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0556A - 독성을 제거한 옻물의 제조방법 및 옻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독성을 제거한 옻물의 제조방법 및 옻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0556A
KR20010070556A KR1020010028569A KR20010028569A KR20010070556A KR 20010070556 A KR20010070556 A KR 20010070556A KR 1020010028569 A KR1020010028569 A KR 1020010028569A KR 20010028569 A KR20010028569 A KR 20010028569A KR 20010070556 A KR20010070556 A KR 20010070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ed
lacquer
urushiol
functional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213B1 (ko
Inventor
한종수
양승선
김현옥
백운창
Original Assignee
한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70987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7055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종수 filed Critical 한종수
Priority to KR10-2001-002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2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7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의 가려움증의 원인 물질인 우루시올(Urushiol)을 제거한 옻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옻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게 부순 옻나무, 뿌리 및 수피를 직접 넣거나 면으로 만든 자루에 넣어 환류장치와 폭기장치가 부착된 가열조에 넣고 2시간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동시에 옻나무의 다른 성분들을 추출하여 옻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옻물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독성을 제거한 옻물의 제조방법 및 옻물 제조장치 {Porducting method and the equipment of extracted water of Rhus Vernicifera removed from urushiol.}
본 발명은 옻의 독성성분인 우루시올(Urushiol)을 제거하는 동시에 약리성분을 물로 우려내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환류장치를 부착하여 우루시올이 증기와 함께 외부로 전혀 방출되지 않아 옻을 타는 사람도 장치를 조작할 수 있으며, 폭기장치를 부착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우루시올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어 옻물 추출장치의 가동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우루시올 제거방법 및 장치는 옻을 타는 사람도 독성이 제거된 옻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2시간 이내의 빠른 시간에 우루시올이 완벽하게 제거된 옻물을 제조하여 옻을 타는 사람도 복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기능성 음료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우루시올을 회수하여 옻칠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상업적인 면에서도 유리한 기능성음료인 옻물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종래의 옻물의 제조방법으로는 옻나무를 장시간 건조하여 소주를 첨가하여 가열하는 방법과(특1997-009320) 밤나무 잎을 동량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특2001-0011345)이 있으나 이들 방법은 첫째, 장시간 가열하여야 하는 점, 둘째로는 옻을 말리는 과정이나 가열 추출시에 옻을 타는 사람은 주변에 접근을 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다른 성분을 추가하여 제조하는 방법은 옻물의 약리성분이 다른 성분으로 변하였거나 다른 성분과 반응하여 제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옻나무의 약리성분은 항암, 항바이러스, 항산화, 항곰팡이, 숙취해소, 아미노펩티다제 활성저해제 등의 약리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등록번호 10-0257448, 10-02515260)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옻나무 독성성분인 우루시올을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하는 동시에 옻나무의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과 그 제조 장치를 완성하고, 제거된 우루시올은 회수하여 독성성분이 없는 옻칠이나 약제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안정성과 상업적 가치를 높였다.
옻나무는 옛부터 동양에서 한방이나 민간요법에서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고, 변비, 여성의 생리기능 이상, 위장약, 구충제, 혈액순환, 각종 암치료제, 숙취 해소 및 노화 방지 등에 이용되고 있으나, 그 독성 때문에 쉽게 접근할 수 없고, 복용이나 취급이 어렵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한의원에서 약재로 취급하거나 옻닭, 옻오리 등의 요리 방법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옻을 타지 않는 일부의 사람들만이 옻의 약리 성분을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루시올의 독성은 사람의 체질에 따라 다르지만 옻을 섭취한 사람과 간접적으로 접촉해도 옻이 오를 정도로 심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옻의 약리작용을 알면서도 옻의 독성 때문에 옻나무에 접근하거나 옻을 섭취를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옻나무의 성분 중에서 알러지를 일으키는 성분인 우루시올(Urushiol)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로서 옻나무와 껍질, 뿌리 등을 대패밥이나 톱밥의 형태로 잘게 부순 다음 환류장치와 폭기장치가 부착된 장치에 넣고 2시간동안 폭기하면서 가열하여 짧은 시간내에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동시에 옻나무의 약리성분을 우려내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속하는 장치는 환류장치와 폭기장치를 부착하여 옻나무 성분을 짧은 시간 내에 우루시올을 완전히 제거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환류장치는 우루시올이 장치 가동시에 외부로 유출을 막아 주변의 오염을 막아주고, 장치를 가동하는 사람이 옻을 타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장치를 가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폭기장치는 우루시올을 짧은 시간에 산화시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옻을 타는 사람도 안심하고 옻나무의 약리성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성을 죽인 우루시올을 회수하여 옻칠이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상업적인 면에서도 유리한 기능성음료인 옻물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독성을 제거한 옻물의 제조장치 및 원심분리 여과장치이다.
