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0062A -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 Google Patents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062A
KR20010080062A KR1020017004468A KR20017004468A KR20010080062A KR 20010080062 A KR20010080062 A KR 20010080062A KR 1020017004468 A KR1020017004468 A KR 1020017004468A KR 20017004468 A KR20017004468 A KR 20017004468A KR 20010080062 A KR20010080062 A KR 20010080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package
sensor
yarn
supply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214B1 (ko
Inventor
스튜템만프레드
Original Assignee
이.파우. 뢰르허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파우. 뢰르허, 바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이.파우. 뢰르허
Publication of KR2001008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02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do not rotate
    • B65H49/04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10Package-supporting devices for one operative package and one or more reserve packages
    • B65H49/12Package-supporting devices for one operative package and one or more reserve packages the reserve packages being mounted to permit manual or automatic transfer to opera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 B65H63/08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responsive to completion of unwinding of a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Filamentary Materials, Packages, And Safety Devices Therefor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Loom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실을 직조하기 위한 직조기계 및 방법 뿐만 아니라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및 장치가 설명되어 있다. 상기 방법 및 장치에서, 실은 실공급패키지로부터 풀어진다.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은 매듭같은 연결부에 의해 제 2 실공급패키지 (예비패키지) 의 선두실끝으로 연결되어 실의 처리 및 공정을 위한 연속적인 진행을 달성한다. 본발명과 합치하여, 센서가 제공되어, 실공급패키지가 풀린 후에 실공급패키지로부터의 예비패키지로의 실이송을 감지하고 신호한다.

Description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METHOD FOR CONTINUOUSLY UNWINDING A THREAD}
본 발명은 실공급패키지 (feed yarn package) 로부터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합성 다섬유 실을 직조 (texture) 하는 방법 및 직조기계에 관한 것이다.
실을 푸는 방법 및 장치는 알려져 있으며, 공급실이 처리되고 가공되는 직물기계에 사용되고 있다. 알려진 방법 및 장치에서, 실은 실공급패키지에서 연속적으로 풀어져서 다음의 가공으로 보내진다. 상기 가공의 연속적인 진행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 (trailing yarn end) 을 제 2 실공급패키지의 선두실끝 (leading yarn end) 에 매듭연결한다. 제 2 실공급패키지는 본 출원에서는 예비패키지라 부르기로 한다. 실공급패키지가 풀린 후에는 예비패키지로의 자동이송이 이루어지며, 그 실은 다시 다음 패키지의 선두실끝에 매듭연결되므로써, 가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의 매듭같은 연결부는 실의 다음 가공에서 문제 지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것은 최종 생산물의 결점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가 분리되어 실 절단이 발생할 수 있다.
실을 직조하는 동안, 실은 강렬한 처리공정을 겪는다. 이 공정에서, 곧은 실로부터 곱슬진 실이 생산된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EP 0 641 877 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실은 꼬이고, 그 꼬인 상태에서 열처리되어 고정된다. 이 공정에서,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과 제 2 실공급패키지 (예비패키지) 사이의 연결부는 꼬임분배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불규칙 곱슬로 귀결된다. 곱슬진 실의 그 이후의 가공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결점은 예를 들어 염색불완전과 같은 결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발명의 목적은 처음에 기술한 것과 같은 연속적으로 실을 푸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균일한 품질의 실을 다음 공정에 공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 (synthetic) 실을 직조하는 직조기계 및 방법을 사용 가능하게 하여, 미리 결정된 곧은 실의 공급실패키지로부터 곱슬진 실의 패키지를 생산하는 것인데, 이는 공급실패키지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부합하여, 이 목적은 청구항 1 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과 청구항 14 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그리고 청구항 21 의 특징을 갖는 장치와 청구항 26 의 직조기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공급실패키지의 풀림이 다한 후에 신호가 보내진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것은 처리공정에서, 공급된 실의 이송이 긴급하다는 것을 구동자 (operator) 에게 알려준다. 이에 의하여, 종국적 생산물과 실공급패키지 간에 조정이 있게 된다. 상기 구동자는 실의 매듭같은 연결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결점을 방지하는 수단을 개시할 수 있다. 실공급패키지로부터 예비패키지로의 이송을 감지하기 위해, 실공급패키지로부터 예비패키지로의 실의 이송 (실이송) 을 신호함에 의하여 지시하는 센서가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본발명에 따른 방법의 세가지 다른 변형예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 에 정의된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에서는 상기 실이 센서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진행한다. 이 센서는, 예비패키지의 선두실끝에 결합된 공급실패키지의 추종실끝을 나타내는 매듭같은 연결부가 통과할 때 센서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계 및 설치된다. 상기 변형예는 기계의 원하는 임의의 점에서 위치에 무관하게 실을 스캔 (scan) 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뒤따르는 공정의 기구, 예를 들어 실의 장력 (tension) 같은 가공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신호의 불연속은 연결부의 통과를 지시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본 방법의 더 유리한 변형예는 청구항 3 에 정의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 실의 일부길이만이 센서를 통과한다. 이 길이는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의 길이와 예비패키지의 선두실끝의 길이를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센서는 실공급패키지와 예비패키지 사이에 설치된다. 실공급패키지가 풀리는 동안에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과 예비패키지의 선두실끝이 양 패키지 사이의 루프 (loop) 에 느슨하게 있게 되므로, 상기 변형예는 실이송 직전의 실만을 스캔 (scan)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것은 스캐닝에 의하여 실에 가해지는 영향을 최소화시킨다.
본발명의 특별히 단순하고 효과적인 실시형태는 청구항 4 에 정의된 변형예에 의하여 제공된다.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과 예비패키지의 선두실끝이 실공급패키지가 풀리는 동안에는 정지하기 때문에, 실이송을 신호하기 위하여 그 지역의 실길이의 움직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변형예는 그 수행을 위하여 간단한 장치 부품만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특히 특징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실길이가 거기에 더 이상 접촉하지 않게 되자마자 실길이가, 예를 들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센서의 설계에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계적, 광학적, 커패시터티브 (capacitative)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전기적, 기계적, 공기작용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구동자에게 신호를 알리기 위하여, 신호가 시각적 또는 음향적 표시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7 에 따른 본발명의 특별히 유리한 발전형태에 있어서, 공정에서의 조정을 시작하거나 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신호가 공정의 제어유니트에 보내진다. 이 변형예는 자동공정시퀀스에 있어서 특별히 유리하다. 예를 들어, 텅빈 공급실패키지가 새로운 패키지로 교환되고, 그 선두실끝은 예비패키지의 추종실끝에 매듭연결되는 것이 실현가능하다. 이와 함께, 실이송의 위치 및 시간을 기록하고 저장하여 문서화하는 것이 같은 방식으로 가능하다. 이러한 데이터는 품질관리의 평가를 위한 기초가 된다.
