.
  12. (a) 우측 가장자리, 좌측 가장자리,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를 갖는 가요성 패널; 하나 이상의 스트랩 및 랩 용기를 로울형 모양으로 유지하기 위해 스트랩에 부착되는 제1 조임 장치; 및 가요성 패널의 우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제1 플랩; 및 가요성 패널의 좌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제2 플랩을 포함하고, 이들 제1 및 제2 플랩이 이들 각각의 가장자리에서 접히는 경우 겹쳐지는 가요성 랩 용기;
    (b) 키트를 싸는 용기와 동봉되거나 그 용기위에 제공되는 가요성 랩 용기에 대한 사용 지침서; 및
    (c) (i) 음이온 계면 활성제; (ii) 4급 암모늄 계면 활성제; (iii) 실리콘 연화제; 및 (iv) 임의로, 유화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음이온 계면 활성제 대 4급 암모늄 계면 활성제의 중량비는 약 2:1 내지 약 3:1, 바람직하게는 약 2.2:1 내지 약 2.8:1인, 섬세한 직물의 세탁 및 컨디셔닝에 적합한 액체 세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계면 활성제, 효소 및 물을 포함하는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14. 제12항에 있어서, 표준 온도 및 압력에서 가요성 랩 용기의 밀도가 약 1 g/㎤ 이상인 키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이 세척성 계면 활성제, 효소, 염료 전이 억제 중합체, 방오제, 세제 빌더, 비세척성 계면 활성제, 분산제 중합체, 물,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16. (a) (i) 편직 폴리에스테르, 편직 나일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부터 제조되고, 우측 가장자리, 좌측 가장자리,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를 갖는 가요성 패널;
    (ii) 가요성 랩 용기를 제2 가요성 랩 용기에 연결시키기 위한, 가요성 패널의 하단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한 두 개 이상의 연결 장치;
    (iii) 가요성 패널의 상단 가장자리 부근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스트랩; 및
    (iv) 제1 조임 장치의 위치가 스트랩 위에서 변하지 않도록 제1 또는 제2 스트랩에 고정적으로,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제1 조임 장치와, 제2 조임 장치의 위치를 스트랩 위에서 변화시킴으로써 스트랩의 길이가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2 조임 장치를 통해 스트랩을 통과시켜 제1 또는 제2 스트랩에 부착되는 제2 조임 장치를 포함하는 가요성 랩 용기속으로 의류를 넣는 단계;
    (b) (i) 음이온 계면 활성제; (ii) 4급 암모늄 계면 활성제; (iii) 실리콘 연화제; 및 (iv) 임의로, 유화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음이온 계면 활성제 대 4급 암모늄 계면 활성제의 중량비는 약 2:1 내지 약 3:1, 바람직하게는 약 2.2:1 내지 약 2.8:1인, 섬세한 직물의 세탁 및 컨디셔닝에 적합한 유효량의 액체 세제 조성물과 함께 가요성 랩 용기를 세탁기 속에 넣는 단계 및
    (c) 제조업자가 지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단계 (a) 전에,
    (i)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을 직접 얼룩에 도포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의류의 국소 부위를 덮는 흡수성 물질과 얼룩이 접하도록 하는 단계;
    (ii) 단계 (i)과 동시에, 세탁 예비처리 도포기를 이용하여 얼룩에 기계적 작용을 가하여 얼룩이 흡수성 물질로 전이되도록 하는 단계 및
    (iii) 임의로, 의류의 국소 부위로부터 세탁 예비처리 조성물을 헹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실리콘 연화제가 폴리알킬렌옥사이드-개질된 폴리디메틸실옥산인 키트.
  19. 제16항에 있어서, 실리콘 연화제가 폴리알킬렌옥사이드-개질된 폴리디메틸실옥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의류의 다림질 효율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의류의 주름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의류가 실크 섬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만나나제 효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액체 세제 조성물.
