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390Y1 - 중탕기 - Google Patents

중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390Y1
KR200462390Y1 KR2020100000208U KR20100000208U KR200462390Y1 KR 200462390 Y1 KR200462390 Y1 KR 200462390Y1 KR 2020100000208 U KR2020100000208 U KR 2020100000208U KR 20100000208 U KR20100000208 U KR 20100000208U KR 200462390 Y1 KR200462390 Y1 KR 200462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ntainer
container
inner container
fastening member
water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122U (ko
Inventor
신유현
Original Assignee
신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유현 filed Critical 신유현
Priority to KR2020100000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39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1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1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3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36Ovens heated directly by hot flu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4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liquid-heating tubes extending outside the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6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용성이 향상된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 용매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에 수납되며, 가열하고자 하는 물질이 담기는 내부 용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탈착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한 결합 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에 수납될 때, 상기 내부 용기의 외부 측면 및 외부 바닥면이 각각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 측면 및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해서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내부 용기의 측면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개구 단부까지 수평하게 연장하여 그 단부가 상기 개구 단부와 접촉하는 수평부(31)와, 이 수평부(31)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만곡되어, 하부로 연장하는 연장부(32)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고정용 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고안에 의하면,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와 내부에 수납될 때, 상기 체결 부재의 수평부에 의해, 상기 내부 용기의 외부 측면 및 외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 측면 및 내부 바닥면의 거리를 항상 소정 거리로 이격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간의 거리를 조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중탕기{KETTLE FOR BATHING}
본 발명은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탕으로 가열하고자 하는 물질이 수용되는 내부 용기가 용매가 수용되는 외부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구성된 중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탕(bath)이라 함은, 가열하고자 하는 물질이 담긴 용기(내부 용기)를 직접 가열하지 않고, 물이나 기름과 같은 용매가 담긴 용기(외부 용기)에 넣어 간접적으로 열을 가하여 데우거나 끓이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중탕은 실험실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요리를 할 때에도 자주 사용하는 방법으로, 초콜릿을 녹이거나 계란찜을 만들 때, 또는 팩에 들어 있는 음식이나 한약 등을 가열할 때에도 이용한다. 또한, 최근에는, 천연 화장품 등을 소비자가 직접 만드는 경향이 유행하고 있음에 따라, 화장품용의 천연 재료를 중탕을 이용하여 가열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중탕을 행하는 중탕기는, 통상 다양한 전자적, 기계적 기능을 포함하는 고가의 제품으로, 소비자가 간편한 사용을 위해 구입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큰 단점이 있었다. 즉, 불필요한 기능이 다수 포함됨에 따라, 그 단가가 상승하며, 중탕 수행을 위한 조작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에 내부 용기를 탈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내부 용기의 외부 측면 및 바닥면과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 측면 및 바닥면의 이격을 용이하게 설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 용기 내의 용매가 기화하면서, 상기 내부 용기 내로 유입되어, 내부 용기 내의 물질과 혼합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혼합이 발생할 경우, 중탕되는 내부 용기의 물질이 변형되거나, 중탕이 용이하게 행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중탕 후에, 외부 용기 내의 용매를 완벽하게 외부로 배출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중탕기 이외의 용도로, 상기 내부 용기 및/또는 외부 용기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구조가 단순화되고 더불어,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의 탈착이 용이하고, 외부 용기 내의 물질과 내부 용기 내의 물질이 혼합되지 않으며, 외부 용기 내의 잔류 용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내부 용기 및 외부 용기를 각자의 독립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중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용매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에 수납되며, 가열하고자 하는 물질이 담기는 내부 용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는 탈착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해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 부재에 의한 결합 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에 수납될 때, 상기 내부 용기의 외부 측면 및 외부 바닥면이 각각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 측면 및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해서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내부 용기의 측면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개구 단부까지 수평하게 연장하여 그 단부가 상기 개구 단부와 접촉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만곡되어, 하부로 연장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고정용 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고안에 의하면,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와 내부에 수납될 때, 상기 체결 부재의 수평부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내부 용기의 외부 측면 및 외부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 측면 및 내부 바닥면의 거리를 항상 설정된 소정 거리로 이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수납될 때, 상기 수평부 및 연장부의 접합부가 상기 개구 단부에 끼워지는 안착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고안에 의하면, 상기 외부 용기에 대한 내부 용기의 수납이, 위치를 맞추는 조작 없이 단순하게 수행된다.
