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602B1 -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602B1
KR101501602B1 KR20130159264A KR20130159264A KR101501602B1 KR 101501602 B1 KR101501602 B1 KR 101501602B1 KR 20130159264 A KR20130159264 A KR 20130159264A KR 20130159264 A KR20130159264 A KR 20130159264A KR 101501602 B1 KR101501602 B1 KR 101501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air
intake port
injection hol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환
신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인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인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인이엔지
Priority to KR2013015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65G51/03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over a flat surface or in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칩과 같은 부품을 진동을 사용하지 않고 공급하는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 이송로 상에 설치된 커버에 공기 분사공을 형성하여 부품 이송 방향으로 가압 공기를 분사하는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Non-vibration type parts feeder}
본 발명은 전자칩과 같은 부품을 진동을 사용하지 않고 공급하는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이송로 상에 설치된 커버에 공기 분사공을 형성하여 부품 이송 방향으로 가압 공기를 분사하는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한 전자 부품 등은 진동에 의해 부품을 이송시키는 진동식 파츠 피더(parts-feeder)에 의해 하류 측에 설치된 피가공물 검사장치나 피가공물 실장장치와 같은 각종 처리장치로 이송된다.
예를 들면, 선두의 부품을 후속의 부품과 분리하여 특정한 장소에 위치 결정하고, 이와 같이 위치 결정된 선두의 부품을 회전 인덱서(rotary indexer)나 로봇 핸드 등에 의해 배출시킨다.
또한, 연속 공급중인 부품들 중 배출될 선두의 부품을 후속의 피가공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후속의 피가공물을 진공흡인(흡착)하여 일시적으로 대기시키는 피가공물 분리수단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진동식 파츠 피더를 이용하면 배출될 부품이 특정한 장소에 위치 결정되었다고 하여도 그 부품이 반송로와 함께 진동하고 있기 때문에 배출수단과의 상대 위치가 어긋남에 따라 배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이송로 자체가 진동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의 위치를 결정할 때 정지면 상에서 부품의 반동이 생기고 이것에 의하여 부품이 본래의 정지위치에서 벗어나고, 배출시에 부품의 바닥면이 마찰 손상될 우려도 있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62601호에서는 진동에 의해 부품이 이송되는 부분과 부품이 배출되는 위치 결정부를 서로 분리함으로써, 위치 결정부에서는 무진동 상태에서 로봇 핸드 등에 의해 부품이 배출되게 하는 장치를 제안하였다.
즉, 도 1과 같이 피가공물 반송로(11a)가 형성된 반송체(11) 및 피가공물이 반출되는 피가공물 분리유닛(15)를 서로 나란히 조립하되 이들을 서로 분리배치하고, 이때 피가공물 반송로(11a)는 진동기구(12)에 의해 진동되게 하고, 피가공물 분리유닛(15)은 접속부재(13) 상에 무진동 상태로 설치하였다.
따라서, 피가공물(즉, 부품)이 진동중인 피가공물 분리유닛(15)의 피가공물 반송로(11a)를 따라 이송되고, 피가공물 반송로(11a)에서 배출된 피가공물은 피가공물 분리유닛(15)에 공급되어 단말부의 특정 위치에서 로봇 핸드 등에 의해 배출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피가공물 분리유닛(15)에는 피가공물 이송로(15a)가 형성되어 있고, 피가공물 이송로(15a)의 단말부에는 종단면(15a)이 형성되어 있어서 피가공물이 종단면(15a)까지 이동 후 배출된다.
이때, 피가공물 이송로(15a)의 단말부 바닥면에는 제1 개구부(17a)가 형성되고, 그 상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제2 개구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단면(15a)에 도달한 선두의 피가공물은 제1 개구부(17a)를 통해 공기가 배출시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그 위치가 결정되어 고정되고, 후속의 피가공물은 제2 개구부(16a)를 통해 공기가 배출시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고정 및 대기하게 된다.
다음, 로봇 핸드 등이 제1 개구부(17a)의 직상부로 이동하여 피가공물을 들어올릴 때 제1 개구부(17a)는 흡인 동작을 중지한다. 아울러, 제2 개구부(16a)는 흡인을 중지함과 동시에 반대로 공기를 배출함에 따라 그 힘으로 대기 상태에 있던 후속의 피가공물이 제1 개구부(17a)가 있는 종단면(15a) 측으로 이송되게 한다.
