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038A -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038A
KR20010067038A KR1020000043937A KR20000043937A KR20010067038A KR 20010067038 A KR20010067038 A KR 20010067038A KR 1020000043937 A KR1020000043937 A KR 1020000043937A KR 20000043937 A KR20000043937 A KR 20000043937A KR 20010067038 A KR20010067038 A KR 20010067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upply
air
feeder
convey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9052B1 (ko
Inventor
마사미찌 쯔찌야
마사유끼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구보타 요시로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타 요시로,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filed Critical 구보타 요시로
Publication of KR20010067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4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피가공재를 한 개씩 확실히 분리하여 반송 테이블의 수납부로 공급할 수 있는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피가공재 자동 공급 장치(10)는 복수의 피가공재를 연속하여 반송하는 공급기(11)와, 피가공재를 수납하는 수납부(13a)가 외주에 형성된 원형의 반송 테이블(13)을 구비한다. 공급기(11)와 반송 테이블(13)간에는, 공급로(20)를 가지는 분리 공급부(12)가 설치된다. 반송 테이블(13)의 수납부(13a)에는 피가공재를 흡인하는 흡인구(30)가 설치되어 있다. 공급로(20)는 한 쌍의 측벽면(21a,21b)에 의해 형성되며, 한 쪽 측벽면(21a)에 공기 분출구(22a)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분출구(22a)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수납부(13a)로 흡인된 피가공재의 후속되는 피가공재를 다른 쪽 측벽면(21b)으로 밀어붙여 정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WORKS}
본 발명은 피가공재를 한 개씩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는 피가공재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칩부품(피가공재)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피가공재 자동 공급 장치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피가공재(W1,W2,W3…)를 직선상으로 연속 반송하는 공급기(11)와, 공급기(11)에 연결되어 피가공재(W1,W2,W3…)를 수납하는 수납부(13a)가 외주에 형성된 원형의 반송 테이블(13)을 구비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5에 있어서, 공급기(11)의 공급로(11a) 바닥면에는, 패드(2)와 투광부(25)와 니들(3)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직선 공급기(11)의 공급로(11a)는 상부 커버(27)에 의해 커버되어 있으며, 상부 커버(27)에는 투광부(25)에 대향되어 광센서(26)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니들(3)이 상승하고 패드(2)가 하강하면, 니들(3)이 피가공재를 정지시켜 광센서(26)에 대한 빛이 차단된다. 다음으로 패드(2)가 상승하고 니들(3)이 하강하면, 피가공재(W1)가 상부 커버(27)에 밀어붙여져 피가공재(W1)보다 전방에 있는 피가공재가 흡인구(30)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에 의해 반송 테이블(13)의 수납부(13a)내부에 수납된다. 이 때 광센서(26)로 빛이 통과되고, 반송테이블(13)이 1피치만큼 회전한다.
또한 다른 자동 공급 장치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기(11)의 공급로(11a) 바닥면에 분리핀(4)이 설치된 것도 있다.
