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943A - 유아용 시트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시트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943A
KR20010072943A KR1020017002375A KR20017002375A KR20010072943A KR 20010072943 A KR20010072943 A KR 20010072943A KR 1020017002375 A KR1020017002375 A KR 1020017002375A KR 20017002375 A KR20017002375 A KR 20017002375A KR 20010072943 A KR20010072943 A KR 20010072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attachment member
attachment device
socket
inter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프레드 헤르만
랄프 리이데게너
페터 라이머
하이코 우취
미하엘 바그너
보도 치른슈타인
Original Assignee
헬무트 클라우스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무트 클라우스,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filed Critical 헬무트 클라우스
Publication of KR20010072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94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3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seat sub-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에 유아용 시트를 고정시키는 유아용 시트 부착 장치(101)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착 장치는 하나 이상의 부착 부재(109)를 포함하는데, 상기 하나 이상의 부착 부재(109)는 사용 위치와 파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사용 위치에서 단단히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래칭 부재(113)가 제공되어 사용 위치에서 부착 부재(109)를 로킹시킨다.

Description

유아용 시트 부착 장치{CHILD SEAT FIXING DEVICE}
독일특허 제 197 38802 호에는 스프링력에 의해 작동 위치에 부착 부재가 유지되는 이러한 유형의 부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가지는, 차량 시트상에 유아용 시트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차량 시트는 청구범위 제 12 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우측 부착 부재의 영역에서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내 구조는 개략 윤곽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시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우측 부착 부재의 영역에서 전형적인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연동 부재의 하부측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우측 부착 부재의 영역에서 전형적인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부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연동 부재의 하부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우측 부착 부재의 영역에서 전형적인 제 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래칭 스프링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우측 부착 부재의 영역에서 전형적인 제 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전형적인 제 6 실시예의 연동 부재의 하부측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전형적인 제 6 실시예의 부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전형적인 제 6 실시예의 가로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우측 부착 부재의 영역에서 전형적인 제 7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ⅩⅦ-Ⅹ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부품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우측 부착 부재의 영역에서 전형적인 제 8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우측 부착 부재의 영역에서 전형적인 제 8 실시예의 슬라이드 및 가로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시에서 상술한 유형의 부착 장치를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을 가지는 부착 장치와, 청구범위 제 12 항의 특징을 가지는 차량 시트에 의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한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부수적인 이점이다.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작동 위치의 부착 부재(fastening element)를 로킹(locking)시키는 연동 부재(interlocking element)를 제공하므로써, 작동 위치에서 공지의 부착 장치의 경우보다 높은 힘이 가압된다. 이로 인해 유아용 시트를 설치하는 경우, 한 손만을 이용할 수 있거나 설치하기 위해 다소 경사진 위치에 유아용 시트가 놓여지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고정되는 각각의 유아용 시트에 대해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2 부분은 시트 구조 또는 차량 구조에 설치된 가로대(crosspiece) 상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동 부재는 예컨대 피벗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로대에 대하여 부착 부재를 로킹시킨다. 연동 부재의 운동 방향은 부착 부재의 피벗 평면일 수도 있고, 또는 부착 부재와 수직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부착 장치에서, 연동 부재는 비교적 높은 힘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상 맞춤식(form fit)으로 로킹된다. 잠금 위치에서 확실히 유지되는 방법과 같이, 잠금 위치로 전환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연동 부재는 잠금 위치를 향하는 스프링식 하중을 받을 수도 있다. 연동 부재의 해제에 대해 해제 레버(release lever) 또는 작동 핸들(actuating handle)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동 부재는 가로대와 부착 부재에 대하여 변위되며 이들 2 부분을 서로 로킹시킨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동 부재는 부착 부재 상에 배열된다. 즉, 예컨대 조인트 베어링(joint bearing)으로서 공동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거나 이외의 적당한 다른 방법으로 연동 부재가 부착 부재에 고정된다. 이후, 연동 부재는 로킹을 위해 마찬가지로 가로대와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연동 부재는 예컨대, 래칭 스프링(latching spring) 또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 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착 부재가 파킹 위치(parking position)(및 후방)로 선회하면서 부착 부재는 연동 부재를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 부재는 부착 부재와 함께 예비조립된 하위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제조가 단순화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그러나, 연동부재는 가로대에 연결되는 바와 같이 부착될 수도 있다.