연결부가 결점의 발생으로 이어지거나 실공급과 최종생산물 사이의 조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한 공정의 경우에는, 청구항 8 에 따른 변형예가 특별히 유리하다. 응답되지 않은 신호의 경우에는, 공정은 일정기간동안 중단될 것이다. 예를 들어 직조공정에 있어서, 크릴된 (creeled) 곧은 실은 공정동안에 직조되고뒤이어서 곱슬진 실로 패키지에 감긴다. 이러한 기계에서는, 하나의 실공급패키지로 복수의 최종 패키지에 곱슬진 실을 감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수취부에서 패키지 도프 (doff) 가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패키지 도프가 일어나는 동안에 진행된 실은 흡착기구에 폐기된다. 본발명의 변형예는 그러한 기계에서 수취부에서의 목적성 패키지 도프의 개시를 가능하게 한다. 연결부를 포함하는 실의 부분길이의 폐기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별한 잇점이다.
본발명의 더 나은 발전형태는, 뒤따르는 공정에서 모니터링 메카니즘을 작동하게 하여,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일정한 품질 파라미터들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실 장력과 같은 품질 파라미터의 부적격 변화가 있는 경우에 공정의 변화나 정지를 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실 속도, 실 장력과 같은 공정 파라미터나 실 온도와 같은 생산물 파라미터를 품질 파라미터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공급패키지의 실과 각각의 생산물간의 조정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청구항 11 및 청구항 12 에 따른 변형예가 특히 유리하다. 이 변형예에서, 신호가 대기중일 때, 제어유니트는 실공급패키지의 교환과 새로운 실공급패키지의 기록을 행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면, 일정한 실이 감긴 실공급패키지를 선택하여 이를 풀린 실공급패키지에 의해 비워진 장소에 이송하는 이송기구를 가동할 수 있다. 이로서, 크릴된 (creeled) 실과 최종 생산물을 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정중의 특유 재료의 발생을 각각의 최초 생산물에 관련시킬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각각의 실공급패키지의 개별식별을 손으로 입력하여 새로운 실공급패키지를 기록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교환된 실공급패키지가 실이송의 결과로 풀릴 때까지 상기 기록이 제어유니트에 저장된다.
본발명은 실이 처리되고 그 이후의 처리공정에서 최종생산물로 귀결되는 공정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합성 다섬유 실의 직조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실공급패키지에 관련된 최초 재료에 대하여 생산된 패키지의 정확한 명세 (specification) 를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본발명의 방법은, 균일하고 고품질인 실을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하는 곱슬진 실이 감긴 패키지를 생산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그 특별한 특징이 있다. 매듭같은 연결부에 의한 결점을 개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품질 파라미터의 모니터링이 연결부에 의한 품질 파라미터의 부적격한 변화를 지시하지 않는다면, 그 패키지는 정지함없이 생산될 것이다. 품질 파라미터의 한계값이 초과되거나 일반적으로 실이송이 신호되는 때에, 예를 들어 패키지의 자동 도프에 의하여, 곱슬진 실의 감김이 중단될 수 있다.
합성 실의 직조에 있어서, 복수의 공정스테이션이 층층이 옆으로 배열되어 있는 기계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계의 사용과 함께, 실을 연속적으로 직조하기위한 청구항 15 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의 변형예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각 수취기구는 실공급패키지와 예비패키지를 수용하는 두개의 크릴 위치와 연관되어 있다. 실공급패키지와 예비패키지의 기록은 각각의 크릴 위치에 링크되어 있으며 이것은 제어시스템에 저장되어, 생산된 패키지는 지금 작동중인 크릴 위치에 기초하여 최초 재료에 대하여 정확하게 명세될 수 있다.
청구항 16 에 따른 변형예는 패키지를 분류하는 데에 특별히 유리하다. 이로서, 감김 시간 및 실길이에 의하여 실의 연결부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테이프로서, 패키지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패키지가 하나의 실공급패키지로부터 생산되는 경우에는, 청구항 17 에 따른 변형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실공급패키지로부터 생산된 각 패키지는 명세표와 함께 제공된다. 실이송이 신호된 때에, 명세표는 다음의 패키지를 위하여 바뀌는데, 이는 그것이 다른 실공급으로부터 생산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곧은 실이 생산된 스피닝 (spinning) 공정까지 곱슬진 실을 역으로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이송과, 따라서, 연결부를 포함하는 패키지가 부가적인 명세표를 받는다는 점에서 생산된 패키지의 더 세부적인 분류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분류는 엮음에 있어서 씨실패키지와 날실패키지를 구별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개별식별은 실이송이 있은 후마다 번호를 다시 시작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청구항 21 의 특징을 가지는 장치 또는 청구항 26 의 특징을 가지는 직조기계가 사용된다. 청구항 21 에 정의된 것과 같은 본발명의 장치는, 중대한 중단없이 한 공정에서 다양한 실조차 연속적인 진행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실공급패키지로부터 예비패키지까지의 실의 이송을 감지하고 신호하는 센서가 제공된다.
실의 스캐닝을 위한 장치 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하여, 본발명에 따른 장치의 두가지 다른 변형예가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실을 연속적으로 스캐닝하는 센서의 경우에는 청구항 22 에 따른 장치의 실시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공급실패키지와 예비패키지 사이에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의 사용이 선호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과 예비패키지의 선두실끝에 의하여 형성되고 패키지들 사이의 루프에 유지되는 실길이는 센서가 실길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순한 방식으로 스캔된다.
실이송 중에 대응하는 수단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센서는 청구항 24 의 더 발전된 형태의 신호기구에 연결된다.
자동 공정의 경우에는, 청구항 25 의 장치의 실시형태가 바람직하다.
