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328B1 -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옻물 - Google Patents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옻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328B1
KR100512328B1 KR1020050039440A KR20050039440A KR100512328B1 KR 100512328 B1 KR100512328 B1 KR 100512328B1 KR 1020050039440 A KR1020050039440 A KR 1020050039440A KR 20050039440 A KR20050039440 A KR 20050039440A KR 100512328 B1 KR100512328 B1 KR 10051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aspergillus
prepared
ferment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숙
이한창
엄기승
Original Assignee
(주)참옻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옻나라 filed Critical (주)참옻나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등의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옻나무를 건조하고 분쇄하고, 물을 첨가하여 흡습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흡습물을 증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증자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i), 아스퍼질러스 시로우사미(Aspergillus shirousamii),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및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국균을 접종 및 배양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발효물에 물을 첨가 및 방치한 다음 가열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제조된 가열물로부터 액체 성분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옻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옻물 제조 방법은 옻나무의 다양한 유효 성분의 추출 효율을 대폭 향상시키고, 옻나무의 독성 성분을 제거하며, 제조된 옻물의 관능적인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옻물{Method for manufacturing lacquer juice using fermentation with koji molds and lacquer juice produc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옻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 등의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옻나무(Rhus verniciflua)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한국을 비롯한 중국 및 일본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산야에서 흔히 자생하고 있는 나무이다. 상기 옻나무는 그 수피에 상처를 내면 수피의 2차 사부조직내에 존재하는 수액(옻)을 방출하게 되는데, 이 옻은 우수한 내약품성과 내구성을 갖고 있어 오랜 사용에도 변하지 않는 훌륭한 천연도료로서 특히 한국, 일본 및 중국 등에서 옻칠을 한 집기(칠기)등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특히 옻칠을 한 한국의 나전칠기는 현재 많이 사용되는 락카 및 에나멜칠을 한 것과 비교해 볼 때 전세계적으로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상기 옻나무에는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유효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옛날부터 약제 및 식품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위장병, 심장병, 관절염, 고혈압, 당뇨, 중풍, 관절염 및 만성피로 등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본초강목, 본초학), 옻나무를 이용한 전통 식품으로서 옻닭 및 옻오리 등이 전해 오고 있는데, 이는 닭이나 오리에 함유되어 있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지방질을 분해하고 옻 자체의 유효 성분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도 애용되고 있다.
옻나무의 성분으로는 우루시올(Urushiol)계통의 화합물, 피세틴(Fisetin), 푸스틴(Fustin), 부테인(Butein), 설푸레틴(Sulfuretin), 퀘르세틴 (Quercetin) 등의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 및 페놀화합물 계통인 갈릭산과 기타 미확인된 많은 종류의 물질들이 존재하며, 그 주된 약리작용으로서 항암, 항산화 및 숙취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산림청, 임목 육종연구소 나천구 연구팀, 997.4.22, 식품과학회지, vol 31, 238-245).
이와 같이 옻나무에는 인체에 유효한 여러 물질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이것들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옻나무를 물에 끓이는 단순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을 뿐 더욱 효율적으로 옻나무의 성분들을 추출하는 방법은 전혀 연구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옻나무의 다양한 약리작용이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자유로이 이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인체에 대한 알레르기성 증상인 이른바 "옻오름" 현상 때문이다. 옻나무에서 "옻오름" 현상을 나타내는 주성분은 우루시올(urushiol)로 알려져 있다. 우루시올은 엷은 노란색 액체로서 물, 알코올 또는 에테르에 용해되며, 곁사슬(side chain) R기가 탄소수 15~17개의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화학 구조를 갖는 불포화 화합물이다(Merck index 9697). 상기와 같은 옻나무의 알레르기 증상 때문에, 피부과 병원에서는 식용할 수 없는 금기물질로 단정하고 있다. 한편 외국에서는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치료제에 관한 연구는 많이 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처럼 식용으로 먹는 나라는 거의 없다.