로킹을 보장하기 위해, 연동 부재는, 로킹하는 동안 부착 부재 또는 가로대 내의 소켓과 상호작용하며 상기 소켓 내에서 파지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돌출부 및 소켓은 각각의 경우에 다른 구성 요소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연동 부재가 부착 부재 상에 배열되는 경우에, 부착 부재의 연속적인 바람직한 끼워맞춤 또는 제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후, 예컨대, 소켓을 구비하며 연동 부재에 대해 단순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는 가로대는 부착 부재없이 초기에 끼워맞추어 질 수도 있지만, 이와 동시에 필요하다면 부착 부재의 선택적 부착을 준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는 하나의 효과를 추가될 수 있으며 동일 연동 부재는 작동 위치 및 파킹 위치 모두에서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읜 후방 시트는 등받침과 시트 쿠션(seat cushion)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부착 장치는 시트 구조물 또는 차량 구조물에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항공 승객용 시트에도 이용될 수도 있다.
아래에 도면에 도시되는 5개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에서, 자동차 시트(3)용 부착 장치(1)의 경우에, 시트 쿠션과 등받침 사이의 영역에서 자동차 시트(3)의 2개의 측면 사이에 거의 수평으로 활주하는 가로대(5)가 고정되어 있다. 자동차 시트(3)의 측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가로대(5) 상에 제 1 베어링 저널(first bearing journal)(7)이 결합되어 있다. 2개의 제 1 베어링 저널(7) 각각의 위에 거의 수평면에서 피벗될 수 있는 부착 부재(9)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부착 부재(9)는 대칭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부착 부재(9)는 후프형 부품(hoop-shaped part)(9')과 탭형 부품(tap-shaped part)(9")을 포함하는데, 후프형 부품(9')은 자동차 시트(3) 상에 유아용 시트를 장착하기 위해 유아용 시트의 커넥터(도시 안함)와 상호작용하며, 탭형 부품(9")은 제 1 베어링 저널을 둘러싸고 있다. 2개의 부착 부재(9)의 작동 위치에서, 후프형 부품(9')은 이동방향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편, 파킹 위치에서 부착 부재(9)는 가로대(5)와 평행하게 피벗된다. 이 결과, 후프형 부품(9')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각각의 제 1 베어링 저널(7)과 평행하게 제 1 베어링 저널이 가로대(5) 상에 부착되며, 부착 부재(9)와 동일 평면에서 피벗될 수 있는 연동 부재(13)가 가로대(5)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연동 부재(13)는 스프링(도시 안함)에 의해 연관된 부착 부재(9)를 향하여 사전인장(pretension)되어 있다. 각각의 연동 부재(13)는 부착 부재(9)와 면하는 후크(15)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부착 부재(9)의 탭형 부품(9")은 연동 부재(13)와 면하는 소켓(17)을 구비하고 있으며, 부착 부재(9)의 작동 위치에서, 형상맞춤식(form-fitting)으로 후크(15)가 소켓(17)과 맞물린다. 이에 의해, 부착 부재(9)는 작동 위치에서 로킹된다. 작동 위치에서 부착 부재(1)가 바람직하게 100N의 힘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부품의 치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위치로 피벗되는 동안, 연동 부재(13)의 사전인장은 후크(15)가 소켓(17)과 확실히 맞물리게 한다.
부착 부재(9)를 해제하기 위해, 탭형 부품(9") 상에 해제 레버(release lever)(19)가 장착되며, 이러한 해제 레버는 부착 부재(9)의 피벗 평면과 평행하게 피벗가능하다. 수동으로 개시되는 피벗 이동은, 연동 부재(13)로부터 제 2 베어링 저널(11)과 평행하게 상향으로 돌출하는 저널(21)에 대하여 해제 레버(19)가 견디게 한다. 해제 레버(19)를 연속적으로 이동시켜서 저널(21)을 따라 해제 레버(19)가 이동하게 되면, 해제 레버(19)에 의해 연동 부재(13)가 사전인장에 대해 대항하게 된다. 그 결과, 후크(15)가 소켓(17)으로부터 제거되며 파킹 위치로 피벗될 수 있는 부착 부재(9)를 해제시킨다. 또한, 파킹 위치를 보장하도록 후크(17)에 대해 다른 소켓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전형적인 제 2 실시예에서, 부착 장치(101)의 경우에, 2개의 베어링 저널(107)이 마찬가지로 가로대(105) 상에 부착된다. 2개의 베어링 저널(107) 위에 후프형 부품(109')과 탭형 부품(109")과 함께 부착 부재(109)가 피벗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부착 부재(109)는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 사실상 동일 구조이며 동일 기능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영역에서 부착 부재(109)와 연결되는 연동 부재(113)가 각각의 베어링 저널(107)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연동 부재(113)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113')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리프 스프링(113')은, 후프형 부품(109')의 부착 피스(attachment piece) 사이에 놓이는 탭형 부품(109")의 에지 영역(edge region)과, 베어링 저널(107) 사이에서 부착 부재(109)의 중심으로 연장한다. 리프 스프링(113')의 단부에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거의 입방형 래칭 블록(cuboid latching block)(115)이 고정되어 있으며, 리프 스프링(113')과 이격되어 면하는 측상에서 작동 핸들(115')이 리프 스프링(113') 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래칭 블록(115)의 하부측에는 완충기(bump)(115")가 설치된다.
