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518B1 - 가정용중탕기 - Google Patents
가정용중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96518B1 KR100296518B1 KR1019980049470A KR19980049470A KR100296518B1 KR 100296518 B1 KR100296518 B1 KR 100296518B1 KR 1019980049470 A KR1019980049470 A KR 1019980049470A KR 19980049470 A KR19980049470 A KR 19980049470A KR 100296518 B1 KR100296518 B1 KR 1002965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steam condenser
- water
- heating vessel
- guide tub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1/00—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 F28B1/06—Condensers in which the steam or vapour is separate from the cooling medium by walls, e.g. surface condenser using air or other gas as the cooling mediu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4—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feeding, collecting, and storing cooling water or other cooling liq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B—STEAM OR VAPOUR CONDENSERS
- F28B9/00—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 F28B9/08—Auxiliary system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collecting and remov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용기를 본체 케이스에 안착 시킴과 동시에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가 자동으로 연결되어 결합이 매우 손쉽고、약재를 달이는 과정에서 약재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를 손실 없이 거의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음은 물론, 약재 달이는 냄새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가정용 중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물을 담은 여과기와 물을 수납하며, 상측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가열용기; 가열용기가 안착되어 가열될 수 있도록 그 일측에 소정의 수납 공간부와 히터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 가열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의 상단부에 내장 설치되는 증기 응결기; 증기 응결기내에 포집된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증기 응결기의 내외주면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증기 냉각부 및 가열용기를 본체 케이스의 공간부에 수납시킴과 동시에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를 연결하여 증기 응결기내에서 응결된 응결수를 가열용기내로 회수하는 응결수 회수부로 이루어 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용기를 본체상에 안착시기면 가열용기가 증기응결기와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기 응결기내에 포집된 증기는 냉각장치에 의해서 신속하게 회수될 수 있는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가정용 중탕기(中湯器)는 여러 종류의 약재 또는 그 외의 조리물을 일정한 탕기에 넣은 상태에서 공급된 전원을 열원으로써 소정 시간 동안 물과 함게 끓여서 달이는 기구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l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는 내부에 히터 등의 각종 전기부품(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된 본체(12), 본체(12)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유리로 구성된 가열용기(加熱用器,14), 가열용기(14)의 외측에 설치되는 손잡이(16), 가열용기(14)의 내측에 안착되며 내부에는 각종 한약재가 담겨지는 여과기(18), 가열용기(14)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응결시켜 가열용기(14)로 회수(回收)시킬 수 있도록 가열용기(14)의 상측에 마련되는 증기 응결기(蒸氣 凝結器,19)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는 증기 응결기를 가열용기에 연결함에 있어서 일일이 손으로 결합하여야 하며, 약재를 다 달인 후에도 일일이 손으로 분리하여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또한, 약재를 달이는 과정에서 증기 응결기내에 포집된 약재성분을 갖는 증기가 신속하게 냉각되어 가열용기내로 회수되지 못하고 외부로 누출되어 약재성분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기가 많이 누출되어 약재 냄새가 실내에 퍼지게 되는 경우 약재 냄새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피해를 줄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증기 응결기의 상측에 송풍팬을 설치한 고안이 제안된 바 있다. 도 2 는 이러한 종래의 중탕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중탕기는 내부에 각종 전기부품(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된 본체(20), 본체(20)가 지지되는 프레임(22), 본체(2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유리로 구성된 가열용기(24), 가열용기(24)의 내측에 안착되고 각종 약재가 담겨지는 내조(26), 가열용기(24)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액화시켜 가열용기(24)로 회수시킬 수 있도록 가열용기(24)의 상측에 마련되는 증기 응결기(28), 증기 응결기(28)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22)에 설치되는 냉각팬(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중탕기는 도 1 에 도시된 중탕기와 비교할 매증기를 신속히 응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가열용기와 증기응결기를 손으로 일일이 결합 또는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증기 응결기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하여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가열용기를 