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689A - 머위 약초차 - Google Patents

머위 약초차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689A
KR20090101689A KR1020080026982A KR20080026982A KR20090101689A KR 20090101689 A KR20090101689 A KR 20090101689A KR 1020080026982 A KR1020080026982 A KR 1020080026982A KR 20080026982 A KR20080026982 A KR 20080026982A KR 20090101689 A KR20090101689 A KR 20090101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erbur
tea
coltsfoot
herbal tea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구
정봉환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2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1689A/ko
Publication of KR2009010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6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머위의 잎과 뿌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는 하나 이상을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물기가 제거된 머위를 9~12회 반복하여 덖음 처리하는 단계; 상기 덖음 처리를 거친 머위를 건조하고 분쇄시키는 단계를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위 약초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머위 특유의 향과 맛이 어우러지고 항산화, 면역증강, 항암 등의 기능성 성분이 성인병과 노화를 억제하여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약초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머위 약초차{An Herbal Tea of Butterbur}
본 발명은 머위 잎 또는 뿌리를 덖음처리하여 제조되는 약초차에 관한 것이다.
근래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식생활도 다양해졌다. 신속성을 요구하는 현대 생활에서는 식생활 또한 자연히 신속함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되면서 패스트푸드를 찾는 일이 잦다. 더구나 육체적인 활동보다 정신적인 활동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른 운동부족과 스트레스의 축적으로 인한 비만과 같은 성인병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저칼로리식품 및 기능성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무공해 작물에 대한 소비가 늘어났고, 약용식물 대한 중요성이 높이 평가되어 그 수요가 급증하므로 고품질 약용식물의 안정적 공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약용식물에 대한 영양적인 측면이나 약리적인 작용에 대해서 그 효능을 밝히려는 노력이 점차 고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약용식물 중에서 특히 최근의 다양한 질환 중 암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보고와 함께 그 수요가 급증하면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한방에서 쓰이는 약용 자원의 개발, 유효 성분의 동정 및 우수 신품종의 육성이 절실하다.
오래 전부터 인간은 질병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왔으며, 이중 일상 주변에 있는 식물을 이용한 방법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하여 왔다. 이러한 사실은 현대에 들어서 약용식물을 이용한 단계로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다. 최근에 들어 약용식물은 신약의 개발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들이 추적 할 수 있는 범위는 겨우 BC 4000년 이후의 고대 문명권까지의 짧은 시기에 불과하다. 약용식물은 양치식물 이상의 고등식물에서 대부분 발견되어 왔으나 근래에 와서는 고등식물 뿐만 아니라 하등식물에서도 고귀한 약품원료가 되는 식물이 속속 알려지고 개발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20세기 중반의 하등식물에서 발견된 항생물질의 경이적 효과를 들 수 있다. 약용식물학은 약용식물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과 이의 분류를 위한 방법 및 성분효용 등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실용응용학문에 속한다. 약용으로 사용되었던 생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물이었기 때문에 한의학에서 기초단위로 연구되어져야 할 학문인 것이다. 과거에서 현재까지 지속되어오고 있는 질병치료의 방법 중 약물치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약용식물은 최근에 들어 현대 의약품의 발견에 주요한 재원으로 활용되어 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과거의 많은 경험의 산물인 약용식물은 한약재의 품종과 약재의 품질 평가 및 임상효능과 약재의 개발 등과 같은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양질의 약재를 선택하여 높은 치료효과를 기대하기위해서는 약재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약용식물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함이 필요하다.
머위(petasites japonicus)는 중국, 일본 및 우리나라의 제주도, 울릉도,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의 산야지 특히 햇볕이 잘 드는 산비탈의 숲이나 계곡 주변의 습지에서 자생하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머위는 30 cm의 높이로 자라고 꽃은 5, 6월에 피며 암수의 구별이 있어 암그루는 꽃이 희고 숫그루는 황백색으로 구별이 가능하다. 화경과 잎자루는 식용으로 사용하는데 특유한 향기와 쓴맛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꽃봉오리를 관동화라 하여 한약재로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진해, 거담, 건위의 효과로 사용되고 또한, 진정, 소종, 이뇨, 풍한 등의 치료에 오랫동안 사용하여 왔다.