따라서 옻나무의 약리적 효능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효율적으로 옻나무 성분을 추출하는 동시에 옻독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4-266호에는 건조한 옻나무의 수피를 솔잎, 상백피, 공사인과 같이 물에 넣어 9 ~ 11시간 끓인 후 불용성 물질을 걸러내어 독성이 제거된 옻물을 얻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9-56704호에는 옻나무를 170℃에서 4시간 이상 열풍건조하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105~200℃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28569호에는 옻나무 등을 물과 함께 환류장치와 폭기장치가 부착된 가열조에 넣고 2시간 동안 폭기하면서 가열하여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35434호에는 (a) 옻나무 껍질을 90초 동안 증기를 이용하여 찐 뒤 찹쌀가루로 만든 뜨물에 담근 다음 꺼내어 말리는 과정을 3번 반복하는 방법으로 처리한 옻 1kg, (b) 밤나무 껍질과 뽕나무 껍질(상백피)을 중량비 3:1로 섞어 약한 불로 볶아낸 뒤에 볶아낸 재료 500g 과 물 18리터의 비율로 섞어 용량이 절반이 되도록 달이는 방법으로 처리된 첨가제 9리터, (c) 상기 처리한 옻 1kg과 상기 첨가제 9리터에 물 9리터를 혼합하여 혼합물 18리터를 만드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혼합물을 3시간 동안 달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액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31328호에는 옻나무를 100~240℃의 고온에서 10분 내지 50분간 직간접으로 열처리한후, 열처리된 옻나무를 물 또는 알코올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은 가혹한 열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거나,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유기용매가 잔류할 위험이 있으며, 옻나무 유효 성분의 효율적인 추출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효율적으로 옻나무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보다 양질의 옻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하던 중, 옻나무를 증자한 다음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 등의 국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옻물을 제조하면 보다 온화한 조건의 공정으로 옻나무에 존재하는 여러 유효성분들을 다량 추출할 수 있고, 제조된 옻물의 관능적인 특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옻나무의 독성 성분이 제거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등의 국균의 발효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옻나무의 다양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고, 제조된 옻물의 관능적인 특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옻나무의 독성 성분이 제거할 수 있는 옻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옻나무를 건조하고 분쇄하고, 물을 첨가하여 흡습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흡습물을 증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증자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i), 아스퍼질러스 시로우사미(Aspergillus shirousamii),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및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국균을 접종 및 배양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발효물에 물을 첨가 및 방치한 다음 가열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제조된 가열물로부터 액체 성분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서 소맥분 또는 쌀가루 등의 전분질 원료를 옻나무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0 중량부의 양으로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의 국균을 옻나무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3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의 국균이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옻물의 제조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발효를 이용한 옻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옻나무를 채취한 다음 옻나무의 줄기 및 가지를 분리하여 건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옻나무는 그의 산지 및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생옻나무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후 분쇄 단계에서 옻진의 점도 때문에 처리상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생옻나무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의 건조 방법은 자연 건조법, 열풍 건조법 또는 냉동 건조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지만, 자연 건조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연 건조법 중 양건을 하는 경우 건조효과는 좋을 수 있지만 태양의 자외선은 유효성분을 분해 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음건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쇄 단계
상기 단계에서 건조된 옻나무를 톱밥 모양으로 분쇄한다. 본 옻나무의 분쇄는 공지의 방법, 특히 공지의 기계를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쇄 기계의 예로서 핀크랏샤 및 함마크랏샤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핀크럇사를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8-메쉬의 체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옻나무 분쇄물을 회수하였다.
흡습 단계
상기에서 제조된 옻나무 분쇄물에 물을 첨가하여 흡습시킨다. 본 단계의 목적은 하기 증자 단계에 있어서 증자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옻나무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30~4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옻나무 분쇄물에 물을 첨가한 후 충분한 수분 흡수를 위하여 30~60분 동안 방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에 있어서, 최종제품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옻나무의 다양한 유효 성분의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물 외에 소맥분(밀가루) 또는 쌀가루 등의 전분질 원료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전분질 원료의 첨가량은 옻나무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증자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옻나무 분쇄물 및 물의 혼합물을 증자시킨다. 본 단계의 목적은 상기 혼합물 중의 잡균을 사멸시키고, 하기 발효 단계에 있어서, 발효균의 생육을 극대화시켜 발효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단계의 증자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상기 옻나무 분쇄물 및 물 혼합물을 대기압 하에서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가압증자솥 등을 이용한 가압 증자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증자 시간은 상압 증자의 경우 약 60분, 1.3Kg의 가압 증자의 경우 약 20분일 수 있다.