본체 케이스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가 자동으로 연결되어 결합이 매우 손쉽고, 약재를 달이는 과정에서 약재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를 손실없이 거의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음은 물론, 약재 달이는 냄새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가정용 중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중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다른 중탕기를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기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 응결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 응결기 냉각부를 도시한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 회수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증기 응결기로서, 증기 응결기의 외주면에 안내편이 형성된 것을 보이는 부분 절개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증기 응결기로서, 증기 응결기의 외측벽에 냉각관이 형성된 것을 보이는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증기 응결기로서, 증기 응결기의 내측벽에 냉각관이 형성된 것을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케이스 110 : 가열용기
112 : 여과기 114 : 손잡이
116 : (가열용기) 뚜껑 120,220,320,420 : 증기 응결기
122 : (증기 응결기) 뚜껑 131 : 순환관
132,133 : 입/출구측 연결튜브 134 : 냉각수 저장통
135 : 냉각수 순환펌프 136 : 방열핀
l37 : 송풍팬 141 : 안내관 고정대
142 : 안내관 지지대 143 : 증기 안내관
144 : 스톱퍼 146 : 고무패킹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조리물을 담은 여과기와 물을 수납하며, 상측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가열용기; 가열용기가 안착되어 가열될 수 있도록 그 일측에 소정의 수납 공간부와 히터가 마련된 본체 케이스; 가열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의 상단부에 내장 설치되는 증기 응결기; 증기 응결기내에 포집된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증기 응결기의 내외주면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증기 냉각수단 및 가열용기를 본체 케이스의 공간부에 수납시킴과 동시에 가열용기와 증기 응결기를 연결하여 증기 응결기내에서 응결된 응결수를 가열용기내로 회수하는 응결수 회수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증기 냉각수단은 증기 응결기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냉각수가 순환되는 나선형의 순환관; 순환관의 상/하측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입/출구측 연결튜브; 본체 케이스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며,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저장통; 냉각수 저장통의 냉각수를 입/출구측 연결튜브를 통해서 순환관 내부로 강제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펌프; 출구측 연결튜브에 설치되어 출구측 연결튜브 내부를 관통하는 가열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방열핀 및 방열핀에 찬바람을 강제 송풍하여 상기 방열핀을 냉각하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방열핀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방열핀에 찬바람을 강제 송풍하여 방열핀을 냉각하는 송풍팬이 더 설치된다.
또한, 냉각수 저장통의 냉각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의 외측 상단에 냉각수 잔량계가 더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응결수 회수수단은, 증기 응결기의 하부 중앙에 결합되며, 본체 케이스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안내관 고정대; 돌출된 안내관 고정대의 일부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안내관 지지대; 안내관 지지대의 공간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증기공을 갖는 증기 안내관; 증기 안내관의 내부 중앙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증기 안내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안내관 고정대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톱퍼 및 증기 안내관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톱퍼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탕기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 응결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우선,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정용 중탕기는 히터(104) 및 조작패널(105)등을 갖는 본체 케이스(100), 약재(예를 들면, 수삼 또는백삼)를 담은 여과기(112)와 물을 수납하여 본체 케이스(100)의 히터(104)에 의해서 소정시간 가열되는 유리재로 형성된 가열용기(110), 약재를 달이는 과정에서 가열용기(110)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응결기(120), 증기 응결기(120)내에 포집된 증기를 냉각수로 냉각시기는 증기 냉각부, 가열용기(110)를 본체 케이스(100)내에 안착함과 동시에 가열용기(110)와 증기 응결기(120)가 서로 연통되어 증기 응결기(120) 내부의 응결수를 가열용기(110)내로 회수하는 증기 회수부로 크게 나뉘어진다.
전술한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 케이스(100)는 하단부(101)와 중단부(102)와 상단부(103)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단부에는 히터(104)가 내장되어 있고, 중단부(102)에는 가열용기(11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103)에는 증기 응결기(120)가 내장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00)의 외측면을 살펴보면, 본체 케이스(100)의 측면에는 히터(104)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패널(105), 냉각수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잔량계(106), 본체 케이스(100)의 상측면에는 잔량계(106)와 연통되는 잔량계 뚜껑(107), 증기 응결기(l20)의 상측을 덮는 상측 뚜껑(108)이 위치되어 있다.
