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522Y1 - 수,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 Google Patents

수,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522Y1
KR200198522Y1 KR2020000010108U KR20000010108U KR200198522Y1 KR 200198522 Y1 KR200198522 Y1 KR 200198522Y1 KR 2020000010108 U KR2020000010108 U KR 2020000010108U KR 20000010108 U KR20000010108 U KR 20000010108U KR 200198522 Y1 KR200198522 Y1 KR 200198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herbal
medicine
pip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문
Original Assignee
윤태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852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60677B1/ko
Application filed by 윤태문 filed Critical 윤태문
Priority to KR2020000010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5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5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약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증숙된 한약재를 원심분리에 의해 약재저장통으로부터 생약을 분리함과 동시에 증숙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를 자연대류 원리로서 순환, 응축시켜 유효성분이 함유된 액체를 다시 약재저장통에 환원한 후 추출하여 한약재 유효성분의 불필요한 대기 방출 없이 농축된 한약재를 추출할 수 있는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받침함체(10)상에 상부에는 뚜껑체(12), 하부에는 히터(13)를 구비하되 중앙 하부에 약재배출구(14)를 형성한 본체(11)와, 이 본체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16)을 형성하는 약재 저장통(15)이 회전축(17)과 연결된 일측의 구동모터(M)에 의하여 회전가능케 이격설치되는 한약추출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함체(10)의 저부에 냉각수조(20)가 형성되고, 이 냉각수조의 일측 상부에 통상의 컨트롤박스(30)가 지지대(31)에 의하여 일정간격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박스(30)의 내, 외부에는 팬 모터(55)로 외부공기를 강제 순환시키어 열 교환이 가능케 된 열 교환기(50)와, 강제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해 열 교환 가능한 내부관(41) 및 외부관(42)의 이중관 구조로 이룬 응축기(40)가 구비되되,
상기 응축기(40)의 외부관(42)은 상기 뚜껑체(12)와 약재배출구(14)와 연통 하여 연결되는 순환관(49,49)과 연결되고, 내부관(41)은 일측이 상기 냉각수조(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중펌프(21)와 연결된 이송관(22)에 연통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열 교환기(50)와 연결된 연결관(51)과 연결되며, 상기 열 교환기(50)는 타측의 회수관(52)으로 상기 냉각수조(20)와 연통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한약재 증숙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강제 압송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응축하여 다시 한약출추기로 순환시키고, 수증기의 응축과정에서 열 교환으로 가열된 냉각수는 다시 열 교환기를 경유시켜 강제송풍으로 재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사이클로 이루어 보다 효과적이고, 냉각수의 효율적인 운용으로 장시간의 운용에도 수증기의 응축효율이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장치의 신뢰도가 뛰어나며, 응축과정에서 휘발성이 강한 역한 냄새는 응축기의 배기공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유효성분이 함유된 수증기의 대부분을 응축하여 환원시킴으로서 한약성분이 최대한 생약에 함유되도록 하고 역한 냄새를 극소화하여 음용 감이 좋은 생약을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Description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The herb medicine abstraction machine of water and air cooling device}
