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5381A - 전압/전류 변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압/전류 변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5381A
KR20010075381A KR1020017003867A KR20017003867A KR20010075381A KR 20010075381 A KR20010075381 A KR 20010075381A KR 1020017003867 A KR1020017003867 A KR 1020017003867A KR 20017003867 A KR20017003867 A KR 20017003867A KR 20010075381 A KR20010075381 A KR 20010075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current
ref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3482B1 (ko
Inventor
투스프란시스쿠스제이엠
데르크스헨크
Original Assignee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Publication of KR20010075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4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 H03F3/45484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in differential amplifiers with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488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mmon mode signal rejection in differential amplifiers with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by using feedback means
    • H03F3/45533Measuring at the common emitter circui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538Controlling the input circuit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1Voltage to curren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4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08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bipolar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098PI typ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356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AAC comprising one or more op-amps, e.g. IC-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칩(100)에 구현되는 전압(Vin)/전류(Iout) 변환 구조가 제 1 V/I 변환기(3)를 포함하며, 이 변환기(3)의 동작은 상기 칩에 형성된 변환 저항(Rconv)에 기초한다. 이 저항은 알려지지 않은 제조 공차(α)를 갖는다. 이는 보상 저항(Vconv)을 갖는 제 2 V/I 변환기(13)의 존재로 보상되는 데, 상기 보상 저항은 상기 칩에 또한 형성되고 동일한 제조 공차(α)를 갖는다. 더욱이, 외부 저항(Rref)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 3 V/I 변환기(23)가 존재한다. 제 2 V/I 변환기(13)는 기준 전압(Vref)을 보상 전류 신호(Icomp)로 변환하며, 제 3 V/I 변환기(23)는 기준 전압(Vref)를 기준 전류 신호(Iref)로 변환한다. 출력전류(Iout)는 제 1 V/I 변환기(3)의 출력 전류 신호(I1)를 기준 전류 신호(Iref)에는 비례하며 보상 전류 신호(Icomp)에는 반비례하는 인자로 배율함으로써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압/전류 변환 방법 및 장치{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CONVERTING VOLTAGE TO CURRENT}
이러한 변환기들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변환기는 예컨대 그 변환이 트랜스컨덕턴스(transconductance)에 기초하는 타입이거나, 또는 그 변환이 전기 저항에 기초하는 타입인 이와 같은 두 개의 서로 다른 타입으로 양분된다. 상기 먼저 언급한 타입의 변환기는 예컨대 1992 IEEE 인터내셔널 솔리드 스테이트 회로 컨퍼런스, ISSC92/세션 4/신호 처리/논문 WP4.2/ 에서 Geert, A, de Veirman, Richard G. Yamasaki에 의해 발표된 "27MHz 프로그램 가능 바이폴라 0.05°이퀴리플 선형-위상 저역통과 필터"(27MHz Programmable Bipolar 0.05°Equiripple Linear-Phase Lowpass Filter)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트랜스컨덕턴스의 단점은 이의 선형성(linearity)이 비교적 낮다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스컨덕턴스 기반 변환기의 선형성 보다 뛰어난 선형성을 갖는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두 번째 언급한 타입 즉, 변환이 전기 저항에 기초하는 타입의 변환기들은 일반적으로 양호한 선형성을 갖는다. 이는 입력전압 (dV)의 변화(variation)시 출력 전류(dI)에서의 변화가 만족스럽게 넓은 범위에 걸쳐 일정하다는 것이다. 이후에, 변환계수 λ는 λ=dI/dV로 정의될 것이다. 이 변환 계수 λ가 사전에 정확히 알려지도록 하는 식으로 변환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이 변환 계수 λ는 변환 저항의 저항값에 좌우된다. 만일 보정 변환기가 디스크리트 성분(discrete components)으로부터 구성되면, 저항값이 원하는 변환 저항값과 대응하는 변환저항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변환기가 온-칩 회로의 부분을 형성하는 경우 (이 경우, 변환 저항은 그 칩에 집적된다), 그 변환 저항의 저항값이 변환을 위해 요구되는 저항값과 정확히 대응하도록 하기가 매우 어렵다. 일반적으로 발생하며 그 칩의 제작 시 프로세스 조건들에서의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변화는 또한 "공차(tolerance)" α로 언급될 것이다. 