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831Y1 -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831Y1
KR200319831Y1 KR20-2003-0013004U KR20030013004U KR200319831Y1 KR 200319831 Y1 KR200319831 Y1 KR 200319831Y1 KR 20030013004 U KR20030013004 U KR 20030013004U KR 200319831 Y1 KR200319831 Y1 KR 2003198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water heater
cooling
cooling devic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복
Original Assignee
김귀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귀복 filed Critical 김귀복
Priority to KR20-2003-0013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8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8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8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압력식 중탕기를 보다 효율적인 무압력 중탕기로 변경사용 가능하게 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100)는,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50)의 압력 조절구(34a)와 추출액 배출구(37)를 통하여 중탕용 솥(30) 내부의 피추출물로부터 발생된 추출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중탕용 솥(30)으로 복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바, 추출증기가 응결되는 냉각장치(60)와, 라디에이터(82)와 냉각팬(84)을 내부에 갖춘 열교환기 본체(80)와, 냉각장치(60)에 냉각수 공급을 위한 모터펌프(90)를 포함하되, 냉각장치(60)의 일측에 결합되는 증기 유도관(70)과 그 타측에 결합되는 응결액 회수관(72)에 체결관(71)을 마련하여 상기의 압력조절구(34a), 추출액 배출구(37)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50)를 보다 효율이 우수한 무압력 중탕기로 간편하게 변경사용 가능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50)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A Movable Type Heat Transfer For A Extractor Having A Water Bath}
본 고안은 무압력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를 보다 중탕추출효율이 우수한 무압력식 중탕기로 변경사용 가능하게 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탕기는 한방이나 민방의 영업소 또는 가정에서 각종 약재나 보양재 등을 중탕추출하여 약용 또는 건강식품으로 음용하기 위해 사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중탕기는, 그의 용도와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개시되어 왔다. 그 일례인 압력식 중탕기의 구성과 작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50)는, 상부가 개방되며 가열기(10)가 내장되는 가열본체(20)와, 이 가열본체(20)의 상부에 배치되며 피추출물이 담기는 중탕용 솥(30)으로 크게 대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50)는, 중탕용 솥(30)에 추출코자 하는 피추출물과 물을 투입한 다음 중탕용 솥(30) 내부를 완전 밀폐를 시킨상태에서 가열하는 방식으로, 이때 솥(30)의 내부는 100℃ 이상, 그리고 1기압 이상으로 상승되며 피추출물에 대한 중탕추출이 진행된다.
그러나, 피추출물이 1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됨으로써 탄화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유효성분이 파괴되어 추출액의 기대한 고유성분의 수득율이 저하되고, 추출된 용액의 맛도 쓰며, 소화하기 어려운 섬유물질까지도 추출됨으로써 추출액의 음용시 소화불량을 야기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밀폐된 상태에서의 약재가열은 인체에 해로운 방향성 물질, 휘발성 물질 및 각종 오염물질 등의 배출까지도 억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중탕용 솥(30) 내부의 지나친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솥(30)의 상부에는 압력조절용 밸브(36)가 구비되는 바, 이 밸브(36)의 개, 폐를 통해 증기를 배출하여 솥(30) 내부가 일정기압 이상으로 과압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때 증기의 배출은 필연적으로 유효성분의 손실 및 추출액 수득율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또한 발생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에 열교환기를 장착하여 보다 중탕추출효율이 뛰어난 무압력식 중탕기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를 보인 배면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의 돌출부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본 고안에 따른 증기 유도관의 체결관 결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b는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의 배출관에 본 고안에 따른 응결액 회수관의 체결관에 마련한 니플에 의해 응결액 회수관 체결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것이다.