청구항 26 의 특징을 가지는 직조 기계는 기본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직조 공정에서의 실의 개선은 실의 구조에의 중대한 개입에 의하여만 가능하기 때문에 매듭같은 연결부에 의하여 야기되는 실의 불균일성을 개별적으로 특별하게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발명의 직조기계는, 공급실패키지가 풀릴 때에 예비패키지로의 실의 이송에 무관하게 균일한 품질을 가진 실을 연속적으로 감고 직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센서의 구조 및 설치가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청구항 27 에 따른 직조기계의 실시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사용하면, 실을 연속적으로 스캔하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실이송의 경우에만, 두 패키지 사이의 연결부까지 연장되는 실길이는 당겨질 것이다. 실길이의 이동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고 신호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센서는, 실길이가 유지되는 위치에서는 작동하지 않고 실길이가 움직이면 실감지기로 하여금 신호 위치로 움직여서 신호를 발생시키게 하는 실감지기로 설계되고 제조된다. 신호는 접촉 스위치에 의하여 단순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실을 광학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연속적으로 스캔하는 센서가 사용되는 때에는, 청구항 29 또는 30 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발명에 따른 직조기계의 실시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따라서, 진행하는 실의 장력을 측정하고 실의 장력이 한계값을 초과한 때에 신호를 발생하는 실 장력계로 센서를 설계 및 제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제안된다. 이와 관련하여, 실공급패키지로부터 예비패키지로의 실이 이송될 때, 실의 풀리는 거동이 짧은 시간동안 변화하고 따라서 실 장력에의 변화로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 연결부는 곱슬진 실의 그 이후의 공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기 직조기계의 더 발전된 형태를 공정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 장력의 미리 정해진 한계값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만 신호가 발생한다.
신호를 시각적으로 또는 음향적으로 구동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청구항 32 에 따른 더 발전된 형태의 센서가 신호기구에 연결된다. 상기 신호기구는 램프 또는 사이렌의 형태일 수 있다.
공정에 자동적으로 개입할 수 있기 위하여, 청구항 33 에 따른 본 발명의 직조기계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계에서, 제어기는 품질 파라미터들을 감지, 평가, 출력하는 수단과 품질 파라미터들을 실 이송에 의존하는 신호에 연결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직조기계는 실공급패키지로부터 감긴 패키지까지 연속적으로 품질을 모니터링하기에 적합한데, 이로써 그후의 공정에서 고품질의 실을 사용가능하게 한다.
이하의 방법과 장치는 직물기계의 일정한 실시형태를 참고하여 설명되었다.
도면에서:
도 1 은 본 발명의 장치가 구비된 가연 직조기계의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직조기계의 단면개략도이며;
도 3 은 실공급패키지가 구비된 크릴프레임의 평면개략도이며; 그리고
도 4 는 실감지기의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1은 가연 직조기계를 도시한다. 이 기계에서, 실공급패키지 (2) 는 만드렐 (mandrel) 로서 설치된 크릴 위치 (8) 에 삽입된다. 실공급패키지 (2) 로부터, 실 (1) 이 제 1 공급 시스템 (11) 에 의하여 당겨진다. 이 목적을 위하여, 실 (1) 은 실 가이드 (10) 을 통하여 실공급패키지 (2) 로부터 위로 진행한다. 공급 시스템 (11) 은 실을 가연 직조 구역으로 진행시킨다. 가연 직조 구역은 가연유니트 (15) 뿐만 아니라, 가열기구 (12) 와 실의 경로를 따라서 그 뒤에 있는 냉각기구 (13) 을 포함한다. 제 2 공급 시스템 (16) 은 실 (1) 을 가연 직조 구역으로부터 당겨서 이를 사후처리를 위하여 제 2 가열기구 (17) 로 인도한다. 제 2 가열기구 (17) 의 출구 끝에서, 공급 시스템이 더 제공되는데, 이것은 실을 가열기구 (17) 로부터 당겨서 그 뒤에 있는 수취기구로 진행시킨다. 수취기구는, 패키지 (20) 이 감기는 스핀들 (21) 을 포함한다. 패키지 (20) 은 이에 접촉하는 구동롤 (22) 에 의하여 구동된다. 실 횡단기구 (23) 은 실의 경로를 따라 패키지 (20) 의 상류에 있다. 횡단기구 (23) 은 진동하는 실 가이드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실의 진행방향에 대해 횡단하면서 왕복하여, 교차감김 패키지가 생산된다.
실공급패키지 (2) 의 옆에, 제 2 크릴 위치 (9) 에 만드렐 (9) 가 제 2 실공급패키지를 보유하는데, 이것은 구별을 목적으로 예비패키지 (3) 로 지정되었다. 실공급패키지 (2) 와 예비패키지 (3) 은 예를 들어 크릴에 배치되는데, 이것은 직조기계에서 복수의 공정스테이션을 위한 복수의 실공급패키지를 수용한다. 실공급패키지 (2) 의 추종실끝 (6) 은 예비패키지 (3) 의 선두실끝 (7) 에 매듭연결되어 연결부 (5) 가 실에 형성된다. 실공급패키지 (2) 와 예비패키지 (3) 사이의 연결부 (5) 가 있는 실의 부분길이는 센서 (4) 를 통하여 뻗어있다. 센서 (4) 는 신호선 (26) 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센서 (4) 를 제어기 (24) 에 연결한다. 제어기 (24) 는 직조기계의 공정을 제어하기 위하여 복수의 출력 (25) 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직조 기계에서, 실 (1) 은 실공급패키지 (2) 로부터 연속적으로 풀어지고, 가연 직조 구역에서 직조된다. 이 공정에서, 상기 가연유니트 (15) 는 가열기구 (12) 와 냉각기구 (13) 에서 고정된 실 (1) 에 가연을 가한다. 공급 시스템 (11, 16) 은 속도 차이에 의하여 작동되어, 실은 가연 직조 구역에서동시에 연조 (drawing) 된다. 가열기구 (17) 에서의 수축처리 후에, 실 (1) 은 수취기구 내의 패키지 (20) 으로 감긴다. 이러한 공정에서, 실공급패키지 (2) 로부터의 실은 복수의 패키지 (20) 에 연속적으로 감긴다. 이 목적을 위하여, 패키지의 최종 직경이 도달되는 때마다 수취기구내의 패키지 도프가 개시된다. 패키지 (20) 이 새로운 빈 튜브로 교환되는 동안에,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실 (1) 은, 감는 작동이 다시 이어질 때까지 흡착기구를 통하여 폐기물통으로 버려진다.