도 2는 우루시올의 GC-MSD spectrum 이다.
<실시예 1> 옻물추출과정
톱밥형태로 만든 8년 이상된 참옻나무와 껍질 1kg을 도 1의 장치에 넣은 후 물 20L를 추가한다. 환류장치에 냉각수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하여 환류시키면서 폭기장치를 통하여 공기를 불어넣는다. 2시간동안 환류온도를 유지시킨 후 1시간동안 방치하여 냉각시킨 다음 밸브를 틀어 여과장치로 옮긴 다음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독성이 제거된 옻물을 용기에 담아 포장한다.
<실시예 2> 우루시올 제거 확인실험
<실시예 2-1> GC-MSD에 의한 우루시올(Urushiol)의 확인
우루시올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에탄올에 녹인 생칠을 TLC plate 상에서 헥산:에틸아세테이트 (8:2 v/v)로 전개하여 우르시올로 추측되는 성분이(Rf=4.0) 다른 성분과 분리됨을 확인하였으며, 그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컬럼크로마토 그래피로 분리하여 HP-Inowax 25m capillary column과 5973 MSD가 장착된 HP-6890 G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용출시간이 20~29분 사이에서 분자량 314~320을 갖는 여러 종류의 우르시올을 확인할 수 있었다.(그림 2 참조)
<실시예 2-2> 생칠 중의 우루시올 제거 확인실험
50ml 3구 둥근바닥 프라스크에 환류냉각기와 온도계, 폭기장치를 부착하고 생옻칠 5g과 증류수 30ml를 넣는다. 자석교반기로 교반해 주면서 깨끗한공기를 주입하면서 120~130℃의 오일중탕냄비로 가열하여 환류시킨다. 옻물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10분 간격으로 소량의 옻칠과 옻물을 채취하여 에테르로 추출한다. 에테르층은 황산소오다로 건조한 다음 농축하여 TLC plate 상에서 헥산:에틸아세테이트 (8:2 v/v)로 전개하여 우르시올(Rf=4.0)의 존재를 확인한다. 그 결과 1.5시간 이내에 우루시올은 완전히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3> 옻나무 중의 우루시올 제거 확인실험
위 <실시예 2-1>과 동일하게 장치하고 톱밥형태의 생옻나무 10g을 의 장치에서 제조한 옻물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10분 간격으로 옻물 50 ml 를 톱밥형태의 옻나무와 함께 시료를 채취하여 에테르로 3회 반복하여 추출한다. 추출한 에테르층은 황산소오다로 건조한 다음 농축하여 TLC plate 상에서 헥산:에틸아세테이트 (8:2 v/v)로 전개하여 우르시올의 존재를 확인한다. 1.5시간 이내에 우루시올은 완전히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우루시올의 회수 실험
<실험1>에서 옻물을 제조하고 여과한 찌꺼기에 에탄올을 3L 추가하여 30분간 가열 환류시킨 다음 냉각시키고 다시 여과하고 난 다음에 여과액은 감압증발기에서 에탄올을 회수하고 농축액은 계속 감압증발시켜 물을 제거하여 우루시올 1.2g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중합상태의 우르시올은 소량의 알콜에 녹여 옻칠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한 옻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폭기장치를 부착하여 2시간 이내의 빠른 시간 내에 우루시올을 쉽게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을 발명하였으며, 가동시에 우루시올이 수분과 함께 공기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이 없으며, 옻을 타는 사람도 작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생옻나무를 장시간 방치하여 건조하는 과정은 우르시올이 공기중으로 분산되어 대기오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옻을 타는 사람의 접근이 불가하다.
