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422B1 - 섬유 유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 유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422B1
KR101279422B1 KR1020110039197A KR20110039197A KR101279422B1 KR 101279422 B1 KR101279422 B1 KR 101279422B1 KR 1020110039197 A KR1020110039197 A KR 1020110039197A KR 20110039197 A KR20110039197 A KR 20110039197A KR 101279422 B1 KR101279422 B1 KR 101279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oftener
weight
softener composition
lacquer extract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296A (ko
Inventor
장영훈
박헌신
안준식
남상규
Original Assignee
충북도립대학산학협력단
청산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도립대학산학협력단, 청산화학(주) filed Critical 충북도립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42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11D3/0015Softening compositions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섬유 유연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옻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옻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항균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 유연제 조성물{FABRIC SOFTEN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옻 추출물을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옻나무(Rhus verniciflua 또는 Rhus vernicifera)는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중앙아시아 고원지대 및 히말라야 지방이 원산지이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열대지방을 중심으로 한 아열대 지방과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옻나무는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의 지역에서 재배된다.
옻나무의 수액을 옻(칠액)이라고 하며, 옻나무는 상기 칠액을 얻기 위해 주로 재배된다. 상기 칠액은 한방에서는 예로부터 건칠이 어혈을 없애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구충, 복통, 위산과다, 진해, 폐결핵, 통경, 변비, 당뇨, 학질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항암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되고 있다. 옻의 주성분은 우루시올(urushiol)이지만, 최근 들어 생화학적 유효성분으로 옻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에 널리 분포하는 황색 계통의 색소로 페닐기 2개가 C3사슬을 매개로 하여 결합한 탄소골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산성에는 안정하여 색이 더욱 선명해지지만, 강한 알칼리에는 그 구조가 변하여 짙은 황색이나 갈색으로 변한다.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이 있고,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한다. 최근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옻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항균성이 높은 섬유 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천연물질인 옻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섬유 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옻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옻 추출물은 0.5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옻 추출물의 브릭스값은 10 내지 20°Bx일 수 있다. 상기 옻 추출물은 열수추출법, 효소추출법, 또는 발효추출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옻 추출물은 우루시올이 제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1.0 내지 50중량%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디알킬 디메칠 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 이미다졸리늄염, 디알킬아미도 4급 암모늄염, 및 에스테르형 4급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0.1 내지 10중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하이드록시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의 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0.1 내지 10중량%의 가용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모노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코올 및 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0.1 내지 10 중량%의 향료, 0.1 내지 10 중량%의 소포제, 및 40 내지 95 중량%의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옻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항균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천연 물질인 옻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친환경적일 수 있다. 상기 옻 추출물은 독성 성분인 우루시올(urushiol)이 제거되어 피부 등 신체에 대한 자극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옻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옻 추출물은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옻 추출물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항균성에 대한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20중량% 초과이면 옻 추출물에 의한 세탁물의 이염 발생 및 제품 저장 안정성이 떨어져 소비자들이 사용할 때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상기 옻 추출물은 열수추출법, 효소추출법, 또는 발효추출법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은 양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향료, 소포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섬유 유연제의 특징인 정전기 방지의 역할이 부족하여 섬유 유연제의 특징을 나타내지 못할 수 있고, 50중량% 초과이면 옻 추출물과 상용성이 저하되어 침전이 발생되거나, 장기 저장시 색상이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디알킬 디메칠 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 이미다졸리늄염, 디알킬아미도 4급 암모늄염, 및 에스테르형 