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1630A - 층으로부터 실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층으로부터 실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71630A KR20010071630A KR1020007014886A KR20007014886A KR20010071630A KR 20010071630 A KR20010071630 A KR 20010071630A KR 1020007014886 A KR1020007014886 A KR 1020007014886A KR 20007014886 A KR20007014886 A KR 20007014886A KR 20010071630 A KR20010071630 A KR 200100716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reads
- picked
- yarns
- rods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6—Apparatus for joining warp ends
- D03J1/18—Apparatus for joining warp ends for joining, e.g. tying, a complete series of fresh warp threads to the used warp thread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Warping, Beaming, Or Leas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수적으로 서로 표면을 형성하고 제1 및 제 2위치에서 고정되며, 서로 근접하게 위치하는 실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구체적으로 실들이 소위 비틀림상태가 아닌 다중 필라멘트들로 구성될때에 실층으로부터 실들이 신뢰성있게 분리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경우 분리수단(5,15,25,35)에 의해 복수개의 실들이 집어올려지고, 실들이 횡방향으로 집어올려진 실들이 서로 다른 상대가속도를 가진다. 단일 또는 반복된 분리작업후에, 예를 들어 연신기능의 바늘에 의해 제 1실이 용이하게 집어올려지고 실층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예를 들어 제직기의 하니스(harness)요소들로 날실들을 끌어당기기 위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단계로서 실의 분리작업이 있다. 이 경우 상기 날실들은 프레임(frame)내에서 펴서 건조되고, 상기 날실들은 서로 날실 층을 형성한다. 동시에 개별 날실들은 서로 매우 근접하게 위치한다. 끌어당겨지기 전에 날실들은 상기 날실층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하고, 즉, 날실들이 서로 이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항상 용이하지 못하다. 이미 씨실들이 제공되고 그 결과 직물의 일부를 형성하며 오래된 날실층의 날실들이 새로운 날실층으로 직조될 때, 상기 문제가 발생한다. 날실들은 또한 프레임 내부로 고정되고, 제직기에 의해 직조되기 전에 상기 층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상기 실들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공지의 장치 및 방법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서로 근접하게 놓인 실들을 구분하여 실들이 연신작업을 위해 개별적으로 연속적으로 집어올려질 수 있도록, 개별 실들사이에 바늘들이 삽입된다. 소위 날실의 교차위치가 상기 실들사이에 미리 도입되고, 날실에 대해 횡방향인 두 개의 코드(cord)들이 날실들사이에서 연신 또는 직조된다. 분리작업을 위해, 예를 들어, 교착위치의 한쪽 단부 또는 양쪽 단부위에서 번갈아 연신되어, 각각의 경우 가장 앞쪽에 위치한 실이 다른 실들로부터 분리된다.
공지된 상기 방법 및 장치의 단점에 의하면, 특히 소위 다중필라멘트(multi filament)로 구성된 날실에 있어서, 바늘들이 도입이 제한된다. 특히 상기 다중필라멘트가 비틀림상태가 아니거나 낮은 선형 밀도를 가지거나 실구성층의 밀도가 상당히 불규칙적일 때, 상기 사실이 적용된다. 심지어 교차위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드들을 삽입하기 위해, 작업자 또는 기계에 의해 바늘들로 분리하는 작업이 필수적이어서, 상기 문제들이 동일하게 야기된다. 날실들이 교차위치들에 의해 분명히 분리되고 저장되더라도, 분리된 코드들의 삽입작업은 상당히 복잡한 부가작업을 형성한다. 그러나 직조작업 또는 심지어 날실들이 직조되는 동안 불분명하게 분리된 날실들은 간섭 및 결과적으로 생산성저하를 야기한다. 상기 문제는 심지어 이중실 감지작용이 예를 들어 직조기에 이용될 때도 야기된다.