도 6에 있어서, 분리핀(4)이 하강하면, 피가공재가 흡인구(30)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에 의해 반송 테이블(13)의 수납부(13a)내부에 수납된다. 이 때 광센서(26)가 일시적으로 차단되고, 그 후 분리핀(4)이 상승하여 칩부품(W1)을 정지시켜 반송 테이블(13)이 1피치만큼 회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가 알려져 있으나, 피가공재의 소형화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자동 공급 장치에서는, 패드(2)에 의해 상부 커버(27)에 밀어붙여진 피가공재(W1)가 상부 커버(27)에 달라붙고 말아 공급로(11a)내부를 원활히 이동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도 6에 도시된 자동 공급 장치에서는 분리핀(4)을 상승시켜 가령 피가공재(W1)와 피가공재(W2)를 분리시키지만, 분리핀(4)의 상승 타이밍을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공급기로부터 피가공재를 한 개씩 확실히 분리시키면서 반송 테이블로 공급할 수 있는 피가공재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2개의 피가공재가 반송 테이블의 수납부로 흡인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 5는 종래의 자동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종래의 자동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가공재 자동 공급 장치 11 : 공급기
11a,20 : 공급로 12 : 분리 공급부
13 : 반송 테이블 13a : 수납부
21a, 21b : 한 쌍의 측벽면 22a : 공기 분출구
22b : 공기 배출구 25 : 투광부
26 : 광센서 30 : 흡인구
W,W1,W2,W3: 피가공재
본 발명은, 복수의 피가공재를 연속하여 반송하는 공급기와, 피가공재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외주에 형성되는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반송 테이블과, 공급기와 반송 테이블간에 설치되며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피가공재를 반송 테이블의 수납부내부로 한 개씩 공급하는 공급로를 가지는 분리 공급부를 구비하고, 반송 테이블의 수납부에 분리 공급부의 공급로내에 있는 피가공재를 흡인하도록 공기 흡인구가 설치되고, 분리 공급부의 공급로는 한 쌍의 벽면으로 형성되며, 한 쪽 벽면에 반송 테이블의 수납부로 흡인된 피가공재의 뒤이어 오는 피가공재를 공기에 의해 다른 쪽 벽면으로 밀어붙이는 공기 분사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기로부터 분리 공급부의 공급로로 피가공재가 공급된다. 분리 공급부의 공급로내부에 있는 피가공재는, 공기 흡인구에 의해 흡인되어 반송 테이블의 수납부내부로 보내어진다. 이 경우, 공급부내의 뒤이어 오는 피가공재는 한 쪽 벽면에 설치된 공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다른 쪽 벽면으로 밀어붙여져 정지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칩부품의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재 자동 공급 장치(10)는 복수의 칩부품(피가공재, W,W1,W2,W3…)을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반송하는 공급기(11)와, 피가공재(W,W1,W2,W3…)를 수납하는 수납부(13a)가 그 외주에 형성되며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된 원형상의 반송테이블(13)을 구비하고, 공급기(11)와 반송 테이블(13)간에는 공급기(11)로부터 제공된 피가공재(W,W1,W2,W3…)를 하나씩 분리하면서 반송 테이블(13)의 수납부(13a)내부로 공급하는 분리 공급부(12)가 설치되며, 상기 분리 공급부(12)는 공급기(11)와 반송 테이블(13)로부터 독립 배치되어 피가공재(W,W1,W2,W3…)용 공급로(20)를 가진다.
반송 테이블(13)의 외주에는 수납부(13a)내의 피가공재(W,W1,W2,W3…) 측정부(도시생략), 극성 반전부(도시생략), 외관 검출부(도시생략) 및 배출부(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반송 테이블(13)의 수납부(13a)내부에 있는 피가공재(W,W1,W2,W3…)는 삽입부(16)에 의해 캐리어 테이브(15)의 엠보싱부(15a)내부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a), 1(b) 내지 도 3(a), 3(b)를 이용하여 분리 공급부(12)에 관하여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a) 및 2(a)는 피가공재 자동 공급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b) 및 2(b)는 각각 도 1(a) 및 2(a)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a), 3(b)는 피가공재 자동 공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a), 1(b) 내지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기(11)의 공급로(11a)는 상부 커버(27)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또한, 분리 공급부(12)의 공급로(20)는 한 쌍의 측벽면(21a, 21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분리 공급부(12)의 공급로(20)와 반송 테이블(13)의 수납부(13a)는, 사파이어 글래스(28a)가 끼워진 상부 커버(28)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또한 공급로(20)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면(21a, 21b)중 한쪽 측벽면(21a)에는 피가공재(W,W1,W2,W3…)를 다른 쪽 측벽면(21b)으로 밀어붙이도록 공기 분사구(2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 측벽면(21b)에는, 공기 분사구(22a)에 대향되도록 공기 배출구(22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 분사구(22a)는 공기 공급부(3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공기 분사구(22a)와 공기 배출구(22b)는, 공급로(20)중 반송 테이블(13)의 측단부로부터 피가공재(W) 1개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3(a), 3(b) 참조).
