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956A -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956A
KR20010079956A KR1020017004024A KR20017004024A KR20010079956A KR 20010079956 A KR20010079956 A KR 20010079956A KR 1020017004024 A KR1020017004024 A KR 1020017004024A KR 20017004024 A KR20017004024 A KR 20017004024A KR 20010079956 A KR20010079956 A KR 20010079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alue
deviation
input signal
p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터 드락셀마이어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9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3Arrangements in which a pulse is delivered at the instant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of an input signal is present or at a fixed time interval after this inst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variable reluctance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9Digital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1Shaping pulses
    • H03K5/08Shaping pulses by limiting; by thresholding; by slicing, i.e. combined limiting and thresholding
    • H03K5/082Shaping pulses by limiting; by thresholding; by slicing, i.e. combined limiting and thresholding with an adaptive threshold
    • H03K5/086Shaping pulses by limiting; by thresholding; by slicing, i.e. combined limiting and thresholding with an adaptive threshold generated by feedb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 Indication And Recording Devices For Special Purposes And Tariff Metering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신호의 상부 신호 피크 및 하부 신호 피크를 검출하기 위한 피크 검출기; 하나의 기준값을 제공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기준 장치; 중간값을 결정하기 위한 연산 장치; 비교 장치; 입력 신호의 직류 성분을 보상하기 위한 제 1 제어 장치 및 기준값을 반대로 교정하기 위한, 입력측이 비교 장치 뒤에 접속되고 출력측이 기준 장치와 연결된 제 2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교류 성분 이외에 입력 신호내에 포함된 직류 성분과 무관하게,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방법 {CIRCUIT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SWITCHING POINTS OF A DECISION MODULE}
회전하는 부품의 동작 또는 위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공지된 센서가 사용된다. 그 예로서는 자동차의 크랭크축-센서, 캠축-센서, 기어-센서 및 ABS-센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기장의 변동을 스캐닝하는 홀-센서가 센서로서 사용된다. 또한,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영구 자석이 고정 부품에 제공된다. 상기 자기장은 회전하는 부품에 고정된 기어 휠 또는 다른 강자성 검출기에 의해서 각각의 위치에 따라 변조된다. 상기의 경우 홀-센서는 바람직하게 영구 자석과 기어 휠 또는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자기장의 변동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어 휠의 하나의 기어가 자기장내에 배치되면, "높은" 출력 신호가 제공되는 한편, 기어들 사이의 갭은 "낮은" 출력 신호를 야기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홀-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로부터 회전하는 부품의 순시 위치 또는 상태를 추론할 수가 있다.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는 실제로 상기 센서가 갖는 작동 조건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상기 작동 조건들은 예를 들어 작업 온도 또는 공기 갭의 크기 등과 같은 불가피한 비가동적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 조건에 의해서 야기되는 변동에도 불구하고 센서는 가급적 우수하게 규정된 출력 신호를 제공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출력 신호는 작동 조건에 의해서 야기되는 변동과 무관하게 제대로 규정된 파형을 가져야만 한다. 이에 대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센서 장치가 예를 들어 사인 형태의 신호를 제공하면, 센서의 출력 신호에 의존하는 시스템내에서의 스위칭 과정들이 신호의 영교차시에 이루어질 경우, 상기 센서 장치에 의해서 제어되는 시스템의 우수하게 규정된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영교차는 개별 신호 진폭과 무관하고, 또한 큰 에지 경사도를 갖는다.
물론 상기 센서의 출력 신호가 다른 신호 형태인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다른 스위칭 포인트도 또한 바람직하게 영교차 또는 신호 중심일 수 있다.
하나의 센서에 의해 제어되는 시스템을 스위칭하기 위해서 상기 센서의 출력 신호를 평가할 때에는, 스위칭 포인트가 상기 센서의 출력 신호의 신호 진폭과 무관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사실은 심지어 매우 느린 신호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VDI-보고서 1287, 1996, 583 내지 611 페이지, "새로운 세대의 "홀-효과"-기어 휠 센서 : BIMOS-기술과 새로운 포장 처방과의 결합에 의한 장점들"』에는, 먼저 하나의 센서의 출력 신호의 진폭이 경우에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의해 정규화되는 센서 장치가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2개의 추가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 및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에 의해서 신호 피크값이 검출된다. 그로부터 스위칭 임계값이 유도되어 고정 입력된다. 결국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실제로 온도 변동 및 공기 갭의 폭과 무관한 시스템 특성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센서 장치를 위해 소요되는 비용은 상당히 크며, 그 이유는 증폭에 대한 매칭 및 다수의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의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1 실시예를 위한 신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2 실시예를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3 실시예를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비용으로도 하나의 입력 신호의 선택된 포인트에서의 스위칭 과정들을 신뢰할만하게 그리고 매우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부 신호 피크 및 하부 신호 피크와 마찬가지로 입력 신호내에 포함된 직류 성분과 무관하게,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는, 상기 입력 신호의 상부 신호 피크 및 하부 신호 피크를 결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피크 검출기를 갖는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 장치에는 또한, 하나의 기준값을 제공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기준 장치; 적어도 하나의 상부 신호 피크 및 하부 신호 피크로부터 중간값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기준 장치 및 피크 검출기 뒤에 접속된 연산 장치; 및 상기 연산 장치에 의해 결정된 중간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입력 신호의 신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비교 장치가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직류 성분이 상기 비교 장치에 의해서 고정 입력되면, 보상 신호에 의해서 입력 신호의 상기 직류 성분을 보상하기 위한, 입력측이 비교 장치 뒤에 접속되고 출력측이 결정 모듈과 연결된 제 1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기준값을 반대로 교정하기 위한, 입력측이 비교 장치 뒤에 접속되고 출력측이 기준 장치와 연결된 제 2 제어 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장치에 의해서는, 교류 성분과 무관하게 아날로그 입력 신호내에 포함된 직류 성분이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도 매우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직류 성분은 나중에 결정 모듈의 스위칭 임계값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입력 신호를 가이드하는 신호 경로가 실제로는 단지 결정 모듈 자체만을 포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신호 경로가 가급적 단순하게 형성될 수 있고, 실제로 입력 신호의 손상이 전혀 야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조절 장치는 바람직하게 디지털 신호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 경우 조절 장치 앞에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가 접속되고, 조절 장치 뒤에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가 접속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은 적은 비용으로도 신호를 매우 정확하게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개선예에서는 조절 장치 앞에 조절 가능한 증폭기가 접속된다. 상기 증폭기의 제어 입력은, 상기 조절 장치내에 제공되는 신호의 순시값에 따라 증폭기의 증폭을 조절하기 위해서 조절 장치의 제어 출력과 연결된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와 연결된, 조절 가능한 상기 증폭기에 의해서는,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 범위에서 매우 정밀한 분해도를 가능하게 하는 대수 특성을 갖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가 만들어진다. 또한, 분해도는 낮지만 스위칭 기술적인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스위칭기술적인 비용으로도 높은 정확성에 도달된다.