실 (1) 은 공급 시스템 (11) 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뒤따라서, 실이 실공급패키지 (1) 로부터 풀린 후에 예비패키지 (3) 의 실로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 목적을 위하여, 실공급패키지 (2) 의 추종실끝 (6) 과 예비패키지 (3) 의 선두실끝 (7) 은 매듭지어져 연결부 (5) 가 된다. 실공급패키지 (2) 로부터 예비패키지 (3) 으로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실의 부분길이는 같은 방식으로 공급시스템 (11) 에 의하여 당겨진다. 실의 부분길이는 센서 (4) 에서 스캔되기 때문에, 센서 (4) 는 실공급패키지 (2) 로부터 예비패키지 (3) 으로의 실의 이송을 감지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추종실끝 (6) 과 선두실끝 (7) 을 센서 (4) 를 통하여 진행하게 하고, 센서 (4) 는 연결부 (5) 의 통과를 기록하고 이를 신호로 바꾸도록 설계 및 제작된다. 그러나, 추종실끝 (6) 또는 선두실끝 (7) 의 실길이의 움직임만을 스캔하도록 센서를 설계할 수도 있다. 센서 (4) 에 의하여 생성된 신호는 신호선 (26) 을 통하여 제어기 (24) 로 보내져서 패키지 도프를 개시한다. 이와 함께, 연결부 (5) 가 있는 실의 부분길이가 패키지에 감기는 것을 피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나아가, 이것은 실공급패키지 (2)와 그로부터 나온 실이 감기는 패키지를 연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마지막 패키지를 라벨, 묶음 또는 간단한 시각적 표시로 개별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연결부 (5) 가 있는 실의 부분길이 부분을 패키지에 묶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부를 포함하는 패키지는 상기와 같이 표시되어, 최종 공정을 위한 패키지의 분류 (예를 들어, 날실 재료과 씨실 재료로의 분류) 를 가능하게 한다.
연결부 (5) 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정중의 결점의 발생을 관찰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제어기 (24) 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실공급패키지 (2) 로부터의 실이 공정을 받을 때, 일정 시간의 간격을 두고 발생하는 실의 인장, 파손과 같은 품질 파라미터들을 평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함께 실공급패키지의 품질에 관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제어기 (24) 는 크릴의 로딩 (loading) 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새로운 실공급패키지가 만드렐 (8) 에 삽입되어, 새로운 실공급패키지의 선두실끝과 예비패키지의 추종실끝을 매듭연결한다.
본발명의 방법은 도 1 에 직조기계에 관한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발명의 방법은 실이 실공급패키지로부터 처리공정으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모든 알려진 직물기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 는 본발명에 따른 직조기계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같은 기능을 하는 구조부분은 같은 번호로서 표시하기로 한다.
직조 기계는 크릴프레임 (28), 공정프레임 (29), 그리고 수취프레임 (27) 을 포함한다. 서비스 통로 (30) 은 수취프레임 (27) 과 공정프레임 (29) 사이에 뻗어있다. 서비스통로 (30) 의 반대쪽인 수취프레임 (27) 쪽에는, 크릴프레임 (28) 이 수취프레임 (27) 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수취프레임 (27) 과 크릴프레임 (28) 사이에, 도프통로 (31) 이 도시되지 않은 도퍼 (doffer) 를 위하여 제공된다. 직조기계는 복수의 공정스테이션을 포함하는데, 그 각각은 하나의 실 (1) 에 공정을 가한다. 공정스테이션들은 서로 평행하다. 수취기구 (32) 는 세개의 공정스테이션의 폭을 차지한다. 이로써, 세개의 수취기구 (32.1, 32.2, 32.3) 은 수취프레임 (27) 내에서 층을 이루며 서로 겹쳐 있다. 각 수취기구 (32) 는 크릴프레임 (28) 내의 두개의 크릴 위치와 연관되어 있는데, 이는 만드렐 (8, 9) 로 형성된다. 만드렐 (8, 9) 에는 실공급패키지 (2, 3) 이 올려진다. 실공급패키지 (2.1, 3.1) 은 수취기구 (32.1) 에 연결되고, 실공급패키지 (2.2, 3.2) 는 수취기구 (32.2) 에 연결되고, 실공급패키지 (2.3, 3.3) 은 수취기구 (32.3) 에 연결된다. 다음에서, 실의 진행은 하나의 공정스테이션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 (1) 이 방금 풀려나간 실공급패키지 (2) 의 추종실끝은 매듭같은 연결부 (5) 에 의하여 예비패키지 (9) 의 선두실끝 (7) 에 연결된다.
각 공정스테이션에서, 제 1 공급 시스템 (11) 은 실공급패키지 (2) 로부터 실가이드 (10) 과 실가이드 (14.1) 을 넘어서 실 (1) 을 당긴다. 공급시스템 (11) 의 상류에서, 센서 (4) 는 실 (1) 을 연속적으로 스캐닝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센서 (4) 는 신호선 (26) 을 통하여 제어기 (24) 로 연결된다. 실의진행 방향에서 볼 때, 제 1 가열기구 (12), 냉각기구 (13), 가연유니트 (15), 및 제 2 공급시스템 (16) 은 제 1 공급시스템 (11) 의 하류에 배치된다. 가연유니트 (15) 와 제 2 공급시스템 (16) 사이의 실의 경로에 실 장력 센서 (35) 가 제공되고, 실은 실가이드 (36.1) 을 통하여 여기에 들어가서 실가이드 (36.2) 를 통하여 이탈한다. 실 장력계 (35) 는 제어기 (24) 에 연결된다.
제 2 가열기구 (17), 실가이드 (14.3), 및 제 3 공급시스템 (18) 은 수취기구 (32) 와 제 2 공급 시스템 (16) 사이에 배치된다. 실공급패키지 (2) 와 수취기구 (32) 사이에서, 실 (1) 은 복수의 실가이드 (14.1, 14.2, 14.3) 을 통하여 진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실가이드는 휨롤 (deflection roll) 로서 만들어진다.
수취기구 (32) 에서, 실은 패키지 (20) 에 감긴다. 구동롤 (22) 는 패키지 (20) 을 구동한다. 구동롤 (22) 의 상류에, 실횡단기구 (23) 이 배치된다. 실횡단기구 (23) 은 패키지 (20) 을 따라서 실 (1) 을 진동시킴으로써, 실이 교차하여 감기게 한다.
수취기구 (32) 는 패키지저장기 (34) 를 포함하는데, 이는 완성된 패키지 (20) 을 받는 기능을 한다. 완성된 패키지 (20) 을 운반하기 위하여, 감는 스핀들이 패키지 지지대에 피봇되고, 완성된 패키지는 롤웨이 (rollway) 에 위치하게 된다. 롤웨이는 패키지 저장기 (34) 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롤웨이에는 완성된 패키지 (20) 이 운반을 기다린다. 운반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롤웨이가 도프 통로 (31) 을 향하여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나아가, 각각의 수취기구(32) 는 튜브 공급기구 (33) 을 포함한다.
