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840B1 -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 Google Patents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840B1
KR100339840B1 KR1019980012100A KR19980012100A KR100339840B1 KR 100339840 B1 KR100339840 B1 KR 100339840B1 KR 1019980012100 A KR1019980012100 A KR 1019980012100A KR 19980012100 A KR19980012100 A KR 19980012100A KR 100339840 B1 KR100339840 B1 KR 100339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ndenser
rotating plate
heating
water heater
heat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9470A (ko
Inventor
김용진
정찬영
유경상
Original Assignee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1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8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7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증기 응결기의 하단부를 냉각용기내에 나사 결합하여 안착시킨 상태에서 가열용기를 증기 응결기와 연결/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증기 응결기 상에 고정된 회전판을 전자동으로 회전시켜 증기 응결기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용기를 증기 응결기에 용이하게 장착/탈거할 수 있는 사용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약재를 달이는 가정용 중탕기에 있어서, 상기 약재를 담은 여과기가 안착되며, 그 내부에 소정의 물이 저수되는 가열용기; 상기 가열용기의 상측에 지지대로 지지 설치되며, 내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냉각핀이 형성된 냉각용기; 상기 냉각용기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가열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하여 응결시키는 증기 응결기; 및 상기 증기 응결기를 직상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증기 응결기의 연결부를 상기 가열용기의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탈거하는 증기 응결기 상하 이동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본 발명은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 응결기의 하단부를 냉각용기내에 나사 결합시켜 안착시킨 상태에서 가열용기를 증기 응결기와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증기 웅결기 상측에 고정된 회전판을 전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증기 응결기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열용기를 증기 응결기에 용이하게 장착/탈거할 수 있는 사용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같이, 가정용 중탕기는 여러 종류의 한약재 또는 차를 일정한 탕기에 넣은 상태에서 공급된 전원을 열원으로하여 상기 한약재 및 차를 소정 시간동안 물과 함께 끓여서 달이는 기구로서 일반 가정에서 별다른 수고 없이 필요할 때 마다 적량의 한약재 및 차를 신속하게 달여 복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의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는 도 1 은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10)는 내부에 히터 등의 각종 전기부품(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된 본체(12)와, 본체(12)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유리로 구성된 손잡이(16)를 갖는 가열용기(14)와, 가열용기(14)의 내측에 안착되며 내부에는 각종 한약재가 담겨지는 여과기(18)와, 가열용기(14)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액화시켜 가열용기(14)로 환수(還收)시키도록 가열용기(14)의 상측에 마련되는 증기 응결기(19)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는 증기 응결기를 냉각시키는 별도의 냉각장치가 없는 구조이므로, 증기 응결기내에 유입된 수증기, 즉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증기가 신속하게 응결되어 가열용기내로 환수되지 못하고 증기 응결기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약효능이 저하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증기가 가열용기내로 환수되지 못하고 실내로 퍼지게 되는 경우 약재냄새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피해를 줄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약재를 달이는 과정에서 가열용기 상측에 증기 응결기를 장착/분리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증기 응결기를 안착시키거나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손에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증기 응결기의 하단부를 냉각용기내에 나사 결합하여 안착시킨 상태에서 가열용기를 증기 응결기와 연결/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증기 응결기 상측에 고정된 회전판을 전자동으로 회전시켜 증기 응결기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열용기를 증기응결기에 용이하게 장착/탈거할 수 있는 사용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약재를 달이는 가정용 중탕기에 있어서, 상기 약재를 담은 여과기가 안착되며, 그 내부에 소정의 물이 저수되는 가열용기; 상기 가열용기의 상측에 지지대로 지지 설치되며, 내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냉각핀이 형성된 냉각용기; 상기 냉각용기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가열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하여 응결시키는 증기 응결기; 및 상기 증기 응결기를 직상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증기 응결기의 연결부를 상기 