연동 부재(113)는 탭형 부품(109")의 사각형 오목부를 통하여 래칭 블록(115)과 맞붙어 있다. 작동 위치에서, 동시에 연동 부재(113)는 가로대(105)의 소켓(117)을 통하여 형상 맞춤식으로 래칭 블록(115)과 맞붙어 있으며, 소켓(117)은 가로대(105) 아래에 위치하고 마찬가지로 사각형이다. 이에 의해, 부착 부재(109)가 로킹된다. 작동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리프 스프링(113')의 힘에 의해 더 이상의 조력없이 소켓(117) 내부에서 상술한 위치까지 래칭 블록(115)이 상승하게 된다. 끼워맞춤식이란 작동 위치에서 부착 부재(109)가 바람직하게 100N으로 가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해제하기 위해, 작동 핸들(115')을 통하여 래칭 블록(115)을 상승시켜서 소켓(117) 외부로 리프팅(lifting)할 수 있다. 이후, 부착 부재(109)는 파킹 위치로 피벗될 수 있다. 가로대(105)에는 압입부(depression)(123)가 제공되어 파킹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래칭 블록(115)의 하부측 상의 완충기(115")가 압입부(123) 안으로 파지된다. 따라서, 부착 부재(109)는 파킹 위치에도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제 3 실시예에서, 부착 장치(201)의 경우에, 2개의 베어링 저널(207)이 가로대(205)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2개의 베어링 저널(207) 각각의 위에는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 사실상 동일 구조이며 동일 기능을 가지는 부착 부재(209)가 후프형 부품(209')과 탭형 부품(209")과 함께 장착된다.
베어링 저널(207)의 각각의 최상부는 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는 단부 섹션을 구비한다. 부착 부재(209) 상에 지지되는 평편한 연동 부재(213)는 길다란 구멍(elongated hole)(213')에 의해 베어링 저널(207)의 이러한 단부 섹션을 둘러싼다. 길다란 구멍(213')은 가로대(205)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열되며 베어링 저널(207)의 단부 섹션보다 길이가 길다. 이 결과, 연동 부재(213)는 가로대(205)에 대하여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다.
연동 부재(213)는 하부면에 래칭 블록(215)을 가지는데, 부착 부재(209)의 작동 위치에서 상기 부착 부재의 탭형 부품(209") 상에 형성된 소켓(217) 안으로 끼워맞춤식으로 래칭 블록(215)이 파지된다. 연동 부재(213)는 후방과 면하는 단부에서 돌출부(222)를 가지는데, 부착 부재(209)의 작동 위치에서, 가로대(205)의 볼록 에지 상에 형성된 오목부 또는 압입부(223) 안으로 형상 맞춤식으로 이러한 돌출부(222)가 파지된다. 연동 부재(213)와 베어링 저널(207) 사이의 인장 스프링(225)은 돌출부(222)가 압입부(223) 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잠금 배열은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100N으로 가압될 수 있다.