가열용기(110)는 그 내부에 약재를 담은 여과기(112)의 안착과 함께 소정양의 물이 담겨진다. 가열용기(110)의 측면에는 손잡이(114)가 설치되어 있고, 가열용기(110)의 상측에는 뚜껑(116)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뚜낑(116)의 중앙에는 소정 직경을 갖는 증기공(116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열용기(110) 자체는 내열성의 유리재로 성형하고, 손잡이(114)는 가열용기(110)와는 달리 열전도율이 작은 플라스틱재로 성형하여 약재를 달이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기 응결기(120)는 가열용기(110)의 상방에 위치됨과 동시에 본체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내장되이 있으며, 물을 끓일 때 가열용기(110)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한다. 그리고,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응결기(120)의 상측에는 이를 덮는 뚜겅(122)이 결합되어 있다. 뚜껑(122)의 외주연에는 내열성의 세라믹재의 패킹(124)이 끼워져 있으며, 이 패킹(124)은 증기 응결기(120) 내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뚜껑(122)의 중심에는 증기 응결기(12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증기공(1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증기공(122a) 직상방에는 볼(126)이 위치되어 증기 응결기(120) 내부의 압력이 높지 않을 경우에는 볼(126)의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볼(126)이 증기공(122a)을 차단하며, 증기 응결기(120) 내부의 압력이 높을 경우에는 볼(126)의 하중보다 증기압이 커서 볼(126)이 상방으로 올려지고 이에 따라 증기공(122a)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증기공(122a)과 연통하여 뚜껑(108) 중심에도 증기공(108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증기 응결기(120)는 열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 응결기 냉각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켜서 증기 응결기(120)내에 포집되어 있는 증기를 신속하게 냉각시기는 증기 냉각부(수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냉각부에는 증기 응결기(12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순환관(131), 순환관(131)의 상하단에 형성된 입/출구측에 연통되는 입/출구측 연결튜브(132,133),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저장통(134),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펌프(135), 순환되는 냉각수를 냉각하는 방열핀(136), 방열핀(136)을 냉각시기는 송풍팬(137)이 구비되어 있다,
우선, 순환관(131)은 증기 응결기(120)의 외주면에 증기 응결기(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순환관(131)이 원통형상의 증기 응결기(120)의 외주면 전체에 주름져 둘러싸여 있으며, 이때 주름부분의 내측, 즉 골부분이 증기 응결기(120)의 외주면과 접촉됨과 동시에 압입됨으로써 그 내부에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공간부는 증기 응결기(12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순환관(131)은 증기 응결기(120)의 재질과 같이 가벼우면서도 견고하고, 열전도율이 뛰어난 부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출구측 연결튜브(132,133)는 순환관(13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기 응결기(120)를 입/출구측 연결튜브(132, 133)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출구측 연결튜브(132, 133)와 순환관(131)의 결합상태를 살펴보면, 순환관(131)의 상하단에는 각각 입/출구측 연결튜브(132,133) 끝단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위에는 실리콘(138)을 개재하여 냉각수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냉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출구측 연결튜브(133)의 중간에는 배수밸브(13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수밸브(139)는 본체 케이스(100)의 후방측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연결튜브(132,133)내의 냉각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냉각수 저장통(134)은 본체 케이스(10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내부에는 냉각수가 저장된다. 냉각수 저장통(134)은 본체 케이스(100)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소정량의 냉각수를 적절한 시기에 외부에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잔량계(106)를 확인하여 냉각수가 부족하면 뚜껑(107)을 열고 냉각수 저장탱크(134)내에 냉각수를 보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냉각수 순환 펌프(135)는 냉각수 저장통(134)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냉각수 저장통(134)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입/출구측 연결튜브(132,133)를 통해서 순환관(131) 내부로 강제 공급하여 순환시키도록 되어 있다.
방열핀(136)은 출구측 연결튜브(133) 도중에 설치되어 있으며, 입/출구측 연결튜브(132, 133) 내부를 흐르는 가열된 냉각수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각시킨다.여기서 방열핀(136)이 설치된 입/출구측 연결튜브(132,133)를 여러 번 굴곡시켜서방열면적을 크게 하여 방열 효과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137)은 외부의 찬 공기를 흡입하여 방열핀(136)에 찬 공기를 강제 송풍함으로써 방열핀(136)을 냉각시킬 수도 있으며, 방열핀(136) 주위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송풍함으로써 방열핀(136)을 냉각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방열핀(136)은 본체 케이스(100)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본체 케이스(100) 후방측에는 환풍공(도시하지 않음)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 회수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가열용기(110)와 증기 응결기(120)를 연결하여 증기 응결기(120)내에서 응결된 응결수를 가열용기(110)내로 회수하는 응결수 회수부(수단)를설명하기로 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결수 회수부는 안내관 고정대(141)와, 안내관 지지대(142), 증기 안내관(143), 스톱퍼(144) 및 탄성부재로서의 스프링(145)이 구비되어 있다.