교차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원주에서 실형상의 단면을 가진 회전몸체에 의해서만 실들이 분리되는 방법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주요 연사 및 비틀림상태의 다중 필라멘트들을 분리할때만 적합하다. 복수개의 섬유들로 이루어지고 비틀림상태가 아닌 연사들에 있어서, 연사들은 단지 개별 섬유들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분명한 분리작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하고, 필수적으로 함께 하나의 층 또는 표면을 형성하는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고정되는 실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고, 일부 실들을 집어올린 상태 및 고정된 실들의 층을 도시한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라 일부 실들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따라 일부 실들을 집어올린 상태 및 고정된 실들의 층을 도시한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따라 일부 실들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따라 일부 실들의 집어올린 상태 및 고정된 실들의 층을 도시한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따라 일부 실들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따라 일부 실들의 집어올린 상태 및 고정된 실들의 층을 도시한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따라 일부 실들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 는 제 4 실시예의 선호되는 변형예에 따라 개별 실들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3차원 도면.
도 10 은 제 3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조합상태에 따라 개별 실들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 부호설명 *
2,3... 요소 6,6′,16,16′,16, 26, 26′... 막대
7... 회전축 12... 가압기
15, 25′... 분리수단 9,29... 실
37... 워엄기구
본 발명의 목적은, 소위 비틀림상태가 아닌 섬유들의 다중 필라멘트들로 실들이 구성될 때에도, 실구성층으로부터 실들이 안정적으로 분리가능하여 특히 상기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항의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의하면, 적어도 두 개의 위치들에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실들로 구성된 층으로부터 개별 실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하여,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한 개의 위치에서 복수개의 실들을 집어올리고 실들이 횡방향으로 집어올려진 실들의 서로 다른 상대가속도를 형성하기 위한 분리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제 2 특성에 의하면, 제 12항에서, 적어도 두 개의 위치들에서 고정된 복수개의 실들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분리수단에 의해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한 개의 위치에서 복수개의 실들이 집어올려지고, 필수적으로 실들의 횡방향으로 서로 다른 상대 가속도들이 집어올려진 실들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들이 각각의 경우에 종속항 제 2 항 내지 10항과 제 13항 내지 제 21항으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수단에 의해 적어도 두 개의 위치들에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실들 즉, 프레임내에서 건조된 날실들로부터 구성되는 층으로부터 복수개의 실들이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한 개의 위치에서 집어올려지고, 집어올려진 실들의 횡방향으로 서로 다른 상대가속도들이 실들에 형성된다. 그 결과 집어올려지지 못한 날실층으로부터 가장 멀리 제거된 실을 위해 가장 크고 점진적인 운동이 형성되어 제 2 실에 대한 거리가 상기 작용을 허용한다면, 상기 실은 예를 들어 연신기능의 바늘에 의해 상기 신규위치로부터 집어올려질 수 있고, 층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집어올려진 실들의 횡방향으로 상기 실의 가속도가 충분하지 못하면, 아직까지 제 1 실이 제 2 실과 근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집어올려지고 휘어진 실들이 또 다른 위치에서 집어올려지고 계속해서 다시 한번 휘어질 수 있다. 제 2 실에 대한 거리가 상기 작용을 허용한다면, 다음에 제1 실은 예를 들어 연신기능의 바늘에 의해 상기 신규위치로부터 집어올려질 수 있고 층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 1 실이 제 2실로부터 충분한 거리에 위치할 때까지 픽업작용 및 휘어짐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연속적인 픽업작용 및 휘어짐에 기인하여 추가로 상호위치를 변경시킨 후에 집어올려진 실들이 구속해제된다.
적어도 두 개의 위치들에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실들로 구성되는 층으로부터 복수개의 실들을 집어올리고 상기 목적에 적합한 장치는 적어도 한 개의 분리수단을 가지고, 상기 분리수단은
1. 적어도 대략적으로 상기 층과 평행한 축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증가하는 피치를 가지며 전달기능을 가진 한 개의 나선형 워엄기어로 구성되고,
2. 고정기능을 가진 두 개의 막대들이 구성되며, 상기 막대들이 필수적으로 층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제 1 축 주위에서 이동가능하고, 막대들에 의해 집어올려진 실들을 막대들사이에 고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되고,
3. 탄성기능을 가진 두 개의 막대들로 구성되며, 필수적으로 상기 막대들이실들의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막대들에 의해 집어올려진 실들을 막대들 사이에 고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되며,
4. 분리기능을 가진 세 개의 막대들로 구성되며, 필수적으로 상기 막대들이 층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제1 축 주위에서 이동가능하고, 실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대들 주위에서 고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점에 의하면, 스테플 방사와 같은 모든 형태의 실들, 고섬유 또는 저섬유의 다중 필라멘트들에 대해 모든 개수의 비틀림 상태이거나 비틀림상태가 아닌 섬유들에 의하여 분리작업이 단일작업으로 신뢰성있게 수행된다. 연신기 및 제편기 스탠드에서 분리작업을 위해 상기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상기 실은 매우 주의 깊게 처리된다.