또한, 도 3과 같이 제1 개구부(17a)는 위치 결정용 통기구멍(17)을 통해 배기장치(E2)에 연결되어 배기동작이 이루어지고, 제2 개구부(16a)는 분리용 통기구멍(16)을 통해 배기장치(E1) 및 급기장치(A1)에 각각 연결되어 있어서 흡기 또는 배기 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2와 같이 검출라인(L1, L2)에 각각 연결된 제1 검출기(S1) 및 제1 검출기(S2)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현재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제어기(c)가 선두 및 그 후속의 피가공물들을 분리 및 위치 결정하도록 2개의 배기장치(E1, E2) 및 급기장치(A1)를 독립하여 제어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선두의 피가공물(P1)은 제1 영역(15Y) 내의 제1 개구부(17a)에 의해 배출될 위치가 결정되고, 후속의 피가공물(P2)은 제2 영역(15X) 내의 제2 개구부(16a)에 의해 선두의 피가공물(P1)이 배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피가공물 이송로(15a) 상의 제2 영역(15X) 내에 제2 개구부(16a)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개구부(16a)에 배기장치(E1) 및 급기장치(A1)를 각각 연결하여 흡기 및 배기 동작을 번갈아가며 수행하였다.
따라서, 흡기 상태에서 배기 상태로 전환시 진공 파괴가 일어나면서 급작스런 공기 배출이 발생하면 정자세(예: 결정된 상면이 위를 향하고 및 결정된 전방부가 전방을 바라보도는 자세)의 피가공물이 흐트러지는 것(튐, 회전, 뒤집힘 등)을 비롯하여 각종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배기장치(E1) 장치에 의한 흡기 타이밍(즉, 후속의 피가공물 대기 상태)과 급기장치(A1)에 의한 배기 타이밍(즉, 후속의 피가공물을 단말부로 이송 상태)을 정확히 맞추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제어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에는 흡기 상태에서 배기 상태로 전환하여 피가공물을 단말부로 이송시 정밀한 제어가 어려워서 피가공물이 배출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배출 장치를 이용한 배출시 픽업 미스(pick up miss)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62601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종래에는 부품(피가공물)의 대기 위치에 급기장치 및 배기장치를 모두 연결하고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흡기와 배기를 번갈아가며 실행하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상기 개구부에서는 흡기만 이루어지고 배기는 그 상부에 별도로 설치된 커버를 통해 계속 유지하는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는 상면에 길이가 긴 홈 형상의 제1 부품 이송로를 가지며, 상기 제1 부품 이송로에 놓인 부품을 진동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진동 슈트와; 상기 진동 슈트와 간격을 갖도록 인접 설치되되, 상기 제1 부품 이송로에서 배출된 부품을 제공받도록 상기 제1 부품 이송로의 배출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부품 이송로의 배출방향과 일직선상에 나란하게 구비된 제2 부품 이송로와, 상기 제2 부품 이송로의 종단부에 형성된 종단 정지턱과, 상기 종단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흡입 공기를 이용하여 부품을 고정하는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 및 상기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의 상류측에 이격 설치되며 흡입 공기를 이용하여 부품을 고정하는 대기용 흡기구를 갖는 무진동 부품 배출기; 및 상기 진동 슈트의 하류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 부품 이송로 상에서 부품이 상기 대기용 흡기구를 향해 이동하도록 공기를 가하는 제1 분사공 및 부품이 상기 대기용 흡기구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를 향해 이동하도록 공기를 가하는 제2 분사공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는 상기 진동 슈트의 하류측 상부에서 상기 무진동 부품 배출기의 상류측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분사공과 제2 분사공은 각각 상기 커버 내부에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분사공의 하향 경사 각도는 상기 제2 부품 이송로의 상류측과 상기 대기용 흡기구 사이에 공기를 분출하도록 조절되고, 상기 제2 분사공의 하향 경사 각도는 상기 대기용 흡기구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 사이에 공기를 분출하도록 조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분사공의 공기 유입측과 상기 제2 분사공의 공기 유입축은 공통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분사공과 제2 분사공의 공통 연결부 이외의 부분은 서로 상하 방향에 배치되도록 분기되며, 상기 제1 분사공과 상기 제2 분사공의 공통 연결부에는 공기를 계속하여 공급하는 공기 공급노즐이 공통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 공급량이 상기 제2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 공급량보다 많도록 상기 제1 분사공의 단면적이 상기 제2 분사공의 단면적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품이 상기 대기용 흡기구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 및 상기 대기용 흡기구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의 사이에 있는지 각각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커버에 형성된 제1 분사공 및 제2 분사공을 통해 계속해서 공기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검출센서부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대기용 흡기구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대기용 흡기구를 통해서는 대기 위치에 도달한 부품을 흡입하여 고정시키고, 커버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서는 대기 상태에 있던 부품의 이송을 위한 공기를 계속 공급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흡기와 배기를 서로 분리한 구조를 채택한다.
