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838B1 - 가정용 중탕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중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838B1
KR100339838B1 KR1019980012094A KR19980012094A KR100339838B1 KR 100339838 B1 KR100339838 B1 KR 100339838B1 KR 1019980012094 A KR1019980012094 A KR 1019980012094A KR 19980012094 A KR19980012094 A KR 19980012094A KR 100339838 B1 KR100339838 B1 KR 10033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ing vessel
condenser
pin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464A (ko
Inventor
김용진
정찬영
유경상
Original Assignee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1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838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응결기 외주연에 냉각핀을 설치하고 냉각팬을 이용하여 냉각핀에 찬 공기를 강제 송풍시켜 증기 응결기내의 증기를 신속하게 액화시키도록 하며, 랙파 피니언을 이용하여 증기 응결기와 가열 용기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정용 중탕기는 한약재가 담긴 내조가 안착되며, 그 상단부에는 증기가 유출되는 증기 유출관을 구비하는 뚜껑을 갖고, 그 내부에는 소정의 물이 저수되는 가열 용기 ; 상기 가열 용기의 직상방에 상기 가열 용기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그 하단부에 상기 증기 유출관과 결합되는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열 용기의 가열시 상기 가열 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응결기; 상기 증기 웅결기를 냉각시키고자 상기 증기 응결기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냉각핀 부재; 및 전자동으로 상기 증기 유출관과 상기 연결관을 밀폐시킨 상태로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키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연결관의 외주연에 고정 설치되는 랙 부재; 상기 랙 부재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부재; 및 상기 피니언 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정용 중탕기
본 발명은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 응결기 외주연에 냉각핀을 설치하고 냉각팬을 이용하여 냉각핀에 찬 공기를 강제 송풍시켜 증기 응결기내의 증기를 신속하게 액화시키도록 하며,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증기 응결기와 가열 용기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가정용 중탕기는 여러 종류의 한약재 및 차를 일정한 탕기에 넣은 상태에서 공급된 전원을 열원으로써 소정 시간 동안 물과 함께 끓여서 달이는 기구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는 내부에 히터 둥의 각종 전기부품(미도시)이 내장된 본체(12), 본체(12)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며 유리로 구성된 가열 용기(14), 가열 용기(14)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 면에는 물유입공(미도시)이 다수 형성되며 각종 한약재가 담겨지는 내조(18), 가열 용기(14)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액화시켜 가열 용기(14)로 환수 (還收)시키도록 가열 용기(14)의 상측에 마련되는 증기 응결기(1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16은 가열용기(18)의 손잡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는 가열 용기(14)에 소정의 물을 저수한 후 내조(18)를 가열 용기(14)에 내설하고, 달이고자 하는 갖가지 한약재를 내조(18)에 넣은 후 작동 스위치(히도시)를 작동시켜 히터(미도시)를 가열해 그 열로 가열 용기(14)내에 저수된 물을 끓여 한약재를 달이게 된다.
이때, 가열 용기(14)로부터 물이 끓으면서 증기가 발생되는 바, 이 증기는 증기 응결기(19)로 유입되며, 증기 응결기(19)에 유입된 증기는 증기 응결기(19)의 상단부에 포집되면서 상온의 대기와의 온도차에 의해서 서서히 냉각되어 증기 증결기(19)의 내벽에 응결되어 맺히고, 응결된 물은 증기 응결기(19)의 내벽을 따라 가열 용기(14)내로 환수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내조(18)에 담겨진 한약재의 약성분이 우러나게 되어 한약재를 달이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한약이 다 달여지면 사용자는 뜨거운 증기 응결기 (19)를 수건 등으로 감싸서 가열 용기(14)에서 떼어낸 후 가열 용기(14)를 본체 (12)에서 들어내고 내조(18)를 들어내어 달여진 한약을 일정 용기에 따라 마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에는 증기 응결기를 냉각시키는 별도의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증기 응결기내에 유입된 증기, 즉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증기가 신속하게 응결되어 가열 용기 내로 환수되지 못하고 증기 응결기의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약효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약성분이 함유된 수증기가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약냄새가 실내에 풍기게 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한약이 다 달여져 약을 복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증기 응결기를 가열 용기로부터 분리해야만 했기 때문에 사용상에 번거로움이 발생하였고, 사용자가 증기 응결기를 가열 용기로부터 분리할 때 