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696A - 다기능 좌식 싱크대와 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좌식 싱크대와 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696A
KR20010077696A KR1020000005667A KR20000005667A KR20010077696A KR 20010077696 A KR20010077696 A KR 20010077696A KR 1020000005667 A KR1020000005667 A KR 1020000005667A KR 20000005667 A KR20000005667 A KR 20000005667A KR 20010077696 A KR20010077696 A KR 20010077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countertop
space
multifunctional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섭
이광섭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명섭
주식회사 라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섭, 주식회사 라이스트 filed Critical 이명섭
Priority to KR1020000005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7696A/ko
Publication of KR20010077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6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83/021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02Adjustable furniture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47B2220/0097Remote control for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조리준비 및 설거지 작업을 편안히 앉은 자세로 할 수 있고 상기 작업과 동시에 전화통화, 텔레비전 시청, 라디오 청취, 오디오 감상, 출입문 제어 등의 오락/정보통신/홈오토와 같은 부가활동을 안정된 자세로 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 좌식 싱크대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다기능 좌식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개수대가 설치된 싱크대에서는, 개수대 사이에 조리대를 두고, 조리대 아래의 공간을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한 개의 개수대가 설치된 싱크대에서는, 개수대에 직접 인접한 조리대 아래의 공간을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며, 상기 조리대에 앉아서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는 장소에 전화수화기, 라디오, 텔레비전/오디오 리모컨, 출입문제어버튼 등의 설치/수납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히 앉은 자세로 조리준비 또는 설거지 작업을 함과 동시에 오락/정보통신/홈오토 등의 부가활동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좌식 싱크대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다기능 좌식 싱크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다기능 좌식 싱크대는 조리준비나 설거지 작업을 선 자세로 계속 할 경우 다리와 허리의 신체 기능이 특히 취약한 장애인과 노약자 및 직업적인 식당 종사자 뿐 아니라 일반 가사 종사자에게까지 불편과 고통,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만성적인 관절염이나 요통과 같이 영구히 회복불능한 고질병을 초래하는 종래 입식 싱크대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오락/정보통신/홈오토와 같이 부가적이고 첨단적인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그 편리성과 응용가능성이 지극히 높다.

Description

다기능 좌식 싱크대와 설계 방법 {Multi-functional Kitchen System Equipped with a Chair and The System Designing Method}
본 발명은 주방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조리준비 및 설거지 작업을 편안히 앉은 자세로 할 수 있고 작업과 동시에 전화통화, 텔레비전 시청, 라디오 청취, 오디오 감상, 출입문 제어 등의 오락/정보통신/홈오토와 같은 부가활동을 안정된 자세로 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 좌식 싱크대의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다기능 좌식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방 싱크대는 설거지, 조리준비 및 조리를 하기 위하여 한쌍 또는 한 개의 개수대, 조리대 및 식기나 각종 주방 기기의 설치/수납공간으로 구성되어 일자형, ㄱ자형, ㄷ자형 등 다양한 배치 형태를 가지며, 설거지나 조리준비 작업을 선 자세로 하도록 되어 있는 입식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거지나 조리준비 작업을 선 자세로 해야 하는 입식 싱크대는 다리와 허리의 신체기능이 특히 취약한 장애자나 노약자, 장시간 설거지나 조리준비 작업을 해야 하는 직업적인 식당종사자 뿐 아니라 일반 가사종사자에게도 적지 않은 불편과 통증을 초래하고 있다.
장애자나 노약자는 다리와 허리의 신체기능이 특히 취약하여 무언가에 의지하지 않고서는 전혀 서 있는 자세를 취하거나 유지할 수 없는 상태에 있거나 독자적으로 서 있는 자세를 취하고 유지할 수 있다 하더라도 설거지나 조리준비 작업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장시간 동안 서 있는 자세를 유지할 경우 다리나 허리에 심각한 통증이 야기되는 상태에 처해 있다. 그럼에도 가사노동, 특히 그 중에서도 비중을 많이 차지하는 설거지, 조리준비 및 조리와 같은 주방 작업을 주변의 도움없이 혼자서 감당해야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몸이 불편한 장애자나 노약자에게 선 자세로 작업을 하도록 하는 종래의 입식 싱크대는 심각한 고통을 안겨주고 있다.
그리고, 식당종사자와 같이 직업 특성상 입식 싱크대에서 장시간 선자세로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그 종사 기간이 짧을 때에는 일정 기간 동안의 고통을 감수하는 것으로 끝날 수도 있지만 그 기간이 길 때에는 만성관절염, 만성요통 등과 같이 영원히 회복하기 힘든 고질적 직업병이 발생하여 심각한 고통에 시달릴 수도 있다.