따라서, 하나의 대기용 흡기구에서 흡기와 배기를 모두 수행할 경우 흡기에서 배기로 전환시 발생하는 진공 파괴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부품을 최종 배출 위치로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송시키게 한다. 또한, 설비가 단순해짐은 물론, 흡기와 배기를 포함한 설비의 제어를 단순화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부품 공급장치에 의해 선두 및 후속의 부품 이송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의 커버를 나타낸 절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 중 그 일부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그 외 다른 공지의 구성 역시 포함함은 자명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62601호와의 차이점을 주로 하여 설명하며, 그외 동일 혹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러뜨리지 않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지만, 이와 같이 생략된 부분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먼저,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100)는 진동에 의해 부품을 일측으로 이송하는 진동 슈트(210)와, 상기 진동 슈트(210)로부터 부품을 공급받아 그 종단부의 배출위치로 이송하는 무진동 부품 배출기(220) 및 상기 무진동 부품 배출기(220)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여 부품을 종단부까지 이송되게 하는 커버(230)를 포함한다.
이때, 진동 슈트(210)는 그 하부에 진동기구가 설치되어 있어서 작동 중 계속해서 미세 진동이 일어나며 이 진동에 의해 부품을 일측으로 이송시킨다. 반면, 무진동 부품 배출기(220)는 진동 슈트(210)로부터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 슈트(210)의 단부로부터 소정 간격(G)으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진동 슈트(210)를 통해 공급된 부품은 무진동 상태의 무진동 부품 배출기(220)로 공급되고, 무진동 부품 배출기(220)로 공급된 부품 중 선두의 부품은 커버(230)에서 분사되는 고압 공기에 의해 종단부로 이송되어 위치 결정된다.
다음, 위치 결정된 선두의 부품은 회전 인덱서(rotary indexer)나 로봇 핸드 등과 같은 각종 반출수단에 의해 배출된다. 아울러, 후속의 부품은 선두의 부품이 배출될 때까지 커버(230)에서 분사되는 고압 공기에 의해 대기 위치로 이송된 후 흡입 동작에 의해 고정 및 대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 슈트(210)는 상면에 길이가 긴 홈 형상의 제1 부품 이송로(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제1 부품 이송로(211)에 놓인 부품을 진동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진동기구(미도시)가 설치된다.
진동기구는 도 1의 종래기술을 비롯한 다양한 문헌을 통해 공지된 바와 같이 압전구동체나 솔레오이드와 같은 진동 발생원 및 그 진동을 전달하는 판형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진동기구를 통해 진동 슈트(210)에 가해지는 진동은 그 이송되는 부품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따라 고유 주파수가 결정된다.
무진동 부품 배출기(220)는 상기한 진동 슈트(210)로부터 소정 간격(G)을 갖도록 인접 설치되어 진동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진동이 없는 부품 배출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 발명을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라고 한다.
만약 진동 방식의 부품 배출기를 사용하면 부품이 종단부의 배출 위치에 도달한 후에도 계속해서 진동하여 부품 반출장치와의 상대위치가 계속 변하므로 픽업 미스(pick-up miss)가 발생하고, 또 부품에 마찰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무진동 방식의 부품 배출기(220)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무진동 부품 배출기(220)는 제2 부품 이송로(221), 종단 정지턱(221a),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 대기용 흡기구(223) 및 위치검출센서부(224) 등을 포함한다.