본 발명은 생옻나무를 그대로 이용하여도 옻의 독성성분인 우루시올이 추출기 내부에서 쉽게 산화, 중합되어 불용성물질로 변하기 때문에 이를 회수하여 칠의 원료나 약재로서 사용할 수 있어 산업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독성을 제거한 옻물을 만듬으로써 옻밥, 옻닭, 옻오리, 옻영양탕, 옻빵, 옻국수, 옻물차, 옻김치, 옻고추장, 옻된장, 옻간장, 옻음료 및 한약재를 조합한 기능성음료의 제조 등 식생활에 필요한 음식물의 가공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각종 섬유류에 항균, 방충 및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성 천연염색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3 내지 60%의 알콜도수를 갖는 기능성 술의 원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성을 죽인 우르시올의 중합체를 얻음으로써 옻칠이나 약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방법도 포함한다.

Claims (4)

  1. 옻나무나 수피, 뿌리, 수액 등을 물과 함께 장치에 넣고 2시간 동안 환류, 폭기하면서 알러지를 유발하는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옻물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2. 제 1항에 의해 제조한 독성을 제거한 옻물을 이용하여 옻밥, 옻닭, 옻오리, 옻영양탕, 옻빵, 옻국수, 옻물차, 옻김치, 옻고추장, 옻된장, 옻간장, 옻음료 및 한약재를 조합한 기능성음료 및 3~70%의 알콜 도수를 가지는 기능성 술의 원료로 사용하는 방법 등 식생활에 필요한 식품의 가공원료로 사용하는 방법.
  3. 제 1항에 의해 제조한 옻물을 이용하여 각종 섬유류에 항균, 방충 및 부식을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성 천연염색의 원료로 사용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옻물의 성분을 우려내고 남은 찌꺼기에서 알콜류와 신나,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헥산 등 변성 우르시올을 녹일 수 있는 각종 용매류로 변성우루시올을 추출하여 용매를 증발시키고 남은 찌꺼기를 회수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의 이용방법.
KR10-2001-0028569A 2001-05-24 2001-05-24 독성을 제거한 옻물 및 옻물 제조장치 KR10050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569A KR100500213B1 (ko) 2001-05-24 2001-05-24 독성을 제거한 옻물 및 옻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569A KR100500213B1 (ko) 2001-05-24 2001-05-24 독성을 제거한 옻물 및 옻물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556A true KR20010070556A (ko) 2001-07-27
KR100500213B1 KR100500213B1 (ko) 2005-07-11

Family

ID=1970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569A KR100500213B1 (ko) 2001-05-24 2001-05-24 독성을 제거한 옻물 및 옻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2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812A (ko) * 2002-04-18 2002-05-15 채철수 옻 원액과 물과 혼합하여 가축의 식수로 사용하는 방법
KR100531713B1 (ko) * 2002-03-29 2005-11-28 김영만 섬유의 천연염색방법
WO2006043752A1 (en) * 2004-09-09 2006-04-27 Azi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from rhus verniciflu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0850318B1 (ko) * 2007-05-21 2008-08-04 (주)금강참옻 옻소금
KR100887514B1 (ko) * 2007-04-22 2009-03-11 서희동 해양 심층수와 옻 추출물을 이용하여 된장과 간장을 만드는방법
KR101279422B1 (ko) * 2011-04-26 2013-06-27 충북도립대학산학협력단 섬유 유연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12B1 (ko) * 2007-11-02 2008-06-23 주식회사원주옻식품 알러지 유발성분이 제거된 옻물 제조방법과 그 제조장치 및이 옻물을 이용한 인쇄물
KR102056836B1 (ko) * 2018-09-19 2020-01-22 주식회사 비플럭스파머 옻 나무로부터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95B1 (ko) * 1992-10-22 1995-06-14 김태호 옻술 제조방법
KR960015577B1 (ko) * 1994-01-08 1996-11-18 주낙균 해독 옻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20010011345A (ko) * 1999-07-27 2001-02-15 김명조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한 옻물 제조방법
KR19990078699A (ko) * 1999-07-30 1999-11-05 임복철 옻이 함유되어 있는 의류와 식품 및 염색제의 제조방법
KR100339837B1 (ko) * 1999-12-10 2002-06-07 김중배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KR200198522Y1 (ko) * 2000-04-08 2000-10-02 윤태문 수,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KR100394089B1 (ko) * 2000-06-08 2003-08-06 (주)에이지아이 알러지 유발성분을 배제한 옻나무 추출물
KR20010111386A (ko) * 2000-06-10 2001-12-17 이정문 옻을 타지 않는 옻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55825B1 (ko) * 2000-06-16 2002-10-19 김범준 옻음료 제조방법
KR20020004800A (ko) * 2000-06-23 2002-01-16 이병훈 옻나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추출장치
KR200218808Y1 (ko) * 2000-07-28 2001-04-02 전종모 한약 추출기
KR20010008353A (ko) * 2000-11-25 2001-02-05 박인복 옻나무 음료
KR100480009B1 (ko) * 2001-03-30 2005-03-30 김범준 옻-함유 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713B1 (ko) * 2002-03-29 2005-11-28 김영만 섬유의 천연염색방법
KR20020035812A (ko) * 2002-04-18 2002-05-15 채철수 옻 원액과 물과 혼합하여 가축의 식수로 사용하는 방법