데일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증기 응결기 외주연에 냉각핀을 설치하고 냉각팬을 이용하여 냉각핀에 찬 공기를 강제 송풍시켜 증기 응결기내의 증기를 신속하게 액화시키도록 하며,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증기 응결기와 가열 용기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중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정용 중탕기는 한약재가 담긴 내조가 안착되며, 그 상단부에는 증기가 유출되는 증기 유출관을 구비하는 뚜껑을 갖고, 그 내부에는 소정의 물이 저수되는 가열 용기; 상기 가열 용기의 직상방에 상기 가열 용기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그 하단부에 상기 증기 유출관과 결합되는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열 용기의 가열시 상기 가열 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응결기; 상기 증기 응결기를 냉각시키고자 상기 증기 응결기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냉각핀 부재; 및 전자동으로 상기 증기 유출관과 상기 연결관을 밀폐시킨 상태로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키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연결관의 외주연에 고정 설치되는 랙 부재; 상기 랙 부재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부재; 및 상기 피니언 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증기 유출관 및 상기 연결관의 외주연에 끼움 설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원통형의 랙 부재; 상기 랙 부재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부재; 및 상기 피니언 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연결 수단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연결 수단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본체, 120. 가열 용기, 110. 본체,
124. 뚜껑 124a. 증기 유출관, 130. 증기 응결기,
132. 상측 케이스, 134. 하측 케이스, 136. 연결관
140. 냉각핀 150. 냉각팬, 160. 연결 수단,
162. 모터, 164. 구동 기어, 166. 피니언,
167. 연결통, 168. 랙, 169. 보호함,
170. 센서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연결 수단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는 약재를 담은 내조(122)가 안착되는 가열 용기(120), 가열 용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웅결기(130), 증기 응결기(130)를 냉각시키고자 증기 응결기(130)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냉각핀(140), 열판(미도시)의 적소에 부착되어 있으며 가열 용기(120)와 본체(110)의 결차 및 분리를 감지하는 센서(170), 가열 용기(120)와 증기 웅결기(130)와의 착탈을 전자동으로 하는 연결 수단(150) 및 냉각핀(140)에 찬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냉각팬(15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가열 용기(120)는 본체(110)의 상측에 마련되어 있는 히터 위에 놓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열 용기(120)내에는 한약재를 담은 내조(122)를 안착하며, 가열 용기(120)내부에는 소정의 물을 저수하여 히터를 통해물을 소정 시간 동안 끓이게 된다.
증기 응결기(130)는 가열 용기(120)의 직상방에 가열 용기(120)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가열 용기(120)의 가열시 가열 용기(120)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증기 응결기(130)는 상측 케이스(132)와 하측 케이스(134)로 이루어져 있고, 하측 케이스(134)에는 가열 용기(120)의 뚜껑(124)에 형성되어 있는 증기 유출관(124a)으로부터 착탈되게 결합되는 연결관(13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증기 유출관(124a)과 연결관(136)의 결합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연결관 (136)의 하단부와 증기 유출관(124a)의 상단부를 절곡시킬 수 있다.
냉각핀(140)은 증기 웅결기(130)의 하부를 둘러 감싸도록 위치되어 있으며, 냉각핀(140) 양측에는 냉각핀(140)에 찬 공기를 강제 송풍하여 냉각핀(140) 및 증기 응결기(130)를 냉각시킴으로써 증기를 신속하게 액화시키도록 하는 냉각팬(150)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연결 수단(16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170) 또는 타이머 (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62), 모터(16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164), 구동 기어(164)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166) 및 연결관(136)에 고정설치되며 피니언(166)과 맞물려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랙(168)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169는 모터(162)를 지지하며 보호하기 위한 보호함을 나타낸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랙(168)은 연결관(136)의 하단부 외준연에 견고하게용접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162)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정역 모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터(162)는 센서(170) 또는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지만 이를 작동 스위치로 대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 한다.