주지할 사항으로, 이 공차는 사전에 알려지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웨이퍼마다 다른 상당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온-칩 집적 저항들은 특히 30%의 공차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공차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저항들을 단일 칩에 제작하면, 이들 모든 저항들을 동일한프로세스 단계를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이들 모든 저항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정확성 또는 공차를 갖게될 것이라는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변환 저항과 보상 저항을 갖는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인바, 상기 변환 저항 및 보상 저항은 동일한 프로세스 단계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 관련 변환 저항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모든 변환기들에 공통인 단일 보상 저항을 갖는 복수의 변환기들을 포함하고 있는 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모든 변환 저항들 및 상기 보상 저항은 동일한 프로세스 단계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중요한 양상에 따르면, 정확한 기준 전류가 단일 칩에 제공되는데, 이 기준 전류는 예컨대 외부 기준 저항에 기초하며, 상기 정확한 기준 전류로부터 유도되는 전류는 V/I 변환기의 출력 전류로서 공급되고, 상기 출력 전류와 상기 기준 전류간의 비율(ratio)은 한편으로는 변환 저항에 의해 결정되는 전류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상 저항에 의해 결정되는 전류간의 비율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추가의 양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예로서 주어지는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전기량을 제 2 전기량으로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전압을 전류로 변환하는 것,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일 칩에 구현된 전압/전류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예시하는 기능블록 선도,
도 2a-2c는 기능 블록선도,
도 3은 복수의 V/I 변환기를 포함하는 칩에 대한, 도 2c와는 다른 기능 블록선도,
도 4a-4c는 결합된 V/I 변환기와 배율 스테이지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동작 원리에 대해 도 1의 기능 블록 선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저항은 문자, 예컨대 R로 표기되고, 이 저항의 실제 저항값은 대괄호내의 이의 참조부호, 예컨대 [R]로 표기되며, 또한 "평가 저항(rated resistance)"으로 언급되는 상기 저항의 의도하거나 또는 원하는 저항값은 대괄호 내에서 그 끝에 별표가 붙은 참조부호, 예컨대[R*]로 표기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며, 참조번호 1로 표시된 V/I 변환기 장치를 보인 것이다. 이 V/I 변환기 장치(1)는 칩(100)에 실현되며, 이 칩(100)에 제작된 보다 광범위한 회로 장치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V/I 변환기 장치(1)는 입력 전압(Vin)을 수신하는 신호 입력(2)과 출력 전류(Iout)를 공급하는 신호 출력(5)을 가지고 있다. V/I 변환기 장치의 변환 인자 dIout/dVin이 만족할만한 정도로 소정 값 λ*와 같은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가정한다.
입력 신호(Vin)가 제 1 V/I 변환기(3)에 인가되며, 이 제 1 V/I 변환기(3)는이 출력(4)에 전류 출력 신호(I1)를 공급한다. 제 1 V/I 변환기(3)를 통한 전압의 전류로의 변환은 변환 저항(Rconv)에 기초한다. 제1 V/I 변환기(3)는 높은 선형성을 갖도록 설계되었으며, 변환 인자 λ11= dI1/dVin)은 1/[Rconv]와 같다. 주목할 사항으로써, 약간의 조정을 통해, 다음의 설명이 변환 인자는 같지 않지만은 중재(arbitrary)의 일정한 비례 인자의 경우에 이 변환 인자의 저항값의 역수에 비례하는 변환기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는바,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제 1 변환기(3)의 설계 시, 저항(Rconv)은 이의 평가 저항[Rconv *]이 1/λ*와 같아지게 하는 식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저항(Rconv)은 식 [Rconv]=α[Rconv *]에 따라서 이의 평가 저항[Rconv *]으로부터 편차를 지니는 실제 저항값 [Rconv]을 갖게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변환 인자의 실제값 λ1은 공식 λ1=1/α[Rconv *]=λ*/α에 따라서 평가값 λ*로부터 편차를 지니게 될 것이다. 여기서, α는 그 크기가 사전에 알려지지 않는 인자이다. 실제적으로 발생하는 α의 값은 그 칩에서 변환 저항을 제작할 때의 실제 프로세스 조건들에 종속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르면, 칩(100)은 전압 입력(12) 및 전류 출력(14)을 갖는 제 2 V/I 변환기(13)를 포함하며, 이 변환기의 동작은 보상 저항(Rcomp)으로 언급되는 제 2 저항에 기초한다. 이 보상 저항(Rcomp)은 평가 저항값[Rcomp *]을 갖는다. 칩(100)에서의 보상 저항(Rcomp)은 변환 저항(Rconv)과 같은 프로세스로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결과로서 보상 저항(Rcomp)은 변환 저항(Rconv)과 같은 특성을 갖게 되고, 특히 보상 저항(Rcomp)의 실제 저항값[Rcomp]은 [Rcomp]=α[Rcomp *]이 된다.
기준 전압(Vref)이 제 2 V/I 변환기(13)의 전압 입력(12)에 인가된다. 이 기준 전압(Vref)은 칩(100)자체에서 알려지는 식으로 발생되는데, 도 1은 이러한 목적으로 칩(100)이 기준 전압원(30)을 포함함을 선도로 보여주고 있다. 제 1 V/I 변환기(3)에 대해 이전에 제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 2 V/I 변환기(13)는 그의 출력(14)을 통해 출력 전류(Icomp)를 공급하는데, 이 출력 전류는 다음 식에 따라 기준 전압(Vref)에 의존하게 된다.