증폭기의 증폭은 바람직하게 2진 방식으로 구분되고, 2진 워드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2진 방식 구분의 장점은, 대수적인 증폭 변동이 2진수의 시프트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조절 장치는 결정 모듈 및 타이머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결정 모듈의 출력은 조절 장치와 연결되며, 조절 장치는 신호 변동을 고려하여 결정 모듈의 출력을 모니터링하고, 타이머에 의해 결정된 시간 동안 신호 변동이 중단될 때에는 직류 성분의 검출을 개시한다. 그럼으로써, 직류 성분의 매우 느린 변동이 상기 장치에 의해서 검출되지 않는 것이 방지된다.
교류 성분 이외에 입력 신호내에 포함된 직류 성분과 무관하게,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입력 신호의 순시 신호 파형, 바람직하게는 입력 신호 진폭의 시간적인 파형이 검출되며; 상기 신호 파형의 하부 신호 피크 및 상부 신호 피크가 검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신호 피크 및 상부 신호 피크로부터 중간값이 산출되며; 직류 성분을 재생하는, 미리 주어진 목표값과 상기 중간값간의 편차가 산출되며; 상기 편차가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된다. 상기 방법에서는 또한, 특별한 외부적 영향 또는 신호가 조절 과정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스위칭 포인트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개선예에서는, 입력 신호의 순시 신호 파형이 검출되며; 상기 신호 파형의 적어도 하부 신호 피크 및 상부 신호 피크가 검출되며; 상기 신호 피크로부터 중간값이 산출되며; 미리 주어진 기준값과 상기 중간값간의 편차가 산출되며; 상기 편차가 허용 임계값과 비교되며; 상기 편차의 크기가 허용 임계값을 초과할 때에는 편차가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된다. 그에 의해 직류 성분의 비교적 작은 변동이 고려되지 않고 남겨짐으로써, 예를 들어 비교적 작은 장애 또는 잡음이 스위칭 포인트의 조절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입력 신호의 순시 신호 파형이 검출되며; 상기 신호 파형의 적어도 하부 신호 피크 및 상부 신호 피크가 검출되며; 상기 신호 피크로부터 중간값이 산출되며; 미리 주어진 기준값과 상기 중간값간의 편차가 산출되며; 상기 편차가 0과 비교되어 편차가 0보다 클 때에는 소정의 상수값이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되고, 편차가 0보다 작을 때에는 소정의 상수값이 입력 신호에 가산된다. 그럼으로써, 스위칭 포인트는 다만 고정된 단계에서만 변동된다.
대안적으로는, 입력 신호의 순시 신호 파형이 검출되며; 상기 신호 파형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신호 피크 및 상부 신호 피크가 검출되며; 상기 신호 피크로부터 중간값이 산출되며; 미리 주어진 기준값과 상기 중간값간의 편차가 산출되며; 상기 편차가 0과 비교되며; 상기 편차의 크기는 큰 편차, 중간 편차 및 작은 편차와 같은 3가지 편차 범위 중에서 하나의 범위에 상응하게 할당되어 편차가 어떤 범위에 할당되는지에 따라 편차 또는 상수값이 감산되거나 또는 아무 값도 감산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 신호의 순시 신호 파형이 각각 연속적으로 검출되며; 개별 신호 파형의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신호 피크 및 상부 신호 피크가 검출되며; 상기 신호피크로부터 중간값이 산출되며; 미리 주어진 기준값과 상기 중간값간의 편차가 산출되며; 상기 편차가 0과 비교되며; 상기 편차가 큰 임계값 및 작은 임계값과 비교되며; 편차가 작은 임계값에 미달될 때에는 입력 신호가 변동없이 유지되고, 편차가 작은 임계값을 초과할 때에는 한편으로 상기 편차가 0보다 작으면 상수값이 입력 신호에 가산되거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 상기 편차가 0보다 크면 상수값이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되며; 편차가 큰 임계값을 초과할 때에는, 상기 작은 임계값에 재차 미달될 때까지 상기 편차가 입력 신호로부터 연속적으로 감산된다.
그밖에 결정 모듈의 출력 신호는 신호 변동을 고려하여 모니터링 될 수 있고, 소정 시간 동안 신호 변동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직류 성분의 새로운 검출이 개시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느리게 변동되는 직류 성분이 인식되지 않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장애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 위해서 결정 모듈의 출력은 조절 과정 동안 차단될 수 있다. 또한, 극단값의 신호 파형이 소정 값만큼 변동되는 경우에만 신호 파형의 상대적인 극단값은 피크값으로서 인정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예를 들어 장애에 의해서 야기되는 비교적 작은 극단값이 신호 피크로서 인식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밖에, 제 1 신호 피크는 평가되지 않고, 단지 후속하는 신호 피크(들)만이 평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치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장애에 대한 안전성이 증가된다.