이때, 제2 부품 이송로(221)는 제1 부품 이송로(211)에서 배출된 부품을 제공받도록 제1 부품 이송로(211)의 배출측에 나란하게 형성된다. 즉, 제1 부품 이송로(211)와 제2 부품 이송로(221)는 1열로 나란히 배치된다.
제2 부품 이송로(221) 역시 그 길이가 긴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부품 이송로(211)의 하류측 단부(즉, 배출부)와 제2 부품 이송로(221)의 상류측 단부(즉, 공급부)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G)이 있다.
제1 부품 이송로(211)와 제2 부품 이송로(221) 사이의 간격(G)은 부품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서 부품이 이들 사이를 통과할 때 하측으로 낙하하지는 않는다. 반면, 진동 슈트(210)의 진동이 무진동 부품 배출기(220)에 전달되지는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종단 정지턱(221a)은 제2 부품 이송로(221)의 종단부에 형성되며, 일 예로 제2 부품 이송로(221)의 종단부에 블럭(B)을 설치하여 그 벽면을 사용한다.
이러한 종단 정지턱(221a)은 홈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부품 이송로(221)의 종단부를 막아 부품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한다. 즉, 종단 정지턱(221a)은 부품의 최종 종착지가 된다.
따라서, 종단 정지턱(221a)에 의해 정지된 부품의 위치가 최종적인 배출 위치가 되며, 부품의 전단부가 종단 정지턱(221a)에 맞닿아 멈춘 상태에서 로봇 핸드 등의 반출수단이 다가와 부품을 배출시킨다.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는 종단 정지턱(221a)이 있는 제2 부품 이송로(221)의 종단부 바닥면에 형성되며 흡입 공기를 이용하여 부품을 고정한다.
이러한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는 배기장치와 연결되어 있어서 당해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를 통해 흡인력이 작용하게 한다.
또한,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는 소정 형상의 흡입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는 종단 정지턱(221a)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 노출된다.
바람직하게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는 종단 정지턱(221a)이 있는 하류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안정적인 흡기 작용을 한다.
따라서,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에 연결된 배기장치(도 3의 E2 참조)가 온(ON)되어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에 흡인력이 작용하면 그 근처로 다가온 부품을 잡아당겨 종단 정지턱(221a)에 접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종단 정지턱(221a)에 도달한 이후에는 그 위치가 결정되도록 고정한다.
반면, 위와 같이 부품이 고정된 상태에서 로봇 핸드 등의 반출장치로 부품을 배출할 때에는 배기장치를 오프(OFF)로 전환시킴으로써 픽업이 쉽도록 흡인력을 제거한다.
대기용 흡기구(223)는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의 상류측에 이격 설치되며 흡입 공기를 이용하여 부품을 고정한다.
대기용 흡기구(223)에서의 부품 고정은 종단 정지턱(221a)에 도달한 선두의 부품이 배출될 때까지 후속의 부품을 분리하여 대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진동 슈트(210)를 통해 후속의 부품이 계속하여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선두의 부품(제1부품)이 배출될 때까지 다음번 부품(제2부품)은 대기용 흡기구(223)에 의해 고정 대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그 다음번 부품(제3부품)부터는 진동 슈트(210)로부터의 공급이 빨라 밀리는 경우에도 고정 대기중인 상기 다음번 부품(제2부품)에 의해 진행이 저지되어 후속에 나란히 정렬된다.
이를 위해 대기용 흡기구(223) 역시 소정 형상의 흡입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종래와는 다르게 대기용 흡기구(223)에는 급기장치(예: 도 3의 A1)를 배제하고 배기장치(예: 도 3의 E1)만 연결함으로써 대기용 흡기구(223)에서는 오직 흡인 동작만을 수행한다.
즉, 종래에는 대기용 흡기구(223)에 급기장치 및 배기장치를 모두 연결함으로써, 부품을 대기시키는 경우에는 배기장치가 작동하고, 대기를 마치고 부품을 종단부로 이동시에는 급기장치가 작동하여 그 힘으로 부품을 이송시켰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 급기장치의 기능을 후술할 커버(230)에 별도로 구비한다.