또한 도 1(a), 1(b) 내지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공급부(12)의 공급로(20)중, 반송 테이블(13) 근방의 바닥면에 투광부(25)가 설치되고 투광부(25)에 대향되는 상부 커버(28)에는 광센서(26)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반송 테이블(13)의 각 수납부(13a)내부에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구(30)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하여 도 2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기(11)의 공급로(11a)를 통해 복수의 피가공재(W,W1,W2,W3…)가 서로 인접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반송되며, 공급로(11a)의 피가공재(W,W1,W2,W3…)는 그 후 분리 공급부(12)의 공급로(20)내부로 순차적으로 보내어진다. 이 경우, 피가공재(W,W1,W2,W3…)로서는 1.0mm×0.5mm×1.0mm의 직방체형상의 칩부품이 이용된다.
도 2에 있어서, 분리 공급부(12)의 공급로(20)내에서는, 선두에 있는 피가공재(W)가 반송 테이블(13)의 수납부(13a)내부로 흡인되며 후속되는 피가공재(W1)는 공급로(20)내에서 정지한다.
즉, 공급로(20)내의 선두에 있는 피가공재(W)는, 수납부(13a)에 설치된 흡인구(30)에 의해 흡인되는 공기에 의해 수납부(13a)내부로 이끌리어 반송 테이블(13)의 수납부(13a)내부에 수납된다.
이 때 피가공재(W)는 투광부(25)로부터 광센서(26)로 투광되는 빛을 차단하고, 광센서(26)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40)가 공기 공급부(35)를 ON시킨다. 이로써, 한 쪽 측벽면(21a)에 설치된 공기 분사구(22a)로부터 공기가 분사되고, 피가공재(W)다음의 피가공재(W1)가 공기 분사구(22a)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다른쪽 측벽면(21b)으로 밀어붙여진다.
이와 같이 피가공재(W1)를 다른 쪽 측벽면(21b)으로 밀어붙이고 정지시킴으로써, 선두에 있는 피가공재(W)만을 흡인구(30)를 통해 흡인되는 공기에 의해 반송테이블(13)의 수납부(13a)내부로 보낼 수 있다.
공기 분사구(22a)로부터 공기가 분사되면, 공기의 대부분은 공기 배출구(22b)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공기 분사구(22a)로부터 공기 배출구(22b)로 연결되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공급로(20)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피가공재(W1)를 공기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어붙일 수 있다. 또한 일부 공기는 피가공재(W1)의 측방을 통과하여 공급기(11)와 분리 공급부(12)사이에서 외부로 방출된다. 피가공재(W1)측방을 통과하는 공기는 피가공재(W1)다음의 피가공재(W2)를 공급기(11)쪽으로 다시 밀고, 이로써 피가공재(W1)와 피가공재(W2)가 분리된다. 동시에 공기 분사구(22a)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선두에 있는 피가공재(W)를 반송 테이블(13)의 수납부(13a)내부로 확실히 밀어넣는다.
즉, 각 수납부(13a)에는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구(30)가 설치되어 있는데, 공기 분사구(22a)로부터 분사된 공기에 의해 피가공재(W)를 수납부(13a)내부로 밀어넣음으로써 흡인구(30)에서 공기의 흡인력에 편차가 발생하여도 공기 분사구(22a)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피가공재(W)를 수납부(13a)내부로 확실히 수납할 수 있다.
그 후 선두에 있는 피가공재(W)가 완전히 수납부(13a)내부로 수납되면, 투광부(25)로부터 광센서(26)로 투광되는 빛이 통과하게 되고, 제어부(40)에 의해 반송 테이블(13)이 1피치만큼 회전구동하여 도 1의 상태로 돌아온다.