본 고안은 한약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숙된 한약재를 원심분리에 의해 약재저장통으로부터 생약을 분리함과 동시에 증숙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를 자연대류 원리로서 순환, 응축시켜 한약재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액체를 다시 약재저장통에 환원한 후 추출하여 한약재 유효성분의 불필요한 대기 방출 없이 농축된 한약재를 추출할 수 있는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재는 약용식물을 장기 보관을 목적을 습기를 뺀 건재(乾材)상태로 제공되고 이를 음용 하기 위해서는 물에 의해 달여서 한약재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복용하고 있음이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한약재에서 액상의 생약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한약재를 약탕기에 물과 함께 담고, 전열히터와 같은 가열매체로 가열하여 증숙한 후, 이 증숙된 한약재를 다시 추출기에 옮겨 액상의 생약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한약재 추출방법은 한약의 증숙과 추출이 분리되어 작업이 불편하고, 증숙된 한약재를 추출기에 옮기는 과정에서 간혹 부주의에 의한 약재의 손실은 물론 이물질이 섞이는 문제점을 전혀 배제할 수 없어 신뢰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한약재의 취급이 대량으로 이루어지는 한의원에서의 상기 종래 기술사용은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 와서 상기한 장치의 단점을 보완하여 한약재의 증숙과 추출이 단일의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기술이 실용화되었고, 이러한 장치 역시 다양한 기술로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한약추출기의 기술에 대하여 일예를 살펴보면,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89-7518호와 제90-9374호와 같이 증숙된 한약재를 누름판에 의한 가압으로 추출하는 방식과, 국내 실용신안 공고 제93-5078호와 같이 증숙된 한약재를 모터의 회전구동으로 약재저장통으로부터 액상의 생약을 추출하는 원심분리방식으로 대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약추출방식은 용기내의 온도와 압력이 고온 고압에 이르게 되고 뚜껑체에 의하여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이를 가압이나 원심분리로서 생약을 추출하는 방식으로서 고온에 의한 생약추출이 제공됨으로 한약재의 유효성분이 고열에 의하여 파괴되는 단점과, 밀폐된 용기 내에서 고압고온이 유지됨으로서 자연적인 대류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한약재의 유효성분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증숙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여, 상기한 고온가열에 의한 한약재의 생약추출 방식은 짧은 시간에 생약을 추출할 수 있다는 작업의 신속성이 있으나, 약재의 유효성분이 쉽게 파괴되는 단점, 추출된 생약에 역한 냄새가 그대로 함유되어 음용의 불편성을 무시할 수 없다.
예로부터 우리의 선인들은 옹기로 된 탕기(湯器)에 물과 한약재를 넣고 한지를 상기 탕기를 덮은 상태에서 화력(火力)이 약한 뽕나무 숯으로 서서히 가열하여 옹기 내의 물을 대류 하여 한약재의 전체를 서서히 가열하면서 증발되는 수증기는 한지를 통하여 일부는 발향물질과 함께 빠져나가고 나머지는 대기와의 열 교환으로 액화되어 탕기내로 낙하되어 재투입하는 전탕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재래방식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탕기 내의 물이 자연적인 대류로 한약재의 전체로부터 약효가 천천히 우러나오도록 하고, 약재의 역한 냄새, 쓴맛은 일부 수증기와 함께 방출하는 것으로서 생약의 음용이 좋고, 역한 냄새의 최소화로 최근에 와서 한의학에서 효과적인 방식이라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인의 한약 추출방법은 일반 가정에서 지금까지도 간혹 활용되고 있으나, 한약방이나 한의원과 같이 대량의 한약을 취급하는 곳에서의 활용은 대량의 생약추출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것에 기인하여 상기 재래식의 한약추출방식의 효용성을 살리면서 생약의 추출이 대량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증류방식을 기계적으로 활용한 한약추출기가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증류방식을 이용한 한약추출기는 용기 외부로 순환관을 형성하여 순환되는 수증기의 일부는 외부로 배출하면서 나머지는 열 교환기에 의하여 응축하여 액체를 다시 용기 내로 순환시키는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방식이다.