만약, 종래처럼 대기용 흡기구(223)에 급기장치와 배기장치를 모두 연결하면 흡기 상태에서 배기 상태로 전환시 진공 파괴가 일어나면서 급작스런 공기 배출이 발생하고 정자세의 부품이 흐트러지는 것(튐, 회전, 뒤집힘 등)을 비롯하여 각종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배기장치 장치에 의한 흡기 타이밍(즉, 피가공물 대기)과 급기장치에 의한 배기 타이밍(즉, 피가공물 이송)을 정확히 맞추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제어가 복잡하고 제어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흡기 상태에서 배기 상태로 전환하여 부품을 종단부로 이송시 정밀한 제어가 어려워서 부품이 배출 위치에 정확히 위치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배출 장치에 의해 픽업 미스(pick up miss)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은 종래에는 대기용 흡기구(223)에서 수행하던 급기 기능을 후술할 커버(230)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 커버(230)를 통해 계속해서 부품 이송용 공기를 분사하는 방식을 통해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결한다.
한편, 위치검출센서부(224)는 종단부의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 및 그 상류측으로 이격 설치된 대기용 흡기구(223) 사이에 설치되어 부품의 위치를 검출한다.
즉, 위치검출센서부(224)는 부품이 대기용 흡기구(223)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 및 상기 대기용 흡기구(223)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의 사이에 있는지 각각 검출한다.
위치검출센서부(224)는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라인(L1, L2) 및 센싱부(S)를 포함하며, 센싱부(S)에서 발광된 빛을 검출라인(L1, L2)을 통해 부품 측으로 방사함으로써 부품의 존부를 검출한다.
검출라인(L1, L2)은 제1 검출라인(L1)과 제2 검출라인(L2)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일 예로 상류측의 제1 검출라인(L1)은 대기 상태에 있던 부품이 대기용 흡기구(223)를 벗어나 종단부를 향하는 것을 검출하고, 하류측의 제2 검출라인(L2)은 부품이 종단 정지턱(221a)에 도달했는지 검출한다.
따라서, 커버(230)에 형성된 분사공을 통해 부품 이송용 공기를 계속하여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당해 위치검출센서부(224)의 검출 결과에 따라 대기용 흡기구(223)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의 흡기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 제어시 선두의 부품이 종단 정지턱(221a)에 도달하면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를 온(ON)시켜 부품 위치를 결정하고, 그와 동시에 후속의 부품은 대기 상태가 되도록 대기용 흡기구(223)를 온(ON)시킨다.
또한, 반출장치에 의해 선두의 부품이 배출된 경우에는 대기용 흡기구(223)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커버(230)에서 분사중인 이송용 공기에 의해 대기 상태에 있던 부품이 종단부 즉 종단 정지턱(221a)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는 후속의 부품들이 새로 공급될 때마다 계속 반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커버(230)는 제1 부품 이송로(211) 및 제2 부품 이송로(221)를 따라 이송중인 부품의 상부에 일정 높이 이격 설치됨으로써 부품이 튀거나 하나의 부품 위에 다른 부품 위에 겹치지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230)에 의해 각 이송로와 커버(230)의 바닥면 사이의 높이가 한정되기 때문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커버(230)에 부품 이송용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공(231, 232)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에는 대기용 흡기구(223)에서 흡기와 배기 기능을 모두 제공하던 문제점을 개선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대기용 흡기구(223)는 흡기 기능만을 제공하고, 커버(230)는 배기 기능만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커버(230)는 진동 슈트(210)의 하류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이때 커버(230)의 내부에는 부품 이송용 공기를 계속하여 분사하는 제1 분사공(231) 및 제2 분사공(23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분사공(231)은 제2 부품 이송로(221) 상에서 부품이 대기용 흡기구(223)를 향해 이동하도록 공기를 공급한다. 제2 분사공(232)은 부품이 대기용 흡기구(223)를 통과하여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를 향해 이동하도록 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커버(230)는 진동 슈트(210)의 하류측 상부에서 무진동 부품 배출기(220)의 상류측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제1 분사공(231)과 제2 분사공(232)은 각각 커버(230) 내부에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분사공(231)과 제2 분사공(232)을 통해서는 끊김 없이 계속하여 부품 이송용 공기를 분사하고, 그 상태에서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와 대기용 흡기구(223)의 온/오프를 각각 제어하여 부품의 이송 타이밍을 결정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제1 분사공(231)의 하향 경사 각도는 제2 부품 이송로(221)의 상류측과 대기용 흡기구(223) 사이에 공기를 분출하도록 조절되고, 제2 분사공(232)의 하향 경사 각도는 대기용 흡기구(223)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 사이에 공기를 분출하도록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커버(230)에 제1 분사공(231) 및 제2 분사공(232)을 각각 구비하고, 제1 분사공(231) 및 제2 분사공(232)의 각도를 각각 조절하여 그 고유의 기능을 최적의 상태에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7과 같이 제1 분사공(231)의 공기 유입측과 제2 분사공(232)의 공기 유입축은 공통 연결되어 있고, 제1 분사공(231)과 제2 분사공(232)의 공통 연결부 이외의 부분은 서로 상하 방향에 배치되도록 분기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대략 옆으로 누운 'V'자 형상이 되게 한다.