그런가 하면, 다리나 허리 기능이 정상적인 일반 가사종사자도 명절이나 관혼상제 등 가족친지들이 많이 모이는 집안 행사를 치러야 하는 경우에는 입식 싱크대에서 선 자세로 주방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 당시 또는 그 이후 일정 기간 동안 심신의 피로와 고통을 느끼기 일쑤이고, 평소에도 입식 싱크대에서 1일 2식 또는 3식을 위한 조리준비나 설거지 작업을 매일 반복 수행해야 하므로 그 부담이 적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사정은 선 자세로 조리준비나 설거지와 같은 주방작업을 하도록 하는 입식 싱크대가 주방작업을 하는 그 직접적인 사용자 뿐 아니라 그 가족친지 등 주변인들에게도 적지 않은 경제적 및 정신적 부담을 지우고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산업화시대가 정보화시대로 급속히 발전해나감에 따라 오로지 조리준비나 조리 및 설거지 작업만을 하던 전통적인 주방이 그러한 작업과 동시에 오락/정보통신/홈오토와 같이 부가적이고 첨단적인 활동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모습으로 빠르게 바뀌어가고 있다.
그러나, 선 자세로 작업을 해야 하는 종래의 입식 싱크대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그와 같이 부가적이고 첨단적인 활동을 안정적인 자세로 하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흔히 일어나는 상황으로 조리준비나 설거지 작업을 하는 도중 외부에서 걸려온 전화를 받아야 하는 사정이 발생하면 작업을 중단하고, 거실 등 전화 수화기가 있는 장소까지 이동해서 전화를 받아야 하므로 작업이 힘들어지거나 전화를 받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이 경우 설령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주방에서 전화를 받는다 하더라도 작업을 중단한 채 전화를 받아야 하는 사정이나 불편하게 선 자세로 전화를 받아야 하는 사정은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이와 같이, 입식 싱크대는 정보화시대에 알맞은 새로운 주방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서도 주요한 장애물의 하나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편안히 앉은 자세로 조리준비나 설거지 등 전통적인 주방작업 뿐 아니라 오락/정보통신/홈오토와 같이 부가적이고 첨단적인 활동도 동시에 할 수 있게 하는 다기능 좌식 싱크대의 설계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다기능 좌식 싱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입식 싱크대의 구조 및 공간배치 형태를 바꾸어 싱크대에 의자를 결합 배치하여 활용케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의자에 앉은 편안한 자세로 조리준비나 설거지 등 여러 작업과 부가활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좌식 싱크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도 2, 도 3은 한 쌍의 개수대 사이에 조리대가 설치되고, 조리대 아래공간에 의자가 부착된 서랍식 장치가 갖추어진 좌식 싱크대의 개략도, 정면투시도,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의자가 부착된 서랍식 장치의 세부 개략도.
도 5는 도 1의 좌식 싱크대에 조리재료를 보관하기 위한 콤팩트형 냉장고를 한쪽 개수대 아래 공간에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도 1의 좌식 싱크대에서 한쪽 개수대의 아래 공간에는 콤팩트형 냉장고, 다른 쪽 개수대의 아래 공간 중 그 위쪽에는 오락/정보통신/홈오토 기기 및 리모컨을 설치/수납하는 칸, 그 아래쪽에는 칼, 도마 등 조리준비도구를 설치/수납하는 칸을 각각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도 1의 좌식 싱크대에 앉은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이동식 그릇받이가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는 한 개의 개수대가 있는 경우 조리대가 개수대에 직접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조리대 아래 공간에 의자가 부착된 서랍식 장치가 갖추어진 좌식 싱크대의 정면투시도.