Icomp=Vref/(α[Rcomp *])
본 발명의 추가의 양상에 따르면, 칩(100)은 전압 입력(22) 및 전류 출력(24)을 갖는 제 3 V/I 변환기(23)를 포함하는데, 이 제 3 V/I 변환기의 동작은 그 저항값[Rref]이 정확히 알려진 기준 저항(Rref)에 기초한다. 이 기준저항(Rref)은 칩(100)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 외부 저항이 되며, 그 결과로서 저항값[Rref]은 사전에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외부 기준 저항(Rref)의 연결을 위해, 도 1에 보인 제 3 V/I 변환기(23)에 대해 두 개의 저항 입력 단자(25)가 보여져 있는데, 실제로는 제 3 V/I 변환기(23)가 단지 1개의 저항 입력 단자(25)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 외부 기준저항(Rref)은 상기 하나의 저항 입력 단자(25)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제 2 기준 전압이 제 2 V/I 변환기(23)의 전압 입력(22)에 인가된다. 이 제 2 기준 전압은 상기 제 1 기준 전압과 유사하게 칩(100)에서 자체적으로 알려지는 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도 1에 보인 예에서, 제 2 기준전압은 제 2 V/I 변환기(13)에 인가되는 상기 제 1 기준전압(Vref)과 같다. 다음 설명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이는 만일 제 2 기준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Vref)에 비례하기만 하면 족하며, 다음 설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될 일부 사소한 조정만을 요구하게 된다. 상기 제 1 변환기(3)와 관련하여 앞에서 제시된 방식과 유사하게, 제 3 V/I 변환기(23)는 그 출력(24)을 통해 출력 전류(Iref)를 공급하며, 이 출력 전류는 식 Iref=Vref/[Rref]에 따라 기준전압(Vref)에 의존 하게된다.
변환기 장치(1)는 또한 전류 분배기(40) 및 배율기(50)를 포함한다. 전류 분배기(40)는 그의 출력 전류(I1)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 1 입력(41)이 상기 제 1 V/I 변환기(30)의 출력(4)에 연결되며, 그의 출력 전류(Icomp)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 2 입력(42)이 상기 제 2 V/I 변환기(13)의 출력(14)에 연결된다. 전류 분배기(40)는 몫 I1/Icomp를 표시하는 신호(X)를 그의 출력(43)에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배율기(50)는 상기 신호(X)를 수신하기 위해 제 1 입력(51)이 전류 분배기(40)의 출력(43)에 연결되고, 그의 출력 전류(Iref)를 수신하기 위해 제 2 입력(52)이 상기 제 3 V/I 변환기(23)의 출력(24)에 연결된다. 배율기(50)는 X와 Iref의 곱을 표시하는 출력 전류(Iout)를 그의 출력(53)에 공급하도록 되어있으며, 출력(53)은 상기 V/I 변환기 장치(1)의 출력(5)에 연결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상기 배율기(50) 및 전류 분배기(40)의 시퀀스는 역으로 될 수도 있음이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I1, Icomp및 Iref를 위한 3개의 입력을 갖는 결합 분배기/배율기 요소의 이용 및 그 출력에 (IrefㆍI1)/Icomp와 같은 출력 전류(Iout)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모든 경우에서, 상기 제 1 변환기(3)의 부정확한 출력신호(I1)은 사실 상기 제 1 변환기(3)의 부정확성의 측정치인 조정 보정 인자 λ=Iref/Icomp에 의해 배율된다.
따라서, 출력전류(Iout)는 다음과 같이 된다.
Iout=Irefx I1/Icomp
=Vref/[Rref] x Vin/α[Rconv *] x α[Rcomp *]/Vref
=Vin/[Rconv *]x[Rcomp *]/[Rref] (1)
식(1)로부터, 변환기(1)의 출력 전류(Iout)는 부정확성 인자 α에 독립적임이 분명하다. 또한, 식(1)으로부터, 기준 전압(Vref)의 정확한 값이 출력전류(Iout)에 영향을 주지 않음이 분명하다. 이는 기준 전압(Vref)이 정확히 알려진 값을 가질 필요가 없으며, 심지어 기준 전압(Vref)이 시간에 따라 정확히 일정할 필요가 없음을 함축한다.
더욱이, 주목할 사항으로, 만일 [Rref]가 상기 보상 저항의 소정의 평가값[Rcomp *]과 같도록 선택되면, V/I 변환기 장치(1)의 변환계수 α는 제 1 변환기(3)의 평가 변환계수 λ1과 같게된다. 다른 한편으로, 변화 또는 조정 가능한 변환 계수 λ를 갖는 전압/전류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만일 평가 저항값 [Rconv *] 및 [Rcomp *]이 서로 같도록 선택되면, 이 변환계수 λ는 Rref의 역수와 같게될 것이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V/I 변환기 장치(1)에 복수의 보상 저항(Rcomp)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바, 이 저항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은 제어가능 스위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이 제어가능 스위치는 예컨대 직렬버스와 같은 제어 입력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어, 변환 계수 λ를 외부 제어신호에 의해 미리 알려진 복수의 정확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한선택 스위치 및 선택 보상 저항이 신호 왜곡을 야기할 수 있는 임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신호 경로 없이 칩에 제공된다.