특히 분해도가 낮은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로써 분해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높은 증폭을 실행하여 상기 증폭이 초과 조절된 경우에는 초과 조절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을 때까지 증폭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신호 피크를 결정하기 전에 신호 파형이 증폭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진폭이 검출되어 진폭 임계값과 비교되며, 증폭이 비교적 높은 경우, 신호 진폭이 소정 값 아래로 떨어지면 신호가 증폭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개선예에서 신호 피크로부터 산출되는 중간값은 하기 일반식에 따라 산출되는 "가중 중간값"일 수 있으며,
상기 식에서 A는 신호 최대값이고, B는 신호 최소값이며, x,y는 부분 계수이다. 예를 들어 x = y = 1이면, 그것은 산술 평균값이다. 이 경우의 최대값은 교정값에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최대값이 된다. 가중 중간값의 교정은 특히 출력 신호(결정 모듈의 입력)의 비대칭 파형을 갖는 검출기 휠에서 중요하다.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회로 장치에서 예를 들어 기어 휠(1)의 회전수는 홀-센서(2)에 의해서 검출된 다음에, 증폭기(3)에 의해서 증폭되고나서 비교기(4)에 의해서 펄스 열로 변환되며, 상기 펄스 열의 주파수는 기어 휠(1)의 회전수와 일치한다. 상기 펄스 열은, 비교기(4)의 출력과 연결된 출력(5)에서 분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에 작용하는 자성 연속 필드에 의해서 및/또는 증폭기(3)에서의 오프셋-전압에 의해서는, 기어 휠(1)의 작동에 의해 홀 센서(2)내에서 야기되는 교류 신호가 직류 신호에 의해 중첩되며, 이와 같은 상태는 비교기(4)의 스위칭 포인트가 변위되어 펄스 열이 출력(5)에서 다른 마크 스페이스 비율을 갖게 되도록 한다. 그러나 그에 의해서는 출력(5)에서의 펄스 열과 기어 휠(1)의 작동 사이의 관계가 변조된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라, 특이한 방식으로 검출된 보정 신호가 결정 모듈로서 작용하는 비교기(4)에서 증폭기(3)의 출력 신호와 감산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직류 성분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제거는 예를 들어 증폭기(3)와 비교기(4) 사이에 접속된 감산기(6)을 이용하여 비교기(4)의 스위칭 임계값을 상응하게 변동시키거나 또는 - 도 1에 따른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 보정 신호를 증폭기(3)의 출력 신호로부터 감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보정 신호의 발생은 디지털 조절 장치(7)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되는 아날로그 증폭기(8) 및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9)의 삽입에 의해서 상기 조절 장치에 감산기(6)의 출력 신호가 제공된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9)는 실시예에서 트래킹-원리에 따라 동작한다. 이 목적을 위해 상기 변환기는 감산기(10)를 포함하며, 상기 감산기의 한 입력은 증폭기(8)의 출력과 연결된다. 감산기(10)의 출력은 비교기(12)의 한 입력과 결합되고, 상기 비교기의 다른 입력은 기준 전위(11)에 연결된다. 비교기(12)의 출력이 계수기(13)의 제어 장치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계수기(13)의 계수 방향이 제어된다. 계수기(13)는 또한 클럭 소스(14)와 접속된다. 계수기의 결과는 계수기(13)의 출력에서 분기될 수 있고, 2진 워드로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15)에 제공되며, 상기 변환기는 2진 워드로부터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소를 발생시킨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감산기(10)로 안내되어 그곳에서 제어 가능한 증폭기(8)의 출력 신호로부터 감산된다. 감산기(10), 비교기(12), 계수기(13), 클럭 발생기(14) 및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15)는 트래킹-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9)를 공동으로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계수기(13) 출력에서의 2진 워드는 언제나 증폭기(8)의 출력 신호에 후속되며, 상기 증폭기내에서 비교기(12)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15)에 의해 계수기(13) 출력에서의 2진 워드로부터 야기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증폭기(8) 출력에서의 신호보다 더 크거나 또는 더 작은지에 따라 계수기(13)의 계수 방향을 변동시키며, 그럼으로써 상기 2진 워드는 증폭기(8)의 출력에서의 신호를 추적한다.
계수기(13) 출력에서의 2진 워드는 또한 2개의 피크값 검출기(16 및 17)에 제공되며, 그 중에서 하나의 검출기(16)는 상대적인 최소값을 검출하고 다른 검출기(17)는 상대적인 최대값을 검출한다. 상기의 상대적인 최소값 및 최대값을 통해 결정되는 하부 및 상부 신호 피크는 중간값을 산출하기 위해서 연산 장치에 전달되며, 상기 산출 장치는 예를 들어 중간값 형성에 의해서 입력 신호의 제로 위치를결정한다. 상기 제로 위치는, 연산 장치(18) 뒤에 접속된 감산기(19)에 의해서 기준값과 비교된다. 상기 기준값은 마찬가지로 감산기(19)와 연결된 기준 장치(20)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이 때 상기 기준값은 기준 장치(20) 앞에 및 감산기(19) 뒤에 접속된 기준 제어 장치(21)에 의해서, 중간값을 위한 연산 장치의 값의 크기가 예정된 소정 범위 밖에 있을 때에 기준값이 변동되는 방식으로 종속적으로 변동된다.
감산기(19)의 출력은 또한 제어 장치(22)로 가이드되며, 상기 제어 장치는 감산기(19)에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 뒤에 접속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3)를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제어 장치(22)는 디지털 교정값을 발생시키며, 상기 교정값은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3)에 의해서 아날로그 교정 신호로 변환된다. 그 다음에 상기 교정 신호는 감산기(6)에 의해서 증폭기(3)의 출력 신호로부터 감산된다.