또한 제 1 실이 제 2 실로부터 충분한 거리에 위치할 때까지, 선택적으로 집어올려지고 휘어질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실용적인 범주에 속하는 각각의 분리수단 즉 피봇운동가능하고 탄성기능을 가진 고정기능의 막대 또는 피봇운동가능하고 분리기능을 가진 막대들이 제 2 내지 제 4 범주의 추가적인 분리수단이 소요목적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1 범주에 추가하여, 전달기능이 나선형 워엄기구위에 실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소위 가압기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증명되었다. 또한 분리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전달기능을 가진 제 2 워엄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 설계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모든 도면들을 참고할 때, 서로 근접하게 배열되고, 제 1 요소(2)내부의 제 1 위치 및 제 2 요소(3)내부의 제 2 위치에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실(1)들이 구성되어, 실들이 서로 평면 또는 층(4)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연신기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이, 프레임의 일부분들이 상기 요소(2,3)들을 형성한다.
도1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위치(5)들에서 복수개의 실(1)들을 집어올리고 필수적으로 실들의 횡방향으로 집어올린 실들이 서로 다른 상대 가속도들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분리수단(5)으로서 두 개의 막대(6,6′)들이 구성된다. 필수적으로 층(4)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제 1 축(7)주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막대들이 배열된다. 상기 막대들에 의해 집어올린 실들이 상기 막대들에 의해 막대들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막대들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들을 집어올리기 위한 제1 분리수단(5)의 위치가 도시된다. 실(1)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벗어나는 방향으로 상기 막대(6,6′)들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구성된다.
도2를 참고할 때, 분리수단(5)이 도시되고, 상기 분리수단(5)은 실(1)의 연장부의 방향에 대해 수직각도로 피봇회전된다. 점선으로 도시된 픽업(pick-up)위치 및 실선으로 도시된 분리위치사이에 위치하는 각도(8)를 통해 분리수단(5)이 회전된다. 일부 실(1)들이 집어올려지는 위치(s)들은 항상 회전축(7)으로부터 동일거리에 위치한다. 그러나 각도(8)만큼 회전하기 때문에, 집어올려진 실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거리는 상대적으로 더 크다. 분리수단(5)이 피봇회전하기 때문에, 실들이 연장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집어올려진 모든 실들이 가속도를 가진다.
도 3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의 제 2 실시예는, 각각의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위치(s)에서 복수개의 실(1)들을 집어올리고, 필수적으로 횡방향으로 집어올려진 실들을 횡방향으로 서로 다른 가속도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분리수단(15)으로서 세 개의 막대(16,16′,16″)들로 구성된다. 층(4)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제 1 축(7)주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막대들이 배열된다. 집어올려진 실들이 상기 막대들 주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막대들이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 일부 실들을 집어올리기 위한 제2 분리수단(15)의 위치가 도시된다. 막대(16,16′,16″)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실(1)들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각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를 참고할 때, 실(1)의 연장구성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피봇회전되는 것으로 도시된 분리수단(15)이 도시된다.(단지 막대(16′)에 대해 도시되고) 점선으로 도시된 픽업위치 및 실선으로 도시된 분리위치 사이에 형성된 각도(8)를 통해 분리수단(15)이 회전된다. 일부 실(1)들이 집어올려지는 위치(s)들이 항상회전축(7)으로부터 동일거리에 위치한다. 그러나 각도(8)만큼 회전하기 때문에, 집어올려진 실들의 서로에 대한 거리는 상대적으로 더 크다. 분리수단(15)이 피봇회전하기 때문에, 집어올려진 실들의 연장구성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실들은 가속운동을 한다.