도 1에 기능적으로 예시된 제조 공차 보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온-칩 V/I 변환기 장치(1)의 예는 다른 방식들로 보여질 수 있다. 도 2a는 전압 입력(2), 전류 출력(5) 및 외부 저항을 위한 단자(25)를 갖는 실체로서 V/I 변환기 장치(1)를 간단히 고려할 수 있음을 예시하는 것이다. 이어서, 그 보상이 V/I 변환기 장치(1)에 합체된다. 도 2b는 대안적으로 상기 V/I 변환기(3)를 전압 입력(2) 및 전류 출력(4)을 갖는 전압/전류 변환기로서 간주하고 그리고 입력(41), 출력(53) 및 외부저항을 위한 단자(25)를 갖는 보상 디바이스(6)를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이 보상 디바이스(6)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부품들(13, 23, 30, 40, 50)의 조합을 포함하게 되며, 이는 당업자에 자명할 것이다. 이후에, 입력 신호(Vin)를 전류신호(I1)로 변환하는 V/I 변환기(3)는 또한 제 1 변환기로서 언급될 것이다.
도 2c는 제 1 변환기(3)를 입력(41), 출력(53) 및 보상 파라미터(Icomp, Iref)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42,45)를 갖는 보상 디바이스(7)로 정의하는 것 역시 가능함을 예시한다. 그러면, 이 보상 디바이스(7)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품들(40,50)의 조합을 포함하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 보상 파라미터(Icomp,Iref)가 출력(14,24) 및 외부 저항을 위한 단자(25)를 갖는 파라미터 소스(8)에 의해 공급된다. 그러면 이 파라미터 소스(8)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부품들(13, 23, 30)의 조합을 포함하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보상 변환기들을 포함하는 칩(100)의 특별 버전을 예시한 것이다. 명확하게, 도 1에 보인 복수의 보상 변환기(1)의 제작에 의해서 그러한 버전을 실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도 3은 도 2c와 유사한 표현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에 따라, 관련 보상 디바이스(7(1-N)) 및 상기 보상 디바이스 (7(1-N))에 공통인 단일 파라미터 소스(8)와 함께 복수의 제1 V/I 변환기들(3(1-N))은 칩(100)에 구현될 수 있다. 보다 특별하게, 단일의 공통 외부 기준 저항(Rref)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V/I 변환기(3)의 실제적인 예를 보인 것이다. 이제, 전압 입력(2)은 두 개의 입력 단자(2a,2b)를 갖는 대칭 전압 입력이 되며, 전류 출력(4)은 각 트랜지스터(302a,302b)의 콜렉터에 연결되는 두 개가 출력 단자(4a,4b)를 갖는다. 입력 단자(2a,2b)는 각 연산 증폭기(301a,301b)의 비반전 입력에 연결되며, 이 연산 증폭기(301a,301b)의 출력은 각 트랜지스터(302a,302b)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연산증폭기(301a, 301b)의 반전입력에 각각 연결된 트랜지스터(302a,302b)의 이미터는 변환 저항기(Rconv)의 각 단부에 연결된다. 그 결과, 변환 저항기(Rconv)의 양단에 전위차가 생기며, 이 전위차는 두 개의 입력단자(2a,2b)양단의 전위차와 같아져 결과적으로 Vin과 같게된다.
트랜지스터(302a,302b)의 이미터는 각 전류원(303a,303b)에 연결되는데, 이 전류원(303a,303b)은 각각 크기가 비-임계적인(non-critical) 바이어스 전류(Ibias)를 발생하도록 되어있다. 변환 저항(Rconv)양단의 전위차는 변환 저항(Rconv)을 통하여 전류(I1=Vin/Rconv)를 생성한다. 이 전류는 트랜지스터(302a,302b)에 의해 발생되어야 하며, 그 결과로서, 트랜지스터(302a,302b)의 콜렉터 전류에서의 차는 I1과 같게된다. 따라서, 출력(4)에서 나타나는 출력신호(I1)는 전류차 신호가 되는바, 단자(4a,4b)에서 흐르는 전류(I1a,I1b)의 정확한 값을 알 필요가 없게된다.
주지할 사항으로, 출력 전류신호(I1)를 접지에 관하여 단일 출력 단자에 공급하는 대안적인 버전도 가능하다.
도 4b는 도 2c에 예시한 바와 같은 해석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상 디바이스(7)의 실제적인 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4b에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보상 디바이스(7)는 5개의 트랜지스터 (701-705)를 포함한다. 제 1 트랜지스터(701)의 콜렉터는 입력 전류(I41)를 수신하기 위한 전류 입력(41)에 연결된다. 제 1 트랜지스터(701)의 이미터는 접지에 연결된다. 제 1 트랜지스터(701)의 베이스는 제 2 트랜지스터(702)의 이미터와, 그리고 기준 전류(Iref)를 수신하기 위한 기준전류 입력(52)에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702)의 베이스는 제 3 트랜지스터(703)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제 3 트랜지스터(703)의 베이스는 제 4 트랜지스터(704)의 베이스와 그리고 보상 전류(Icomp)를 수신하기 위한 보상전류 입력(42)에 연결된다. 제 4 트랜지스터(704)의 이미터는 접지에 연결된다.
