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417B1 - 다용도 수세미 - Google Patents

다용도 수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417B1
KR101245417B1 KR1020120118047A KR20120118047A KR101245417B1 KR 101245417 B1 KR101245417 B1 KR 101245417B1 KR 1020120118047 A KR1020120118047 A KR 1020120118047A KR 20120118047 A KR20120118047 A KR 20120118047A KR 101245417 B1 KR101245417 B1 KR 10124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er
bottle
handle
scouring pa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영
이다노
Original Assignee
이다노
김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노, 김수영 filed Critical 이다노
Priority to KR102012011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그릇, 병 등을 용이하게 세척하고 미려하게 보관하여 심미감 및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는 다용도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식기를 세척하는 수세미에 있어서,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제1 병수세미, 양측으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수세미와 제2 수세미로 이루어는 제1 그릇수세미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제2 수세미에는 제1 병수세미가 직립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제1 수용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식기를 세척하는 수세미에 있어서,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제2 손잡이를 갖는 제2 병수세미, 상기 제2 병수세미를 직립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제2 수용홈과 이 제2 수용홈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손잡이가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2 그릇수세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릇수세미의 일측에는 상기 제2 수용홈에 연통되도록 제2 절개부가 형성되어 그 양측이 탄력적으로 벌려지면서 상기 제2 병수세미를 상기 제2 수용홈에 수용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수세미{PAD}
본 발명은 다용도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그릇, 병 등을 용이하게 세척하고 미려하게 보관하여 심미감 및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는 다용도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세미는 설거지할 때 식기(食器)를 씻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릇의 형상이나 용도에 따라 합성수지, 천연섬유 및 비철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14는 종래의 수세미로 선출원된 등록특허 제0448093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청구항 1을 통해 기술적 구성을 살펴보면, “소정의 직물 한 면이 마이크로화이버(3)로 구성된 직물로 접착되고, 상기 마이크로화이버(3)로 구성된 직물에 수세미 수단이 접착되며, 상기 수세미 수단(2)에 부착되는 스폰지 부재나 주방용 타월을 포함하는 스폰지 휠타(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를 요지로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세미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밥그릇, 국그릇, 접시 등의 식기를 씻는데 비교적 불편함이 없겠으나, 안이 깊은 컵이나 병 등의 식기를 세척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안이 깊은 컵, 병 등의 식기를 용이하게 세척하기 위해 가늘고 긴 형태로 형성되며 한 쪽에 손잡이가 달린 수세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여러 종류의 수세미는 주방의 싱크대 내·외부 또는 수세미용 케이스에 각각 보관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활용도가 떨어지고, 용도에 맞는 수세미를 각각 구입해야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담으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세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판, 사각판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조형적인 측면에서 미려함이나 심미감이 결여되어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기 어려운 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案出)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이 낮은 그릇이나 접시 등의 식기를 세척하는 수세미와 안이 깊은 컵, 병 등의 식기를 세척하는 수세미를 한 곳에 보관하여 공간활용도를 개선하는 동시에 조형적인 미려함이나 심미감을 부여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다용도 수세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식기를 세척하는 수세미에 있어서,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제1 병수세미, 양측으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수세미와 제2 수세미로 이루어는 제1 그릇수세미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제2 수세미에는 제1 병수세미가 직립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제1 수용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상기 홀더에 외측 단부에 끼움결합되어 제1 병수세미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제1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제1 손잡이에는 