조절 장치(7)는 또한 제어 장치(24)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 장치의 출력측은 조절 가능한 증폭기(8)의 조절 입력과 연결되고, 입력측은 계수기(13)의 출력과 연결된다. 상기 제어 장치(24)는 예를 들어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지스터의 내용이 계수기(13) 출력에서의 2진 워드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2진 워드에 의해서 조절됨으로써, 계수기(13) 출력에서의 2진 워드의 대수화가 전체적으로 1번 이루어진다.
조절 장치(7)의 전체적인 기능은 하나의 시퀀스 조절 장치(25)에 의해서 조절된다. 상기 시퀀스 조절 장치(25)는 또한 타이머(26) 및 모니터링 장치(27)와연결된다. 상기 타이머(26)에 의해서 미리 주어진 소정 시간격내에 신호 변동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알기 위해 출력(5)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모니터링 장치(27)의 출력측은 비교기(4)의 출력과 연결된다. 상기 시간격 동안 변동이 검출되지 않으면, 증폭기(3)의 출력 신호에서 직류 성분의 새로운 측정이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먼저, 예를 들어 평가될 측정 신호의 증폭이 증폭시에 제어된다. 이 경우에는 먼저 최고 증폭으로부터 출발하며, 초과 제어시에는 더 이상 초과 제어가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해서 제어된다. 또한 증폭 제어시에는, 측정 신호가 소정 값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를 위해서 증폭의 상승이 예견될 수 있다. 상응하게 증폭된 측정 신호로부터 소정 타임 윈도우에 대한 순시 신호 파형이 검출된 다음에, 상기 신호 파형으로부터 상대적인 극단값이 검출된다. 예를 들어 제 1 상대 극단값은 고려되지 않은 채로 남겨지고 연속하는 제 2의 극단값이 비로소 평가를 위해서 사용됨으로써, 상기 상대 극단값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 신호 피크가 검출된다. 그밖에, 주변값으로부터 분명하게 벗어나는 상대적인 극단값만이 고려된다. 상기와 같은 평가는 예를 들어 소정의 타임 윈도우 내에서 에지 경사도 또는 진폭차를 평가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신호 피크를 검출한 후에는, 장애에 대한 안전도를 높일 목적으로 제 1 상부 신호 피크 또는 제 1 하부 신호 피크가 억제된다. 그 다음에 중간값, 즉 하부 피크와 상부 피크 사이의 정확하게 중간에 있는 값이 검출된다. 중간값의 형성은 또한 예를 들어 하부 신호 피크 및 상부 신호 피크의 진폭을 합산하여 그로부터 얻어지는 총합을 2로 나누는 방식으로 산술적인 중간값을 형성함으로써도 이루어질수 있다. 그 다음에는 예를 들어 감산에 의해서 중간값과 미리 주어진 기준값과의 차가 검출된다. 편차가 허용 임계값보다 크면,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편차를 감산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밖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가 또한 교정될 수 있으며, 상기 교정은 예를 들어 상기 편차가 미리 주어진 소정 범위 밖에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편차가 허용 임계값보다 크지 않으면, 기준 신호도 교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편차도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되지 않는다.
전술한 단계들은 연속으로 실행되거나 또는 소정 시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결정 모듈의 출력은 신호 변동을 고려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편차의 감산에도 불구하고 입력 신호가 극단의 값을 취할 정도로, 상기 편차가 큰 에러를 갖는 것이 방지된다. 그렇게 되면 결정 모듈은 상기 방향으로 "고정"될 것이고, 상기 결정 모듈의 출력 신호는 측정 신호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변동되지 않을 것이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방법에서는 먼저 순시 신호 파형이 검출되고, 상기 신호 파형으로부터 상부 신호 피크 및 하부 신호 피크가 검출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하부 신호 피크 및 상부 신호 피크로부터 중간값이 산출된다. 그 다음에 상기 중간값을 기준값으로부터 감산하여 중간값 및 기준값의 편차가 검출된다. 후속해서 상기 편차가 3가지 범위 중에서 하나의 범위에 속하게 된다. 하나의 범위는 작은 편차를 가지고, 제 2 범위는 평균 편차를 가지며, 마지막으로 제 3 범위는 더 큰 편차를 갖는다. 따라서 제일 먼저는, 상기 편차가 작은 편차를 갖는 제 1 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편차가 상기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편차가 평균 편차를 갖는 범위에 속하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이것도 또한 적합하지 않다면, 교정값이 상기 편차와 동일하게 세팅된다. 그와 반대로 편차가 중간 편차를 갖는 범위에 속한다고 검출되면, 상기 편차가 양인지가 체크된다. 즉, 상기 편차가 0보다 큰지가 체크된다. 편차가 0보다 크면, 교정값은 양의 상수와 같게 세팅되고, 편차가 0보다 작거나 0이면, 교정값은 음의 상수와 같게 세팅된다. 결국 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세팅된 교정값이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된다. 상기 개별 단계들은 연속으로 또는 차례로 실행될 수 있으며, 차례로 실행되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로부터 교정값을 감산한 후에 다시 순시 신호 파형의 검출이 개시된다.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먼저 순시 신호 파형이 재차 검출된 다음에 상부 신호 피크 및 하부 신호 피크가 검출되고, 상기 하부 신호 피크 및 상부 신호 피크로부터 중간값이 산출된 후에, 중간값과 기준값의 편차를 산출할 목적으로 상기 중간값이 기준값으로부터 감산된다. 그 다음에는 상기 편차가 임계값보다 더 큰지 아닌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편차가 임계값보다 더 크면, 표시 문자(flag)가 세팅되고 교정값은 편차와 같게 세팅된다. 그와 달리 편차가 임계값보다 더 작거나 같다면, 그 다음으로 상기 편차가 작은 임계값보다 더 작은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상기 편차가 작은 임계값보다 더 작다면, 상황에 따라 세팅된 표시 문자가 리세트되고 교정값은 0으로 세팅된다. 상기 편차가 작은 임계값보다 더 작지 않다면, 그 다음에 상기 표시 문자가 세팅되었는지 또는 세팅되지 않았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표시 문자가 세팅되었다면, 교정값은 편차와 같게세팅된다. 표시 문자가 세팅되지 않았다면, 상기 편차가 양인지 또는 음인지가 체크된다. 