또한, 내부 용기를 들어 올리거나 집어넣는 단순한 조작으로,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를 결합 및 결합 해제 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용기들을, 예를 들면 주전자 또는 컵 등으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수납될 때, 상기 외부 용기의 개구 단부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출부는, 바닥면에 대해서 제2각도 θ2를 갖고, 상기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의 측면은 바닥면에 대해서 제1각도 θ1를 가지며, 상기 θ1>θ2의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고안에 의하면, 상기 외부 용기 내의 기화된 용매가 내부 용기의 개구까지 상승하지 않고, 상기 노출부를 따라, 외부 용기 주변으로 비산하게 됨에 따라, 내부 용기의 중탕되는 물질과 혼합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중탕기에 의하면, 소비자가 비용 부담 없이 단순화된 구조의 중탕기를 이용하여, 외부 물질과의 혼합 없이 내부 용기 내의 물질을 중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외부 용기 내에 내부 용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에 따른 중탕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내부 용기의 노출부가 외부 용기 밖으로 소정 높이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상기 중탕기의 측면도,
도 3은 상기 중탕기의 평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탕기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중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탕기는, 물 또는 기름 등의 용매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10)와 상기 외부 용기(10)에 수납되며, 중탕으로 가열하고자 하는 물질이 담기는 내부 용기(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10,20)는 철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독립적으로, 상기 외부 용기(10)는 주전자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내부 용기는 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10)와 상기 내부 용기(20)는 상기 외부 용기(10)로부터 탈착 가능한 체결 부재(30)에 의해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 되도록 구성되며, 결합시, 상기 내부 용기(20)의 외부 측면(21) 및 외부 바닥면(22)이 각각 상기 외부 용기(10)의 내부 측면(11) 및 내부 바닥면(12)으로부터 소정 거리(d1, d2)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바닥면(12)은 도시 생략된 가열장치에 의해 하부로부터 가열되는 가열면이 된다. 또한, 거리(d1, d2)로 이격되는 점선으로 나타낸 내부 용기(20)의 외부 측면(21) 및 외부 바닥면(22)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외부 용기(10)의 내부 측면(11) 및 내부 바닥면(12)은, 바람직하게는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사이의 공간부에는 용매가 수용된다. 한편, 상기 소정 거리(d1, d2)는, 상기 공간부 내에 수용되는 용매의 끓는 점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즉, 끓는 점이 낮으면 거리를 짧게, 끓는 점이 높으면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용기(10)의 상부 단부(13: 개구 단부) 근방의 외부 표면(11)에는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주둥이 형상의 도관인 용매투입구(14)가 형성되며, 상기 용매투입구(14)를 통해서 용기 내부로 용매를 투입하도록 된다. 도면에는 상기 용매투입구가 주둥이 형상의 도관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단부(13)의 소정 위치가 소정의 물받침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각형 또는 반원 형상으로 주변부와 경사를 이루며 외부로 돌출시켜서 물받침부를 형성하여, 이 물받침부를 용매 투입구(14)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10)는, 용기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5)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10)의 하부 측면에는, 용기 내의 잔류 용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6)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6)는 외부 용기(10)의 내부 바닥면(12)과 가능한 일직선 상에 형성되어, 외부 용기(10)가 바닥면에 대해서 수평 상태일 때, 용기(10) 내의 용매가 완전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배출구(16) 상에는 통상의 밸브 등으로 구현되는 개폐 수단(17)이 설치되어, 외부 용기(10) 내의 물질의 유출을 제어하도록 된다. 상기 배출구(16)는, 중탕기를 파지하여 기울이기 어려울 정도의 중량으로 제조될 때, 필수적이다. 또한, 도 3의 평면도를 참조하면 명백히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6)는, 상부에서 볼 때 보이지 않도록 되는 거리 d3로 상기 외부 용기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중탕기의 외관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10)의 상단(13) 및 내부 용기(20)의 상단(26)에는 주변부와 경사를 이루며 외부로 돌출된 첨단부(17,27)가 형성된다. 