해제하기 위해, 연동 부재(213)는 선단에서 파지되며 부착 부재(209)의 후프형 부품(209') 사이에 돌출되고 전방으로 밀린다. 이러한 돌출부(222)는 인장 스프링(225)의 힘에 반대방향으로 압입부(223)를 떠난다. 소켓(217)은 이러한 과정 동안 래칭 블록(215)이 소켓(217)을 떠날 수 없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이후, 부착 부재(209)는 파킹 위치로 측면까지 연동 부재(213)와 함께 피벗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변경된 실시예에서, 베어링 저널(207)은 가로대(205)에 고정되어 연결된다. 이후, 부착 부재(209) 및 연동 부재(213)는 베어링 저널(207)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인장 스프링(225)의 일단부는 베어링 저널(207)의 단부 섹션 둘레에 헐겁게 위치하며, 그 결과 베어링 저널(207)에 관하여 상기 단부가 회전할 수 있다.
전형적인 제 4 실시예에서, 부착 장치(301)의 경우에, 2개의 베어링 저널(307)이 유사하게 가로대(305)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베어링 저널(307)의 각각의 위에는 부착 부재(309)가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며, 부착 부재(309)는 실지로 후프형 부품(309')과 탭형 부품(309")을 가지는 동일 구조를 가지며,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을 가진다.
가로대(305)를 따라 배열되며, 가로대의 볼록 에지 상에 지지되는 래칭 스프링(312)은 래칭 러그(latching lug)(313)를 가지는데, 이러한 래칭 러그(313)는 래칭 스프링(312)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경미하게 돌출하여 연동 부재의 역할을 한다. 탭형 부품(309")의 단부에는 소켓(317)이 있는데, 이러한 소켓(317)은 후프형부품(309')으로부터 이격되어 마주한다. 부착 부재(309)가 작동 위치에 자리한다면, 소켓(317)은 후방을 향한다. 이후, 래칭 러그(313)는 소켓(317) 안에서 파지되어 부착 부재(309)를 로킹한다.
해제하기 위해, 부착 부재(309)는 측면으로 가압된다. 이 결과, 래칭 러그(313)는 소켓(317) 외부로 가압되어 래칭 스프링(312)이 부착 부재(309)를 해제시킨다. 부착 부재(309)는 소켓(317)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옵셋(offset)되는 다른 소켓을 가지는데, 이러한 소켓은 도면에서 베어링 저널(307)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 래칭 러그(313)와 상호작용하는 이러한 다른 소켓에 의해, 부착 부재(309)가 파킹 위치에 로킹된다.
전형적인 제 5 실시예에서, 부착 장치(401)의 경우에, 2개의 베어링 저널(307)은 유사하게 가로대(405) 상에 결합된다. 이러한 2개의 베어링 저널(407)의 각각 위에는 부착 부재(409)가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며, 이러한 부착 부재(409)는 후프형 부품(409')과 탭형 부품(409")을 구비하는 실지로 동일 구성을 가지며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의 구성으로서 동일 기능을 가진다.
연동 부재(413)는 후프형 부품(409')의 내부 측면 림(limb) 상에 클리핑(clip)되어 있다.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부품으로서 제조되는 연동 부재(413)는 임의의 각도 범위 이상으로 피벗될 수 있으며, 후프형 부품(409')은 부착 부재(409)의 종축 방향으로 배향되는 피벗축을 형성한다. 탭형 부품(409")과 마주하는 연동 부재(413)의 단부에서 상기 연동 부재는 부착 부재(409)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하는 래칭 블록(415)을 가진다. 부착 부재(409)가 작동 위치에 위치한다면, 래칭 블록(415)은, 가로대(405)의 전방 에지 상에 제공된 소켓(417) 안에서 형상 맞춤식으로 파지되며, 이 결과 부착 부재(409)를 바람직하게 100N의 힘까지 로킹한다.
래칭 블록(415)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에서 연동 부재(413)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곡선의 작동 핸들(415')을 가지는데, 이러한 작동 핸들(415')은 래칭 블록(415)으로부터 이격되어 마주하는 측상에서 후프형 부품(409')의 다른 림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다. 스프링(도시 안함)에 의해, 또는 연동 부재(413)와 후프형 부품(409')의 림 사이의 마찰에 의해 작동 핸들(415')이 상방으로 유지된다. 해제하기 위해, 작동 핸들(415')은 하방으로 가압되어 연동 부재(413)가 후프형 부품(409')의 림에 대하여 선회한다. 이 결과, 래칭 블록(415)이 소켓(417)을 벗어나 상방으로 선회하여, 파킹 위치로 피벗하기 위해 부착 부재(409)를 해제시킨다.