머위의 주요 성분으로는 꽃으로부터 angelic acid, capronic acid, caprylic acid, procatechuic acid를 잎과 줄기에서는 petasin과 hemicellulose 등이 분리 되었다. 꽃눈에서는 sesquiterpenoid인 fukinanolide, fukinnolide, petasin, isopetasin 등이 분리되었으며, 최근에는 뿌리 및 줄기에서 sesquiterpenoid인 eremopetasidione과 phenolic compound인 petasiphenone 및 eremophilenolide 등이 분리되었다. 약리학적 연구로는 in vitro에서 머위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가 확인되었으며(최, 2002,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82-385.), 머위를 먹인 rat과 mouse에 대한 병리학적 관찰 등이 보고되었다(지, 1996, 대한수의학회지 :417-428). 이(2000, 한국식품공학회지 :448-453)는 머위로부터 분리한 petasiphenol은 apoptosis 저해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밝혔으며 지(1996)는 머위를 rat liver에 투약시키므로 면역조직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최(2002)는 머위가 항알레르기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머위 추출액의 유용성이 발견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한 차의 개발은 아직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생활의 불균형과 음주, 흡연 및 스트레스에 의한 각종 성인병인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인구의 노령화로 인한 노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우수한 생리적 기능을 가진 머위를 차로 가공하여 음용하게 되면 성인병 예방 및 노화방지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차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머위의 잎과 뿌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는 하나 이상을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물기가 제거된 머위를 9~12회 반복하여 덖음 처리하는 단계; 상기 덖음 처리를 거친 머위를 건조하고 분쇄시키는 단계를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위 약초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머위는 산야에서 자생하는 것을 수집하여, 폭 120cm 이랑에 90cm 간격으로 1주씩 정식하여 재배하고, 잡초와의 경합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멀칭 처리하여 수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머위 약초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약초차 및 이를 함유하는 티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머위 약초차는 반복된 덖음 처리를 통해 낮은 온도의 물에서도 잘 용출될 수 있도록 추출 효율이 증진되며, 머위의 풋내와 떫고 신맛을 제거하며 머위 특유의 향과 맛이 어우러진 약초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머위 차를 음용함으로써, 머위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 면역증강, 항암 등의 기능성 성분이 성인병과 노화를 억제하여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약초차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머위 약초차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국 각지의 산야에서 자생하는 머위를 수집하여 시험포장에 이식하여 관리하며, 재배는 폭 120cm 이랑에 90cm 간격으로 1주씩 정식하여 재배하는데, 재배시 잡초와의 경합(競合)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멀칭을 하여 시험 포장에서 수확한 머위 잎 또는 뿌리를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 채취한지 20시간 이내에 사용한다.
상기 물기를 제거한 머위 잎 또는 뿌리를 100~220℃의 덖음솥에서 2~10분간 덖기 처리를 하고 부직포 또는 가마니에서 비비기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비비기 처리한 머위를 뭉쳐서 약 15분간 방치하여 숙성시킨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이러한 덖음 처리를 10~12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1회 반복한다. 덖음 횟수가 부족하면 약초차의 추출이 불량하고 머위 특유의 풋내와 떫고 신맛이 나며, 덖음 횟수가 지나칠 경우 탄내가 나고 머위 특유의 향미가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반복되는 덖음 처리를 통해 머위의 잎 또는 뿌리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각종 효소가 세포 밖으로 용출될 수 있도록 하며, 차를 우려낼 경우 물이 빨리 흡수될 수 있도록 하며, 향과 맛이 풍부해지도록 한다.
상기 반복된 덖음 처리를 거친 머위를 약 하루동안 실온에서 수분함량이 약 1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마쇄하여 분말로 만든다.
상기의 제조과정을 거친 머위 약초차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7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의 온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w/v)의 머위 차 분말을 넣고 1~5분 정도 우려낸다.
또한 간편하게 차 음료로 음용할 수 있도록, 상기 머위 약초차를 통상적인 면포 또는 부직포로 제조되는 티백 포장을 할 수 있다.