도 9은 도 4의 서랍식 장치에 보조조리대가 부착되어 의자와 보조조리대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한 쌍의 개수대 사이에 있는 조리대가 벽면 방향으로 볼록하게 들어간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11...개수대 20...조리대
21...조리대하단 서랍식문 22...서랍식문 손잡이
30...의자 31...의자레버
32...회전바퀴 33...의자연결축
34...의자축 40...냉장고
41...냉장고 손잡이 50...정보통신 기기/리모컨 설치/수납칸
60...조리준비도구 설치/수납칸 70...그릇받이
71...그릇받이 회전축 80...보조조리대
81...회전연결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개수대(10, 11)가 설치된 싱크대에서는 개수대(10, 11) 사이에 조리대(20)를 두고, 조리대 아래의 공간을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한 개의 개수대(10)가 설치될 경우에는 개수대(10)에 직접 인접한 조리대(20) 아래의 공간을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상기 조리대에 앉아서 쉽게 손이 닿는 장소에 전화수화기, 라디오, 텔레비전/오디오 리모컨, 출입문 제어버튼 등의 설치/수납공간(50)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히 앉은 자세로 조리준비나 설거지 작업을 하면서 오락/정보통신/홈오토 등의 부가활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좌식 싱크대 설계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다기능 좌식 싱크대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조리준비나 설거지 작업과 같은 싱크대 사용의 핵심작업을 종래의 입식 싱크대에서와 같이 선 자세가 아니라 편안히 앉아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그와 같이 앉을 수 있는 자세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로서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 공간은 어디까지나 상기 작업을 편안히 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이어야 한다는 엄격한 제약성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한 쌍의 개수대(10, 11)를 가진 싱크대에서는,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는 상기의 공간으로 개수대(10, 11) 사이에 조리대(20)를 두고 그 아래의 공간을 활용하도록 싱크대의 공간배치를 설계하는 방법으로써 상기 제약성의 문제를 해결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계된 싱크대는 도 1의 실시 예와 같이, 싱크대의 상판에는 한 쌍의 개수대(10, 11) 사이에 조리대(20)가 배치되고, 그 조리대(20) 아래 공간은 별도의 주방기기 수납공간 등으로 활용되지 않도록 바닥에서 조리대까지의 내부가 비워진 상태에서 의자가 부착된 서랍식 장치와 결합되는 구조를 취한다.
서랍식 장치는 도 4의 실시 예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싱크대 전체의 하단 마감재와 동일하거나 조화를 이루도록 마감되고 바닥면에서 미세한 정도로 격리된 서랍식 문(21)과, 문(21)의 개폐나 서랍식 장치의 이동시 서랍식 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4개의 전방위 회전바퀴(32)가 달려있고 사용자가 앉으면 아래로 내려가서 바닥에 지지되고 사용자가 일어서면 위로 올라가서 바닥으로부터 격리되는 회전축(34)이 있으며 아래로 누르면 의자 상판이 올라가고 위로 끌어당기면 의자 상판이 내려가도록 하는 레버(31)가 부착된 회전의자(30)가 연결축(33)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결합된 장치를 이루도록 하는 방법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설계 방법으로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진 사용자가 일단 싱크대에 앉아서 가장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자세와 조건을 확보한 후, 조리준비나 설거지 작업의 전과정을 앉은 자세에서 시작하여 완료할 수 있게 하는 보조 요소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우선, 조리준비 작업이 가능하도록 조리재료와 조리준비 도구를 앉아서 손이 쉽게 닿는 범위 내에 배치하는 설계 방법을 취한다.
본 발명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개수대(10, 11) 중 한 개수대의 아래 공간을 콤팩트형 냉장고(40)의 설치/수납공간으로 배치하여 고기/생선/야채 등의 조리재료를 보관하도록 설계하여 사용자가 싱크대 의자(30)에 앉은 자세에서 약간의 몸동작만 취해도 조리재료를 쉽게 끄집어내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개수대(10, 11) 중 한 개수대(11)의 아래 공간에는 상기 콤팩트형 냉장고(40)를 설치/수납하도록 하고 다른 개수대(10)의 아래 공간 중 그 위쪽에는 필요한 배선 및 단자 등을 갖추고 오락/정보통신/홈오토 기기 및 리모컨을 설치/수납하는 칸(50), 그 아래쪽에는 칼, 도마 등 조리준비도구를 수납하는 칸(60)이 각각 위치하도록 설계하여 사용자가 싱크대 의자(30)에 앉은 자세에서 약간의 몸동작만 취해도 조리재료, 조리준비도구 및 오락/정보통신/홈오토 기기/리모컨을 쉽게 끄집어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리준비를 위하여 필요한 모든 요소와 오락/정보통신/홈오토 기기/리모컨의 설치/수납공간을 사용자가 싱크대 의자(30)에 앉은 자세에서 손이 닿는 범위 내에 배치함으로써 조리준비 작업 및 부가적 첨단 활동을 사용자가 편안히 앉은 자세로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설거지 작업을 앉은 자세에서 완료하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되는 