전형적인 제 6 실시예는 전형적인 제 2 실시예의 변형이며,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도면 부호에 알파벳 "a"를 보충하였다. 전형적인 제 6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전형적인 제 2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일치하므로 전형적인 제 6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가로대(105a)는 이동 방향으로 베어링 저널에 대한 구멍(107'a)의 전방에 배열되는 소켓(117a)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소켓(117a)은 가로대(105a)의 전방 에지 상에 U자형 절개부(U-shaped incision)로서 형성된다. 상기 구멍(107a')에 대하여 90°각도로 옵셋되는 가로대(105a)는 경미하게 길다란 압입부(124a)를 가지는데, 이러한 길다란 압입부(124a)는 가로대(105a)를 관통하는 길다란 구멍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후프형 부품과 탭형 부품을 구비하는 부착 부재(109a)는 탭형 부품 내에 길다란 개구형 오목부(elongated-hole-shaped recess)(109''')를 가지는데, 이러한 길다란 개구형 오목부(109''')는 작동 위치에서 소켓(117a) 위에 배열된다. 리프 스프링을 구비하는 연동 부재(113a)는 자유단 영역의 하부 측상에 하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래칭 핀(115a)을 가지는데, 연동 부재(113a)의 자유단 영역에는 작동 핸들(115'a)이 부착되며, 원통형 래칭 핀(115a)은 구형 에지(115"a)를 구비하고 있다.
가로대(105a)에 부착 부재(109a)를 로킹하기 위해 오목부(109''')를 통하여 소켓 안으로 래칭 핀(115a)이 파지된다. 파킹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래칭 핀(115a)이 소켓(117a) 외부로 리프팅되지만, 래칭 핀(115a)의 외향 리프팅 이동을 한정하기 위한 멈추개(stop)로서 에지가 이용되는 오목부(109''') 외부로 리프팅되지는 않는다. 파킹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래칭 핀(115a)의 헤드(115"a)가 가로대(105a)의 압입부(123a) 내부로 삽입되며, 이러한 래칭 핀(115a)의 헤드(115"a)는 자체가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압입부(123a)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전형적인 제 7 실시예는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와 부분적으로 유사한 부착 장치(501)에 관한 것이며,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전형적인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구성 요소의 도면 부호에 500 또는 400만큼 가산된 도면 부호를 각가가 가진다. 제 1 베어링 저널(507)에 의해 가로대(505) 상에 각각의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착 부재(509)는 후프형 부품(509')과 탭형 부품(509")을 구비한다. 제 2 베어링 저널(511)에 의해 가로대(505) 상에걸쇠(catch)(512)가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형적인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리프 스프링(513')을 구비하는 연동 부재(513)는 제 1 베어링 저널(507)에 의해 탭형 부품(509")에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연동 부재(513)는 탭형 부품(509")에 대해 공통 회전가능하게 배열된다. 리프 스프링(513')의 자유단은 스프링 후크(spring hook)(515)로서 구성되는데, 이러한 리프 스프링(513')은 개시에 있어서 탭형 부품(509") 내의 U자형 오목부(509''')를 통하여 부착 부재(509)의 작동 위치에서 가로대(505)의 소켓(517) 안으로 파지된다. 소켓(517)은 대략 정방형 단면의 개구부로서 구성되며, 수평상태에서 형상 맞춤식으로 가로대(505)를 관통한다.
부착 부재(509)의 종축 방향으로, 즉 부착 부재(509)로부터 제 1 베어링 저널(507)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부착 부재(509) 상에 슬라이드(527)가 배열된다. 이러한 슬라이드(527)는 종축 방향을 향하는 후프형 부품(509')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인도된다. 슬라이드(527)는 오목부(527''') 내부에 배열된 쐐기(wedge)(529)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가압하므로써, 작동 위치로부터 개시하여 제 1 베어링 저널(507)을 향하여 슬라이드(527)가 이동하는 경우에, 스프링 후크(515)에 대하여 쐐기(529)가 가압된다. 스프링 후크(515)는 경사진 상방을 향하는 쐐기(529)의 표면을 통하여 상방으로 가압되어 소켓(517)을 이탈하게 된다. 이 결과, 부착 부재(509)가 해제된다. 탭형 부품(509")과 슬라이드(527) 사이의 압축 스프링(531)은, 외력 작동없이 쐐기(529)가 스프링 후크(515) 상에 확실히 가압하지 않게 한다.