가열용기의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탈거하는 증기 응결기 상하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증기 응결기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중심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증기 응결기의 최상측 외주연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판의 결합홈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 이동됨에 따라 상기 증기 응결기를 상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봉;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판을 연결하는 벨트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것으로, 증기 응결기의 상하 이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것으로,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중탕기 110 : 본체
112 : 지지대 114 : 프레임
116 : 작동버튼 120 : 여과기
130 : 가열용기 136 : 연결부
140 : 증기 응결기 140a : 상측 케이스
140b : 하측 케이스 142 : 나사부
144 : 이동봉 144a : 나사부
146 : 연결부 150 : 냉각용기
152 : 나사부 154 : 냉각핀
156 : 송풍팬 160 : 회전판
162 : 결합홀 164 : 볼베어링
170 : 구동모터 172 : 회전축
180 : 벨트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것으로, 증기 응결기의 상하 이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를 도시한 것으로,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가정용 중탕기(100)는 약재를 담은 여과기(120)와, 여과기(120)가 안착되는 가열용기(130)와, 가열용기(130)의 가열시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응결기(140)와, 증기 응결기(140)를 지지하는 냉각용기(150)와, 증기 응결기(140)를 가열용기(130)에 장착/탈거할수 있도록 상기 증기 응결기(140)를 상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전술한 가열용기(130)에 소정의 물을 담은 상태에서 여과기(120)를 안착시킨후, 여과기(120) 내부에 약재 및 차를 담고 여과기(120)가 담긴 가열용기(130)를 소정시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과기(120)는 약재를 걸러내는 역할을 하며, 가열용기(130)의 재질은 통상 유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할로겐 히터(110a)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는 내열성을 가진 재질이면 충분하다.
본체(110)의 상측면에는 할로겐 히터(110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할로겐히터(110a)상에 가열용기(130)를 올려 놓고 사용한다. 본체(110)의 양측에는 지지대(112)가 직립되어 있으며, 지지대(112)에 의해서 냉각용기(150)가 상방으로 지지되어 있다.
냉각용기(150)는 가열용기(130)의 직상방에 위치되어 있는 바, 냉각용기(150)의 내주연에는 나사부(152)가 형성되어 있고, 냉각용기(150)의 외주연에는 냉각핀(154)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냉각핀(154)과 근접하는 위치에는 냉각핀(154)에 찬바람을 송풍하여 냉각을 돕는 송풍팬(156)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용기(150)의 내부에는 증기 응결기(140)가 나사결합된 상태로 안착되어 있으며, 증기 응결기(140)의 나사부(142)와 냉각용기(150)의 나사부(152)가 상호 이맞물림되어 조여지거나 풀림에 따라 증기 응결기(14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증기 응결기(140)는 상하측 케이스(140a)(140b)로 나뉘어져 있고, 상호 형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리할 수도 있다. 증기 응결기(140)의 상측 케이스(140a)의 최상측 외주연에는 이동봉(144)이 직립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봉(144)의 외주연에는 나사부(144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동봉(144)은 상측 케이스(140a)에 착탈되게 구성함으로써 상측 케이스(140a)를 분리하는 경우에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지지대(112)의 상측에는 프레임(114)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114)의 상부 중간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봉(144)의 상측 끝단이 삽입되는 위치에는 회전판(160)이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판(160)의 중심에는 이동봉(144)이 삽입되는 결합홀(162)이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114)상에 회전판(160)이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판(160)의 중심에 형성된 결합홀(162)내에는 이동봉(144)의 상측 끝단이 삽입되어 있다. 회전판(160)의 상하측에는 각각 볼베어링(164)이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판(16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전술한 이동봉(144)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이동봉(144)은 그 일단이 증기 응결기(140)의 상측 케이스(140a) 최상측 외주연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타단이 회전판(160)의 결합홀(16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114) 내측에 설치된 회전판(160)이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판(160)의 결합홀(162)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봉(144)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동봉(144)이 상하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이동봉(144)에 고정되어 있는 증기 응결기(140)도 상하방으로 이동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증기 응결기(140)가 상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증기 응결기(140)의 연결부(146)가 가열용기(130)의 연결부(136)에 이격되거나 연결되는 것이다.
