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546B1 -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 Google Patents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546B1
KR101537546B1 KR1020140124617A KR20140124617A KR101537546B1 KR 101537546 B1 KR101537546 B1 KR 101537546B1 KR 1020140124617 A KR1020140124617 A KR 1020140124617A KR 20140124617 A KR20140124617 A KR 20140124617A KR 101537546 B1 KR101537546 B1 KR 101537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poon
sole
pot
sauce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재욱
Original Assignee
백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재욱 filed Critical 백재욱
Priority to KR1020140124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탁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냄비 받침대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는, 냄비 하부를 지지하는 냄비 받침대; 및 냄비 받침대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 고정되고, 수저를 지지하는 수저 받침대;를 포함하되, 수저 받침대는, 숟가락을 지지하는 제1 거치부; 및 제1 거치부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젓가락을 지지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뜨거운 냄비 등을 받치는 냄비 받침대는 꼭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식탁 한 켠에 두며 사용하는 반면 수저 받침대는 일반적으로 수납장 등에 보관을 함으로써 꺼내기 귀찮고 불편하여 식사시 일반가정에서 거의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로 인해 숟가락과 젓가락이 식탁에 직접 접촉을 하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고 미관상 지저분해 식감을 떨어뜨린다. 이에 수저 받침대를 어떻게 하면 식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까라는 연구를 하게 되었고 그 결과 식탁에 항상 놓여있는 냄비 받침대에 수저 받침대를 붙어있게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식사시 수저 받침대의 활용도를 자연스럽게 높아지게 하였다.