제 1 베어링 저널(507) 둘레에 감기는 예비인장 스프링(533)은 부착 부재(509)를 압박하여, 부착 부재(509)가 파킹 위치에서 이탈하여 잠금 위치로 선회하게 된다. 예비인장 스프링(533)의 다른 부분은 제 2 베어링 저널(511) 둘레에 감겨 있으며 부착 부재(509)를 향하여 걸쇠(512)를 클램핑(clamping)하고 있다. 파킹 위치에서,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쇠(512)는 부착 부재(509)의 대응하는 소켓 안으로 파지된다. 해제 바(unlocking bar)(537)에 의해 가로대(505)의 양 단부에 위치한 2개의 걸쇠(512)는 연관된 부착 부재(509)를 2개의 걸쇠(512)가 해제시키는 방식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후, 예비인장 스프링(533)력으로 인해 각각의 부착 부재(509)는 작동 위치 안으로 선회하며, 연동 부재(513)의 스프링 후크(515)는 스프링력으로 인해 가로대(505)의 소켓(517) 안으로 파지되어 부착 부재(509)를 로킹시킨다.
전형적인 제 8 실시예는 전형적인 제 7 실시예와 대개 유사한 부착 장치(601)와 관련이 있으며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100이 가산된 도면 부호를 가진다. 각각의 가로대(605)의 단부에는 아일랜드(605')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아일랜드(605')는 제 1 베어링 저널(607)에 대한 구멍(607')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멍(607')은 후프형 부품(609')과 탭형 부품(609")을 가지는 부착 부재(609)를 피벗가능하게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아일랜드(605')는 또한, 가로대(605) 상에 걸쇠(612)를 피벗가능하게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제 2 베어링 저널(611)에 대한 구멍(611')을 구비하고 있다. 작동 위치에서 아일랜드(605')의 스텝형 소켓(617)과 상호작용하는 러그형(lug-shaped) 연동 부재(613)가 슬라이드(627) 상에 형성된다.부착 부재의 종축 방향으로, 즉 부착 부재(609)로부터 멀어져서 제 1 베어링 저널(607)을 향하여 변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슬라이드(627)가 부착 부재(609) 상에 배열된다. 슬라이드(627)가 브래킷형 부품(bracket-shaped part)(609')의 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종축 방향을 향한다는 점에 의해 슬라이드(627)가 인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탭형 부품(609")과 슬라이드(627) 사이의 압축 스프링(631)은, 슬라이드(627)가 아일랜드(605')를 향하여 예비인장되는 것을 확보한다. 이러한 압축 스프링(631)은 슬라이드(627)의 대응하는 케이지형 장착부(cage-shaped mount)(631')에 의해 유지된다. 작동 위치에서, 걸쇠(612)에 대하여 탭형 부품(609")을 형상 맞춤식으로 지지하여 외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가로대(605)의 아일랜드(605') 내에 위치한 소켓의 스텝형 플랭크(step-shaped flank)에 대하여 연동 부재(613)를 형상 맞춤식으로 지지하여 파킹 위치 내부 안으로 선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해제하기 위해, 연동 부재(613)가 소켓(617)을 이탈할 때까지 슬라이드(627)가 압축 스프링(631)의 힘에 반대 방향인 전방으로 슬라이드(627)가 밀려서, 사용자가 부착 부재(609)를 내부로 선회시킬 수 있다.
제 1 베어링 저널(607) 둘레에 감겨 있는 예비인장 스프링(633)은 부착 부재(609)를 압박하여 파킹 위치에서 이탈하여 부착 부재(609)가 작동 위치 안으로 선회하게 한다. 예비인장 스프링(633)의 다른 부분은 제 2 베어링 저널(611) 둘레에 감겨 있으며 부착 부재(609)를 향하여 걸쇠(612)를 클램핑한다. 파킹 위치에서, 걸쇠(612)는 부착 부재(609) 내의 대응하는 소켓 안에서 파지된다. 해제바(637)에 의해 가로대(605)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2개의 걸쇠(612)는 연관된 부착 부재(609)를 2개의 걸쇠(612)가 해제시키는 방식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후, 각각의 부착 부재(609)는 예비인장 스프링(633)의 힘에 의해 작동 위치 안으로 선회하며, 연동 부재(613)는 압축 스프링(631)의 스프링력으로 인해 가로대(605)의 소켓(617) 안으로 파지되어 부착 부재(609)를 로킹시킨다.