우선, 안내관 고정대(141)는 그 상단이 증기 응결기(12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턱(128)에 걸림 유지되어 있으며, 안내관 지지대(142)는 돌출된 안내관 고정대(141)의 일부에 스크류부(141a,142a) 결합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증기 안내관(143)은 안내관 지지대(142)의 공간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하측면에는 증기공(143a)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144)는 증기 안내관(143)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증기 안내관(14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안내관 고정대(141)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다시 말하면, 가열용기(110)를 본체 케이스(100)의 히터(104)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가열용기(110)의 뚜껑(116)이 증기 안내관(143)에 접촉되며, 동시에 증기 안내관(143)이 뚜껑(116)에 의해서 상승하게 되고, 이때 증기 안내관(143)과 일체로 형성된 스톱퍼(144)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안내관 고정대(141)의 내부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탄성부재로서의 스프링(145)은 스톱퍼(144)에 개재되어 있으며, 증기 안내관(143)이 상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력있게 이동되도록 증기 안내관(14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결기와 가열용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증기 응결기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0)의 상단부 내측에 증기 응결기(120)를 안착시킨다. 그 다음, 안내관 고정대(141)를 증기 응결기(120) 내부에서 하방으로 삽입하여 증기 응결기(120) 하측에 형성된 턱(128)에 걸림 유지시킨 후, 안내관 고정대(141)의 끝단에 형성된 스크류부(141a)에 안내관 지지대(142)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안내관 지지대(142)의 스크류부(142a)를 서로 결합시킨다. 안내관 고정대(141)에 안내관 지지대(142)를 결합한 후에는 스톱퍼(144)에 탄성부재로서의 스프링(145)을 개재하고, 스톱퍼(144) 및 증기 안내관(143)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스톱퍼(144)가 안내관 고정대(141) 내부로 삽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증기 안내관(143)의 일부가 안내관 지지대(142)의 공간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증기 응결기(120) 내부로부터 고무패킹(144a)을 삽입하여 스톱퍼(144)의 끝단에 결합함으로써 증기 응결기(120) 및 이에 연결된 부재(141,142,143,144,144a)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약재를 다 달인 후, 증기 응결기(120)를 세척하기 위하여 증기 응결기(120)를 본체 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역순으로 수행하면 되는 바,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우선 고무패킹(146)을 스톱퍼(144)의 끝단으로부터 탈거하면 연이어 스톱퍼(144) 및 증기 안내관(143)이 하방으로 탈거되며, 그에 따라 증기 응결기(12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중탕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용기(110)내에 약재를 담은 여과기(112)와 물을 수납함과 동시에, 소정의 물을 담고, 뚜껑(116)을 닫은 후 가열용기(110)를 본체 케이스(100)의 히터(104)상에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착시킨다.
이때,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증기 안내관(143)은 뚜껑(116)에 의해서 상방으로 눌려지는 힘을 받으며 증기 안내관(143)은 탄성부재인 스프링(14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방으로 살짝 눌려진다.