상기 체크 과정은, 상기 편차가 0보다 큰지에 대한 문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편차가 0보다 크다면, 교정값은 양의 상수와 같게 세팅된다. 편차가 0보다 크지 않다면, 교정값은 음의 상수와 같게 세팅된다. 이 경우 양의 상수 및 음의 상수의 크기는 같을 수도 있고, 소정의 경우에는 상이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개별적으로 세팅된 교정값이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된다. 상기 개별 단계들은 재차 연속적으로 또는 차례대로 실행되며, 차례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소정 시간 후에 또는 곧바로 실행 과정이 새롭게 개시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측면은, 측정값 센서와 스위칭 출력 사이의 신호 경로가 가급적 간단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병렬 분기내에 조절 가능한 증폭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증폭기의 출력은 다른 비교기 입력에 인가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의 출력의 출력 신호와 비교할 목적으로 비교기 입력에 연결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는, 발생되는 차분 신호가 비교기-전환 포인트 가까이에 있게 되도록 조절 회로내에 있는 하나의 로직에 의해서 조절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소위 트래킹-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가 형성된다. 그러나 또한 임의의 다른 모든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트래킹-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의 장점은, 특히 필터 및/또는 스캐닝-홀딩-부재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회로 기술적인 비용이 적게 소요되면서도 상기 변환기의 정확성이 높다는 것이다. 조절 가능한 증폭기의 고정 증폭으로부터 출발하면,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서 선형의 전송 곡선이 나타난다. 조절 가능한 증폭기의 가변증폭을 고려한다면, 대수 특성을 갖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가 얻어진다. 추가의 고려를 위해서는, 조절 가능한 증폭기가 2진 워드에 의해서 조절 가능하고 개별 증폭 팩터가 2진법으로 계층화된다는 것이 전제가 된다(1, 2, 4, 8, 16, ...). 이것은 비록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추가의 고려 및 실현을 위해서 매우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팩터 2만큼의 증폭 변동이 2진수의 이동에 의해서 간단하게 형성되고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조절 가능한 증폭기는, 증폭이 최대일 때 흥미를 유발하는 최소 입력 신호가 계속해서 충분히 정확하게 관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반대로 (증폭이 최소인 경우에는) 최대 입력 신호도 또한 후속하는 회로 성분을 초과 제어해서는 안 된다.
조절 가능한 증폭기 뒤에 접속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는 평가될 신호를 디지털화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가 6-비트-폭을 갖는 경우에는 64개의 등거리 값이 얻어진다. 증폭이 확대되면 재차 64개의 등거리 값이 얻어지고, 상기 값은 물론 입력 신호에 비해 더 작은 범위에 있다. 그럼으로써 신호가 매우 작을 때에는(= 증폭이 클 때에는) 2진 코드가 매우 조밀하게 배치되는 특성이 야기되는 한편, 신호가 클 때에는(= 증폭이 작을 때에는) 코드 간격이 더 크다. 개별 신호 진폭과 관련하여 증폭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분해도가 언제나 거의 동일하다. 이 경우는 신호가 이미 어느 정도 직류 성분으로부터 해방되었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분해도가 비교적 낮은 변환기에 의해서는 어떤 신호도 충분히 정확하게 관찰될 수 없다. 이것은 매우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분해도가 낮은 변환기의 구성이 훨씬 더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며, 그밖에 전환 시간도 훨씬 더 적다.
추가적으로는, 센서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임의의 직류 성분을 갖는 교류 신호라고 가정된다. 이 경우에는 직류 성분도 또한 교류 신호의 진폭보다 훨씬 더 클 수 있다.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는 전술한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 의해서, 조절 가능한 증폭기와 함께 충분히 정확하게 디지털화된다. 이 경우도 또한, 조절 장치 앞에 접속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와 조절 장치 뒤에 접속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사이의 관계가 공지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코드가 적어도 근사하게 상호 전환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출발한다. 그 다음에 하기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기본 단계들이 실행된다:
1. 필요하다면, 시스템 출력이(예컨대 도 1의 비교기(4)의 출력이) 차단되고, 그 다음에 순시 신호값이 구해진다. 이것은 조절 장치 뒤에 접속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및 비교기(4)가 (또는 조절 장치 앞에 접속된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의 출력값이 0이고 조절 가능한 증폭기의 증폭이 바람직하게 높은 경우에는 조절 장치 뒤에 접속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및 조절 장치 앞에 접속된 비교기가)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로서 접속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것은 트래킹-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에서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시간 절약의 목적으로 연속으로 근사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환 과정의 마지막에는, 조절 장치 뒤에 접속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내에 순시 신호값과 일치하는 값이 저장된다. 상기 값은 먼저 신호의 제 1 직류 성분으로서 간주된다. 그럼으로써 조절 가능한 증폭기의 실제 직류 성분과 무관하게 충분히 높은 증폭이설정될 수 있게 되고, 그와 더불어 상기 신호는 우수하게 디지털화될 수 있게 된다.