다음으로 제어부(40)가 공기 공급부(35)를 OFF로 하고, 피가공재(W1)다음의 피가공재(W2)가 후속되는 피가공재(W3)에 의해 밀리어 분리 공급부(12)의 공급로(20)내부로 공급되며, 동시에 공급로(20)내부에서 정지되어 있던 피가공재(W1)가 수납부(13a)의 흡인구(30)에 의한 공기 흡인력에 의해 수납부(13a)쪽으로 보내어진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급로(20)내부의 피가공재(W1)와 공급기(11)내부의 피가공재(W2)는 미리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피가공재(W1)만을 수납부(13a)내부로 확실히 보낼 수 있으며, 다음의 피가공재(W2)는 공기 분사구(22a)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공급로(20)의 다른쪽 측벽면(21b)에 밀어붙여져 정지된다.
이리하여 공급기(11)내부의 피가공재(W,W1,W2,W3…)를 순차적으로 한 개씩 확실히 분리하면서 반송 테이블(13)의 수납부(13a)내부로 보낼 수 있다. 또 상기한 형상(1.0mm×0.5mm×1.0mm)의 피가공재(W,W1,W2,W3…)를 이용한 경우, 피가공재 한 개당 수납부(13a)에 대한 이송 시간을 가령 23∼40ms로 할 수 있으며, 피가공재의 공급속도를 1200개/분∼1800개/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분리 공급부(12)의 공급로(20)내에서 일어나는 피가공재의 분리작업은, 사파이어 글래스(28a)를 통해 위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3(b)을 통해 분리 공급부(12)의 공급로(20)내에 2개의 피가공재(W,W1)가 배치되고, 이들 2개의 피가공재(W,W1)가 반송 테이블(13)의 수납부(13a)내에 있는 흡인구(30)에 의해 흡인된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피가공재(W,W1)가 흡인구(30)에 의해 흡인되어 수납부(13a)측으로 보내어지면, 투광부(25)로부터 광센서(26)로 투광되는 빛이 차단된다(도 3(a)). 다음으로 공기 공급부(35)가 ON되며 공기 분출구(22a)로부터 공기가 분출된다.
이 경우, 공기 분출구(22a)는 분리 공급부(12)의 공급로(20)중 반송 테이블(13)의 측단부로부터 피가공재(W) 1개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분출구(22a)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피가공재(W1)의 후방을 부압(負壓)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부압에 의해 피가공재(W1)를 공급기(11)측으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수납부(13a)로 보내어진 피가공재(W)와 뒤이어 오는 공급로(20)내의 피가공재(W1)를 확실히 분리시킬 수 있다(도 3(b)).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 공급부의 공급로내에 있는 피가공재를 공기흡인구로부터 흡인하여 반송 테이블의 수납부내부로 보내는 동시에 공급로내의 뒤이어 오는 피가공재를 공급로의 한 쪽 벽면에 설치된 공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공급로의 다른 쪽 벽면으로 밀어붙여 정지시킬 수 있다. 이로써공급기로부터 보내어지는 피가공재를 한 개씩 확실히 분리하여 반송 테이블의 수납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 공급 장치에 설치된 니들, 패드 및 분리핀이 필요없고 공기 분출구의 작동만으로도 피가공재의 분리 및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피가공재를 분리 및 공급하는 기구를 간략화할 수 있다.