증기 안내관(143)이 상방으로 눌려짐에 따라 증기 안내관(143)과 일체로 형성된 스톱퍼(144) 또한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스톱퍼(144)의 끝단에 설치된 고무패킹(144a)은 안내관 고정대(141)의 내부를 개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공이 개방되는 것이다. 즉, 가열용기(110)의 뚜껑(116)에 형성된 증기공(116a)으로부터 유출되는 증기가 증기 안내관(143)의 증기공(143a), 안내관 지지대(142)의 증기공(142b), 안내관 고정대(141)의 증기공(141b)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증기 응결기(120) 내부에 포집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열용기(110)의 안착이 완료되면, 조작패널(105) 등을 조절하여 조리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소정 시간동안 약재를 달이게 된다. 약재를 달이는과정에서 물이 끓으면서 증기가 발생되며, 이때 가열용기(110)내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증기공(116a,143a,142b,141b)을 따라 증기응결기(120) 내부에 포집된다. 이렇게 포집된 증기는 전술한 증기 냉각장치에 의해서 신속하게 냉각되어 응결수로 변환하고, 변환된 응결수는 자중으로 인하여 하방으로 떨어지면서 가열용기(110) 내부로 다시 회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순환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약재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가 외부로 손실되지 않고 가열용기(110)내로 회수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증기 응결기(120)를 냉각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을참조하면, 우선 냉각수 순환펌프(135)가 작동되어 저장통(134)의 냉각수를 입구측연결튜브(132)내로 압송한다. 입구측 연결튜브(132)내의 냉각수는 순환관(131) 상측으로 유입되어 증기 응결기(120) 주위를 돌면서 증기 응결기(120)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기 응결기(120)를 냉각시킨다. 증기 응결기(120)로부터 열을 빼앗아 가열된 냉각수는 순환관(131)의 하측으로 배출되면서 출구측 연결튜브(133)내로 유입되고, 출구측 연결튜브(133)내로 유입된 냉각수는 방열핀(136)을 거치면서 열을 방출하여 어느 정도 냉각되고, 송풍팬(137)에 의해서 더욱 냉각된다. 방열핀(136) 및 송풍팬(137)에 의해서 냉각된 냉각수는 이후 냉각수 저장통(134)내로 재 유입되고 이와 같은 순환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냉각수가 반복적으로 순환되면서 증기 응결기(120)를 신속하게 냉각시켜 증기 응결기(120)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증기를 응결수로 신속하게 변환하는 것이다. 이때, 냉각수 저장통(134)에는 사용자가 뚜껑(107)을 열고 냉각수를 재보충하여 냉각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재를 다 달인 후, 가열용기(110)를 본체 케이스(100)로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의 역순으로 하면 되는 바,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가열용기(11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당긴 후 탈거하면 가열용기(110)의 뚜껑(116)에 의해서 눌려져 있던 증기 안내관(143) 및 스톱퍼(144)가 탄성부재인 스프링(14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원위치 된다. 이때, 스톱퍼(144)의 고무패킹(146)이 안내관 고정대(141)의 내부를 차단한다. 스톱퍼(144)의 고무패킹(146)이 안내관 고정대(141)의 내부를 차단함에 따라 증기 응결기(120) 내부에 잔존하는 응결수가 더 이상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증기 응결기로서, 증기 응결기의 외주면에 안내편이 형성된 것을 보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응결기(220)의 측벽은 냉각수가 흐를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고, 증기 응결기(220)의 측벽에는 안내편(222)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편(222)과 측벽 사이에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통해서 냉각수가 순환되며, 냉각수의 순환에 의해서 증기 응결기(220)가 냉각되는 것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증기 응결기로서, 증기 응결기의 외측벽에 냉각관이 형성된 것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응결기(320)의 외측벽에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중공의 냉각관(322)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증기 응결기로서, 증기 응결기의 내측벽에 냉각관이 형성된 것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응결기(420)의 내측벽에는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중공의 냉각관(422)이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용기를 본체 케이스 상에 슬라이드 이동시켜 장착하거나 탈거하는 것에 의해서 증기 응결기와 가열용기가 자동으로 연결/차단됨으로써 사용자가 증기 응결기를 일일이 가열용기에 조립하거나 분리할 필요가 없는 사용의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증기 응결기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을 입을 염려가 없다.
또한, 냉각수를 이용한 냉각장치를 통해서 증기 응결기 내부에 포집되어 있는 증기를 신속하게 응결시켜 회수함으로써 약재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의 손실을 최대한 줄여서 약재성분을 보존하고, 증기를 최대한 억제하여 약재 달이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조리물을 담은 여과기와 물을 수납하며, 상측에는 뚜껑이 결합되는 가열용기:상기 가열용기가 안착되어 가열될 수 있도록 그 일측에 소정의 수납 공간부와 히터가 마련된 본체 케이스;상기 가열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단부에 내장 설치되는 증기 응결기;상기 증기 응결기내에 포집된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증기 응결기의 내외주면으로 냉각수를 순환시기는 증기 냉각수단;및상기 가열용기를 상기 본체 케이스의 공간부에 수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가열 용기와 상기 증기 응결기를 연결하여 상기 증기 응결기내에서 응결된 응결수를 상기 가열용기내로 회수하는 응결수 회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정용 중탕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냉각수단은,상기 증기 응결기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냉각수가 순환되는 나선형의 순환관;상기 순환관의 상/하측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입/출구측 연결튜브;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며,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저장통;상기 냉각수 저장통의 냉각수를 상기 입/출구측 연결튜브를 통해서 상기 순환관 내부로 강제 순환시기는 냉각수 순환 펌프;및상기 출구측 연결튜브에 설치되어 상기 출구측 연결튜브 내부를 관통하는 가열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방열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중탕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상기 방열핀에 찬바람을 강제 송풍하여 상기 방열핀을 냉각하는 송풍팬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중탕기.