도 5는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에 본 고안의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를 체결한 모습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와의 체결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와의 체결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가열 본체 30:중탕용 솥 34a:압력조절구 37:추출액 배출구 50:압력식
중탕기 60:냉각장치 62:냉각장치 본체 64:저수탱크 66:증기응결관 68:
폐증기 배출관 70:증기유도관 71:체결관 72:응결액 회수관 80:열교환기
본체 82:라디에이터 84:냉각팬 90:모터펌프 95:다기관 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압력조절구와 추출액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중탕용 솥 내부에서 발생된 추출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상기 중탕용솥 내부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중탕용 솥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는, 내부에 라디에이터와 냉각팬이 배치된 열교환기 본체와, 상기 열교환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접촉되는 추출증기가 냉각응결되도록 냉각수 저수탱크를 갖춘 냉각장치와, 상기 냉각장치의 일측에 결합되는 증기 유도관과 그 타측에 결합되는 응결액 회수관과, 상기 열교환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어 전기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냉각수 저수탱크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모터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 유도관과 상기 응결액 회수관에는 상기 중탕용 솥의 상기 압력 조절구와 상기 추출액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는 체결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관은 상기 압력 조절구와 상기 추출액 배출구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관은 결합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압력 조절구와 상기 추출액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니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장치는 다수개가 병렬로 연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펌프는 상기 냉각장치가 상부에 장착된 상기 열교환기 본체를 다수개 병렬로 연결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그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다기관 밸브를 마련하여, 상기 다기관 밸브의 일측부에는 각 상기 열교환기 본체에 장착된 각 상기 냉각장치의 상기 냉각수 저수탱크의 일측을 각각 연결하고, 그 타측부에는 상기 냉각수 저수탱크의 타측에 연결된 각 상기 라디에이터를 각각 결합하여 냉각수를 각 상기 냉각장치로 각각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본 고안의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가 장착되는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50)는, 가열기(10)가 내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가열본체(20)와, 이 가열본체(20)의 상부의 중앙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각종 피추출물이 담기는 중탕용 솥(30)으로 대별된다.
상기 가열본체(20)는 그 개방된 상부에서 중탕용 솥(30)을 지지한다. 그리고 가열본체(20) 내부이자 중탕용 솥(30)의 하측에 위치하여 중탕용 솥(30)에 열에너지를 제공하는 가열기(10)는, 화력식이 사용되며, 전기식이 사용되어지기도 한다.
한편, 중탕용 솥(30)은 외관을 이루며 바닥면에 추출액 배출구(37)를 갖춘 솥 몸체(32)와, 이 솥 몸체(32) 상부에 장착되는 솥 뚜껑(34)으로 이루어지며, 각종 보양재, 한약재 등의 피추출물이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을 중탕추출키 위해 상기 피추출물을 투입하는 곳이다.
솥 몸체(32)와 밀폐결합되는 솥 뚜껑(34)의 상부에는 돌출부(36)를 마련하여, 중탕용 솥(30)이 지나치게 고압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압력 조절용밸브(36a)를 돌출부(36)에 갖춘다. 이 돌출부(36)는 솥 뚜껑(34) 상부에 형성된 압력조절구(34a)에서 연장되며 마련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50)를 무압력식 중탕기로 변경사용키 위한 본 고안의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100)는, 상기 압력조절구(34a)와 추출액 배출구(37)를 통하여, 중탕진행시 중탕용 솥(30) 내부의 피추출물로부터 발생된 추출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중탕용 솥(30)으로 복귀하도록 종래의 무압력 중탕기(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100)는, 도 2,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온의 추출증기가 접촉하여 냉각응결되도록 냉각수 저수탱크(64)를 갖춘 냉각장치(60)와, 이 냉각장치(60)의 상부에 결합되는 증기 유도관(70)과 냉각장치(60)의 하부에 결합되는 응결액 회수관(72)과, 냉각장치(6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수 저수탱크(64)에 연결되는 라디에이터(82)와 이 라디에이터(82) 후방에 배치되는 냉각팬(84)을 내부에 갖춘 열교환기 본체(80)와, 이 열교환기 본체(80)의 상부 우측에 마련되는 냉각수 투입용 컵(86)과, 열교환기 본체(80) 후방 하측에 배치되어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저수탱크(64)에 공급하기 위한 모터펌프(90)를 포함한다.