즉, 가열용기(130)를 본체(110)상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작동버튼(116)을 돌려서 구동모터(170)를 구동시키면 구동모터(170)의 회전축(172)에 연결되어 있는 벨트(180)가 회전판(160)을 정회전시키며, 이때 이동봉(144)이 회전판(160)의 결합홀(162)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증기 응결기(140)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즉, 증기 응결기(140)의 연결부(146)가 상방으로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증기 응결기(140)의 연결부(146)가 상방으로 올려진 상태에서, 가열용기(130)를 본체(110)의 소정위치에 안착시키고, 작동버튼(112)을 반대로 돌려서 구동모터(170)의 회전축을 역회전시키면 회전판(160)이 역회전되어 증기 응결기(140)가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증기 응결기(140)의 연결부(146)와 가열용기(130)의 연결부(136)가 상호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증기 응결기(140)의 연결부(146)와 가열용기(130)의 연결부(136)를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 히터(110a)를 가동하여 가열용기(130)의 약재를 달이면 된다.
한편, 약재를 다 달인 후에 가열용기(130)를 본체(110)에서 들어 내기 위해서는 작동버튼(116)을 돌리면 구동모터(170)의 회전축(172)이 정회전하며, 회전축(172)의 회전력은 벨트(180)에 의해 회전판(160)을 정회전시킴에 따라 이동봉(144)이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어 증기 응결기(140)가 상방으로 이동되게 구성된다.
이때 증기 응결기(140)의 연결부(146)가 가열용기(130)의 연결부(136)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증기 응결기(140)의 연결부(146)와 상기 가열용기(130)의 연결부(136)가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연결부(136)(146)의 접촉면에는 증기 및 응결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내열성의 밀봉부재(146a)(도 6에 도시)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레임(114)의 측면에는 구동모터(170)가 설치되어 있는 바, 구동모터(170)의 회전축(172)은 벨트(180)에 의해 회전판(160)에 연결되어 있다.여기에서 구동모터(170)는 본체(110) 외측에 설치된 작동 버튼(116)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가열용기(130)가 본체(110)에 안착되는 것을 위치센서(도시하지 않음)가 감지하여, 위치센서의 감지결과에 의해서 구동모터(170)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동모터(170)의 회전력은 벨트(180)에 의해서 회전판(160)에 전달되며, 회전판(160)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판(160)의 결합홀(162)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봉(144)이 상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판(160)은 프레임(114) 상부 중간에 위치됨과 동시에 이동봉(144)의 직상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판(160)의 상하측에는 볼베어링(16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판(160)이 원활하게 제자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냉각핀(154)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송풍팬(15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팬(156)은 냉각핀(154)의 방열을 돕는 역할을 한다. 즉, 열전달의 경로를 살펴보면 우선, 증기로 인하여 가열된 증기 웅결기(140)는 냉각용기(150)에 열을 전달하고, 다시 냉각용기(150)는 냉각핀(154)을 통해 대기중으로 열을 방열하며, 냉각핀(154)의 방열은 송풍팬(156)에 의해서 더욱 가속화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중탕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가열용기(130) 내부에 소정의 물을 부은 후, 가열용기(130)내에 소정의 물이 차면 여과기(120)를 안착시킨다.
그 다음, 여과기(120)에 약재를 채운 상태에서 본체(110)의 상측에 안착된 가열용기(130)내에 여과기(120)를 안착시킨다. 가열용기(130)가 본체(110)상에 장착되면, 작동버튼(116)을 돌려서 할로겐 히터(110a)를 가동한다.
가열이 진행되어 물이 끊게 되면 가열용기(130)로부터 발생하는 증기가 증기응결기(140)내로 서서히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송풍팬(156)이 작동되어 냉각핀(154)에 찬바람이 송풍된다. 그에 따라 증기 응결기(140)내에 포집되어 있는 증기가 신속하게 응결수로 변환되어 연결부(136)(146)를 타고 가열용기(130) 내부로 회수되는 것이다.
한편, 가열용기(130)를 증기 응결기(140)에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작동버튼(116)을 소정방향으로 돌리면 구동모터(17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축(172)이 정회전을 하게 된다.
구동모터(170)의 회전축(172)이 정회전됨에 따라 벨트(180)가 회전판(160)을 정회전시키게 된다. 회전판(160)은 벨트(180)에 의해서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회전판(160)의 결합홀(162)에 개재되어 있는 이동봉(144)이 회전되면서 상방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하면, 이동봉(144)이 회전됨에 따라 이동봉(144)에 연결되어 있는 증기 응결기(140)도 함께 회전을 하면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냉각용기(150)의 나사부(152)에 이맞물림되어 있는 증기 응결기(140)의 나사부(146)가 서서히 풀림에 따라 증기 응결기(14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본체(110) 상측에 가열용기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것이다.