이때, 상기한 제1 분사공(231)과 제2 분사공(232)의 공통 연결부에는 공기를 계속하여 공급하는 공기 공급노즐(233)이 공통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공기 공급노즐(233)을 이용하여 제1 분사공(231) 및 제2 분사공(232) 모두에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비를 단순화하고 설비 단가를 낮춘다. 만약 공기 공급노즐(233)을 각각 구비하면 커버(230)를 가공하여 공기 공급노즐(233)을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움은 물론, 공기 공급노즐(233) 및 그에 연결된 압축기 등을 유지보수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분사공(231)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 공급량이 제2 분사공(232)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 공급량보다 많도록 제1 분사공(231)의 단면적이 제2 분사공(232)의 단면적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 살펴보면 제1 분사공(231)과 제2 분사공(232)의 면적이 동일한 것처럼 보이기는 하지만 각 분사공의 가로방향 폭 또는 세로방향 높이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면 전체 단면적도 변하는데, 도 7에서는 가로방향 폭에 차이가 있는 경우를 일 예로든 경우이다.
제1 분사공(231)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 공급량을 상대적으로 많게 하는 이유는 제1 분사공(231)을 통해서는 상류에서 하류의 대기 위치까지 이동하는 부품에 공기를 가하고, 그와 동시에 대기 위치에서 벗어나 종단부를 향하는 부품에도 공기를 가해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대기 위치에 있는 대기용 흡기구(223)를 통과한 선두의 부품은 1개임에 비해 대기용 흡기구(223) 이전의 후속의 부품은 2개 이상일 수 있으므로 더 큰 힘을 가하기 위함이다.
반면, 부품이 대기 위치를 지나 이미 종단부로 이동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만 가해도 되며, 과도한 공기를 공급하면 부품이 종단 정지턱(221a)에 부딪혀 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2 분사공(232)을 통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기를 가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10: 진동 슈트
211: 제1 부품 이송로
220: 무진동 부품 배출기
221: 제2 부품 이송로
221a: 종단 정지턱
222: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
223: 대기용 흡기구
224: 위치검출센서부
230: 커버
231: 제1 분사공
232: 제2 분사공
233: 공기 공급노즐

Claims (6)

  1. 상면에 길이가 긴 홈 형상의 제1 부품 이송로(211)를 가지며, 상기 제1 부품 이송로(211)에 놓인 부품을 진동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진동 슈트(210)와;
    상기 진동 슈트(210)와 간격(G)을 갖도록 인접 설치되되, 상기 제1 부품 이송로(211)에서 배출된 부품을 제공받도록 상기 제1 부품 이송로(211)의 배출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부품 이송로(211)의 배출방향과 일직선상에 나란하게 구비된 제2 부품 이송로(221)와, 상기 제2 부품 이송로(221)의 종단부에 형성된 종단 정지턱(221a)과, 상기 종단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흡입 공기를 이용하여 부품을 고정하는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 및 상기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의 상류측에 이격 설치되며 흡입 공기를 이용하여 부품을 고정하는 대기용 흡기구(223)를 갖는 무진동 부품 배출기(220); 및
    상기 진동 슈트(210)의 하류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 부품 이송로(221) 상에서 부품이 상기 대기용 흡기구(223)를 향해 이동하도록 공기를 가하는 제1 분사공(231) 및 부품이 상기 대기용 흡기구(223)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를 향해 이동하도록 공기를 가하는 제2 분사공(232)이 형성된 커버(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230)는 상기 진동 슈트(210)의 하류측 상부에서 상기 무진동 부품 배출기(220)의 상류측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분사공(231)과 제2 분사공(232)은 각각 상기 커버(230) 내부에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공(231)의 하향 경사 각도는 상기 제2 부품 이송로(221)의 상류측과 상기 대기용 흡기구(223) 사이에 공기를 분출하도록 조절되고, 상기 제2 분사공(232)의 하향 경사 각도는 상기 대기용 흡기구(223)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 사이에 공기를 분출하도록 조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공(231)의 