발효 단계
상기 단계에서 증자된 증자물을 냉각시킨다. 냉각 온도는 35℃가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증자물에 국균을 접종한 다음, 25~35℃, 바람직하게는 30℃에서 발효를 수행한다. 발효 온도가 너무 낮으면 발효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너무 높으면 고초균 등의 잡균이 번식하여 제품의 풍미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국균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i), 아스퍼질러스 시로우사미(Aspergillus shirousamii),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및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국균은 상기 옻나무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3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 시간은 30~40 시간이 바람직하고, 35 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다. 발효시간이 너무 짧으면 독성성분의 제거나 유효성분의 용출이 완전하지 못하고, 너무 길면 이미 용출된 유효성분들이 국균의 자가 소화에 의해 손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숙성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옻나무 발효물에 물을 첨가하고 정치시킴으로써 상기 옻나무 발효물을 숙성시킨다. 본 단계의 목적은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여러 효소들이 옻나무에 작용하여 그 미세구조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용출해 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옻나무 발효물에 상기 옻나무 분쇄물의 2~3배 중량의 물을 혼합하고, 50~60℃, 바람직하게 55℃에서 1~5시간, 바람직하게 2~3시간 동안 정치시킨다. 상기 혼합되는 물의 양은 희망하는 최종 옻물의 농도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상기 온도는 상기 정치 시간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가열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숙성된 옻나무 발효물 및 물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끓인다. 본 단계의 목적은 상기 옻나무 발효물에 남아있는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동시에 상기 옻나무 발효물에 남아있는 국균과 효소를 사멸시켜 최종 생산되는 옻물의 품질, 보존성 및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끓이는 시간은 1~5시간이 바람직하다.
회수 단계
상기 단계에서 숙성 및 가열된 원료로부터 옻나무 분말 등의 고체 성분을 제거하고 액체 성분을 회수하여 옻물을 제조한다. 본 회수 단계는 원심분리기 또는 압착기 등을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등의 본 발명의 국균을 사용하여 옻나무를 발효하여 옻물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옻물내에 존재하는 옻나무 추출물질을 분석하고 이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한 옻물(비교예 1)과 비교한 결과 그 추출효율이 130~145%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발효시 소맥분과 같은 전분질을 추가로 첨가할 경우 그 추출 효율이 245~ 287%로 대폭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표 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서는 옻나무의 대표적인 약리작용 중 하나인 숙취작용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옻물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옻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 저하효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실험예 4 참조). 그 결과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옻물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대폭 저하시켜 숙취 해소 작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옻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옻물(비교예 1)에 비하여 높은 혈중 알코올 농도 저하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옻나무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효율적으로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참조).
본 발명의 일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옻물 및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옻물에 대해 독성 성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통상적으로 제조된 옻물의 경우 피부에 대해 알레르기반응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옻물의 경우 피부에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실험예 1참조).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옻물에 대하여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HPLC) 및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GC)을 이용하여 우루시올의 존재여부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옻물에는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았다(도 2b 및 도 3b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옻오름과 같은 옻나무의 독성을 나타내는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독성이 없는 옻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옻물 및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옻물에 대해 맛과 향에 대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상적으로 제조된 옻물에 비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옻물의 관능성이 우수하였다(표 2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옻물의 맛과 향 등의 관능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옻나무 가지 및 줄기를 그늘에서 건조한 다음, 상기 옻나무 건조물을 핀크랏샤로 분쇄하고 8 메쉬 체로 일정한 크기의 분쇄물을 선별하였다. 상기 분쇄물 1kg에 물 350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흡수시키고 눌러서 1시간 방치하였다가 시루에서 40분 동안 증자하고 20분 동안 뜸을 들였다. 이것을 퍼내서 35℃로 냉각하고, 여기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종균 1.5g을 접종한 후 2cm 두께로 용기에 담아서 인큐베이터를 이용하여 30℃에서 35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상기 발효물에 물 2L를 가하여 55℃에서 2시간 동안 숙성하고 1시간 동안 끓인 다음 압착하여 옻물 1.5L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옻물을 분석한 결과 대원료 2.49%의 증발건고물을 얻었다. 이는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한 비교예 1에 비하여 약 145%의 성분 증수를 나타내는 것이다(표 1참조).