각 수취기구 (32) 는 수취제어기구 (37) 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수취제어기구 (37.1, 37.2, 37.3) 은 제어기 (24) 에 연결된다.
크릴프레임 (28) 에서, 각 공정스테이션은 제어기 (24) 에 연결되는 입력유니트 (38) 에 연결되어 있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직조기계의 상황에서, 각각의 실 (1) 은 실공급패키지로부터 풀어져서, 가연 구역에서 직조되어, 제 2 가열기구에서 이완되고, 패키지 (20) 에 감긴다. 이 공정에서, 실의 장력은 그 품질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실 장력 센서 (35) 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측정된다. 측정된 값은 공정제어를 평가하기위하여 제어기 (24) 로 보내진다.
실공급패키지가 완전히 풀린 후에, 실이 제 2 실공급패키지 (3) 으로 이송된다. 실 1 의 연결부 (5) 가 센서 (4) 를 통과하자마자, 신호가 신호선 (26) 을 통하여 제어기 (24) 로 보내진다. 제어기 (24) 는 이제 여러가지 제어 수단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가능한 방법으로써, 영향을 받은 공정스테이션의 각각의 수취기구 (32) 에 영향을 주어서 패키지가 도프되도록 하는 것이 있다. 이 경우에, 수취 작동이 정지된다. 실은 도시되지 않은 보조기구에 의하여 절단되어 흡착기구를 통하여 제거된다. 뒤따라서, 새로운 튜브가 수취기구 (32) 의 패키지를 대체한다. 패키지 도프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연결부 (5) 가 있는 실길이는 흡착기구로 진행하여, 도시되지 아니한 폐기물통으로 간다. 감는 작동이 다시 시작되는때에, 제 1 패키지는 실공급패키지 (3) 의 실로부터 생산된다. 이 공정에서, 수취제어기구 (37) 은, 실공급패키지 (3) 의 실로부터 생산된 패키지의 연속적인 개별식별과 함께, 동시에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개별식별은 실공급패키지의 성질 데이터 뿐만 아니라 공정스테이션과 연속적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공급패키지 (2) 또는 실공급패키지 (3) 의 기록이나 성질테이터는 입력유니트 (38) 을 통하여 수작업으로 입력된다. 이 공정에서, 구동자는 실공급패키지의 교체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실공급패키지의 성질데이터를 입력유니트 (38) 로 기록하고, 이를 제어기 (24) 로 보낸다. 이와 함께, 실공급패키지나 크릴되고 공정되는 실에 대한 정보가 각 공정스테이션에서 사용가능하게 된다.
공정에 개입하는 다른 가능한 방법은, 제어기 (24) 가 수취제어기구 (37) 을 통하여 공정스테이션에 영향을 가하여, 연결부를 포함하는 패키지를 개별적으로 개별식별시키는 것이다. 하나의 실공급패키지로부터 복수의 패키지가 생산되기 때문에, 목적성 분류를 유효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기는 센서 (4) 로부터 신호를 받는 것 외에, 실장력 같은 제공된 품질 파라미터들을 모니터 및 평가하는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미리 정해진 한계값을 초과할 때에만 패키지 도프가 개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같은 방식으로, 품질 모니터링을 하는 동안에 연결부 (5) 에 의하여 야기되는 이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특히 장기간의 품질 모니터링의 경우에 유익하다.
도 2 에 도시된 배치에서, 센서 (4) 는 제 1 공급시스템 (11) 에 선행한다.연결부 (5) 를 감지하기 위한 광학적 또는 기계적 수단을 포함하는 센서 (4) 는 실의 경로상에 다른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 에 도시된, 가연유니트와 가열기구 및 냉각기구를 포함하는 기계의 직조기구가 하나의 예로서 대표한다. 얽힘 노즐 (entanglement nozzle) 과 같은 다른 수단으로 실을 직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발명은 그러한 기계 또한 커버한다.
도 3 은,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 의 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크릴프레임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상기 크릴프레임은, 고르게 분포되고 그 원주 위에 세개의 T 형태의 지지대 (41.1, 41.2, 41.3) 을 가지는 회전가능한 축 (42) 를 포함한다. 만드렐 (8, 9) 는 T 형 지지대의 자유끝단에 배치되어 각각 하나의 실공급패키지를 수용한다. 이 배치에서, 만드렐 (8, 9) 는 지지대 (41) 에 유리하게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된다. 각 지지대 (41) 은, 하나의 공정스테이션과 관련되는 인접한 T 형 지지대의 인접한 실공급패키지와 함께, 하나의 공정스테이션에 대하여 하나의 실공급패키지 (2) 와 예비패키지 (3) 을 수용한다. 이 크릴의 경우에는, 각각의 공급패키지 (2.1, 2.2, 2.3) 으로부터, 그 중심에 설치되어 있는 실가이드 (10) 을 통하여, 실 (1) 이 풀어진다. 실 감지기 (39) 는 실공급패키지 (2) 와 예비패키지 (3) 사이에 배치되어, 센서를 작동시킨다. 실감지기 (39) 는 예비패키지의 선두실끝과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에 의하여 형성되는 실길이를 받는다. 실감지기 (39) 는 신호기구 (40) 에 연결되는데, 이것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램프이다. 실감지기 (39) 는 같은 방식으로 제어기 (24) 에 연결된다.
도 3 에 도시된 배치는 실감지기 (39) 로 하여금 실공급패키지 (2) 가 풀린 후에 작동하도록 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에 상술한다. 이것이 신호기구 (40) 을 개시한다. 구동자는 이제, 어느 공정스테이션이 실이송할 준비가 되었는지 또는 어느 공정스테이션이 크릴에 새로운 실공급패키지를 필요로 하는지를 즉각 알 수 있다. 제어기 (24) 에 연결함으로써, 뒤따르는 공정에서의 자동 공정 수단으로의 즉각적인 변환이 가능해진다.