먼저, 사용자가 가열 용기(120)에 소정의 물을 저수하고 내조(122)를 가열 용기(120)내에 내설한 후 내조(122)에 약재를 넣어 가열 용기(120)를 본체(110)에 안착시킨다. 가열 용기(120)가 본체(110)에 안착되면 센서(170)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센서(17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값으로 모터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한다. 모터 구동부(미도시)가 작동됨에 따라 모터(162)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기어(164)가 역방향(또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 기어(164)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166)이 회전한다. 피니언(166)이 회전함에 따라, 피니언(166)에 맞물려 있는 랙(168)이 피니언(166)의 회전 운동에 의해 아래로 움직이면서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증기 응결기(130)가 내려와 가열 용기(120)와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증기 응결기(130)의 하측 케이스(134)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136)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랙(168)이 피니언(166)의 회전 운동에 의해 아래로 밀려나게 되면서 증기 응결기 (130)가 냉각핀(140)에 가이드되어 내려와 연결관(136)이 증기 유출관(124a)에 끼워져 결과적으로 증기 웅결기(130)와 가열 용기(120)가 결합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 용기(120)와 증기 응결기(130)가 결합된 후 가열 용기(120)를 소정시간 동안 가열함에 따라 가열 용기(120)로부터 증기가 발생하게 되면, 이 증기는 가열 용기(120)의 뚜껑(124)과 결합된 연결관(136)을 통해서 증기 응결기(130)내로 유입되어 포집되며, 냉각팬(150)이 증기 응결기(130)를 둘러싸고 있는 냉각핀(140)에 찬 공기를 강제 송풍하여 냉각핀(140)으로부터 열을 빼앗게 되는 바, 증기 웅결기(130)내에 포집된 증기는 신속히 액화되어 가열 용기(120)내로 환수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약이 다 달여지게 되면 타이머(미도시)가 작동하여 기설정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모터 구동부(미도시)가 작동되어 구동 기어(164)가 정방향(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기어(164)가 회전됨에 따라 피니언(166)이 회전되고, 피니언(166)에 맞물려 있는 랙(168)이 피니언(166)의 회전 운동에 의해 위로 움직이면서 증기 응결기(130)가 위로 올라가 가열 용기(120)가 분리된다. 다시 말해서, 증기 응결기(130)의 하측 케이스(134)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136)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랙(168)이 피니언(166)의 회전 운동에 의해 위로 밀려나게 되면서 증기 응결기(130)가 냉각핀(140)에 가이드되어 올라가 결과적으로 증기 응결기(130)와 가열 용기(120)가 분리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연결 수단을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와 그 구성 및 동작이 유사하므로 도면의 부호를 동일화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연결 수단(160)은 센서(170) 또는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62), 모터(16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164), 구동 기어(164)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166) 및 연결관(136)과 증기 유출관에 끼움 설치되고, 그 외주연에는 피니언(166)과 맞물려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랙(168)이 형성되어 있으며, 랙(168)에 의해 위 아래로 움직이면서 가열 용기(120)의 뚜껑(124)에 형성되어있는 증기 유출관(124a)과 증기 응결기(130)의 연결관(136)을 결합 또는 분리하는 연결통(167)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169는 모터(162)를 지지하며 보호하기 위한 보호함을 나타낸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연결통(167)은 연결관(136)과 증기 유출관(124a)을 결합했을 때 연결통(167)과 연결관(136) 또는 연결통(167)과 증기 유출관(124a)의접촉면을 밀폐하여 새어나가는 증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내열성이 강한 연질의 고무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열 용기(120)가 본체(110)에 안착되면 센서(170)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 (미도시)는 센서(17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값으로 모터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한다. 모터 구동부(미도시)가 작동됨에 따라 모터(162)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 기어 (164)가 역방향(또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 기어(164)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 (166)이 회전한다. 피니언(166)이 회전함에 따라, 연결관(136) 상단부로 올라가 있던 연결통(167)이 랙(168)에 의해 아래로 움직이면서 내려와 증기 유출관(124a)에끼워져 결과적으로 증기 응결기(130)와 가열 용기(120)가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 용기(120)와 증기 응결기(130)가 결합된 후 가열 용기(120)를 소정시간 동안 가열함에 따라 가열 용기(120)로부터 증기가 발생하게 되면, 이 증기는 가열 용기(120)의 뚜껑과 결합된 연결관(136)을 통해서 증기 응결기 (130)내로 유입되어 포집되며, 냉각팬(150)이 증기 응결기(130)를 둘러싸고 있는 냉각핀(140)에 찬 공기를 강제 송풍하여 냉각핀(140)으로부터 열을 빼앗기게 되는바, 증기 응결기(130)내에 포집된 증기는 신속히 액화되어 가열 용기(120)내로 환수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약이 다 달여지게 되면 타이머(미도시)가 작동하여 기설정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모터 구동부(미도시)가 작동되어 구동 기어(164)가 정방향(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기어(164)가 회전됨에 따라 피니언(166)이 회전되고, 피니언(166)에 맞물려 있는 랙(168)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통(167)이 위로 움직이면서 연결통(167)이 증기 유출관(124a)에서 분리되어 결과적으로 증기 응결기(130)와 가열 용기(120)가 분리된다.