<실시예 2 ~ 4>
그 외 국균주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옻물의 제조
발효 단계의 국균으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대신에 각각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i) 및 아스퍼질러스 시로우사미(Aspergillus shirousamii)를 사용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의 옻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옻물을 분석한 결과 각각 대원료 2.25%, 2.32%, 2.45%의 증발건고물을 얻었다. 이는 통상적인 추출방법(비교예 1)에 비하여 각각 131%, 135%, 142%이상의 성분 증수를 나타내는 것이다(표 1참조).
<실시예 5>
전분질을 추가한 본 발명에 따른 옻물의 제조
상기 분쇄물 1kg에 물 350g을 첨가할 때, 소맥분(밀가루)를 10g을 추가하여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옻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옻물을 분석한 결과 대원료 4.22%의 증발건고물을 얻었으며, 이는 통상적인 방법(비교예 1)에 비하여 무려 245%이상의 우수한 성적임을 알 수 있다(표 1참조).
<실시예 6 ~ 8>
전분질을 추가한 본 발명에 따른 옻물의 제조
상기 분쇄물 1kg에 물 350g을 첨가할 때, 소맥분(밀가루)를 10g을 추가하여 첨가하는 것 및 발효 단계의 국균으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대신에 각각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i) 및 아스퍼질러스 시로우사미(Aspergillus shirousamii)를 사용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옻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옻물을 분석한 결과 대원료 4.95%. 4.55%, 4.30%의 증발건고물을 얻었으며, 이는 통상적인 방법(비교예 1)에 비하여 각각 288%, 265%, 250%인 획기적인 증수 성적임을 알 수 있다(표 1참조)
<비교예 1>
발효를 이용하지 않은 옻물의 제조
옻나무 가지 및 줄기의 분쇄물 1kg에 물 2350g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끓인 다음 압착하여 옻물을 제조하고, 이를 분석한 결과 대원료 1.72%의 증발건고물을 얻었다.
대원료추출량(건고물량)(%) 비교예1의 방법에 대한 실시예 방법의 추출물의 증수율(%)
비교예 1 1.72 100
실시예 1 2.49 145
실시예 2 2.25 131
실시예 3 2.32 135
실시예 4 2.45 142
실시예 5 4.22 245
실시예 6 4.95 288
실시예 7 4.55 265
실시예 8 4.30 250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옻물의 피부자극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옻물 및 상기 비교예 1의 옻물에 대하여 독성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각 옻물을 알레르기 감수성체질인 남녀 5명의 피부(팔)에 스파팅하여, 반응의 유무를 5일 동안 관찰하였다.
그 결과,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교예 1의 옻물의 경우 5명 전체의 피부에 대해 반응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옻물의 경우 피부에 대해 전혀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옻물의 경우 독성 성분인 우르시올이 완전히 제거되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옻물의 기기분석에 의한 우루시올의 존재 여부 확인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옻물에 대하여 우루시올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W.M.Draper 등의 방법("Atmosperic pressure ionization LC-MS-MS determination of Urusiol cogenders" , J. Agric. Food Chem. 2002, 50, 1852-1858)에 따라 HPLC 및 GC 분석을 시행하였다. 표준 우루시올은 옻나무 수액을 아세톤으로 추출하고 여과하고 감압건조한 후 얻은 건조물을 사용하였다.
시료의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옻물 50ml을 디클로로메탄 50ml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회수하여 감압건조한 후, 플로리실컬럼에 충진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용출한 후 이 용출물을 회수하고 감압건조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20ml에 녹인 후 아세토니트릴로 용매 분획하고, 회수된 아세토니트릴층을 감압건조후 아세토니트릴1ml에 다시 녹인 후 하기와 같은 조건에서 HPLC분석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HPLC분석 조건
컬럼:C18 capcellpak(4.6×250nm, 5㎛)
파장:276nm
용출용매:30%메탄올→100%메탄올(50분)
유속:0.5ml/min
또한, 상기 아세토니트릴용액 100㎕을 취하여 BSTFA 100㎕, 피리딘 50㎕과 혼합한 후 80℃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하기 조건에서 GC-MSD분석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GC-MSD분석 조건
컬럼:DB-5MS capillary column(30m×0.25mm I.D.× 0.25㎛ df)
주입모드:split mode(split ratio 10:1)
컬럼 온도:50℃(5분)→250℃(15분) at 15℃/분
검출기:5973 MSD
주입온도:225℃
이온원 온도:230℃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표준 우루시올은 HPLC분석에서 체류시간 48.88분, 51.25분, 54.72분에 피크를 나타내나(도 2a), 본 방법에 의한 실시예 1의 옻물은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았다(도 2b). 또한,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표준 우루시올은 GC-MSD분석에서 체류시간 25.08분, 25.42분, 26.81분에 피크를 나타내나(도 3a), 본 방법에 의한 실시예 1의 옻물은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았다(도 3b).