도 4 는 예를 들어 도 3 의 크릴에서 사용가능한 실감지기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4.1 은 감지기의 측면도이고 도 4.2 는 평면도이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은 두 도면 모두에 적용된다. 실감지기는 홀더 (52) 와 가동성 실가이드 (43) 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홈 (47) 을 포함한다. 홈 (47) 에서, 실가이드 (43) 은 축 (44) 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만들어진다. 따라서, 실가이드는 휴면 위치 (49) 와 신호 위치 (50)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휴면 위치 (49) 에서, 막대기로 설계 및 제조된 실가이드 (43) 은 위로 나온 자세로 스톱 (stop) (51) 에 접촉한다. 이 휴면 위치 (49) 에서, 홈 (47) 의 양 측면상의 홀더 (52) 에 배치된 가이드노치 (guide notch) (48) 을 통하여 실가이드 (43) 이 뻗어있다. 실 (1) 은 가이드노치 (48) 을 통하여 있으며, 실가이드 (43) 은 실을 굴절시키는 동시에 이를 붙잡는다. 피봇운동에 의하여, 실가이드 (43) 은 휴면위치 (49) 로부터 신호위치 (50) 까지 다다를 수 있다. 신호위치 (50) 에는 접촉스위치 (45) 가 설치되어, 실가이드 (43) 의 접촉에 의하여 작동된다. 접촉스위치 (45) 는 신호선 (46) 을 통하여 도시되지 아니한 신호기구로 연결된다.
도 4.1 및 도 4.2 에 도시된 실감지기의 위치에서, 실 (1) 이 죄어진다. 실공급패키지와 예비패키지 사이의 실길이는 정지해 있다. 공급패키지로부터 예비패키지로 실이송이 이루어지는 때에, 실 (1) 은 실감지기로부터 당겨진다. 이것은 실가이드 (43) 으로 하여금 스톱 (51) 로부터 멀어져서 신호위치로 가게 한다. 이와 함께, 접촉스위치 (45) 가 작동되어, 신호가 발생한다. 설명한 실감지기는 하나의 예로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본발명은 센서의 개별적 실시형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기본적으로 당업자에게 흔히 알려진 모든 실시형태를 커버하여, 실에 있는 매듭같은 연결부의 감지와 그후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용어
1 실 2 실공급패키지
3 예비패키지 4 센서
5 연결부 6 추종실끝
7 선두실끝 8 만드렐, 크릴 위치
9 만드렐, 크릴 위치 10 실가이드
11 공급시스템 12 가열기구
13 냉각기구 14 실가이드
15 가연유니트 16 공급시스템
17 가열기구 18 공급시스템
19 실가이드 20 패키지
21 스핀들 22 구동롤
23 실횡단기구 24 제어기
25 출력 26 신호선
27 수취프레임 28 크릴
29 공정프레임 30 서비스 통로
31 도프 통로 32 수취기구
33 튜브공급기구 34 패키지 저장기
35 실 장력계 36 실가이드
37 수취 제어 38 입력기구
39 실감지기 40 신호기구
41 지지대 42 축
43 실가이드 44 피봇 축
45 접촉스위치 46 신호선
47 홈 48 가이드노치
49 휴면 위치 50 신호 위치
51 스톱 52 홀더

Claims (34)

  1. 실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실공급패키지로부터 풀어지고 실의 처리를 위하여 공정으로 보내지며, 실공급패키지로부터의 느슨한 추종실끝이 예비패키지로부터의 느슨한 선두실끝에 매듭연결되는, 실공급패키지로부터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에 있어서, 실공급패키지의 실로부터 예비패키지의 실로의 이송이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고 이를 신호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가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과 예비패키지의 선두실끝 사이의 연결부를 감지 및 신호하면서, 실이 센서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가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과 예비패키지의 선두실끝 사이의 연결부를 감지 및 신호하면서, 실공급패키지의 추종끝의 실길이와 예비패키지의 선두끝의 실길이로 구성되는 실의 부분길이가 센서를 통하여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가 실길이의 움직임을 감지 및 신호하면서,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 또는 예비패키지의 선두실끝으로부터의 실길이가 센서에 의하여 스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과 예비패키지의 선두실끝 사이의 연결부에 의하여 실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가 시각적 또는 음향적 신호기구를 작동시켜서, 공정의 변화 및/또는 실공급패키지의 교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가 공정의 제어기구로 보내져서, 공정의 변화 및/또는 실공급패키지의 교체를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신호가 대기 중일 때 제어기가 일정 시간 동안 공정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제어기가 적어도 하나의 품질 파라미터의 잠정적 모니터링을 야기하고, 품질 파라미터의 부적격한 이탈이 있는 때에 공정이 변화하거나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품질 파라미터는 생산된 실의 특징을 표시하는 생산물 파라미터 및/또는 공정과정의 특징을 표시하는 공정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기가 실공급패키지의 교체 및 새로운 실공급패키지의 기록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신호가 실공급패키지로의 실이송을 지시할 때, 새로운 실공급패키지의 기록이 제어기에 저장되고 뒤따르는 공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공급패키지의 실이 곧은 실로서 공급되고, 뒤따르는 공정에서 직조되며, 패키지에 곱슬진 실로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풀어지는 실이, 곧은 실로서 실공급패키지로부터 풀어지고 곱슬진 실로서 패키지에 감기는 합성 다섬유 실을 직조하는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실공급패키지를 수용하는 크릴 위치 및 예비패키지를 수용하는 크릴 위치에 연결된 수취기구에서 패키지가 생산되는 것 및 실공급패키지와 예비패키지의 기록이 각각의 크릴 위치에 링크되고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공급패키지로부터 예비패키지로의 실이송의 신호가 있는 때에, 실이송하는 동안에 생산된 패키지가 개별식별을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공급패키지와 관련하여 개별식별되는 다수의 패키지를 감기에 적합한 실길이가 실공급패키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실공급패키지로부터 예비패키지로의 실이송의 신호가 있는 때에, 다음 패키지를 위하여 개별식별이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실공급패키지로부터 예비패키지로의 실이송의 동안에 생산된 패키지가 부가적인 개별식별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식별이 실공급패키지와 관련된 번호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일방 크릴위치 (8) 는 실공급패키지 (2) 를 수용하고 타방 크릴위치 (9) 는 예비패키지 (3) 를 수용하는 적어도 두개의 크릴위치 (8, 9) 를 구비하고, 실공급패키지 (2) 와 예비패키지 (3) 로부터 실 (1) 을 푸는 이송수단 (11) 을 구비하였으며, 실공급패키지 (2) 의 추종실끝 (6) 은 예비패키지 (3) 의 선두실끝 (7) 에 연결부 (5) 에 의하여 매듭연결되어 있는, 실 (1) 을 연속적으로 푸는 장치로서, 센서 (4) 가 제공되어 실공급패키지 (2) 로부터 예비패키지 (3) 으로의 이송을 감지하고 신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센서 (4) 가 실의 경로에서 이송수단 (11) 의 상류 및 크릴 위치 (8, 9) 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어서, 진행하는 실 (1) 이 연속적으로 스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센서 (4) 가 두 크릴위치 (8, 9)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서, 실공급패키지 (2) 의 추종실끝 (6) 및 예비패키지 (3) 의 선두실끝 (7) 으로부터의 실길이가 스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장치.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4) 가 신호기구 (40)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장치.