본 발명의 가정용 중탕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년 발명의 가정용 중탕기에 따르면, 증기 응결기를 신속하게 냉각시킴으로써 증기 응결기 내의 증기가 보다 빠르게 응결되어 가열용기 내로 환수되어 약재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재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의 외부 유출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약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재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의 외부 유출을 최대한 방지함으로써 약냄새가 실내에 풍기게 되는 것을 막아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불쾌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증기 응결기와 가열 용기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자가 중탕기를 사용함에 있어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한약재가 담긴 내조가 안착되며, 그 상단부에는 증기가 유출되는 증기 유출관을 구비하는 뚜껑을 갖고, 그 내부에는 소정의 물이 저수되는 가열 용기;
    상기 가열 용기의 직방상에 상기 가열 용기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그 하단부에 상기 증기 유출관과 결합되는 연결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열 용기의 가열시 상기 가열 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응결기;
    상기 증기 응결기를 냉각시키고자 상기 증기 응결기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냉각핀 부재; 및
    전자동으로 상기 증기 유출관과 상기 연결관을 밀폐시킨 상태로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키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가정용 중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연결관의 외주연에 고정 설치되는 랙 부재;
    상기 랙 부재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부재; 및
    상기 피니언 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중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증기 유출관 및 상기 연결관의 외주연에 끼움 설치되어 상하 이동되는원통형의 랙 부재;
    상기 랙 부재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부재; 및
    상기 피니언 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중탕기.
KR1019980012094A 1998-04-06 1998-04-06 가정용 중탕기 KR100339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094A KR100339838B1 (ko) 1998-04-06 1998-04-06 가정용 중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094A KR100339838B1 (ko) 1998-04-06 1998-04-06 가정용 중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64A KR19990079464A (ko) 1999-11-05
KR100339838B1 true KR100339838B1 (ko) 2002-11-27

Family

ID=3748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094A KR100339838B1 (ko) 1998-04-06 1998-04-06 가정용 중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8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816B1 (ko) * 2011-12-06 2014-01-02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이중 구조의 다용도 조리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64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760B2 (en) Electric appliance for heating and/or cooking food with steam
AU722227B2 (en) Double boiler for domestic use
KR20000052672A (ko) 요리증기 응축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식 요리기구
KR100339838B1 (ko) 가정용 중탕기
JPS59209318A (ja) コ−ヒ−沸し器
US6406597B1 (en) Water distilling device
JPH0870995A (ja) 蒸留水製造ポット
KR100355528B1 (ko) 가정용중탕기
GB2419806B (en) Electric beverage maker
KR19990079461A (ko) 가정용 중탕기
KR100260783B1 (ko) 가정용 중탕기
CN211270082U (zh) 一种净饮机
CN220423682U (zh) 一种暖手保温杯
JPH041854Y2 (ko)
KR200256456Y1 (ko) 한약재 추출기
KR100339840B1 (ko)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KR200242434Y1 (ko) 다목적 가열식 초음파 약탕기
KR100260778B1 (ko) 가정용 중탕기
JP3107066B2 (ja) 真空二重容器を持った電気貯湯容器
KR100339841B1 (ko) 가정용 중탕기의 가열용기 올림장치
KR100260782B1 (ko) 코일 스프링형 증기 응결기를 갖는 가정용 중탕기
CN212089082U (zh) 一种溶液杯
CN2536573Y (zh) 一种小型家用蒸馏水机
KR100339842B1 (ko) 가정용 중탕기
CN110811328A (zh) 一种净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