이러한 순환식 한약추출기는 열 교환 방식에 따라서 공냉증류방식과 수냉증류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전자의 공냉증류방식은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91-6954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순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증기를 열 교환기에서 강제 공냉을 행하여 액화된 액체는 다시 용기본체로 회수하고 액화되지 않은 수증기는 개폐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하면서 일정의 수분 증발을 지속적으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선 기술은 대기의 공기를 팬 모터로 열 교환기에 강제 송풍하여 열교환기속에 순환되는 수증기를 냉각하는 관계로 장치를 여러대 사용할 경우에는 실내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작업자의 작업이 어려운 점은 물론, 대기의 온도 상승으로 열 교환율이 급격히 떨어져 냉각효율의 저하로 수증기 속의 유효성분이 거의 대기로 방출되는 단점이 있고, 하절기와 같은 기후 여건에서는 상기와 같은 한약재의 유효성분이 대기로 많이 방출되어 생약의 약성분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후자의 수냉증류방식은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94-4400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한약재를 달이는 동안 발생되는 수증기를 뚜껑에 연결된 열 증기 배출관과 한약용기의 저부에 연결된 수직관을 통하여 응결기의 결로실을 통하여 배기통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배기 되는 동안에 응결기 내에 구비된 냉각수통에 의하여 액화된 액체를 다시 상기 수직관을 경유하여 한약용기로 환원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기술은 단순히 응결기의 내부에 상부로부터 냉각수를 보충할 수 있도록 냉각수통을 구성하고 있는 바, 장치 운용에 있어 처음에는 상기 냉각수통에 저장된 냉각수에 의하여 배출되는 수증기와 열 교환으로 액화작용이 용이하게 진행되나, 한정된 공간 내에 저장된 냉각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증기의 열을 흡수하게 되어 냉각효율이 급격히 저하되어 열 교환의 저하로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그대로 대기로 방출하게 되는 단점과, 응축된 응결수가 상기 수직관을 경유하여 한약용기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직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고열의 수증기에 의하여 액화된 액체가 다시 열 교환으로 기화되어 응결수의 순환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약추출기의 한약재 증숙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강제 압송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응축하여 다시 한약출추기로 순환시키고, 수증기의 응축과정에서 열 교환으로 가열된 냉각수는 다시 열 교환기를 경유시켜 강제송풍으로 재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사이클로 이루어 보다 효과적으로 수증기의 응축이 제공되는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치가동 중에 냉각수의 효율적인 운용으로 장시간의 운용에도 수증기의 응축효율이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장치의 신뢰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수,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증숙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응축과정에서 휘발성이 강한 역한 냄새는 응축기의 배기공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유효성분이 함유된 수증기의 대부분을 응축하여 환원시킴으로서 한약성분이 최대한 생약에 함유되도록 하고 역한 냄새를 극소화하여 음용 감이 좋은 생약을 추출할 수 있는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치 운용 중에 고장이 발생 시에 유관확인이 곧바로 확인되어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장치 운용의 신뢰성을 극대화한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여주는 발췌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발췌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냉각수조 21 : 수중펌프
30 : 컨트롤박스 40 : 응축기
41 : 내부관 42 : 외부관