그릇받이(70)를 도 7의 예와 같이 싱크대 상판의 한 개수대(11)에 인접한 부분에 회전축(71)을 설치하고 그 회전축(71)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싱크대 의자(30)에 앉은 자세에서 쉽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설거지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 설거지한 그릇을 즉시 그릇받이(70)에 올려놓을 수 있게 하는 설계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작업 도중 그릇받이(70)를 회전시켜 인접한 개수대(11) 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할 경우 막 설거지한 그릇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개수대에 떨어지도록 하여 자연 처리할 수 있게 되고, 설거지 작업이 완료되거나 약간의 시간이 경과하여 설거지한 그릇의 물이 마른 후 개수대(11) 위로 이동한 그릇받이(70)를 다시 벽면 쪽으로 회전시켜 놓으면 평소 싱크대의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이 설계 방법은 한 쌍의 개수대(10, 11)가 설치된 싱크대에 대해서 뿐 아니라 한 개의 개수대(10)가 설치된 싱크대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도 8의 예와 같이 한 개의 개수대(10)가 설치된 싱크대에서는 개수대(10)에 직접 인접한 조리대(20) 아래의 공간을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설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조리준비나 설거지 작업을 할 때 조리대가 더 필요하다는 점을 예상하여 도 9의 예와 같이 도 4의 서랍식 장치 내부에 보조조리대(80)를 장착하고 문(21)과 연결축(81)으로 연결해놓음으로써 의자(30)를 사용할 때 보조조리대(80)를 동시에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서랍식 장치는 의자와 보조조리대를 갖춘 여닫이식 구조의 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이와 같이 제시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원리와 취지를 구현하면서 다양하게 변형된 의자장치를 예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한 쌍의 개수대(10, 11) 사이 또는 한 개의 개수대(1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조리대(20)가 싱크대 하단의 외부 마감면와 같은 평면 형태로 마감될 경우 다양한 신체조건을 가진 사용자가 조리준비나 설거지 작업을 가장 편안하게 앉아서 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예상하여 도 10의 예와 같이 조리대(20)와 의자장치의 마감면(21)이 싱크대 하단의 외부 마감면에서 벽면 방향으로 타원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볼록하게 들어간 구조로 설계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다기능 좌식 싱크대의 설계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설계된 다기능 좌식 싱크대는 조리준비나 설거지와 같은 주방작업을 선 자세로 계속 할 경우 다리와 허리의 신체 기능이 특히 취약한 장애인과 노약자 및 직업적인 식당종사자 뿐 아니라 일반 가사종사자에게까지 불편과 고통,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만성관절염, 만성요통 등과 같이 영구히 회복하기 어려운 심각한 고질병을 초래하는 종래 입식 싱크대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오락/정보통신/홈오토와 같이 부가적이고 첨단적인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어 그 편리성과 응용가능성이 지극히 높다.

Claims (12)

  1. 한 쌍의 개수대(10, 11)가 설치된 싱크대에서 개수대(10, 11) 사이에 조리대(20)를 두고, 조리대(20) 아래의 공간을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구조를 갖추고, 상기 조리대(20)에 앉아서 쉽게 손이 닿는 장소에 조리재료를 보관하는 냉장고, 조리준비도구 수납공간, 그릇받이 및 오락/정보통신/ 홈오토 활동을 위한 기기/리모컨의 설치/수납 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은 자세로 조리준비 또는 설거지 작업을 하면서 오락/정보통신/홈오토와 같은 부가활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좌식 싱크대의 설계방법
  2. 제 1항의 방법으로 설계된 다기능 좌식 싱크대
  3. 제 2항에 있어서, 싱크대의 상판에는 한 쌍의 개수대(10, 11) 사이에 조리대(20)가 배치되고, 그 아래 공간은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도록 바닥에서 조리대(20)까지의 내부가 비워진 상태에서 회전의자(30)가 부착된 서랍식 장치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다기능 좌식 싱크대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조리재료를 보관하는 콤팩트형 냉장고(40)를 한 쌍의 개수대(10, 11) 중 어느 한 개수대의 아래 공간에 설치/수납한 다기능 좌식 싱크대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조리재료를 보관하는 콤팩트형 냉장고(40)를 한 쌍의 개수대(10, 11) 중 어느 한 개수대의 아래 공간에 설치하고, 다른 개수대의 아래 공간은 아래위로 나누어 그 위쪽 공간(50)에는 필요한 배선과 단자 등을 갖추고 오락/정보통신/홈오토 활동을 위한 기기/리모컨을 설치/수납하고, 그 아래쪽 공간(60)에는 조리준비도구를 설치/수납하도록 한 다기능 좌식 싱크대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싱크대 상판의 한 개수대(11)에 인접한 부분에 회전축(71)을 설치하고 그 회전축(71)에 그릇받이(70)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싱크대 의자(30)에 앉은 자세에서 상기 그릇받이(70)를 회전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좌식 싱크대