WO2006043752A1 (en) * 2004-09-09 2006-04-27 Azi Co., Ltd.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from rhus verniciflu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7629006B2 (en) 2004-09-09 2009-12-08 AZI Company, Ltd Process for preparing extract from rhus verniciflu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0887514B1 (ko) * 2007-04-22 2009-03-11 서희동 해양 심층수와 옻 추출물을 이용하여 된장과 간장을 만드는방법
KR100850318B1 (ko) * 2007-05-21 2008-08-04 (주)금강참옻 옻소금
KR101279422B1 (ko) * 2011-04-26 2013-06-27 충북도립대학산학협력단 섬유 유연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0213B1 (ko)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kshan et al. A commercial potential blue pea (Clitoria ternatea L.) flower extract incorporated beverage having functional properties
Nawaz et al.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grape seeds and concentration by ultrafiltration
Ribeiro et al. Melissa officinalis, L.: study of antioxidant activity in supercritical residues
Ayeleso et al. In vitro study on the antioxidant potentials of the leaves and fruits of Nauclea latifolia
Sirag et al.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selle (Hibiscus sabdariffa L.) calyx ethanolic extract
Adeneye et al. Modulatory potentials of the aqueous stem bark extract of Mangifera indica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KR20010070556A (ko) 독성을 제거한 옻물의 제조방법 및 옻물 제조장치
Hong et al. Phenolic‐enriched fraction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Determinating rosmarinic acid and antioxidant activity
KR100512328B1 (ko)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옻물
Oboh et al. Phenolic profiling and in vitro antioxidant, anticholinesterase, and antimonoamine oxidase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 of African star apple (Chrysophyllum albidum) fruit parts
Baljeet et al. Effect of cooking methods and extraction solv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ummer squash (Cucurbita pepo) vegetable extracts.
Ademiluyi et al. Phenolic analysis and erectogenic function of African Walnut (Tetracarpidium conophorum) seeds: The impact of the seed shell on biological activity
Kavimani et al.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Dolichandrone atrovirens using various in vitro assay models
Mesquita et al. Untargeted metabolomic profile of recovered bioactive compounds by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of acerola (Malpighia emarginata DC.) pomace
KR100367286B1 (ko)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물의 추출방법
Kuate et al. Comparative study of the antioxida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uman LDL oxidation inhibition of three extracts from seeds of a Cameroonian spice, Xylopia parviflora (A. Rich.) Benth.(Annonaceae)
Oboh et al. In vitro inhibitory effects of mistletoes (Loranthus begwensis L.) phenolic‐rich extracts on α‐amylase, α‐glucosidase,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tivities
Ratananikom et al. Ultrasonic-assisted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lavonoids, and antioxidants from dill (Anethum graveolens L.)
Nampoothiri et al. Evaluation of antidiabetic, anti-inflammatory and LDL oxidation inhibitory potential of Alpinia galanga and Alpinia calcarata-An in vitro study
Parmar et al.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genus Citrus peel extracts: a systematic review
Prasad HPLC analysis of amino acid and antioxidant composition of three medicinal plants of (Pithoragarh) Uttarakhand Himalayas
Sukri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solvent on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Cosmos caudatus
Obonga et al. In-vitro antioxidant and In vivo Anti-inflammatory Potentials of Marantochloa leucantha (Marantaceae) Extracts and Fractions
KR100339837B1 (ko)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Raja et al. Evaluation of phytochemicals screen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tis vinifera (grapes) fruit extract using fenton re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000116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416

Effective date: 201906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