냉각장치(60)는 피추출물로부터 발생하는 고온의 추출증기를 냉각응결시키는 기기로, 냉각장치(60)의 외관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냉각장치 본체(62)와, 이 냉각장치 본체(62) 내부에 배치되는 냉각수 저수탱크(64)와, 이 저수탱크(64) 중심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증기응결관(66)과, 이 증기응결관(66)에 연결되는 폐증기 배출관(68)을 갖춘다.
솥 뚜껑(34) 상부의 압력조절구(34a)에 후술하는 증기이동관(70)이 연결되면, 이 증기이동관(70)을 통해 상승된 고온의 추출증기는, 냉각장치 본체(62)의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본체(62)와 일정공간을 이루며 배치된 원통형의 냉각수 저수탱크(64)의 외표면을 일차적으로 접하면서 냉각응결된다. 그리고, 응결 안된 일부 추출증기는, 냉각수 저수탱크(64) 중심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되, 증기의 냉각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킨 구성인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큰 원형의 테이퍼면 구조 또는 나팔관 구조를 갖는 증기응결관(46)을, 이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응결된다. 이와 같이, 냉각장치(60)는 추출증기의 단위면적당 냉각효율이 극대화된 장치이다.
한편, 증기응결관(66)에는 폐증기 배출관(68)이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된다. 이 폐증기 배출관(68)을 통해 유해성분을 함유한 증기는 배출되고, 중탕용 솥(30)의 내부는 외부 기압과 동일하게 압력(통칭으로는 솥 내부의 압력변화가 거의 없다는 의미의 무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하여, 증기이동관(70)은 일측이 냉각장치(60)에 연결 결합되고, 그 타측은 압력식 중탕기(50)의 솥 뚜껑(34) 상부의 압력조절구(34a)에서 연장된 돌출부(36)에 연결되되, 그 타측에 후술하는 체결관(71)을 마련하여 체결된다. 이 증기 이동관(70)을 통해, 압력식 중탕기(50)의 중탕용 솥(30) 내부의 피출물로부터 발생된 추출증기는 상기 냉각장치(60)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응결액 회수관(72)은 일측이 냉각장치(60)의 회수구(도시 생략)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중탕용 솥(30)의 추출액 배출구(37)와 연결된 배출관(38)에 연결되되, 그 타측에 또한 후술하는 체결관(71)을 마련하여 체결된다. 이 응결액 회수관(72)을 통해 냉각장치(60)를 통과하며 응결된 추출증기는 압력식 중탕기(50)의 중탕용 솥(30)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보다 신속한 중탕추출을 위한 응용적 사용으로는, 상기 냉각장치를(60) 통과하며 응결된 추출증기의 응결액을 중탕용 솥(30)으로 복귀 시키지 않고 바로 배출하여 취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관(71)을 상기 배출관(38)에 체결하지 않고 체결관의 입구를 준비한 용기에 향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증기 응결된 추출액의 취득 및 음용이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열교환기 본체(80)는 그 내부에 라디에이터(82)와 냉각팬(84)을 갖추는 바, 라디에이터(82)는 냉각장치(60)의 냉각수 저수탱크(64)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온도가 상승된)를 식히기 위한 것으로 방열효과가 우수한 구조를 갖는다. 이 구조는 공지기술이므로 설명생략한다. 라디에이터(82)의 상부는 냉각수 저수탱크(60)의 냉각수 배출관(63)에 연결되고 하부는 후술하는 모터펌프(90)에 연결되어 효율적인 냉각수 순환을 지원한다.
그리고, 이 라디에이터(82)의 후방에 장착되어 라디에이터(82)의 방열성능을 높이기 위한 냉각팬(84)은 네 대로 이루어지며 전기적으로 구동된다.