50 : 열 교환기 55 : 팬 모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의 발췌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받침함체(10)상에 상부에는 뚜껑체(12), 하부에는 히터(13)를 구비하되 중앙 하부에 약재배출구(14)를 형성한 본체(11)와, 이 본체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16)을 형성하는 약재 저장통(15)이 회전축(17)과 연결된 일측의 구동모터(M)에 의하여 회전 가능케 이격설치되는 한약추출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함체(10)의 저부에 냉각수조(20)가 형성되고, 이 냉각수조의 일측 상부에 통상의 컨트롤박스(30)가 지지대(31)에 의하여 일정간격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박스(30)의 내, 외부에는 팬 모터(55)로 외부공기를 강제 순환시키어 열 교환이 가능케 된 열 교환기(50)와, 강제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해 열 교환 가능한 내부관(41) 및 외부관(42)의 이중관 구조로 이룬 응축기(40)가 구비되되,
상기 응축기(40)의 외부관(42)은 상기 뚜껑체(12)와 약재배출구(14)와 연통 하여 연결되는 순환관(49,49)과 연결되고, 내부관(41)은 일측이 상기 냉각수조(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중펌프(21)와 연결된 이송관(22)에 연통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열 교환기(50)와 연결된 연결관(51)과 연결되며, 상기 열 교환기(50)는 타측의 회수관(52)으로 상기 냉각수조(20)와 연통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응축기(40)의 외부관(42)은 받침관(43)의 상부에 투명 유리관(44)이 재치 되고 이 투명 유리관의 상부로 일측에 배기공(46)이 관통 형성된 지지캡(45)이 덮여지되, 상기 지지캡(45)은 중앙에 관통공(47)이 관통되어 이에 상기 받침관(43)의 중앙에서 외부와 격리되도록 돌출된 상기 내부관(41)의 상단이 관통돌출되며, 이 돌출된 내부관(41)의 상단은 나사캡(48)으로 나사 조립되어서 상기 받침관(43)에 상기 투명 유리관(44)과 지지캡(45)이 견고히 조립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외부관(42)의 받침관(43)은 수평방향으로 일측에 인입관(43a)이 형성되고 그 대향 하부 측에 배출관(43b)이 돌출 구성되어 각각 플랙시블재 수지재로 이룬 상기 순환관(49,49)으로 연결되고, 저부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내부관(41)의 상단까지 수직관(43e)을 연장한 인입관(43c)과 배출관(43d)이 형성되어 각각은 상기 이송관(22)과 연결관(51)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내부관(41)은 열 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밀폐되고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방열핀(41a)을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3는 보충수 유입구를, F.P는 상기 약재배출구(14)에 설치된 추출펌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먼저, 뚜껑체(12)를 개방한 상태에서 한약재를 삼베자루등에 담아 적정량의 물과 함께 본체(5)내의 약재 저장통(15)에 투입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뚜껑체(12)를 덮고, 컨트롤박스(20)의 전원을 온 작동하게 되면, 히터(13)가 일정온도로 본체(5)를 가열하여 약재 저장통(15)내의 한약재를 증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증숙과정에서는 구동모터(M)는 작동을 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약재 저장통(15)은 정지상태이고, 약재배출구(14)를 통한 약재의 추출이 억제되는 상태로 있게된다.
이러한 증숙과정에서 본체(15)내에서 발생된 증기가 상기 뚜껑체(12)에 연결된 순환관(49)을 통해 배출되어 응축기(40)로 인입되게 된다.
즉, 상기 응축기(40)의 외부관(42)을 구성하는 받침관(43)의 인입관(43a)으로 인입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냉각수조(20)에 투입된 냉각수(C.W)를 수중펌프(21)에 의한 이송관(22)과 연결된 내부관(41)에 강제 압송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상기 수증기의 대부분은 지지캡(45)의 배기공(46)을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응축기(40)에 수증기의 유입과 동시에 컨트롤박스(20)의 제어 작동으로 상기 수중펌프(21)를 작동하게 되면 냉각수조(20)의 냉각수(C.W)가 이송관(22)을 통하여 상기 받침관(43)의 인입관(43c)을 통하여 급송되고 내부관(41)의 상부까지 연장된 수직관(43e)으로부터 냉각수(C.W)가 오버플로우되어 낙하되면서 외부관(42)과 내부관(41)사이의 격리공간에 유입된 수증기를 액화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관(43e)에 의한 상기 냉각수(C.W)를 내부관(41)의 상부에서 하부로 오버플로우시키게 되어 상기 외부관(42)의 격리공간의 상부로 상승하는 수증기를 용이하게 냉각시킴으로서 휘발성이 없는 한약재의 유효성분 거의 다를 액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액화과정으로 낙하되는 응결수는 상기 외부관(42)을 구성하는 투명 유리관(44)에 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액화과정은 상기 유입된 수증기 모두가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매우 극소수 양이 상기 지지캡(45)으 배기공(46)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되, 상기 배출되는 극소수의 수증기는 휘발성이 강한 역한 냄새 및 쓴 맛 성분의 물질이다.