상기 첨단부는, 용기(10,20)를 기울여서 내부 수용물을 배출하려 할 때, 액체의 배출물이 최초 낙하하는 기준점이 되도록 한다.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에 수납될 때, 상기 첨단부(17,27)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어 동일 방향을 향해 돌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상기 내부 용기의 첨단부(27)와 상기 외부 용기의 첨단부(17)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내부 용기(20)의 상부 측면(21)에서 상기 외부 용기(10)의 개구 단부(13)까지 수평하게 연장하여 그 단부가 상기 개구 단부와 접촉하는 수평부(31)와, 이 수평부(31)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대략 수직하게 만곡되어, 소정 길이 하부로 연장하는 연장부(32)로 이루어지는 고정용 브래킷으로 구현되며, 상기 수평부(31) 및 연장부(32)의 접합부가 상기 개구 단부(13)에 끼워지는 안착면이 된다. 도 2에 있어서는,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에 수납될 때, 상기 안착면이 외부 용기의 개구 단부(13)에 끼워진 상태가 도시된다.
도 2에 있어서는 상기 수평부와 연장부가 대략 직각으로 결합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내부 용기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들 때,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되고 있다. 하지만, 일례로서, 상기 연장부(32)를 상기 수직 상태보다 용기 쪽으로 더 만곡되도록 형성시켜서, 상기 내부 용기를 상부로 들 때, 내부 용기가 외부 용기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외부 용기에 대한 내부 용기의 수납은, 브래킷이 철 등의 탄성 재질임에 따라, 외부 용기를 고정한 상태에서, 소정의 가압력을 상부로부터 내부 용기에 가함으로써, 상기 연장부(32)가 수평방향으로 신축하면서 개구 단부(13)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용기(20)의 상부 측면(21)으로부터 연장된 수평부(31)의 길이를 조정함에 따라 상기 거리 d1는 비례하여 증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부(31)가 설치되는 상기 상부 측면(21) 상의 상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상기 거리 d2가 증감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따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채결 부재(30)가 3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수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상기 체결 부재(30)가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개구 단부(13)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내부 용기(20)의 외부 측면(21) 및 외부 바닥면(22)이 각각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 측면(11) 및 내부 바닥면(12)으로부터 소정 거리(d1, d2)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수납되는 한편,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내부 용기(20)의 상부가 상기 외부 용기(10)의 개구 단부(13) 밖으로 노출되어 노출부(25)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외부 용기(10) 및 내부 용기(20)는 측면(11,21)이 바닥면에 대해서 소정의 제1각도 θ1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30)의 수평부(31)가 설치된 상기 내부 용기(20)의 지점부터 그 상단(26)까지의 측면 부분이 바닥면에 대해서 소정의 제2각도 θ2로 경사를 갖게 함으로써, 상기 노출부(25)가 구현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1>θ2의 관계가 되도록 상기 각도가 형성된다. 한편, 내부 용기 및 외부 용기의 제1각도는 상호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상기 노출부(25)가 상기 외부 용기의 상단부(13)으로부터 소정 높이(h)까지 연장되며, 바닥면에 대해서 소정의 제2각도 θ2로 경사진 상태가 도시된다. 또한, 도 2에 따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노출부(25)가 아치형으로 경사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직선 형상으로 노출부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출부(25)가 아치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2각도 θ2의 크기는 상부로 진행함에 따라 더 작아지게 된다. 한편, 직선 형상으로 노출부(25)가 형성되면, 기화된 매질의 배출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아치 형상으로 노출부가 형성되면, 기화된 매질이 내부 용기의 개구로 유입될 확률을 더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용기 및 내부 용기의 표면(21,11) 사이의 공간은 기화된 용매가 상기 경사진 표면을 따라 진행하는 안내로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내부 용기의 노출부(25) 표면은, 상기 외부 용기(10) 내의 용매가 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기화된 용매가 노출부(25)의 경사진 표면을 따라 외부 방향(수평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내부에 위치된 내부 용기의 개구 내로 유입될 확률을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 부재(30)는, 고정 부재(40)에 의해 상기 외부 용기에 견고히 고정됨에 