< 실험예 >
전국 각지의 산야에서 자생하는 머위를 수집하여 충북 괴산군 청안면에 위치한 시험포장에 이식하여 관리하였다. 재배는 폭 120cm 이랑에 90cm 간격으로 1주씩 정식하여 재배하였으며, 재배시 잡초와의 경합(競合)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멀칭을 하였다. 시험 포장에서 수확한 머위, 머위를 수확하여 수세 후에 40°C 건조실에서 2일간 음건하였고 마쇄하여 분말로 만든 후 아래와 같이 항산화 및 항암성 관련 분석을 실시하였다.
1) 아질산염 소거능
아질산염 소거능의 측정방법은 Kato 등 (1987)의 방법으로 1mM NaNO2 20㎕에 시료의 추출액 40㎕와 0.1N HCl(pH 1.2) 또는 0.2M citrate buffer (pH 4.2) 또는 0.2M citrate buffer (pH 6.0)를 140㎕ 사용하여 부피를 200㎕로 맞추었다. 37℃ 항온수조에서 1시간 경과 후 2% acetic acid 1,000㎕, Griess 시약 80㎕를 가하여 잘 혼합시켜 빛을 차단한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520 ㎚에서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아질산염 소거능을 구하였다. 아질산염은 발암 전구물질로 암을 유발하는 물질과 관계가 있으며 보통 강산성에서 활발하게 반응하는데, 아질산염의 소거능이 높다는 것은 위장내에서 발암물질의 소거능이 높아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Table 1. 머위의 잎과 뿌리로부터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력.
약용식물 pH 뿌리
머위 1.2 91.7 93.2
4.0 53.4 76.0
6.0 6.9 13.9
2) SOD 유사활성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소인 SOD (superoxide dismutase)는 몸 안에 필요 이상의 활성산소가 생겼을 때 이것을 제거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활성산소의 산화반응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SOD 유사활성 측정방법은 Marklund의 방법(1974)에 따라 각 시료 추출액 80㎕에 Tris-HCl 1,200㎕와 7.2 mM Pyrogallol 80㎕를 가하여 잘 혼합하여 25℃ 항온수조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1N HCl 40㎕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4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SOD는 superoxide radical을 산소로 산화시키는 천연 항산화제이다. 일부 저분자 물질들은 산화방지 및 노화억제 등 SOD와 유사한 활성을 지니면서 열에 약하고 흡수율이 낮은 SOD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들은 SOD와 결합된 phenol계 화합물로 밝혀진 바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감잎차, 과채류 등의 SOD 유사활성에 대해 조사되었다.
Table 2. 머위의 잎과 뿌리로부터 물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
약용식물 물추출물의 SOD 활성(%)
머위 뿌리 86.7
머위 잎 84.3
3) 총폴리페놀 함량
총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s(1977) 측정방법에 따라 시료를 분석하기 전에 먼저 표준물질 gallic acid를 사용하여 20mg/100ml, 40mg/100ml, 60mg/100ml, 80mg/100ml, 100mg/100ml가 되도록 희석한 후 standard curve를 구하였다. 시료 10㎕를 가하고 증류수 840㎕와 2N Folin Ciocalteus 시약 50㎕를 첨가하고 20% Na2CO3 100㎕를 잘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경과 후에 7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총폴리페놀 함량을 구하였다. 식물에 존재하는 많은 phytochemical 중 폴리페놀화합물은 여러 가지 식품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천연항산화제로써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들이 행해져 왔다.
Table 3. 머위로부터 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함량 (mg/100ml).
약용식물 물추출의 총폴리페놀 함량
머위 뿌리 56.9
머위 잎 111.5
4) EDA ( 전자공여능 ) 함량
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의 측정은 Blios(1958)의 방법에 따라 시료 100㎕를 가하고 1x10-⁴M DPPH 1,400㎕를 잘 혼합하여 4분경과 후에 원심분리기에서 12,000rpm으로 3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상등액을 취하고 10분경과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것을 무첨가구와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DPPH는 아스코르빈산 및 토코페롤, polyhydroxy 방향족화합물, 방향족 아민류에 의해 전자나 수소를 받아 불가역적으로 안정한 분자를 형성하여 환원되어짐에 따라 짙은 자색이 탈색되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한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효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 머위로부터 물 추출물의 EDA (전자공여능).