이렇게 대부분이 액화된 수증기(C.W)의 응결수는 상기 받침관(43)의 타측에 구비된 배출관(43b)을 통하여 상기 본체(15)의 약재배출구(14)로 순환이 되게 되고, 이러한 수증기가 액화되어 응결수로 순환되면서 상기 본체(15)의 내부 온도와 압력은 상온 및 상압상태에서 약재의 증숙이 되게 되고, 동시에 본체(15)에 투입된 물은 대류현상이 일어나 약재 전체의 증숙이 제공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 수증기와 열 교환으로 데워진 상기 냉각수(C.W)는 상기 수중펌프(21)의 강제 압송에 의하여 상기 받침관(43)의 저부 타측에 구비된 배출관(43d)의 연결관(51)을 통하여 배출되어 열 교환기(50)에 인입 이송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열 교환기(50)에 이송되는 데워진 냉각수(C.W)는 상기 열 교환기(50)의 일측에 구비된 팬 모터(55)에서 강제 송풍되는 외부 공기에 의하여 재 냉각되고 타측의 회수관(52)을 통하여 다시 상기 냉각수조(20)로 인입되는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수증기와 열 교환으로 덮여진 냉각수(C.W)가 열 교환기(50)를 거치면서 재 냉각된 상태로 다시 응축기(40)로 순환됨으로서 냉각효율이 극대화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기(40)를 구성하는 상기 내부관(41)과 외부관(42)의 격리공간에는 게름마늄(G.M)과 같은 고형의 원적외선 물질을 수용시켜 상기 한약추출기의 본체(11)로 부터 발생된 수증기의 열교환과정에서 상기 게르마늄(G.M)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유효성분의 구성분자에 공명, 공진 작용을 일으켜서 유효성분의 활성화로 한약의 쓴맛을 순화시키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한약재의 증숙이 완료되면, 컨트롤박스(3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히터(10)는 오프상태로 전환되고, 구동모터(M)가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모터(M)의 작동으로 회전축(17)이 연계 구동되면서 상기 회전축(17)의 상단에 고정된 약재 저장통(15)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약재 저장통(15)이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한약재로부터 액상의 생약을 추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약재 저장통(15)의 회전 원심력으로 생성되는 액상의 생약은 본체(11)의 약재배출구(14)를 통해 생약을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약재배출구(14)에는 추출펌프(F.P)가 작동되어 생약을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추출하므로 신속하고 용이한 추출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있어, 상기 냉각수조(20)의 수중펌프(21)가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응축기(40)의 내관(41)에 냉각수(C.W)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인입되는 수증기을 액화시키지 못하여 상기 수증기의 대부분이 상기 외부관(42)의 지지캡(45)의 배기공(46)을 통하여 대부분이 빠져나가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배기공(46)을 통하여 배출되는 수증기에 의하여 상기 수중펌프(21)으 고장을 유관으로 확인하게 되어 신속한 고장수리를 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약재 증숙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강제 압송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응축하여 다시 한약출추기로 순환시키고, 수증기의 응축과정에서 열 교환으로 가열된 냉각수는 다시 열 교환기를 경유시켜 강제송풍으로 재 냉각시켜 순환시키는 사이클로 이루어 보다 효과적이고, 냉각수의 효율적인 운용으로 장시간의 운용에도 수증기의 응축효율이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장치의 신뢰도가 뛰어나며, 응축과정에서 휘발성이 강한 역한 냄새는 응축기의 배기공으로 배출함과 동시에 유효성분이 함유된 수증기의 대부분을 응축하여 환원시킴으로서 한약성분이 최대한 생약에 함유되도록 하고 역한 냄새를 극소화하여 음용 감이 좋은 생약을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받침함체(10)상에 상부에는 뚜껑체(12), 하부에는 히터(13)를 구비하되 중앙 하부에 약재배출구(14)를 형성한 본체(11)와, 이 본체의 내부에는 다수의 통공(16)을 형성하는 약재 저장통(15)이 회전축(17)과 연결된 일측의 구동모터(M)에 의하여 회전 가능케 이격설치되는 한약추출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함체(10)의 저부에 냉각수조(20)가 형성되고, 이 냉각수조의 일측 상부에 통상의 컨트롤박스(30)가 지지대(31)에 의하여 일정간격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박스(30)의 내, 외부에는 팬 모터(55)로 외부공기를 강제 순환시키어 열 교환이 가능케 된 열 교환기(50)와, 강제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해 열 교환 가능한 내부관(41) 및 외부관(42)의 이중관 구조로 이룬 응축기(40)가 구비되되,