따라,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에 견고하게 수납되어, 항상 상기 거리를 유지하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40)는 상기 체결 부재(30)의 연장부(32) 선단에 한쪽 단부가 구비되고, 다른쪽 단부는 외부로 만곡되어 고리를 형성하도록 된 고리부(41)와, 상하운동하면서 선회하여, 상기 고리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링크(42)와, 선회운동하면서 상기 링크를 상하 운동시키는 누름 부재(43) 및, 이 누름 부재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용 브래킷(4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브래킷(44)의 상부 단부 근방에 상기 누름 부재(43)의 상단이 선회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단을 지점으로 해서 누름 부재(43)가 선회 가능하게 되며, 상기 누름 부재(43)의 중간 근방에 상기 링크(42)의 하단이 선회 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그 하단을 지점으로 해서 링크(42)가 선회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용기의 고정은, 상기 누름 부재(43)를 상기 상단을 지점으로 해서 상방향으로 선회시킨 후, 상기 링크(41)의 다른 쪽 단부를 상방향으로 선회시켜서, 그 상단이 상기 고리(41) 위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어서 상기 누름 부재(43)를 상기 상단을 지점으로 해서 하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상기 링크(41)의 다른 쪽 단부가 상기 고리(41)에 끼워짐에 따라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 용기는 외부 용기 내부에 수납되어 고정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했지만, 이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일례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또한 그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내부 용기, 20 - 외부 용기,
30 - 체결 부재, 40 - 고정 부재,
25 - 노출부.

Claims (9)

  1. 용매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에 수납되며, 가열하고자 하는 물질이 담기는 내부 용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탈착 가능한 체결 부재(30)에 의해 상호 결합 및 결합 해제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 부재(30)에 의한 결합 동작에 따라,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에 수납될 때, 상기 내부 용기의 외부 측면 및 외부 바닥면이 각각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 측면 및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해서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30)는, 상기 내부 용기의 측면에서 상기 외부 용기의 개구 단부까지 수평하게 연장하여 그 단부가 상기 개구 단부와 접촉하는 수평부(31)와, 이 수평부(31)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만곡되어, 하부로 연장하는 연장부(32)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고정용 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가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수납될 때, 상기 수평부(31) 및 연장부(32)의 접합부가 상기 개구 단부(13)에 끼워지는 안착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외부 용기 내부에 수납될 때, 상기 외부 용기의 개구 단부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부(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25)는, 바닥면에 대해서 제2각도 θ2를 갖고, 상기 외부 용기(10) 및 내부 용기(20)의 측면(11,21)은 바닥면에 대해서 제1각도 θ1를 가지며, 상기 θ1>θ2의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체결 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40)를 더 구비하며,
    이 고정 부재(40)는, 상기 체결 부재(30)의 연장부(32) 선단에 한쪽 단부가 구비되고, 다른쪽 단부는 외부로 만곡되어 고리를 형성하도록 된 고리부(41)와, 상하운동하면서 선회하여, 상기 고리부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되는 링크(42)와, 선회운동하면서 상기 링크를 상하 운동시키는 누름 부재(43) 및, 이 누름 부재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외부 용기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용 브래킷(4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의 상부 측면(11)에는, 상기 외부 용기 내부로 용매를 투입하기 위한 용매투입구(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의 하부 측면(11)에는, 상기 외부 용기의 바닥면(12)에 잔류 용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6)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개폐 수단(17)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6)는, 상부에서 볼 때 보이지 않도록 되는 거리 d3로 상기 외부 용기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용기를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기.