Description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Saucepan support having spoon support}
본 발명은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탁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냄비 받침대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저 받침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받치는 도구로 대부분의 가정에서 구비하고 있는 주방기구이지만 식사시 꺼내고 세팅하는게 귀찮고 불편하여 거의 사용하지 않는게 현실이다. 따라서, 식사시 음식물이 묻은 수저가 식탁면에 직접 닿으면서 위생상 좋지않고 식탁면이 지저분해 보이며 밥맛이 떨어지기도 한다, 또한, 숟가락을 밥그릇에 올려놓다 떨어져 음식물이 튀기기도 하고 양손으로 수저를 번갈아 들고 식사를 하는 불편함이 따르기도 한다.
한편, 뜨거운 냄비 등을 받치는 냄비 받침대는 꼭 필요하다는 인식으로 식탁 한 켠에 두며 사용하는 반면 수저 받침대는 일반적으로 수납장 등에 보관을 함으로써 꺼내기 귀찮고 불편하여 식사시 일반가정에서 거의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로 인해 숟가락과 젓가락이 식탁에 직접 접촉을 하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고 미관상 지저분해 식감을 떨어뜨린다.
또한, 대중음식점의 경우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특성상 행주로 식탁을 깨끗하게 청소하더라도, 양념이나 잔류음식물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나 청결하지 못한 행주로부터의 세균 등에 의해 식탁은 오염이 되어 있다.
따라서, 대중음식점에서 식사를 할 때, 위생적인 면을 고려하여 음식을 주문한 고객들은 통상적으로 식탁에 붙어있는 이물질이나 세균 등에 의해 수저(숟가락과 젓가락)가 오염되지 않도록 식탁 위에 냅킨을 깔고 그 위에 수저를 올려놓거나 또는 그릇 등에 수저를 올려놓음으로써 식탁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바, 이렇게 일일이 냅킨을 깔고 수저를 올려놓는 행위 자체가 번거롭고 불편함과 함께 냅킨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수저 받침대를 어떻게 하면 식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까라는 연구를 하게 되었고 그 결과 식탁에 항상 놓여있는 냄비 받침대에 수저 받침대를 붙어있게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식사시 수저 받침대의 활용도를 자연스럽게 높아지게 하였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01654호 (2003년01월08일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01666호 (2003년01월08일 등록)
본 발명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식탁 또는 많은 사람이 식사하는 식당의 식탁에 올려놓고 사용함으로써, 식탁에 올려놓는 수저가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 식탁에 비치되어 있는 냄비 받침대에 수저 받침대를 일체로 결합하여 식탁에서의 수저 받침대의 활용성을 자연스럽게 높여 위생적인 식사문화 도모를 목적으로 하는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는, 냄비 하부를 지지하는 냄비 받침대; 및 냄비 받침대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 고정되고, 수저를 지지하는 수저 받침대;를 포함하되, 수저 받침대는, 숟가락을 지지하는 제1 거치부; 및 제1 거치부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젓가락을 지지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하고, 수저 받침대는 냄비 받침대에 형성된 수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부가 형성되되, 체결부는, 수저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대; 지지대 내부에 위치하고, 수용부에 형성된 홈에 고정되는 고정 볼; 고정 볼 하단에 위치하고, 고정 볼을 상측 방향으로 압박시키는 탄성 스프링; 및 수저 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되고, 수용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움 고정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저 받침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냄비 받침대의 좌,우측면 또는 전,후방면에 서로 엇갈리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삭제
수저 받침대는, 냄비 받침대에 형성된 개구부에 축 고정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상,하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저 받침대는, 사각 형상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본체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부는, 숟가락의 목 부분이 거치되는 목 받침부; 및 목 받침부와 근접하게 위치하고, 숟가락의 머리 부분이 거치되는 머리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식탁 또는 많은 사람이 식사하는 식당의 식탁에 올려놓고 사용함으로써, 식탁에 올려놓는 수저가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는 한국인의 밥상 문화에서 꼭 필요한, 그래서 항상 식탁에 놓여있는 냄비 받침대에 수저 받침대를 일체형으로 형성되게 결합 제조함으로써, 식사시 수저 받침대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인 식사문화 조성에 일조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는 수저 받침대가 탈착 가능하게 사용함으로써, 식탁에 앉아 식사하는 인원수에 맞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저 받침대를 제거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에서 수저 받침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에서 수저 받침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는 냄비 받침대(100), 수저 받침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냄비 받침대(100)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냄비 받침대(100)는 원목, 합성수지, 실리콘 또는 스테인리스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고, 수저 받침대(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냄비 받침대(100)는 뜨거운 냄비, 그릇 또는 프라이팬 등 뜨거운 용기를 받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저 받침대(200)는 식탁에 올려진 수저(숟가락 및 젓가락)를 거치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식당 또는 가정에서는 수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냄비 받침대(100)와 수저 받침대(200)를 따로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고, 보관도 따로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냄비 받침대(100)와 수저 받침대(200)를 일체형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저 받침대(200)는 제1 거치부(210) 및 제2 거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치부(210)는 수저 받침대(200) 상에 형상으로 형성되고, 숟가락을 거치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거치부(210)는 숟가락의 목 부분이 거치되는 목 받침부(211) 및 목 받침부(211)와 근접하게 위치하고, 숟가락의 머리 부분이 거치되는 머리 받침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숟가락의 구조상 숟가락의 손잡이 부분 보다 머리 부분이 무거워 숟가락을 제1 거치부(210)에 거치시 전방으로 쓰러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숟가락의 머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머리 받침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거치부(220)는 제1 거치부(21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수저 받침대(200) 상에 형성되며, 젓가락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저 받침대(200)는 냄비 받침대의 측면에 고정되는 본체(240) 및 본체(240)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4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이 냄비 받침대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이동부(250)는 본체(240)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본체(2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250)는 제1 거치부(210)와 제2 거치부(220)가 뜨거운 냄비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유지되게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냄비의 크기에 따라 수저 받침대(200)와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가 수저를 잡을 때 사용자의 실수로 뜨거운 냄비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부(250)를 냄비 받침대(10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에서 수저 받침대의 구조는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변형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서 수저 받침대(200)는 냄비 받침대(100)에 형성된 수용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냄비 받침대(100)는 외주면에서 내부로 일정깊이 들어간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수용부(110)의 상측면에는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각 형상의 냄비 받침대(100)의 좌,우측면 및 전,후방면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용부(110)가 다수개로 형성된다.
수저 받침대(200)는 냄비 받침대(100)의 수용부(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00)는 수저 받침대(200)의 일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대(310)와, 지지대(310) 내부에 위치하고, 수용부(110)에 형성된 홈(111)에 고정되는 고정 볼(320)과, 고정 볼(320) 하단에 위치하고 고정 볼(320)을 상측 방향으로 압박시키는 탄성 스프링(330) 및 수저 받침대(200)의 양측에 형성되고 수용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40)에 끼움 고정되는 가이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서 수저 받침대(200)는 냄비 받침대(100)에 축(230) 고정되어 상,하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냄비 받침대(100)는 각 측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저 받침대(200)와 동일한 크기의 상하가 관통되고 외측면이 개방된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개구부(120)의 양측에는 축(230)이 고정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수저 받침대(200)는 개구부(120)에 형성된 홀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양측에 축(230)이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냄비 받침대(100) 미 사용시에는 수저 받침대(200)를 냄비 받침대(100)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이 되도록 하여 냄비 받침대(1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관이 용이하고, 다시 냄비 받침대 사용 시에는 수저 받침대(200)는 반대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저 받침대(200)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혼자 식사하기 위해 냄비 받침대(100)를 사용시에는 하나의 수저 받침대(200)를 회전시켜 사용하고, 2명이 식사할 때에는 양측에 있는 수저 받침대(200)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4명이 식사할 때에는 4개의 수저 받침대(200)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2 실시예에서 수저 받침대(200)는 냄비 받침대(100)의 일측면 중간에 하나만 고정될 수 있다. 즉, 최근 1인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1인용 냄비 등 1인 문화가 활성화되고 또한, 1인 용품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1인용 제품의 인기가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는 1인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3 실시예에서 수저 받침대(200)는 냄비 받침대(10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즉, 식탁에 서로 마주앉은 사용자의 오른손에 수저를 잡을 수 있도록 냄비 받침대(100)의 사면중 두면을 선택하여 서로 엇갈리게 부착 고정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오른손을 기준으로 설명하였는데 왼손잡이의 사용자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위치 변경은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예로 들어, 오른손잡이 사용자와 왼손잡이 사용자가 서로 마주하게 식탁에 앉을 경우 수저 받침대(200)는 냄비 받침대(100)를 기준으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의 제4 실시예에서 수저 받침대(200)는 사각 형상의 냄비 받침대(100) 사면에 부착 고정되고, 제1 거치부(210) 및 제2 거치부(220)가 사용자의 오른손 방향으로 오도록 서로 엇갈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서로 마주앉는 4인용 식탁에 사용되고, 4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수저가 서로 겹쳐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100; 냄비 받침대 110; 수용부
111; 홈 120; 개구부
200; 수저 받침대 210; 제1 거치부
211; 목 받침부 213; 머리 받침부
220; 제2 거치부 230; 축
240; 본체 250; 이동부
300; 체결부 310; 지지대
320; 고정 볼 330; 탄성 스프링
340; 가이드홈 350; 가이드부

