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235Y1 -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235Y1
KR200285235Y1 KR2020020013766U KR20020013766U KR200285235Y1 KR 200285235 Y1 KR200285235 Y1 KR 200285235Y1 KR 2020020013766 U KR2020020013766 U KR 2020020013766U KR 20020013766 U KR20020013766 U KR 20020013766U KR 200285235 Y1 KR200285235 Y1 KR 200285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guide rail
support
movab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2020020013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235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의 보조테이블에 있어서, 싱크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상기 싱크대의 상부 전단부에 설치되는 고정안내레일; 및 일단부가 상기 고정안내레일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싱크대의 길이방향으로 밀고 당겨질 때, 상기 싱크대의 전방에서 식탁 또는 조리대로 사용되는 사용위치간을 이동하는 가동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싱크대에 설치되는 핸드리스 스타일(Handless Style)의 수납장과도 조화될 수 있고 주방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보조적으로 식탁 또는 조리대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싱크대의 보조테이블{Auxiliary Table for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의 보조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보조적으로 식탁 또는 조리대로 사용할 수 있는 싱크대의 보조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음식의 조리 및 설거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주방에 설치되는 주방가구로서, 통상적으로 상부에는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개수대와, 개수대의 측면에는 조리 작업을 수행하는 조리대와, 조리대의 측면에는 가스렌지나 오븐이 설치되는 가스렌지대와, 조리대, 개수대 및 가스렌지대의 하부에 식기 및 주방도구 등을 수납하는 수납장이 구비되게 된다.
싱크대의 조리대는 조리 시에 요리에 필요한 그릇, 도마, 재료 등을 올려놓거나 밥을 펄 때에는 밥솥을, 설거지 시에는 그릇 등을 놓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고, 요리 재료를 다듬는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대로 사용되는 등 그 용도가 다양하다.
한편, 식탁은 싱크대와 별개의 구조물로서 주방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거주자등이 식사를 하거나 음식을 들면서 이야기를 나누는 데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식탁이 주방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식탁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4 내지 6인용 식탁으로 제한되게 마련이나, 손님의 방문 등과 같이 이보다 많은 사람이 함께 식사를 하여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보조 식탁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주방용 가구에 있어서 미적인 디자인이 강조됨에 따라 손잡이를 과감하게 제거하고 수납장의 상단부가 손잡이의 대용이 되도록 설계하는 핸드리스 스타일(Handless-Type)의 수납장을 채용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의 싱크대는, 제한된 주방 공간으로 인하여 제한된 크기의 다소 협소한 조리대를 이용자가 사용하는 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싱크대와 별도로 설치되는 식탁과는 별도로 보조 식탁을 구비하고 있지 못하여 손님의 방문 등과 같은 경우에는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싱크대의 조리대를 크게 설치하거나 보조 식탁을 별도로 고정 설치하게 되면, 주방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싱크대의 핸드리스 스타일(Handless-Type) 수납장과 아무런 관련이 없게 되므로 설계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싱크대에 설치되는 핸드리스 스타일(Handless Style)의 수납장과도 조화될 수 있고 주방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보조적으로 식탁 또는 조리대로 사용될수 있는 싱크대의 보조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보조테이블이 설치된 싱크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보조테이블의 사용위치간을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싱크대 10 : 개수대
13 : 개수대수납장 13a : 손잡이
20 : 가스렌지대 23 : 가스렌지수납장
30 : 조리대 33 : 조리대수납장
50 : 보조테이블 51 : 고정안내레일
52 : 가이드부 53 : 연장절곡부
61 : 가동테이블 62 : 가동부
63 : 롤링구 64 : 지지축
65 : 연결부재 66 : 지지테이블
67 : 상판 68 : 지지부