손가락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어느 한 손가락을 받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1 병수세미 및 제1 그릇수세미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상기 홀더의 일측에는 제1 병수세미의 양측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양쪽으로 갈라진 고정암이 형성되는데, 이때 그리고 상기 어느 한 고정암에는 결합핀이 형성되고 다른 고정암에는 핀홈이 형성되어 제1 병수세미를 관통한 결합핀이 핀홈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의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식기를 세척하는 수세미에 있어서,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제2 손잡이를 갖는 제2 병수세미, 상기 제2 병수세미를 직립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제2 수용홈과 이 제2 수용홈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손잡이가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2 그릇수세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릇수세미의 일측에는 상기 제2 수용홈에 연통되도록 제2 절개부가 형성되어 그 양측이 탄력적으로 벌려지면서 상기 제2 병수세미를 상기 제2 수용홈에 수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2 손잡이는 축방향으로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손잡이의 외측 단부에는 제2 장식캡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손잡이에는 고리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2 그릇수세미는 서로 다른 재질의 제2 내부수세미와 제2 외부수세미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제2 내부수세미와 제2 외부수세미는 제2 절개부의 양측을 벌리면 뒤집히도록 탄성 및 신축성을 갖는 플라스틱수지 또는 플라스틱폼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식기를 세척하는 수세미에 있어서,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제3 손잡이를 갖는 제3 병수세미, 상기 제3 병수세미를 직립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된 제3 수용홈과 이 제3 수용홈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손잡이가 관통되는 제3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3 그릇수세미를 포함하되, 상기 제3 그릇수세미의 일측에는 상기 제3 수용홈에 연통되면서 상기 제3 병수세미의 적어도 일면이 노출되도록 제3 절개부가 형성되어 그 양측이 탄력적으로 벌려지면서 상기 제3 병수세미를 상기 제3 수용홈에 수용하고, 상기 제3 병수세미의 노출된 일면에는 상기 제3 절개부를 마감하도록 마감수세미가 구비되어 상기 제3 그릇수세미와 함께 통일된 외형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3 손잡이는 축방향으로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 손잡이의 외측 단부에는 제3 장식캡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제3 그릇수세미는 서로 다른 재질의 제3 내부수세미와 제3 외부수세미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제3 내부수세미와 제3 외부수세미는 제3 절개부의 양측을 벌리면 뒤집히도록 탄성 및 신축성을 갖는 플라스틱수지 또는 플라스틱폼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안이 깊은 병이나 잔 등의 식기를 세척하는 병수세미가, 안이 낮은 그릇이나 접시 등의 식기를 세척하는 그릇수세미의 수용공 및 수용홈에 수용되어 직립된 상태로 한 곳에 보관되므로, 보관이 편리해지고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공간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수세미와 제2 수세미가 분해 및 조립되고 제1 병수세미가 제1 그릇수세미의 수용공에서 분해 및 조립되므로 사용자에게 호기심 및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손잡이가 홀더에 연결되어 제1 병수세미의 길이가 연장되므로 더욱 편리하게 병이나 잔을 세척할 수 있고, 손사락 받침돌기에 손가락을 받친 상태에서 제1 병수세미를 돌리면서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절개부를 통해 병수세미가 조립 및 분해되어 하나의 통일된 과일 또는 야채 등의 형상을 형성하므로, 조형적인 측면에서 미려함과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텔레스코픽 형태로 신축되므로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장식캡이 손잡이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통일된 형상을 형성하는데 섬세한 조형미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내부수세미와 외부수세미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홀더와 제1 손잡이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제2 손잡이의 작동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제2 그릇수세미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결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제3 손잡이의 작동도.
도 14는 종래 기술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다용도 수세미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홀더(120)에 의해 고정되는 제1 병수세미(100), 양측으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수세미(210)와 제2 수세미(220)로 이루어는 제1 그릇수세미(200)를 포함하되, 제1·제2 수세미(210)(220)의 내부에는 제1 병수세미(100)를 직립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제1 수용공(240)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1 병수세미(100)는 안이 깊은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1 병수세미(100)는 제1 수세미본체(110)와 홀더(120) 및 제1 손잡이(130)를 포함한다.