Claims (5)

  1. 복수의 피가공재를 연속하여 반송하는 공급기와,
    피가공재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외주에 형성되는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반송 테이블과,
    공급기와 반송 테이블간에 설치되며,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피가공재를 한 개씩 반송 테이블의 수납부내부로 공급하는 공급로를 가지는 분리 공급부를 구비하며,
    반송 테이블의 수납부에 분리공급부의 공급로내부에 있는 피가공재를 흡인하는 공기 흡인구가 설치되며,
    분리 공급부의 공급로는 한 쌍의 벽면으로 형성되며, 한 쪽 벽면에 반송 테이블의 수납부로 흡인된 피가공재의 뒤이어 오는 피가공재를 공기에 의해 다른 쪽 벽면으로 밀어붙이는 공기 분사구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분리 공급부의 공급로의 다른 쪽 벽면에, 한 쪽 벽면의 공기 분사구에 대향되도록 공기 배출구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 분사구는 분리 공급부의 공급로중, 반송 테이블측단부로부터 피가공재 1개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분사구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는, 다른 쪽 벽면으로 밀어붙여진 피가공재의 측방을 통과하여 공급기와 분리 공급부간에서 외방으로 방출되며, 이로써, 다른 쪽 벽면에 밀어붙여진 피가공재의 뒤이어 오는 피가공재를 공급기쪽으로 되돌림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 공급부의 공급로중 반송 테이블 근방에 피가공재의 통과를 검지하는 센서가 설치되며,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공기 분사구가 ON, OFF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
KR10-2000-0043937A 1999-12-28 2000-07-29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 KR100379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373297 1999-12-28
JP37329799A JP3363421B2 (ja) 1999-12-28 1999-12-28 ワークの自動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038A true KR20010067038A (ko) 2001-07-12
KR100379052B1 KR100379052B1 (ko) 2003-04-07

Family

ID=1850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937A KR100379052B1 (ko) 1999-12-28 2000-07-29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63421B2 (ko)
KR (1) KR100379052B1 (ko)
TW (1) TW542219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372B1 (ko) * 2011-12-19 2013-04-30 나승옥 워크 정지체가 구비된 워크 반송장치
KR101363957B1 (ko) * 2012-10-31 2014-02-18 나승옥 워크반송장치
KR101430612B1 (ko) * 2013-12-17 2014-08-18 나승옥 워크반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6946B2 (ja) * 2005-03-28 2011-11-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物品搬送装置
JP4906058B2 (ja) * 2006-02-27 2012-03-28 株式会社 東京ウエルズ ワーク搬送システム
JP5206837B2 (ja) * 2011-04-28 2013-06-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物品搬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372B1 (ko) * 2011-12-19 2013-04-30 나승옥 워크 정지체가 구비된 워크 반송장치
KR101363957B1 (ko) * 2012-10-31 2014-02-18 나승옥 워크반송장치
KR101430612B1 (ko) * 2013-12-17 2014-08-18 나승옥 워크반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9052B1 (ko) 2003-04-07
JP2001187634A (ja) 2001-07-10
JP3363421B2 (ja) 2003-01-08
TW542219U (en) 200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772B1 (ko) 워크 삽입 기구 및 워크 삽입 방법
JP4906058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JPH0767033B2 (ja) 自動装着装置
KR100379052B1 (ko)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
KR20040031614A (ko) 워크 배치 장치
KR100682813B1 (ko) 워크 반송 시스템
JP3613531B2 (ja) チップ自動分離搬送装置
KR101707217B1 (ko) 원판형 부품 공급장치
KR100377597B1 (ko) 워크 반송 장치
KR100854990B1 (ko) 워크 반송 장치
JP5923827B2 (ja) ワーク挿入装置およびワーク挿入方法
JP6983326B2 (ja) スプライシングテープ、テープ判定方法、及びテープ判定装置
JP3521401B2 (ja) 電子部品整列供給装置
JPH07205918A (ja) チップ部品装填装置
JP2001002242A (ja) 電子部品整列供給装置
KR20020011339A (ko) 워크 반송 장치
JP2558251B2 (ja) パ−ツフイ−ダのゲ−トブロツク
KR101591242B1 (ko) 워크 배출장치
US4282966A (en) Feeding and orienting device
JP2000072250A (ja) 浮上搬送装置用の気体噴出構造および噴出孔形成方法
KR101501602B1 (ko)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KR20210157369A (ko) 들뜸 방지 구조의 부품 피더
JPH05132121A (ja) 部品供給装置
JPH10145089A (ja) チップの供給装置
KR20110077339A (ko) 기판 반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