69 : 굴림바퀴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싱크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상기 싱크대의 상부 전단부에 설치되는 고정안내레일; 및 일단부가 상기 고정안내레일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싱크대의 길이방향으로 밀고 당겨질 때, 상기 싱크대의 전방에서 식탁 또는 조리대로 사용되는 사용위치간을 이동하는 가동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보조테이블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테이블은, 상기 고정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싱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안내레일에 접촉지지되는 가동부; 및 일단부가 상기 가동부에 결합되는 지지테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안내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롤링구; 상기 롤링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 및 이단으로 절곡되어 일단부는 상기 지지축과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테이블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안내레일은, 내부에 상기 롤링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의 일부영역이 개구되어 상기 롤링구를 회전가능하게 수용지지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싱크대 측의 상기 가이드부 하단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싱크대 측의 반대측으로 절곡된 연장절곡부로 구성하고, 상기 연장절곡부의 하단부는 상기 싱크대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납장의 상단과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테이블은, 상기 싱크대가 설치되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있는 상판; 상기 지지테이블의 타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의 이동 시 상기 바닥에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굴림바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보조테이블이 설치된 싱크대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의 바닥에 설치되는 싱크대(1)의 전방 일부 영역에는 싱크대(1)의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보조테이블(50)이 설치되어 있다. 싱크대(1)는, 싱크대(1) 상부에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개수대(10)와, 가스렌지나 오븐이 설치되는 가스렌지대(20)와, 개수대(10)와 가스렌지대(20)의 양 측면에는 조리 작업을 수행하는 조리대(30)와, 싱크대(1)의 전면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납장(13,23,33)을 포함한다.
개수대(10)에는 급수를 위한 수도꼭지(11) 등이 설치되어 설거지 등을 할 때 물을 제공하게 되며, 가스렌지대(20)의 상부에는 요리 시에 발생하는 연기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렌지후드(21) 등이 설치된다. 또한 개수대(10)의 상부 싱크대(1) 전면에는 식기 등을 수납하는 서랍장(40)이 배치되고, 개수대(10) 및 가스렌지대(20)의 하부 싱크대(1) 전면에는 각각 식기 및 주방도구 등을 수납하는 조리대수납장(33), 개수대수납장(13) 및 가스렌지대수납장(23)이 배치된다. 여기서 수납장(13,23,33)은 별도의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데, 각 수납장(13,23,33)의 상단에 손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함몰부(42)가 형성되어 이 함몰부(42)를 통하여각 수납장(13,23,33)의 상단을 잡아 각 수납장(13,23,33)을 개폐할 수 있다. 즉 각 수납장(13,23,33)의 상단은 손잡이가 될 수 있도록 싱크대(1) 측으로 하향 경사져 있다. 이러한 수납장(13,23,33)을 일반적으로 핸드리스 스타일(Handless Style)의 수납장이라고 하며, 이 수납장(13,23,33)은 수납장의 상단이 손잡이로서 외부에 손잡이가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므로 최근에 가구에 미적인 디자인이 강조됨과 함께 많이 채용되고 있다.
도 4는 도 2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영역의 확대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1)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보조테이블(50)은, 고정안내레일(51)과, 가동테이블(61)을 갖는다.
고정안내레일(51)은 싱크대(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싱크대(1)의 상부의 전면 단부에 설치되며 알루미늄 압출재로 제작되는데, 가이드부(52)와 연장절곡부(53)를 갖는다. 가이드부(52)는 두 개의 직사각형이 이어지는 형상으로서, 싱크대(1) 측의 반대측 직사각형은 하부의 일부영역이 개구된 개구부(52a)를 가지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이 수용공간에는 후술할 롤링구(63)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싱크대(1)와 결합되는 결합부(53a)를 갖는 연장절곡부(53)는 싱크대(1) 측의 가이드부(52) 하단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싱크대(1) 측의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고정안내레일(51)은 연장절곡부(53)의 하단부가 수납장(13,23,33)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하여 사람이 수납장(13,23,33)의 상단 손잡이(13a)를 잡을 수 있도록 수납장(13,23,33)의 상단과 가이드부(52)의 하면은 사람의 손가락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소정 간격을 두고이격되어 있다. 한편, 고정안내레일(51)의 상부는 싱크대마감덮개(54)로 덮여 씌워진다.
가동테이블(61)은, 고정안내레일(51)에 안내되어 싱크대(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안내레일(51)에 접촉 지지되는 가동부(62)와, 일단부가 가동부(62)에 결합되는 지지테이블(66)을 갖는다.