  25. 제 21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4) 가 제어기 (24) 에 연결되어, 실 (1) 을 처리 및 공정을 받도록 하기 위한 공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연속적으로 푸는 장치.
  26. 두개의 실공급패키지 (2, 3) 를 받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크릴 위치 (8, 9) 및 실의 경로를 따라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공급시스템들 (11, 16, 18) 을 구비하고, 직조기구 (12, 13, 15) 및 수취기구 (32) 를 구비하며, 제 1 공급시스템 (11) 이 크릴 위치 (8, 9) 로부터 실 (1) 을 교대하여 풀고, 실공급패키지들 중의 일방 (2) 의 추종실끝 (6) 이 타방 실공급패키지 (3) (예비패키지) 의 선두실끝 (7) 에 연결된, 실 (1) 을 직조하고 감는 직조기계에 있어서, 센서 (4) 가 제공되어 실공급패키지 (2) 로부터 예비패키지 (3) 으로의 실이송을 감지 및 신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직조하고 감는 직조기계.
  27. 제 26 항에 있어서, 센서 (4) 가 두개의 크릴 위치 (8, 9) 사이에 배치되어, 실공급패키지의 추종실끝 (6) 및 예비패키지의 선두실끝 (7) 로부터의 실길이가 스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직조하고 감는 직조기계.
  28. 제 27 항에 있어서, 센서 (4) 가, 휴면위치 (49) 에서의 실길이를 유지하고 실길이의 움직임에 의하여 신호위치 (50) 에 도달하며, 신호위치 (50) 에서 신호를생성하는 실감지기 (39) 로서, 설계되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직조하고 감는 직조기계.
  29. 제 28 항에 있어서, 휴면위치 (49) 로부터 신호위치 (50) 으로의 실가이드 (43) 의 움직임에 의하여 신호가 발생되는 접촉스위치 및 가동성 실가이드 (43) 가 실감지기 (39) 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직조하고 감는 직조기계.
  30. 제 26 항에 있어서, 센서 (4) 가 실의 경로상의 크릴위치 (8, 9) 의 하류 및 제 1 공급시스템 (11) 의 상류 또는 하류에 배치되므로써, 진행하는 실 (1) 이 연속적으로 스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직조하고 감는 직조기계.
  31. 제 30 항에 있어서, 센서 (4) 가 실 장력계 (35) 로 설계 및 설치되어, 진행하는 실 (1) 의 장력을 측정하고 실 장력의 한계값이 초과되는 때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직조하고 감는 직조기계.
  32. 제 26 항 내지 제 3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4) 가 신호기구 (40)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직조하고 감는 직조기계.
  33. 제 26 항 내지 제 3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 (4) 가 제어기 (24) 에 연결되어, 직조기계의 기구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직조하고 감는 직조기계.
  34. 제 33 항에 있어서, 품질 파라미터들을 감지, 평가, 및 출력하는 수단과 품질 파라미터들을 실이송에 의존하는 신호에 링크하기위한 수단이 제어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직조하고 감는 직조기계.
KR1020017004468A 1998-10-09 1999-10-01 실의 연속 처리 방법, 실의 연속 풀림 장치, 합성 다섬유 실의 직조 방법 및, 실의 직조 및 권취용 직조 기계 KR1006902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6484.3 1998-10-09
DE19846484 1998-10-09
DE19852745.4 1998-11-16
DE19852745 1998-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062A true KR20010080062A (ko) 2001-08-22
KR100690214B1 KR100690214B1 (ko) 2007-03-12

Family

ID=2604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468A KR100690214B1 (ko) 1998-10-09 1999-10-01 실의 연속 처리 방법, 실의 연속 풀림 장치, 합성 다섬유 실의 직조 방법 및, 실의 직조 및 권취용 직조 기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36087B2 (ko)
EP (1) EP1144295B1 (ko)
JP (1) JP4651817B2 (ko)
KR (1) KR100690214B1 (ko)
CN (1) CN1239365C (ko)
DE (1) DE59911886D1 (ko)
TR (1) TR200100962T2 (ko)
TW (1) TW440616B (ko)
WO (1) WO200002186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02903B (en) * 2003-02-05 2008-11-11 Saurer Gmbh & Co Kg Yarn withdrawal device
GB0517659D0 (en) * 2005-08-31 2005-10-05 Watkins Penelope A Tensile tester
IT1396931B1 (it) * 2009-11-20 2012-12-20 Btsr Int Spa Elemento modulare di cantra.