한편, 열교환기 본체(80)의 상부에 배치되는 냉각수 투입용 컵(86)은 초기에 냉각수 저수탱크(64)에 냉각수를 투입한다거나 증발되는 냉각수의 손실분을 보충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열교환기 본체(80)의 후방 하측에 장착되는 모터펌프(90)는, 냉각장치(60)에로 냉각수를 유입, 배출시키기 위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순환 모터펌프이다. 모터펌프(90)의 일측은 냉각수 저수탱크(64)의 하단에 마련된 냉각수 유입관(61)과 연결되고, 그 타측은 라디에이터(82)의 하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냉각장치(60)에서고온의 추출증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온도 상승된 배출냉각수는 일차적으로 라디에이터(82)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하강되고, 이차적으로 라디에이터(82) 후측에 배치되는 냉각팬(84)의 작동에 의해 하강되며, 이렇게 온도가 하강된 냉각수는 모터펌프(90)에 의해 다시 저수탱크(64)로 유입되고, 따라서, 본 고안인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100)의 냉각효율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열교환기 본체(80)의 하부에는 안정된 이동의 편의를 위하여 네개의 캐스터(88)를 마련한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100)는, 도 4a,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50)에 체결 사용하기 위하여 체결관(71)을 증기 유도관(70)과 응결액 회수관(72)에 각각 마련하는바,
먼저, 일측이 냉각장치(60) 상부에 결합된 상기 증기 유도관(70)의 타측에 마련되는 체결관(71)은, 증기 유도관(70)이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50)의 솥 뚜껑(34)에 마련된 돌출부(36)(압력 조절구(34a)에서 연장된다.)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체결가능하도록 합성수지파이프로 구성된다. 이 합성수지파이프로는 수축율이 우수하며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수지파이프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관(71)에는, 상기 돌출부(36)에의 보다 안정된 결합을 위해, 결합부재를 마련하여 체결함도 바람직하다. 결합부재로는 효율적으로 결합가능케 한다면 종류를 가리지 않으나,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가능케 하는 니플(71a)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이 냉각장치 하부에 결합된 응결액 회수관(72)의 타측에 마련되는체결관(71)은, 응결액 회수관(72)이 종래의 압력식 중탕(50)기의 추출액 배출구(37)에서 연장되는 배출관(38)에 체결가능하도록 상기의 실리콘합성수지로 구성하며, 또한 상기의 니플(71a)도 배출관(38)과의 체결을 위해 마련되는 결합부재로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무압력 중탕기로 변경사용코자 하는 압력식 중탕기(50)에 인접하여 본 고안의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100)를 배치한 다음, 냉각수 투입용 컵(86)을 통해 냉각수를 투입시킨다. 체결관(71)를 갖는 증기 유도관(70)을 압력식 중탕기(50)의 압력 조절구(34a)에서 연장된 돌출부(36)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체결하고, 체결관(71)를 갖는 응결액 회수관(72)을 중탕용 솥(30)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관(38)에 또한 억지끼워 맞춤으로 체결시킨다. 그런 다음 가열기(10)를 작동시키면 중탕추출공정의 진행이 시작된다.
가열기(10)에 의해 그 상측에 배치된 중탕용 솥(30)이 가열되어 중탕 추출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중탕용 솥(30) 내부의 피추출물로부터 발생되는 추출 증기는 상기 중탕용 솥(30)의 뚜껑(34)에 마련된 압력 조절구(34a)에 도달하고, 이 추출증기는 일측이 압력조절구(34a)에 체결되고 그 타측은 냉각장치 본체(62)의 상부에 연결되는 증기유도관(70)을 통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한 추출증기는 상기 냉각장치 본체(62) 내부로 유입되어, 먼저 상기 냉각장치 본체(62)와 일정공간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저수탱크(64)의 냉각수 저수면 외부에 접촉하여 냉각수에 열을 빼앗김으로써 응결되기 시작하고, 냉각 응결된 증기응결액은 상기 저수탱크(64) 표면을 타고 흘러내린다.
한편, 상기 저수탱크(64)의 냉각수 저수면 외부에 접촉되지 않은 일부 추출증기는 상기 저수탱크(64)를 관통하는 증기응결관(66) 하부에 도달하고 그 증기응결관(66) 상부로 상승한다. 이렇게 일부 추출증기는 증기응결관(66)을 통과하면서 외벽이 상기 저수탱크(64)의 냉각수와 접하는 상기 증기응결관(66)의 내벽에 접촉하게 되고, 이때 다시 한번 응결이 진행되며, 응결된 증기응결액은 증기응결관(66)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린다.