가열용기(130)를 본체(110)의 소정 위치에 올려 놓은 후, 이번에는 작동버튼(116)을 반대로 돌리면 이번에는 구동모터(170)의 회전축(172)이 반대로 회전되며, 벨트(180)에 의해서 회전판(160)도 역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증기 응결기(140)도 역회전을 하면서 하강하게 되며, 이때 증기응결기(140)의 연결부(146)와 가열용기(130)의 연결부(136)가 상호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연결부(136)(146)는 상호 나사 결합되어 견고하게 연결되며, 연결부(136)(146)의 선단에는 내열성의 밀봉부재(146a)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증기 응결기를 신속하게 냉각시킴으로써 약재를 포함하고 있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약재성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여 약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약재를 달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실내로 퍼지게 되어 냄새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피해를 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열용기에 증기 응결기를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작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약재를 달인 후, 가열용기로부터 증기 응결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손의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약재를 달이는 가정용 중탕기에 있어서,
    상기 약재를 담은 여과기가 안착되며, 그 내부에 소정의 물이 저수되는 가열용기;
    상기 가열용기의 상측에 지지대로 지지 설치되며, 내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냉각핀이 형성된 냉각용기;
    상기 냉각용기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가열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증기를 포집하여 응결시키는 증기 응결기; 및
    상기 증기 응결기를 직상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증기 응결기의 연결부를 상기 가열용기의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탈거하는 증기 응결기 상하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응결기의 연결부와 상기 가열용기의 연결부가 상호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증기 응결기 상하 이동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 제자리 회전되게 설치되며, 중심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증기 응결기의 최상측 외주연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판 의 결합홈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 이동됨에 따라 상기 증기 응결기를 상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봉;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상기회전판을 연결하는 벨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판의 상하 측에는 각각 볼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KR1019980012100A 1998-04-06 1998-04-06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KR10033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00A KR100339840B1 (ko) 1998-04-06 1998-04-06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2100A KR100339840B1 (ko) 1998-04-06 1998-04-06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70A KR19990079470A (ko) 1999-11-05
KR100339840B1 true KR100339840B1 (ko) 2002-11-29

Family

ID=3748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100A KR100339840B1 (ko) 1998-04-06 1998-04-06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307B1 (ko) * 2015-01-30 2016-10-13 울산과학기술원 지적장애인용 커피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470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963726E (pt) Processador electrico de alimentos para uso domestico
KR100339840B1 (ko) 탈착이 용이한 가정용 중탕기
KR910002940B1 (ko) 요리기구
US4658117A (en) Food warmer with removable electric heater
KR100339838B1 (ko) 가정용 중탕기
KR100355526B1 (ko) 증기응결기외측에냉각관이설치된가정용중탕기
CN213605679U (zh) 一种自动开关杯盖的杯子
KR100260783B1 (ko) 가정용 중탕기
KR100355527B1 (ko) 가정용중탕기
CN114391754B (zh) 一种便于使用的电水壶
JP3055011U (ja) 容器入り飲料の加温器
KR100283535B1 (ko) 가정용 중탕기
KR950007694Y1 (ko) 휴대용 가열 보온병
CN214856100U (zh) 一种用于加热饮料罐的加热器
KR200256456Y1 (ko) 한약재 추출기
KR100260782B1 (ko) 코일 스프링형 증기 응결기를 갖는 가정용 중탕기
KR100339841B1 (ko) 가정용 중탕기의 가열용기 올림장치
KR100355524B1 (ko) 가정용중탕기
CN214180144U (zh) 一种操作便捷的加热器
JP3527849B2 (ja) コーヒー缶等の小型加温器
KR100268553B1 (ko) 가정용 중탕기
KR100355528B1 (ko) 가정용중탕기
KR100339839B1 (ko) 열전소자의 냉각장치를 갖는 가정용 중탕기
KR100260778B1 (ko) 가정용 중탕기
KR19990079468A (ko) 중공의 냉각핀을 갖는 가정용 중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