제 2 트랜지스터(702)와 제 3 트랜지스터(703)의 베이스는 제 5 트랜지스터(705)의 이미터에 연결되고, 제 5 트랜지스터(705)의 베이스는 전류 입력(41)에 연결된다. 제 2, 제 3, 제 5 트랜지스터(702, 703, 705)의 콜렉터들은 포지티브(+) 전원에 연결된다.
제 4 트랜지스터(704)의 콜렉터는 전류 출력(53)에 연결되어 I53=I41x (Iref/Icomp)인 전류(I53)를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a 및 도4b는 제 1 V/I 변환기(3) 및 보상 디바이스(7)의 가능한 실제적인 예를 보인 것이다. 추가의 실제적인 대안들이 가능한데, 상기 변환기 및 보상 디바이스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대안들이 어떻게 선정 및/또는 변형되는지는 당업자에게 자명하게될 것이다. 도 4a의 제 1 V/I 변환기(30) 및 도 4b의 보상 디바이스(7)의 직접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 4b의 보상 디바이스(7)는 추가의 전류원(706)을 구비하는데, 이 전류원(706)은 전류 입력(41)에 연결되어 전류 세기 2*Ibias를 공급하며, 그 결과로서 도 4a의 제 1 V/I 변환기(3)의 출력 브랜치 및 도 4b의 보상 디바이스(7)의 입력 브랜치를 통하는 전류들의 전류 방향이 서로 매칭되게 된다.
따라서, 도 4b에 보인 본 발명에 따른 보상 디바이스(7)는 이 디바이스의 입력(41)에서 수신되는 (절대)전류의 세기(I41)를 원하는 파라미터(Iref/Icomp)로 배율 시킴으로써 상기 전류 세기(I41)에 대해 보상을 하는데 적합하다. 이는 만일 입력전류(I41)이 I1과 같기만 하면 충분하다. 만일 도 4a에 예시한 예에서와 같이, 제 1 V/I 변환기(3)가 그 출력전류(I1)를 미분전류(differential current)로서 두 개의 입력 단자(4a,4b)에 공급하면, 도 4b에 보인 보상 전류(7)는 2중으로 제공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각 "절반(half)"의 입력(41a,41b)은 제 1 V/I 변환기(3)의 각 출력(4a,4b)에서 발생되는 전류(I1a,I1b)를 항상 수신하며, 각 "절반"의 출력(53a, 53b)은 원하는 파라미터(Iref/Icomp)에 의해 배율되는 전류(I53a,I53b)을 항상 공급하는바, 그 결과로서 그 중요한 출력 신호 Iout=I53은 다시 차 신호(I53a,I53b)가 된다.
도 4c는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해석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파라미터 소스(8)의 실제적인 예를 보인 것이다.
도 4c에 보인 파라미터 소스(8)는 그 출력이 제 1 트랜지스터(802)의 베이스에 연결된 제 1 연산증폭기(801)를 포함한다. 제 1 트랜지스터(802)의 이미터는 제 1 연산증폭기(801)의 반전 입력 및 보상 저항(Rcomp)의 일단에 연결되며, 보상 저항(Rcomp)의 타단은 접지에 연결된다. 연산증폭기(801)의 비반전 입력은 기준 전압(Vref)을 수신하도록 기준 전압원(30)에 연결된다. 보상 저항(Rcomp)의 양단 전압은 Vref와 같으며, 그 결과 전류는 제 1 트랜지스터(802)의 콜랙터-이미터 경로에서 생성되는 Vref/Rcomp와 같다. 이 전류는 제 1 트랜지스터(802)의 콜렉터에 연결된 보상 전류 출력(14)에서 보상 전류(Icomp)로서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파라미터 소스(8)는 그 출력이 제 2 트랜지스터(812)의 베이스에 연결된 제 2 연산증폭기(811)를 포함한다. 제 2 트랜지스터(812)의 이미터는 제 2 연산증폭기(811)의 반전 입력과 그리고 단자(25)를 통해 기준 저항(Rref)의 일단에 연결되며, 기준 저항(Rref)의 타단은 접지에 연결된다. 연산증폭기(811)의 비반전 입력은 기준 전압(Vref)을 수신하도록 기준 전압원(30)에 연결된다. 기준 저항(Rref)의 양단 전압은 Vref와 같게되어 결과적으로 Vref/Rref와 같은 전류가 제 2 트랜지스터(812)의 콜렉터-이미터 경로에서 생성된다. 상기 전류는 제 2 트랜지스터(812)의 콜렉터에 연결된 기준 전류 출력(24)에서 기준 전류(Iref)로서 나타난다.