제1 수세미본체(110)는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rm) 재질로 이루어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의 길이로 길게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수세미본체(110)는 탄성, 복원성이 우수하고 온도에 대한 변화가 작으며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폼(Plastic Form)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120)는 제1 수세미본체(110)의 길이방향 양측을 눌러서 고정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는 플라스틱 재질의 막대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그 일측에는 양쪽으로 갈라진 고정암(122)이 길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배치된 제1 수세미본체(110)의 양측을 탄력적으로 눌러서 가압하게 된다. 도 3을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우측 고정암(122)의 하단부 가까이에는 결합핀(126)이 형성되어 제1 수세미본체(110)를 관통하고, 좌측 고정암(122)에는 핀홈(128)이 형성되어 결합핀(126)이 끼움결합되며, 이에 따라 좌측 및 우측의 고정암(122)은 제1 수세미본체(110)의 양측을 탄력적으로 누른 상태를 유지하여 더욱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또한 홀더(120)의 타측 단부에는 결합홈(124)이 형성되어 제1 손잡이(130)가 결합된다.
제1 손잡이(130)는 홀더(120)에 결합되어 제1 병수세미(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길게 연장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1 손잡이(130)는 홀더(120)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의 막대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일측 단부에는 결합돌기(132)가 형성되어 홀더(120)의 결합홈(124)에 끼움결합으로 연결되며, 이를 위해 결합돌기(132)와 결합홈(124)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결합돌기(132)가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면 결합홈(124)도 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돌기(132)가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면 결합홈(124)도 원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결합돌기(132)와 결합홈(124)의 끼움결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제1 손잡이(130)의 일측에는 손가락 받침돌기(134)가 형성되어 어느 한 손가락, 특히 엄지손가락을 받쳐서 제1 손잡이(13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동시에 병이나 잔의 내부를 세척할 때 제1 병수세미(100)를 한쪽 방향으로 돌리면서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손잡이(130)의 연결에 따라, 제1 병수세미(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게 연장되어 안이 깊은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제1 그릇수세미(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분해·조립되는 제1 수세미(210)와 제2 수세미(22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 수세미(210)(220)의 바닥면(230)은 수평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수평으로 평평한 개수대 등의 수평면에 직립된다.
제1 수세미(210)와 제2 수세미(220)가 조립된 제1 그릇수세미(200)는 한 덩어리의 통일된 육면체형상을 이루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으로 분해된 제1 수세미(210)와 제2 수세미(220)는 그 내부 중앙에 반원기둥 형상의 제1 수용공(240)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세미(210)와 제2 수세미(220)가 조립되었을 때 제1 그릇수세미(200)의 중앙에 원기둥의 형상의 제1 수용공(24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1 그릇수세미(200)는 도 1에서 제1 병수세미(100)의 제1 수세미본체(11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육면체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수평면에 직립될 수 있도록 평평한 바닥면을 갖는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수용공(240)은 도 1 및 도 2에서 제1 수세미본체(110)가 결합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다양한 형상의 제1 수세미본체(110)에 부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세미(210)와 제2 수세미(220)를 포함하는 제1 그릇수세미(200)는 제1 병수세미(100)와 같은 폴리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탄성, 복원성이 우수하고 온도에 대한 변화가 작으며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폼 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그릇수세미(200)는 안이 낮은 그릇이나 접시 등의 식기를 세척하기에 용이하며, 제1 수세미(210) 및 제2 수세미(220)는 제1 수용공(240)을 중심으로 반으로 접어서 식기의 가장자리를 세척하는데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수세미(210)와 제2 수세미(220)가 조립된 제1 그릇수세미(200)는 평평한 바닥면(230)을 가지므로 개수대 등의 수평면에 꼿꼿하게 서게 된다. 그리고 그릇수세미(200)의 제1 수용공(240)으로 제1 수세미본체(110)를 세워서 결합하면, 제1 병수세미(100)는 제1 그릇수세미(200)에 의해 좌우 또는 전후로 움직이지 않고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손잡이(13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홀더(120)에 의해 제1 수세미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S)에 세로 방향으로 끼워져서 홀더(120)와 나란히 직립된다. 