Claims (6)

  1. 냄비 하부를 지지하는 냄비 받침대; 및
    냄비 받침대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 고정되고, 수저를 지지하는 수저 받침대;를 포함하되,
    수저 받침대는,
    숟가락을 지지하는 제1 거치부; 및
    제1 거치부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젓가락을 지지하는 제2 거치부;를 포함하고,
    수저 받침대는 냄비 받침대에 형성된 수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부가 형성되되,
    체결부는,
    수저 받침대의 일측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대;
    지지대 내부에 위치하고, 수용부에 형성된 홈에 고정되는 고정 볼;
    고정 볼 하단에 위치하고, 고정 볼을 상측 방향으로 압박시키는 탄성 스프링; 및
    수저 받침대의 양측에 형성되고, 수용부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움 고정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수저 받침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냄비 받침대의 좌,우측면 또는 전,후방면에 서로 엇갈리게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수저 받침대는,
    냄비 받침대에 형성된 개구부에 축 고정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상,하측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수저 받침대는,
    사각 형상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 및
    본체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제1 거치부는,
    숟가락의 목 부분이 거치되는 목 받침부; 및
    목 받침부와 근접하게 위치하고, 숟가락의 머리 부분이 거치되는 머리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KR1020140124617A 2014-09-18 2014-09-18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KR101537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17A KR101537546B1 (ko) 2014-09-18 2014-09-18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617A KR101537546B1 (ko) 2014-09-18 2014-09-18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546B1 true KR101537546B1 (ko) 2015-07-20

Family

ID=5387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617A KR101537546B1 (ko) 2014-09-18 2014-09-18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460B1 (ko) * 2016-03-09 2018-03-05 이명미 수저 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3765U (ko) * 1978-03-28 1979-10-05
JPH0395300U (ko) * 1990-01-23 1991-09-27
JP3095300B2 (ja) * 1992-10-08 2000-10-03 東京瓦斯株式会社 ライニング装置
KR20010000422U (ko) * 1999-06-10 2001-01-05 김규호 조리용기 받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3765U (ko) * 1978-03-28 1979-10-05
JPH0395300U (ko) * 1990-01-23 1991-09-27
JP3095300B2 (ja) * 1992-10-08 2000-10-03 東京瓦斯株式会社 ライニング装置
KR20010000422U (ko) * 1999-06-10 2001-01-05 김규호 조리용기 받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460B1 (ko) * 2016-03-09 2018-03-05 이명미 수저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14533A1 (en) Table Utensil Rest
US10736448B2 (en) Eating utensil support assembly
US8418971B2 (en) Utensil holding kit
KR101545236B1 (ko) 앞접시 겸용 수저받침대
KR101537546B1 (ko)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JP6868827B2 (ja) 対面式調理台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KR200485732Y1 (ko) 치간칫솔 내장 수저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광고시스템
KR101245417B1 (ko) 다용도 수세미
KR200380935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CN202698640U (zh) 防烫不锈钢碗
CN212165526U (zh) 一种可旋转的公用餐具搁放装置
KR200406037Y1 (ko) 음식용기 뚜껑 수저 받침대
CN211432105U (zh) 一种多功能餐用架
CN212465599U (zh) 一种一体式碗碟
JP5408594B1 (ja) 表裏に梃子支点を有する両面衛生洋食具
CN211093583U (zh) 便于放置的勺子
KR20180137903A (ko) 노인 또는 장애인용 주방가구
KR200393680Y1 (ko) 소파 팔걸이용 간이 테이블
KR20230042609A (ko) 수저받침대가 있는 식기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0488582Y1 (ko)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
KR20130118152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KR20130006449U (ko) 수저받침대
KR200319611Y1 (ko) 위생 방균(防菌) 수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