가동부(62)는 고정안내레일(5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롤링구(63)와, 롤링구(63)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64)과, 하향으로 단차지게 이단으로 절곡되어 일단부가 지지축(64)과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테이블(66)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65)를 갖는다. 롤링구(63)는, 지지테이블(66)을 사람이 싱크대(1)의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면 그 힘에 의하여 고정안내레일(51)에 수용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롤링구(63)는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지지축(64)과 결합되어있고 고정안내레일(51)과는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되는데, 지지테이블(66)에 힘이 가해지면 롤링구(63)가 좌우로 회전하면서 진행을 하게 되어 지지축(64)에 연결된 연결부재(65)와 결합된 지지테이블(66)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롤링구(63)와 결합되는 지지축(64)은 연결부재(65)의 일단을 관통하여 연결부재(65)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너트(64a)로 체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재(65)는 하향 단차진 타단부에서 지지테이블(66)의 일단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수용되어 지지테이블(66)에 결합된다.
지지테이블(66)은 싱크대(1)가 설치되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판(67)과, 싱크대(1) 측의 반대측의 지지테이블(66) 타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68)와, 지지부(68)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지테이블(66)의 이동 시 바닥에 접촉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굴림바퀴를 갖는다. 상판(67)은 보조테이블(50)을 식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음식을 놓을 수 있는 적재판으로서, 조리대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대로서의 역할을 한다. 지지부(68)는 상판(67)의 하부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세로부재(68a)와, 세로부재(68a)의 상, 하단부에서 한 쌍의 세로부재(68a)를 연결하는 상부가로부재(68b)와 하부가로부재(68c), 그리고 상부가로부재(68b)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배치되는 구획부재(68c)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가로부재(68c)의 하부에는 한 쌍의 굴림바퀴(69)가 달려있는데, 굴림바퀴(69)는 지지테이블(66)의 이동시 바닥을 따라 구름운동함으로써 싱크대(1) 측의 지지테이블(66) 일단부에 결합되는 가동부(62)의 롤링구(63)와 함께 지지테이블(66)의 이동을 원활히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보조테이블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의 보조테이블의 사용위치간을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싱크대(1)의 보조테이블(50)은 평상시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싱크대(1)의 전방의 일부 영역에 놓이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조테이블(50)을 식탁으로 사용하여 의자를 가지고 와서 그 의자에 앉아 식사를 할 수도 있고, 일어선 채로 보조테이블(50)에 놓인 음식을 먹을 수도 있으며, 보조테이블(50)에 음식재료 등을 놓고 요리를 할 때에는 보조조리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싱크대(1)의 전방의 다른 영역으로 보조테이블(50)을 위치시킨 후 사용하고자 한다면 보조테이블(50)을 밀거나 끌면 된다.
사용자가 지지테이블(66)을 잡아서 당기거나 밀게 되면 보조테이블(50)이 이동하게 되는데, 보조테이블(50)이 이동되는 작동과정을 도 4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지지테이블(66)을 잡아서 당기거나 밀게 되면 싱크대(1) 측의 지지테이블(66) 일단부에 결합되는 가동부(62)의 롤링구(63)는 고정안내레일(51) 내에서 좌우로 회전하게 되어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구르면서 진행하게 되고, 싱크대(1) 측의 반대측의 지지테이블(66) 타단부에 있는 굴림바퀴(69)도 바닥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테이블(66)은 싱크대(1) 측의 고정안내레일(51)을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링구(63)와, 싱크대(1) 측의 반대측에서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굴림바퀴(69)에 의하여 사용자가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원하는 수납장(13,23,33)에서 식기나 도구를 꺼내고자 할 때에는 보조테이블(50)을 이동시킨 후 원하는 수납장(13,23,33) 상단의 손잡이(13a)를 잡고 수납장(13,23,33)을 열어 내부에서 식기나 도구를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싱크대(1)에 싱크대(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보조테이블(50)을 핸드리스 스타일(Handless Style)의 수납장)과도 조화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주방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보조적으로 식탁 또는 조리대로 사용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가동테이블(61)의 가동부(62)가 롤링구(63)와지지축(64), 그리고 연결부재(65)로 구성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가동부(62)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지지테이블(66)의 일단이 고정안내레일(51)에 접촉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롤링구(63) 대신에 슬라이딩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연결부재(65)를 생략하고 바로 지지축(64)을 지지테이블(66)에 연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고정안내레일(51)의 가이드부(52)가 거의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하단부가 개구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고정안내레일(51)의 가이드부(52)가 원형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며, 하단부가 개구된 것이 아니라 측부가 개구되도록 하여 가동부(62)의 롤링구(63)를 측부로부터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지지테이블(66)이 상판(67), 지지부(68) 및 굴림바퀴(69)로 구성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지지테이블(66)을 상판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싱크대에 설치되는 핸드리스 스타일(Handless Style)의 수납장과도 조화될 수 있고 주방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보조적으로 식탁 또는 조리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싱크대의 보조테이블이 제공된다.