설명한 바와 같이, Vref의 정확한 값은 기준 저항(Rref)과 보상 저항(Rcomp)가 같은 기준 전압(Vref)를 수신하는 한 비임계이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제 1 V/I 변환기(3) 및 보상 디바이스(7)(배율기)의 기능이 단일칩에 집적된다. 이는 칩(100)에서 요구되는 영역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이는 변환기에서 발생된 전류가 배율기에서 직접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칩(100)에 구현되는 전압(Vin)을 전류(Iout)로 변환시키기 위한 장치(1)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칩에 제작된 변환 저항(Rconv)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 1 V/I 변환기(3)를 포함한다. 이 저항은 알려지지 않은 제조 공차 α를 갖는다. 이는 같은 제조 공차 α를 갖는 온-칩 보상 저항(Rcomp)를 또한 갖는 제 2V/I 변환기(13)의 존재로 보상된다. 더욱이, 외부 저항(Rref)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 3 V/I 변환기(23)가 있다. 제 2 V/I 변환기(13)는 기준 전압(Vref)을 보상 전류 신호(Icomp)로 변환하고, 제 3 V/I 변환기(23)는 기준 전압(Vref)를 기준 전류 신호(Iref)로 변환한다. 출력 전류(Iout)는 제 1 변환기(3)의 출력 신호(I1)을 기준 전류 신호(Iref)와 직접 비례하며 보상 전류 신호(Icomp)와 반비례하는 인자로 배율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예들로만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화 및 변형이 가능함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전압/전류 변환의 경우에 대해 상기에서 설명하였다. 역으로, 본 발명은 그 변환이 변환 저항에 기초하는 실시예들에서 전류/전압 변환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측정량의 전기적 측정 신호(전압, 전류, 주파수 등)로의 변환에도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바, 여기에서 상기 변환은 변환 요소의 특성들에 기초하지만 그 특성들이 정확하게 사전 설정되지 않는다. 이것의 예들로서 온도 센서 및 압력센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은 제 1 변환 요소를 포함하고 제1 측정 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센서에 의해 수행된다. 제 2 센서는 본 발명의 중요한 양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변환 요소의 특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특성을 갖는 제 2 변환 요소를 포함한다. 이는 예컨대 제 2 변환 요소 및 제 1 변환요소를 동일한 프로세스 단계에서 제작하고, 제 2 변환요소 및 제 1 변환요소를 같은 칩에 구현함으로써 달성된다. 제 2 센서에 의해, 보상 신호를 제공하도록 보상 측정이 기준 신호에 대해 수행된다. 더욱이, 정확한 기준 신호를 공급하는 소스가 제공된다. 만일 제 1 측정 신호가 기준신호와 보상신호의 몫으로 배율되면, 프로세스 변화에 의해 야기된 제 1 변환 요소의 특성들에서의 어떤 변화들에 실질적으로 독립적인 보상 변환 신호가 얻어지며, 그 결과는 측정될 량에 따르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조정 가능한 배율 인자를 갖는 배율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모든 경우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측정량을 전기적 변환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변환 요소를 포함하며 제 1 측정 신호를 공급하는 제 1 센서에 의해 상기 측정량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변환 요소의 특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갖는 제 2 변환 요소를 갖는 제 2 센서를 제공하는 단계와,
    기준량을 제공하는 단계와,
    보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2 센서를 통해 상기 기준량에 대한 보상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정확한 기준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 변환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 1 기준 신호를 상기 기준 신호와 상기 보상 신호의 몫으로 배율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측정량을 전기적 변환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환 요소와 상기 제 1 변환 요소는 예컨대 상기 제 2 변환 요소와 상기 제 1 변환 요소가 동일 칩에 제작되는 경우에 동일한 프로세스 단계로 제작되는 측정량을 전기적 변환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3. 입력전압(Vin)/출력전류(Vout) 변환 방법으로서,
    변환 저항(Rconv)을 갖는 제 1 V/I 변환기(3)를 제공하는 단계와,
    보상 저항(Rcomp)을 갖는 제 2 V/I 변환기(13)를 제공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보상 저항(Rcomp)과 상기 변환 저항(Rconv)은 유사한 특성을 갖도록 제작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프로세스 단계로 제작되며,
    기준 전압(Vref)을 제공하는 단계와,
    기준 전류 신호(Iref)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V/I 변환기(3)를 통해 상기 입력 신호(Vin)를 제 1 전류신호(I1)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V/I 변환기(13)를 통해 상기 기준 전압(Vref)을 보상 전류신호(Icomp)로 변환하는 단계와,
    한편으로는 상기 제 1 전류 신호(I1)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기준 전류신호(Iref)와 상기 보상전류 신호(Icomp)의 몫과의 곱으로서 출력 전류(Iout)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전압(Vin)/출력 전류(Vout) 변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 신호(Iref)는 외부 기준 저항(Rref)을 갖는 제 3 V/I 변환기(23)를 통해 기준 전압(Vref)으로부터 유도되는, 입력 전압(Vin)/출력 전류(Vout) 변환 방법.