이에 따라, 제1 그릇수세미(200)와 제1 병수세미(100)를 한 곳에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수세미(210)와 제2 수세미(220)를 양측으로 분해하거나 홀더(120)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면, 제1 그릇수세미(200)의 제1 수용공(240)에 결합된 제1 병수세미(100)가 빠지게 된다. 이어서, 제1 손잡이(130)를 빼서 홀더(120)의 결합홈(124)에 결합돌기(132)를 결합하면, 제1 병수세미(1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안이 깊은 병이나 잔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양측으로 분리된 제1 수세미(210)와 제2 수세미(220)는 병이나 잔에 비해 비교적 깊이가 낮은 그릇 등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고, 제1 수용공(240)을 중심으로 반으로 접으면 접시와 같은 식기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다용도 수세미는,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제2 손잡이(320)를 갖는 제2 병수세미(300), 제2 병수세미(300)를 직립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제2 수용홈(440)과 이 제2 수용홈(440)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제2 손잡이(320)가 관통되는 제2 관통공(450)을 포함하는 제2 그릇수세미(400)를 포함하되, 제2 그릇수세미(400)의 일측에는 제2 수용홈(440)에 연통되도록 제2 절개부(460)가 형성되어 그 양측이 탄력적으로 벌려지면서 제2 병수세미(300)를 제2 수용홈(440)에 수용하는 것이다.
제2 병수세미(300)는 안이 깊은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2 병수세미(300)는 제2 수세미본체(310)와 제2 손잡이(320)를 포함한다.
제2 수세미본체(310)는 폴리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져 수직의 길이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2 수세미본체(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과를 베어 먹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제2 수세미본체(310)는 탄성, 복원성이 우수하고 온도에 대한 변화가 작으며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폼 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손잡이(320)는 제2 수세미본체(310)의 중심에 연결되어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2 손잡이(320)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320a)(320b)(320c)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축방향으로 신축되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형태로 구현되며, 이에 따라 그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손잡이(320)의 외측 단부에는 제2 장식캡(330)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제2 장식캡(33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과의 꼭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제2 그릇수세미(400)의 외형에 부합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손잡이(320)의 외측 단부 가까이에는 고리(340)가 연결된다.
제2 그릇수세미(400)는 폴리우레탄폼 재질의 제2 내부수세미(410)와 그 외부를 감싸는 아크릴수지 재질의 제2 외부수세미(420)로 구성되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과의 외형을 형성하고 그 바닥면(430)은 수평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개수대 등의 수평면에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제2 그릇수세미(400)는 사과의 외형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과일, 야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내부수세미(410)와 제2 외부수세미(420)는 융착 또는 점착에 의해 일체화되며, 제2 외부수세미(420)는 제2 내부수세미(410)에 비해 비교적 거친 상태의 플라스틱폼 재질 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질 수 있고, 제2 내부수세미(410)는 제2 외부수세미(420)에 비해 비교적 부드러운 상태의 플라스틱수지 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내부수세미(410)와 제2 외부수세미(420)는 뒤집어서 사용하기 위해 탄성 및 신축성이 있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내부수세미(410)와 제2 외부수세미(420)로 구성되는 제2 그릇수세미(400)는 내부에 제2 수용홈(440)이 형성되어 제2 병수세미(300)의 제2 수세미본체(310)를 수용하고 그 상부에는 제2 관통공(450)이 형성되어 제2 손잡이(320)가 관통되며, 제2 그릇수세미(400)의 일측에는 제2 수용홈(440)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수직으로 절개된 제2 절개부(46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절개부(460)를 양측으로 벌리면 제2 수세미본체(310)를 제2 수용홈(440)에 넣어서 수용하고 제2 손잡이(320)는 제2 관통공(450)으로 관통되어 제2 장식캡(330)과 함께 제2 그릇수세미(400)의 상부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제2 그릇수세미(400)는 평평한 바닥면(430)을 가지므로 개수대 등의 수평면에 꼿꼿하게 서게 된다. 그리고 제2 그릇수세미(400)의 제2 절개부(460)를 양측으로 벌리면 제2 병수세미(300)의 제2 수세미본체(310)가 제2 수용홈(440)에 들어가서 수용되고, 제2 손잡이(320)는 제2 관통공(450)으로 관통되어 제2 그릇수세미(4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2 장식캡(330)은 제2 손잡이(320)의 상단을 마감하는 동시에 사과의 꼭지를 연상시켜서 조형적인 미려함을 연출하게 된다. 이같이 제2 그릇수세미(400)와 제2 병수세미(300)가 조립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다용도 수세미는 고리(340)를 이용하여 벽에 걸어서 보관할 수도 있다.