공기 유입측과 상기 제2 분사공(232)의 공기 유입축은 공통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분사공(231)과 제2 분사공(232)의 공통 연결부 이외의 부분은 서로 상하 방향에 배치되도록 분기되며, 상기 제1 분사공(231)과 상기 제2 분사공(232)의 공통 연결부에는 공기를 계속하여 공급하는 공기 공급노즐(233)이 공통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공(231)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 공급량이 상기 제2 분사공(232)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 공급량보다 많도록 상기 제1 분사공(231)의 단면적이 상기 제2 분사공(232)의 단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상기 대기용 흡기구(223)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 및 상기 대기용 흡기구(223)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의 사이에 있는지 각각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부(224)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커버(230)에 형성된 제1 분사공(231) 및 제2 분사공(232)을 통해 계속해서 공기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위치검출센서부(224)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대기용 흡기구(223)와 배출위치 결정용 흡기구(222)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KR20130159264A 2013-12-19 2013-12-19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KR101501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264A KR101501602B1 (ko) 2013-12-19 2013-12-19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264A KR101501602B1 (ko) 2013-12-19 2013-12-19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602B1 true KR101501602B1 (ko) 2015-03-12

Family

ID=5302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9264A KR101501602B1 (ko) 2013-12-19 2013-12-19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6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3736A (ja) * 1992-01-21 1993-08-03 Yoshitaka Aoyama 部品供給制御装置
JP2010254443A (ja) * 2009-04-27 2010-11-11 Shinko Kiki Kk パーツフィー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3736A (ja) * 1992-01-21 1993-08-03 Yoshitaka Aoyama 部品供給制御装置
JP2010254443A (ja) * 2009-04-27 2010-11-11 Shinko Kiki Kk パーツフィー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0752B2 (ja) ワーク供給装置
US6601365B2 (en) Component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of handling the same
JP7009217B2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製造方法
JP2014022744A (ja) 非接触マルチ搬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異物除去方法
KR20160087350A (ko) 반송 장치
JPH01313211A (ja) パーツフィーダ
KR20100108238A (ko) 기판 도포 장치 및 기판 도포 방법
KR101062601B1 (ko) 피가공물 분리유닛 및 진동식 반송장치
KR101501602B1 (ko) 무진동 방식 부품 공급장치
KR100682813B1 (ko) 워크 반송 시스템
KR101081885B1 (ko) 부상식 기판 코터 장치
KR101707217B1 (ko) 원판형 부품 공급장치
JP2017176646A (ja) 錠剤印刷装置
KR101545852B1 (ko) 진동슈트 대기 무진동 배출 방식 부품 공급장치
JP6659947B2 (ja) パーツフィーダ
JP4595841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20110097419A (ko)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100997135B1 (ko) 부품공급기의 이송트랙 구조
KR20010067038A (ko) 피가공재의 자동 공급 장치
KR101141146B1 (ko) 기판 반송 방법
KR200469689Y1 (ko) 리니어 슈트
WO2023073776A1 (ja) 部品装着機
JP2014223977A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JP2001002242A (ja) 電子部品整列供給装置
JP2011178560A (ja) チップ部品の整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