약용식물 물추출의 EDA (%)
머위 뿌리 61.5
머위 잎 52.9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 실시예 1: 머위 잎>
상기 실험예의 시험 포장을 통해 재배된 머위의 잎을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 채취한지 20시간 이내에 약 200℃의 덖음솥에서 2분간 덖기 처리를 하고 부직포 또는 가마니에서 비비기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비비기 처리한 머위를 뭉쳐서 약 15분간 방치하여 숙성시키는 덖음 처리를 11회 반복하였다. 상기 덖음 처리를 거친 머위 잎을 약 하루 동안 실온에서 수분함량이 약 1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마쇄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머위 뿌리>
상기 실시예 1에 머위 잎 대신에 뿌리를 이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머위 뿌리 약초차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머위 잎 및 뿌리>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잎 및 뿌리 약초차 분말을 중량비 70:30으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 비교예 : 머위 잎 및 뿌리>
채취된 머위 잎을 덖음 처리를 하지 않고 50~60℃의 열풍건조실에서 수분함량 10%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마쇄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관능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서 제조된 머위 약초차 분말을 80℃의 물에 약 2%(w/v) 농도로 첨가하여 우려내어 훈련된 관능검사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3회의 반복에 의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향, 맛, 색,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5점 척도법에 따라 5점을 만점으로 하여 다음의 평가기준에 의하여 피시험자가 점수를 기록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구하여 기록하였다.
5: 아주 좋다 ~ 1: 아주 나쁘다
전체적인기호도
비교예 3.9 3.7 3.6 3.7
실시예 1 4.5 4.3 3.7 4.3
실시예 2 4.2 4.2 3.7 4.2
실시예 3 4.4 4.3 3.8 4.3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머위 잎 및 뿌리 약초차가 비교예보다 맛과 풍미에서 우월한 관능적 점수를 보였으며, 색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묘사 분석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머위 특유의 맛과 향이 어우러져 조화로운 느낌이 든다고 답하였다.

Claims (4)

  1. 머위의 잎과 뿌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는 하나 이상을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물기가 제거된 머위를 9~12회 반복하여 덖음 처리하는 단계;
    상기 덖음 처리를 거친 머위를 건조하고 분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위 약초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위는 산야에서 자생하는 것을 수집하여, 폭 120cm 이랑에 90cm 간격으로 1주씩 정식하여 재배하고, 잡초와의 경합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멀칭 처리하여 수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머위 약초차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약초차.
  4. 제3항의 머위 약초차를 함유하는 티백.
KR1020080026982A 2008-03-24 2008-03-24 머위 약초차 KR200901016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982A KR20090101689A (ko) 2008-03-24 2008-03-24 머위 약초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982A KR20090101689A (ko) 2008-03-24 2008-03-24 머위 약초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689A true KR20090101689A (ko) 2009-09-29

Family

ID=4135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982A KR20090101689A (ko) 2008-03-24 2008-03-24 머위 약초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16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980B1 (ko) * 2009-12-14 2012-05-09 하동군 취나물의 건조방법
KR20210135724A (ko) 2020-05-06 2021-11-16 김지연 머위 잎 발효 숙성차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980B1 (ko) * 2009-12-14 2012-05-09 하동군 취나물의 건조방법
KR20210135724A (ko) 2020-05-06 2021-11-16 김지연 머위 잎 발효 숙성차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Sabir et al. Pharmacognostic and clinical aspects of Cydonia oblonga: A review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KR100733841B1 (ko) 탈모방지용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1717431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2036522B1 (ko) 시나몬오매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101310019B1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1689A (ko) 머위 약초차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20090101693A (ko) 짚신나물 약초차
KR100512449B1 (ko) 차의 제조방법
CN102258065A (zh) 一种防治石榴蚜虫的配制方法
CN107213175B (zh) 一种野茉莉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927435B1 (ko) 당뇨병 개선 및 완화용 환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20120130535A (ko) 산수유를 이용한 건강 음료 제조 방법
KR102593227B1 (ko) 메밀 새싹을 이용한 항비만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362924B (zh) 一种辽东栎叶保健茶及其制备方法
WO2019090976A1 (zh) 一种菊芋胶囊及其制备方法
KR20190116003A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29367A (ko) 그라비올라를 포함하는 혼합차 제조 방법
KR20190097742A (ko)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한 식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25

Effective date: 2010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