<실험예 3>
실시예 및 비교예의 옻물의 관능 검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옻물과 통상적으로 제조된 비교예 1의 옻물에 대하여 맛과 향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훈련된 검사 요원 15명에 의해, 전체적인 선호도를 4점 척도로서 실시하였다. 표 1에 나타낸 숫자는 4.0 만점에 대한 관능검사요원 15명의 평균점수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한 것이다.
상기 관능검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8의 옻물 모두가 비교예 1의 옻물에 비해 관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옻물의 경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옻물에 비해 관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구분 기호도
비교예 1 1.13
실시예 1 3.80
실시예 2 3.13
실시예 3 2.20
실시예 4 3.07
실시예 5 3.97
실시예 6 3.50
실시예 7 2.70
실시예 8 3.30
<실험예 4>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숙취 해소 효과의 비교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및 실시예 5의 옻물과 통상적으로 제조된 비교예 1의 옻물에 대하여 혈중 알코올 저하효과를 관찰함으로써 숙취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동물은 6주형 스프라그-돌리 랫트(수컷)을 사용하였고 시험기간 동안 실내온도를 25℃로 유지시켰으며,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음료수는 증류수를 자유 공급하였다. 실험동물은 각 5마리씩 4개군으로 나누어 24시간 절식시킨 후 존데로 25% 에틸알코올 10ml를 위장에 투입하고, 10분 후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 30ml를 투여하고, 나머지 세군에는 각각 실시예 1의 옻물, 실시예 5의 옻물, 비교예 1의 옻물을 30ml씩 경구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후 1시간후 동물로부터 3ml씩의 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로 혈청을 분리한 후 알코올 측정키트인 NAD-ADH어세이 바이알(시그마)을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5의 옻물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가 낮게 관찰되어 혈중알코올 농도를 대폭 저하시켜 숙취 해소 작용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통상적으로 제조한 비교예 1의 옻물에 비해서도 높은 혈중 알코올 농도 감소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할 경우 옻나무로부터 숙취해소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다량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혈중알코올농도(mg/dl)
대조군 198±5
본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실시예 1의 옻물 147±3
본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실시예 5의 옻물 131±2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비교예1의 옻물 168±7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옻물 제조 방법은 옻나무의 독성 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옻나무로부터 각종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고, 제조된 옻물의 맛과 향 등의 관능적인 특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등의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옻물에 옻나무의 독성물질인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HPLC 분석결과이다.
a: 우루시올 표준물질
b: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옻물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옻물에 옻나무의 독성물질인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GC-MSD 분석결과이다.
a: 우루시올 표준물질
b: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옻물

Claims (5)

  1. a) 옻나무를 건조하고 분쇄하고, 물을 첨가하여 흡습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흡습물을 증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증자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i), 아스퍼질러스 시로우사미(Aspergillus shirousamii),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및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국균을 접종 및 배양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제조된 발효물에 물을 첨가 및 방치한 다음 가열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제조된 가열물로부터 액체 성분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옻물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소맥분 또는 쌀가루를 옻나무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국균을 옻나무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0.3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국균이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옻물.