Claims (6)

  1. 싱크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상기 싱크대의 상부 전단부에 설치되는 고정안내레일; 및
    일단부가 상기 고정안내레일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싱크대의 길이방향으로 밀고 당겨질 때, 상기 싱크대의 전방에서 식탁 또는 조리대로 사용되는 사용위치간을 이동하는 가동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테이블은,
    상기 고정안내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싱크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고정안내레일에 접촉지지되는 가동부; 및
    일단부가 상기 가동부에 결합되는 지지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안내레일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롤링구;
    상기 롤링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 및
    이단으로 절곡되어 일단부는 상기 지지축과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테이블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안내레일은,
    내부에 상기 롤링구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의 일부영역이 개구되어 상기 롤링구를 회전가능하게 수용지지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싱크대 측의 가이드부 하단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싱크대 측의 반대측으로 절곡된 연장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절곡부의 하단부는 상기 싱크대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납장의 상단과 상기 가이드부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테이블은,
    상기 싱크대가 설치되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판;
    상기 지지테이블의 타단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판의 이동 시 상기 바닥에 접촉하여구름운동하는 굴림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KR2020020013766U 2002-05-06 2002-05-06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KR200285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766U KR200285235Y1 (ko) 2002-05-06 2002-05-06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766U KR200285235Y1 (ko) 2002-05-06 2002-05-06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235Y1 true KR200285235Y1 (ko) 2002-08-13

Family

ID=7308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766U KR200285235Y1 (ko) 2002-05-06 2002-05-06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2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281A (ko) * 2002-11-07 2002-11-29 주식회사 넵스 손잡이기능을 부여하는 주방 가구용 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281A (ko) * 2002-11-07 2002-11-29 주식회사 넵스 손잡이기능을 부여하는 주방 가구용 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5235Y1 (ko) 싱크대의 보조테이블
JP2007136020A (ja) 家電機器を備えたキッチン台
KR101917106B1 (ko) 싱크대용 보조 테이블
JPS6318484B2 (ko)
JP2512245B2 (ja) アイランドキッチン
KR200274216Y1 (ko) 주방가구용 조리대
JP2001161466A (ja) 厨房・家具装置
JPH11169243A (ja) 流し台
KR100515234B1 (ko) 싱크대용 보조 작업대
JP2548675Y2 (ja) 流し台
JP3134507U (ja) キッチンユニット
KR200274218Y1 (ko) 주방가구용 보조 테이블
JP3077784U (ja) 調理台装置
KR100282654B1 (ko) 다용도 이동식 조리대
JP3127618U (ja) 車椅子用シンク
JPH0970323A (ja) 引き出し式補助カウンター
JP2003310368A (ja) 厨房装置とそれによる載置機器の取り扱い方法
JP3116001U (ja) 収納式座位流し台
JPH04281925A (ja) 調理台
KR19980034522U (ko) 보조조리대장치
KR200298399Y1 (ko) 주방용 수세 작업대
KR200274217Y1 (ko) 주방가구용 보조 테이블
KR200302798Y1 (ko) 주방용 테이블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식탁
JPH0576421A (ja) アイランドキツチン
KR200197329Y1 (ko) 장롱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