상이하게 상술하지 않았다면, 전형적인 실시예는 그들 실시예의 특징과 특성에 관하여 서로 일치한다.

Claims (12)

  1. 작동 위치와 파킹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작동 위치에서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부착 부재(9; 109; 109a; 209; 309; 409)를 포함하는 유아용 시트를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상에 로킹하는 부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위치에서 상기 부착 부재(9; 109; 109a; 209; 309; 409)를 로킹시키는 연동 부재(13; 113; 113a; 213; 313; 41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9; 109; 109a; 209; 309; 409)는 시트 구조물 또는 차량 구조물에 부착되는 가로대(5; 105; 105a; 205; 305; 405) 상에 장착되며, 상기 연동 부재(13; 113; 113a; 213; 313; 413)는 상기 가로대(5; 105; 105a; 205; 305; 405)에 대하여 상기 부착 부재(9; 109; 109a; 209; 309; 409)를 로킹시키고, 상기 연동 부재(13; 113; 113a; 213; 313; 413)는 이동가능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13; 113; 113a; 213; 313; 413)는 스프링 하중식인 것을 특징으로 부착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313)는 강제맞춤식으로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13; 113; 113a; 213; 313; 413)는 형상 맞춤식으로 로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13; 113; 113a; 213; 313; 413)는 해제 레버(19) 또는 작동 핸들(115'; 115'a; 415')을 작동시킴으로써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213)는 상기 가로대(205)와 상기 부착 부재(209)에 대하여 변위되어 상기 가로대(205)와 상기 부착 부재(209)를 로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113; 113a; 115; 313)는 래칭 스프링(113'; 312)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113; 113a; 213; 413)는 상기 부착 부재(109; 109a; 209; 409)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13; 213; 313)는 돌출부(15; 215; 313)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15; 215; 313)는 로킹을 위해 상기 부착 부재(9; 209; 309)의 소켓 안으로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113; 113a; 413)는 돌출부(115; 115a; 415)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115; 115a; 415)는 로킹을 위해 상기 가로대(105; 105a; 405)의 소켓 안으로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착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 시트, 특히 자동차 시트.
KR1020017002375A 1999-06-24 2000-04-22 유아용 시트 부착 장치 KR200100729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8862A DE19928862A1 (de) 1999-06-24 1999-06-24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Kindersitz
DE19928862.3 1999-06-24
PCT/EP2000/003668 WO2001000436A1 (de) 1999-06-24 2000-04-22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kindersi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943A true KR20010072943A (ko) 2001-07-31

Family

ID=791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375A KR20010072943A (ko) 1999-06-24 2000-04-22 유아용 시트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31958B1 (ko)
EP (1) EP1107878B1 (ko)
JP (1) JP3597819B2 (ko)
KR (1) KR20010072943A (ko)
CN (1) CN1145564C (ko)
DE (2) DE19928862A1 (ko)
WO (1) WO20010004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81B1 (ko) * 2006-12-06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유아용 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8670C1 (de) * 2001-06-13 2002-06-20 Faurecia Autositze Gmbh & Co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Gegenstandes, insbesondere eines Kindersitzes, an einem Fahrzeugsitz
DE10206780B4 (de) * 2002-02-19 2005-03-24 Daimlerchrysler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Kindersitz
GB0315303D0 (en) * 2003-06-30 2003-08-06 Constant Developments Ltd Seating apparatus for use on a vehicle having a storage area normally used for carrying cargo
DE10331611B4 (de) * 2003-07-12 2006-02-09 Daimlerchrysler Ag Fahrzeugsitz
US6935687B1 (en) * 2004-02-23 2005-08-30 Delphi Technologies, Inc. Mounting anchor for a motor vehicle
US7207619B2 (en) * 2004-03-26 2007-04-24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Child seat tether anchor structure
FR2875188B1 (fr) * 2004-09-10 2006-12-01 Ampafrance Dispositif de puericulture comprenant un siege amovible, a moyens mecaniques de controle du verrouillage, et dispositif mecanique d'indication du verrouillage correspondant
DE102004049321B4 (de) * 2004-10-09 2014-01-23 Volkswagen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Kindersitz in einem Kraftfahrzeug
US7575276B1 (en) 2006-02-13 2009-08-18 Collin Henry 360 degree pivotal vehicle child seat and associated method