도 5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의 제3 실시예는 각각의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위치(s)에서 복수개의 실들을 집어올리고 실들의 횡방향으로 집어올려진 실들의 서로 다른 상대 가속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제 3 분리수단(25)으로서 두 개의 탄성막대(26,26′)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 막대들은 막대들에 의해 집어올려진 실들을 탄성막대들 사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들을 집어올리기 위한 제3 분리수단(25)의 위치가 도시된다. 탄성막대(26,26′)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실(1)의 연장구성방향에 대해 적어도 대략 90도 각도로 연장구성된다.
도6을 참고할 때, 유사하게 실(1)의 최초 연장구성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구성된 분리수단(25)이 도시된다. 그러나(화살표방향의)종방향으로 분리수단(25)이 연장구성된다. 일부 실(1)들이 집어올려지는 위치(s)들이 집어올려지지 못한 실들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거리에 위치한다. 탄성 막대(26,26′)들이 연장구성되기 때문에, 실들의 연장구성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집어올려진 모든 실들이 가속운동한다.
도시된 막대(6,6′,16,16′,16″,26,26′)들중 전부 또는 단지 개별막대의 단면은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또는 난형과 같은 곡선형을 가지거나 예를 들어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을 가지거나 5개 이상의 변을 가진 다각형을 가질 수 있다. 막대(6,6′,16,16′,16″,26,26′) 및 집어올려진 실들사이에 마찰결합 또는 완전한 결합이 형성되도록, 막대들 중 전부 또는 오직 일부의 표면에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특수한 마찰증가재료 또는 예를 들어 빗과 같은 해당 표면형상이 제공될 수 있다. 막대(6,6′,16,16′,16″,26,26′)의 횡방향보다 종방향의 마찰작용이 더 크다. 상기 막대(6,6′,16,16′,16″,26,26′)들을 설계하고 상기 막대들을 상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막대들을 구동하기 위한 여러 가지 다수의 가능성들이 있다. 상기 가능성은 당해분야에서 공지되어 있어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 또는 상기 장치를 이용하면, 집어올려진 모든 실들중에서, 층(4)의 잔류 실(1)들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실(9)이 집어올려지지 못한 실들로부터 가장 멀리 운반된다.
도 7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의 제 4 실시예가, 각각의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위치(s)에서 복수개의 실(1)들을 집어올리고, 실들의 횡방향으로 집어올려진 실들의 서로 다른 상대 가속운동을 형성하기 위한 제 4 분리수단으로서 적어도 대략 층(4)에 대해 평행한 축(36)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증가하는 피치(pitch)(38)를 가진 나선형의 전달워엄(worm)기구(37)로 구성된다. 상기 워엄기구(37)는 실(1)의 연장방향에 대해 적어도 대략 직각으로 연장구성된다.
도8을 참고할 때, 유사하게 실(1)들의 최초연장구성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도시된 분리수단(35)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분리수단(35)은 축(36)주위에서 회전운동된다. 일부 실(1)들이 집어올려지는 위치(s)들이 집어올려지지 못한 실들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거리에 위치한다. 전달기능의 워엄기구(38)가 회전하면, 실들이 연장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집어올려진 모든 실들이 가속운동한다. 증가하는 피치에 의해, 집어올려진 실들은 서로 다른 상대가속운동을 한다. 따라서, 층(4)의 잔류 실(1)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실(9)이 제 3 실(11)로부터 제 2 실을 분리시키는 것보다 제 2 실(10)로부터 더 먼 거리에 위치한다.