반대로, 제2 그릇수세미(400)의 제2 절개부(460)를 양측으로 벌리면 제2 병수세미(300)는 제2 수용홈(440)에서 빠지면서 분해되는데, 이때 한 손으로는 제2 수세미본체(31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제2 손잡이(320)를 잡아서 상부로 당기면, 도 8에서와 같이 제2 손잡이(320)가 축방향으로 늘어나고, 이에 의해 제2 병수세미(3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제2 손잡이(320)를 잡고 안이 깊은 병이나 잔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제2 병수세미(300)가 분해된 제2 그릇수세미(400)는 병이나 잔에 비해 비교적 깊이나 낮은 그릇 등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고, 도 9에서와 같이 제2 수용홈(440)이 접시와 같은 식기(D)의 가장자리에 쏙 들어가므로 식기(D)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그릇수세미(400)의 제2 절개부(460)를 양측으로 벌리면서 제2 수용홈(440)이 겉으로 나오도록 뒤집으면, 도 10에서와 같이 제2 내부수세미(410)는 겉으로 나오고 제2 외부수세미(420)는 안으로 들어간 상태를 이루는데, 겉으로 드러난 제2 내부수세미(410)는 제2 외부수세미(420)에 비해 비교적 거친 표면을 형성하므로 오염상태가 심각한 접시, 그릇 또는 기름진 프라이팬(frypan) 등을 포함하는 식기(D)를 세척하는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원래대로 제2 그릇수세미(400)를 뒤집었을 때 제2 내부수세미(410)의 더러운 상태를 감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다용도 수세미는,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제3 손잡이(520)를 갖는 제3 병수세미(500), 제3 병수세미(500)를 직립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된 제3 수용홈(640)과 이 제3 수용홈(640)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제3 손잡이(520)가 관통되는 제3 관통공(650)을 포함하는 제3 그릇수세미(600)를 포함하되, 제3 그릇수세미(600)의 일측에는 제3 수용홈(640)에 연통되면서 제3 병수세미(500)의 적어도 일면이 노출되도록 제3 절개부(670)가 형성되어 그 양측이 탄력적으로 벌려지면서 제3 병수세미(500)를 제3 수용홈(640)에 수용하고, 제3 병수세미(500)의 노출된 일면에는 제3 절개부(670)를 마감하도록 마감수세미(530)가 구비되어 제3 그릇수세미(600)와 함께 통일된 외형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3 병수세미(500)는 안이 깊은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3 병수세미(500)는 제3 수세미본체(510)와 제3 손잡이(520) 및 마감수세미(530)를 포함한다.