- 제 2항 또는 제 3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저장통의 냉각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측 상단에 냉각수 잔량계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중탕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결수 회수수단은,상기 증기 응결기의 하부 중앙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안내관 고정대;상기 돌출된 안내관 고정대의 일부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하방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안내관 지지대;상기 안내관 지지대의 공간부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증기공을 갖는 증기 안내관;상기 증기 안내관의 내부 중앙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증기 안내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안내관 고정대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스톱퍼;및상기 증기 안내관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중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9470A KR100296518B1 (ko) | 1998-11-18 | 1998-11-18 | 가정용중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9470A KR100296518B1 (ko) | 1998-11-18 | 1998-11-18 | 가정용중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2855A KR20000032855A (ko) | 2000-06-15 |
KR100296518B1 true KR100296518B1 (ko) | 2001-10-26 |
Family
ID=1955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49470A KR100296518B1 (ko) | 1998-11-18 | 1998-11-18 | 가정용중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9651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7578B1 (ko) * | 2021-11-17 | 2022-11-16 | 김금성 | 원스톱 진공농축 생약제조기 |
KR102478511B1 (ko) * | 2021-11-17 | 2022-12-16 | 김금성 | 역류 방지 가능한 진공농축 생약제조기 |
-
1998
- 1998-11-18 KR KR1019980049470A patent/KR1002965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7578B1 (ko) * | 2021-11-17 | 2022-11-16 | 김금성 | 원스톱 진공농축 생약제조기 |
KR102478511B1 (ko) * | 2021-11-17 | 2022-12-16 | 김금성 | 역류 방지 가능한 진공농축 생약제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2855A (ko) | 2000-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27376B2 (ja) | 家庭用煎じ器 | |
KR100254184B1 (ko) | 증기 조리기기 | |
ES2274958T3 (es) | Aparato para retener y esterilizar por calor articulos. | |
KR100296518B1 (ko) | 가정용중탕기 | |
KR100302952B1 (ko) | 조리용 무취냄비 | |
KR100268553B1 (ko) | 가정용 중탕기 | |
KR19990079461A (ko) | 가정용 중탕기 | |
KR100719772B1 (ko) | 자연대류방식의 수냉식 직화구이기 | |
KR100260783B1 (ko) | 가정용 중탕기 | |
KR100339842B1 (ko) | 가정용 중탕기 | |
KR100355526B1 (ko) | 증기응결기외측에냉각관이설치된가정용중탕기 | |
KR100283533B1 (ko) | 가정용 중탕기 | |
KR100355527B1 (ko) | 가정용중탕기 | |
KR100355528B1 (ko) | 가정용중탕기 | |
KR19990079468A (ko) | 중공의 냉각핀을 갖는 가정용 중탕기 | |
KR200190922Y1 (ko) | 가정용 중탕기 | |
KR200186639Y1 (ko) | 가정용 중탕기의 수증기 냉각장치 | |
KR100268552B1 (ko) | 가정용 중탕기 | |
KR200186982Y1 (ko) | 냉각형 증기 응결기를 갖는 가정용 중탕기 | |
KR100260782B1 (ko) | 코일 스프링형 증기 응결기를 갖는 가정용 중탕기 | |
KR100283534B1 (ko) | 수냉식 중탕기 | |
KR100260784B1 (ko) | 가정용 중탕기 | |
KR100283535B1 (ko) | 가정용 중탕기 | |
KR100339838B1 (ko) | 가정용 중탕기 | |
KR19990079465A (ko) | 증기 응결기 내측에 냉각관이 설치된 가정용 중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51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