도9를 참고할 때, 제4 실시예의 선호되는 변형예에 따라 개별 실들의 분리상태가 입체적으로 도시된다. 회전가능한 전달기능의 워엄기구(37)가, 필수적으로 원통형이라면, 나선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달기능의 워엄기구가 필수적으로 원추형이라면, 나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엄기구의 시작부분이 원추형으로 구성되고 나머지부분이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전달기능의 워엄기구(37)를 이용하면, 상기 워엄기구의 분리작용이 최대화되기 때문에, 적어도 그립퍼(gripper)또는 바늘이 제 1실(9)을 가지는 영역에서, 층(4)에 대해 평행한 면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가압기(12)가 제공될 수 있다. 전달기능의 워엄기구(37)가 층(4)의 제 2 측부에 대해 일부 실위에 가압되는 동안, 상기 가압기(12)는 층(4)의 제 1 측부로부터 일부 실들을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전달기능의 워엄기구(37)가 축(36)주위에서 구동 및 장착된다. 특히 나선형으로 주변에 위치한 요홈 또는 리브(rib)가 구성되고, 요홈의 피치(38)는 분리되는 실(9)의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층이 제 1 실(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단부(13)에서 상기 워엄기구(37)가테이퍼(taper)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공지방법에 따라 가압기(12)가 화살표방향(14)으로 동일하게 이동가능하고, 구동될 수 있다. 전달기능이 제 2 워엄기구(37)가 제공되면, 제 2 가압기(12)가 배열되고, 두 개의 워엄기구(37)가 두 개의 가압기(12)들 사이에 배열된다.
도 7, 8, 9와 대조적으로, 분리작용을 강화하기 위하여, 인접한 두 개의 나선형 날개들 사이에서 워엄기구(37)는 추가로 나선형 시작부분들을 가진다.
(실(1)들이 특히 비틀림상태가 아닌 미세 섬유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그립퍼 또는 바늘이 제 1 실(9)을 가지도록, 실들이 단일작업으로 분리된다면,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두 개의 상기 분리수단(5,15,25,35)이 소요 조합상태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 개의 분리수단(5,15,25,35)에 의해 분리되는 실들이 또다른 분리수단(5,15,25,35)에 의해 수용되고 추가로 분리될 수 있다. 연신작용이 적합하면, 각각의 경우 선택된 분리수단에 의해 양호한 분리작용이 선택적 작업에 의해 형성된다.
도 10을 참고할 때, 제 3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조합에 따라, 개별 실들의 분리상태가 입체적으로 도시된다. 한 개의 분리수단(15)은 군을 이루는 분리기능의 막대(16,16′,16″)들로 구성되고, 모든 막대들 주위에서 일부 실(29 내지 32)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리를 형성하거나, 실들을 구부리거나 실의 방향을 향해 서로 앞뒤에 배열된다. 상기 도면에 따르면, 외측에 위치하고 분리기능을 가진 두 개의 막대(16,16″)들이 실층의 동일측면위에 가압되는 반면에, 중간에 위치하고 분리기능을 가진 막대(16′)가 실층의 다른 한쪽 측면위에 지지된다. 물론 상기설명의 도면들(도 3,4,10)과 반대로, 분리기능의 막대(16,16′,16″)는 각각의 경우 표면(4)의 다른 한쪽 측면위에 배열될 수 있다. 선(33)으로 도시된 제 1 위치로부터 선(34)으로 도시된 제 2 위치로 피봇회전가능하도록 분리기능의 막대(16,16′,16″)들이 장착된다. 연신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그립퍼(gripper)(39)가 또한 도시된다.
두 개의 탄성막대(26,26′)가 또 다른 분리수단으로서 도시된다. 추가로 실들을 또 다른 분리단계에서 서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된 실(29 내지 32)들이 상기 탄성 막대들에 의해 집어올려진다. 필요하다면, 추가로 분리기능의 막대(16,16′16″)에 의해 제 3 작업단계에서 상기 분리작업결과가 개선되어, 연신기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그립퍼(39)가 제 1 실(29)을 포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방법의 개시위치는 위치(2,3)들에서 고정되는 다수의 실(1)들 또는 실층이며, 필수적으로 표면 또는 층(4)을 형성한다. 우선 도 2,4,6 및 8을 참고할 때, 예를 들어 집어올려지지 못한 실(1)들 사이의 거리보다 큰 실(29) 및 실(30)사이의 거리를 형성하도록 일부 실(1)들이 집어올려지고 실들이 연장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휘어진다. 픽업(pick-up)작용에 기인하지만, 우선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되는 상기 휘어짐에 기인하여, 실(1)들이 소위 다중 필라멘트들로 구성되면, 다음에 섬유의 삼각형상부(40)(도10을 참고)가 형성될 수 있다. 실들이 최초의 원통형상을 상실하고 판형상의 구조를 형성하도록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작용이형성된다.
