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658Y1 -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658Y1
KR200385658Y1 KR20-2005-0006695U KR20050006695U KR200385658Y1 KR 200385658 Y1 KR200385658 Y1 KR 200385658Y1 KR 20050006695 U KR20050006695 U KR 20050006695U KR 200385658 Y1 KR200385658 Y1 KR 200385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oking
food
container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20-2005-0006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6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에서 음식물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압력밥솥, 압력중탕기, 압력남비 등 각종 압력조리용기(이하 '압력조리용기'라 통칭 함)의 뚜껑에 설치되어 조리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용기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압력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압력고정장치는 압력배출공과 이 압력배출공을 차단하는 중량추의 원추형 폐쇄부가 금속으로 형성됨으로서, 조리시 압력조리용기가 가열되기 시작하여 용기 내부에 대기압보다 조금이라도 높은 압력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부터 압력배출공과 폐쇄부의 사이로 소량의 압력이 배출되게 됨으로서, 미세 간극을 통해 고압의 압력이 배출되면서 생성되는 불쾌한 파열음이 조리가 끝날때까지 발생되어 조리사의 청각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 불안감을 조장하는 등 조리 환경을 나쁘게 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특히 압력조리용기 내부에 설정된 압력까지 압력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미세하게 지속적으로 압력이 방출 됨으로서 설정 압력까지의 도달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가열원의 낭비가 초래됨은 물론, 가열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음식물의 영양소 파괴가 촉발됨과 동시에 방출되는 수증기가 음식물 자체가 갖는 향미와 영양소를 함께 방출 시킴으로서 조리된 음식물의 맛과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압력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함에 있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할 때 까지 압력의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조리 시간을 최대로 단축 시켜 조리대상물의 영양소 파괴를 최대로 억제함과 동시에 가열원의 낭비를 최소화 하고, 음식물이 갖는 향미 및 영양소의 배출을 방지하여 맛 있고 질 좋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The system which fixes the pressure of the pressure vessel for a kitchen logic}
본 고안은 주방에서 음식물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압력밥솥, 압력중탕기, 압력남비 등 각종 압력조리용기(이하 '압력조리용기'라 통칭 함)의 뚜껑에 설치되어 조리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용기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압력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압력조리용기는 몸체와 뚜껑 사이를 밀폐되도록 하되 조리시 발생되는 수증기 압력을 사전에 계산에 의해 설정된 압력까지만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잉여 압력이나 이상 상승 압력에 대하여는 자동으로 용기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한 압력고정장치가 뚜껑에 설치 사용되고 있는 바, 이는 가열원의 동일 조건하에서 용기내부에 고압의 압력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서 음식물의 조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자체 향미와 영양소를 함유한 수증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여 맛 있고 질 좋은 음식물을 조리해 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의 압력고정장치는 압력배출공과 이 압력배출공을 차단하는 중량추의 원추형 폐쇄부가 금속으로 형성됨으로서, 조리시 압력조리용기가 가열되기 시작하여 용기 내부에 대기압보다 조금이라도 높은 압력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부터 압력배출공과 폐쇄부의 사이로 소량의 압력이 배출되게 됨으로서, 미세 간극을 통해 고압의 압력이 배출되면서 생성되는 불쾌한 파열음이 조리가 끝날때까지 발생되어 조리사의 청각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 불안감을 조장하는 등 조리 환경을 나쁘게 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특히 압력조리용기 내부에 설정된 압력까지 압력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미세하게 지속적으로 압력이 방출 됨으로서 설정 압력까지의 도달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가열원의 낭비가 초래됨은 물론, 가열 시간이 길어짐에 따른 음식물의 영양소 파괴가 촉발됨과 동시에 방출되는 수증기가 음식물 자체가 갖는 향미와 영양소를 함께 방출 시킴으로서 조리된 음식물의 맛과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346361호와 같은 '수증기 유출방지와 냄새 유출방지용 자동압력 중탕기의 압력고정장치'(이하 '선등록고안'이라 함)를 제안하여 등록받기에 이르렀으나, 이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배출공(43)의 선단에 단면 '┏┓'형의 패킹(P)이 얇은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되, 이를 접착제로 접착되도록 함으로서 접착제의 도포가 균일하지 않거나 결합 위치가 정교하지 않을 경우 중량추(30)의 원추형 폐쇄부(31)가 긴밀하게 접촉되지 못하여 수증기가 미세하게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패킹(P)의 자체 두께가 얇아 중량추(30)의 무게에 유연하게 완충 및 신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어 비록 금속으로만 형성되었던 종래의 것에 비하여 월등한 효율을 가지기는 하나 미세하게나마 수증기가 누출되는 현상이 간혹 발생되었으며, 특히 사용자가 인위적인 압력 배출이나 세척을 위해 중량추(30)를 분리 및 결합하는 과정에서 패킹(P)이 손괴되는 현상이 간혹 발생되는 문제점이 대두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등록고안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패킹의 고정을 별도의 프레싱 장치를 이용한 타격에 의해 정교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패킹의 선단에 완충신축부를 형성하여 줌으로서 중량추와 완벽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증기의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토록 한 것이다.
플랜지부(41)의 저부 나사부(42)가 압력조리용기(도시하지 않음)의 뚜껑(10)을 관통하여 통공(21)을 갖는 체결부재(20)로 체결되는 상부에 압력배출공(43)이 관통되는 헤드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안착부(44)가 형성되고, 안착부(44)에 완충신축부(51)를 갖는 패킹(50)이 삽입되어 링형의 누름부재(60)가 개재된 상단을 절곡돌출부(45)가 타격 절곡되어 고정되며, 패킹(50)의 상부에 원추형 폐쇄부(31)를 갖는 중량추(30)가 안착되어서 구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패킹(50)은 완충 및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이면 족할 것이나, 가열을 목적으로 하는 조리용기에 사용되는 점을 감안하여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부(42)가 압력조리용기의 뚜껑(10)을 관통하여 체결부재(20)로 나사체결 함으로서 헤드부(40)가 뚜껑(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용기내부(11) 측과 통공(21)을 통해 압력배출공(43)이 연통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헤드부(40)의 상단에 중량추(30)를 결합시키게 되면 중량추(30)의 원추형 폐쇄부(31)가 패킹(50)의 완충신축부(51)에 안착되어 압력배출공(43) 상단을 폐쇄케 됨으로서 용기내부(11)에 조리 대상 음식물을 수용하여 음식물을 가열 조리케 되는 것으로, 헤드부(40)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 제작시 절곡돌출부(45)가 직립된 상태로 제작되어 패킹(50) 및 누름부재(60)가 안착부(44)에 삽입된 다음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프레싱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타격하여 절곡시킴으로서 절곡돌출부(45)가 누름부재(60)를 균일하게 압박하여 패킹(50)을 정교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인 바, 사용시 패킹(50)에 안착된 중량추(30)는 그 무게에 의해 원추형 폐쇄부(31)가 완충신축부(51)를 원주 방향과 하방으로 압박하게 되고, 완충신축부(51)는 이에 대응하여 완충 및 신축 작용을 하여 상호 긴밀하게 접촉 됨으로서 압력배출공(43)을 완벽하게 폐쇄하게 되어 조리시 용기내부(11)의 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할 때 까지 완벽하게 압력의 누출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용기내부(11)의 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중량추(30)가 회전하면서 패킹(50)과 원추형 폐쇄부(31)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면서 회전하여 잉여 압력을 배출하게 됨은 통상의 압력고정장치의 작용과 동일함은 물론, 인위적으로 압력을 배출 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통상의 압력고정장치와 같이 중량추(30)를 살짝 들어올려서 원추형 폐쇄부(31)가 헤드부(40) 상단에 기울어지게 올려지도록 하거나 중량추(30)를 헤드부(40)로부터 완전히 분리 시켜 줌으로서 압력배출공(43)이 완전히 개방되도록 하여 압력을 일순간에 배출되도록 하는 작용과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압력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함에 있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할 때 까지 압력의 누출을 완벽하게 차단함으로서 조리 시간을 최대로 단축 시켜 조리대상물의 영양소 파괴를 최대로 억제함과 동시에 가열원의 낭비를 최소화 하고, 음식물이 갖는 향미 및 영양소의 배출을 방지하여 맛 있고 질 좋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매우 지대한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확대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제조단계별 조립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도 2a는 구성 각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구성 각부가 조립되어 플랜지가 타격 절곡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종래 압력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중량추 31 : 원추형 폐쇄부
40 : 헤드부 43 : 압력배출공
44 : 안착부 45 : 절곡돌출부
50 : 패킹 51 : 완충신축부
60 : 누름부재