    상기 응축기(40)의 외부관(42)은 상기 뚜껑체(12)와 약재배출구(14)와 연통 하여 연결되는 순환관(49,49)과 연결되고, 내부관(41)은 일측이 상기 냉각수조(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중펌프(21)와 연결된 이송관(22)에 연통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열 교환기(50)와 연결된 연결관(51)과 연결되며, 상기 열 교환기(50)은 타측의 회수관(52)으로 상기 냉각수조(20)와 연통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40)의 외부관(42)은 받침관(43)의 상부에 투명 유리관(44)이 재치 되고 이 투명 유리관의 상부로 일측에 배기공(46)이 관통 형성된 지지캡(45)이 덮여지되, 상기 지지캡(45)은 중앙에 관통공(47)이 관통되어 이에 상기 받침관(43)의 중앙에서 외부와 격리되도록 돌출된 상기 내부관(41)의 상단이 관통돌출되며, 이 돌출된 내부관(41)의 상단은 나사캡(48)으로 나사 조립되어서 상기 받침관(43)에 상기 투명 유리관(44)과 지지캡(45)이 견고히 조립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42)의 받침관(43)은 수평방향으로 일측에 인입관(43a)이 형성되고 그 대향 하부 측에 배출관(43b)이 돌출 구성되어 각각 플랙시블재 수지재로 이룬 상기 순환관(49,49)으로 연결되고, 저부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내부관(41)의 상단까지 수직관(43e)을 연장한 인입관(43c)과 배출관(43d)이 형성되어 각각은 상기 이송관(22)과 연결관(51)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41)은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방열핀(41a)을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41)과 외부관(42)의 격리공간에는 게름마늄(G.M)과 같은 고형의 원적외선 물질이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KR2020000010108U 2000-04-08 2000-04-10 수,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KR200198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108U KR200198522Y1 (ko) 2000-04-08 2000-04-10 수,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521A KR100360677B1 (ko) 2000-04-08 2000-04-08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KR2020000010108U KR200198522Y1 (ko) 2000-04-08 2000-04-10 수,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521A Division KR100360677B1 (ko) 2000-04-08 2000-04-08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522Y1 true KR200198522Y1 (ko) 2000-10-02

Family

ID=2663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108U KR200198522Y1 (ko) 2000-04-08 2000-04-10 수,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5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596B1 (ko) * 2000-10-14 2003-11-12 김재훈 한약 탕제 시스템
KR100500213B1 (ko) * 2001-05-24 2005-07-11 한종수 독성을 제거한 옻물 및 옻물 제조장치
KR101188653B1 (ko) * 2012-04-13 2012-10-09 손성권 식물 증류액 추출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596B1 (ko) * 2000-10-14 2003-11-12 김재훈 한약 탕제 시스템
KR100500213B1 (ko) * 2001-05-24 2005-07-11 한종수 독성을 제거한 옻물 및 옻물 제조장치
KR101188653B1 (ko) * 2012-04-13 2012-10-09 손성권 식물 증류액 추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306B1 (ko) 초음파진동자를 이용한 약재용 진공 저온 추출장치
US79767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xtraction of plant constituents
KR100360677B1 (ko)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KR101901940B1 (ko) 수증기열 재활용 슬러지 건조장치
KR200198522Y1 (ko) 수,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JPH0735946B2 (ja) 真空乾燥処理装置
KR200256456Y1 (ko) 한약재 추출기
KR100566924B1 (ko) 한약 농축액 추출 포장기
KR102302082B1 (ko) 신속한 추출 및 농축이 가능한 전기식 농축추출장치
KR200254720Y1 (ko)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KR200223000Y1 (ko) 다목적 추출기
KR20220038881A (ko) 중탕용 탕정기
KR100620061B1 (ko) 홍삼 농축액 추출기
KR200331704Y1 (ko) 한약 농축액 추출 포장기
KR200198573Y1 (ko) 무압력 한약재의 엑기스 추출기
JP2004077077A (ja) 真空乾燥機
KR200257841Y1 (ko) 벌꿀 농축장치
KR200194725Y1 (ko) 무압력 한약 추출장치
KR100941917B1 (ko) 증숙액 추출기
KR102410636B1 (ko) 응축 원액 추출 장치
KR970019990A (ko) 한약 자동 추출장치
KR200319831Y1 (ko)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KR200186647Y1 (ko) 홍삼액추출기의 냉각장치와 삼투압 침출장치
KR200198569Y1 (ko) 한약추출기의 냉각장치
KR100770089B1 (ko) 건식 홍삼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