예를 들어 그립퍼(39)또는 바늘에 의해 제 1 실(9,29)이 고정되도록 분리작용이 이루어진다. 비틀림상태가 아닌 실들에 있어서, 섬유의 삼각형상부(40)가 발생되어 분리작용이 지연되므로, 분리작업은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작업들 또는 섬유의 삼각형상부들이 더 이상 중첩되지 않을 때까지 분리작용이 수행되어야 한다.
Claims (21)
- 적어도 한 개의 위치(2,3)들에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실(1)들로 구성된 층(4)으로부터 개별 실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각각의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위치(s)에서 복수개의 실들을 집어올리고 실들의 횡방향으로 집어올려진 실들의 서로 다른 상대가속도를 형성하기 위한 분리수단(5,15,25,35)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5,15,25,35)은 집어올려진 실들을 고정된 실(1)의 층(4)의 나머지로부터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5,15,25,35)은 집어올려지지 못한 실들로부터 가장 멀리 제거되고, 고정된 실(1)의 층(4)의 나머지부분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집어올려진 실들의 제 1 실(9,29)을 집어올려진 다른 실들보다 더 신속하게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전항들 중 한 항 또는 두 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마찰결합, 완전결합 또는 조합된 결합에 의해 복수개의 실들을 집어올리기 위해 상기 분리수단(5,15,25,35)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전항들 중 한 항 또는 두 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층(4)과 평행한 축(36)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증가하는 피치(38)를 가지고 나선형을 가진 전달기능의 워엄기구(37)가 상기 분리수단(5,15,25,35)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근접한 두 개의 나선형 날개들 사이에 추가의 나선형 시작부분이 상기 워엄기구(37)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나선형의 상기 워엄기구(37)위에서 실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압기(20)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 또는 두 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분리수단(5,15,25,35)이 고정기능을 가진 두 개의 막대(6,6′)들로 구성되며, 층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는 제 1 측(7)주위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막대들이 상기 막대들에 의해 집어올려진 실들을 막대사이에 고정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 또는 두 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분리수단(5,15,25,35)이 탄성기능을 가진 두 개의 막대(26,26′)로 구성되고, 상기 막대들이 실들이 연장방향과 수직으로 연장구성되고, 상기 막대들에 의해 집어올려진 실들을 막대들 사이에 고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분리수단(5,15,25,35)은 분리기능을 가진 세 개의 막대(16,16′,16″)로 구성되며, 층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는 제1 축(7)주위에서 이동가능하고, 상기 막대들 주위에서 집어올려진 실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리를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8,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추가로, 집어올려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된 실들을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상태의 막대들 또는 층(4)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는 제 2 축 주위에서 이동가능한 클램핑 막대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적어도 두 개의 위치(2,3)들에서 고정되는 복수개의 실(1)들로 구성된 층(4)으로부터 개별 실들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분리수단(5,15,25,35)에 의해 각각의 경우 복수개의 실들이 적어도 한 개의 위치(s)에서 집어올려지고, 집어올려진 실들이 횡방향으로 서로 다른 상대가속도들이 상기 실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집어올려진 실들이 상기 분리수단(5,15,25,35)에 의해고정된 실(1)들의 층(4)의 나머지부분들로부터 떨어져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집어올려지지 못한 실들로부터 가장 멀리 제거되고 집어올려진 실들의 제 1 실(9,29)이 고정상태의 실(1)의 층(4)의 나머지부분으로부터 다른 실들보다 더 신속하게 떨어져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2항, 13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실들을 집어올리기 위한 분리수단(5,15,25,35)에 의해 마찰결합, 완전결합 또는 조합된 결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한 항 또는 두 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층에 