그리고, 냉각 응결된 증기응결액은, 냉각장치(60)에서 냉각응결된 증기응결액을 중탕용 솥(30) 내부로 복귀 가능하도록 일측은 상기 냉각장치 본체(62)의 하부에 마련된 회수구에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가열본체(62)의 측면에 장착된 채 상기 중탕용 솥(30)의 배출구에 연결 연장되는 배출관(38)에 체결되는, 응결액 회수관(72)을 타고 흘러 내린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중탕용 솥(30)에서 발생된 추출증기는 중탕용 솥(30)으로 복귀한다.
한편, 폐증기 배출관(68)으로는 추출증기 중의 유해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폐증기가 배출되며, 이와 같은 배출에 의해 중탕용 솥(30)의 내부는 항상 외부압력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냉각 응결효율을 극대화 시킨 본 고안의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100)에 체결관(71)를 마련하여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50)에 간편하게 체결함으로써 압력식 중탕기(50)를 보다 효율이 우수한 무압력식으로 변경 사용할 수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에서는, 열교환기 본체(80)의 상부에 장착되는 냉각장치(60)를 다수개 병렬로 연결 배치하여 각 냉각장치(60)에 여러대의 압력식 중탕기(50)를 각각 체결시킴으로써, 압력식 중탕기(50)를 각각 무압력식 중탕기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 교환기(100)를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 본체(80)의 상부에 두대의 냉각장치(60)를 장착하는 데, 상기 각 냉각장치(60)에 마련된 증기 유도관(70)과 응결액 회수관(72)을 종래의 두대의 압력식 중탕기(50)의 각 압력 조절구(34a)와 추출액 배출구(37)에 연결사용한다. 열교환기(100)의 냉각효율이 저하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세대 이상의 장착도 바람직하다. 구성과 작용은 상기 원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설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냉각장치(60)가 하나 더 장착됨으로써 이에 비례하여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50)를 하나 더 연결하여 우수한 효율을 갖는 무압력 중탕기로 사용할 수 있으되, 하나의 열교환기 본체(80)와 모터펌프(90)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절감 및 기타 부수적인 경제적 이점이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냉각장치(60), 열교환기 본체(80), 모터펌프(90)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100)는 도 8, 도 9에서 도시 하듯이, 냉각장치(60)가 상부에 장착된 열교환기 본체(80)를 병렬로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가능하다. 이는 한 대의 모터펌프(90)를 사용하여 다수의 냉각장치(60)와 열교환기 본체(80)를 작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제조비용 절감 및 기타 부수적인 경제적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모터펌프(90)는 냉각장치(60)를 상부에 장착한 열교환기 본체(80)를 다수개 병렬로 연결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그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다기관 밸브(95)를 마련한다. 다기관 밸브(95)의 일측부에는 열교환기 본체(80)에 장착된 각 냉각장치(60)의 냉각수 저수탱크(64)의 일측이 각각 연결되고, 그 타측부에는 냉각수 저수탱크(64)의 타측에 연결된 각 라디에이터(82)가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선택에 따라 다기관 밸브(95)를 선택적으로 개, 폐하여 한대 또는 두대의 냉각장치(60)로 냉각수를 각각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관이 연결되는 다기관 밸브(95)를 예로 들었으나 두개 이상의 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다기관 밸브(95)를 구성하여, 상기 냉각장치(60)가 장착된 열교환기 본체(80)를 두대 이상 체결 사용하는 것도 모터펌프(90)의 냉각수 공급효율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라면 바람직하다.