Claims (3)

  1. 플랜지부(41)의 저부 나사부(42)가 압력조리용기의 뚜껑(10)을 관통하여 통공(21)을 갖는 체결부재(20)로 체결되는 상부에 압력배출공(43)이 관통되는 헤드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압력배출공(43)에 원추형 폐쇄부(31)를 갖는 중량추(30)가 안착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헤드부(40)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부(44)에 패킹(50)이 삽입되어 링형의 누름부재(60)가 개재된 상단을 절곡돌출부(45)가 타격 절곡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패킹(50)에 일체로 완충신축부(51)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패킹(50)이 실리콘 고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KR20-2005-0006695U 2005-03-12 2005-03-12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KR200385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695U KR200385658Y1 (ko) 2005-03-12 2005-03-12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695U KR200385658Y1 (ko) 2005-03-12 2005-03-12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658Y1 true KR200385658Y1 (ko) 2005-06-01

Family

ID=4368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695U KR200385658Y1 (ko) 2005-03-12 2005-03-12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6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390Y1 (ko) 2010-01-11 2012-09-07 신유현 중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390Y1 (ko) 2010-01-11 2012-09-07 신유현 중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1443U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기구용 뚜껑
KR101332512B1 (ko) 조리기구용 뚜껑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US20220133083A1 (en) Cooking container lid having auxiliary lid
JP2009511112A (ja) 内部蒸気呼吸用調整装置付き加熱調理具
KR20090068085A (ko) 남비 뚜껑 손잡이
KR200385658Y1 (ko)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0385659Y1 (ko) 주방용 압력조리용기의 압력고정장치
US20170354293A1 (en) Silicone liner for slow cooker
KR20090074517A (ko) 넘침방지구가 구비된 조리용기
KR200475469Y1 (ko) 진공 냄비
KR200323694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152284Y1 (ko) 밀폐식 냄비의 자동에어 배출 밸브구조
KR101158674B1 (ko) 전자 렌지용 밀폐 용기 뚜껑
KR101399137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0452540Y1 (ko) 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KR200357933Y1 (ko) 전자렌지용 솥의 신호장치
KR200476728Y1 (ko) 진공 냄비
KR20090011933U (ko) 전자레인지용 조리기 커버구조
KR100399610B1 (ko) 증기 배출 장치
KR200383514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101556744B1 (ko) 일정압력유지와 진공유도가 가능한 냄비 뚜껑
KR101447278B1 (ko) 일정압력유지와 진공유도가 가능한 냄비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