KR1020050039440A 2004-12-28 2005-05-11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옻물 KR100512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978 2004-12-28
KR20040113978 2004-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2328B1 true KR100512328B1 (ko) 2005-09-05

Family

ID=3730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440A KR100512328B1 (ko) 2004-12-28 2005-05-11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옻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32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46B1 (ko) 2008-04-29 2011-03-21 송재실 참옻발효진액의 제조방법
KR101072731B1 (ko) 2010-11-08 2011-10-11 이강옥 옻나무 및 옻 껍질을 이용한 발효조성물 제조방법
KR101089176B1 (ko) 2009-12-30 2011-12-02 송재실 옻나무 추출물을 무독화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무독화된 옻나무 추출 발효물
KR101146115B1 (ko) * 2011-09-02 2012-05-16 (주)참옻나라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 옻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2111923A3 (ko) * 2011-02-15 2012-10-26 Ha Jeong Wan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과 이를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및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KR101591708B1 (ko) 2014-08-25 2016-02-04 강주원 곰팡이를 이용한 천연양조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47385A (ko) 2021-04-27 2022-11-03 최진오 참 옻나무를 이용한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의해 제조된 참 옻 분말과 진액 조성물
KR20230062247A (ko) 2021-10-29 2023-05-09 김종규 옻나무의 우루시올 제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46B1 (ko) 2008-04-29 2011-03-21 송재실 참옻발효진액의 제조방법
KR101089176B1 (ko) 2009-12-30 2011-12-02 송재실 옻나무 추출물을 무독화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무독화된 옻나무 추출 발효물
KR101072731B1 (ko) 2010-11-08 2011-10-11 이강옥 옻나무 및 옻 껍질을 이용한 발효조성물 제조방법
WO2012111923A3 (ko) * 2011-02-15 2012-10-26 Ha Jeong Wan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과 이를 이용한 발효 항산화 물질 제조방법 및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KR101230814B1 (ko) * 2011-02-15 2013-02-06 하정완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KR101146115B1 (ko) * 2011-09-02 2012-05-16 (주)참옻나라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진 옻나무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91708B1 (ko) 2014-08-25 2016-02-04 강주원 곰팡이를 이용한 천연양조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47385A (ko) 2021-04-27 2022-11-03 최진오 참 옻나무를 이용한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의해 제조된 참 옻 분말과 진액 조성물
KR20230062247A (ko) 2021-10-29 2023-05-09 김종규 옻나무의 우루시올 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328B1 (ko)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옻물
KR102231913B1 (ko) 생리활성성분 고함유 식물성 브라운 소스 및 그 제조방법
MX2008012230A (es) Composicion de extracto de plantas naturales para la prevencion y recuperacion de hiperlipidemia y de trastornos cerebrovasculares, te natural que la contiene como ingrediente activo, y metodo para preparar el te natural.
KR101340081B1 (ko) 항고혈압, 항당뇨 및 항노화성 플라보노이드 함유 뽕나무 잎 추출물의 신규한 제조 방법 및 그 산물
KR101971857B1 (ko) 약용식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양배추즙의 제조방법
KR20100052599A (ko) 흑마늘을 함유하는 발효주와 그 제조방법
CN108164572B (zh) 一种利用石斛提取单宁酸的方法
KR101996467B1 (ko) 녹차 농축액을 함유하는 건강 양파즙의 제조방법
KR100778044B1 (ko) 쥐눈이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하는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CN101492695B (zh) 利用曲菌发酵的漆树提取物制备方法及使用该方法制备的漆树提取物
KR101310019B1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662936B1 (ko) 옻나무의 피부염 유발 독성물질 제거 법제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옻나무 식품 첨가물
KR20220063978A (ko) 파인애플을 이용한 엉겅퀴와 솔잎, 마늘, 양파, 머위, 모과, 석류, 백하수오, 민들레, 은행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405144B1 (ko) 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건강보조식품
KR101316187B1 (ko) 토마토 케이크의 가공방법 및 그 기능성 제품
Pathak et al. Value‐Added Products from Guava Waste by Biorefinery Approach
KR102586241B1 (ko) 6-Gingerol 함량 증진을 위한 생강잎차 제조방법
KR102199387B1 (ko) 생리활성성분 고함유 데리야끼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489041B1 (ko) 기능성 양념을 사용한 저염 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KR20090101689A (ko) 머위 약초차
KR100955300B1 (ko) 어성초와 삼백초 발효추출액을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KR20180070037A (ko) 땅콩새싹의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발효 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WAPWERA EXTRACTION AND ISOLATION OF ASCORBIC ACID (VITAMIN C) FROM AUSTRALIAN PINE (CASUARINA EQUISETIFOLIA) NEEDLES GROWN IN JOS AND ENVIRONS
KR20070111732A (ko) 천연물을 이용한 순환계 질환, 면역계질환, 염증성질환,간질환, 내과계질환, 산,소아과계질환, 내분비계질환,바이러스성질환, 각종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han et al. BRIEF PROFILE OF DOCTOR TREE (MORINGA OLEIFERA L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