2. 추가의 파형에서는, 검출된 디지털 신호값이 분석되고 최소값 및 최대값이 조사된다. 이 경우 극단값은, 상기 극단값이 충분히 강하게 두드러진 경우에만 극단값으로 인정된다. 즉, 신호가 나중에 재차 분명하게 더 작아지는 경우에만 최대값이 최대값으로 인정된다. 상응하는 내용은 최소값에도 적용된다. 상기 조건은, 잡음 또는 기타의 시스템 장애로 인해 하나의 신호가 위장되는 것에 대해서 보호해준다. 이 경우에는 제 1 극단값이 억제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신호가 통상적으로는 진정한 극단값이 아니라 다만 관찰을 개시할 때의 곡선의 시작이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작은 신호들을 간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최대 증폭을 개시한다. 조절 장치 앞에 접속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를 고려하면, 오버플로우가 더 이상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증폭은 단계적으로 감소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발견된 극단값이 소거된다. 필요하다면, 극단값이 동시에 소거되는 구역-하이-스위칭의 상기 과정은 하기의 모든 방법 단계들로 바람직하게는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최소값 및 적어도 하나의 최대값이 발견된 경우에는, 다음의 방법 단계 3으로 넘어간다.
3. 발견된 상기 최소값 및 최대값은 하부 신호 피크 및 상부 신호 피크로서 평가되고, 그로부터 중간값이 산출된다. 그 다음에는, 원하는 스위칭 포인트를 나타내는 기준값과 상기 중간값의 편차가 검출된다. 조절 장치 뒤에 접속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를 위한 출력 워드가 상기 편차 만큼 보정된다. 이 때 비교기(4)의 출력은 개방된다. 이상적인 것은, 조절 장치 뒤에 접속된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가 정확하게 세팅되어 전체 시스템이 단 한번의 진동 후에 보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비이상적인 회로 기술로 인해 오프셋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고려해야만 한다. 따라서 다음 주기 내에서는 적어도 한 쌍의 추가 최소값 및 최대값이 결정된다. 그로부터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보정값이 비교기(4)의 에지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없는 방향으로 간다면, 단계 3이 반복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에지가 대기된다. 스위칭 장애가 가정되는 경우에는 언제나, 제어되지 않은 결과를 저지하기 위해서 관련 비교기가 단시간내에 "중단(disable)"된다. 최소값-최대값-검출이 진행되는 동안에 신호 진폭이 소정의 임계값 아래로 떨어진다고 검출되면, 교정값의 다음 변동시에는 조절 가능한 증폭기도 또한 감지 영역 내부로 접속된다. 이 경우 전환 기준은 바람직하게, 더 민감한 영역에서 영역 범람에 대한 또 하나의 일정한 안전 간격이 제공되도록 선택된다.
단계 3을 반복함으로써, 직류 성분의 경우에 따른 변동이 검출되고 보상된다. 이 경우에 고려해야 할 점은, 단계 3에서의 직류 성분의 모든 변동은 동시에 스위칭 임계값에서의 점프를 의미한다는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불연속되는 변동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스템을 위해서는 하기의 방법 단계들이 이용될 수 있다.
4. 직류 성분이 용인할 수 있는 소정 값 아래로 떨어지면, 단계 3은 중단된다. 직류 성분의 교정은, 상기 직류 성분이 상부 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비로서 다시 개시된다.
5. 직류 성분은 최소로 교정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직류 성분이 산출된 값만큼 교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만 2진값 1만큼만 교정된다(증가 또는 감소).
6. 대안적으로는, 직류 성분의 크기에 따라 단계 3(직류 성분이 클 때) 혹은 단계 5(직류 성분이 중간일 때)가 실행되거나 또는 어떤 단계도 실행되지 않는(직류 성분이 작을 때) 방식으로, 단계 3, 4 및 5가 조합될 수 있다.
7. 대안적으로는, 최소 직류 성분에 미달된 후에는 교정이 중단되고,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5가 실행되며, 추가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차 중단 임계값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 3이 실행되는 방식으로 단계 3, 4 및 5가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미리 주어진 소정 시간 동안 측정 신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비교기(4)의 출력 신호가 변동되지 않으면) 재차 단계 1이 개시되도록, 하부 한계 주파수가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조절 가능한 증폭기를 리세트하는 과정이 필요치 않다. 이와 같은 조치를 위해서, 시스템 에러의 조절이 대략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회로는 재차 독자적으로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대략적인 시스템 장애들은 예를 들어 유효 신호가 발생되지는 않지만 그와 동시에 강한 직류 성분 드리프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나타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복원되는 유효 신호도 또한 더 이상 출력 에지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조치에 의해서는 작동 안전성이 전체적으로 상승된다.

Claims (19)

  1. 교류 성분 이외에 입력 신호내에 포함된 직류 성분과 무관하게,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로서,
    상기 입력 신호는 서로 선택 가능한 고정 비율을 갖는 상부 신호 피크 및 하부 신호 피크를 가지며,
    상기 상부 신호 피크 및 하부 신호 피크를 검출하기 위한, 입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피크 검출기;
    하나의 기준값을 제공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기준 장치;
    적어도 하나의 신호 최소값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 최대값으로부터 중간값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기준 장치 및 피크 검출기 뒤에 접속된 연산 장치를 포함하고; 결정된 상기 중간값은 상부 신호 피크 및 하부 신호 피크의 산술적인 평균이거나 또는 선택 가능하게 고정된 전술한 비율이 가중된 평균이며,
    연산 장치에 의해 결정된 상기 중간값과 기준값의 비교에 의해서 상기 입력 신호의 신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비교 장치;
    비대칭 신호 위치가 상기 비교 장치에 의해서 검출될 때 하나의 보상 신호의 입력 신호의 직류 성분을 보상하기 위한, 입력측이 비교 장치 뒤에 접속되고 출력측이 결정 모듈과 연결된 제 1 제어 장치;
    기준값을 반대로 교정하기 위한, 입력측이 비교 장치 뒤에 접속되고 출력측이 기준 장치와 연결된 제 2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새로운 기준값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 중간값과 기준값 사이의 편차가 이용되며, 중간값을 위한 상기 연산 장치와 비교 장치 혹은 상기 비교 장치의 출력측 사이에 산출된 중간값을 스케일링하기 위한 수단이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정 장치를 구비한,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기준값을 반대로 교정하기 위한, 입력측이 비교 장치 뒤에 접속되고 출력측이 기준 장치와 연결된 제 2 제어 장치는, 중간값을 위한 연산 장치내에 있는 값의 크기가 미리 주어진 소정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 및 다만 그 경우에만 상기 기준값을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보정 장치가 조절 가능한 증폭기 앞에 접속되고,
    보정 장치내에 저장된 신호의 순시값에 따라 증폭기의 증폭을 조절하기 위해, 증폭기의 제어 입력이 상기 보정 장치의 제어 출력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장치가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보정 장치 앞에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가 접속되고, 상기 보정 장치 뒤에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5. 제 1항, 2항,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증폭이 2진 워드에 의해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가 하부 한계 주파수를 가지며,
    결정 모듈의 출력이 상기 보정 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결정 모듈 및 타이머를 위한 보정 장치 및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 장치는 신호 변동을 고려하여 결정 모듈의 출력을 모니터링하고, 타이머에 의해 결정된 시간 동안 신호 변동이 중단될 때에는 직류 성분의 검출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장치.