KR20017005139A 1998-10-24 1999-10-22 섬세한 의류를 세탁기 속에서 세탁하는 방법 KR100426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553998P 1998-10-24 1998-10-24
US60/105,539 1998-10-24
US15739999P 1999-10-01 1999-10-01
US60/157,082 1999-10-01
US60/157,399 1999-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326A true KR20010080326A (ko) 2001-08-22
KR100426885B1 KR100426885B1 (ko) 2004-04-14

Family

ID=268026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135A KR20020004933A (ko) 1998-10-24 1999-10-22 섬세한 의류를 세탁기 속에서 세탁하는 방법
KR20017005139A KR100426885B1 (ko) 1998-10-24 1999-10-22 섬세한 의류를 세탁기 속에서 세탁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135A KR20020004933A (ko) 1998-10-24 1999-10-22 섬세한 의류를 세탁기 속에서 세탁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123432B1 (ko)
JP (1) JP2002528203A (ko)
KR (2) KR20020004933A (ko)
AT (1) ATE290113T1 (ko)
AU (1) AU1228000A (ko)
BR (1) BR9914797A (ko)
CA (1) CA2346712C (ko)
DE (1) DE69923990T2 (ko)
MX (1) MXPA01004089A (ko)
WO (1) WO200002495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885A (ja) * 1999-10-01 2003-09-24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洗濯機でデリケートな衣類を洗濯するための方法
US7954828B2 (en) 2008-08-01 2011-06-07 General Electric Company Caster locking system for medical transport cart
US8470053B2 (en) 2009-02-02 2013-06-25 Fariborz Dawudian Compositions for laundering and subsequently drying delicate garments without incurring any damage and methods to use them
JP6371752B2 (ja) * 2015-12-08 2018-08-08 株式会社エコプラッツ 洗濯ネット
DE102017213671B3 (de) 2017-08-07 2018-10-11 BSH Hausgeräte GmbH Wäschepflegegerät mit einer Steuerung sowie Verfahren zur Pflege von Wäsch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47588A1 (de) * 1975-10-24 1977-04-28 Haeberle & Co Medizin Technik Waeschetransportsack zum selbstentleeren
JPS54108812A (en) * 1978-02-15 1979-08-25 Kao Corp Detergent composition for dry cleaning
US4336024A (en) * 1980-02-22 1982-06-22 Airwick Industries, Inc. Process for cleaning clothes at home
DE8903043U1 (ko) * 1989-03-13 1989-04-27 Henkel Kgaa, 4000 Duesseldorf, De
JPH0513380U (ja) * 1991-07-25 1993-02-23 久美子 宗 セーター類用洗濯ネツト
CN1192791A (zh) * 1995-06-20 1998-09-09 普罗格特-甘布尔公司 用酶干洗
DE69620417T2 (de) * 1995-06-22 2002-10-31 Reckitt Benckiser Inc Fleckenputzmittel
US5789368A (en) * 1996-01-26 1998-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care bag
US5723426A (en) * 1996-02-29 1998-03-03 Zhen; Yueqian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urfactants and silicone emulsions
JPH1015283A (ja) * 1996-06-28 1998-01-20 Kao Corp 洗濯用ネット
AU3633697A (en) * 1996-07-30 1998-02-20 Kao Corporation Washing method and auxiliary utensil for washing
JP3194130B2 (ja) * 1996-11-13 2001-07-30 花王株式会社 形崩れ防止洗濯・乾燥ネット
JP3099950B2 (ja) * 1996-12-24 2000-10-16 花王株式会社 洗濯方法および洗濯用補助具
JP2888812B2 (ja) * 1997-06-13 1999-05-10 花王株式会社 洗濯用補助具
GB9712595D0 (en) * 1997-06-16 1997-08-20 Unilever Plc Wash apparatus and method
JP3192618B2 (ja) * 1997-09-02 2001-07-30 花王株式会社 洗濯用補助具
JP3464132B2 (ja) * 1997-12-16 2003-11-05 アイセン工業株式会社 洗濯ネ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24958A3 (en) 2000-11-23
EP1123432A2 (en) 2001-08-16
EP1123432B1 (en) 2005-03-02
AU1228000A (en) 2000-05-15
DE69923990D1 (de) 2005-04-07
DE69923990T2 (de) 2006-04-06
KR20020004933A (ko) 2002-01-16
JP2002528203A (ja) 2002-09-03
CA2346712A1 (en) 2000-05-04
ATE290113T1 (de) 2005-03-15
MXPA01004089A (es) 2001-08-01
WO2000024958A2 (en) 2000-05-04
BR9914797A (pt) 2001-10-30
KR100426885B1 (ko) 2004-04-14
CA2346712C (en)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6369B2 (en) Methods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US7335630B2 (en)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with silicone blends as fabric care agents
CN101736580B (zh) 一种织物保养柔顺剂
EP1123377B1 (en) Method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MXPA05004806A (es) Detergente liquido para lavanderia.
CN1326503A (zh) 织物护理组合物
JP6728132B2 (ja) カチオン性ポリマーを含む洗剤組成物
US7185380B2 (en) Methods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oven acrylic coated polyester garment container
US20050009720A1 (en)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with silicone fabric care agents
CA2561997A1 (en) Liquid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with silicone fabric care agents
KR20010080326A (ko) 세탁기에서 섬세한 의류의 세탁방법
US6995124B1 (en) Methods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EP1313829B1 (en) Fabric care composition
CA2531234C (en) Container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JP2003527885A (ja) 洗濯機でデリケートな衣類を洗濯するための方法
US20070118998A1 (en) Methods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EP1422334A2 (en) Methods for laundering delicate garments in a washing machine
CA2968071C (en) Compositions to boost fabric softener performance
JP3636613B2 (ja) ドライクリーニング洗浄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