제3 수세미본체(510)는 폴리우레탄폼 재질로 이루어져 수직의 길이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3 수세미본체(51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제3 수세미본체(510)는 탄성, 복원성이 우수하고 온도에 대한 변화가 작으며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폼 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손잡이(520)는 제3 수세미본체(510)의 중심에 연결되어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3 손잡이(520)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이 축방향으로 연결되어 축방향으로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구현되며, 이에 따라 그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손잡이(520)의 외측 단부에는 제3 마감캡(522)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제3 마감캡(522)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제3 그릇수세미(600)의 외형에 부합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감수세미(530)는 제3 수세미본체(510)의 일면에 융착 또는 점착에 의해 일체화되는데, 이러한 마감수세미(530)는 후술하는 제3 그릇수세미(600)의 제3 절개부(67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제3 수세미본체(510)가 제3 수용홈(640)에 수용될 때 제3 절개부(670)에 꼭 들어맞게 결합된다. 또한 마감수세미(530)는 후술하는 제3 그릇수세미(600)의 제3 외부수세미(620)와 동일한 아크릴수지 또는 플라스틱수지 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3 병수세미(500)가 제3 그릇수세미(600)의 제3 수용홈(640)에 수용될 때, 마감수세미(530)가 제3 절개부(670)에 꼭 들어맞게 결합되어 제3 그릇수세미(600)와 함께 통일된 외형을 이루게 된다.
제3 그릇수세미(600)는 폴리우레탄폼 재질의 제3 내부수세미(610)와 그 외부를 감싸는 아크릴수지 재질의 제3 외부수세미(620)로 구성되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의 외형으로 형성되고 그 바닥면(630)은 수평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개수대 등의 수평면에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제3 그릇수세미(600)는 과일의 외형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야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내부수세미(610)와 제3 외부수세미(620)는 융착 또는 점착에 의해 일체화되며, 제3 외부수세미(620)는 제3 내부수세미(610)에 비해 비교적 거친 표면을 형성하는 플라스틱폼 재질 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질 수 있고, 제3 내부수세미(610)는 제3 외부수세미(620)에 비해 비교적 부드러운 상태의 플라스틱수지 중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제3 내부수세미(610)와 제3 외부수세미(620)는 뒤집어서 사용하기 위해 탄성 및 신축성이 있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내부수세미(610)와 제3 외부수세미(620)로 구성되는 제3 그릇수세미(600)는 내부에 제3 수용홈(640)이 형성되어 제3 병수세미(500)의 제3 수세미본체(510)를 수용하고 그 상부에는 제3 관통공(650)이 형성되어 제3 손잡이(520)가 관통된다.
그리고 제3 그릇수세미(600)의 일측에는 제3 수용홈(640)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 제3 절개부(67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3 절개부(67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용홈(640)에 수용된 제3 수세미본체(510)의 적어도 일면이 노출되도록 제3 그릇수세미(600)의 일측이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다. 이에 따라, 제3 절개부(670)를 양측으로 벌리면 제3 수세미본체(510)를 제3 수용홈(640)에 넣어서 수용하고 제3 손잡이(520)는 제3 관통공(650)으로 관통되어 제3 장식캡(522)과 함께 제3 그릇수세미(600)의 상부에 노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하면, 제3 그릇수세미(600)는 평평한 바닥면(630)을 가지므로 개수대 등의 수평면에 꼿꼿하게 서게 된다. 그리고 제3 그릇수세미(600)의 제3 절개부(670)를 양측으로 벌리면 제3 병수세미(500)의 제3 수세미본체(510)가 제3 수용홈(640)에 들어가서 수용되는데, 이때 마감수세미(530)가 제3 그릇수세미(600)의 제3 절개부(670)에 꼭 들어맞게 결합되어 제3 그릇수세미(600)는 마감수세미(530)와 함께 한 덩이의 통일된 외형을 이루게 된다. 이어서, 제3 손잡이(520)는 제3 관통공(650)으로 관통되어 제3 그릇수세미(6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장식캡(522)은 제3 손잡이(520)의 상단을 마감하는 동시에 과일의 꼭지를 연상시켜서 조형적인 미려함을 연출하게 된다.