  7. 교류 성분 이외에 입력 신호내에 포함된 직류 성분과 무관하게,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 신호는 서로 선택 가능한 고정 비율을 갖는 상부 신호 피크 및 하부 신호 피크를 가지며,
    a) 상기 입력 신호의 순시 신호 파형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신호 파형의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c) 적어도 하나의 신호 최소값 및 적어도 하나의 신호 최대값으로부터 중간값을 산출하는 단계로서, 결정된 상기 중간값은 상부 신호 피크 및 하부 신호 피크의 산술적인 평균이거나 또는 선택 가능하게 고정된 전술한 비율이 가중된 평균이며;
    d) 직류 성분을 재생하는, 미리 주어진 목표값과 상기 중간값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편차를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a) 입력 신호의 순시 신호 파형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
    b) 개별 신호 파형에서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대값으로부터 청구항 7에 따른 중간값을 산출하는 단계;
    d) 미리 주어진 목표값과 상기 중간값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편차를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a) 입력 신호의 순시 신호 파형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
    b) 개별 신호 파형에서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대값으로부터 청구항 7에 따른 중간값을 산출하는 단계;
    d) 미리 주어진 목표값과 상기 중간값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편차를 허용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f) 상기 편차의 크기가 허용 임계값을 초과하였을 때에는 상기 편차를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a) 입력 신호의 순시 신호 파형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
    b) 개별 신호 파형에서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대값으로부터 청구항 7에 따른 중간값을 산출하는 단계;
    d) 미리 주어진 목표값과 상기 중간값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편차를 0과 비교하는 단계; 및
    f) 편차가 0보다 클 때에는 소정의 상수값을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하고, 편차가 0보다 작을 때에는 소정의 상수값을 입력 신호에 가산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a) 입력 신호의 순시 신호 파형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
    b) 개별 신호 파형에서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대값으로부터 청구항 7에 따른 중간값을 산출하는 단계;
    d) 미리 주어진 목표값과 상기 중간값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편차를 0과 비교하는 단계;
    f) 상기 편차의 크기를 큰 편차, 중간 편차 및 작은 편차와 같은 3가지 편차 범위 중에서 하나의 범위에 상응하게 할당하는 단계; 및
    g) 편차가 어떤 범위에 할당되는지에 따라 편차 또는 상수값을 감산하거나 또는 아무 값도 감산하지 않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a) 입력 신호의 순시 신호 파형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
    b) 개별 신호 파형에서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대값을 검출하는 단계;
    c) 상기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대값으로부터 청구항 7에 따른 중간값을 산출하는 단계;
    d) 미리 주어진 목표값과 상기 중간값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e) 상기 편차를 0과 비교하는 단계;
    f) 상기 편차를 큰 임계값 및 작은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g) 편차가 작은 임계값에 미달될 때에는 입력 신호를 변동없이 유지하고, 편차가 작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한편으로 상기 편차가 0보다 작으면 상수값을 입력 신호에 가산하거나 또는 다른 한편으로 상기 편차가 0보다 크면 상수값을 입력 신호로부터 감산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7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가 하부 한계 주파수를 가지고,
    신호 변동을 고려하여 결정 모듈의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하며,
    소정 시간 동안 신호 변동이 중단될 때에는 직류 성분의 새로운 검출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7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정 동안에는 결정 모듈의 출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7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 파형이 극단값에서 소정 값만큼 변동되는 경우에만 신호 파형의 상대적인 극단값을 피크값으로서 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7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신호 피크는 평가하지 않고, 단지 후속하는 신호 피크(들)만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7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먼저 높은 증폭을 실행하여 상기 증폭이 초과 조절된 경우에는 초과 조절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을 때까지 증폭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결정하기 전에 신호 파형을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7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 진폭을 검출하여 진폭 임계값과 비교하고,
    증폭이 비교적 높은 경우, 신호 진폭이 소정 값 아래로 떨어지면 신호를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7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중 중간값을 형성하여 상기 신호 최소값 및 신호 최소값으로부터 하기 일반식에 따라 중간값을 결정하며,
    상기 식에서 A는 신호 최대값이고, B는 신호 최소값이며, x,y는 가중 계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04024A 1998-09-29 1999-09-28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방법 KR20010079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4663A DE19844663C2 (de) 1998-09-29 1998-09-29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von Schaltpunkten eines Entscheiders
DE19844663.2 1998-09-29
PCT/DE1999/003118 WO2000019282A2 (de) 1998-09-29 1999-09-28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von schaltpunkten eines entschei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956A true KR20010079956A (ko) 2001-08-22

Family

ID=788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024A KR20010079956A (ko) 1998-09-29 1999-09-28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62683B2 (ko)
EP (1) EP1116076A2 (ko)
JP (1) JP3638520B2 (ko)
KR (1) KR20010079956A (ko)
DE (1) DE19844663C2 (ko)
WO (1) WO20000192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8275B2 (en) 2000-08-02 2005-03-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data in a motor vehicle
DE10129945B4 (de) * 2000-08-02 2008-11-1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Datenübertragung in einem Kraftfahrzeug
EP1288554A1 (de) 2001-08-28 2003-03-05 Polypress Rohrsysteme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Rohr