  5. 입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신호 입력과 출력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신호 출력을 갖는, 전압(Vin)/전류(Iout) 변환 장치로서,
    입력이 상기 신호 입력(2)에 연결된 제 1 V/I 변환기(3)-상기 제 1 V/I 변환기(3)는 제 1 변환 저항(Rconv)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변환 저항(Rconv)에 기초하여 자신의 입력에 수신되는 전압 신호(Vin)를 변환시킴으로써 제 1 전류 신호(I1)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음-와,
    알려지지 않은 공차 인자(α)를 갖는 상기 제 1 변환 저항(Rconv)과,
    상기 제 1 전류 신호(I1)를 정확한 기준 전류 신호(Iref)에는 비례하나 정확하지 않은 제 2 전류 신호(Icomp)에는 반비례하는 인자로 배율시킴으로써 상기 출력 전류(Iout)를 공급하는 보상 수단(7; 13, 23, 40, 50)을 포함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7; 13, 23, 40, 50)은 제 2 변환 저항(Rcomp)을 포함하는 제 2 V/I 변환기 - 상기 제 2 변환 저항(Rcomp)은 알려지지 않지만 상기 제 1 변환저항(Rconv)의 공차 인자(α)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차 인자(α)를 갖는다-와,
    제 1 기준 전압(Vref)을 상기 제 2 V/I 변환기(13)의 입력(12)에 공급하는 수단(30)과,
    상기 제 2 변환 저항(Rconv)을 토대로 상기 제 1 기준 전압(Vref)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 2 전류 신호(Icomp)를 공급하도록 된 제 2 V/I 변환기(13)를 포함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V/I 변환기(13)는 복수의 보상 저항(Rcomp)과 그리고 이와 관련된 제어가능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
  8. 제 6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7; 13, 23, 40, 50)은
    외부 기준 저항(Rref)에 연결을 위한 입력 단자(25)를 갖는 제 3 V/I 변환기(23)와,
    제 2 기준 전압(Vref)을 상기 제 3 V/I 변환기(23)에 공급하는 수단(30)과,
    상기 외부 기준 저항(Rref)을 토대로 상기 제 2 기준 전압(Vref)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기준 전류 신호(Iref)를 공급하도록 된 상기 제 3 V/I 변환기(23)를 포함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기준 전압(Vref)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 전압원(30)을 포함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V/I 변환기(3) 및 상기 제 2 V/I 변환기(13)는 단일 칩(100)에 형성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7; 13, 23, 40, 50)은 동일 칩(100)에 형성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칩(100)은
    복수의 제 1 V/I 변환기(3(1-N))와,
    각각의 상기 제 1 V/I 변환기(3(1-N))와 각각 관계하는 복수의 보상 수단(7(1-N))을 포함하며,
    여기서, 정확한 기준 전류 신호(Iref)를 공급하는 수단(23)은 복수의 상기 보상 수단(7(1-N))에 공통이며, 바람직하게는 모든 보상 수단(7(1-N))에 공통인 전압/전류 변환장치.
  13. 제 5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V/I 변환기(3)의 변환 기능 및 상기 보상 수단(7)의 보상 기능이 단일 회로에서 구현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
  14. 제 5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V/I 변환기(3)는
    두 개의 입력 단자(2a, 2b)와,
    두 개의 출력 단자(4a, 4b)와,
    그들 각각의 콜렉터가 상기 출력 단자(4a, 4b)에 연결된 두 개의 트랜지스터(302a, 302b)와,
    그들 각각의 비반전 입력이 상기 입력 단자(2a, 2b)에 연결되고 그들 각각의 출력이 상기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며, 그들 각각의 반전 입력이 상기 각각의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에 연결되는 두 개의 연산증폭기(301a, 301b)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트랜지스터(302a, 302b)의 이미터들은 각각 상기 변환 저항(Rconv)의 각 단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302a, 302b)의 이미터들은 각각 바이어스 전류(Ibias)를 발생하도록 된 각각의 전류원(303a, 303b)에 각각 연결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
  15. 제 5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디바이스(7)는
    콜렉터가 전류 입력(41; 41a, 41b)에 그리고 이미터가 접지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701)와,
    이미터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701)의 베이스 및 기준 전류 입력(52)에 연결된 제 2 트랜지스터(702)와,
    베이스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702)의 베이스에 그리고 이미터가 보상 전류 입력(42)에 연결된 제 3 트랜지스터(703)와,
    베이스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703)의 이미터에, 이미터가 접지에 그리고 콜렉터가 전류 출력(53; 53a, 53b)에 연결된 제 4 트랜지스터(704)를 포함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
  16. 제 5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수단(7)은 파라미터 소스(8)를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 소스(8)는
    비반전 입력이 기준 전압원(30)에 연결된 제1 연산증폭기(801)와,
    베이스가 상기 제1 연산증폭기(801)의 출력에 연결되고, 이미터가 상기 제1 연산증폭기(801)의 반전 입력에 연결되며, 콜렉터가 보상 전류 출력(14)에 연결된제1 트랜지스터(802)와,
    일단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802)의 이미터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에 연결된 보상 저항(Rcomp)과,
    비반전 입력이 상기 기준 전압원(30)에 연결된 제2 연산증폭기(811)와,
    베이스가 상기 제2 연산증폭기(811)의 출력에 연결되고, 이미터가 상기 제2 연산증폭기(811)의 반전 입력 및 저항 입력 단자(25)에 연결되며, 콜렉터가 기준 전류 출력(24)에 연결된 제2 트랜지스터(812)를 포함하는 전압/전류 변환장치.