반대로, 제3 그릇수세미(600)의 제3 절개부(670)를 양측으로 벌리면 제3 수세미본체(510)는 제3 수용홈(640)에서 빠지면서 분해되는데, 이때 한 손으로는 제3 수세미본체(51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제3 손잡이(520)를 잡아서 상부로 당기면 제3 손잡이(520)가 축방향으로 늘어나고, 이에 의해 제3 병수세미(5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제3 손잡이(520)를 잡고 안이 깊은 병이나 잔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제3 병수세미(500)가 분해된 제3 그릇수세미(600)는 병이나 잔에 비해 비교적 깊이나 낮은 그릇 등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고, 제3 수용홈(640)이 접시와 같은 식기의 가장자리에 쏙 들어가므로 식기의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 그릇수세미(600)의 제3 절개부(670)를 양측으로 벌려서 제3 수용홈(640)이 겉으로 나오도록 뒤집으면 제3 내부수세미(610)는 겉으로 나오고 제3 외부수세미(620)는 안으로 들어간 상태를 이루는데, 겉으로 드러난 제3 내부수세미(610)는 제3 외부수세미(620)에 비해 비교적 거친 표면을 형성하므로 오염상태가 심각한 접시 또는 기름진 프라이팬 등을 포함하는 식기를 세척하는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원래대로 제3 그릇수세미(600)를 뒤집었을 때 제3 내부수세미(610)의 더러운 상태를 감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 대체, 부가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100 : 제1 병수세미 110 : 제1 수세미본체
120 : 홀더 130 : 제1 손잡이
200 : 제1 그릇수세미 210 : 제1 수세미
220 : 제2 수세미 240 : 제1 수용공
300 : 제2 병수세미 310 : 제2 수세미본체
320 : 제2 손잡이 400 : 제2 그릇수세미
410 : 제2 내부수세미 420 : 제2 외부수세미
440 : 제2 수용홈 500 : 제3 병수세미
510 : 제3 수세미본체 520 : 제3 손잡이
600 : 제3 그릇수세미 610 : 제3 내부수세미
620 : 제3 외부수세미 640 : 제3 수용홈

Claims (17)

  1. 식기를 세척하는 수세미에 있어서,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홀더에 의해 고정되는 제1 병수세미, 상기 홀더에 외측 단부에 끼움결합되어 제1 병수세미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제1 손잡이, 양측으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수세미와 제2 수세미로 이루어는 제1 그릇수세미를 포함하되,
    상기 제1·제2 수세미에는 제1 병수세미가 직립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제1 수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에는 손가락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어느 한 손가락을 받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병수세미 및 제1 그릇수세미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일측에는 제1 병수세미의 양측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양쪽으로 갈라진 고정암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고정암에는 결합핀이 형성되고 다른 고정암에는 핀홈이 형성되어 제1 병수세미를 관통한 결합핀이 핀홈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7. 식기를 세척하는 수세미에 있어서,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제2 손잡이를 갖는 제2 병수세미, 상기 제2 병수세미를 직립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제2 수용홈과 이 제2 수용홈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손잡이가 관통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2 그릇수세미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릇수세미의 일측에는 상기 제2 수용홈에 연통되도록 제2 절개부가 형성되어 그 양측이 탄력적으로 벌려지면서 상기 제2 병수세미를 상기 제2 수용홈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는 축방향으로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의 외측 단부에는 제2 장식캡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손잡이에는 고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릇수세미는 서로 다른 재질의 제2 내부수세미와 제2 외부수세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수세미와 제2 외부수세미는 제2 절개부의 양측을 벌리면 뒤집히도록 탄성 및 신축성을 갖는 플라스틱수지 또는 플라스틱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13. 식기를 세척하는 수세미에 있어서,
    병이나 잔 등의 내부를 세척하도록 길게 형성되어 제3 손잡이를 갖는 제3 병수세미, 상기 제3 병수세미를 직립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된 제3 수용홈과 이 제3 수용홈의 상부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3 손잡이가 관통되는 제3 관통공을 포함하는 제3 그릇수세미를 포함하되,
    상기 제3 그릇수세미의 일측에는 상기 제3 수용홈에 연통되면서 상기 제3 병수세미의 적어도 일면이 노출되도록 제3 절개부가 형성되어 그 양측이 탄력적으로 벌려지면서 상기 제3 병수세미를 상기 제3 수용홈에 수용하고, 상기 제3 병수세미의 노출된 일면에는 상기 제3 절개부를 마감하도록 마감수세미가 구비되어 상기 제3 그릇수세미와 함께 통일된 외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 손잡이는 축방향으로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3 손잡이의 외측 단부에는 제3 장식캡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3 그릇수세미는 서로 다른 재질의 제3 내부수세미와 제3 외부수세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3 내부수세미와 제3 외부수세미는 제3 절개부의 양측을 벌리면 뒤집히도록 탄성 및 신축성을 갖는 플라스틱수지 또는 플라스틱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세미.