DE10141331B4 (de) * 2001-08-28 2004-11-18 Zentrum Mikroelektronik Dresden Ag Verfahren zur Offsetkalibrierung eines Sensorsignals und Sensoranordn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04027800B4 (de) * 2004-06-08 2006-04-06 Fag Kugelfischer Ag & Co. Oh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zur Ermittlung von Betriebsparametern in einem Wälzlager sowie hiermit auswertbares Wälzlager
DE102004038370B4 (de) 2004-08-06 2009-06-25 Austriamicrosystems Ag Adaptive Regelvorrichtung, Verwendung der Regelvorrichtung, Sensor mit einer derartigen Regelvorrichtung und adaptives Verfahren zur Selbstkompensation von Störsignalen eines Sensors
JP4578451B2 (ja) * 2006-09-15 2010-11-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DE102009019645B4 (de) * 2008-05-02 2016-09-15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mit Signalversatzschätzung
US8183856B2 (en) 2008-05-02 2012-05-22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including signal offset estimation
JP5408980B2 (ja) * 2008-06-26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2値化回路及び回転検出装置
DE112010005302B4 (de) * 2010-02-23 2014-10-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gitalisierungsschaltung zur Verarbeitung eines Erfassungssignals
DE102010019485B4 (de) 2010-05-05 2012-10-31 Austriamicrosystems Ag 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ensoranordnung
DE102010019484B9 (de) * 2010-05-05 2012-12-06 Austriamicrosystems Ag 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ensoranordnung
US10102992B2 (en) * 2014-02-25 2018-10-16 Infineon Technologies Ag Switching apparatus, switching system and switching method
US9746345B2 (en) 2014-10-17 2017-08-29 Tdk-Micronas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otation angle of a rotor
DE102015107221B4 (de) * 2015-05-08 2018-04-12 Sick Ag Elektromagnetischer Näherungssensor und Verfahren zur Erfassung eines Zielobjekts
DE102019212639A1 (de) * 2019-08-23 2021-02-25 Robert Bosch Gmbh Regelvorrichtung, Schaltwandler und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Ausgangsgröß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45815A1 (de) * 1972-09-19 1974-03-28 Bodenseewerk Perkin Elmer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dentifizierung und auswertung von peaks in chromatogrammen
US4318617A (en) * 1979-12-14 1982-03-09 Keuffel & Esser Company DC Shift error correction for electro-optical measuring system
JP2685050B2 (ja) 1986-06-11 1997-12-03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パレータ回路
GB8631011D0 (en) * 1986-12-30 1987-02-04 Secr Defence Level-detecting circuits
US5210712A (en) 1990-09-29 1993-05-11 Anritsu Corporation Waveform shaping circuit and digital signal analyz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28902C (zh) * 1990-10-25 1995-06-14 罗斯蒙德公司 多功能可调变换器
US5144233A (en) 1991-08-30 1992-09-01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Crankshaft angular position voltage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daptive control and diode control
JPH0658772A (ja) * 1992-08-07 1994-03-04 Yaskawa Electric Corp エンコーダ信号処理回路
JPH07218288A (ja) * 1994-01-28 1995-08-18 Mitsubishi Electric Corp 絶対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誤差補正方法
JP3026949B2 (ja) * 1997-05-12 2000-03-2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エンコーダのオフセット補正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43151A1 (en) 2001-11-22
EP1116076A2 (de) 2001-07-18
DE19844663C2 (de) 2000-09-21
US6462683B2 (en) 2002-10-08
WO2000019282A3 (de) 2000-06-08
WO2000019282A2 (de) 2000-04-06
JP2002526747A (ja) 2002-08-20
DE19844663A1 (de) 2000-04-06
JP3638520B2 (ja) 200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9956A (ko) 결정 모듈의 스위칭 포인트를 조절하기 위한 회로 장치 및방법
JP4277887B2 (ja) エンコーダ信号の補正回路
JP4896150B2 (ja) 電子式電力量計
US65561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encoder resolution
US10309804B2 (en) Encoder signal processor having automatic adjustment function
US8912929B2 (en) Correction value derivation apparatus, displacement amount derivation apparatus, control apparatus, and correction value derivation method
JP2008058252A (ja) エンコーダ信号の補正回路
US11725964B2 (en) Position sensor system, particularly for detecting rotary movement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a position sensor system
US6768956B2 (en) High precision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error contained in signal
US7656330B2 (en) Automatic range shift system and method for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US6636033B2 (en)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of a sensor apparatus
US20010013775A1 (en) Technique for sensing the rotational speed and angular position of a rotating wheel
US6826503B2 (en) Physical quantity detection equipment
US9212934B2 (en)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sensor arrangement
JP2010518366A (ja) パルス識別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3578928B1 (en) Position encod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failure status of such arrangement
JP2002228488A (ja) エンコーダ出力信号の自動調整装置および自動調整方法
JP3124542B2 (ja) 周期信号識別用アダプティブ回路
US5805090A (en) Displacement amount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9217652B2 (en)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sensor arrangement
JP2002243501A (ja) エンコーダ出力信号の自動調整装置
US20230231502A1 (en) Positio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error of a position sensor system
JP3473197B2 (ja) 電子天びん
WO2020250309A1 (ja) 誤差検出回路
KR0131374B1 (ko) 위치설정 제어장치의 이동속도 검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