대해 적어도 근사하게 평행한 축(36)주위에서 회전가능하고, 증가하는 피치(38)를 가지며 나선형을 가진 전달기능의 워엄기구(37)위에서 집어올려진 상기 실들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전달기능의 워엄기구(37)위에 놓인 실들위에서 가압기(12)에 의해 추가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한 항 또는 두 개 이상의 항들에 있어서, 층(4)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한 제 1 축(7)주위에서 이동가능하고 고정기능을 가진 두 개의 막대(6,6′)들 사이에 집어올려진 실들이 고정되고, 제 1 축(7)주위에서 막대(6,6′)들이 피봇회전되어 상기 실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한 항 또는 두 개 이상의 항들에 있어서, 실들이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구성되고 탄성작용을 가진 두 개의 막대(26,26′)들 사이에 집어올려진 실들이 고정되고, 막대(26,26′)들이 종방향으로 연장구성되어 실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한 항 또는 두 개 이상의 항들에 있어서, 층(4)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한 제 1 축(7)주위에서 이동가능하고 분리기능을 가진 세 개의 막대(16,16′,16″)들 사이에 집어올려진 실들이 고정되고, 상기 막대(16,16′,16″)들 주위에서 실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리를 형성하며, 제 1 축(7)주위에서 상기 막대들이 피봇회전되어 실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2항 내지 제 20항 중 한 항 또는 두 개 이상의 항들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분리수단(5,15,25,35)이 선택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H137798 | 1998-06-29 | ||
CH1377/98 | 1998-06-29 | ||
PCT/CH1999/000252 WO2000000687A1 (de) | 1998-06-29 | 1999-06-10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teilen von fäden aus einer schich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1630A true KR20010071630A (ko) | 2001-07-28 |
Family
ID=420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14886A KR20010071630A (ko) | 1998-06-29 | 1999-06-10 | 층으로부터 실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EP (1) | EP1092053B8 (ko) |
JP (1) | JP2002519531A (ko) |
KR (1) | KR20010071630A (ko) |
CN (1) | CN1094532C (ko) |
AT (1) | ATE233336T1 (ko) |
AU (1) | AU4028599A (ko) |
CA (1) | CA2336098A1 (ko) |
DE (1) | DE59904381D1 (ko) |
TR (1) | TR200003798T2 (ko) |
WO (1) | WO200000068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7046A (ko) * | 2013-12-09 | 2015-06-17 | 스토브리 자르간스 아게 | 스레드 분리용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383949B1 (de) * | 2001-04-25 | 2006-07-26 | Stäubli AG Pfäffikon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eparierung von fäden aus einer fadenschicht |
WO2002101132A1 (de) * | 2001-06-12 | 2002-12-19 | Stäubli Ag Pfäffikon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annen eines kettfadens |
SE520453C2 (sv) | 2001-11-01 | 2003-07-15 | Alfa Laval Corp Ab | En apparat för samtidig rening av en vätska och en gas |
CN105671724B (zh) * | 2016-04-13 | 2017-09-29 |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 一种经纱的解绞装置 |
CN106087232A (zh) * | 2016-07-21 | 2016-11-09 | 苏州科润织造有限公司 | 一种螺旋分纱杆 |
EP3330418B1 (en) * | 2016-12-01 | 2019-06-26 | Stäubli Sargans AG | Yarn separating module with a capacitive sensor device |
CN108866773A (zh) * | 2018-08-03 | 2018-11-23 | 江苏罗曼罗兰集团有限公司 | 能减少结经绞头的结经工艺 |
EP3771758B1 (en) * | 2019-07-31 | 2022-03-30 | Stäubli Sargans AG | Yarn-clamping device and weaving preparation machine including such a yarn-clamping device |
CN110318145B (zh) * | 2019-07-31 | 2024-02-23 | 宏和电子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 电子级玻璃纤维布整浆绫取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698064A (fr) * | 1930-06-25 | 1931-01-27 | Moore And Avery Blackburn Ltd | Perfectionnements aux appareils pour sélectionner et séparer les fils de chaîne dans la préparation de la chaîne utilisable dans les métiers à tisser |