KR1020120118047A 2012-10-23 2012-10-23 다용도 수세미 KR101245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047A KR101245417B1 (ko) 2012-10-23 2012-10-23 다용도 수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047A KR101245417B1 (ko) 2012-10-23 2012-10-23 다용도 수세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417B1 true KR101245417B1 (ko) 2013-03-19

Family

ID=4818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047A KR101245417B1 (ko) 2012-10-23 2012-10-23 다용도 수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7727A (zh) * 2018-01-03 2018-05-08 卢园园 一种可加注清洁剂的清洁球
US20190150676A1 (en) * 2017-11-22 2019-05-23 Loofah to Go LLC Multi-purpose personal hygien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2260U (ko) 1986-06-12 1987-12-23
JP2005349101A (ja) 2004-06-14 2005-12-22 Mameita:Kk 柄付き摺洗具
JP2006247409A (ja) 2000-02-04 2006-09-21 Pigeon Corp 洗浄具
JP3160146U (ja) * 2009-12-28 2010-06-17 定子 加藤 金属タワ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2260U (ko) 1986-06-12 1987-12-23
JP2006247409A (ja) 2000-02-04 2006-09-21 Pigeon Corp 洗浄具
JP2005349101A (ja) 2004-06-14 2005-12-22 Mameita:Kk 柄付き摺洗具
JP3160146U (ja) * 2009-12-28 2010-06-17 定子 加藤 金属タワ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50676A1 (en) * 2017-11-22 2019-05-23 Loofah to Go LLC Multi-purpose personal hygiene device
CN107997727A (zh) * 2018-01-03 2018-05-08 卢园园 一种可加注清洁剂的清洁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1602A1 (en) Implement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40259381A1 (en) Soaker Basket for a Dishwasher's Silverware Basket
KR101245417B1 (ko) 다용도 수세미
KR20190002139U (ko) 주방용품 수납대가 구비된 싱크볼
CN209376935U (zh) 一种便携套装餐具盒
US3135003A (en) Scrubbing sponge for drinking vessels
WO2014081319A1 (es) Utensilio multiuso para facilitar el lavado y mejorar la higiene al lavar los biberones y otros artículos de bebe y/o ninõs pequeños
KR200484814Y1 (ko) 식기건조대
CN201320145Y (zh) 便携两用海棉百洁布
JP2009022700A (ja) 形状自在スポンジ
KR200465013Y1 (ko) 행주걸이가 부착된 식기건조대
KR20140002175U (ko) 다용도 식기 세척기
KR101537546B1 (ko)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CN210249397U (zh) 一种可泡茶的杯子
CN204445563U (zh) 蔬菜水果滤篮
KR101342233B1 (ko)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KR20120091896A (ko) 주방용기 세척도구
CN204393604U (zh) 便捷清洁式饭盒
KR101410228B1 (ko) 수저용 개수대를 갖는 싱크대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CN202775979U (zh) 多功能垫
US20200329948A1 (en) Manual dishwasher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CN211862532U (zh) 一种安全卫生的组合式茶筅
CN210185535U (zh) 一种新型碗碟刷
JP3120303U (ja) 調理器具の洗浄用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