ITMI20111252A1 (it) * 2011-07-06 2013-01-07 Btsr Int Spa Dispositivo e metodo di rilevamento del cambio di bobina di alimentazione di un filato
WO2013112684A1 (en) * 2012-01-24 2013-08-01 Nike International Ltd. Intermittent weaving splicer
TWI461580B (zh) * 2012-03-02 2014-11-21 Ming Chiun Lee 包紗裝置
ITMI20121929A1 (it) * 2012-11-14 2014-05-15 Btsr Int Spa Elemento modulare per cantra
CN107207178B (zh) 2015-01-29 2019-10-08 欧瑞康纺织有限及两合公司 用于制造卷曲变形丝的方法和设备
SG11201810648YA (en) * 2016-06-02 2018-12-28 Applied Materials Inc Qualification and repair station
US10457512B2 (en) 2016-09-19 2019-10-29 New Era Converting Machinery, Inc. Automatic lapless butt material splice
CN110650910B (zh) * 2017-06-07 2021-10-26 欧瑞康纺织有限及两合公司 用于监控行进纱线的纱线张力的方法和装置
US11597624B2 (en) 2017-08-23 2023-03-07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Method and device for texturing a synthetic thread
GB2569165B (en) * 2017-12-08 2022-05-25 Saurer Fibrevision Lt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drawing of yarn from a bobbin
WO2019170673A1 (de) * 2018-03-07 2019-09-12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Prüfverfahren und prüfvorrichtung zur analyse einer gewickelten fadenspule
CN111349991A (zh) * 2018-12-21 2020-06-30 欧瑞康纺织有限及两合公司 一种假捻变形机及其用于关联纺丝成品数据和假捻变形成品数据的方法
DE102019003152A1 (de) * 2019-05-03 2020-11-05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fadens
EP3771677B1 (en) * 2019-07-30 2024-05-01 TMT Machinery, Inc. Package exchanging system
EP3771672B1 (en) * 2019-07-30 2024-04-17 TMT Machinery, Inc. Adapter and package exchanging device
CN111607870B (zh) * 2020-05-13 2021-07-20 浙江理工大学 一种智能纱架及其使用方法
CN111891820A (zh) * 2020-07-14 2020-11-06 安徽华茂纺织股份有限公司 有利于降低s捻筒纱退绕断头数的方法
WO2022021306A1 (zh) * 2020-07-31 2022-02-03 江苏国望高科纤维有限公司 一种纱线假捻加弹的生产方法及纱线假捻加弹过程中过尾接头的检测方法
CN111996633B (zh) * 2020-07-31 2022-05-31 江苏国望高科纤维有限公司 一种纱线假捻加弹的生产方法及纱线假捻加弹过程中过尾接头的检测方法
CN114789938A (zh) * 2021-01-26 2022-07-26 日本Tmt机械株式会社 丝线加工设备
JP2022114445A (ja) 2021-01-26 2022-08-05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加工設備
JP2023029044A (ja) 2021-08-20 2023-03-03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加工設備
JP2023084670A (ja) 2021-12-07 2023-06-19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加工設備
JP2023182044A (ja) * 2022-06-14 2023-12-26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加工機
JP2024013016A (ja) 2022-07-19 2024-01-31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加工設備
CN116240741B (zh) * 2023-05-11 2023-08-01 江苏长海消防装备有限公司 一种消防安全绳生产用加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5312C (de) 1950-10-23 1954-03-01 Ing Franz Czernilofsky Stahlbeton-Skelettwand aus Hohlraum-Bauelementen
CH597076A5 (ko) * 1976-08-17 1978-03-31 Maillefer Sa
JPS5328755A (en) * 1976-08-25 1978-03-17 Teijin Ltd False twist processing method
FR2527661B1 (fr) * 1982-05-26 1986-04-11 Cables De Lyon Geoffroy Delore Procede d'assistance au chargement de bobines sur une cableus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BE905312A (nl) * 1986-08-22 1987-02-23 Picanol Nv Inrichting voor de detektie van een bobijnwissel bij weefmachines.
BE1001819A3 (nl) * 1988-06-17 1990-03-13 Picanol N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de toevoer van inslagdraden bij weefmachines.
BE1001919A3 (nl) * 1988-12-05 1990-04-10 Picanol Nv Luchtweefmachine, met een verbeterde voeding voor de inslagdraden.
US5018390A (en) * 1989-07-06 1991-05-28 Barmag Ag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tension and quality of an advancing yarn
BE1004150A3 (nl) * 1990-04-27 1992-09-29 Picanol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toevoeren van inslaggaren aan de gaap bij een weefmachine.
TW354078U (en) 1991-01-17 1999-03-01 Barmag Barmer Masch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tension of an advancing yarn
TW340533U (en) * 1993-09-04 1998-09-11 Barmag Barmer Maschf False twist crimping machine
BE1007850A3 (nl) * 1993-12-01 1995-11-07 Picanol Nv Werkwijze en weefmachine met een voeding voor inslagdraden.
TW340104B (en) * 1997-01-21 1998-09-11 Murada Kikai Kk A yarn ingot quality determination system and the transport system
JPH10203725A (ja) * 1997-01-21 1998-08-04 Murata Mach Ltd 巻玉製造搬送ラインにおける巻玉判別システム及び巻玉判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0100962T2 (tr) 2002-09-23
US20010037545A1 (en) 2001-11-08
CN1239365C (zh) 2006-02-01
JP4651817B2 (ja) 2011-03-16
WO2000021866A8 (de) 2001-12-27
CN1328524A (zh) 2001-12-26
EP1144295A3 (de) 2002-08-28
JP2003526584A (ja) 2003-09-09
TW440616B (en) 2001-06-16
WO2000021866A2 (de) 2000-04-20
DE59911886D1 (de) 2005-05-12
US6536087B2 (en) 2003-03-25
KR100690214B1 (ko) 2007-03-12
EP1144295B1 (de) 2005-04-06
EP1144295A2 (de) 2001-10-17
WO2000021866A3 (de) 200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214B1 (ko) 실의 연속 처리 방법, 실의 연속 풀림 장치, 합성 다섬유 실의 직조 방법 및, 실의 직조 및 권취용 직조 기계
JP6991002B2 (ja) リング精紡機の紡績ユニットの正常な動作を監視する方法
US3938306A (en) Spinning and winding of yarns
US3902644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yarn
EP3153614B1 (en) Spinning machine
US4944145A (en) Spinning machine for producing feeding packages for twisting
US6637695B2 (en) Method of winding a traveling yarn at a work station of a spinning bobbin winding machine or of a bobbin winding machine
JP7346200B2 (ja) 巻取り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繊維機械の作業ユニットにおいて糸ループ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JPH06102855B2 (ja) オープンエンド精紡機
EP1764333B1 (en) Method and device for spooling a yarn and wound body thus achieved
JP2688265B2 (ja) 給糸ボビンの給糸特性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169690B2 (ja) 繊維機械
CN111691049B (zh) 一种纱线处理工艺及其装置
EP0273524B1 (en) Process for determining the optimum winding speed, as well asthe optimum winding parameters for each type of yarn
CZ281430B6 (cs) Způsob a zařízení k navíjení nitě na kuželovou cívku u dopřádacích strojů s otevřeným koncem
EP3178974B1 (en) Method for preparing a workstation for the resumption of the spinning process on an air-jet spinning machine and an air-jet spinning machine for performing the method
JP7463063B2 (ja) リング紡績コップの巻成状態に影響を及ぼすための方法もしくは装置
CN220283137U (zh) 丝线加工机
JPS63211347A (ja) 給糸体交換装置
JPH05162923A (ja) クリール装置
CN105525396A (zh) 纱线卷绕机
JP2001151417A (ja) 給糸切替検知装置
GB2274119A (en) Yarn processing machinery
JPH0825690B2 (ja) 糸パッケージの品質を監視する方法
JPH06271196A (ja) 編織用機械における糸切れ防止方法および糸切れ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