4급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옻 추출물에 대한 유화가 저하될 수 있고, 10중량% 초과이면 섬유 유연제를 사용하여 헹굼시 거품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10 내지 20의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50몰) 알킬에테르, 탄소수 10내지 20의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20몰) 알킬에스테르, 하이드록시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의 에틸렌 옥사이드(10 내지 30몰), 및 탄소수 10 내지 20의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50몰) 알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용화제는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옻 추출물의 가용성이 저하되어 불균일한 상태로 침전되거나, 상 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20중량% 초과이면 옻 추출물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모노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코올 및 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향료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옻 추출물의 특이취가 잔존하여 사용후 향취에 대한 불쾌함이 발생할 수 있고, 10중량% 초과이면 과량의 향취로 비경제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소포제는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소포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헹굼시 거품 발생으로 인하여 헹굼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10중량% 초과이면 섬유 유연제 표면에 유막이 형성되거나, 초과 투입으로 인한 거품 발생 억제 효과의 과다로 비경제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물은 상기 섬유 유연제 조성물에 대하여 40 내지 9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 실시예와 비교예 >
하기 표 1에 나타난 성분과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섬유 유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2는 우루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포함하고, 비교예 1은 옻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옻 추출물 0.5 5.0 -
에스테르형 4급 암모늄 6.5 6.5 6.5
비이온 계면 활성제1 ) 0.2 0.2 2.0
가용화제2 ) 0.1 0.1 0.1
기타 첨가제3 ) 0.1 0.1 0.1
0.3 0.3 0.3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주) 1) 폴리옥시에틸렌(7몰)
2) 모노에틸렌글리콜
3) NaCl, 실리콘 소포제
< 시험예 1> 마찰대전압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섬유 유연제에 대하여 마찰대전압 시험을 실시하여, 옻 추출물이 마찰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상기 마찰대전압 시험은 세제 농도를 0.7ml/L로 하여 40 x 80cm 크기의 백 면포와 폴리에스터 포(각각 한국의류시험연구원 제작)를 가정용 세탁기의 저수위(40ℓ)에서 세탁시간 3분으로 세탁한 시험포를 KS K 0555:2005 B법으로 마찰대전압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면 마찰포 1,200 1,100 1,800
폴리에스터 마찰포 1,500 1,200 2,30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옻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의 섬유 유연제가 옻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섬유 유연제보다 정전기 방지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2> 피부 자극 평가
옻 추출물을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의 피부자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 물질인 NZW 토끼의 피부에 24시간 동안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섬유 유연제를 도포한 후 72시간 동안의 사망률,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피부자극성을 평가하였다. 토끼피부를 시험 전 24시간 전에 제모를 실시한 후 각각 2.5 X 2.5cm 크기의 시험부위와 대조부위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주사기의 바늘 끝으로 각질층은 손상되나 진피는 손상되지 않으며 피가 나지 않는 정도의 찰과상을 입혔다. 실시예 1 및 2의 섬유 유연제로 찰과부위 1개소와 비찰과부위 1개소에 0.5ml씩 각각 도포한 후 비자극성 테이프(Tegarderm, 3M)와 탄력붕대(Codan,3M)로 잘 고정하여 24시간 동안 폐쇄첩포하였다. 비교예 1의 섬유 유연제의 멸균 거즈를 멸균 증류수에 적시어 같은 방법으로 도포하였다. 시험물질 노출시간 종료 시 남아있는 실시예 1 및 2의 섬유 유연제는 멸균 증류수를 이용해 부드럽게 세정하였다.
하기 표 3의 피부반응의 평가표에 준하여 피부반응을 평가하였고, 평가한 값을 하기 표 4 Draize의 P.I.I(Primary Irriation, Index) 산출 방법에 따라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1) 홍반과 가피형성
홍반이 전혀 없음 0
아주 가벼운 홍반(육안으로 겨우 식별할 정도) 1
뚜렷한 홍반 2
약간 심한 홍반 3
심한 홍반(홍당무 색)과 가피 형성 4
총 가능한 등급의 합 4
(2) 부종 형성
부종이 전혀 없음 0
아주 가벼운 부종(육안으로 식별할 정도) 1
경증의 부종(뚜렷하게 부어 올라서 변연부가 구별될 정도) 2
중증의 부종(약 1mm 정도 부어 올랐을 경우) 3
심한 부종(1mm 이상 부어오르고 노출부위 밖에까지 확장된 경우) 4
총 가능한 등급의 합 4
정도(P.I.I) 구 분
0.0 ~0.5
0.6~2.0
2.1~5.0
5.1~8.0
None irritant(비자극성)
Mild irritant(약한 자극성)
Moderate irritant(중증도 자극성)
Severe irritant(강한 자극성)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피부자극시험 0.0 0.0 0.0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옻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의 섬유 유연제는 옻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섬유 유연제와 마찬가지로 홍판, 가피, 부종 등을 유발하지 않았고, P.I.I 지수가 0.0인 비자극성물질(None irritant)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루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가 피부에 자극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3> 항균성 평가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을 액체배지에 배양시킨 후 배양된 세균을 희석하여 초기 세균수가 105~106 CFU/mL이 되도록 조정하여 항균성을 평가하였다. 시험물질을 표준사용량(0.07%(w/v))으로 용해한 용액을 시험용액으로 사용하였으며, 시험용액 20ml에 시험균액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상온에서 30분±5초간 방치하였을 때 세균수를 측정하여 초기 세균수에 대한 세균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생리식염수를 대조로 하여 세균수를 측정한 것을 초기 세균수로 표시하였다. 이때 모든 실험의 최초 희석 단계에서는 D/E Neutralizing broth(DIFCO)를 이용하여 중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시험을 실시하였다.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한 경우, 배지 상의 균수에 희석 배수를 곱하여 산출하였으며, 배지에서 세균이 증식하지 않은 경우는 중화단계에서 이루어진 희석배수를 곱하여 10 미만으로 산출하였다. 세균감소율을 하기 수학식으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세균감소율(%) = 〔(초기세균수-일정시간 후 세균수)/초기세균수)〕x 100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대장균 99.1% 99.1% 18.9%