KR2020100000208U 2010-01-11 2010-01-11 중탕기 KR200462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208U KR200462390Y1 (ko) 2010-01-11 2010-01-11 중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208U KR200462390Y1 (ko) 2010-01-11 2010-01-11 중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122U KR20110007122U (ko) 2011-07-19
KR200462390Y1 true KR200462390Y1 (ko) 2012-09-07

Family

ID=4559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208U KR200462390Y1 (ko) 2010-01-11 2010-01-11 중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3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882A (ko) * 2020-09-21 2022-03-29 권부호 중탕용 탕정기의 내솥장치
KR102572000B1 (ko) * 2022-08-19 2023-08-29 권부호 탕전기의 중탕용 내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035B1 (ko) * 2015-02-11 2016-02-11 주식회사 로이첸 스팀 중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831Y1 (ko) 2003-04-26 2003-07-12 김귀복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KR200385658Y1 (ko) 2005-03-12 2005-06-01 김영진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KR200385659Y1 (ko) 2005-03-12 2005-06-02 김영진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KR200389762Y1 (ko) 2005-04-27 2005-07-14 김영진 수증기 오븐의 온도쎈서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831Y1 (ko) 2003-04-26 2003-07-12 김귀복 중탕기용 이동식 열교환기
KR200385658Y1 (ko) 2005-03-12 2005-06-01 김영진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KR200385659Y1 (ko) 2005-03-12 2005-06-02 김영진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KR200389762Y1 (ko) 2005-04-27 2005-07-14 김영진 수증기 오븐의 온도쎈서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882A (ko) * 2020-09-21 2022-03-29 권부호 중탕용 탕정기의 내솥장치
KR102515665B1 (ko) * 2020-09-21 2023-03-29 권부호 중탕용 탕정기의 내솥장치
KR102572000B1 (ko) * 2022-08-19 2023-08-29 권부호 탕전기의 중탕용 내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122U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977B2 (ja) 閉鎖可能な注ぎ開口部を備えたティー・メーカー
JP6235039B2 (ja) 作業用容器の内容物を加熱する装置を備える家庭用食品準備器具
CN103006035B (zh) 烹饪器具
CN110870688B (zh) 自动调理机
KR20140108635A (ko) 교반기를 구비한 셰이커블 용기
KR200462390Y1 (ko) 중탕기
US20110061544A1 (en) Cooking vessel top to prevent boil over of liquids
US20140193560A1 (en) Overboil ring apparatus and cooking and heating system
CN204394274U (zh) 一种壶盖
US9468341B1 (en) Beverage mixing container
CN103654473A (zh) 包括可通过捏握来操纵的分配龙头的用于乳化或搅拌流体食用制备物的家用设备
GB2390013A (en) Seperable coffee maker
CN204862734U (zh) 罩子
US20050279218A1 (en) Coffee-maker
CN203323383U (zh) 液体加热器具和用于液体加热器具的组件
KR101458281B1 (ko) 건지개가 부설된 냄비
CN208524539U (zh) 电水壶
GB2554533B (en) A teapot
CN203953598U (zh) 洗碗机
CN103654471A (zh) 包括具有漏斗的盖的用于乳化或搅拌流体食用制备物的家用设备
CN103654472A (zh) 包括具有倾斜旋转轴线的工具的用于乳化或搅拌流体食用制备物的家用设备
CN108245014A (zh) 养生壶
CN219699633U (zh) 一种电热水壶
CN203400022U (zh) 锅盖组件
CN208943589U (zh) 滤杯及水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