KR1020017003867A 1999-07-28 2000-07-19 전압/전류 변환 장치 KR100803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202478 1999-07-28
EP99202478.6 1999-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381A true KR20010075381A (ko) 2001-08-09
KR100803482B1 KR100803482B1 (ko) 2008-02-14

Family

ID=824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867A KR100803482B1 (ko) 1999-07-28 2000-07-19 전압/전류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24083B1 (ko)
EP (1) EP1119907B1 (ko)
JP (1) JP2003505966A (ko)
KR (1) KR100803482B1 (ko)
DE (1) DE60037569T2 (ko)
WO (1) WO20010083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570A (ko) * 2009-07-28 2012-05-31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프로세스, 전압 및 온도 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17326T1 (de) * 2002-01-24 2008-12-15 Nxp Bv Elektronische schaltung für strom- spannungsumwandlung
TWI260857B (en) * 2002-05-15 2006-08-21 Ind Tech Res Inst High linearily CMOS transconductor circuit
CN102611453B (zh) * 2012-04-23 2016-09-21 承德承信自动化工程有限公司 一种数模转换装置
JP2015041808A (ja) * 2013-08-20 2015-03-02 株式会社東芝 アナログ信号処理装置
JP6797849B2 (ja) * 2018-01-26 2020-12-09 株式会社東芝 電圧電流変換回路
US10845832B2 (en) 2018-09-10 2020-11-24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Voltage-to-current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0433A (en) * 1977-01-04 1978-07-11 Motorola, Inc. Voltage to current converter circuit
CA1140223A (en) * 1978-04-13 1983-01-25 Warner-Lambert Company Voltage-to-current converter
JP2685748B2 (ja) * 1986-07-11 1997-12-03 日本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株式会社 回路定数測定器
JPH0219148A (ja) * 1988-07-07 1990-01-23 Tetsuyoshi Fukuoka 外反母趾予防具
US4883992A (en) * 1988-09-06 1989-11-28 Delco Electronics Corporation Temperature compensated voltage generator
NL9100398A (nl) * 1991-03-06 1992-10-01 Philips Nv Regelbare spanning-stroomomzetter met derde graads vervormingsreductie.
JPH052570A (ja) * 1991-06-25 1993-01-08 Gurafuiko:Kk クロスバースイツチ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並列処理装置
JP3411988B2 (ja) * 1992-09-21 2003-06-03 株式会社東芝 可変電圧電流変換回路
US5815012A (en) * 1996-08-02 1998-09-29 Atmel Corporation Voltage to current converter for high frequency applications
AU4883197A (en) * 1997-10-23 1999-05-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ifferential voltage-to-current conver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570A (ko) * 2009-07-28 2012-05-31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프로세스, 전압 및 온도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19907A1 (en) 2001-08-01
EP1119907B1 (en) 2007-12-26
WO2001008300A1 (en) 2001-02-01
JP2003505966A (ja) 2003-02-12
DE60037569T2 (de) 2008-12-11
DE60037569D1 (de) 2008-02-07
US6324083B1 (en) 2001-11-27
KR100803482B1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2475A (en) Method of offset voltage trim for automatic gain controls
JP3851375B2 (ja) 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US4349777A (en) Variable current source
CN207817038U (zh) 一种电流测量电路和万用表
US4498053A (en) Current amplifier
CN113655265A (zh) 用于电流检测的集成电路、电流检测电路及其校准方法
US5735605A (en) Thermocouple temperature probe adapter
JP6850338B2 (ja) 温度センサー構成におけるフリッカーノイズ低減
KR100803482B1 (ko) 전압/전류 변환 장치
US4695806A (en) Precision remotely-switched attenuator
US7268711B1 (en) Method and circuit for amplitude compensation in a digital-to-analog converter
CN112803906A (zh) 一种前置增益放大器
JP3189866B2 (ja) 抵抗計校正装置
JP4839572B2 (ja) 入力回路
JP3179204B2 (ja) インピーダンス変換回路
CN214480493U (zh) 一种前置增益放大器
JPS6339122B2 (ko)
EP0627813A1 (en) Integrated amplifier with an accurately defined gain factor
JPH08320346A (ja) 電気量測定装置
JP2000151311A (ja) ゲイン制御装置
JPH01126816A (ja) 広帯域可変利得増幅回路
JPS596605A (ja) 電流増幅器
JPH07297677A (ja) フィルタ回路
FI84102B (fi) Anordning foer omvandling av en icke-elektrisk storhet till en elektrisk signal.
JPS61108972A (ja) 電流測定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