황색포도상구균 99.7% 99.7% 99.7%
상기 표 6를 참조하면, 옻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의 섬유 유연제가 옻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섬유 유연제에 비하여 대장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옻 추출물 0.5 내지 20중량%, 양이온 계면활성제 1.0 내지 50중량%,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옻 추출물의 브릭스값은 10 내지 20°Bx인 섬유 유연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옻 추출물은 열수추출법, 효소추출법, 또는 발효추출법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옻 추출물은 우루시올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디알킬 디메칠 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 이미다졸리늄염, 디알킬아미도 4급 암모늄염, 및 에스테르형 4급 암모늄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하이드록시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의 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0.1 내지 10중량%의 가용화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용화제는 에틸알코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모노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코올 및 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0.1 내지 10중량%의 향료,
    0.1 내지 10중량%의 소포제, 및
    40 내지 95중량%의 물을 더 포함하는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1020110039197A 2011-04-26 2011-04-26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101279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197A KR101279422B1 (ko) 2011-04-26 2011-04-26 섬유 유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197A KR101279422B1 (ko) 2011-04-26 2011-04-26 섬유 유연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296A KR20120121296A (ko) 2012-11-05
KR101279422B1 true KR101279422B1 (ko) 2013-06-27

Family

ID=4750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197A KR101279422B1 (ko) 2011-04-26 2011-04-26 섬유 유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779B1 (ko) * 2018-10-25 2020-02-03 주식회사 럭키산업 솔잎 추출물이 삽입된 아미노클레이를 이용한 항균성 섬유유연제와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556A (ko) * 2001-05-24 2001-07-27 한종수 독성을 제거한 옻물의 제조방법 및 옻물 제조장치
KR20030050969A (ko) * 2001-12-20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00003863A (ko) * 2008-07-02 2010-01-12 박기영 옻나무를 이용한 천연 곤충 기피제, 그 제조방법 및 그살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556A (ko) * 2001-05-24 2001-07-27 한종수 독성을 제거한 옻물의 제조방법 및 옻물 제조장치
KR20030050969A (ko) * 2001-12-20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제 조성물
KR20100003863A (ko) * 2008-07-02 2010-01-12 박기영 옻나무를 이용한 천연 곤충 기피제, 그 제조방법 및 그살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779B1 (ko) * 2018-10-25 2020-02-03 주식회사 럭키산업 솔잎 추출물이 삽입된 아미노클레이를 이용한 항균성 섬유유연제와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296A (ko) 201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38356B (zh) 一种物理抗菌湿巾及其制备方法
KR20190031983A (ko)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활화학제품용 조성물
CN108210393A (zh) 一种抗菌保湿去角质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1279422B1 (ko) 섬유 유연제 조성물
JP6262434B2 (ja) 肌着用の抗菌スプレー剤組成物
CN102037989B (zh) 消毒和/或杀菌用水性组合物
US8685380B2 (en) Deodorant spray
KR20140034036A (ko) 물티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AU2017397235B2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including benzoic acid ester and methods of inhibiting bacterial growth utilizing the same
KR101856771B1 (ko) 알킬-pg-디모늄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물티슈용 조성물
JP5465158B2 (ja) 織物用発熱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発熱織物の製造方法
KR101293608B1 (ko) 세제 조성물
CN108210373A (zh) 一种去角质沐浴露及其制备方法
AU2017420730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including a dihydroxamic acid and methods of inhibiting microbial growth utilizing the same
KR20220163066A (ko) 친환경 생분해성 물티슈의 제조방법
KR20160131246A (ko) 비누 조성물
KR102062826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JP2023540871A (ja) エマルジョン剤形の消毒剤組成物
KR20220032486A (ko) 에멀젼 제형의 소독제 조성물
KR20220136183A (ko) 스프레이형의 섬유 처리제 조성물
KR20230114136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TW202233155A (zh) 擦拭片、及擦拭片含浸用之水系組成物
KR20130104257A (ko) 냉감 기능을 갖는 남성용 건강 팬티
CN116472022A (zh) 稳定的抗微生物制剂浓缩物
KR20160140408A (ko) 향 농축 섬유유연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