이의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바와 대동소이 하므로 설명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에 간편하게 체결하여 압력식 중탕기를 무압력 중탕기로 변경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가 가지고 있던 중탕추출액의 유효성분의 손실, 취득율의 감소 등의 단점들을 간단히 해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무압력 중탕기를구매하지 않고서도 종래의 압력식 중탕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압력 조절구(34a)와 추출액 배출구(37)가 형성된 중탕용 솥(30) 내부에서 발생된 추출증기를 냉각 응결시켜 상기 중탕용 솥(30)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중탕용 솥(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내부에 라디에이터(82)와 냉각팬(84)이 배치된 열교환기 본체(80)와, 상기 열교환기 본체(80)의 일측에 마련되어 접촉되는 추출증기가 냉각응결되도록 냉각수 저수탱크(64)를 갖춘 냉각장치(60)와, 상기 냉각장치(60)의 일측에 결합되는 증기 유도관(70)과 그 타측에 결합되는 응결액 회수관(72)과, 상기 열교환기 본체(80)의 타측에 마련되어 전기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냉각수 저수탱크(64)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모터펌프(90)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 유도관(70)과 상기 응결액 회수관(72)에는 상기 중탕용 솥(30)의 상기 압력 조절구(34a)와 상기 추출액 배출구(37)에 각각 연결되는 체결관(7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71)은 상기 압력 조절구(34a)와 상기 추출액 배출구(37)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71)은 결합부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압력 조절구(34a)와 상기 추출액 배출구(37)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니플(71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60)는 다수개가 병렬로 연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펌프(90)는 상기 냉각장치(60)가 상부에 장착된 상기 열교환기 본체(80)를 다수개 병렬로 연결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그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다기관 밸브(95)를 마련하여,
    상기 다기관 밸브(95)의 일측부에는 각 상기 열교환기 본체(80)에 장착된 각 상기 냉각장치(60)의 냉각수 저수탱크(64)의 일측을 각각 연결하고, 그 타측부에는 상기 냉각수 저수탱크(64)의 타측에 연결된 각 상기 라디에이터(82)를 각각 결합하여 냉각수를 각 상기 냉각장치(60)로 각각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KR20-2003-0013004U 2003-04-26 2003-04-26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KR2003198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004U KR200319831Y1 (ko) 2003-04-26 2003-04-26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004U KR200319831Y1 (ko) 2003-04-26 2003-04-26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831Y1 true KR200319831Y1 (ko) 2003-07-12

Family

ID=4933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004U KR200319831Y1 (ko) 2003-04-26 2003-04-26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8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390Y1 (ko) 2010-01-11 2012-09-07 신유현 중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390Y1 (ko) 2010-01-11 2012-09-07 신유현 중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35320B (zh) 热能水暖循环系统
JP5612096B2 (ja) 加熱される液体のための自立型ポ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駆動式の液体閉ループ自動循環システム
JPH11309199A (ja) 家庭用煎じ器
CN201000293Y (zh) 热管式散热器
KR100758031B1 (ko) 인삼 증숙 발효 약탕기
KR200319831Y1 (ko)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KR100874559B1 (ko) 진공 흡입식 한약추출기
KR100360677B1 (ko) 수, 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KR200381204Y1 (ko) 진공증류약탕기
KR101336277B1 (ko) 한약 재탕기
KR200254683Y1 (ko) 약탕기의 대류식 수증기 냉각장치
CN110749086A (zh) 一种喷淋式的循环加热器
KR100296518B1 (ko) 가정용중탕기
KR970019990A (ko) 한약 자동 추출장치
CN209657963U (zh) 一种冷凝器下置式自循环蒸发冷却装置
JP3007868U (ja) 蒸留水製造機
KR200194725Y1 (ko) 무압력 한약 추출장치
KR200198522Y1 (ko) 수,공냉 혼용의 증류사이클을 이용한 한약추출기
CN108065796A (zh) 一种蒸汽冷凝装置及使用该蒸汽冷凝装置的蒸箱
KR200314512Y1 (ko) 중탕기의 냉각수 순환시스템
CN208211920U (zh) 一种蒸汽冷凝装置及使用该蒸汽冷凝装置的蒸箱
CN218589714U (zh) 一种基于分布结晶法制取精萘的制备系统
KR100268553B1 (ko) 가정용 중탕기
KR200256456Y1 (ko) 한약재 추출기
KR100260783B1 (ko) 가정용 중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