CN102618545B (zh) * 2006-06-09 2014-12-10 株式会社益力多本社 与人癌细胞的永生化相关的基因及其应用
US7338121B1 (en) 2006-10-10 2008-03-04 Honda Motor Co., Ltd. Retracting child seat restraining striker and methods of use
US7510243B1 (en) * 2007-12-25 2009-03-31 Yu-Ching Hung Folding and fixing structure of a chair backrest
CN102717733A (zh) * 2012-05-31 2012-10-10 芜湖市三和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婴儿座椅安装板总成
DE102014221886B4 (de) * 2014-10-28 2022-01-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US9821686B2 (en) * 2015-03-06 2017-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hanced fixed anchor accessibility for child safety seat anchors in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9478B2 (ja) * 1992-03-13 1998-05-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子供用シート
US5695243A (en) * 1996-01-31 1997-12-09 Indiana Mills And Manufacturing, Inc. Child seat mount with anti-twist web mechanism
JP3575185B2 (ja) * 1996-10-17 2004-10-13 タカタ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DE19738802C2 (de) * 1997-09-05 2001-04-12 Keiper Gmbh & Co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Kindersitz
GB2329114A (en) 1997-09-11 1999-03-17 Ford Motor Co Child seat anchorage
GB9725494D0 (en) * 1997-12-02 1998-02-04 Britax Excelsior Child safety seat
DE19822134C1 (de) * 1998-05-16 1999-02-04 Keiper Gmbh & Co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Kindersitz auf einem Fahrzeugsitz
DE19827057A1 (de) 1998-06-18 1999-12-2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Erkennen eines auf einem Fahrzeugsitz arretierten Kindersitzes
DE19834312A1 (de) 1998-07-30 2000-02-03 Opel Adam A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Kindersitzes auf einem Fahrzeugsitz
DE19834847C1 (de) * 1998-08-01 1999-10-28 Keiper Gmbh & Co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Kindersitz
DE19847956B4 (de) * 1998-10-17 2006-05-24 Dr.Ing.H.C. F. Porsche Ag Halte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Kindersitzes an einem Fahrzeugsitz
DE19850255C1 (de) * 1998-10-31 2000-06-08 Keiper Gmbh & Co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Kindersitz
US5918934A (en) * 1998-11-09 1999-07-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hild seat attachment system
US6390560B1 (en) * 2000-05-31 2002-05-21 Toyota Technical Center Usa, Inc. Motorized rigid child restraint seat anch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81B1 (ko) * 2006-12-06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유아용 시트 장착용 하부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07878A1 (de) 2001-06-20
DE50009100D1 (de) 2005-02-03
CN1314851A (zh) 2001-09-26
CN1145564C (zh) 2004-04-14
WO2001000436A1 (de) 2001-01-04
US6631958B1 (en) 2003-10-14
JP3597819B2 (ja) 2004-12-08
DE19928862A1 (de) 2001-01-04
JP2003503252A (ja) 2003-01-28
EP1107878B1 (de)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2943A (ko) 유아용 시트 부착 장치
JP5600809B2 (ja) 車両シート用ラッチ及び車両シート
US7887134B2 (en) Interlock for a seat recliner mechanism
US5997069A (en) Removable vehicle seat assembly
US5743596A (en) Safety fixture for removable seat of the vehicle
US5669663A (en) Quick-action fastening device for a child's seat in a vehicle
US6412849B1 (en) Chuck-free latch assembly
US4711493A (en) Mounting or locking assembly, especially for use with pivotable motor vehicle seats
JP2007531661A (ja) 車両シート用取付ラッチ組立体
JP2013538741A5 (ko)
EP2476582A1 (en) Seat belt lock device of a child car seat, and a child car seat
EP0980785A3 (en) Seatback latch mechanism with locking pin
EP1623892B1 (en) Child vehicle seat
US6676198B2 (en) Mounting system and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H04213675A (ja) 車両の揺動部材用拘束装置
JPS6343933Y2 (ko)
US20200163418A1 (en) Web adjuster
US8882161B2 (en) Locking device with signal structure
US20050184567A1 (en) Lock-off mechanism for a child seat
KR10055946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3883021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
JP2505365Y2 (ja) ドアロック装置のストライカ振れ止め装置
US6364393B1 (en) Device for fixing a vehicle seat
CN212604984U (zh) 安全带固定装置及具有该安全带固定装置的汽车安全座椅
GB2362919A (en) Lock or latch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