CH331810A (de) * | 1953-08-12 | 1958-08-15 | Koefoed Hauber Marstrand Og He | Kreuzstab zum Kreuzlegen der Fäden einer Fadenschicht |
DE3210920C1 (de) * | 1982-03-25 | 1983-09-29 | Lindauer Dornier Gmbh, 8990 Lindau | Vorrichtung zum Vereinzeln und Bereitstellen von Kettfaeden fuer das Einziehen der Kettfaeden in Weblitzen und Lamellen |
-
1999
- 1999-06-10 TR TR2000/03798T patent/TR200003798T2/xx unknown
- 1999-06-10 CN CN99807979A patent/CN109453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6-10 WO PCT/CH1999/000252 patent/WO2000000687A1/de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9-06-10 EP EP99923363A patent/EP1092053B8/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6-10 JP JP2000557034A patent/JP2002519531A/ja active Pending
- 1999-06-10 AU AU40285/99A patent/AU4028599A/en not_active Abandoned
- 1999-06-10 KR KR1020007014886A patent/KR2001007163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9-06-10 CA CA002336098A patent/CA2336098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9-06-10 AT AT99923363T patent/ATE233336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6-10 DE DE59904381T patent/DE59904381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7046A (ko) * | 2013-12-09 | 2015-06-17 | 스토브리 자르간스 아게 | 스레드 분리용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4532C (zh) | 2002-11-20 |
EP1092053B8 (de) | 2003-06-25 |
TR200003798T2 (tr) | 2001-07-23 |
CA2336098A1 (en) | 2000-01-06 |
CN1307655A (zh) | 2001-08-08 |
EP1092053B1 (de) | 2003-02-26 |
WO2000000687A1 (de) | 2000-01-06 |
JP2002519531A (ja) | 2002-07-02 |
AU4028599A (en) | 2000-01-17 |
ATE233336T1 (de) | 2003-03-15 |
EP1092053A1 (de) | 2001-04-18 |
DE59904381D1 (de) | 2003-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6377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cing spun yarns | |
US7926517B2 (en) | Cylindrical jacket, jacket hose, suction hose, and cylindrical jacket manufacturing apparatus | |
KR20010071630A (ko) | 층으로부터 실들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20010012478A (ko) | 변화하는 폭을 갖는 직물 | |
NO176110B (no) | Filtbane med lökkeformede armeringsstrenger for automatisk skjöting i en papirmaskin | |
JPS6359456A (ja) | 編機用糸口 | |
CN1754997A (zh) | 在由无梭织机制成的织物上织造布边的装置 | |
JP7379623B1 (ja) | ダブルニット編地およびダブルニット編地を生産する方法 | |
US4129153A (en) | Loom for weaving | |
US3124164A (en) | Shuttle and heddle drive mechanism for | |
US5694982A (en) | Weft thread selection device | |
US6227253B1 (en) | Method and device for twisting at least two running for a loom selvage forming device | |
US2818088A (en) | Woven fabric construction | |
BE1010658A3 (nl) | Inrichting en werkwijze om minstens twee draden rond elkaar te bewegen. | |
CZ20004915A3 (cs) | Zařízení a způsob pro oddělování jednotlivých nití z vrstvy | |
CN115369542B (zh) | 一种带螺纹的机织纤维增强筋及织造方法 | |
JPH0874145A (ja) | 仮撚装置におけるスピンドル | |
EP0845552A2 (en) | Carrier tape and fabric for rapier loom | |
CN1598109A (zh) | 无杼织机的假捻装置 | |
CN1860265A (zh) | 在织机上用于形成纱罗织边的装置和具有这种装置的织机 | |
KR101223337B1 (ko) | 열선망 제직기 | |
RU2186853C1 (ru) |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ховой нити | |
JP3520696B2 (ja) | レピア織機用キャリアテープ及び繊維構造体 | |
JPH10130994A (ja) | レピア織機用キャリアテープ及び繊維構造体 | |
JP2689136B2 (ja) | らせん状織物の製織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