  7. 제 6항에 있어서, 그릇받이(70)를 인접한 개수대(11) 위로 회전시켜 그릇받이(70)에 놓여진 그릇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개수대(11)에서 자연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좌식 싱크대
  8. 한 개의 개수대(10)가 설치된 싱크대에서 개수대(10)와 직접 인접한 조리대(20) 아래의 공간을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구조를 갖추고, 상기 조리대(20)에 앉아서 쉽게 손이 닿는 장소에 조리재료를보관하는 냉장고, 조리준비도구 수납공간, 그릇받이 및 오락/정보통신/홈오토 활동을 위한 기기/리모컨의 설치/수납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히 앉은 자세로 조리준비 또는 설거지 작업을 하면서 오락/정보통신/홈오토와 같은 부가활동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좌식 싱크대의 설계 방법
  9. 제 8항의 방법으로 설계된 다기능 좌식 싱크대
  10. 제 9항에 있어서, 개수대(10)와 인접한 조리대(20)의 아래 공간이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도록 바닥에서 조리대(20)까지의 내부가 비워진 상태에서 회전의자(30)가 부착된 서랍식 장치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다기능 좌식 싱크대
  11. 제 3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서랍식 장치에 보조조리대(80)를 장착하고 회전연결축(81)으로 문(21)과 연결하여 사용자가 의자(30)에 앉아 주방작업을 할 때 보조조리대(80)를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기능 좌식 싱크대
  12. 제 2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다리나 의자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의 조리대와 그 조리대 하단의 마감면이 벽면 방향으로 여러 가지 형태로 볼록하게 들어가도록 설계된 다기능 좌식 싱크대
KR1020000005667A 2000-02-07 2000-02-07 다기능 좌식 싱크대와 설계 방법 KR20010077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667A KR20010077696A (ko) 2000-02-07 2000-02-07 다기능 좌식 싱크대와 설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667A KR20010077696A (ko) 2000-02-07 2000-02-07 다기능 좌식 싱크대와 설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696A true KR20010077696A (ko) 2001-08-20

Family

ID=1964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667A KR20010077696A (ko) 2000-02-07 2000-02-07 다기능 좌식 싱크대와 설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76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548A (ko) 2015-07-14 2017-01-24 (주) 알에스산업 받침수단을 구비한 싱크대
WO2019227973A1 (zh) * 2018-05-31 2019-12-05 广东力王厨房用品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操作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548A (ko) 2015-07-14 2017-01-24 (주) 알에스산업 받침수단을 구비한 싱크대
WO2019227973A1 (zh) * 2018-05-31 2019-12-05 广东力王厨房用品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操作方法
US11969106B2 (en) 2018-05-31 2024-04-30 Liveon Industrial Co., Ltd. Intelligent cooking oper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126A (en) Sink for seated user
KR200197009Y1 (ko) 다기능 좌식 싱크대
KR20010077696A (ko) 다기능 좌식 싱크대와 설계 방법
JP3127618U (ja) 車椅子用シンク
KR20180137903A (ko)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
KR101537546B1 (ko)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JPH02213307A (ja) 食卓装置
CN210018468U (zh) 烹饪橱柜、烹饪套件和洗涤装置
JP2006068415A (ja) アイランド型の厨房家具
CN214905054U (zh) 一种带有水槽的烹饪中心
CN210630869U (zh) 厨房用具支承装置、烹饪橱柜、灶台装置和洗涤装置
JPH05277016A (ja) キッチンの流し台設備を有するユニット
JP3077784U (ja) 調理台装置
JP3050003U (ja) キッチンテーブル
JP2002125780A (ja) 流し台
CN106073238A (zh) 一种多用途柜子
KR200285235Y1 (ko)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JP2003180460A (ja) 台所用流し台
JP2001169844A (ja) シンク構造及び流し台
JPH1033280A (ja) 円型キッチン
JP2000217650A (ja) シンク付きカウンタ
JPH04279108A (ja) 流し台
JPH04307003A (ja) 流し台
CN110553289A (zh) 灶台装置和烹饪套件
CN110547614A (zh) 厨房用具支承装置、烹饪橱柜、灶台装置、烹饪套件和洗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